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362A - 조절 가능한 롤러 위치를 갖는 덮개를 위한 하부 레일 조립체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롤러 위치를 갖는 덮개를 위한 하부 레일 조립체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362A
KR20180128362A KR1020180058602A KR20180058602A KR20180128362A KR 20180128362 A KR20180128362 A KR 20180128362A KR 1020180058602 A KR1020180058602 A KR 1020180058602A KR 20180058602 A KR20180058602 A KR 20180058602A KR 20180128362 A KR20180128362 A KR 20180128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nel
lower rail
rail hou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스. 골드버그 마이클
Original Assignee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28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44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8Parallel screens moving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2009/405Two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Blinds (AREA)

Abstract

하나의 양태에서, 건축물 구조부용 덮개는 가리개 패널 및 상기 가리개 패널에 결합된 하부 레일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는 레일 하우징 및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연장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이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간에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가 상기 가리개 패널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가리개 패널은 상기 롤러 둘레로 감겨진다. 또한,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롤러의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롤러 위치를 갖는 덮개를 위한 하부 레일 조립체 및 관련 방법{BOTTOM RAIL ASSEMBLY FOR A COVERING WITH ADJUSTABLE ROLLER POSITION AND RELATED METHOD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건축물 구조부용 덮개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하부 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 가리개(roller shade)의 가리개 밴드(shade band)들의 수직 정렬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브라(zebra)형 또는 밴드형 롤러 가리개(roller shade)의 하부 롤러 또는 아이들링(idling) 롤러에 조절 가능한 롤러 위치를 제공하는 하부 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창문, 도어, 아치 길 등과 같은 건축물 구조부에 대해 배치하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유형의 덮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롤러 시트(roller sheet)의 길이를 따라 투명하거나 또는 비치는(sheer) 재료와 광 차단 재료를 교대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재료가 교대로 배치된 밴드들로 형성된 롤러 시트를 포함하는 제브라형 또는 밴드형 롤러 가리개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롤러 가리개에서, 롤러 시트는 일반적으로 헤드 레일 내에 수용된 구동 롤러에 결합된 제1 단부, 및 이 헤드 레일의 일부에 결합되거나 또는 이 헤드 레일 내에 수용된 제2 롤러에 결합된 제2 단부 간에 연장된다. 또한, 이 롤러 시트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아이들링 롤러 둘레로 감겨져서, 아이들링 롤러가 롤러 가리개를 통해 헤드 레일에 대해 현수된다. 그리하여, 구동 롤러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롤러 시트 및 이에 따라 아이들링 롤러가 헤드 레일에 대해 하강되어 롤러 시트가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게 된다. 유사하게, 구동 롤러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롤러 시트 및 이에 따라 아이들링 롤러가 헤드 레일에 대해 상승되어 롤러 시트가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건축물 구조부에 대해 밴드형 롤러 가리개를 설치할 때, 롤러 가리개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하강될 때 교대로 배치된 가리개 밴드들이 서로에 대해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롤러 가리개가 비치는 재료와 광 차단 재료가 교대로 배치된 밴드들을 포함할 때, 가리개의 후방에 위치된 각각의 광 차단 밴드가 가리개의 전방에 위치된 대응하는 비치는 밴드와 정렬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정렬되어 가리개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완전히 광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가리개의 하부 단부가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의 하부, 예를 들어, 관련된 창문 프레임의 하부에 도달하는 경우에 가리개 밴드들이 이렇게 정렬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하여, 가리개 밴드들에 원하는 정렬을 달성하기 위해, 가리개는 전형적으로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에 대해 상승되어, 건축물 구조부의 하부와 가리개의 하부 단부 사이에 갭을 생성한다. 이 갭은 가리개와 건축물 구조부 사이로 광이 비춰질 수 있게 하는데 이는 종종 소비자에게 미적으로 좋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에 대해 가리개를 상승시키는 것의 대안으로서, 사용자는 대신 가리개 밴드들에 원하는 정렬을 달성하기 위해 롤러 시트를 더 연장시키려고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가리개의 하부 단부가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의 하부에 도달된 후에 롤러 시트가 이렇게 연장되면 롤러 시트가 느슨해지거나 뭉쳐지거나 접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식별된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제브라형 또는 밴드형 롤러 가리개와 같은 덮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가 이 기술 분야에서 환영받을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제시되거나, 또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을 통해 학습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건축물 구조부를 위한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는 가리개 패널 및 상기 가리개 패널에 결합된 하부 레일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는 레일 하우징 및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연장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이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간에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가 상기 가리개 패널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가리개 패널은 상기 롤러 주위로 감겨져 있다. 또한,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롤러의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 범위를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내용' 란의 설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설명된 것 중 단순화된 형태로 선택된 개념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란의 설명은 청구된 주제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 특징을 식별하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고,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최상의 형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을 충분하고 실시 가능하게 개시하는 것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덮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라인 II-II를 따라 취해진 도 1에 도시된 덮개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덮개의 하부 레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 레일 조립체의 일부의 조립 사시도로서, 특히, 설명을 위해 하부 레일 조립체의 하우징의 일부를 절결하고 하부 레일 조립체의 롤러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부 레일 조립체의 일부의 유사한 조립 사시도로서, 특히 하부 레일 조립체의 롤러 포스트 부재가 하부 레일 조립체의 하우징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된 후의 것을 도시한다.
