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863A -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863A
KR20140004863A KR1020120072085A KR20120072085A KR20140004863A KR 20140004863 A KR20140004863 A KR 20140004863A KR 1020120072085 A KR1020120072085 A KR 1020120072085A KR 20120072085 A KR20120072085 A KR 20120072085A KR 20140004863 A KR20140004863 A KR 20140004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image information
flexible display
concav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863A/ko
Priority to US13/934,603 priority patent/US20140009449A1/en
Publication of KR20140004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휘어짐 정도에 대응되게 영상 정보를 변형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은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휘어짐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휘어짐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휘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휘어졌다면 볼록한지 또는 오목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볼록한 경우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줄임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고, 오목한 경우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늘림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는 단계; 및 상기 볼록한 경우에 대응되게 변형된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오목한 경우에 대응되게 변형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 및 장치{DISPLAY METHOD AND APPARATUS IN TERMINAL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휘어짐 정도에 대응되게 영상 정보를 변형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가 경량화 및 단순화되면서, 터치 패널과 표시 패널을 일체화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전자 기기의 표시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 최근 들어,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주목받고 있다.
플랙시블 표시 패널은 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 것이다. 플랙시블 표시 패널은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플랙시블 표시 패널은 떨어뜨려도 부서지지 않는 경박(輕薄)성을 가지고 있어 다루기에 수월하며, 곡면형성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의 응용 영역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소재이다.
그런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휘어질 경우, 이미지가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시야에서 먼 곳은 작게 보이고 가까운 곳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보이기 때문에, 이미지가 원본과 달리 왜곡되어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휘어짐 정도에 대응되게 영상 정보를 변형하여 표시함으로써 플랙시블 표시패널이 휘어지더라도 영상이 왜곡되지 않게 보일 수 있도록 한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은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휘어짐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휘어짐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휘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휘어졌다면 볼록한지 또는 오목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볼록한 경우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줄임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고, 오목한 경우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늘림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는 단계; 및 상기 볼록한 경우에 대응되게 변형된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오목한 경우에 대응되게 변형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플랙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에 설치된 센서들을 포함하여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변형을 감지하는 변형 감지부; 및 상기 변형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변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휘어짐 정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휘어짐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휘어졌는지 여부 및 휘어졌다면 볼록한지 또는 오목한지 여부를 결정하며, 볼록한 경우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줄임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고, 오목한 경우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늘림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며, 상기 볼록한 경우에 대응되게 변형된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오목한 경우에 대응되게 변형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방법 및 장치는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휘어짐 정도에 대응되게 영상 정보를 변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랙시블 표시패널이 휘어지더라도, 사용자는 왜곡되지 않은 영상을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감지부의 배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표시패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이는 영상 정보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변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멀티미디어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TV, 내비게이션 장치 및 비디오폰 등과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멀티미디어 기기가 융합된 기기(예, 통신 기능 및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는 플랙시블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저장부(130), 무선통신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스피커(SPK), 마이크(MIC), 변형 감지부(160) 및 제어부(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랙시블 터치스크린(110; 이하 줄여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플랙시블 터치패널(111; 이하 줄여 '터치패널')과 플랙시블 표시 패널(112; 이하 줄여 '표시패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패널(111)은 변형 가능한(flexible)한 필름 타입으로써, 표시패널(112)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111)은 표시패널(112)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패널(112)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터치패널(111)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전달된 터치이벤트로부터 사용자의 제스처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170)는 터치 지점, 터치의 이동 거리, 터치의 이동 방향, 터치의 빠르기 및 터치의 압력 등을 검출하여 상기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제스처는 크게, 터치(Touch)와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로 구분된다. 