KR20180130486A - 모 제거 방법, 모 제거 장치,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모 제거 방법, 모 제거 장치,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486A
KR20180130486A KR1020187022154A KR20187022154A KR20180130486A KR 20180130486 A KR20180130486 A KR 20180130486A KR 1020187022154 A KR1020187022154 A KR 1020187022154A KR 20187022154 A KR20187022154 A KR 20187022154A KR 20180130486 A KR20180130486 A KR 20180130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s
nipping
nip
defective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609B1 (ko
Inventor
히데키 아마타츠
시게루 마츠시타
켄사쿠 오카모토
유지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9/00Machines for finishing brushes
    • A46D9/02Cutting; Trimm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03Testing of bru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품질 불량 및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모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정 높이로부터 튀어나온 불량모(20A)에 있어서의 모끝의 높이 방향의 위치 및 헤드부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모끝의 위치에 의거하여 헤드부의 폭 방향으로 식모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헤드부의 폭보다 길게 설치되고, 이간된 복수의 협지편(31)과 헤드부(18)를 상대 이동시켜서 이간된 복수의 협지편 사이에 모끝을 배치하는 제 1 이동 공정과, 복수의 협지편 중 적어도 1개를 이동시켜서 복수의 협지편에 의해 모끝을 높이 방향의 제 1 위치에서 협지시키는 협지 공정과, 모끝을 협지한 복수의 협지편과 헤드부를 상대 이동시켜서 제 1 위치보다 식모면(18a)에 가까운 제 2 위치에 모끝을 협지한 복수의 협지편을 배치하는 제 2 이동 공정과, 모끝을 협지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축선 둘레에 회전시켜서 상기 협지편의 외주면에 상기 불량모를 권취하는 권취 공정과, 불량모를 권취한 복수의 협지편과 헤드부를 상대 이동시켜서 불량모를 권취한 복수의 협지편을 제 1 위치보다 식모면으로부터 떨어진 제 3 위치에 배치하는 제 3 이동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 제거 방법, 모 제거 장치,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
본 발명은 모 제거 방법, 모 제거 장치,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 에 관한 것이며, 테이퍼모를 평선에 의해 식모한 칫솔의 불량모(장모)를 제거할 때에 사용하기 적합한 모 제거 방법, 모 제거 장치,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4월 5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076165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평선에 의해 모다발을 식모해서 얻어지는 칫솔은 종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헤드부를 포함하는 브러시 본체를 제작하는 공정과, 제작된 브러시 본체의 헤드부에 형성된 복수의 식모 구멍에 평선에 의해 모다발을 식모하는 식모 공정과, 모끝을 커팅하여 심어진 모의 높이를 조정하는 모 커팅 공정과, 모끝의 모서리부를 연마하는 끝 라운딩 공정을 거쳐 제작되고, 제작된 칫솔은 식모 불량 등이 없는지의 여부를 검사한 후 포장되어서 출하된다(특허문헌 1). 따라서, 식모 공정에서 식모된 모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아도 모 커팅 공정에서 모의 높이를 소정 높이로 일치시키는 등의 조정이 가능하다.
최근 치간에 들어가기 쉬운 테이퍼모가 식설(植設)된 칫솔이 많이 사용되도록 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테이퍼모는 모끝 부분이 축경(縮徑)되어 가느다란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심어진 모의 높이를 조정하는 모 커팅 공정을 채용하는 것은 테이퍼모의 모끝이 절단된 부분만큼 굵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테이퍼모를 사용할 경우, 식모 공정에서 식모된 모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식모 조건을 조정하는 것이 행해지고, 식모 불량에 의해 소정 높이로부터 식모 방향으로 튀어나온 불량모(장모)가 발생한 경우, 사람 손에 의해 불량모를 빼내어 제거하는 것 등이 행해진다. 사람 손에 의한 불량모의 제거는, 예를 들면 펜치와 같은 공구로 불량모를 끼워서 빼내지만, 장모의 선단을 끼워서 잡아당기면 끊어져서 빠지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장모 끝단을 공구로 쥔 후, 쥔 상태로 식모면의 외주의 바깥으로 인출하고, 그 후에 쥐는 위치를 장모의 근원으로 슬라이딩시켜서 근원을 끼운 상태에서 당겨 빼는 작업이 행해진다. 이러한 작업을 불량모의 각각에서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3에는 칫솔의 최외주 윤곽으로부터 돌출된 도모(倒毛)를 칫솔의 최외주 윤곽 전체 둘레에 걸쳐 빼내기 가능한 칫솔의 도모 제거 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테이퍼모를 식모했을 때의 상기 장모의 제거에는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2-199939호 공보 일본 특허 314521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7-155223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품질 불량 및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모 제거 방법, 모 제거 장치,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헤드부의 식모면에 소정 높이로 테이퍼모의 모다발이 평선을 사용하여 식모된 칫솔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높이보다 튀어나온 불량모의 모 제거 방법으로서, 상기 소정 높이로부터 튀어나온 상기 불량모에 있어서의 모끝의 상기 높이 방향의 위치 및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상기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모끝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헤드부의 폭 방향으로 상기 식모면과 평행하게 연장하여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길게 설치되고, 이간된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를 상대 이동시켜서 이간된 복수의 협지편 사이에 상기 모끝을 배치하는 제 1 이동 공정과, 상기 복수의 협지편 중 적어도 1개를 이동시켜서 상기 복수의 협지편에 의해 상기 모끝을 상기 높이 방향의 제 1 위치에서 협지시키는 협지 공정과, 상기 모끝을 협지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를 상대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에 가까운 제 2 위치에 상기 모끝을 협지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배치하는 제 2 이동 공정과, 상기 모끝을 협지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축선 둘레에 회전시켜서 상기 협지편의 외주면에 상기 불량모를 권취하는 권취 공정과, 상기 불량모를 권취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를 상대 이동시켜서 상기 불량모를 권취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으로부터 떨어진 제 3 위치에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모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협지편은 상기 모끝을 협지하는 방향의 최대폭(W1)과, 상기 높이 방향의 최대폭(W2)의 비인 W1/W2가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모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권취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축선 둘레에 1/2회전 이상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모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 공정에서 상기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의 상대 이동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축선 