도 6은 라인 VI-VI를 따라 취해진 도 4에 도시된 하부 레일 조립체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덮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하부 레일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하부 레일 조립체의 조립된 단부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덮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하부 레일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하부 레일 조립체의 조립된 단부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관련된 밴드형 롤러 가리개의 가리개 밴드들의 정렬을 조절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 특징부 또는 구조부(이는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단순히 건축물 "구조부"라고 함)를 위한 덮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는 가리개 패널 및 상기 가리개 패널에 결합된 하부 레일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는 레일 하우징 및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연장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이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간에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가 상기 가리개 패널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가리개 패널은 상기 롤러 주위로 감겨져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롤러의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는 제브라형 또는 밴드형 롤러 가리개로서 구성되고, 상기 가리개 패널은 길이를 따라 이격된 재료들이 교대로 배치된 밴드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롤러의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가리개 패널의 대향하는 측면들 간에 상기 가리개 밴드들의 수직 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롤러 가리개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가리개 밴드들이 주어진 거리만큼 수직으로 오프셋된 경우, 상기 레일 하우징 내 상기 롤러의 수직 위치는 상기 가리개 밴드들에 원하는 수직 정렬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 하우징 내 상기 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덮개가 관련된 건축물 구조부(예를 들어, 창문)에 대해 초기에 설치될 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자는,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가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의 하부(예를 들어, 창문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된 창틀(window sill))와 접촉할 때,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가 원하는 최저 위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롤러 가리개를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설치자는 상기 가리개 패널의 각각의 측부 간에 상기 가리개 밴드들의 정렬을 시각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상기 가리개 밴드들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원하는 정렬로부터 수직으로 오프셋되면, 설치자는 상기 가리개 밴드들이 적절히 정렬될 때까지 상기 롤러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일 구현예에서, 설치자는 상기 가리개 패널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상기 가리개 밴드들에 원하는 정렬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상기 롤러의 위치를 잠그거나(lock) 고정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설치자는 단순히 상기 가리개 밴드들이 원하는 정렬을 유지하도록 상기 롤러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채 놓아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는 상기 롤러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롤러에 결합된 위치 지정 기구 또는 롤러 포스트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는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롤러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와 함께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는 상기 롤러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레일 하우징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하거나 또는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는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는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 형성된 수직을 향하는 안내 채널 내에 슬라이딩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 하우징의 단부 캡은 안내 채널이 대향하는 안내부(guide)들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단부 캡으로부터 상기 레일 하우징의 대향하는 단부 캡 쪽으로 연장되는 서로 이격된 안내부(예를 들어, "후크형" 플랜지)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의 일부는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가 상기 대향하는 안내부들 사이에서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채널 내에 수용된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는,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를 제 위치에 유지하여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롤러의 추가적인 상대 운동을 억제하거나 또는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잠금 또는 유지 기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지 기구(들)는,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를 잠그거나 또는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나사 또는 다른 나사산-형성된 체결구(fastener)와 같은 체결구에 대응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상기 체결구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는 상기 레일 하우징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슬라이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상기 체결구를 조임으로써,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는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되고,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롤러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거나 또는 설정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롤러 가리개가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에 대해 설치될 때 관련된 밴드형 롤러 가리개의 가리개 밴드들의 정렬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에 대해 상기 롤러 가리개의 가리개 패널을 연장된 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가리개 패널의 제1 측부와 제2 측부 간에 상기 가리개 밴드들의 수직 정렬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의 관련된 레일 하우징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상기 롤러 가리개의 하부 레일 조립체의 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롤러 가리개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롤러 가리개의 제1 측부와 제2 측부 간에 상기 가리개 밴드들의 수직 정렬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상기 롤러의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건축물 구조부용 제브라형 또는 밴드형 롤러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 가리개는 길이를 따라 이격된 교대로 배치된 재료 밴드들을 갖는 가리개 패널, 및 상기 가리개 패널에 결합된 하부 레일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가리개 패널이 상기 가리개 패널의 제1 측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가리개 세그먼트 및 상기 가리개 패널의 제2 측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가리개 세그먼트를 모두 포함하도록 상기 가리개 패널은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 내에 위치된 감긴 하부 부분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가리개 패널의 하부 감긴 부분의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가리개 패널의 제1 측부와 제2 측부 간에 교대로 배치된 가리개 밴드들의 수직 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감긴 부분은 상기 가리개 패널의 제1 측부와 제2 측부 간에 교대로 배치된 가리개 밴드들의 수직 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 내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상기 가리개 패널의 하부 감긴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가리개의 헤드 레일 조립체와 가리개 패널의 감긴 하부 부분 사이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리개 세그먼트들의 길이가 감소된다. 