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401A - Rice cooker using wased rice - Google Patents

Rice cooker using wased r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401A
KR20180130401A KR1020170066442A KR20170066442A KR20180130401A KR 20180130401 A KR20180130401 A KR 20180130401A KR 1020170066442 A KR1020170066442 A KR 1020170066442A KR 20170066442 A KR20170066442 A KR 20170066442A KR 20180130401 A KR20180130401 A KR 20180130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unit
cleaning
wat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4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7837B1 (en
Inventor
기현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837B1/en
Publication of KR20180130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4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8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sy rice cooker using washed rice which allows a user to easily cook rice using washed rice. The easy ric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a washing water capsule and on a cooking water capsule, and selects a cooking mode suitable for the kind of rice and water to be operated. Additionally, the easy rice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adjust the time of the washed water being soaked in cooking water to control the time of soaking rice before cooking, and also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rice soaking time even at the time of scheduled cooking.

Description

세척미를 이용한 간편 취사장치{RICE COOKER USING WASED RICE}[0001] RICE COOKER USING WASED RICE [0002]

본 발명은 밥을 짓기 위한 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된 쌀인 세척미를 투입하여 간편하게 취사가 가능하도록 한 간편 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device for cooking r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mple cook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cooked by putting washing rice as cleaned rice.

소형 가구의 급속한 증가와 불규칙한 식습관이 보편화된 현대의 식생할 문화로 인하여 간편 조리 관련 가전 제품의 개발과 보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Due to the rapid increase in small size furniture and the cultivation of modern vegetation with irregular eating habits,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home appliances related to simple cooking are rapidly increasing.

이에 따라 주방에서 사용되는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밥솥, 가스레인지 등의 주방용 가전 제품이 다양한 기능과 용도로 산업 각계에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점차 관련 제품 시장이 다변화되며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쌀을 주식으로 하는 아시아 국가들은 밥솥을 주방 필수품으로 여기고 있다.As a result, kitchen appliances such as microwave ovens, dishwashers, rice cookers, and gas ranges used in kitchen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in various fields in various functions and applications, and the related product market is gradually diversified and rapidly growing . In particular, Asian countries that have rice stocks regard the rice cooker as a necessity for the kitchen.

그러나, 현재까지의 밥솥은 사용자가 쌀을 씻고 쌀의 분량에 맞는 물을 담고, 원하는 밥의 종류를 선택하여 동작시키는 방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However, up to now, the rice cooker has not largely deviated from the method of washing the rice, holding wate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rice, and selecting and operating the desired rice type.

일반 가정에서 조리하는 미곡밥은 소수인원 분량의 보온밥통에서부터 대용량의 밥솥에 의해 다양하게 조리되며, 밥을 짓는 사람이나 기온 등의 영향에 의해 밥맛이 일정하지 않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Rice rice cooked in ordinary households is cooked variously by a small amount of rice cooker from a rice cooker of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the taste of rice has a certain limit due to influence of people who cook rice or temperature.

또한, 최근 들어 핵가족화, 결혼 연령의 증가, 수명 증가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due to nuclear family, increase in marriage age, and increase in life expectancy.

1인 가구의 경우 밥을 짓기 위하여 쌀을 씻고, 매번 다시 설거지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집에서 밥을 지어먹기 보다는 외식이나 배달 음식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In the c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t is often the case that rice is washed out to build rice, and that the necessity of washing dishes every time is dependent on eating out or delivering food rather than eating rice at home.

물론, 지어진 밥을 특수하게 처리하고 밀봉하여 데워서 먹을 수 있도록 한 즉석밥 제품도 보급되고 있으나, 이러한 즉석밥 제품의 경우에도 갓 지은 밥맛에 미치지 못하며, 오래된 밥이라는 인식으로 인하여 이를 꺼리는 사람들도 많다.Of course, ready-to-eat rice products that have been specially processed and sealed to heat and cook have also been introduced. However, even those instant-rice products do not satisfy the taste of freshly cooked rice.

본 발명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1인 가구 또는 소형 가구에서 간편하게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세척미를 이용한 취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cooking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that can easily cook rice from a single person or small furnitur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쌀을 씻거나 물을 맞추는 작업을 하지 않고 간편하게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간편 취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cooking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cook rice without washing rice or wat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쌀(세척미)의 종류와, 취사수의 종류를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선택하여 다양한 밥을 지을 수 있는 간편 취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cooking device capable of selecting various types of rice (washed rice) and kinds of cooked rice according to the taste of a user and cooking various r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쌀(세척미)의 종류를 식별하여 쌀(세척미)의 종류에 맞는 취사 모드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쌀의 종류에 적합한 취사 모드로 동작되는 간편 취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cooking device which operates in a cooking mode suitable for the kind of rice by allowing the cooking mode to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rice (washing rice) by identifying the kind of rice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약 취사시에도 쌀(세척미)이 취사수에 불려지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품질의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간편 취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cooking device which can cook rice of a predetermined quality by controll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rice (washing rice) is called as the cooking water even during the reservation cooking.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는 세척미가 저장되는 세척미 저장부와, 취사수 용기가 장착되는 취사수 용기 장착부와, 세척미와 취사수가 투입되는 가열솥과, 가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세척미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미를 가열솥으로 투입하는 세척미 투입 조절부와, 취사수 용기에 담겨진 취사수를 가열솥으로 투입하는 급수 조절부와, 세척미 투입 조절부와 급수 조절부와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 장치는 제어부가 세척미의 투입 시점 및 투입량 및 취사수의 투입시점과 투입량을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쌀을 씻고 물을 맞추는 작업을 하지 않고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mpl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washing / non-storing section for storing washing utensils; a cooking water container mounting section for mounting the cooking water container; A water supply control unit for supplying the cooking water contained in the cooking water container into the heating pot, a water non-supply control unit, and a water supply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The simpl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time of input of the washing rice, the input time and the input amount of the rice water, and thus the rice can be cooked without the user washing the rice and adjusting the water.