둘레에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모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거 공정 후에 적어도 상기 소정 높이로부터 튀어나온 상기 불량모의 유무를 재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헤드부의 식모면에 소정 높이로 테이퍼모의 모다발을 평선을 사용하여 식모하는 식모 공정과, 상기 식모 공정에서 식모된 상기 테이퍼모를 검사하는 검사 공정과, 상기 소정 높이로부터 튀어나온 불량모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모 제거 방법으로 빼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헤드부의 식모면에 소정 높이로 테이퍼모의 모다발이 평선을 사용하여 식모된 칫솔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높이보다 튀어나온 불량모의 모 제거 장치로서, 상기 소정 높이로부터 튀어나온 상기 불량모에 있어서의 모끝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모끝을 협지 가능한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모끝을 협지하는 위치와, 상기 모끝의 협지를 해방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협지편 중 적어도 1개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를 상기 식모면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대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축선 둘레에 회전 구동해서 상기 협지편의 외주면에 상기 불량모를 권취시키는 제 3 구동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부, 상기 제 2 구동부, 및 상기 제 3 구동부를 제어하고, 이간된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를 상대 이동시켜서 이간된 복수의 협지편 사이에 상기 모끝을 배치한 후에 상기 복수의 협지편에 의해 상기 모끝을 상기 높이 방향의 제 1 위치에서 협지시키고, 상기 모끝을 협지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그 후에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에 가까운 제 2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축선 둘레에 회전시켜서 상기 협지편의 외주면에 상기 불량모를 권취시키고, 상기 불량모를 권취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으로부터 떨어진 제 3 위치에 배치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모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지편은 상기 모끝을 협지하는 방향의 최대폭(W1)과, 상기 높이 방향의 최대폭(W2)의 비인 W1/W2가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모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협지편의 외주면에 상기 불량모를 권취시킬 때에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축선 둘레에 1/2회전 이상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모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끝을 협지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하는 동안에 상기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의 상대 이동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축선 둘레에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모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은 상기 헤드부의 폭 방향으로 상기 식모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길게 설치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모끝의 상기 높이 방향의 위치 및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모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은 접합했을 때에 서로 맞물리는 요철형상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헤드부의 식모면에 소정 높이로 테이퍼모의 모다발을 평선을 사용하여 식모하는 식모 장치와, 상기 식모 장치로 식모된 상기 테이퍼모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와, 상기 소정 높이로부터 튀어나온 불량모를 빼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모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품질 불량 및 비용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a)는 칫솔(1)의 상방에 모 제거 장치(10)의 협지편(11)이 배치된 정면도이며, 도 1(b)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칫솔(1)의 헤드부(18)에 있어서의 1개의 모다발 근방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협지편(31)의 구동에 의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모 제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모 제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모 제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모 제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모 제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칫솔 제조 장치(5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협지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협지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협지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협지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모 제거 방법, 모 제거 장치,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 1~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헤드부에 테이퍼모가 식모된 칫솔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상이하게 하고 있다.
[모 제거 방법 및 모 제거 장치]
모 제거 장치에 대해서 도 1~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a)는 칫솔(1)의 상방에 모 제거 장치(30)의 협지편(31)이 배치된 정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칫솔(1)의 상방에 모 제거 장치(30)의 협지편(31)이 배치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칫솔(1)의 하방에 협지편(31)이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칫솔(1)의 길이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칫솔(1)의 폭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X 방향 및 Y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칫솔(1)의 두께 방향)을 Z 방향으로 하여 적당히 사용한다.
우선, 모 제거 장치(30)에 의한 모 제거 대상이 되는 칫솔(브러시)(1)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칫솔(1)은 핸들체(10)와, 핸들체(10)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12)로 형성되는 브러시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체(10)는 막대형상의 핸들부(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와, 핸들부의 선단에 연장하여 설치되어 핸들부보다 가는 네크부(17)와, 네크부(17)의 선단에 설치되어 복수의 모다발(12)이 식설되는 헤드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모다발(12)은 헤드부(18)의 식모면(18a)에 식설되어 있다.
핸들체(1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경질 수지가 사용된다. 핸들체(10)의 전체 길이는 100~200㎜ 정도이다. 헤드부(18)는 4개의 정상부가 곡선으로 모서리 커팅된 대략 사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18)의 치수는 폭이 5~16㎜ 정도, 길이가 10~33㎜ 정도, 두께가 3~5㎜ 정도이다.