유사하게,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상기 가리개 패널의 하부 감긴 부분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가리개 세그먼트들의 길이가 증가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롤러 가리개가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에 대해 설치될 때 관련된 밴드형 롤러 가리개의 가리개 밴드들의 정렬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롤러 가리개의 가리개 패널을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에 대해 연장된 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가리개 패널의 제1 측부와 제2 측부 간에 상기 가리개 밴드들의 수직 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관련된 하부 레일 하우징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상기 가리개 패널의 하부 감긴 부분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롤러 가리개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롤러 가리개의 제1 측부와 제2 측부 간에 상기 가리개 밴드들의 수직 정렬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에 대해 상기 가리개 패널의 하부 감긴 부분의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2의 가상 선(1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 구조부를 위한 덮개(10)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도 1은 덮개(1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라인 II-II를 따라 취해진 도 1에 도시된 덮개(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덮개(10)는 창문, 도어 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다른 적절한 건축물 구조부(12)에 대해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덮개(10)는 건축물 구조부(12)에 대해 현수되거나 지지될 수 있도록 덮개(10)는 건축물 구조부(12)에 대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덮개(10)는 특히 창문 또는 도어 가리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유형의 건축물 구조부에 대해서 및/또는 건축물 구조부 내에서 덮개, 파티션, 가리개 및/또는 기타 등등과 같은 임의의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덮개(10)는 창문에 대해 설치되는 것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일반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14)의 윤곽은 가상 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창문 프레임(14)은 상부 프레임 단부(16)와 하부 프레임 단부(18) 간에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14)의 하부 프레임 단부(18)는 일반적으로 창문의 창틀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0)는 연장된 위치(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와 후퇴된 위치(도시되지 않음) 간에 이동되도록 구성된 가리개 패널(30)을 포함한다. 후퇴된 위치로부터 연장된 위치로 하강될 때, 가리개 패널(30)은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12)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연장된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상승될 때, 가리개 패널(30)은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12)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리개 패널(30)은 또한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12)가 부분적으로만 덮히거나 노출될 수 있도록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 형성된 임의의 적절한 중간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가리개 패널(30)은 일반적으로 헤드 레일 조립체(60)와 그 반대쪽 하부 레일 조립체(70) 간에 덮개(10)의 수직 또는 높이 방향(도 1 및 도 2에서 화살표(20)로 표시됨)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가리개 패널(30)은 일반적으로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12)의 폭에 걸쳐 덮개(10)의 횡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화살표(22)로 표시됨)으로 연장되고 제1 측부(32)와 제2 측부(34) 간에 덮개(10)의 깊이 방향(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화살표(24)로 표시됨)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리개 패널(30)의 제1 측부(32)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패널(30)이 감긴 형태인 것으로 인해 가리개 패널(30)의 제2 측부(34)로부터 깊이 방향(24)으로 이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덮개(10)는 제브라형 또는 밴드형 롤러 가리개로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가리개 패널(30)은 제1 단부(36)(도 2)와 제2 단부(38)(도 2) 간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롤러 시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가리개 패널(30)은 제1 단부(36)와 제2 단부(38) 사이에 형성된 패널(30)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교대로 배치된 재료 스트립들 또는 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리개 패널(30)은 복수의 제1 가리개 밴드(40) 및 복수의 제2 가리개 밴드(42)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40, 42)는 가리개 패널(30)의 길이를 따라 교대로 배치된 형태로 제공되어서 각각의 제1 가리개 밴드(40)는 제2 가리개 밴드(42)만큼 인접한 제1 가리개 밴드(40)로부터 분리된다. 그리하여, 교대로 배치된 가리개 밴드(40, 42)들은 덮개(10)가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간에 이동될 때 덮개(10)의 높이 방향(20)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제1 가리개 밴드(40)는 도 1에서 일부 빗금으로 도시되어 있어서,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40, 42)들이 도면에서 서로 쉽게 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40, 42)는 상이한 광 투과 특성을 갖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리개 밴드(40)는 제1 광 투과율 값을 갖는 제1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가리개 밴드(42)는 더 낮은 또는 더 높은 광 투과율 값을 갖는 상이한 제2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가리개 밴드(40)는 보다 불투명한 또는 광 차단 재료(예를 들어, 블랙아웃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광 필터링 직물)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제2 가리개 밴드(42)는 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예를 들어, 비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40, 42)는 임의의 적절한 광 투과 특성을 갖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임의의 다른 적합한 이종 재료 또는 동종 재료를 포함함)로 형성될 수 있다.