세척미 저장부를 대신하여, 세척미 용기 장착부가 구비되어 세척미 용기가 세척미 저장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nstead of the non-cleaning storage section, a cleaning non-container mounting section may be provided to allow the cleaning non-storage section to function as a cleaning non-storage section.

또한, 취사수 용기 장착부를 대신하여 취사수 저장부가 구비되어, 취사수 저장부에 사용자가 취사수를 보충하며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oking water storage portion may be provided in place of the cooking water storage container mounting portion, so that the user may supplement the cooking water storage portion with the cooking water.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는 세척미 용기와 취사수 용기에 구비된 식별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코드 리더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것으로 적절한 취사 모드가 선택되어 동작할 수 있다.The simpl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shing machine and a code reader for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code provided in the cooking utensil.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code without additional operation of the user, Can be selected and operated.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는 세척된 쌀인 세척미를 이용하여 밥을 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쌀을 씻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The simpl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rice using the washed rice rice so that the user can cook the rice without performing troublesome work of washing the rice.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세척미와 취사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취하양에 맞는 다양한 맛의 밥을 간편하게 지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variety of kinds of washing rice and cooking wat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ok rice of various flavors suited to the amount of rice to be sie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는 쌀의 종류와 취사수의 종류를 식별하여 그에 적합한 취사 모드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조작 실수로 인하여 적절한 취사 모드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impl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type of rice and the type of cooked rice so that a cooking mode suitable for the type of rice can be operated, thereby failing to operate in a proper cooking mode due to a user's inoperabilit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duc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는 세척미가 가열솥에 투입되는 시점과, 취사수가 가열솥에 투입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어서 예약 취사시에도 쌀이 취사수에 불려지는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예약 취사시간이 장시간이 되는 경우에 쌀이 일정한 불려진 상태에서 취사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일정한 품질의 밥을 지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simpl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time at which the cleaning rice is introduced into the heating pot and the time at which the cooking water is fed into the heating pot, the time during which the rice is called the cooking rice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The coo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rice is constantly called when the reserved cooking time is prolonged, so that it is possible to cook rice of a certain qua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의 가열부가 인출되고, 상부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의 취사수병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simpl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heating device of the simpl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op cover being opene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oking water supply mounting portion of the simpl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mpl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impl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mpl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simpl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mpl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prelimi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shall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미를 이용한 간편 취사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simple cooking apparatus us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척미를 이용한 간편 취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의 가열부가 인출되고, 상부 덮개가 개방되어 세척미 저장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척미를 이용한 간편 취사장치의 취사수 용기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척미를 이용한 간편 취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imple cooking device using a cleaning r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heating device of a simpl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oking water container mounting portion of the simple cooking apparatus using the washing r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mple cooking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100-1)는 세척된 쌀이 밀봉된 세척미 용기(10)와 취사수가 담겨진 취사수 용기(2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한 실시에의 경우 세척미 용기(10)가 파우치 형태를 가진 것을 나타냈으나, 세척미 용기(10)는 병의 형태 또는 캡슐 형태로 포장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imple cooking apparatus 10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ok cooked rice using the rice washing vessel 10 sealed with the washed rice and the cooking water vessel 20 containing the cooking water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optical disc.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ntreated container 10 has a pouch shape, but the untreated container 10 may be packaged in the form of a bottle or a capsul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100-1)는 세척미 투입 조절부(110)와, 세척미 저장부(115)와, 가열부(120)와, 조작 스위치부(130)와, 디스플레이부(135)와, 급수 조절부(140)와, 취사수 용기 장착부(145)와, 코드 리더부(150)와, 제어부(160)를 포함한다.The simple cooking apparatus 10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non-supply regulating unit 110, a cleaning non-storage unit 115, a heating unit 120, an operation switch unit 130, A display unit 135, a water supply control unit 140, a water supply container mounting unit 145, a code reader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0.

세척미 저장부(115)는 세척미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세척미 저장부(115)는 상부 덮개(102)를 개방하면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 덮개(102)를 닫으면 세척미 저장부(115)가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보관중인 세척미에 먼지 등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unwashing storage portion 115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wastewater is stored. When the upper lid 102 is opened,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upper lid 102 is closed, the non-cleaning storage part 115 can be closed. This is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washing machine.