다시 터치 제스처는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플릭(Flick) 및 프레스(Pr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입력 수단(예,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접촉하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touch-off)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플릭은 튀기듯이, 드래그에 비해 터치 입력 수단을 빠르게 이동시킨 다음 터치 해제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프레스는 터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다. 즉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터치제스처는 터치가 터치스크린에 접촉(touch-on)해서 터치 해제(touch-off)까지의 터치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터치패널(111)은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지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압력 정보는 제어부(170)로 전달되고, 제어부(170)는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터치와 프레스를 구분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및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패널(112)은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패널(112)은 장치(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줄여서 '앱(App)') 실행 화면, 키패드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패널(112)이 켜지면, 표시패널(112)에 표시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제스처가 검출되면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changing)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앱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앱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앱 아이콘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예, 아이콘을 탭)되면 제어부(170)는 해당 앱(예, 동영상 플레이어)을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을 표시패널(112)에 표시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장치(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이벤트(예, 표시 온/오프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저장부(130)는 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장치(100)에서 발생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영상 정보 예컨대, 이미지, 문서, 비디오, 메시지, 메일, 뮤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터치스크린(110)이 표시하는 상기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화면 밝기, 터치 발생 시 진동 여부, 화면의 자동 회전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코덱(codec),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및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40)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4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와 결합하여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을 위한 오디오 신호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150)는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MIC)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50)은 제어부(17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D/A 변환한 후,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마이크(MIC)으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데이터로 A/D 변환한 후, 오디오 데이터를 제어부(170)로 제공한다. 스피커(SPK)는 오디오 처리부(150)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MIC)는 사람이나 기타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변형 감지부(160)는 표시패널(112)의 변형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변형 감지부(160)는 변형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예컨대, 애드 온 타입(add-on type),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 등으로 플랙시블 표시 패널(112)에 설치되어, 각자 위치에서의 변형 정보를 검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감지부의 배열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변형 감지부(160)의 센서들(161 내지 169)은 플랙시블 표시 패널(112)에 그리드 형태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표시패널(112)의 변형될 경우 센서들(161 내지 169) 간의 거리들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센서들(161 내지 169)은 각각, 거리 변화에 대응되는 변형 정보(예, 전압 변화량(
Figure pat00001
))을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도 2에서 센서들은 총 9개로 예시되었으나, 9개라는 수는 단지 설명의 편의상 단순화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센서들은 그리드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장치(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CPU 및 GPU는 각각, 두 개 이상의 독립 코어(예, 쿼드 코어(quad-core))가 단일 집적 회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하나의 칩으로 통합(SoC; 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도 있다. CPU 및 GPU를 포함하는 구성을 AP(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변형 감지부(160)로부터 변형 정보를 수신하고, 변형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패널(112)의 휘어짐 정도(방향과 크기)를 산출한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표시패널(112)의 변형이 없을 때(즉, 평평할 때)의 각 센서들(161 내지 169)의 초기 좌표 값을 이미 알고 있다. 여기서 각 센서들((161 내지 169)의 초기 좌표 값은 예컨대, 가운데에 위치한 센서(165)의 좌표 값(예, (0, 0, 0))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좌표 값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변형 감지부(160)로부터 변형 정보의 입력을 검출한다. 제어부(170)는 검출된 변형 정보(예컨대, 전압 변화량(
Figure pat00002
))을 위치 변화량(
Figure pat00003
)으로 변환하고, 위치 변화량을 상기 초기 좌표 값과 합하여 각 센서들(161 내지 169)의 현재 좌표 값들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70)는 산출된 현재 좌표 값들을 이용하여 각 센서들(161 내지 169)의 각도들을 산출한다. 여기서 산출된 각도들은 각각, 롤각(roll angle)(Φ), 피치각(pitch angle)(θ) 및 요각(yaw angle)(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롤각(Φ)은 X축을 중심으로 한 각도를 나타내고, 피치각(θ)은 Y축을 중심으로 한 각도를 나타내며, 요각(ψ)은 Z축을 중심으로 한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각 센서들(161 내지 169)에 대해 산출된 각도 값들을 이용하여 표시패널(112)이 휘어졌는지 여부와, 휘어졌다면 볼록한지 오목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휘어졌는지 여부, 볼록한지 오목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일례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정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표시패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이는 영상 정보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제어부(170)는 각 각도 값들의 롤각(Φ), 피치각(θ) 및 요각(ψ) 중 가장 큰 값을 해당 각도 값의 대표 값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대표 값들을 평균하고, 평균값이 -5도에서 +5도의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 표시패널(112)이 휘어지지 않은(즉, 평평한) 것으로 결정한다.