상이한 광 투과 특성을 갖는 상이한 재료로부터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40, 42)를 형성함으로써, 덮개(10)는 가리개 패널(30)이 연장될 때 "개방된" 형태와 "폐쇄된" 형태 간에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제1 가리개 밴드(40)가 광 차단 재료로 형성되고 제2 가리개 밴드(42)가 투명하거나 또는 비치는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덮개(10)는 가리개 패널(30)의 제1 측부(32) 상에 배치된 각각의 제2 가리개 밴드(42)를, 가리개 패널(30)의 제2 측부(34) 상에 배치된 대응하는 제2 가리개 밴드(42)와 정렬하여, 정렬된 제2 가리개 밴드(42)를 통해 광이 투과될 수 있는 것에 의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러한 실시예에서, 덮개(10)는 가리개 패널(30)의 제1 측부(32) 상에 배치된 각각의 제2 가리개 밴드(42)를, 가리개 패널(30)의 제2 측부(34) 상에 배치된 대응하는 제1 가리개 밴드(40)와 정렬시켜, 가리개 패널(30)의 광 차단 가능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에 의해 "폐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리개 밴드(40, 42)는 일반적으로 인접한 가리개 밴드(40, 42)들 사이에 형성된 수직 간격에 대응하는, 덮개(10)의 높이 방향(20)으로 높이(44)(도 1)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가리개 밴드(40)의 높이(44)는 각각의 제2 가리개 밴드(42)의 높이(44)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가리개 밴드(40)는 제2 가리개 밴드(42)와 상이한 높이(44)를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가리개 밴드(40, 42)에 대해 선택된 특정 높이(44)는 일반적으로 개시된 덮개(10)가 사용되는 특정 응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높이(44)는 일반적으로 약 0.5 인치 초과 내지 약 2 인치일 수 있고(예를 들어, 0.2 인치씩 증분할 수 있고), 약 6 인치 미만 내지 약 8 인치일 수 있다(예를 들어, 0.2 인치씩 증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10)는 또한 헤드 레일 조립체(60)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가리개 패널(30)은 헤드 레일 조립체(6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레일 조립체(60)는 덮개(10)의 횡 방향(22)(도 1)을 따라 상측 레일 하우징(62) 및 이 레일 하우징(62)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롤러(64)를 포함한다. 구동 롤러(64)는 일반적으로 회전 구동축(66)(도 2)을 중심으로 레일 하우징(62)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측 레일 하우징(6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덮개(10)는 하부 레일 조립체(7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10)가 헤드 레일 조립체(60)와 하부 레일 조립체(70)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가리개 패널(30)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이러한 조립체(60, 70)들 간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일 조립체(70)는 덮개(10)의 횡 방향(22)(도 1)을 따라 하측 레일 하우징(72) 및 이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이들링 롤러(74)를 포함한다. 아이들링 롤러(74)는 일반적으로 아이들링 회전축(76)(도 2)을 중심으로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회전하도록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하측 레일 하우징(72)은 미적인 목적을 위해 하부 레일의 형태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리개 패널(30)의 제1 및 제2 단부(36, 38)는 헤드 레일 조립체(60)의 하나 이상의 부품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리개 패널(30)의 제1 단부(36)는 외부 둘레 주변으로 구동 롤러(64)에 결합되는 반면, 가리개 패널(30)의 제2 단부(38)는 상측 레일 하우징(62)의 내부의 일부에 결합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가리개 패널(30)의 제2 단부(38)는 상측 레일 하우징(62) 내에 위치된 2 차 롤러(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다른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리개 패널(30)은 하부 레일 조립체(70)가 가리개 패널(30)을 통해 헤드 레일 조립체(60)에 대해 현수되도록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아이들링 롤러(74) 주위에 감겨진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리개 패널(30)은 아이들링 롤러(74)의 하부 절반부 주위에 감기거나 또는 권취되는 감긴 하부 부분(39)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동 롤러(64)를 제1 또는 상승 방향(예를 들어 도 2에서 화살표(26)로 표시됨)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리개 패널(30)은 구동 롤러(64) 둘레에 권취되어, 헤드 레일 조립체(60)에 대해 하부 레일 조립체(70)를 상승시키고, 가리개 패널(30)을 후퇴된 위치 쪽으로 이동시킨다. 유사하게, 구동 롤러(62)를 반대쪽 제2 또는 하강 방향(예를 들어, 도 2의 화살표(28)로 표시됨)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리개 패널(30)이 구동 롤러(64)로부터 권출되어, 하부 레일 조립체(70)를 헤드 레일 조립체(60)에 대해 하강시키고, 가리개 패널(30)을 연장된 위치 쪽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롤러(62)는 롤러(62)를 회전 구동하여 가리개 패널(30)이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간에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구동 기구 또는 시스템과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코드(68)는 롤러(62)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구동 롤러(62)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전기 모터, 스프링 모터, 및/또는 기타 등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구동 기구 또는 시스템이 롤러(62)를 회전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긴 형태로 주어진 경우, 가리개 패널(30)은 헤드 레일 조립체(60)와 하부 레일 조립체(70) 간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패널 세그먼트(46) 및 제2 패널 세그먼트(48)를 모두 포함하고, 여기서 제1 패널 세그먼트(46)는 가리개 패널(30)의 제1 측부(32)를 형성하고(예를 들어, 패널(30)의 일부는 가리개 패널(30)의 감긴 하부 부분(39)과 구동 롤러(64) 사이에 연장되고), 제2 패널 세그먼트(48)는 가리개 패널(30)의 제2 측부(34)를 형성한다(예를 들어, 패널(30)의 일부는 가리개 패널(30)의 감긴 하부 부분(39)과 가리개 패널(30)의 제2 단부(38) 사이에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리개 패널(30)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이동될 때, 가리개 패널(30)의 제1 측부(32)와 제2 측부(34) 간에 교대로 배치된 가리개 밴드(40, 42)들을 서로 수직으로 정렬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리개 밴드(40)가 광 차단 재료로 형성될 때,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리개 패널(30)의 양 측부(32, 34) 상에 배치된 각각의 제1 가리개 밴드(40)를, 가리개 패널(30)의 대향하는 측부(32, 34) 상에 배치된 대응하는 제2 가리개 밴드(42)와 수직으로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가리개 밴드(30)는 덮개(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가리개 패널(30)의 제1 측부(32)와 제2 측부(34) 간에 수직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가리개 패널(30)의 광 차단 가능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가리개 패널(30)은 하부 레일 조립체(70)가 덮개(10)가 설치되는 건축물 구조부(12)의 하부에서 종료할 때(예를 들어, 하부 레일 조립체(70)가 건축물 구조부(12)의 하부와 접촉할 때)에만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일 조립체(70)가 (예를 들어, 하부 레일 조립체(70)가 창틀에 놓이도록) 창문 프레임(14)의 하부 단부(18)와 접촉할 때 가리개 패널(30)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물 구조부(12)에 대해 덮개(10)를 초기에 설치할 때, 패널(30)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이동될 때 가리개 밴드(40, 42)는 패널(30)의 제1 측부(32)와 제2 측부(34) 간에 원하는 대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 레일 조립체(70)가 건축물 구조부(12)의 하부에서 종료할 때 가리개 밴드(40, 42)들이 적절히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 아이들링 롤러(74)의 수직 위치는 원하는 대로 조절될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여러 도면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은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단부 부분의 조립 사시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예시를 위하여 하측 레일 하우징(72)의 일부는 절결되고 아이들링 롤러(74)는 제거되었다. 추가적으로, 도 6은 라인 VI-VI를 따라 취해진 도 4에 도시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하측 레일 하우징(72)은 일반적으로 제1 하우징 단부(80)와 제2 하우징 단부(82) 간에 덮개(10)의 횡 방향(22)으로 연장되고, 또 상부 단부(84)와 하부 단부(86) 간에 덮개(10)의 높이 방향(20)으로 연장된다. 추가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레일 하우징(72)은 일반적으로 하우징(72)의 제1 및 제2 단부(80, 82)에 각각 위치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부 캡(90, 92)들 간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부분(88)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대향하는 단부 캡(90, 92)과 함께 레일 부분(88)은 일반적으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아이들링 롤러(74) 및 이 롤러(74) 둘레에 감긴 가리개 패널(30)의 일부를 모두 수용하기 위해 공동(cavity)(94)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공동(94)은 하측 레일 하우징(72)의 상부 단부(84)를 따라 개방된다.
