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071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071A
KR20180130071A KR1020170065434A KR20170065434A KR20180130071A KR 20180130071 A KR20180130071 A KR 20180130071A KR 1020170065434 A KR1020170065434 A KR 1020170065434A KR 20170065434 A KR20170065434 A KR 20170065434A KR 20180130071 A KR20180130071 A KR 20180130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mode
data
gra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1673B1 (ko
Inventor
이동훈
노진우
김병선
조재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673B1/ko
Priority to US15/883,502 priority patent/US10777115B2/en
Publication of KR20180130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57Static memory circuit, e.g. flip-flo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8Improving the black lev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28Gradation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1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이 표시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rollable display device)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 영역을 변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전체적으로 활용하여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전체 디스플레이 모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 영역만을 활용하여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 환경이나 상태 등에 따라 효율적으로 구동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를 지원하며 잔상(image sticking)이 시인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1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이 표시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그라데이션 영상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표시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그라데이션 영상의 휘도가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그라데이션 영상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공된 화소열들 중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마지막 화소열의 휘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킨 영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그라데이션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공된 화소열들 중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마지막 화소열의 계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마지막 화소열의 계조 값에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차감 값을 적용하여 상기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마지막 화소열의 계조 값에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비율 값을 적용하여 상기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그라데이션 데이터가 소정의 최소 계조 이하의 계조 값을 가질 때까지 상기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상기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주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주사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주사 신호를 생성하는 주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소정의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폴딩 축을 기준으로 아웃 폴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로 구동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선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은, 제1 및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에 대응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공된 화소열들 중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마지막 화소열의 계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 화소열들에 대응하는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유효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일부 영역에서 상기 그라데이션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중 나머지 영역의 화소들을 오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환경이나 상태 등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전체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로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동되는 기간 동안에도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과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에서 급격한 휘도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열화 편차를 저감 또는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잔상이 발생하거나 시인되는 것을 저감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의 구동 방법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의 구동 방법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데이터의 변환 방법을 나타낸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6a 및 도 16b는 각각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데이터의 변환 방법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변환부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그 표현 여부에 관계없이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으로 관계되지 않은 일부 구성요소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생략되었을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의 일부 구성요소는 그 크기나 비율 등이 다소 과장되어 도시되었을 수 있다. 도면 전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영역(DA)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A)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display panel)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 영역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및/또는 롤링(rolling)이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기판(flexible substrate)(101)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101) 상에 제공된 다수의 화소들(102)과, 상기 화소들(102)을 밀봉하는 플렉서블 박막 봉지층(flexible thin film encapsulation)(103)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종류 및/또는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기판(101)은 유연한 소재의 박막 필름(thin fil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기판(101)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판(101)의 구성 물질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외에도 소정 범위의 유연성을 만족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기판(101)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소들(102)은 각각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들일 수 있다. 다만, 화소들(102)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박막 봉지층(103)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및 무기막을 포함하는 다층막(multi-layer) 구조의 봉지층일 수 있다. 일례로, 박막 봉지층(103)은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 무기막과, 상기 제1 및 제2 무기막의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한 층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103)은 유무기 물질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단층막(single-layer) 구조의 봉지층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 예컨대 평탄하게 펼쳐진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DA)의 전체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변형된 상태, 예컨대 벤딩, 폴딩 및/또는 롤링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DA) 중 일부의 영역, 예컨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일부의 영역에서만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foldable display panel)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폴딩 축(FA1)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영역(DA)이 내측을 향하도록 폴딩될 수 있는 인-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in-foldable display panel)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인-폴딩(in-folding) 및 아웃-폴딩(out-folding)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에서 폴딩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소정의 두 영역에서 인-폴딩될 수 있는 인-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영역 및/또는 그 방향 등이 특정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체 영역은 균일한 정도의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불특정 영역이 인-폴딩 및/또는 아웃-폴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아웃-폴딩될 수 있는 아웃-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out-foldable display panel)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2 폴딩 축(FA2)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영역(DA)이 외측을 향하도록 아웃-폴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인-폴딩 및 아웃-폴딩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폴딩을 위한 제1 폴딩 축(도 2의 FA1)과, 아웃-폴딩을 위한 제2 폴딩 축(FA2)은 서로 일치하거나, 또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rollable display panel)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영역(DA)이 외측을 향하도록 롤링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A)이 내측을 향하도록 롤링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적어도 일 영역이 롤링될 수 있으며, 롤링 방향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이 각각 인-폴딩 및 아웃-폴딩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영역은 제1 폴딩 축(FA1)을 기준으로 인-폴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다른 일 영역은 제2 폴딩 축(FA2)을 기준으로 