식모 구멍(18a)의 수는 일례로서 10~60개이다. 식모 구멍(18a)의 직경은 일례로서 1~3㎜이다. 식모 구멍(18a)의 평면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 다각형이어도 좋고, 배열 패턴은 격자형상, 지그재그형상 등이 있다.
도 2는 칫솔(1)의 헤드부(18)에 있어서의 1개의 모다발 근방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모다발(12)은 복수의 테이퍼모(20)가 묶여서 형성되어 있다. 모다발(12)은 평선식 식모법에 의해 식모면(18a)에 식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부에 테이퍼부(21)가 설치된 복수의 테이퍼모(20)가 묶여서 금속편인 평선(24)으로 반으로 접혀 헤드부(18)의 식모면(18a)에 형성된 식모 구멍(23)에 박아 넣어짐으로써 식모면(18a)으로부터 높이(소정 높이)(H)로 모다발(12)이 식설되어 있다.
테이퍼모(20)는 스트레이트부(19)보다 선단측의 부분에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축경하는 테이퍼부(21)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퍼모(20)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 수지가 있지만,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가 많이 사용되어 있다. 테이퍼부(21)의 가공 방법으로서는 PBT제의 모노필라멘트의 모끝을 강알칼리로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있다. 모노필라멘트의 일례로서는 원기둥형상이며, 전체 길이가 31㎜, 중앙부의 굵기가 6~8mil(1mil=0.025㎜) 정도이다.
식모 구멍(23)에 반으로 접어서 박아 넣어 고정되었을 때의 테이퍼모(20)의 모길이(식모면(18a)으로부터 모끝까지의 길이)(H)는, 예를 들면 10~12㎜ 정도이다. 칫솔(1)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테이퍼모(20)는 모끝 지름이 0.02㎜, 테이퍼 길이(모끝으로부터 테이퍼형상의 개시 위치까지의 길이)(L)는 8㎜ 정도이며, 모끝으로부터 1㎜의 위치의 직경은 0.05~0.07㎜, 3㎜의 위치에서의 직경은 0.11~0.14㎜로 첨예하다. 그 때문에 식모 불량으로 발생한 길이 1~3㎜의 장모를 당겨 뺄 때에 쥐는 위치는 매우 가늘어 쥐어서 당겨 뺄 때에 끊어져버리게 된다.
또한, 칫솔(1)에 있어서의 모다발(12)의 식모 강도(모 고정 강도)는 JIS S3016에서 정해져 있으며, 인장 시험기에 의해 인장할 수 있었던 최대 인장력을 측정하여 8[N]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칫솔(1)에 있어서는 일정 이상의 모 고정 강도가 필요하며, 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상술한 테이퍼모(20)의 장모를 제거하는 것은 더 곤란해진다.
도 1로 되돌아와서 모 제거 장치(30)는 도 1(a), 도 1(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협지편(31), 검출부(32), 구동부군(33), 칫솔(1)의 헤드부(18)를 식모면(18a)과는 역측의 면으로부터 유지하는 헤드 지지부(도시 생략) 및 구동 제어부(CONT)를 구비하고 있다. 협지편(31)은 브러시부(22)의 +Z측에 배치되어 있다. 협지편(31)은 헤드부(18)의 폭 방향이며 식모면(18a)과 평행한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X 방향에 대향하여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협지편(31)은 평면부를 서로 대향시킨 반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협지편(31)은 평면부에서 접합되었을 때에 일례로서 직경 3.0㎜의 원기둥형상이 된다. 협지편(31)은 헤드부(18)의 폭보다 길고,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 헤드부(18)가 설치되는 범위를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헤드부(18)의 최대폭을 15㎜로 하면 협지편(31)의 길이는 약 30㎜로 설정되어 있다. 협지편(31)은, 예를 들면 고경도의 크롬몰리브덴강으로 형성되어 있다.
협지편(31)은 적어도 한쪽이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평면부가 접합 가능한 협지 위치(도 5(a) 참조) 및 적어도 한쪽이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해방 위치(도 1(a), 도 4(a) 참조) 사이를 동기하여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협지편(31)은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 및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한 쌍의 협지편(31)은 평면부에서 접촉했을 때, 즉 협지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협지편(31)으로서는 한쪽 지지 또는 양단 지지 중 어느 것도 상관 없지만, 보다 강고하게 협지하기 위해서는 양단 지지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협지편(31)의 구동에 의한 블록도이다. 구동부군(33)은 협지 구동부(제 1 구동부)(41), 수평 구동부(제 2 구동부)(42), 회전 구동부(제 3 구동부)(43), 및 높이 구동부(제 2 구동부)(44)를 포함한다. 구동부군(33)은 구동 제어부(CONT)에 의해 통괄적으로 제어된다.
