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466A - 시스템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광고 노출 방법, 상기 광고 노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시스템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광고 노출 방법, 상기 광고 노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466A
KR20180130466A KR1020180113214A KR20180113214A KR20180130466A KR 20180130466 A KR20180130466 A KR 20180130466A KR 1020180113214 A KR1020180113214 A KR 1020180113214A KR 20180113214 A KR20180113214 A KR 20180113214A KR 20180130466 A KR20180130466 A KR 20180130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affiliate
exposure
area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이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재 filed Critical 이영재
Priority to KR102018011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466A/ko
Publication of KR20180130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제휴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되되, 외부의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가 제공되도록 구현된 광고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 모듈은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광고 노출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광고 노출 신호에 포함된 광고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광고 정보에 따른 시각적 데이터를 표시하는 광고 영역과 상기 제휴 서비스 및 상기 제휴 서비스의 카테고리에 따라 변경되는 제휴사 영역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구현된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광고 컨텐츠를, 시스템 상태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알림바 영역을 통해 출력하도록 구현된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시스템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광고 노출 방법, 상기 광고 노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USER TERIMINAL, METHOD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THROUGH A SYSTEM AREA AND COMPUTER PROGRAM}
본 실시예는 시스템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광고 노출 방법, 상기 광고 노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무선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무선 단말기를 매개로 하여 각종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방법이 관심을 끌고 있다.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콘텐츠 정보 제공 방식에는 단문 서비스 또는 음성 메시지를 이용한 광고 방식이 있다.
이러한 광고 방식은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광고 내용을 무선망 사업자가 다수의 무선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무선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광범위하게 광고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브로드캐스팅 방식은 정보 전달 방법으로는 바람직하지만, 광고 등의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하는 데에는 그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광고의 대상이 불특정 다수이며, 무선 단말기로 광고가 수신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무시하고 곧바로 광고 내용을 삭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광고가 실구매 등의 행위로 연결되기 어렵다는 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텐츠의 광고 내용을 무선 단말기의 배경 화면으로 구성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를 간단히 조작함에 의해 배경화면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고 모듈이 포함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된 후, 광고 서버에 의해 제공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광고 노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고 모듈이 내포된 제휴 애플리케이션들로 연결되는 제휴사 영역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광고 노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입력과 무관하게 광고 컨텐츠가 롤링되어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 광고 노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제휴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되되, 외부의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가 제공되도록 구현된 광고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 모듈은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광고 노출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광고 노출 신호에 포함된 광고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광고 정보에 따른 시각적 데이터를 표시하는 광고 영역과 상기 제휴 서비스 및 상기 제휴 서비스의 카테고리에 따라 변경되는 제휴사 영역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구현된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광고 컨텐츠를, 시스템 상태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알림바 영역을 통해 출력하도록 구현된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제어부는 알림바 노출 신호가 감지된 이후에, 상기 광고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가 주기적으로 롤링되면서 제공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복수의 제휴 애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된 경우, 상기 복수의 제휴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태, 사용 빈도, 활성화 상태, 최근 사용 시점, 설치된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선택된 하나의 제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광고 모듈 만을 활성화시키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휴사 영역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페이지로의 접근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 노출 시스템은 제휴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되되, 광고 정보 및 상기 제휴 서비스를 기초로 생성된 광고 컨텐츠를 알림바 영역을 통해 제공하도록 구현된 광고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공된 광고 컨텐츠에 대해서 발생한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리워드를 제휴사의 계정 및 광고사의 계정으로 분배하는 광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배포 서버로부터 제휴 서비스 및 광고 노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 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 노출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광고 노출 신호에 포함된 광고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광고 정보에 따른 시각적 데이터를 표시하는 광고 영역과 상기 제휴 서비스 및 상기 제휴 서비스의 카테고리에 따라 변경되는 제휴사 영역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알림바 노출 신호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를 알림바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롤링시켜 출력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휴사 영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페이지로의 접근이 가능한 링크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광고 노출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광고 모듈이 포함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된 후, 광고 서버에 의해 제공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광고 노출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광고 모듈이 내포된 제휴 애플리케이션들로 연결되는 제휴사 영역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광고 노출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입력과 무관하게 광고 컨텐츠가 롤링시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 및 광고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저장 매체의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 모듈의 블록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들에 따라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의 일 예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은 광고 서버(100), 사용자 단말(201, 202, 203, 이하 200), 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서버(100)는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시스템 영역, 예를 들어 알림바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광고 모듈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휴 애플리케이션은 광고 모듈을 포함하여 배포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는 일반적인 광고를 포함하며 광고로 연결될 수 있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컨텐츠는 광고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페이지로의 주소 및 링크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서버(100)는 광고 모듈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 노출되어야 하는 광고와 대응되는 광고 노출 신호를 전송한다. 