추가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일 조립체(70)는 또한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 아이들링 롤러(74)의 대향하는 단부(96, 97)들과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어 제공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위치 지정 기구 또는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롤러 포스트 부재(100)는 하우징(72)에 대해 롤러(74)의 제1 단부(9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제2 롤러 포스트 부재(102)는 하우징(72)에 대해 롤러(74)의 제2 단부(9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베이스 판(104) 및 이 베이스 판(104)으로부터 연장되는 롤러 포스트(106)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롤러 포스트(106)는 아이들링 롤러(74)의 대향하는 단부(96, 97)들을 통해 형성된 개구(98) 내에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 및 아이들링 롤러(74)가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 설치될 때, 롤러(74)는 롤러 포스트(106)를 중심으로 하우징(72)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롤러(74)의 회전축(76)(도 2)은 일반적으로 롤러 포스트(106)의 중심을 통해 연장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제1 및 제2 단부 캡(90, 92)에서 또는 이들 단부 캡에 인접하여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베이스 판(104)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단부 캡(90, 92)에 슬롯 또는 안내 채널(108)(도 4 내지 도 6)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부 캡(90, 92)은 이 단부 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후크형 플랜지와 같은 한 쌍의 판상 안내부(93, 95)를 포함하며, 여기서 이 안내부(93, 95)들은 안내 채널(108)이 대향하는 안내부(93, 95)들 사이에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베이스 판(104)은,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가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상부 단부(84)와 하부 단부(86) 간에 인접한 단부 캡(90, 92)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 채널(108)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따라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상부 단부(84)와 하부 단부(86) 사이에서 슬라이더 또는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 아이들링 롤러(74)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레일 조립체(70)는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유지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지 기구(들)는, 각각의 관련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를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 제 위치에 유지하여, 하우징(72)에 대해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추가적인 수직 운동을 억제하거나 또는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유지 기구는, 베이스 판(104)에 형성된 대응하는 나사산-형성된 개구(112)(도 6)에 나사산 결합되거나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형성된 체결구(110)(예를 들어, 고정 나사)와 같은,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체결구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110)는 예를 들어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인접한 단부 캡(90, 92)을 관통하여 형성된 세장형 슬롯(114)을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위치가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조절됨에 따라, 체결구(110)가 관련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접한 단부 캡(90, 92)으로 체결구(110)를 조임으로써, 관련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제 위치에 유지되거나 또는 잠겨진다. 유사하게, 인접한 단부 캡(90, 92)에 대해 체결구(110)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관련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단부 캡(90, 92)으로부터 잠금 해제되거나 분리되어,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수직 위치가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조절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를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상부 단부(84)와 하부 단부(86) 사이에서 대응하는 안내 채널(108)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아이들링 롤러(74)의 상대적인 위치(및 이에 따라 가리개 패널(30)의 감긴 하부 부분(39)의 상대적인 위치)는 가리개 패널(30)에서 교대로 배치된 가리개 밴드(40, 42)들의 정렬을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원하는 바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30)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이동될 때(예를 들어,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하부 단부(86)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12)의 하부에 또는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하부 레일 조립체(70)가 창문 프레임(12)의 하부 단부(18)에 인접하여 및/또는 접촉하여 위치될 때), 및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가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잠금 해제될 때, 구동 롤러(64)를 하강 방향(28)(도 2)으로 더 회전시키면 아이들링 롤러(74)가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하부 단부(86) 쪽으로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아이들링 롤러(74) 및 가리개 패널(30)의 하부 감긴 부분(39)이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하강될 때 관련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각각의 안내 채널(108) 내에서 하방으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슬라이딩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상부 단부(84)의 방향으로 롤러(74)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구동 롤러(64)는 반대쪽 상승 방향(26)(도 2)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아이들링 롤러(74) 및 가리개 패널(30)의 하부 감긴 부분(39)이 모두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상승될 때 관련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각각의 안내 채널(108) 내에서 상방으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슬라이딩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가리개 패널(30)의 가리개 밴드(40, 42)들이 원하는 대로 정렬되면,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예를 들어, 체결구(110)와 같은 유지 기구를 통해)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되거나 잠겨져서, 덮개(10)의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가리개 밴드(40, 42)들의 정렬을 설정한다. 그리하여 가리개 패널(30)이 이후 후퇴되고 나서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다시 복귀되면, 가리개 밴드(40, 42)는 이전에 설정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헤드 레일 조립체(60)와 가리개 패널(30)의 감긴 하부 부분(39) 사이에 형성된 가리개 패널(30)의 제1 및 제2 가리개 세그먼트(46, 48)의 길이(50)(도 2)는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 아이들링 롤러(74) 및 하부 감긴 부분(39)의 위치를 조절할 때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들링 롤러(74) 및 가리개 패널(30)의 하부 감긴 부분(39)이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하부 단부(86) 쪽으로 하강될 때 길이(50)는 증가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아이들링 롤러(74) 및 가리개 패널(30)의 하부 감긴 부분(39)이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상부 단부(84) 쪽으로 상승될 때 길이(50)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주어진 수직 이동 범위(116)(도 5)에 걸쳐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관련된 안내 채널(108) 내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하측 레일 하우징(72) 및/또는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수직 이동 범위(116)가 가리개 패널(30)의 가리개 밴드(40, 42)에 의해 한정된 최대 높이(44)의 적어도 50%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리개 밴드(40, 