협지 구동부(41)는 한 쌍의 협지편(31)을 상기 협지 위치와 해방 위치 사이에서 X 방향을 따라 동기하여 이동시킨다. 수평 구동부(42)는 한 쌍의 협지편(31)과 헤드부(18)(칫솔(1))를 X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회전 구동부(43)는 한 쌍의 협지편(31)을 협지 위치의 상태 또는 해방 위치의 상태로 원기둥형상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킨다. 높이 구동부(44)는 한 쌍의 협지편(31)과 헤드부(18)(칫솔(1))를 Z 방향(모다발(12)의 높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평 구동부(42)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협지편(31)이 X 방향으로 이동하고, 높이 구동부(44)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협지편(31)이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수평 구동부(42)의 구동에 의해 헤드부(18)(칫솔(1))가 X 방향으로 이동하고, 높이 구동부(44)의 구동에 의해 헤드부(18)(칫솔(1))가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나 수평 구동부(42)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협지편(31)과 헤드부(18)(칫솔(1))의 쌍방이 X 방향으로 이동하고, 높이 구동부(44)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협지편(31)과 헤드부(18)(칫솔(1))의 쌍방이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검출부(32)는 테이퍼모(20) 중 소정 높이로부터 소정 길이를 초과하여 튀어나온 테이퍼모(20)(이하, 불량모(20A)라고 칭한다)에 있어서의 모끝의 튀어나옴량과 모끝의 위치를 검출한다. 불량모(20A)가 되는 튀어나온 길이 기준은 일례로서 1㎜ 이상이다. 검출부(32)는 도 1(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일례로서 +Y측으로부터 불량모(20A)의 검출을 행하고, 튀어나온 길이 기준을 초과한 불량모(20A)의 모끝의 X 방향의 위치 및 Z 방향의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부(32)에 의한 위치 검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브러시부(22)를 촬상한 상을 화상 처리한 결과에 따라 검출하는 방법이나 브러시부(22)를 향해서 검지광에 의한 주사를 행한 결과(반사광의 유무나 소정 위치에서의 수광의 유무 등)에 따라 불량모(20A)의 X 방향의 위치 및 Z 방향의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부(32)의 검출 결과는 구동 제어부(CONT)에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모 제거 장치(30)에 의한 불량모(20A)의 모 제거 방법에 대해서 도 4~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도 8에 있어서는 검출부(32), 구동부군(33), 및 구동 제어부(CONT)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우선, 헤드 지지부에 의해 칫솔(1)(헤드부(18))을 유지시킨 후에 유지된 브러시부(22)에 대하여 검출부(32)가 촬영 처리나 검지광 주사 처리를 행하여 높이(H)로부터 튀어나오는 길이 기준을 초과하여 튀어나온 불량모(20A)의 검지 처리를 실시한다. 불량모(20A)가 검출되었을 경우, 검출부(32)는 불량모(20A)의 모끝의 X 방향의 위치를 구동 제어부(CONT)에 출력한다.
구동 제어부(CONT)는 불량모(20A)의 모끝의 X 방향의 위치 및 Z 방향의 위치가 입력되면 협지 구동부(41)를 제어해서 한 쌍의 협지편(31)을 해방 위치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불량모(20A)의 모끝보다 높은 Z 방향의 위치(이하, Z 위치라고 칭한다)에서 한 쌍의 협지편(31)의 중심 위치가 불량모(20A)의 모끝의 X 방향의 위치(이하, X 위치라고 칭한다)와 일치하도록 협지편(31)을 이동시킨 후에 도 4(a),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높이 구동부(44)를 제어하여 튀어나온 모끝이 한 쌍의 협지편(31) 사이에 위치하도록 협지편(31)을 식모면(18a)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제 1 이동 공정). 이때의 협지편(31)의 중심의 Z 위치는 튀어나온 불량모(20A)와는 다른 테이퍼모(20)와 접촉하지 않도록 높이(H)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구동 제어부(CONT)는 협지 구동부(41)를 제어하여 도 5(a),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협지편(31)을 협지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불량모(20A)의 모끝은 높이(H)보다 높은 제 1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협지편(31) 사이에서 협지된다(협지 공정).
이어서, 구동 제어부(CONT)는 높이 구동부(44)를 제어하여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량모(20A)의 모끝을 협지한 한 쌍의 협지편(31)을 상기 제 1 위치보다 식모면(18)에 가까운 제 2 위치로 이동시킨다(제 2 이동 공정). 한 쌍의 협지편(31)이 협지하는 모끝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느다란 개소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협지편(31)이 회전하여 외주면에 불량모(20A)를 권취할 때에 회전 초기의 1/4회전(90˚)까지 모끝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외주면의 둘레 길이의 90˚를 초과한 각도, 예를 들면 1/2회전(180˚)에 대응하는 길이의 휨이 불량모(20A)에 발생하는 위치를 제 2 위치로 설정한다.
이어서, 구동 제어부(CONT)는 회전 구동부(43)를 제어하여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위치에 있어서 모끝을 협지하는 한 쌍의 협지편(31)을 원기둥형상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켜서 한 쌍의 협지편(31)의 외주면에 불량모(20A)를 권취한다(권취 공정). 한 쌍의 협지편(31)의 회전량으로서는 1/2회전 이상이 바람직하며, 3/4회전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한 쌍의 협지편(31)의 회전량이 상기 하한값을 하회하면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지 않은 불량모(20A)의 최소 지름이 좁아 한 쌍의 협지편(31)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불량모(20A)가 끊어질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테이퍼 길이(L)가 8㎜, 불량모(20A)의 튀어나온 길이가 1㎜이며, 한 쌍의 협지편(31)의 둘레 길이가 3×π일 경우, 한 쌍의 협지편(31)의 회전량이 1/2회전이면 테이퍼 길이의 약 70%가 외주면에 권취된다. 또한, 한 쌍의 협지편(31)의 회전량이 3/4회전이면 테이퍼 길이의 거의 100%가 외주면에 권취된다. 그 때문에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지 않은 불량모(20A)의 최소 지름은 모끝 지름과 비교해서 불량모(20A)의 중앙부의 직경에 가까운 값이 된다.
