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251A -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251A
KR20180130251A KR1020170066122A KR20170066122A KR20180130251A KR 20180130251 A KR20180130251 A KR 20180130251A KR 1020170066122 A KR1020170066122 A KR 1020170066122A KR 20170066122 A KR20170066122 A KR 20170066122A KR 20180130251 A KR20180130251 A KR 20180130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output
power supply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228B1 (ko
Inventor
강명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22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5Cost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 H02M2001/0032
    • H02M2001/008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02B70/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에 있어서,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1전원이 출력되는 제1출력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2전원이 출력되는 제2출력부; 상기 제1출력부와 제2출력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출력부 측으로 출력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제1출력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출력부 측으로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설치되는 압축기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모터에는 전력 변환 장치로부터 교류 전력이 공급된다.
이와 같은 전력 변환 장치는 주로, 정류부, 역률 제어부 및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우선, 상용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의 상용 전압은, 정류부에 의하여 정류된다. 이러한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압은 인버터에 공급된다. 이때, 인버터에서는 정류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교류 전력을 생성한다.
한편, 공기 조화기는 이와 같은 전력 변환 장치 외에 제어부(마이컴) 및 기타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주로 실내기에서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 제어에 따라 실외기가 제어될 수 있다.
실내기에서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멈추거나 또는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작동을 중지시킨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대기 전력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의 모든 기능은 정상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력을 소모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높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실내기 제어부(마이컴)와 동일한 전압의 전원을 공급받는 각종 센서 등의 부하가 대기 전력 모드에서도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전력 상태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기 전력 상태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기 전력 기능을 포함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대기 전력 모드에서 실내기 제어부와 동일한 전압의 부하들의 전력 소모를 방지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1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에 있어서,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1전원이 출력되는 제1출력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2전원이 출력되는 제2출력부; 상기 제1출력부와 제2출력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출력부 측으로 출력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제1출력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출력부 측으로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어부와 베이스 단이 연결되고, 에미터 단과 콜렉터 단이 상기 제1출력부와 제2출력부 사이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대기 전력 모드 진입 시에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에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출력부 측으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대기 전력 모드 진입 시에 상기 차단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정전압을 공급하는 SMPS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MPS부는, 2차 단에 상기 제1출력부가 연결되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단과 상기 제1출력부 사이에는 전압 조절을 위한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출력부와 상기 레귤레이터 사이에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단의 제3전원이 출력되는 제3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단에는 제4전원을 출력하는 제4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출력부에는, 버퍼 IC, 실온 센서, 배관 센서, 먼지 센서 및 풀업/풀다운 저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출력부와 제2출력부는 동일한 전압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2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전원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먼저, 대기 전력 모드에 진입하면 제어부를 제외한 제어부와 동일한 전압을 사용하는 버퍼 IC, 실온 센서, 배관 센서, 먼지 센서 및 풀업/풀다운 저항 등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통하여 주전원이 인가되는 실외인입 방식의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대기 전력을 1W 미만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전력 관련 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고,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를 이용하여 대기 전력 모드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장치는 교류 전원(10)을 직류로 변환하여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 이 전원부(100)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다수의 출력부(+15V, +12V, +5V, +5V), 이러한 다수의 출력부(+15V, +12V, +5V, +5V)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140), 그리고 이 차단부(140)를 제어하여 전원 출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00)는, 교류 전원(10)을 정류하는 정류부(110) 및 이 정류부(1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정전압을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110)는, 교류 전원(10)을 입력받아 정류하고, 이와 같이 정류된 전력을 SMPS부(120) 측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정류부(110)는 브리지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파 정류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정류부(110)와 SMPS부(120) 사이에는 캐패시터(C1)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캐패시터(C1)는 정류부(110)를 통한 출력을 평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SMPS부(120)는, 입력 교류 전원(10)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SMPS부(120)는 역률 제어부(PFC(power factor control)부)로 작동하는 직류-직류(DC-DC) 컨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류-직류(DC-DC) 컨버터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절연형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를 이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SMPS부(120)는 정류부(110)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 SMPS부(120)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이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SMPS부(120)에서는 다수의 출력부가 연결되어, 이 출력부로부터 다수의 부품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전원 