아웃-폴딩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편의상, 도 7a 및 도 7b에서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결합되는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케이스(200)는 제1, 제2 및 제3 케이스(210, 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210)와 제2 케이스(220), 그리고 제2 케이스(220)와 제3 케이스(230)는 각각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케이스(210, 220, 230)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폴딩(un-folding) 상태로 펼쳐지거나,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폴딩 영역(AR1) 및 인-폴딩 영역(AR2)을 포함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및 제2 케이스(210, 220)의 사이에서 아웃-폴딩되고, 제2 및 제3 케이스(220, 230)의 사이에서 인-폴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케이스(210)에 의해 지지되는 영역과 아웃-폴딩 영역(AR1)에서 전면(일례로, 도 1의 디스플레이 영역(DA)이 제공된 면)이 외측으로 노출되고, 인-폴딩 영역(AR2)을 포함한 나머지 영역은 케이스(20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언-폴딩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DA)의 전체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하고, 폴딩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DA)의 일부 영역에서만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케이스(210)에 의해 지지되는 영역과 아웃-폴딩 영역(AR1)에서만 유효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나머지 영역은 오프되거나 비유효 영상(예컨대, 블랙 혹은 그라데이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 상태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영역, 일례로 서로 다른 범위의 영역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폴딩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영역(DA) 중 유효 영상을 표시한 영역에 배치된 화소들과, 나머지 영역에 배치된 화소들의 사이에서 열화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폴딩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유효 영상을 표시한 영역의 화소들에 포함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과, 나머지 영역의 화소들에 포함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의 사이에서 열화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펼쳐서 사용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영역(DA)의 각 영역 별로 화소들이 상이한 휘도 특성을 나타내면서 영역들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잔상(image sticking)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체 디스플레이 모드 및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지원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디스플레이 영역(DA)에서 잔상이 시인되는 것을 저감 또는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안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9는 도 8의 변경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디스플레이 구동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 환경이나 상태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벤딩, 폴딩 및/또는 롤링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소정의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 4a 및 도 4b와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폴딩 축(FA2)을 기준으로 아웃-폴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 환경, 조건 및/또는 상태 등에 따라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DA) 중 서로 다른 영역(예컨대, 서로 다른 크기, 위치 및/또는 범위의 영역)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웃-폴딩된 상태에서는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어 구동되며, 상기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DA) 중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일부 영역만을 활용하여 소정의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DA)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영역(DA)의 형상이나 배치 방향 등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DA)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방향에 따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사용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DA)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회전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DA)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형태로 배치되어 구동되거나, 포트레이트(portrait) 형태로 배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DA)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영역(DA)은 적어도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영역(DA)을 구성하는 서브 영역들(예컨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의 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에 배치되는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 중 적어도 한 종류의 배선들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의 사이에서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주사선(S)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선(D)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주사선들(S) 및/또는 데이터선들(D)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의 사이에서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은 각각 다수의 제1 또는 제2 화소들(P1 또는 P2)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은, 다수의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과, 상기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1 화소들(P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은, 다수의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과, 상기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2 화소들(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화소들(P1, P2) 각각은, 해당 주사선(S)으로부터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SS)가 공급될 때 선택되어 해당 데이터선(D)으로부터 데이터 신호(DS)를 공급받는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화소들(P1, P2)은 각각의 프레임 기간마다 해당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DS)를 공급받고, 상기 데이터 신호(DS)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DA)에서 데이터 신호(DS)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상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주사 구동부(111), 데이터 구동부(112) 및 타이밍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영상 변환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변환부(114)는 타이밍 제어부(113)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주사 구동부(111), 데이터 구동부(112) 및 타이밍 제어부(113)는 일체로 집적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타이밍 제어부(113)를 내장한 TED D-IC(TCON embedded driver IC)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주사 구동부(111), 데이터 구동부(112) 및 타이밍 제어부(113)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도 8 및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를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주사 구동부(111), 데이터 구동부(112) 및 타이밍 제어부(113)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 화소들(P1, P2)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부에 집적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영역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111)는 타이밍 제어부(113)로부터 주사 제어 신호(SCS)를 공급받고, 상기 주사 제어 신호(SCS)에 대응하여 주사 신호(SS)를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주사 제어 신호(SCS)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 및 게이트 쉬프트 클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주사 구동부(111)는 게이트 쉬프트 클럭을 이용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쉬프트함에 의해 순차적으로 주사 신호(SS)를 생성하고, 상기 주사 신호(SS)를 주사선들(S)로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12)는 타이밍 제어부(113)로부터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영상 데이터(DATA)를 공급받는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제어 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 소스 쉬프트 클럭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12)는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DATA)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DS)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DS)를 데이터선들(D)로 공급한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112)는 각각의 프레임 기간을 구성하는 다수의 수평 기간들마다 각각의 수평 기간에 해당하는 수평 화소열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DS)를 데이터선들(D)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DA) 중 일부의 영역,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환경이나 상태(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변형 여부 및/또는 그 정도) 등에 따라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스(200) 등에 의해 가려져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이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될 경우, 데이터 구동부(112)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으로 블랙 계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DS) 및/또는 그라데이션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DS)를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부(112)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일부 영역(일례로, 그라데이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서, 블랙 계조를 표현하는 오프 영역)으로는 데이터 신호(DS)를 공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일부 영역에 배치된 데이터선들(D)은 해당 영역의 제2 화소들(P2)이 비발광하도록(예컨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소정의 바이어스 전원에 연결될 수도 있다.