또한, 회전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제 2 이동 공정에 있어서의 한 쌍의 협지편(31)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한 쌍의 협지편(31)의 직경이 커지면 제 2 이동 공정에 있어서의 한 쌍의 협지편(31)의 이동 거리가 길어짐으로써 제 2 위치가 식모면(18a)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불량모 이외의 모다발(12)을 뭉개버리거나 협지편(31)이 식모면(18a)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협지편(31)은 불량모(20A)의 모끝을 협지했을 때의 강도, 불량모(20A)를 외주면에 권취할 때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느다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협지편(31)의 회전량은 불량모(20A)의 테이퍼 길이(L)를 고려해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협지편(31)의 외주면에 소정 각도로 불량모(20A)를 권취하면 구동 제어부(CONT)는 높이 구동부(44)를 제어하여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편(31)을 헤드부(18)에 대하여 상기 제 1 위치보다 식모면(18a)으로부터 먼 높이(H)보다 높은 제 3 위치까지 이동시킨다(제 3 이동 공정). 협지편(31)의 상승에 의해 협지편(31)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었던 불량모(20A)는 반으로 접혀서 평선(24)을 끼우고 역측에 배치된 개소도 포함하여 헤드부(18)로부터 빼내어진다.
제 3 이동 공정에 있어서의 한 쌍의 협지편(31)의 이동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생산성이 저하되고,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불량모(20A)가 끊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불량모(20A)가 끊어지지 않는 범위에서 최고 속도의 이동 속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모 제거 장치(30)에서는 식모 후에 소정의 높이(H)로부터 튀어나온 불량모(20A)가 발생한 경우에도 사람 손에 의지하는 일 없이, 또한 모끝 부분에서 끊겨버리는 일 없이 식모 불량이 되는 불량모(20A)를 빼낼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모 제거 장치(30)에서는 비용 증가 및 품질 불량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불량모(20A)를 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 제거 장치(30)에서는 한 쌍의 협지편(31)이 협지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외주면에 엣지가 없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주면에 권취된 불량모(20A)에 응력이 집중하여 파단되는(끊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 제거 장치(30)에서는 협지편(31)이 헤드부(18)의 폭 방향으로 식모면(18a)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헤드부(18)의 폭보다 길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부(18)의 폭 방향에 대해서는 불량모(20A)의 위치에 따라 협지편(31)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져서 모 제거 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이동 공정이 완료된 후에 권취 공정을 실시하는 순서를 예시했지만, 제 2 이동 공정의 일부에서 권취 공정을 실시하는 순서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위치에서 한 쌍의 협지편(31)에 의해 불량모(20A)의 모끝을 협지한 후에 모끝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 쌍의 협지편(31)을 제 2 위치를 향해서 소정 거리 이동시켜서 불량모(20A)에 휨을 형성한 후에 한 쌍의 협지편(31)의 제 2 위치로의 이동과, 한 쌍의 협지편(31)의 회전에 의한 외주면으로의 불량모(20A)의 권취를 병행하여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 한 쌍의 협지편(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발생하는 불량모(20A)의 휨 길이에 대하여 한 쌍의 협지편(31)의 회전에 의한 외주면으로의 불량모(20A)의 권취 길이가 짧아지도록 한 쌍의 협지편(31)의 회전 속도를 설정함으로써 불량모(20A)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기둥형상의 협지편(31)의 직경을 D(mm), 회전 구동부(43)의 작동에 의한 협지편(31)의 회전 속도(즉, 불량모(20A)의 권취 속도)를 R(회전/sec), 원주율을 π, 높이 구동부(44)의 작동에 의한 협지편(31)의 하강 속도(V)(mm/sec)로 하면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불량모(20A)의 굴곡 길이와, 단위 시간당 외주면에 권취되는 불량모(20A)의 길이의 관계는 하기 식(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π·R·D …(1)
식(1)으로부터 협지편(31)의 회전 속도는 하기 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V/(π·D) …(2)
또한, 생산성을 고려한 경우에는 협지편(31)이 제 2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협지편(31)의 외주면으로의 불량모(20A)의 권취가 완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협지편(31)의 회전을 개시하는 높이 방향의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거리를 L1(㎜)로 하고, 불량모(20A)를 외주면에 권취하는 한 쌍의 협지편(31)의 회전량을 N회전으로 하면 협지편(31)의 제 2 위치로의 이동 시간과, 불량모(20A)를 협지편(31)의 외주면에 권취하는 시간의 관계는 하기 식(3)으로 나타내어진다.
R·(L1/V)=N …(3)
따라서, 하기 식(4)으로 나타내어지는 회전 속도(R)로 협지편(31)을 회전시킴으로써 협지편(31)의 외주면에 불량모(20A)를 권취하는 시간을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R=N·(V/L1) …(4)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불량모(20A)를 권취하는 한 쌍의 협지편(31)의 회전량이 1/2회전일 경우에는 식(4)으로부터 회전 속도(R)를 V/(2×L1)로 설정하면 좋다.