광고 노출 신호는 광고 정보, 링크 또는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광고 정보, 링크 또는 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제휴사의 식별 코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광고 서버(100)는 광고 컨텐츠의 제공 이후에 광고 영역에 발생한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광고 서버(100)는 인지된 이벤트와 대응되는 후속 처리를 한다. 후속적으로, 이벤트에 상응하는 리워드가 제휴사의 계정 및 광고사의 계정으로 분배될 수 있다. 이때, 인지된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클릭 정보 값 또는 이벤트의 완료 여부에 해당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벤트와 대응되는 리워드는 이벤트 통계를 기초로 제휴사의 계정 및 광고사의 계정으로 분배될 수 있다. 발생된 이벤트의 수에 따라 제휴사 또는 광고사로 리워드가 분배되는 비율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시스템 영역, 예를 들어 알림바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200)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잠금 화면에 제공되기도 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광고 서버로부터의 광고 노출 신호 및 이를 수신한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상기 광고 영역 및 제휴사 영역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제공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함수(웹 브라우저의 실행, 특정 페이지의 제공 등)가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의 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프로 파일링, 예를 들어 쿠키 정보,을 기초로 광고 컨텐츠가 변경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광고 영역을 통해 인지 또는 감지된 이벤트를 외부의 서버(예, 광고 서버)로 전달하기도 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제휴사 영역을 통해 인지 또는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서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고 컨텐츠가 제휴사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와 상관없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제휴 애플리케이션이 노출되는 제휴사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휴사 영역을 통해 제휴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이후에 활성화 빈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0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망(300)을 통해 광고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통신망(300)은 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30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0)은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고 서버(100) 각각은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망(300)을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00)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 서버(100)에 접근하여 기설정된 서비스(일례로, 메시징 서비스,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 게임 서비스, 금융 서비스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서버(100)는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들(200) 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라우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201) 및 광고 서버(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예로서 제1 사용자 단말(201), 및 광고 서버(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사용자 단말들(202, 203)은 사용자 단말(201)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1)과 광고 서버(100)는 저장매체(110, 210), 프로세서(120, 220), 통신 인터페이스(130, 230),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매체(110, 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매체(110, 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제1 사용자 단말(201)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저장매체(110, 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130, 230)을 통해 저장매체(110, 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광고 서버(100))이 통신망(30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저장 매체(110, 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 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저장 매체(110, 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30, 230)에 의해 프로세서(120, 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 220)는 저장 매체(110, 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 230)은 통신망(30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1)과 서버(1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단말(일례로 제2 사용자 단말(202))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프로세서(120)가 저장 매체(1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광고 서비스를 위한 요청)이 통신 인터페이스(13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300)를 통해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00)의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20)과 통신망(300)를 거쳐 제1 사용자 단말(201)의 통신 인터페이스(230)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1)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30)을 통해 수신된 광고 서버(10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120)나 메모리(110)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제1 사용자 단말(201)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00)나 제2 사용자 단말(202)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1) 및 광고 서버(1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201)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사용자 단말(201)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제1 사용자 단말(201)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저장 매체(210)의 구조를 설명하겠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애플리케이션과 별도로 광고 모듈(2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모듈(212)은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에 저장될 수 있다. 광고 서버를 통해 등록된 제휴사 애플리케이션은 광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변경,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광고 모듈(212)은 광고 서버를 통해 등록된 제휴 애플리케이션과의 신호 교환을 통해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광고 모듈(212)은 광고 서버를 통해 등록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지 않는다. 광고 모듈(212)은 광고 서버에 등록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신호, 미리 설정된 규약에 따른 신호 만을 처리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 모듈의 블록도들이다.