타이밍 제어부(113)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제어 신호(CS) 및 영상 데이터(DATA)를 공급받는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 신호(CS)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 신호(CS)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3)는 제어 신호(CS) 및 영상 데이터(DATA)에 대응하여 주사 구동부(111) 및 데이터 구동부(112)를 구동한다. 예컨대, 타이밍 제어부(113)는 제어 신호(CS)에 대응하여 주사 제어 신호(SCS) 및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생성하고, 상기 주사 제어 신호(SCS)를 주사 구동부(111)로, 상기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112)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13)는 영상 데이터(DATA)를 재정렬하여 데이터 구동부(112)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영역(DA)의 일부 영역,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서만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동될 때, 타이밍 제어부(113)는 프로세서(12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DATA)를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 데이터(DATA2')를 데이터 구동부(112)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부(112)는 변환된 영상 데이터(DATA2')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DS)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변환된 영상 데이터(DATA2')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타이밍 제어부(113)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DA) 중 유효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 데이터(DATA)를 변환할 수 있다. 일례로, 타이밍 제어부(113)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인접한 일부 영역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휘도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그라데이션 영상을 표시되도록 영상 데이터(DATA)를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동되는 기간 동안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과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제1 및 제2 화소들(P1, P2) 사이의 열화 편차를 저감 또는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체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동되는 기간 동안에도 디스플레이 영역(DA)에서 잔상이 시인되는 것을 저감 또는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이밍 제어부(113)는 영상 변환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변환부(114)가 타이밍 제어부(113)의 내부에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는 영상 변환부(114)가 데이터 구동부(11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영상 변환부(114)가 디스플레이 구동부(11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영상 변환부(114)는 프로세서(120)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20)와 디스플레이 구동부(110)의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영상 변환부(114)는,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프로세서(120)로부터 영상 데이터(DATA)를 수신한다. 상기 영상 변환부(114)는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 특히 적어도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 데이터(DATA)를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 데이터(DATA')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변환된 영상 데이터(DATA')는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중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대응하는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DATA')는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된 화소열들 중,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수평 또는 수직 화소열들에 대응하는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그라데이션 데이터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휘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설정되는 계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10)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CS) 및 영상 데이터(DATA)를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20)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프로세서(120)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합되는 다른 종류의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전체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구동부(110)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20)는 센서(130)로부터 감지 신호(SES)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SES)에 대응하여 전체 디스플레이 모드 및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디스플레이 모드를 크게 두 개의 모드로 구분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의 영역 및/또는 서로 다른 범위의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들로 세분화될 수 있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는 적어도 세 개의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감지 신호(SES)는 디스플레이 패널(DA)의 변형 여부, 변형 정도 및/또는 변형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감지 신호(SES)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 및/또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는 선택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표시하고자 하는 소정의 영상을 선택된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 매칭하여 영상 데이터(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선택 신호는 제어 신호(CS)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전체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선택 신호는 타이밍 제어부(113)로 공급되어, 영상 변환부(11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 부합되는 영상 데이터(DATA)도 타이밍 제어부(113)로 공급될 수 있다.
센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환경 및/또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부 또는 그 주변에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변형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SES)를 출력하는 감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130)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센서(130)는 현재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감지 소자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동되는 기간 동안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휘도가 감소하는 그라데이션 영상을 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과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에서 급격한 휘도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한 두 디스플레이 영역들, 예컨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AA1, AA2)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제1 및 제2 화소들(P1, P2) 사이의 열화 편차가 저감 또는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시간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동된 이후 전체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어 구동되더라도, 디스플레이 영역(DA)에서 잔상이 발생하거나 시인되는 것을 저감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의 구동 방법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 8 및 도 9와 유사 또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의 사용 환경, 상태 및/또는 조건 등에 따라, 제1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모드는 앞서 설명한 전체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130)로부터 제1 감지 신호(SES1)가 공급될 때, 제1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감지 신호(SES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펼쳐진 상태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변형되었을 경우에만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감지 신호(SES1)의 발생이 생략될 수도 있다.
센서(130)로부터 제1 감지 신호(SES1)가 입력되거나 또는 소정의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프로세서(120)는 제1 모드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1 모드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영역(DA) 전체를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하고,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영역(DA) 전체에 매칭하여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생성한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제1 모드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신호(CS1)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CS1)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제어 신호(CS1)에는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드, 즉 제1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선택 신호(SLS1)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선택 신호(SLS1)의 생성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로부터 소정의 선택 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제1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로부터 제1 선택 신호(SLS1)가 공급되거나 또는 소정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제1 모드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제1 모드에 대응하여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신호(DS1)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선들(D)을 통해 제1 및 제2 화소들(P1, P2)로 공급한다.