이렇게 제 2 이동 공정에서 협지편(31)의 외주면에 불량모(20A)를 권취하는 공정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식(4)을 만족하는 회전 속도(R)로 협지편(31)을 회전시킴으로써 협지편(31)의 외주면에 불량모(20A)를 권취하는 시간을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서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
계속해서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칫솔 제조 장치(5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칫솔 제조 장치(50)는 식모 장치(60), 반송 장치(70) 및 상기 모 제거 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식모 장치(60)는 헤드 지지부에 유지된 헤드부(18)의 식모 구멍(23)에 소정 개수의 테이퍼모(20)의 모다발과 평선(24)을 식모 바늘에 의해 박아 넣음으로써 테이퍼모(20)를 평선(24)으로 반으로 접어서 식모 구멍(23)에 식설한다. 또한, 식모 장치(60)는 헤드부(18)를 복수의 식모 구멍(23)의 배열에 적응하여 이동시킴으로써 각 식모 구멍(23)에 테이퍼모(20)의 모다발을 순차 식설한다.
식모 장치(60)에 의해 테이퍼모(20)의 모다발이 식설된 칫솔(1)은 반송 장치(70)에 의해 모 제거 장치(30)에 반송된다. 모 제거 장치(30)에 반송된 칫솔(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18)로부터 튀어나온 불량모(20A)의 검출 및 빼냄이 행해진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의 칫솔 제조 장치(50)에 있어서는 식모 장치(60)에 의해 식설된 테이퍼모(20)에 소정 높이(H)보다 튀어나온 불량모(20A)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사람 손에 의지하는 일 없이 검사 및 모 제거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품질 불량의 억제 및 비용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식모 장치(60)로부터 모 제거 장치(30)로의 칫솔(1)의 반송에는 식모 장치(60)에 있어서 헤드부(18)를 유지한 상태의 헤드 지지부를 반송하고, 모 제거 장치(30)에 있어서의 헤드 지지부로서 사용하여 검사·모 제거를 실시해도 좋고, 식모 장치(60)에 있어서의 헤드 지지부로부터 분리된 칫솔(1)을 모 제거 장치(30)에 반송하고, 반송된 칫솔(1)을 모 제거 장치(30)에 있어서의 헤드 지지부에 유지시켜서 검사·모 제거를 실시해도 좋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제반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의거하여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협지편(31)의 대향면(협지면)이 평면인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 위치에 있어서 서로 맞물리는 요철형상을 각각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협지편(31)이 이 구성을 가질 경우에는 협지편(31)끼리의 협지 방향과, 각 협지편(31)에 있어서의 협지면끼리의 협지 방향이 상이한 개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불량모(20A)를 보다 강고하게 협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면에서 불량모(20A)를 권취한 협지편(31)을 불량모(20A)의 기단부 부근의 제 2 위치로부터 상승시킴으로써 헤드부(18)로부터 불량모(20A)를 빼내는 순서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동 제어부(CONT)가 높이 구동부(44)를 제어해서 협지편(31)을 제 2 위치에서 정지시킨 상태로 회전 구동부(43)를 제어하고, 불량모(20A)의 권취 방향으로 협지편(31)을 회전시켜서 헤드부(18)에 대하여 불량모(20A)를 빼내는 순서로 해도 좋다.
이 순서를 채용함으로써 평선(24)이 박아 넣어진 Z 방향에 대하여 불량모(20A)의 빼내는 방향이 경사지기 때문에 빼낼 시에 있어서의 평선(24)에 의한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협지편(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하면서 불량모(20A)를 권취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협지편(31)이 불량모(20A)를 협지한 후에 그대로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에 회전해서 외주면에서 불량모(20A)를 권취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협지편(31)으로서 한 쌍(2개)의 협지편(31)에 의해 불량모(20A)를 협지해서 빼내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상의 협지편을 사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 위치에 있어서 원기둥을 120° 간격으로 분할한 3개의 협지편(31)을 사용하여 불량모(20A)를 협지해서 빼내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3개 이상의 협지편(31)을 사용할 경우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협지 위치에 있어서 서로 맞물리는 요철형상을 각각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복수의 협지편(31) 중 어느 구성에 대해서도 협지성을 높이기 위해서 협지 맞춤면을 블라스트 가공 등의 조면화 처리를 행하여 표면적을 증대시켜서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협지 위치에 있어서 협지편(31)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 외에, 예를 들면 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12에는 협지 위치에 있어서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협지편(31)의 예를 나타낸다. 협지편(31)을 각기둥형상으로 할 경우에는 권취 시에 있어서의 불량모(20A)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서 협지편(31)의 모서리부에 원호형상 등의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협지편(31)은 모끝을 협지했을 때에 협지한 위치가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휨은 고경도의 크롬몰리브덴강에 의해 협지편(31)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도 발생한다. 그 때문에 한 쌍의 협지편(31)의 단면형상으로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끝의 협지 방향의 최대폭(W1)이 높이 방향의 최대폭(W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폭(W2)보다 최대폭(W1)을 크게 함으로써 외주면의 둘레 길이를 대폭으로 길게 하는 일 없이 모끝을 협지했을 때에 발생하는 휨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협지편(31)의 높이 방향의 최대폭(W2)은 1~3㎜가 바람직하다. 협지편(31)의 협지 방향의 최대폭(W1)과 높이 방향의 최대폭(W2)의 비(W1/W2)는 0.5 이상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다. 접합된 한 쌍의 협지편(31)의 외주면의 둘레 길이는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며,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길이(H)가 10~12㎜ 정도, 테이퍼 길이(L)가 8㎜ 정도일 때에 협지편(31)의 협지 방향의 최대폭(W1) 및 높이 방향의 최대폭(W2)을 상기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외주면에 불량모(20A)를 권취할 때의 협지편(31)의 회전 수를 1/2회전 이상, 바람직하게는 3/4회전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한 쌍의 협지편(31)의 외주면은 엣지가 형성되지 않도록, 예를 들면 협지 방향을 장경으로 하는 타원형상이나 장원형상 등의 오벌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협지편(31)이 칫솔(1)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헤드 지지부를 통해 칫솔(1)이 협지편(31)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모 제거 장치(30)에 의해 칫솔(1)에 식설된 불량모(20A)를 빼내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적용 대상은 칫솔(1)에 한정되지 않고, 테이퍼모 또는 테이퍼모와 같이 모끝이 축경된 가느다란 솔을 사용하는 브러시, 예를 들면 솔이나 붓, 또는 화장 브러시 등의 검사·제조에 널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모 제거 방법, 모 제거 장치,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칫솔(브러시) 18: 헤드부