여기서, 광고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는 광고 서버와의 통신으로 획득된 컨텐츠를 포함하고, 제휴사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제휴 서비스, 로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영역 및/또는 제휴사 영역의 레이아웃은 광고 서버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의 레이아웃은 광고 서버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4a는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별도의 영역에 저장된 광고 모듈(212)에 관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광고 모듈(212)은 컨텐츠 생성부(2121) 및 표시 제어부(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121)는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별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광고 노출 신호를 판독하여, 광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121)은 광고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 컨텐츠는 수신된 광고 정보에 포함된 랜딩 페이지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수신된 광고 정보에 포함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페이지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 컨텐츠는 메인 페이지에 제공되는 컨텐츠들을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그래픽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알림바의 일 영역을 구성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는 광고 노출 신호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따라 노출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광고 노출 신호를 기초로 획득한 노출 위치, 노출 주기, 노출 간격 등에 따른 노출 방식으로 노출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광고 모듈이 탑재된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접근이 가능한 링크들을 포함하는 제휴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휴사 영역은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활성화 시키는 아이콘을 포함하거나 각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대표하는 링크(예, 검색어 입력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휴사 영역은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의 제어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제공된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출처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처 표시 영역은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대응되는 이미지, 로고, 형상, 색상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출처 표시 영역은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연상시키는 특정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단말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거될 수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광고 컨텐츠는 광고 서버로부터의 제거 신호 또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삭제에 따라서만 제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휴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별도로 존재하는 컨텐츠 생성부(2121)는 선별 기준을 기초로 광고 컨텐츠의 소스(source)를 제공하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선별 기준은 활성화 여부, 설치 날짜, 사용 빈도, 최근 사용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 빈도가 낮은 애플리케이션의 노출 횟수를 늘리는데 목적이 있다. 예를 들어, 최근의 활성화 시점이 가장 빠른 제휴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제휴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설치 날짜가 가장 앞선 제휴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선별 기준은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설정된다. 선별 기준은 누적 사용자 입력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사용 등과 관련되어 설정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121)는 외부의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노출 신호를 판독하여 회득된 광고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정보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신되며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거쳐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 생성부(2121)은 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광고 컨텐츠를 변경하기도 한다. 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검색 이력, 방문 이력, 클릭,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메시지,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121)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입력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121)는 설치된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121)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사용 빈도, 활성화 상태, 최근 사용 시점, 설치된 날짜 등을 기초로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배치하게 된다. 컨텐츠 생성부(2121)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가 낮은 순으로 배치하거나, 최근 사용 시점이 빠른 순서로 배치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121)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된 날짜가 늦거나 빠른 순서로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제휴사 영역이 노출됨에 따라 미사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제휴사 영역을 통해 설치되었지만 자주 사용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유도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12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휴사 영역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드래그 입력, 아이콘을 삭제하는 입력 등에 따라 컨텐츠 생성부(2121)는 제휴사 영역의 아이콘의 표시 순서, 아이콘의 종류 및/또는 아이콘의 표시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컨텐츠 생성부(2121)는 광고 컨텐츠의 출처와 관련된 표시 영역을 더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121)는 광고 컨텐츠 또는 제공한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출처와 관련된 표시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다. 