42)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최대 수직 오프셋 거리는 가리개 밴드(40, 42)의 최대 높이(44)의 절반에 대응하기 때문에, 가리개 패널(30)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이동될 때 가리개 밴드(40, 42)들 사이에 형성된 임의의 수직 오프셋을 수용하도록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위치는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수직 이동 범위(116)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단부 캡(90, 92)에 형성된 슬롯(114)의 길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 이동 범위(116)는, 원하는 수직 이동 범위(116)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에서 인접한 단부 캡(90, 92)으로부터 연장되는 기계적 정지부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가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덮개(10)와 같은 덮개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다른 실시예의 다른 도면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7은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조립된 단부 부분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하부 레일 조립체(70') 및 관련 구성 요소 및/또는 특징부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그리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 및/또는 특징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구성 요소 및/또는 특징부는 동일한 참조 문자에 아포스트로피(')를 추가한 것으로 표시된다. 추가적으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주어진 구성 요소 및/또는 특징부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 및/또는 특징부와 일반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때에는, 이러한 구성 요소/특징부에 대해서는 간략함을 위해 덜 상세한 설명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실시예와 유사한 하부 레일 조립체(70')는 하측 레일 하우징(72') 및 이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이들링 롤러(74')를 포함하고, 여기서 아이들링 롤러(74')는 아이들링 회전축(76')(도 8)을 중심으로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회전하도록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 일반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측 레일 하우징(72')은 일반적으로 제1 하우징 단부(80')와 제2 하우징 단부(82') 사이에서 관련된 덮개의 횡 방향(22)(도 7)으로 연장되고, 또 상부 단부(84')와 하부 단부(86') 사이에서 관련된 덮개의 높이 방향(20)(도 7)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레일 하우징(72')은 일반적으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아이들링 롤러(74')와 이 롤러(74') 둘레에 감겨지도록 구성된 가리개 패널(30)(도 1 및 도 2) 부분을 모두 수용하기 위해 공동(94')을 형성하도록 하우징(72')의 제1 및 제2 단부(80', 82')에 각각 위치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부 캡(90', 92')들 간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부분(88)을 포함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슬롯(114')은 하측 레일 하우징(72')의 각각의 단부 캡(90', 92')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일 조립체(70')는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 아이들링 롤러(74')의 대향하는 단부(96', 97')들과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어 제공되는 제1 및 제2 위치 지정 기구 또는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롤러 포스트 부재(100')는 하우징(72')에 대해 롤러(74')의 제1 단부(9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제2 롤러 포스트 부재(102')는 하우징(72')에 대해 롤러(74')의 제2 단부(9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실시예와 달리,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단순히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 아이들링 롤러(74')의 대향하는 단부(96', 97')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관련 유지 기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롤러 포스트(10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롤러 포스트(106')는 아이들링 롤러(74')의 대향하는 단부(96', 97')들을 통해 형성된 개구(98')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롤러 포스트(106') 및 아이들링 롤러(74')가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 설치될 때, 롤러(74')는 롤러 포스트(106')를 중심으로 하우징(72')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롤러(74')의 회전축(76')(도 8)은 일반적으로 롤러 포스트(106')의 중심을 통해 연장된다.
더욱이, 각각의 롤러 포스트(106')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어 제공되는 유지 기구는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제 위치에 각각의 관련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를 유지하여, 하우징(72') 내에서 롤러(74')가 수직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유지 기구는,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72')의 인접한 단부 캡(90', 92')을 관통하여 형성된 세장형 슬롯(114')을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 나사산-형성된 체결구(110')(예를 들어, 고정 나사)에 대응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체결구(110')가 각각의 롤러 포스트(106')에 형성된 대응하는 나사산-형성된 개구(112')에 나사산 결합되거나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 롤러(74')의 위치가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조절될 때 체결구(110')가 관련된 롤러 포스트(106')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접한 단부 캡(90', 92')으로 체결구(110')를 조임으로써,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롤러(74')의 인접한 단부(96', 97')의 상대적인 수직 위치가 제 자리에 유지되거나 또는 잠겨질 수 있다. 유사하게, 인접한 단부 캡(90', 92')에 대해 체결구(110')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롤러(74')의 인접한 단부(96', 97')는 단부 캡(90', 92')으로부터 잠금 해제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롤러(74')의 수직 위치가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가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되거나 또는 잠겨지는 것이 의도될 때 각각의 롤러 포스트(106') 및/또는 각각의 단부 캡(90', 92')은 롤러(74')의 인접한 단부(96', 97')의 위치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이러한 부품들 사이의 계면에 그립핑 또는 마찰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를 제 위치에 유지하거나 또는 잠그기 위해 단부 캡(90', 92')으로 관련된 유지 기구(예를 들어, 체결구(110'))를 조을 때 각각의 롤러 포스트(106')의 단부 표면(107')은 인접한 단부 캡(90', 92')의 대응하는 내부 표면(109')에 맞물리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접한 표면(107', 109')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그립핑 또는 마찰 요소(예를 들어, 작은 융기(ridge))를 포함하거나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롤러 포스트(106')와 이에 인접한 단부 캡(90', 92')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어진 마찰 코팅 또는 유사한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예시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가리개 패널(30)(도 1)에서 교대로 배치된 가리개 밴드(40, 42)들의 정렬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아이들링 롤러(74')의 상대적인 위치(및 이에 따라 가리개 패널(30)(도 2)의 감긴 하부 부분(39)의 상대적인 위치)가 원하는 바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패널(30)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이동될 때(예를 들어,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하부 단부(86')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12)의 하부에 위치되거나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하부 레일 조립체(70)가 창문 프레임(12)의 하부 단부(18)에 인접하여 및/또는 접촉하여 위치될 때), 및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가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잠금 해제될 때, 구동 롤러(64)를 하강 방향(28)(도 2)으로 더 회전시키면 아이들링 롤러(74')가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하부 