예컨대, 타이밍 제어부(113)는 제1 제어 신호(CS1)를 이용하여 주사 제어 신호(SCS) 및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생성하고, 이를 각각 주사 구동부(111) 및 데이터 구동부(112)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13)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재정렬하여 데이터 구동부(112)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면, 주사 구동부(111)는 주사 제어 신호(SCS)에 대응하여 주사 신호(SS)를 생성하고, 상기 주사 신호(SS)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배치된 수평 화소열들의 주사선들(S)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구동부(112)는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대응하여 제1 데이터 신호(DS1)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신호(DS1)를 데이터선들(D)로 공급할 수 있다.
해당 수평 기간 동안 주사 신호(SS)를 공급받는 수평 화소열로는 데이터 구동부(112)로부터의 제1 데이터 신호(DS1)가 입력될 수 있다. 즉, 제1 데이터 신호(DS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배치된 수평 화소열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평라인 분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수평라인 분의 데이터 신호는 해당 수평 기간 동안 해당 수평 화소열의 제1 및 제2 화소들(P1, P2)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DA)의 전체에서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대응하는 소정의 유효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의 구동 방법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3a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조건(또는 그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b는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 및/또는 상기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 13a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펼쳐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3b에서는 데이터 구동부의 실시예적 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함께 도시하였다. 추가적으로,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데이터의 변환 방법을 나타낸다.
우선, 도 12 내지 도 1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의 사용 환경, 상태 및/또는 조건 등에 따라,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모드는 앞서 설명한 부분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130)로부터 제2 감지 신호(SES2)가 공급될 때,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감지 신호(SES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변형된 상태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센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소정의 회전 각도 이상으로 아웃-폴딩되었을 때, 제2 감지 신호(SES2)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130)로부터 제2 감지 신호(SES2)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2 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영역(DA) 중 일부 영역을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영역을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이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이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기간 동안 프로세서(120)는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매칭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대응하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한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CS2)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CS2)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제어 신호(CS2)에는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드, 즉 제2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선택 신호(SLS2)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제2 선택 신호(SLS2)에 대응하여 제2 모드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DATA2')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신호(DS2)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영상 변환부(114)를 포함한다.
영상 변환부(114)는 제2 모드에 대응하여 프로세서(120)로부터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수신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변환한다.
실시예에 따라, 그라데이션 영상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적어도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인접한 영역에서 표시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서 멀어질수록 휘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일례로, 그라데이션 영상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제공된 화소열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열,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에 인접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의 마지막 수직 화소열의 휘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킨 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변환부(114)는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의 마지막 수직 화소열의 계조 값을 이용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변환부(114)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의 마지막 수직 화소열의 계조 값을 이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이 첫 번째 내지 J번째(J는 2 이상의 자연수) 수직 화소열들(VL1 내지 VLJ)을 포함한다고 할 때, 영상 변환부(114)는 각 수평라인 분의 라인 데이터(LD1, LD2, …)에 포함된 J번째 계조 값(D1[J], D2[J], …)에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소정의 차감 값(x; x는 최소 계조 값(예컨대, "0")과 최고 계조 값(예컨대, "255") 사이의 계조 값)을 적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변환부(114)는, 첫 번째 수평라인 분의 라인 데이터(LD1) 중, J+1 번째 수직 화소열(VLJ+1)을 포함한 복수의 수직 화소열의 계조 값, 예컨대 J+1 번째 내지 J+3번째 수직 화소열(VLJ+1 내지 VLJ+3)의 계조 값(D1[J+1], D1[J+2], D1[J+3])을, J번째 계조 값(D1[J])으로부터 각각 x값만큼, 2x값만큼, 및 3x값만큼 차감한 만큼의 계조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영상 변환부(114)는 직전 수직 화소열의 계조 값을 일정한 값만큼 순차적으로 차감함에 의해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첫 번째 수평라인 분의 라인 데이터(LD1)에 포함된 J+1 번째 계조 값(D1[J+1])은 J번째 계조 값(D1[J])에서 소정의 x값만큼 차감한 값일 수 있으며, J+2 번째 계조 값(D1[J+2])은 J+1번째 계조 값(D1[J+1])에서 x값만큼 차감한 만큼의 계조 값일 수 있다.
즉, 영상 변환부(114)는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하기 위하여, 일례로 J번째 수직 화소열(VLJ)의 계조 값(D1[J], D2[J], …)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변환부(114)는 상기 J번째 수직 화소열(VLJ)의 계조 값(D1[J], D2[J], …)을 저장하거나, 홀딩 또는 지연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변환부(114)는 플립 플롭(flip flop: FF)을 이용하여 J번째 수직 화소열(VLJ)의 계조 값(D1[J], D2[J], …)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영상 변환부(114)가 계조 값을 변경하는 대상인 수직 화소열(VL)의 개수와, 이에 대응하여 그라데이션 영상이 표시되는 그라데이션 영역(GRA)의 크기(또는 폭)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영상 변환부(114)는 각 수평라인 분의 라인 데이터(LD) 중 그라데이션 영역(GRA)에 대응하는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가 소정의 최소 계조 이하의 계조 값(예컨대, "0"또는 "1")을 가질 때까지 상기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그라데이션 영역(GR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입력된 계조 값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그라데이션 영역(GR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해당하는 계조 값은 최소 계조(예컨대, 블랙 계조)에 대응하는 값(예컨대, "0")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영상 변환부(114)가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하는 방법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변환부(114)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의 마지막 J번째 수직 화소열(VLJ)의 계조 값(D1[J])에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비율 값을 적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례로, 영상 변환부(114)는, 첫 번째 수평라인 분의 라인 데이터(LD1)에 포함된 J번째 계조 값(D1[J])에, 각각 (255-y)/255, (255-2y)/255, (255-3y)/255을 곱하여 J+1 번째 내지 J+3번째 수직 화소열(VLJ+1 내지 VLJ+3)의 계조 값을 생성함으로써, 첫 번째 수평 화소열에 대응하는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y는 최소 계조 값(예컨대, "0")과 최고 계조 값(예컨대, "255") 사이의 계조 값일 수 있다.