출처와 관련된 표시 영역에는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출처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출처 컨텐츠는 제휴사에 의해 미리 등록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2122)는 광고 서버로부터의 광고 노출 신호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알림바의 표시, 출력, 제공과 상관 없이 광고 컨텐츠가 알림바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현된다. 알림바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일반적인 메시지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는 소리, 진동 등의 알람 등이 없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입출력 제어부(2122)는 광고 컨텐츠의 노출 방식을 변경하기도 한다. 입출력 제어부(2122)는 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광고 컨텐츠의 노출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2122)는 노출 시점에 따라 광고 컨텐츠, 광고 컨텐츠의 제휴사 영역을 변경시킨다. 광고 컨텐츠 자체, 제휴사 영역에 포함된 아이콘들의 순서 및/또는 표시 형태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2122)는 광고 컨텐츠에 의해 인지 또는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광고 서버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입력은 선택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인지 또는 감지된 사용자 입력은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또는 제휴사의 계정으로 연결지어 처리된다. 인지 또는 감지된 사용자 입력의 응답으로, 입출력 제어부(2122)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다른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고 모듈(212)은 광고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프레임 영역에 광고 컨텐츠를 전달(delivery)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출력 제어부(2122)는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광고 노출을 위해 할당된 영역에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광고 컨텐츠의 노출 방식은 할당된 영역에 부여된 속성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화면에 노출되도록 설정된 광고 컨텐츠는 잠금 화면의 원래 속성과 같이, 사용자 단말의 상태가 잠금 일 때에만 제공될 수 있다. 잠금 화면이 해제되면, 상태가 반영되어 광고 컨텐츠의 제공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의 위젯으로 노출되도록 설정된 광고 컨텐츠는 홈 화면의 다른 아이콘들과 같이 사용자 단말의 상태가 일반일 때에만 제공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모듈(212a, 212b)는 컨텐츠 생성부(2121a), 입출력 제어부(2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121a)는 설치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121a)는 해당 제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 컨텐츠는 수신된 광고 정보에 포함된 랜딩 페이지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페이지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메인 페이지에 제공되는 컨텐츠들을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에 포함된 그래픽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알림바의 일 영역을 구성하도록 설정된다.
제휴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 생성부(2121a) 역시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수 만큼 복수개가 될 수 있다. 복수의 컨텐츠 생성부(2121a)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 생성부(2121a)에 의해서만 광고 컨텐츠가 생성될 수도 있다. 또는 컨텐츠 생성부(2121a)들은 각자 개별적으로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되, 선택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생성된 광고 컨텐츠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2121a)는 활성화된 광고 모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광고 모듈들은 활성화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광고 모듈은 활성화되고, 나머지 광고 모듈은 비활성화된다. 동시에 하나의 광고 모듈만이 활성화된다. 활성화 시키는 광고 모듈을 선택하는 기준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컨텐츠 생성부(2121a)는 광고 컨텐츠의 출처와 관련된 표시 영역을 더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121a)는 광고 컨텐츠의 소스를 제공한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출처와 관련된 표시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다. 출처와 관련된 표시 영역에는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출처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출처 컨텐츠는 제휴사에 의해 미리 등록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2122a)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 빈도가 낮은 애플리케이션의 노출 횟수를 늘리는데 목적이 있다. 예를 들어, 최근의 활성화 시점이 가장 빠른 제휴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제휴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설치 날짜가 가장 앞선 제휴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2122a)는 각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모듈의 활성화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활성화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모듈 만이 동작하게 된다. 즉, 활성화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모듈에 의해서만 광고 컨텐츠가 생성된다.