장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일 수 있으며, 다수의 부품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구비되는 각종 센서, 집적회로, 등을 포함하는 부하일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에도, 제어부 및 그 외의 부품이 적어도 하나 이상 별도로 구비되어 대기 전력 모드를 이용하는 장치라면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례로, 제어부(130)는 SMPS부(12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SMPS부(120)의 출력부는, 제1전압(일례로, +5V 전압)의 전원이 출력되는 제1출력부(a) 및 제2전압의 전원이 출력되는 제2출력부(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부(140)는 이러한 제1출력부(a) 및 제2출력부(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출력부(a) 및 제2출력부(b)의 출력 전압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1출력부(a)와 SMPS부(120) 사이에는 제3전압(일례로, +12V 전압)의 전원이 출력되는 제3출력부(+12V)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MPS부(120)의 출력부는, 제4전압(일례로, +15V 전압)의 전원이 출력되는 제4출력부(+15V)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출력부(a)는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제어부(130)는 제1출력부(a)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출력부(a)로부터 +5V의 전원이 출력되어 제어부(130)는 이 +5V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마이컴(micom)과 같은 IC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출력부(b)로부터 제1출력부(a)와 동일하게 +5V의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출력부(b)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원은 +5V의 전원을 이용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각 부분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출력부(b)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원은 버퍼 IC(150), 실온센서(160), 배관센서(170), 먼지센서(180) 및 풀업/풀다운 저항(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품에 공급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각종 풀업 저항, 디스플레이, WIFI 통신 등의 5V 부하에 제2출력부(b)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운전 상태에 따라 대기 전력 모드에 진입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130)에서는 대기 전력 모드 진입 시에 차단부(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대기 전력 모드 진입 시에 제어부(130)는 대기 신호(STANDBY)를 차단부(140)에 전달하고, 이 대기 신호(STANDBY)를 전달받은 차단부(140)는 제2출력부(b)의 전원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전력 모드 진입 시에는 제2출력부(b)를 통하여 +5V의 전원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출력부(b)와 연결된 버퍼 IC(150), 실온 센서(160), 배관 센서(170), 먼지 센서(180) 및 풀업/풀다운 저항(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하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 동작을 멈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 전력 모드에서는 제1출력부(a)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130)는 동작할 수 있으나, 제2출력부(b)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제2출력부(b)와 연결된 버퍼 IC(150), 실온 센서(160), 배관 센서(170), 먼지 센서(180) 및 풀업/풀다운 저항(190) 등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MPS부(120)는, 트랜스포머(T1)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플라이백 컨버터의 세부 구성은 생략되어 있고, 트랜스포머(T1)의 2차 단의 연결 구성을 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랜스포머(T1)의 2차 단에 9번과 10번 탭에 제4출력부(+15V)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4출력부(+15V)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의 팬 모터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제4출력부(+15V)의 전원은 제1캐패시터(Ca)에 충전되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T1)와 제1캐패시터(Ca) 사이에는 역류 방지를 위한 다이오드(D1)와 리플 제거를 위한 제1리플제거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리플제거부(122)는 서로 병렬 연결되는 캐패시터(C2)와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트랜스포머(T1)의 2차 단의 6번과 7번 탭에는 제3출력부(+12V)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출력부(+12V)의 전원은 제2캐패시터(Cb)에 충전되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T1)와 제2캐패시터(Cb) 사이에는 역류 방지를 위한 다이오드(D2, D3)와 리플 제거를 위한 제2리플제거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리플제거부(123)는 서로 병렬 연결되는 캐패시터(C3, C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출력부(+12V)와 제1출력부(a) 사이에는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or; 12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3출력부(+12V)의 12V 전압의 전원은 레귤레이터(121)를 통하여 감압되어 제1출력부(a)를 통하여 감압된 +5V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1출력부(a)의 전원은 제3캐패시터(Cc)에 충전되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레귤레이터(121)와 제3캐패시터(Cc) 사이에는 리플 제거를 위한 제3리플제거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리플제거부(124)는 제3캐패시터(Cc)와 병렬로 연결되는 캐패시터(C5)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출력부(a)에는 차단부(140)를 통하여 제2출력부(b)가 연결된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단부(140)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 회로는, 제어부(130)와 베이스 단이 연결되고, 에미터 단과 콜렉터 단이 제1출력부(a)와 제2출력부(b) 사이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에서는 대기 전력 모드 진입 시에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에 로우 신호(대기 신호(STANDBY))를 출력하여 제2출력부(b) 측으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즉, 대기 전력 모드가 아닌 정상 동작 모드 시에는 제어부(130)에서 하이 신호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으로 인가하여 제2출력부(b)를 통해서 제2전원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 전력 모드 진입 시에는 제어부(130)에서 로우 신호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으로 인가하여 제2출력부(b)를 통해서 제2전원이 출력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를 이용하여 대기 전력 모드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원 장치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설치된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공기 조화기를 운전하다가 전원을 오프(off)한 경우, 일정 시간(예를 들어, 3분) 동안 신호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 단계).
만일, 일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로부터 또는 입력 장치로부터 신호 입력이 입력된다면 대기 전력 모드는 해제되거나 운전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S20 단계).
이와 같이, 대기 전력 모드는 해제되거나 운전 모드가 유지된다면(S20), 제어부(130)에서는 하이(high) 신호를 차단부(140)로 전송하게 된다(S21 단계).
그러면 차단부(140)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에는 하이 신호가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1)는 턴 온(turn on) 되거나 온(on) 상태가 유지되어 제2출력부(b)를 통해서도 5V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정상 동작하게 되고, 버퍼 IC(150), 실온 센서(160), 배관 센서(170), 먼지 센서(180) 및 풀업/풀다운 저항(190) 등의 제어부(130)와 동일한 전압의 부하에도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반면, 일정 시간(예를 들어, 3분) 동안 사용자로부터 또는 입력 장치로부터 신호 입력이 입력되지 않는다면, 공기 조화기는 대기 전력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S30 단계).