제어부(170)는 평균값이 상기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표시패널(112)이 휘어진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평균값이 음의 값(예, -50도)인 경우, 표시패널(112)이 볼록하게 휜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볼록은 예컨대, 표시패널(112)의 양 모서리가 뒤로 휘어 있는 모양 즉, 사람이 표시패널(112)을 봤을 때 양 모서리가 중앙보다 멀리 있는 모양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평균값이 양의 값(예, +50도)인 경우, 표시패널이 오목하게 휜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오목은 예컨대, 표시패널(112)의 중앙이 뒤로 휘어 있는 모양 즉, 사람이 표시패널(112)을 봤을 때 중앙이 양 모서리보다 멀리 있는 모양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패널(112)이 휘어진 경우, 표시패널(112)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는 표시패널(112)이 평평했을 때와 비교하여, 원근감과 시야각에 의해 왜곡되어 보일 수 있다. 즉 영상 정보가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이 발생된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평평한 표시패널(112)을 통해 이미지(300)를 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눈은 표시패널(112)과 직각을 이루는 제 1 지점(A)에 위치할 수도 있고 표시패널(112)에 대해 오른쪽(양의 X축 방향)으로 비스듬한 제 2 지점(B)에 위치할 수도 있다.
표시패널(112)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하게 휘어졌을 경우, 눈의 위치(A 또는 B)에서 이미지(300')의 바깥쪽이 중앙보다 멀리 있게 된다. 또한 바깥쪽으로 갈수록 시야각이 좁아진다. 따라서 중앙이 늘어져 보이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눈이 표시패널(112)과 비스듬한 제 2 지점(B)에 위치할 경우, 중앙이 늘어져 보이는 현상과 함께 바깥쪽으로 갈수록 이미지(300')가 아래(음의 Y축 방향; 도 4 참조)로 처져 보이는 현상(C)이 발생될 수 있다.
표시패널(112)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휘어졌을 경우, 눈의 위치(A 또는 B)에서 이미지(300'')의 중앙이 바깥쪽보다 멀리 있게 된다. 또한 바깥쪽으로 갈수록 시야각이 좁아진다. 따라서 중앙이 좁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때, 눈이 표시패널(112)과 비스듬한 제 2 지점(B)에 위치할 경우, 중앙이 좁게 보이는 현상과 함께 바깥쪽으로 갈수록 이미지(300'')가 위로(양의 Y축 방향; 도 5 참조) 치켜 올라가 보이는 현상(D)이 발생된다.
제어부(170)는 표시패널(112)이 휘어졌을 때 영상 정보가 왜곡되어 보이지 않게 영상 정보를 변형하고, 변형된 영상 정보를 표시패널(112)에 표시한다. 이러한 영상 정보 변형 방법은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는 GPS 모듈, 진동 모터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4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들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플랙시블 터치스크린(110)은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즉 단계 610에서 제어부(170)는 플랙시블 터치스크린(110)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제어부(170)는 키 입력부(120)로부터 표시 온 이벤트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표시 온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단계 630에서 제어부(170)는 변형 감지부(160)로부터 변형 정보(예컨대, 전압 변화량(
Figure pat00004
))를 수신하고, 변형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패널(112)의 휘어짐 정도(예, 각 센서들(161 내지 169)의 각도들)를 산출한다. 여기서 산출된 각도들은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롤각, 피치각 및 요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40에서 제어부(170)는 각 센서들(161 내지 169)에 대해 산출된 각도 값들을 이용하여 표시패널(112)이 휘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휘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표시패널(112)이 휘어지지 않은 경우, 단계 650에서 제어부(170)는 원래의 영상 정보를 표시패널(112)에 표시한다.