세척미 투입 조절부(110)는 세척미를 저장하고, 저장된 세척미를 가열부(120)의 가열솥(125)으로 투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척미 투입 조절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취사할 양의 세척미를 가열부(120)의 가열솥(125)으로 투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인분을 선택하는 경우 1인분에 해당하는 양의 세척미가 가열솥(125)으로 투입되며, 2인분을 선택하는 2인분에 해당하는 양의 세척미가 가열솥(125)으로 투입된다.The non-cleaning adjusting unit 110 stores the cleaning beauty and puts the stored cleaning beauty into the heating pot 125 of the heating unit 120. The non-cleaning control unit 110 applies cleaning water to be cooked to the heating pot 125 of the heat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one serving, the amount of washing water corresponding to one serving is introduced into the heating pot 125, and the amount of washing water corresponding to two servings for selecting two servings is introduced into the heating pot 125 do.

세척미 투입 조절부(110)를 세척미 저장부(115)와 가열솥(125)의 사이에 배치되어, 세척미의 이동이 자중에 의한 낙하에 의하여 이루어 지도록 할 있다. 이 경우 세척미를 투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동력(전력)을 감소 시킬 수 있다.The non-cleaning regulating unit 110 is disposed between the non-cleaning storage unit 115 and the heating cooker 125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leaning unit can be performed by falling due to its own weigh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electric power) used for putting the washing machine.

가열부(120)는 가열솥(125)을 구비하며, 가열솥(125)의 내부에 세척미와 취사수가 투입된 후 취사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가열부(120)는 슬라이딩 인입출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heating unit 120 is provided with a heating pot 125. After the cleaning pot and the cooking water are charged into the heating pot 125, the cook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heating unit 120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in and out.

가열부(120)는 유도가열 방식 또는 전열히터를 이용한 가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열부(120)가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되는 경우, 가열솥(125)은 전자기유도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한다.The heating unit 120 may be an induction heating system or a heating system using an electrothermal heater. When the heating unit 120 is he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the heating pot 125 includes a material which can be heat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조작 스위치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취사량, 예약 취사 시간, 취사 모드 선택, 취사 동작 등을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취사량은 밥의 인분수가 될 수도 있고, 1인분의 경우 많은양, 적은양 등의 세부적인 취사량일 수도 있다.The operation switch unit 130 plays a role of receiving a cooking amount, a reserved cooking time, a cooking mode selection, a cooking operation, and the like from a user. At this time, the amount of cooked food may be the number of cooked rice, or the amount of cooked food such as a large amount or a small amount for one person.

디스플레이부(135)는 조작 스위치부(130)의 조작에 의한 동작, 또는 현재 진행중인 동작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35)에는 식별된 세척미와 취사수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35 plays a role of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n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unit 130, an operation currently being carried out,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135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ashed dishes and the number of dishes.

코드 리더부(150)는 세척미 용기(10)과 취사수 용기(20)의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de reader unit 150 performs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leaning vessel 10 and the cooking water vessel 20. [

제어부(160)는 코드 리더부(150)에서 인식된 식별 코드의 정보를 전달 받으며, 상기 조작 스위치부(130)의 조작에 의한 설정에 따라 가열부(12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다양한 종류의 세척미와 취사수의 종류에 따라 취사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가열부(1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취사 모드로 가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recognized by the code reader unit 150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setting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unit 130. [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heating unit 120 by automatically selecting a cooking mode according to various kinds of washing and cooking water, and may further control the heating unit 120 in a cooking mode set by the user .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분량의 밥을 지을 수 있도록 세척미 투입 조절부(110)와 급수 조절부(140)를 조절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adjusts the washing / non-feeding adjusting unit 110 and the water supplying / adjusting unit 140 so that the rice can be cooked by the user.

일반적인 밥솥의 경우, 사용자가 쌀을 씻고 씻을 쌀에 취사수(밥물)을 맞추어 밥솥에 넣은 후 취사 모드를 선택하여 밥을 짓는 방식으로 사용한다.For a typical rice cooker, the user should wash the rice and mix it with the rice to be washed (rice), put it in the rice cooker, and use the cook mode to cook rice.

본 발명은 세척미 용기(10)를 개봉하여 세척미를 세척미 저장부(115)에 채우고, 취사수 용기(20)를 취사수 용기 장착부(145)에 장착하는 것으로 취사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고,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으로 세척미와 취사수가 가열솥(125)에 투입되고 밥을 짓는 동작이 수행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preparation for cooking is completed by opening the untreated container 10 to fill the untreated untreated portion 115 with the untreated untreated portion 115 and mounting the untreated water container 20 to the untreated water container mounting portion 145 ,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ng switch to perform washing and cooking with the cooking pot 125 and cooking rice.

여기서, 세척미 용기(10)는 일정량의 세척미를 밀봉한 형태이다. 이 때, 밀봉은 진공 상태의 밀봉이 될 수도 있고, 산소를 제거하고 질소를 충전한 상태의 밀봉일 수도 있다. 곡물인 쌀은 도정을 하면 산화가 진행하게 되므로, 쌀을 도정한 후 세척하고 밀봉하여 유통하게 되면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쌀의 산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Here, the untreated container 10 is a sealed container of a certain amount of cleaned air. At this time, the sealing may be a vacuum sealing, or may be a seal in which oxygen is removed and filled with nitrogen. Since the rice, which is cereal, is oxidized when it is ripen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xidation of rice which occurs in the distribution process by circulating the rice after washing and sealing.