18a: 식모면 20: 테이퍼모
20A: 불량모 30: 모 제거 장치
31: 협지편 41: 협지 구동부(제 1 구동부)
42: 수평 구동부(제 2 구동부) 43: 회전 구동부(제 3 구동부)
44: 높이 구동부(제 2 구동부) 50: 칫솔 제조 장치
CONT: 구동 제어부 H: 높이(소정 높이)

Claims (13)

  1. 헤드부의 식모면에 소정 높이로 테이퍼모의 모다발이 평선을 사용하여 식모된 칫솔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높이보다 튀어나온 불량모의 모 제거 방법으로서,
    상기 소정 높이로부터 튀어나온 상기 불량모에 있어서의 모끝의 상기 높이 방향의 위치 및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상기 검출 공정에서 검출한 모끝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헤드부의 폭 방향으로 상기 식모면과 평행하게 연장하여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길게 설치되고, 이간된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를 상대 이동시켜서 이간된 복수의 협지편 사이에 상기 모끝을 배치하는 제 1 이동 공정과,
    상기 복수의 협지편 중 적어도 1개를 이동시켜서 상기 복수의 협지편에 의해 상기 모끝을 상기 높이 방향의 제 1 위치에서 협지시키는 협지 공정과,
    상기 모끝을 협지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를 상대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에 가까운 제 2 위치에 상기 모끝을 협지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배치하는 제 2 이동 공정과,
    상기 모끝을 협지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축선 둘레에 회전시켜서 상기 협지편의 외주면에 상기 불량모를 권취하는 권취 공정과,
    상기 불량모를 권취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를 상대 이동시켜서 상기 불량모를 권취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으로부터 떨어진 제 3 위치에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편은 상기 모끝을 협지하는 방향의 최대폭(W1)과, 상기 높이 방향의 최대폭(W2)의 비인 W1/W2이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축선 둘레에 1/2회전 이상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 공정에서 상기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의 상대 이동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축선 둘레에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공정 후에 적어도 상기 소정 높이로부터 튀어나온 상기 불량모의 유무를 재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방법.
  6. 헤드부의 식모면에 소정 높이로 테이퍼모의 모다발을 평선을 사용하여 식모하는 식모 공정과,
    상기 식모 공정에서 식모된 상기 테이퍼모를 검사하는 검사 공정과,
    상기 소정 높이로부터 튀어나온 불량모를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 제거 방법으로 빼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제조 방법.
  7. 헤드부의 식모면에 소정 높이로 테이퍼모의 모다발이 평선을 사용하여 식모된 칫솔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높이보다 튀어나온 불량모의 모 제거 장치로서,
    상기 소정 높이로부터 튀어나온 상기 불량모에 있어서의 모끝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모끝을 협지 가능한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모끝을 협지하는 위치와, 상기 모끝의 협지를 해방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협지편 중 적어도 1개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를 상기 식모면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대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축선 둘레에 회전 구동하여 상기 협지편의 외주면에 상기 불량모를 권취시키는 제 3 구동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부, 상기 제 2 구동부, 및 상기 제 3 구동부를 제어하고, 이간된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를 상대 이동시켜서 이간된 복수의 협지편 사이에 상기 모끝을 배치한 후에 상기 복수의 협지편에 의해 상기 모끝을 상기 높이 방향의 제 1 위치에서 협지시키고, 상기 모끝을 협지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그 후에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에 가까운 제 2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축선 둘레에 회전시켜서 상기 협지편의 외주면에 상기 불량모를 권취시키고, 상기 불량모를 권취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식모면으로부터 떨어진 제 3 위치에 배치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편은 상기 모끝을 협지하는 방향의 최대폭(W1)과, 상기 높이 방향의 최대폭(W2)의 비인 W1/W2이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협지편의 외주면에 상기 불량모를 권취시킬 때에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축선 둘레에 1/2회전 이상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모끝을 협지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하는 동안에 상기 복수의 협지편과 상기 헤드부의 상대 이동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을 상기 축선 둘레에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장치.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은 상기 헤드부의 폭 방향으로 상기 식모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길게 설치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모끝의 상기 높이 방향의 위치 및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협지편은 접합했을 때에 서로 맞물리는 요철형상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제거 장치.