표시패널(112)이 휘어진 경우, 단계 660에서 제어부(170)는 휘어짐 정도에 기반하여 영상 정보를 변형한다. 단계 670에서 제어부(170)는 변형된 영상 정보를 표시패널(112)에 표시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단계 66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680에서 제어부(170)는 키 입력부(120)로부터 표시 오프 이벤트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표시 오프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프로세서는 단계 610으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단계 630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변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661에서 제어부(170)는 표시패널(112)이 볼록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볼록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표시패널(112)이 볼록한 경우, 단계 662에서 제어부(170)는 중앙이 바깥쪽보다 늘어져 보이는 현상(도 4 참조)을 보정하기 위해,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줄인다. 이때 크기를 줄이는 정도는 볼록하게 휜 정도에 비례할 수 있다.
단계 663에서 제어부(170)는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가 아래로 처져 보이는 현상(C; 도 4 참조)을 보정하기 위해,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영상 정보의 위치를 위(양의 Y축 방향)로 이동시킨다. 예컨대, 제 1 픽셀값의 (x, y) 좌표가 (5, 0)이고, 제 2 픽셀값의 (x, y) 좌표가 (10, 0)인 경우 제 1 픽셀 값의 좌표는 (5, 0)에서 (5, 5)로 변경되고, 제 2 픽섹 값의 좌표는 (10, 10)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위치 변동의 폭은 볼록하게 휜 정도에 비례할 수 있다.
단계 663은 단계 662에 앞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 663은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패널(112)이 오목한 경우, 단계 664에서 제어부(170)는 중앙이 바깥쪽보다 좁게 보이는 현상(도 5 참조)을 보정하기 위해,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늘린다. 이때 크기를 늘리는 정도는 오목하게 휜 정도에 비례할 수 있다.
단계 665에서 제어부(170)는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가 위로 치켜 올라가 보이는 현상(D; 도 5 참조)을 보정하기 위해,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영상 정보의 위치를 아래(음의 Y축 방향)로 이동시킨다. 예컨대, 제 1 픽셀값의 (x, y) 좌표가 (5, 0)이고, 제 2 픽셀값의 (x, y) 좌표가 (10, 0)인 경우 제 1 픽셀 값의 좌표는 (5, 0)에서 (5, -5)로 변경되고, 제 2 픽섹 값의 좌표는 (10, -10)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위치 변동의 폭은 오목하게 휜 정도에 비례할 수 있다.
단계 665는 단계 664에 앞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 665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장치
110: 플랙시블 터치스크린
111: 플랙시블 터치패널 112: 플랙시블 표시 패널
120: 키 입력부 130: 저장부
140: 무선 통신부 150: 오디오 처리부
160: 변형 감지부 170: 제어부

Claims (11)

  1.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휘어짐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휘어짐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휘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휘어졌다면 볼록한지 또는 오목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볼록한 경우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줄임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고, 오목한 경우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늘림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는 단계; 및
    상기 볼록한 경우에 대응되게 변형된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오목한 경우에 대응되게 변형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볼록한 경우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영상 정보의 위치를 위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고, 오목한 경우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영상 정보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은 사람의 눈을 기준으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양 모서리가 중앙보다 뒤로 휘어 있는 모양이고,
    상기 오목은 사람의 눈을 기준으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중앙이 양 모서리보다 뒤로 휘어 있는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수신한 변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들 각각의 각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X축을 중심으로 한 롤각, Y축을 중심으로 한 피치각 및 Z축을 중심으로 한 요각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6. 플랙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에 설치된 센서들을 포함하여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변형을 감지하는 변형 감지부; 및
    상기 변형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변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휘어짐 정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휘어짐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휘어졌는지 여부 및 휘어졌다면 볼록한지 또는 오목한지 여부를 결정하며, 볼록한 경우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줄임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고, 오목한 경우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늘림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며, 상기 볼록한 경우에 대응되게 변형된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오목한 경우에 대응되게 변형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볼록한 경우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영상 정보의 위치를 위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고, 오목한 경우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영상 정보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수신한 변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들 각각의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센서들 각각의 각도를 기반으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휘어졌는지 여부 및 휘어졌다면 볼록한지 또는 오목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X축을 중심으로 한 롤각, Y축을 중심으로 한 피치각 및 Z축을 중심으로 한 요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에 안착되는 플랙시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구현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의 휘어짐 정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휘어짐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휘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플랙시블 표시 패널이 휘어졌다면 볼록한지 또는 오목한지 여부를 결정하며, 볼록한 경우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줄임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고, 오목한 경우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영상 정보의 크기를 점점 늘림으로써 상기 영상 정보를 변형하며, 상기 볼록한 경우에 대응되게 변형된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오목한 경우에 대응되게 변형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기록 매체.