또는, 영상 변환부(114)는 직전 수직 화소열의 계조 값에 일정한 비율 값, 예컨대, (255-y)/255을 순차적으로 곱함으로써,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첫 번째 수평라인 분의 라인 데이터(LD1)에 포함된 J+1 번째 계조 값(D1[J+1])은 J번째 계조 값(D1[J])에서 소정의 비율 값(예컨대, (255-y)/255)을 곱한 값일 수 있으며, J+2 번째 계조 값(D1[J+2])은 J+1번째 계조 값(D1[J+1])에 상기 소정의 비율 값((255-y)/255)을 곱한 값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영상 변환부(114)는 각 수평라인 분의 라인 데이터(LD) 중 그라데이션 영역(GRA)에 대응하는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가 소정의 최소 계조 이하의 계조 값(예컨대, "0"또는 "1")을 가질 때까지 상기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라데이션 영역(GRA)의 크기나 범위 등을 미리 설정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의 마지막 수직 화소열(VLJ)의 계조 값(D1[J1], D2[J], …)과 상기 그라데이션 영역(GRA)의 크기를 고려하여, 차감 값 또는 비율 값 등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일례로, 그라데이션 영역(GRA)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DA)에서 차지하는 최대 비율(예컨대, 2% 미만) 또는 그 범위 등을 미리 설정하고, 이에 맞춰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하기 위한 차감 값 또는 비율 값 등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 변환부(114)에 의해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데이터 구동부(112)로 공급된다. 그러면, 데이터 구동부(112)는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DATA2') 및 데이터 제어 신호(DCS)에 대응하여 제2 데이터 신호(DS2)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출력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112)는 복수의 서브 데이터 구동부들, 예컨대 제1 내지 제3 데이터 구동부(112a, 112b, 112c)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데이터 구동부(112)는 랜드스케이프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응하여 복수의 칩 또는 블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데이터 구동부(112)로부터 제2 데이터 신호(DS2)를 공급받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2 데이터 신호(DS2)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인접한 일부의 영역(그라데이션 영역(GRA))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나머지 영역의 화소들(예컨대, J+4번째 내지 M번째 수직 화소열(VLJ+4 내지 VLM)에 배치된 제2 화소들(P2))은 비발광하도록 오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데이션 영역(GRA)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은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포함된 화소열, 예컨대, J번째 수직 화소열(VLJ)의 계조 값에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차감 값을 적용하거나,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비율 값을 적용하는 등 비교적 단순한 로직(logic)을 적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구동부(110)(일례로, TED D-IC)의 크기(size)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급격한 휘도 변화를 방지 또는 완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화소들(P1, P2) 사이의 열화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포함된 수직 화소열들(VL1 내지 VLJ) 중 마지막 하나의 수직 화소열, 즉 J번째 수직 화소열(VLJ)의 계조 값을 이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포함된 수직 화소열들(VL1 내지 VLJ) 중 두 개 이상의 수직 화소열들, 예컨대 J-1번째 및 J번째 수직 화소열들(VLJ-1, VLJ)의 계조 값을 이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례로, J-1번째 및 J번째 수직 화소열들(VLJ-1, VLJ)의 계조 값의 중간 값(또는 평균 값) 등을 이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의 마지막 화소열(예컨대, J번째 수직 화소열(VLJ))로부터,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열들(상기 최외각 수직 화소열에 인접한 두 개 이상의 수직 화소열들(일례로, VLJ+1 내지 VLJ+3))에 이르기까지 상기 마지막 화소열(VLJ)의 계조 값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를 생성하는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그라데이션 데이터(D1[J+1], D1[J+2], D1[J+3], D2[J+1], D2[J+2], D2[J+3], …)에 대응하는 그라데이션 영상은 케이스(200) 등에 의해 가려지는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에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는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그라데이션 영상은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5a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조건(또는 그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15b는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 및/또는 상기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 15a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펼쳐서 도시한 것이며, 그 외에 데이터 구동부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 16a 및 도 16b는 각각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데이터의 변환 방법을 나타낸다. 도 15a 내지 도 16b를 설명함에 있어, 도 13a 내지 도 14b의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5a 내지 도 15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DA)은 포트레이트 형태로 배치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은 각각 제1 화소들(도 9의 P1) 및 제2 화소들(도 9의 P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화소들(P1)과 제2 화소들(P2)은 서로 다른 수평 화소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기간 동안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은 소정의 유효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은 그라데이션 영상 및/또는 블랙 계조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인접한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그라데이션 영역(GRA)일 수 있고, 나머지 영역은 오프되어 블랙 계조를 표시하는 오프 영역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그라데이션 영역(GRA)의 제2 화소들(P2)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기간 동안 데이터 구동부(112)로부터 공급되는 제2 데이터 신호(DS2)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휘도가 감소하는 그라데이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이 상하로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기간 동안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서만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의 마지막 수평 화소열의 계조 값을 이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에 배치된 복수의 수평 화소열들의 계조 값을 이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이 첫 번째 내지 K번째(K는 2 이상의 자연수) 수평 화소열들(HL1 내지 HLK)을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이 K+1번째 내지 N(N은 K보다 큰 자연수)번째 수평 화소열들(HLK+1 내지 HLN)을 포함한다고 할 때,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의 마지막 K번째 수평 화소열(HLK)에 대응하는 K번째 라인 데이터(LDK)의 계조 값(DK[1], DK[2], DK[3], …)을 이용하여 K+1번째 수평 화소열(HLK+1)을 포함한 복수의 수평 화소열들(예컨대, HLK+1 내지 HLK+3)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평라인 분의 그라데이션 데이터(DK+1[1], DK+1[2], DK+1[3], …, DK+2[1], DK+2[2], DK+2[3], …, DK+3[1], DK+3[2], DK+3[3], …)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영상 변환부(114)는 적어도 K번째 라인 데이터(LDK)를 저장하기 위한 