  13. 헤드부의 식모면에 소정 높이로 테이퍼모의 모다발을 평선을 사용하여 식모하는 식모 장치와,
    상기 식모 장치로 식모된 상기 테이퍼모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와,
    상기 소정 높이로부터 튀어나온 불량모를 빼내는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제조 장치.
KR1020187022154A 2016-04-05 2017-04-05 모 제거 방법, 모 제거 장치,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 KR102343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6165 2016-04-05
JP2016076165 2016-04-05
PCT/JP2017/014207 WO2017175793A1 (ja) 2016-04-05 2017-04-05 毛抜き方法、毛抜き装置、歯ブラシ製造方法および歯ブラシ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486A true KR20180130486A (ko) 2018-12-07
KR102343609B1 KR102343609B1 (ko) 2021-12-27

Family

ID=6000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154A KR102343609B1 (ko) 2016-04-05 2017-04-05 모 제거 방법, 모 제거 장치,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72531B2 (ko)
KR (1) KR102343609B1 (ko)
CN (1) CN109068844B (ko)
WO (1) WO2017175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7874B1 (ja) * 2019-05-27 2020-09-23 株式会社Mtt 360°型歯ブラシにおいて、該毛先がテーパー形状である歯ブラシと、該製造方法。
DE102019132194A1 (de) * 2019-11-27 2021-05-27 Gb Boucherie Nv Bürstennacharbeit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Nachbearbeiten von Bürst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223A (ja) 1993-12-06 1995-06-20 Sunstar Inc 歯ブラシの倒毛抜き装置及び歯ブラシの製造方法
JP3047860U (ja) * 1995-10-30 1998-04-28 純江 齋藤 ほこりとり付き、ホーキカバー
JP2002199939A (ja) 2000-12-28 2002-07-16 Lion Corp ブラシ用毛先研磨ディスク及びこれを用いたブラシの毛先研磨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2008126922A (ja) * 2006-11-24 2008-06-05 Kowa Co Ltd 洗車ブラシ及び洗車装置
JP3145213U (ja) 2008-07-17 2008-10-02 理研計器株式会社 ガス検出器用妨害ガス除去フィルター
KR20100002249U (ko) * 2008-08-22 2010-03-04 김태열 브러쉬 겸용 밀대 걸레
JP2017000762A (ja) * 2015-06-08 2017-01-05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1183B2 (ja) * 1991-07-10 1996-12-04 花王株式会社 棒状体トリミング装置
JP3047860B2 (ja) 1997-06-26 2000-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223A (ja) 1993-12-06 1995-06-20 Sunstar Inc 歯ブラシの倒毛抜き装置及び歯ブラシの製造方法
JP3047860U (ja) * 1995-10-30 1998-04-28 純江 齋藤 ほこりとり付き、ホーキカバー
JP2002199939A (ja) 2000-12-28 2002-07-16 Lion Corp ブラシ用毛先研磨ディスク及びこれを用いたブラシの毛先研磨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2008126922A (ja) * 2006-11-24 2008-06-05 Kowa Co Ltd 洗車ブラシ及び洗車装置
JP3145213U (ja) 2008-07-17 2008-10-02 理研計器株式会社 ガス検出器用妨害ガス除去フィルター
KR20100002249U (ko) * 2008-08-22 2010-03-04 김태열 브러쉬 겸용 밀대 걸레
JP2017000762A (ja) * 2015-06-08 2017-01-05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175793A1 (ja) 2019-04-11
KR102343609B1 (ko) 2021-12-27
CN109068844A (zh) 2018-12-21
CN109068844B (zh) 2020-06-12
JP6872531B2 (ja) 2021-05-19
WO2017175793A1 (ja)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2357B2 (en) Mold with weakened areas
JP6892388B2 (ja) ブラシヘッド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71310B1 (ko) 칫솔
TWI327898B (en) Needle-shaped brist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116245A (ko) 칫솔
US20120180804A1 (en) False eyelashes
KR20180130486A (ko) 모 제거 방법, 모 제거 장치, 칫솔 제조 방법, 및 칫솔 제조 장치
KR101678715B1 (ko) 식모 장치
JP5551395B2 (ja) カニューレ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522006A (ja) ヘアケア装置
US20140350575A1 (en) Hair removal sheet
JP2018134394A (ja) ねじりブラシ、ねじりブラシ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ねじりブラシ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JP3254424B2 (ja) 手入れ用くし
KR20140063571A (ko) 칫솔용 모, 그 제조 방법 및 칫솔
TW201728285A (zh) 打薄剪
KR101046466B1 (ko) 라운드 칫솔모 가공방법
WO2020138331A1 (ja) 歯間清掃具
KR200473794Y1 (ko) 손톱 소제용 브러시
JP2015116411A (ja) 歯ブラシ
WO2018043249A1 (ja) 歯ブラシの製造方法
JP6943541B2 (ja) 歯ブラシ
KR102182962B1 (ko) 헤드부를 구비한 의료용 실
KR101887771B1 (ko) 인조속눈썹 및 그 제조 방법
JP4887008B2 (ja) 繊維の形状において直線状と波のような形状を混在させたものを使用した塗布具
JP6276455B2 (ja) 歯磨き具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