입출력 제어부(2122a)는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와 관련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2122a)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사용 빈도, 활성화 상태, 최근 사용 시점, 설치된 날짜 등을 기초로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배치하게 된다. 입출력 제어부(2122a)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가 낮은 순으로 배치하거나, 최근 사용 시점이 빠른 순서로 배치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2122a)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된 날짜가 늦거나 빠른 순서로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제휴사 영역이 노출됨에 따라 미사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제휴사 영역을 통해 설치되었지만 자주 사용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노출이 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1122a)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휴사 영역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1122a)는 제휴사 영역의 아이콘의 표시 순서, 아이콘의 종류 및/또는 아이콘의 표시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1122a)는 광고 서버로부터의 광고 노출 신호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알림바의 표시, 출력, 제공과 상관 없이 광고 컨텐츠가 알림바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현된다. 알림바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일반적인 메시지와 달리 소리, 진동 등의 알람 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입출력 제어부(1122a)는 광고 컨텐츠의 노출 방식을 변경하기도 한다. 입출력 제어부(1122a)는 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광고 컨텐츠의 노출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푸시 메시지에 대한 반응도가 낮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광고 컨텐츠의 노출 우선순위를 낮게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푸시 메시지에 대한 반응도가 높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광고 컨텐츠의 노출 우선순위를 높게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1122a)는 노출 시점에 따라 광고 컨텐츠, 광고 컨텐츠의 제휴사 영역을 변경시킨다. 광고 컨텐츠 자체, 제휴사 영역에 포함된 아이콘들의 순서 및/또는 표시 형태 등이 변경될 수 있다. 각 제휴 서비스에 따라서 표시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휴사 영역을 통해 검색 서비스에 대해서는 키워드 입력이 제공되거나 쇼핑 서비스에 대해서는 개별 구매 상품이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1122a)는 광고 컨텐츠에 의해 인지 또는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광고 서버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입력은 선택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인지 또는 감지된 사용자 입력은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또는 제휴사의 계정으로 연결지어 처리된다. 인지 또는 감지된 사용자 입력의 응답으로, 입출력 제어부(113)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다른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고 모듈(212a, b)은 광고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프레임 영역에 광고 컨텐츠를 전달(delivery)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출력 제어부(2122a)는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광고 노출을 위해 할당된 영역에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광고 컨텐츠의 노출 방식은 할당된 영역에 부여된 속성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화면에 노출되도록 설정된 광고 컨텐츠는 잠금 화면의 원래 속성과 같이, 사용자 단말의 상태가 잠금 일 때에만 제공될 수 있다. 잠금 화면이 해제되면, 상태가 반영되어 광고 컨텐츠의 제공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의 위젯으로 노출되도록 설정된 광고 컨텐츠는 홈 화면의 다른 아이콘들과 같이 사용자 단말의 상태가 일반일 때에만 제공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들에 따라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의 일 예들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광고 서버의 제어에 의해 광고 영역 및 제휴사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영역은 수신된 노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생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제휴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광고 서버의 협력으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제휴 애플리케이션 및 광고 서버로부터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다양한 영역(알림바, 잠금 화면, 홈 화면 등)에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노출 방식과 관련된 파라미터(노출 우선순위, 노출 방식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해당 광고 컨텐츠의 우선순위 보다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컨텐츠의 상단에 위치하며, 해당 광고 컨텐츠의 우선순위 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컨텐츠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노출 방식이 동일한 컨텐츠들(이메일, 수신된 문자 등)과 함께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의 노출과 관련된 우선순위 값은 광고 서버에 의해 설정되는데, 광고 컨텐츠를 등록한 광고주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기도 한다. 광고 컨텐츠의 최상단 노출의 횟수는 광고 컨텐츠의 노출 우선순위 값의 조절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광고 영역(51)은 특정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기 전에는 활성화되지 않다가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광고 영역(51)은 광고 서버와 관련된 광고주의 마케팅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제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를 제휴사 영역(52)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제휴사 영역(52)은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페이지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제휴사 영역(52)은 제휴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마케팅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다. 광고 영역(51) 및/또는 제휴사 영역(52)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따라 노출 방식 등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화면이 제공되기도 한다. 제공된 화면은 광고 컨텐츠의 노출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옵션, 광고 컨텐츠의 노출을 영구적으로 중지하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휴사 영역(52)은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검색 서비스와 연동되는 검색 키워드 입력 창 일 수 있다. 이때, 검색 키워드 입력 창은 실시간 검색된 키워드의 순위를 고려하여 선택된 키워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휴사 영역(53)은 복수의 제휴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마케팅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다.