라인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K번째 라인 데이터(LDK)의 계조 값(DK[1], DK[2], DK[3], …)에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소정의 차감 값(x)을 적용함에 의해 K+1번째 내지 K+3번째 라인 데이터(LDK+1 내지 LDK+3)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라인 데이터(LDK+1 내지 LDK+3)를 그라데이션 데이터(DK+1[1], DK+1[2], DK+1[3], …, DK+2[1], DK+2[2], DK+2[3], …, DK+3[1], DK+3[2], DK+3[3], …)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번째 라인 데이터(LDK)의 첫 번째 계조(DK[1]) 값에서 소정의 값(x)을 차감한 값을, K+1번째 라인 데이터(LDK+1)의 첫 번째 계조 값(DK+1[1])으로 변경하고, K번째 라인 데이터(LDK)의 두 번째 계조 값(DK[2])에서 소정의 값(x)을 차감한 값을, K+1번째 라인 데이터(LDK+1)의 두 번째 계조 값(DK+1[2])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K번째 라인 데이터(LDK)의 첫 번째 계조 값(DK[1])에서 소정의 값(2x)을 차감한 값을, K+2번째 라인 데이터(LDK+2)의 첫 번째 계조 값((DK+2[1]))으로 변경하고, K번째 라인 데이터(LDK)의 두 번째 계조 값(DK[2])에서 소정의 값(2x)을 차감한 값을, K+2번째 라인 데이터(LDK+2)의 두 번째 계조 값((DK+2[2]))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K+1번째 라인 데이터(LDK+1)의 첫 번째 계조 값(DK+1[1])에서 소정의 값(x)을 차감한 값을, K+2번째 라인 데이터(LDK+2)의 첫 번째 계조 값(DK+2[1])으로 변경하고, K+1번째 라인 데이터(LDK+1)의 두 번째 계조 값(DK+1[2])에서 소정의 값(x)을 차감한 값을, K+2번째 라인 데이터(LDK+2)의 두 번째 계조 값(DK+2[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K번째 라인 데이터(LDK) 또는 직전의 라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DK+1[1], DK+1[2], DK+1[3], …, DK+2[1], DK+2[2], DK+2[3], …, DK+3[1], DK+3[2], DK+3[3], …)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비율 값을 적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DK+1[1], DK+1[2], DK+1[3], …, DK+2[1], DK+2[2], DK+2[3], …, DK+3[1], DK+3[2], DK+3[3], …)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K번째 라인 데이터(LDK)에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비율 값(예컨대, (255-y)/255, (255-2y)/255, (255-3y)/255)을 적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DK+1[1], DK+1[2], DK+1[3], …, DK+2[1], DK+2[2], DK+2[3], …, DK+3[1], DK+3[2], DK+3[3], …)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직전 라인 데이터에 일정한 비율 값(예컨대, (255-y)/255)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수평라인 분의 그라데이션 데이터(DK+1[1], DK+1[2], DK+1[3], …, DK+2[1], DK+2[2], DK+2[3], …, DK+3[1], DK+3[2], DK+3[3], …)를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그라데이션 데이터(DK+1[1], DK+1[2], DK+1[3], …, DK+2[1], DK+2[2], DK+2[3], …, DK+3[1], DK+3[2], DK+3[3], …)를 생성하는 동작은, 마지막으로 생성된 그라데이션 데이터(DK+3[1], DK+3[2], DK+3[3], …)가 소정의 최소 계조 이하의 계조 값(예컨대, "0"또는 "1")을 가질 때까지 실행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변환부를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영상 변환부(114)는 메모리(1141) 및 데이터 변경부(114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변환부(114)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기간 동안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공급받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변환부(114)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에 포함된 K번째 라인 데이터(LDK)를 이용하여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141)는 적어도 한 수평라인 분의 라인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또는 플립 플롭 등의 메모리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메모리(1141)는 K번째 라인 데이터(LDK), 또는 각 수평라인 분의 라인 데이터(LD) 중 J번째 계조 값(D1[J], D2[J], …)을 수신하고, 이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변경부(1142)는 메모리(1141)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변환한다. 일례로, 데이터 변경부(1142)는 K번째 라인 데이터(LDK)를 이용하여 K+1번째 내지 K+3번째 라인 데이터(LDK+1 내지 LKD+3)를 점진적으로 계조 값이 감소되는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영상 데이터(DATA2)에 포함된 K+1번째 내지 K+3번째 라인 데이터(LDK+1 내지 LKD+3)는 블랙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값(예컨대, "0")을 가지고,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DATA2')에 포함된 K+1번째 내지 K+3번째 라인 데이터(LDK+1 내지 LKD+3)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계조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데이터가 생성되면, 데이터 변경부(1142)는 그라데이션 영역(GRA)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배치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8을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T100: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 감지 단계>
우선,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1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변형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SES1 또는 SES2)를 프로세서(120)로 출력할 수 있다.
<ST200: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단계>
감지 신호(SES1 또는 SES2)를 수신한 프로세서(120)는 상기 감지 신호(SES1 또는 SES2)에 대응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소정의 기준 값 이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변형이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2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그 외의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모드를 선택하고, 제1 모드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ST310: 제1 영상 데이터 생성 단계>
제1 모드가 선택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가 선택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제어 신호(CS1)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CS1)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ST320: 제1 데이터 신호 생성 단계>
프로세서(120)로부터 제1 제어 신호(CS1) 및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신호(DS1)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공급할 수 있다.
<ST330: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제1 데이터 신호(DS1)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기 제1 데이터 신호(DS1)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1, AA2)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영역(DA) 전체를 활용하여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ST410: 제2 영상 데이터 생성 단계>
한편, 제2 모드가 선택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표시하고자 하는 유효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부합되도록 매칭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가 선택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2 제어 신호(CS2)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CS2)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ST420: 제2 영상 데이터 변환 단계>