세척미 용기(10)에는 바코드 또는 QR코드와 같은 식별 코드(12)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미 용기(10)에 표시된 식별 코드(12)는 세척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식별 코드(12)는 RF-I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코드 리더부(150)는 RF-IF 리더로 구성된다.It is preferable that an identification code 12 such as a bar code or a QR code is displayed on the untreated container 10. The identification code 12 displayed on the untreated container 10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the untreated property.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code 12 may be configured with an RF-ID. In this case, the code reader unit 150 is configured as an RF-IF reader.

식별 코드에는 예를 들면, 쌀의 종류, 도정일자, 포장된 중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code may include, for example, the type of rice, the date of the rice, the weight of the rice, and the like.

세척미 용기(10)는 세척미를 밀봉하여 포장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때 포장 재질의 종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세척미 용기(10)가 파우치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세척미 용기(10)의 형상은 병 모양 또는 캡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다.The untreated container 10 means a form in which the untreated beverage is sealed and packed, and the type of the packaging material can be variously applied at this tim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ntreated container 10 has a pouch shape, but the shape of the untreated container 10 can be design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bottle shape or a capsule shape.

취사수 용기(20)는 밥을 짓기 위한 물이 병의 형태로 포장된 것이다. 취사수 용기(20)는 취사수 용기 장착부(145)에 장착된다.The cooking water container (20) is packed in the form of a bottle for making rice. The cooking water container 20 is mounted on the cooking water container mounting portion 145.

취사수 용기(20)도 세척미 용기(10)와 마찬가지로 바코드 또는 QR코드와 같은 식별 코드(22)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사수 용기(20)에 표시된 식별 코드(22)는 취사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취사수에 관한 정보는 취사수의 종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사수가 해물솥밥을 위한 육수인 경우에는 취사수에 관한 정보가 제어부(160)로 전달되어 해물 솥밥을 위한 취사 모드가 동작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oking water container 20 is also display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22 such as a bar code or a QR code in the same manner as the non-cleaning container 10. The identification code 22 displayed on the cooking water container 2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oking number. The information on the cooking number may be related to the type of cooking number.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cooking water is the seawater for the seaweed rice, th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he cooking wate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60 so that the cooking mode for the seaweed rice can be operat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는 세척미 용기(10)와 취사수 용기(20)에 구비된 식별코드(12,22)를 인식하기 위한 코드 리더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드 리더부(150)에서 인식된 식별 코드(12,22)는 제어부(160)로 전달되고, 제어부(160)는 전달된 세척미 정보와 취사수 정보를 이용하여 가열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가열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는 것은 취사 모드에 따라 가열부의 온도를 제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o this end, the simpl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code reader unit 150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s 12 and 22 provided in the cleaning vessel 10 and the cooking water vessel 20. The identification codes 12 and 22 recognized by the code reader unit 15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60.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120 using the received washing information and cooking number information . Her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120 means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밥을 짓는 쌀의 종류가 백미, 잡곡, 현미, 보리쌀 등 다양할 수 있고, 쌀의 종류에 따라서 취사 동작에서 가열 시간, 가열 온도, 압력, 뜸들이는 시간 등의 온도 프로파일이 달라져야 한다.The types of rice that cook rice may be rice, grain, brown rice, barley rice, etc. Depending on the type of rice, the temperature profile such as heating time, heating temperature, pressure,

종래의 밥솥의 경우 백미, 잡곡, 현미 등으로 취사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취사 모드를 선택하고 동작시키는 방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100-1)는 세척미 용기(10)와 취사수 용기(20)에 표시된 식별 코드(12,22)를 인식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하면, 제어부(160)는 쌀의 종류와 취사수에 종류에 따른 최적의 취사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취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ice cooker, the user has selected a cooking mode with white rice, grain, brown rice, etc. to select and operate the cooking mode. However, the simple cooking apparatus 1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s 12 and 22 displayed on the cooking water container 20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codes 12 and 22 to the control unit 160. The control unit 160 automatically selects the optimum cooking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rice and the number of cooked rice So that the coo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이는 사용자의 조작 미숙에 의하여 적절한 취사 모드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 밥이 제대로 지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This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rice is not properly cooked if a proper cooking mode is not selected due to inactivity of the user.

또한,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세척미와 취사수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때, 다양한 종류의 세척미와 취사수를 제공하면, 사용자들은 다양하게 종류의 세척미와 취사수 중에서 본인의 취향에 맞는 세척미와 취사수를 선택하여 원하는 종류의 밥을 간편하게 지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providing the washing machine and the washing machine in the state of being contained in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kinds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number to the users, You can easily choose the type of rice you want.

취사수로는 일반적으로는 생수를 이용하여 밥을 짓지만, 조미된 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밥을 지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취사수로 해물 육수를 투입하게 되면 해물 솥밥을 지을 수 있으며, 취사수로 탄산수를 투입하면 또 다른 맛을 내는 밥을 지을 수 있다.Generally, cooking water is used to cook rice, but various kinds of rice can be cooked using seasoned water. For example, seafood soup can be cooked when seafood soup is fed into the cooking water, and rice can be cooked to add another flavor by adding carbonated water as a cooking water.