즉, 제어부(130)에서는 로우(low) 신호를 차단부(140)로 전송하게 된다(S31 단계).
그러면 차단부(140)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에는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1)는 턴 오프(turn off) 되거나 오프(off) 상태가 유지되어 제2출력부(b)를 통한 전원 출력은 차단된다.
이와 같이, 제2출력부(b)를 통한 전원 출력은 차단되므로, 버퍼 IC(150), 실온 센서(160), 배관 센서(170), 먼지 센서(180) 및 풀업/풀다운 저항(190) 등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이러한 구성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이때, 제1출력부(a)를 통해서는 여전히 +5V의 전원이 출력되어 제어부(130)는 정상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부(130)의 구동 전력은 여전히 출력된다(S32 단계).
따라서, 이후 대기 전력 모드가 해제되는 상황이 되면 다시 하이(high) 신호를 차단부(140)로 전송하게 된다(S21 단계).
이와 같이, 대기 전력 모드에 진입하면 제어부(130)를 제외한 제어부(130)와 동일한 전압을 사용하는 버퍼 IC(150), 실온 센서(160), 배관 센서(170), 먼지 센서(180) 및 풀업/풀다운 저항(190) 등의 부하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통하여 주전원이 인가되는 실외인입 방식의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대기 전력을 1W 미만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전력 관련 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고,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전원부 110: 정류부
120: SMPS부 130: 제어부
140: 차단부 150: 버퍼 IC
160: 실온 센서 170: 배관 센서
180: 먼지 센서 190: 풀업/풀다운 저항

Claims (13)

  1.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에 있어서,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1전원이 출력되는 제1출력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2전원이 출력되는 제2출력부;
    상기 제1출력부와 제2출력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출력부 측으로 출력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제1출력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출력부 측으로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어부와 베이스 단이 연결되고, 에미터 단과 콜렉터 단이 상기 제1출력부와 제2출력부 사이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대기 전력 모드 진입 시에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에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출력부 측으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대기 전력 모드 진입 시에 상기 차단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정전압을 공급하는 SMPS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MPS부는, 2차 단에 상기 제1출력부가 연결되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단과 상기 제1출력부 사이에는 전압 조절을 위한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부와 상기 레귤레이터 사이에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단의 제3전원이 출력되는 제3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단에는 제4전원을 출력하는 제4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출력부에는, 버퍼 IC, 실온 센서, 배관 센서, 먼지 센서 및 풀업/풀다운 저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부와 제2출력부는 동일한 전압의 전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70066122A 2017-05-29 2017-05-29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1993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122A KR101993228B1 (ko) 2017-05-29 2017-05-29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122A KR101993228B1 (ko) 2017-05-29 2017-05-29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251A true KR20180130251A (ko) 2018-12-07
KR101993228B1 KR101993228B1 (ko) 2019-06-26

Family

ID=6466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122A KR101993228B1 (ko) 2017-05-29 2017-05-29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2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853A (ja) * 2000-03-07 2001-09-14 Sharp Corp 低消費電力回路
JP2003235249A (ja) * 2002-02-06 2003-08-22 Sony Corp 電源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13141344A (ja) * 2011-12-28 2013-07-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5128372A (ja) * 2015-02-12 2015-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853A (ja) * 2000-03-07 2001-09-14 Sharp Corp 低消費電力回路
JP2003235249A (ja) * 2002-02-06 2003-08-22 Sony Corp 電源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13141344A (ja) * 2011-12-28 2013-07-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5128372A (ja) * 2015-02-12 2015-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228B1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6051B2 (en) Power supply unit having a voltage converter
US11463012B1 (en) Architecture for multi-port AC/DC switching mode power supply
KR101411433B1 (ko) 대기 전력 절감 회로
WO2017072940A1 (ja) 出力電圧の設定を切り替え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用集積回路
CA2915376A1 (en) Electrical circuit for delivering power to consumer electronic devices
KR101889108B1 (ko)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GB2358529A (en) Standby power circuit for electrical apparatus
JP3730808B2 (ja) 空気調和機
US10775063B2 (en)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US8242628B2 (en) Power supply device with low standby power consumption
US10156858B2 (en) HVAC systems, controls, and methods including switch mode power supplies to achieve low standby power
US7541691B2 (en) Standby power supply apparatus
US10178720B1 (en) Low standby power control circuit for LED driver
US20150200566A1 (en) Redundant power supply system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US8004114B2 (en) Two-stage power supply system
JP2009100554A (ja) 部分電圧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1993228B1 (ko)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JP2002081712A (ja) 空気調和機
KR20190002033A (ko)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US8193664B2 (en) Electrical power-saving control apparatus, power supply including that apparatus and power-saving method thereof
JP2014200161A (ja) 制御装置の電源回路
KR102121194B1 (ko) 과열이 방지되는 IoT 조명 스위치 모듈
JP463741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230057095A1 (en) Embedded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system
KR102001934B1 (ko)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