단부(86')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유사하게, 롤러(74')의 위치를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상부 단부(84')의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구동 롤러(64')는 대향하는 상승 방향(26)(도 2)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가리개 패널(30)의 가리개 밴드(40, 42)들이 원하는 대로 정렬되면,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예를 들어, 체결구(110')와 같은 관련된 유지 기구를 통해)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되거나 잠겨져서, 덮개(10)의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가리개 밴드(40, 42)들의 정렬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가리개 패널(30)이 이후 후퇴되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다시 복귀될 때, 가리개 밴드(40, 42)들이 이전에 설정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덮개(10)와 같은 덮개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다른 실시예의 다른 도면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는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조립된 단부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하부 레일 조립체(70*) 및 관련된 구성 요소 및/또는 특징부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그리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 및/또는 특징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구성 요소 및/또는 특징부는 동일한 참조 문자에 별표(*)를 추가한 것으로 표시된다. 추가적으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주어진 구성 요소 및/또는 특징부가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 및/또는 특징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때, 이러한 구성 요소/특징부에 대해서는 간략함을 위해 덜 상세한 설명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하부 레일 조립체(70*)는 하측 레일 하우징(72*) 및 이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이들링 롤러(74*)를 포함하고, 여기서 아이들링 롤러(74*)는 일반적으로 아이들링 회전축(76*)(도 10)을 중심으로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회전하도록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측 레일 하우징(72*)은 일반적으로 제1 하우징 단부(80*)와 제2 하우징 단부(82*) 사이에서 관련된 덮개의 횡 방향(22)(도 9)으로 연장되고, 또 상부 단부(84*)와 하부 단부(86*) 사이에서 관련된 덮개의 높이 방향(20)(도 10)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레일 하우징(72*)은 일반적으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아이들링 롤러(74*) 및 이 롤러(74) 둘레에 감겨지도록 구성된 가리개 패널(30)(도 2) 부분을 모두 수용하기 위해 공동(94*)을 형성하도록 하우징(72*)의 제1 및 제2 단부(80*, 82*)에 각각 위치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부 캡(90*, 92*)들 간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부분(88*)을 포함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슬롯(114*)은 하측 레일 하우징(72*)의 각각의 단부 캡(90*, 92*)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일 조립체(70*)는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아이들링 롤러(74*)의 대향하는 단부(96*, 97*)들과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어 제공되는 제1 및 제2 위치 지정 기구 또는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롤러 포스트 부재(100*)는 롤러(74*)의 제1 단부(96*)와 관련될 수 있는 반면, 제2 롤러 포스트 부재(102*)는 롤러(74*)의 제2 단부(97*)와 관련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실시예와 달리,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단순히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아이들링 롤러(74*)의 대향하는 단부(96*, 97*)들을 지지하도록 하측 레일 하우징(72*)의 인접한 단부 캡(90*, 92*)을 관통하여 형성된 세장형 슬롯(114*)을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 안내 포스트(10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안내 포스트(103*)는 아이들링 롤러(74*)의 인접한 단부(96*, 97*)를 통해 형성된 대응하는 개구(98*)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1 단부(111*)와, 인접한 단부 캡 슬롯(114*) 내에 수용되도록 (및/또는 이 슬롯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113*)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별개의 부품에 대응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안내 포스트(103*)는 인접한 단부 캡 슬롯(114*)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더 작은 직경의 롤러(74*)의 돌출부 또는 연장부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안내 포스트(103*)는 롤러(7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접한 단부 캡 슬롯(114*) 내에 수용된 각각의 안내 포스트(103*) 부분은 하우징(72*) 내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롤러(74*)를 높이 방향(2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예시된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가리개 패널(30)(도 1)에서 교대로 배치된 가리개 밴드(40, 42)들의 정렬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아이들링 롤러(74*)의 상대적인 위치(및 이에 따라 가리개 패널(30)(도 2)의 감긴 하부 부분(39)의 상대적인 위치)를 원하는 바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도와준다. 예를 들어, 패널(30)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이동될 때(예를 들어,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하부 단부(86*)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12)의 하부에 위치되거나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하부 레일 조립체(70)가 창문 프레임(12)의 하부 단부(18)에 인접하여 및/또는 접촉하여 위치될 때), 하강 방향(28)(도 2)으로 구동 롤러(64)를 더 회전시키면 아이들링 롤러(74*)는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하부 단부(86*)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상부 단부(84*)의 방향으로 롤러(74*)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구동 롤러(64)는 반대쪽 상승 방향(26)(도 2)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롤러(74*)의 대향하는 단부(96*, 97*)들을 제 위치에 유지하거나 또는 잠그기 위한 유지 기구를 포함하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하부 레일 조립체(70*)의 형태는 하우징(72*) 내에서 롤러(74*)의 수직 위치가 관련된 유지 기구(들)의 조작 없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리개 패널(30)이 이후 후퇴되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다시 복귀될 때, 하측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아이들링 롤러(74*)의 상대적인 위치는 가리개 패널(30)에서 교대로 배치된 가리개 밴드(40, 42)들의 정렬을 원하는 바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다시 조절될 수 있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관련된 밴드형 롤러 가리개의 가리개 밴드들의 정렬을 조절하는 방법(200)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라 예시된다. 