가열부(120)에는 가열솥(125)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100-1)에 세척미를 세척미 저장부(115)에 투입하고, 취사수 용기(20)를 취사수 용기 장착부(145)에 장착한 후, 취사 동작을 작동하면, 세척미 저장부(115)에 저장된 세척미가 가열솥(125)의 내부로 투입된다.A heating pot 125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heating unit 120. After the washing rice is put into the washing non-storing part 115 in the simple cooking device 1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oking water container 20 is attached to the cooking water container mounting part 145,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shing non-storage part 115 is introduced into the heating pot 125.

세척미의 투입이 자중에 의한 낙하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솥(125)이 세척미 저장부(115)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pot 125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non-storage portion 115 as shown in FIG.

가열솥(125)은 취사 과정에서는 밀폐된 상태가 되어야 하며, 밥을 다 지은 후에는 가열솥(125)의 상부가 개방되어야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밥솥의 경우 힌지 형태의 뚜겅을 구비하여 뚜껑을 여닫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100-1)는 가열솥(125)이 장착되는 가열부(120)가 슬라이딩 인입출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The cooking pot 125 must be sealed in the cooking process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pot 125 must be opened after rice is cooked. The conventional cooker has a hinge-shaped lid to open and close the lid. However, in the simple cooking apparatus 1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unit 120, to which the heating pot 125 is mounted, And provides a usable structur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20)가 인입된 상태가 되면, 가열솥(125)의 상부가 밀폐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20)가 인출되면 가열솥(125)의 상부가 개방되어 가열솥(125)을 가열부(120)에서 꺼낼 수 있다.1, when the heating unit 120 is pu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pot 125 is closed, and when the heating unit 120 is pulled out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heating pot 125 can be taken out from the heating unit 12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100-1)는 조작 스위치부(130)를 포함한다.The simple cooking apparatus 1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switch unit 130. [

조작 스위치부(130)의 조작을 통하여, 취사 완료 시간을 설정하는 예약 취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스위치부(130)의 조작을 통하여 세부적인 밥맛을 선택하는 취사 모드를 조절할 수도 있다.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oking function for setting the cooking completion tim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unit 130. [ In addi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operation switch unit 130 can be adjusted to select a detailed taste.

예를 들어서 동일한 백미를 이용하여 밥을 짓더라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밥알이 찰진 밥맛을 선호할 수도 있고, 밥알이 무른 밥맛을 선호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even if the rice is cooked using the same rice white, the rice may be preferred to the cooked rice depending on the taste of the user, or the rice may be preferred to the cooked rice.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100-1)는 세척미에 관한 정보와 취사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제어부가 취사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게 되나, 자동으로 선택된 모드에서도 밥알의 찰진 정도 혹은 밥의 질기 정도(진밥과, 된밥의 선택)를 추가 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imple cooking apparatus 1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washing ric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ooking number, an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selects the cooking mode. However, even in the automatically selected mode, It is possible to choose the degree of quality of rice (choice of rice and rice) additionally.

도 3을 참조하면, 취사수 용기(20)는 실링 필름(24)으로 입구가 밀봉된 상태로 공급되어, 취사수 용기(30)을 취사수 용기 장착부(145)에 결합시키면, 취사수 용기 장착부(145)에 구비된 취사수 공급관(141)이 상기 실링 필름(24)을 관통하며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3, when the cooking water container 20 is supplied with the sealing film 24 sealed in its mouth to connect the cooking water container 30 to the cooking water container mounting portion 145, The cooking water supply pipe 141 provided in the cooking chamber 145 can be inserted through the sealing film 24.

이렇게 취사수 용기 장착부(145)에 취사수 용기(20)가 장착되면, 취사수 용기(20)에 담겨진 취사수가 상기 취사수 공급관(147)을 통하여 급수 조절부(140)로 흐르게 되고, 급수 조절부(140)의 동작에 의하여 취사수가 가열솥(125)으로 투입된다.When the cooking water container 20 is mounted on the cooking water container mounting portion 145 as described above, the cooking water contained in the cooking water container 20 flows to the water supply adjusting portion 140 through the cooking water supply pipe 147, The cooking water is fed into the heating pot 125 by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125. [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100-1)는 세척미의 투입 시점과 취사수의 투입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세척미의 투입과 취사수의 투입이 제어부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척미의 투입은 세척미 투입 조절부(11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취사수의 투입은 급수 조절부(14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The simple cooking apparatus 1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time of putting the washing rice and the time of feeding the cooking water. This is because the input of washing water and the feeding of cooking water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he introduction of washing water is performed by the water non-application regulating unit 110, and the feeding water is supplied by the water regulating unit 140.

이러한 구조는 예약 취사 시간이 장시간이 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Such a structure is very useful when the reserved cooking time becomes long.