광고 영역(51)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는 실시간으로 롤링,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시간 구간에는 제1 컨텐츠가 제공되다가 제2 시간 구간에서는 제2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51)는 실시간 성으로 변경되며, 현재의 뉴스, 사건, 이슈, 키워드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은 복수의 제휴 애플리케이션들에 포함된 광고 모듈을 통해 생성된 광고 컨텐츠를 알림바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S11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은 광고 서버(100)로부터 광고 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12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광고 노출 신호를 판독하여 획득된 광고 정보 및 상기 광고 노출 신호에 대한 처리 권한을 가지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광고 영역 및 제휴사 영역을 내포한다. 광고 노출 신호에 대한 처리 권한은 하나의 제휴 애플리케이션에게만 주어진다. 만약, 광고 노출 신호에 대한 처리 권한을 가진 제휴 애플리케이션이 삭제될 경우, 다른 제휴 애플리케이션에게 처리 권한이 부여된다. 처리 권한이 없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은 광고 서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만,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지는 않는다.
S13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은 알림바 영역을 통해 상기 광고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설정한다. 여기서, 알림바 영역은 운영체제에 의해 푸시 메시지가 제공되도록 구현된 영역일 수 있다. 알림바 영역은 인디케이터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서 알림바 영역의 실제 노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는 푸시 메시지 또는 광고 노출 신호의 수신 시기와 무관하게 최상단으로 유지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는 광고 컨텐츠 또는 푸시 메시지의 수신, 삭제, 확인 등의 과정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알림바 영역에 대한 노출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게 된다.
선택적으로, 광고 서버로부터의 푸시 알림에 의해 별도의 알림이 발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푸시 메시지를 통해 별도의 알림이 발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알림바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는 절차를 설명하겠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의 상태를 고려하여 알림바 영역 또는 알림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잠금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S21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은 알림바 노출 신호, 즉 알림바를 노출시키도록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S220에서는 알림바 노출 신호가 감지되면, 광고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가 주기적으로 롤링되면서 광고 컨텐츠가 제공된다.
이때, 광고 영역에 대한 이벤트는 추가적인 리워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S23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은 광고 영역에 대한 이벤트를 수집한다. 만약, 광고 영역에 대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감지된 이벤트와 대응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광고 서버로 전송된다(S240).
광고 서버(100)는 데이터를 통해 이벤트를 추출하고, 이벤트와 상응하는 리워드를 사용자 또는 제휴사의 계정으로 적립시킨다.
광고 노출 신호에 대한 처리 권한은 광고 서버(100)에 의해서 부여되거나 광고 모듈들 간의 상호 작용으로 부여될 수 있다. 광고 모듈들은 사용 빈도, 설치된 시점, 현재 활성 여부 등을 기초로 하나의 광고 모듈에게 광고 노출 신호에 대한 처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해당 처리 권한과 대응되는 파라미터가 on, 1, TRUE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200)은 광고 노출 신호에 대한 처리 권한을 가지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제휴 애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0)은 설치된 광고 모듈이 복수 개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복수 개의 광고 모듈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 개의 광고 모듈들 중, 기준에 따른 제1 광고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S330). 여기서, 기준은 설치 날짜, 사용 빈도, 활성화 상태, 최근 사용 여부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 날짜가 가장 최신인 제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광고 노출이 제어될 수 있다.
만약, 복수 개의 광고 모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0)은 광고 모듈에 의해 생성된 광고 컨텐츠를 그대로 노출하도록 설정한다(S320).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된 제1 광고 모듈에 의해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340). 사용자 단말(200)은 광고 컨텐츠를, 운영체제에 의해 제공되는 알림바 영역을 통해 노출시킨다(S350).