KR1020120072085A 2012-07-03 2012-07-03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04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085A KR20140004863A (ko) 2012-07-03 2012-07-03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 및 장치
US13/934,603 US20140009449A1 (en) 2012-07-03 2013-07-03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in terminal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085A KR20140004863A (ko) 2012-07-03 2012-07-03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63A true KR20140004863A (ko) 2014-01-14

Family

ID=4987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085A KR20140004863A (ko) 2012-07-03 2012-07-03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09449A1 (ko)
KR (1) KR2014000486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0139A4 (en) * 2014-06-23 2018-01-2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933887B2 (en) 2015-02-05 2018-04-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965037B2 (en) 2015-04-24 2018-05-08 Samsung Display Co., Ltd. Haptic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i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9947383A (zh) * 2019-03-18 2019-06-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0145B (zh) * 2013-10-10 2018-08-10 日本电气株式会社 显示装置、图像变形方法以及存储介质
KR20150139214A (ko) * 2014-06-03 2015-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04378B1 (ko) * 2014-09-04 2021-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EP3220242A4 (en) * 2014-11-13 2018-07-04 Kunshan New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Center Co. Ltd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flexible display device
WO2018098638A1 (zh) * 2016-11-29 2018-06-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拍摄方法和装置
KR102421673B1 (ko) * 2017-05-26 2022-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47943B1 (ko) 2018-01-05 2023-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
KR20200115830A (ko) 2019-03-27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E112020003221T5 (de) * 2019-07-05 2022-04-21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sverarbeitungsvorrichtung, Informationsverarbeitungsverfahren und Programm
CN112394894A (zh) * 2019-08-19 2021-0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显示数据处理、显示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1857368B (zh) * 2020-07-21 2023-04-28 四川京龙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418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US8462106B2 (en) * 2010-11-09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display flexing
KR101306287B1 (ko) * 2011-08-16 2013-09-09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인지 장치
US9007300B2 (en) * 2011-10-14 2015-04-1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process with bend movemen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0139A4 (en) * 2014-06-23 2018-01-2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933887B2 (en) 2015-02-05 2018-04-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965037B2 (en) 2015-04-24 2018-05-08 Samsung Display Co., Ltd. Haptic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i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9947383A (zh) * 2019-03-18 2019-06-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09449A1 (en)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4863A (ko)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20930B1 (ko)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CN105335001B (zh) 具有弯曲显示器的电子设备以及用于控制其的方法
US952404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40284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1999154B1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EP2746924B1 (en) Touch input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2190904B1 (ko)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JP6139397B2 (ja) マウス機能提供方法およびこれを具現する端末
KR102189787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입력 처리 방법
KR20140115731A (ko)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US9921737B2 (en)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260408A1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with external display device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4003585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40004846A (ko)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U2013306644A1 (en)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240257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KR101559091B1 (ko)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19530A (ko) 멀티 터치 핑거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055119B2 (en) Us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electronic device
US20150128031A1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50002312A (ko)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20150059504A (ko) 휴대형 전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05354A (ko) 터치 감응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20140085340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ipulating scale or rotation of graphic on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