세척미에 취사수가 투입되면, 그 때부터 세척미는 취사수에 의하여 불려지게 된다. 그런데 불려지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밥을 지었을 때 밥맛이 달라질 수 있으며, 여름철의 경우 변질될 우려도 있다.When the washing water is fed into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water is called by the washing water from that time. However, when the time to be called becomes longer, the taste of rice may change when cooked, and there is a fear that it may change in the summer season.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100-1)는 세척미의 투입 시점과 취사수의 투입 시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예약 취사가 선택된 경우 예약 취사 동작의 시작은 세척미의 투입과 취사수의 투입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가열솥(125)이 가열되는 가열 시작 시간의 일정시간 전에 세척미의 투입과 취사수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예약 취사 시간이 달라지더라도 세척미가 취사수에 불려지는 시간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However, since the simple cooking apparatus 1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closing time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closing time of the cooking water, when the reserved cooking is selected, It starts with input. Therefore, the cleaning rice can be introduced and the cooking water can be supplied a certain amount of time before the heating start time at which the heating pot 125 is heated. Therefore, even when the cooking time is chang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djusted constantly.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160)는 예약 취사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입력 받은 취사 완료 시간으로부터 취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도출한 후, 세척미의 투입 시간과 취사수의 투입 시간을 산출하여, 세척미 투입 조절부(110)와 급수 조절부(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reserved cooking function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160 calculates the time required for cooking from the input cooking completion time and the time for feeding the cooking water and the cooking tim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feed adjusting unit 110 and the water feed adjusting unit 140.

따라서, 가열이 시작되기 전에 세척미가 취사수에 침지되어 불려지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e at which the washing water is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before the heating is star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척미를 이용한 간편 취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척미를 이용한 간편 취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simple cooking device using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mple cooking device using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세척미를 이용한 간편 취사장치(100-2)는 세척미 투입 조절부(110)와, 세척미 저장부(115)와, 가열부(120)와, 조작 스위치부(130)와, 디스플레이부(135)와, 급수 조절부(140)와, 취사수 저장부(142)와, 코드 리더부(150)와, 제어부(160) 를 포함한다.The simple cooking apparatus 100-2 using the washing r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ashing non-feeding adjusting unit 110, a washing non-storing unit 115, a heating unit 120, A display unit 135, a water supply control unit 140, a cooking water storage unit 142, a code reader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0. [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취사수 용기가 직접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취사수 용기에 담겨진 취사수를 취사수 저장부에 채워 넣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not to directly mount the cooking water container but to fill the cooking water storage portion with the cooking water contained in the cooking water container.

취사수 저장부(142)는 뚜껑(142a)을 구비하여, 뚜껑을 개방하고 취사수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정수된 물을 주로 취사수로 이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The cooking water storage unit 14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id 142a so that the lid can be opened and the cooking water can be filled. This configuration is suitable for the case where purified water is mainly used as cooking water.

물론, 정수기의 출수 호스를 직접 급수 조절부(140)에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취사수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세척미만을 보충하며 밥을 지을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Of course, the water hose of the water purifier can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water supply controller 14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rice and cook rice without the need to supplement the number of cooked rice.

한편, 1인 가구의 경우 집에서 밥을 지어먹지 않는 이유 중의 하나로 설거지의 번거로움을 꼽을 수 있다. 밥을 지을 때마다 밥솥을 세척해야 다시 밥을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one of the reasons for not eating food at home is the hassle of washing dishes. Every time you cook rice, you have to clean the rice cooker to cook rice again.

이러한 번거로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열솥(125)의 내부에 보조용기를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조용기는 그 자체로 밥 그릇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 취사 후 보조용기를 추출하여 식사를 하면 가열솥(125)은 세척하지 않고, 다른 보조용기를 투입하여 다시 밥을 지을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such inconvenience, an auxiliary container may be inserted into the heating pot 125 and used. If the auxiliary container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rice bowl itself, the auxiliary pot can be cooked by extracting the auxiliary container after cooking, and then heating the cooking pot 125 without washing.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취사수 캡슐을 이용한 간편 취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simple cooking device using a cooking water caps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mpl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100-3)는 세척미 투입 조절부(110)와, 세척미 용기 장착부(117)와, 가열부(120)와, 조작 스위치부(130)와, 디스플레이부(135)와, 급수 조절부(140)와, 취사수 용기 장착부(145)와, 코드 리더부(150)와, 제어부(160) 를 포함한다.The simple cooking apparatus 100-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non-feeding control unit 110, a cleaning non-container mounting unit 117, a heating unit 120, an operation switch unit 130, A display unit 135, a water supply control unit 140, a water supply container mounting unit 145, a code reader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0.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편 취사장치(100-3)는 세척미 용기(30)가 병 형태로 포장된 경우에, 세척미 용기(30)를 세척미 용기 장착부(117)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simple cooking apparatus 100-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ntreated vessel 30 is packaged in a bottle form, the untreated vessel 30 is mounted on the untreated vessel mount 117 .

세척미 저장부를 대신하여 세척미 용기가 장착될 수 있는 세척미 용기 장착부(117)로 대체되는 것 이외의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A configuration other than that in which the cleaning / untreating container is replaced with a cleaning / untreating container mounting portion 117 in which the cleaning / untreating container can be mounted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a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세척미 용기 장착부(117)는 세척미 저장부와 마찬가지로 가열솥(125)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취사수 용기 장착부(145)의 경우에도 가열솥(12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untreated untreated container mounting portion 117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pot 125 like the untreated storage portion. Also, in the case of the cooking water container mounting portion 145, it can also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pot 125.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세척미 용기 장착부(117)의 하부에 보조적인 세척미 저장부가 구비되고, 세척미 저장부에 세척미 투입 조절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an auxiliary cleaning non-storage portion may be provided under the cleaning non-container mounting portion 117, and a non-cleaning regulat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non-cleaning storing portion.