제1 광고 모듈의 삭제, 변경, 업데이트 등과 같은 상태 변경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제1 광고 모듈의 후순위에 해당하는 제2 광고 모듈을 선택한다(S370). 사용자 단말(200)은 제2 광고 모듈에 의해,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광고 컨텐츠를 노출 시킨다(S380).
상기와 같이, 제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광고 모듈을 통해 광고 컨텐츠가 생성될 때, 사용자 단말(200)은 생성된 광고 컨텐츠 중 하나의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고 모듈들에 의해 각각 생성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이 모두 알림바 영역을 통해 노출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롤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광고 서버
201, 202, 203: 사용자 단말
300: 통신망

Claims (5)

  1. 제휴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
    외부의 광고 서버를 통해 등록된 제휴 애플리케이션과의 신호 교환을 통해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구현되는 광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과는 별개의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광고 서버를 통해 등록되지 않은 제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지 않고, 상기 광고 서버에 등록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소정의 선별 기준으로 선택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광고 노출 신호를 판독하여, 광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광고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상기 광고 노출 신호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따른 노출 위치, 노출 주기, 노출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노출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노출 방식으로 알림바 영역을 통해 출력하도록 구현된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제어부는
    알림바 노출 신호가 감지된 이후에, 상기 광고 컨텐츠의 일 영역인 광고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가 주기적으로 롤링되면서 제공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복수의 제휴 애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된 경우,
    상기 복수의 제휴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태, 사용 빈도, 활성화 상태, 최근 사용 시점, 설치된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선택된 하나의 제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광고 모듈 만을 활성화시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4.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과 별개의 영역에 저장된 광고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광고 노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등록되지 않은 제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지 않고,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광고 모듈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휴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소정의 선별 기준으로 선택된 제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광고 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 노출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광고 노출 신호에 포함된 광고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광고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광고 노출 신호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따른 노출 위치, 노출 주기, 노출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노출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노출 방식으로 알림바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노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일 영역인 광고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롤링시켜 출력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방법.
KR1020180113214A 2018-09-20 2018-09-20 시스템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광고 노출 방법, 상기 광고 노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130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214A KR20180130466A (ko) 2018-09-20 2018-09-20 시스템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광고 노출 방법, 상기 광고 노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214A KR20180130466A (ko) 2018-09-20 2018-09-20 시스템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광고 노출 방법, 상기 광고 노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387 Division 2017-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466A true KR20180130466A (ko) 2018-12-07

Family

ID=6466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214A KR20180130466A (ko) 2018-09-20 2018-09-20 시스템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광고 노출 방법, 상기 광고 노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4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5074B2 (en) Extending mobile applications to the lock screen of a mobile device
US20180211295A1 (en) Application Purchasing
CN107820701B (zh) 开发者交换系统
KR102299427B1 (ko) 사용자의 할일 목록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56642B1 (ko) 대화방 임베디드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5993075B1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装置および配信装置
US20160098753A1 (en) Monitoring an application on a processing device and generating rewards
US20160239171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istribution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091538B1 (ko) 수익을 창출하는 채색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7228169A (ja) ウエブ訪問者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
KR102163087B1 (ko) 리워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130466A (ko) 시스템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광고 노출 방법, 상기 광고 노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05017A (ko) 관심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818783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2017059225A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配信装置
KR101888938B1 (ko) 정보 데이터에 대한 주목도 향상을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0042636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6576532B1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US10574768B1 (en) Automatic browser inactivity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6664590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装置、及び配信装置
JP2023080641A (ja) 表示プログラム、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23080860A (ja) 通知プログラム、通知装置及び通知方法
KR20220107412A (ko) 커뮤니티 관계를 확대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30132159A (ko) 스마트 기기의 앱으로 출력되는 광고를 위한 관심 광고 저장 서비스 제공 방법
CN117083607A (zh) 用于基于应用元数据生成查询和响应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