프로세서(120)로부터 제2 제어 신호(CS2) 및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변환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구동부(110)에 구비되는 영상 변환부(114)는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변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변환부(114)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변환부(114)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제공된 화소열들 중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에 인접한 마지막 화소열의 계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의 적어도 일부 화소열들에 대응하는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T430: 제2 데이터 신호 생성 단계>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구동부(110)는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DATA2')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신호(DS2)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구동부(110)에 구비되는 데이터 구동부(112)는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이용하여 제2 데이터 신호(DS2)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신호(DS2)를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공급할 수 있다.
<ST440: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유효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제2 데이터 신호(DS2)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기 제2 데이터 신호(DS2)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만을 활용하여 유효 영상을 표시하되,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는 그라데이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서 유효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제1 디스플레이 영역(AA1)에 인접한 일부 영역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AA2) 중 나머지 영역의 제2 화소들(P2)은 오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또한,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110: 디스플레이 구동부
111: 주사 구동부 112: 데이터 구동부
113: 타이밍 제어부 114: 영상 변환부
120: 프로세서 130: 센서
AA1, AA2, DA: 디스플레이 영역 200: 케이스

Claims (20)

  1.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1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영상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표시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그라데이션 영상의 휘도가 점진적으로 감소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영상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공된 화소열들 중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마지막 화소열의 휘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킨 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그라데이션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공된 화소열들 중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마지막 화소열의 계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마지막 화소열의 계조 값에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차감 값을 적용하여 상기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마지막 화소열의 계조 값에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비율 값을 적용하여 상기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그라데이션 데이터가 소정의 최소 계조 이하의 계조 값을 가질 때까지 상기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상기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주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주사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주사 신호를 생성하는 주사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소정의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인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폴딩 축을 기준으로 아웃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로 구동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 및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에 대응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그라데이션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공된 화소열들 중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마지막 화소열의 계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 화소열들에 대응하는 그라데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유효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한 일부 영역에서 상기 그라데이션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중 나머지 영역의 화소들을 오프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70065434A 2017-05-26 2017-05-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421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434A KR102421673B1 (ko) 2017-05-26 2017-05-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5/883,502 US10777115B2 (en) 2017-05-26 2018-01-3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434A KR102421673B1 (ko) 2017-05-26 2017-05-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071A true KR20180130071A (ko) 2018-12-06
KR102421673B1 KR102421673B1 (ko) 2022-07-19

Family

ID=6440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434A KR102421673B1 (ko) 2017-05-26 2017-05-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77115B2 (ko)
KR (1) KR102421673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7758A (zh) * 2019-03-06 2020-09-15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00115830A (ko) * 2019-03-27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10013485A (ko) * 2019-07-26 2021-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27628A (ko) * 2019-08-29 2021-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10072563A (ko) * 2019-12-09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함 영역을 검출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72862A (ko) * 2019-12-09 2021-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부분 구동 모드를 지원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10077209A (ko) * 2019-12-17 2021-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11151928B2 (en) 2019-12-02 2021-10-19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US11217178B2 (en) 2019-06-05 2022-01-0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3963658A (zh) * 2020-07-21 2022-01-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亮度补偿方法及亮度数据确定方法、装置、芯片
US11250749B2 (en) 2019-12-30 2022-02-15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US12008956B2 (en) 2021-02-09 2024-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reducing afterimage of display