취사수 용기 장착부(145)의 경우에도 그 하부에 보조적인 취사수 저장부가 구비되어, 취사수 저장부에 급수량 조절부가 연결된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oking water container mounting portion 145, an auxiliary cooking water storage portion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water supply amount adjust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cooking water storage portion.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s well as any equivalents thereof,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30 : 세척미 용기
20 : 취사수 용기
12, 22, 32 : 식별 코드
100-1, 100-2, 100-3 : 간편 취사장치
110 : 세척미 투입 조절부
112 : 세척미 용기 장착부
115 : 세척미 저장부
120 : 가열부
125 : 가열솥
130 : 조작 스위치부
135 : 디스플레이부
140 : 급수 조절부
142 : 취사수 저장부
145 : 취사수 용기 장착부
150 : 코드 리더부
160 : 제어부
10, 30: Cleaning Uncontainer
20: Cooking water container
12, 22, 32: Identification code
100-1, 100-2, 100-3: Simple cooking device
110: Non-cleaning control unit
112:
115:
120:
125: Heating pot
130: Operation switch section
135:
140:
142: Cooking number storage section
145: Cookware container mounting part
150: Code reader unit
160:

Claims (12)

세척미가 저장되는 세척미 저장부;
취사수가 담겨진 취사수 용기가 장착되는 취사수 용기 장착부;
상기 세척미 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가열솥이 장착되는 가열부;
상기 세척미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미를 상기 가열솥으로 투입하는 세척미 투입 조절부;
상기 취사수 용기에 담겨진 취사수를 상기 가열솥으로 투입하는 급수 조절부;
취사 모드와 예약 시간을 입력받는 조작 스위치부; 및
상기 세척미 투입 조절부와 상기 급수 조절부와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간편 취사장치.
A cleaning non-storage portion in which cleaning non-woven is stored;
A cooking water container mounting portion on which a cooking water container having cooked water is mounted;
A heating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 unsealing unit and equipped with a heating pot;
A cleaning non-supply regulating unit for supplying the cleaning waste stored in the non-cleaning storage unit to the heating pot;
A water supply controller for supplying the cooking water contained in the cooking water container into the heating pot;
An operation switch section for receiving a cooking mode and a reservation tim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washing / non-feeding adjusting unit, the water feed adjusting unit and the hea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세척미 용기 또는 취사수 용기에 구비된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리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드 리더부에서 인식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간편 취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de reader unit for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code provided in the cleaning vessel or the cooking water vessel,
And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code reader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슬라이딩 인입출 가능하여, 상기 가열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솥의 상부가 개방되는 간편 취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unit
And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pot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ting section is drawn o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약 취사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취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여 취사 시작 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취사 시작 시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상기 세척미 투입 조절부와 상기 급수 조절부를 동작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 이전에 세척미가 취사수에 불려지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간편 취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performing the reserved cooking function,
Calculating a time required for cooking, deriving a cooking start tim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ime when the washing unit is turned on before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by operating the washing non-feeding adjusting unit and the water feed adjusting unit before a preset time at the cooking start time.
세척미가 저장되는 세척미 저장부;
취사수가 저장되는 취사수 저장부;
상기 세척미 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가열솥이 장착되는 가열부;
상기 세척미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미를 상기 가열솥으로 투입하는 세척미 투입 조절부;
상기 취사수 저장부에 담겨진 취사수를 상기 가열솥으로 투입하는 급수 조절부;
취사 모드와 예약 시간을 입력받는 조작 스위치부; 및
상기 세척미 투입 조절부와 상기 급수 조절부와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간편 취사장치.
A cleaning non-storage portion in which cleaning non-woven is stored;
A cooking number storage part for storing the cooking number;
A heating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 unsealing unit and equipped with a heating pot;
A cleaning non-supply regulating unit for supplying the cleaning waste stored in the non-cleaning storage unit to the heating pot;
A water supply control unit for supplying the cooking water stored in the cooking water storage unit into the heating pot;
An operation switch section for receiving a cooking mode and a reservation tim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washing / non-feeding adjusting unit, the water feed adjusting unit and the heating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세척미 용기 또는 취사수 용기에 구비된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리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드 리더부에서 인식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간편 취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code reader unit for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code provided in the cleaning vessel or the cooking water vessel,
And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code reader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슬라이딩 인입출 가능하여, 상기 가열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솥의 상부가 개방되는 간편 취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eating unit
And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pot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ting section is drawn ou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약 취사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취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여 취사 시작 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취사 시작 시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상기 세척미 투입 조절부와 상기 급수 조절부를 동작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 이전에 세척미가 취사수에 불려지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간편 취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When performing the reserved cooking function,
Calculating a time required for cooking, deriving a cooking start tim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ime when the washing unit is turned on before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by operating the washing non-feeding adjusting unit and the water feed adjusting unit before a preset time at the cooking start time.
세척미가 담겨진 세척미 용기가 장착되는 세척미 용기 장착부;
취사수가 담겨진 취사수 용기가 장착되는 취사수 용기 장착부;
상기 세척미 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가열솥이 장착되는 가열부;
상기 세척미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미를 상기 가열솥으로 투입하는 세척미 투입 조절부;
상기 취사수 저장부에 담겨진 취사수를 상기 가열솥으로 투입하는 급수 조절부;
취사 모드와 예약 시간을 입력받는 조작 스위치부; 및
상기 세척미 투입 조절부와 상기 급수 조절부와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간편 취사장치.
A non-cleaning container mounting portion on which a cleaning container containing the cleaning product is mounted;
A cooking water container mounting portion on which a cooking water container having cooked water is mounted;
A heating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 unsealing unit and equipped with a heating pot;
A cleaning non-supply regulating unit for supplying the cleaning waste stored in the non-cleaning storage unit to the heating pot;
A water supply control unit for supplying the cooking water stored in the cooking water storage unit into the heating pot;
An operation switch section for receiving a cooking mode and a reservation tim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washing / non-feeding adjusting unit, the water feed adjusting unit and the heating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세척미 용기 또는 취사수 용기에 구비된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리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드 리더부에서 인식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간편 취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code reader unit for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code provided in the cleaning vessel or the cooking water vessel,
And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code reader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슬라이딩 인입출 가능하여, 상기 가열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솥의 상부가 개방되는 간편 취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eating unit
And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pot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ting section is drawn ou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약 취사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취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여 취사 시작 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취사 시작 시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상기 세척미 투입 조절부와 상기 급수 조절부를 동작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 이전에 세척미가 취사수에 불려지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간편 취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When performing the reserved cooking function,
Calculating a time required for cooking, deriving a cooking start tim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ime when the washing unit is turned on before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by operating the washing non-feeding adjusting unit and the water feed adjusting unit before a preset time at the cooking start time.
KR1020170066442A 2017-05-29 2017-05-29 Rice cooker using wased rice KR1024178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442A KR102417837B1 (en) 2017-05-29 2017-05-29 Rice cooker using wased r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442A KR102417837B1 (en) 2017-05-29 2017-05-29 Rice cooker using wased r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401A true KR20180130401A (en) 2018-12-07
KR102417837B1 KR102417837B1 (en) 2022-07-05

Family

ID=6466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442A KR102417837B1 (en) 2017-05-29 2017-05-29 Rice cooker using wased r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83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011Y1 (en) * 1995-09-18 1999-02-18 전영호 Cool and hot water feeder
JP2000205569A (en) * 1999-01-14 2000-07-25 Nissin Food Prod Co Ltd Heating method through of microwave oven, code indicator for microwave oven and heating system of microwave oven
JP2000300430A (en) * 1999-04-20 2000-10-31 Osaka Gas Co Ltd Cooking data system and rice cooker
KR200215648Y1 (en) * 2000-05-02 2001-03-15 성상준 Uninhabited automtically rice pot
KR100828644B1 (en) * 2006-12-27 2008-05-09 웅진쿠첸 주식회사 Reservation cooking control method for electric pressure cooker
KR100880238B1 (en) * 2007-07-13 2009-01-30 주식회사 큐리프 Body frame making it easy to wash cover of rice-cooker and Unmanned cooking device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011Y1 (en) * 1995-09-18 1999-02-18 전영호 Cool and hot water feeder
JP2000205569A (en) * 1999-01-14 2000-07-25 Nissin Food Prod Co Ltd Heating method through of microwave oven, code indicator for microwave oven and heating system of microwave oven
JP2000300430A (en) * 1999-04-20 2000-10-31 Osaka Gas Co Ltd Cooking data system and rice cooker
KR200215648Y1 (en) * 2000-05-02 2001-03-15 성상준 Uninhabited automtically rice pot
KR100828644B1 (en) * 2006-12-27 2008-05-09 웅진쿠첸 주식회사 Reservation cooking control method for electric pressure cooker
KR100880238B1 (en) * 2007-07-13 2009-01-30 주식회사 큐리프 Body frame making it easy to wash cover of rice-cooker and Unmanned cooking device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837B1 (en)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145B2 (en) Liquid movement and control within a rotatable container for food preparation
MX2014001591A (en) Food movement and control within a container for food preparation.
CN108618590B (en)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31556B1 (en) Electric pot having a function of double boil
KR20150006489A (en) A cooking apparatus, a cooking pot and a method for cooking
CN209883797U (en) Automatic cooking machine
KR101566856B1 (en) an instant food range
KR100936990B1 (en) Cooking helper
KR20030074042A (en) Electric cooker
JP2020509796A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mi-automated food preparation
JP6755207B2 (en) Cooker
JP6754173B2 (en) Cooker
KR20180130401A (en) Rice cooker using wased rice
KR20180130400A (en) Rice cooker using washe rice capsule
KR102553882B1 (en) a food cooker
CN111195068A (en)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method
JP2008206541A (en) Cooker
KR101221889B1 (en) custody device and method
EP4230096A1 (en) Appliance for improved heating of food products using steam
KR102262290B1 (en) Functional water purifier that can be cooked
CN211299499U (en) Health preserving kettle
CN213909677U (en) Cooking utensil
CN210446633U (en) Intelligent kitchen ware
JP2005296538A (en) Electric rice cooker
CN205625472U (en) Tea set with automatic control by temperature change and function of disinfec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