US12014661B2 (en) 2020-07-31 2024-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display burn-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353539S (en) * 1990-07-20 1994-12-20 Norden Pac Development Ab Combined tube and cap
USD885381S1 (en) * 2017-10-11 2020-05-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93475S1 (en) * 2017-10-11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20190180679A1 (en) * 2017-12-12 2019-06-13 Google Llc Display calibration to minimize image retention
CN111261081B (zh) * 2018-11-30 2021-10-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显示方法及装置
JP7301532B2 (ja) * 2018-12-13 2023-07-03 シナプ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表示ドライバ、装置及び表示パネル駆動方法
US11508277B2 (en) * 2019-02-23 2022-11-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driving system, display module, method for driving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WO2020177124A1 (zh) * 2019-03-07 2020-09-10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显示装置和电子装置
CN111128029B (zh) * 2019-12-31 2021-02-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面板以及折叠显示装置
CN111210774B (zh) * 2020-03-16 2021-10-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亮度补偿方法、装置及显示设备
KR20210119002A (ko) * 2020-03-23 2021-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통신 방법
CN114495840B (zh) * 2020-11-11 2024-07-09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102454533B1 (ko) * 2021-01-12 2022-10-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EP4250282A4 (en) * 2021-06-07 2024-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202160A1 (zh) * 2022-04-18 2023-10-26 荣耀终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以及终端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5041A1 (en) * 2012-02-21 2013-08-22 Yongsin Kim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50253884A1 (en) * 2014-03-04 2015-09-10 Sung Jae Hwang Determination of bezel area on flexible display
KR20160029222A (ko) * 2014-09-04 2016-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863A (ko) * 2012-07-03 2014-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217056B1 (ko) * 2014-03-10 2021-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247667B1 (ko) 2014-03-21 2021-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50097B1 (ko) 2015-04-30 2022-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5041A1 (en) * 2012-02-21 2013-08-22 Yongsin Kim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50253884A1 (en) * 2014-03-04 2015-09-10 Sung Jae Hwang Determination of bezel area on flexible display
KR20160029222A (ko) * 2014-09-04 2016-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135A (ko) * 2019-03-06 2020-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1667758A (zh) * 2019-03-06 2020-09-15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00115830A (ko) * 2019-03-27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1217178B2 (en) 2019-06-05 2022-01-0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10013485A (ko) * 2019-07-26 2021-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27628A (ko) * 2019-08-29 2021-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1151928B2 (en) 2019-12-02 2021-10-19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10072563A (ko) * 2019-12-09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함 영역을 검출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72862A (ko) * 2019-12-09 2021-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부분 구동 모드를 지원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1217136B2 (en) 2019-12-09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supporting a partial driving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KR20210077209A (ko) * 2019-12-17 2021-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11250749B2 (en) 2019-12-30 2022-02-15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13963658A (zh) * 2020-07-21 2022-01-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亮度补偿方法及亮度数据确定方法、装置、芯片
US12014661B2 (en) 2020-07-31 2024-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display burn-in
US12008956B2 (en) 2021-02-09 2024-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reducing afterimage of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673B1 (ko) 2022-07-19
US10777115B2 (en) 2020-09-15
US20180342192A1 (en)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007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001890B1 (ko) 액정표시장치
US1122260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CN109754751B (zh) 显示装置
US20140118377A1 (en) Display driver circuit,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125075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80036904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842690B2 (en) Scan driv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I444973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及驅動該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的方法
KR102246078B1 (ko) 표시장치
US1163682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462171B2 (en) Gate driving circuit and flexible display using the same
CN101738755A (zh) 液晶显示器、环境光的估计方法和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
CN114120922B (zh) 显示装置及包括该显示装置的电子装置
US20220148522A1 (en)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602140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US2011011577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58633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609110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및 제조 방법
US20050057475A1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on one screen
KR101989931B1 (ko) 액정표시장치
US11657749B2 (en) Display device having adjusted driving voltage based on change in image signal
KR20190050333A (ko) 표시 장치
KR20220036174A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20240212617A1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