일반적으로, 방법(2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덮개(10) 및 하부 레일 조립체(70)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방법(200)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태를 갖는 덮개에서 구현되거나, 및/또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하부 레일 조립체(70', 70*)와 같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 내용과 일치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태를 갖는 하부 레일 조립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설명 및 논의를 위해 특정 순서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들은 임의의 특정 순서 또는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개시 내용을 사용하여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의 다양한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생략, 재배열, 결합 및/또는 적응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2)에서, 방법(200)은 관련된 롤러 가리개의 밴드형 가리개 패널을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에 대하여 연장된 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가리개 패널(30)은, 예를 들어, 롤러 가리개의 하부가 인접한 창문 프레임(14)의 하부 단부(18)와 접촉할 때, 롤러 가리개가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12)의 하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204)에서, 방법(200)은 가리개 패널의 제1 측부와 제2 측부 간에 가리개 밴드들의 수직 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관련된 레일 하우징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가리개의 하부 레일 조립체의 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가 하측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잠금 해제될 때, 가리개 패널(30)은 (예를 들어, 구동 롤러(64)의 회전을 통해) 하강되거나 상승되어, 아이들링 롤러(74) 및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 모두의 위치가 레일 하우징(72) 내에서 조절되어 가리개 밴드(40, 42)들의 수직 정렬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206)에서, 방법(200)은 롤러 가리개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가리개 밴드들의 수직 정렬을 설정하기 위해 레일 하우징에 대해 롤러의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는 이와 관련된 유지 기구(예를 들어, 나사산-형성된 체결구(110))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지 기구를 사용하여 레일 하우징(72)에 대해 각각의 롤러 포스트 부재(100, 102)의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가리개 밴드(40, 42)들의 수직 정렬은 롤러 가리개의 연장된 위치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가리개 패널(30)이 이후 후퇴되어 이 연장된 위치로 다시 복귀될 때, 가리개 밴드(40, 42)들은 이전에 설정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레일 조립체가 유지 기구(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하부 레일 조립체(70*))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에서, 롤러는 하우징 내에서 롤러가 더 이동하는 것을 단순히 정지 또는 중지시킴으로써 레일 하우징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추가, 수정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각 예는 본 발명의 광범위한 개념을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설명을 위해 제공된 것이다. 특히,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 구조, 배열, 비율, 및 다른 요소, 재료 및 구성 요소에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일부로서 도시되거나 기술된 특징은 또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어 더 다른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 내에 있는 변형 및 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특정 환경 및 작동 요구조건에 특히 적응된 상태에서 구조, 배열, 비율, 재료 및 구성 요소의 많은 변형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다수의 부품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 요소들은 다수의 부분이나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고, 요소들의 동작은 역전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할 수 있고, 요소들의 크기 또는 치수도 변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될 뿐, 전술한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나 이상의" 및 "및/또는"이라는 어구는 동작시 연결가능한 및 분리가능한 개방형 표현인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요소는 하나 이상의 요소를 의미한다. 그리하여, 단수 형태의 요소, "하나 이상"의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방향에 관한 언급(예를 들어, 근위, 원위, 상측, 하측, 상방, 하방, 좌측, 우측, 측방향, 길이방향,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위에, 아래에, 수직, 수평, 교차 방향, 반경방향, 축방향,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및/또는 등)은 본 발명의 주제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식별 목적으로만 사용되거나 및/또는 관련 요소의 구역들을 서로 구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뿐, 특히 본 발명의 주제의 위치, 배향 또는 사용에 관해 관련 요소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연결에 관한 언급(예를 들어, 부착된, 결합된, 연결된, 접합된, 고정된, 장착된 및/또는 등)은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요소들의 집합 사이에 중간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요소들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연결에 관한 언급은 반드시 두 요소가 직접 연결되고 서로 고정된 관계에 있다고 추론하여서는 안 된다. 식별에 관한 언급(예를 들어, 1차, 2차, 제1, 제2, 제3, 제4 등)은 중요성이나 우선순위를 나타내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고 하나의 기능을 다른 기능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장치 및 방법은 본 발명의 주제의 하나 이상의 원리에 따라 구현된 장치 및/또는 방법의 예이다. 이러한 예는 이러한 원리를 구현하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며 단지 예일 뿐이다. 따라서, 도면에 있는 요소들 또는 구조들 또는 특징들에 대한 언급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예들을 언급하는 것으로서 인식되어야 하고, 도시된 특정 요소들, 구조들 또는 특징들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를 읽을 때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원리를 구현하는 방식의 다른 예들이 구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서술된 설명은 예를 사용하여 최상의 모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을 개시하여,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임의의 장치 또는 시스템을 실시하고 사용하는 것과 임의의 통합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특허 가능한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가능한 다른 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예는 청구범위의 문자적 언어와 다른 구조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청구범위의 문자적 언어와 사소한 차이를 갖는 등가의 구조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청구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본 상세한 설명에 통합되며, 각 청구항은 본 발명의 별개의 실시예로서 독자적으로 존재한다.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구비하는"이라는 용어는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개별적으로 열거되지만, 복수의 수단, 요소 또는 방법 단계는 예를 들어 단일 유닛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비록 개별적인 특징이 다른 청구항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들은 아마도 유리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이한 청구항에 포함된다는 것은 특징의 조합이 실현 가능하지 않고 및/또는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단수 형태의 요소는 복수의 요소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수 형태의 요소, "제1", "제2" 등은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참조 부호는 단지 명확한 예로서 제공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든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건축물 구조부용 덮개로서,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가리개 패널(shade panel)로서, 상기 가리개 패널의 길이를 따라 교대로 배치된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들을 포함하는 상기 가리개 패널; 및
    상기 가리개 패널에 결합된 하부 레일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은 하부 단부와 상부 단부 간에 연장되고,
    상기 가리개 패널은 상기 가리개 패널의 제1 측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가리개 세그먼트, 및 상기 가리개 패널의 제2 측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가리개 세그먼트를 모두 포함하도록 상기 가리개 패널은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 내에 위치된 감긴 하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리개 패널의 상기 감긴 하부 부분은 상기 가리개 패널의 상기 제1 측부와 제2 측부 간에 상기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들의 수직 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 내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들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덮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리개 밴드는 상기 제2 가리개 밴드보다 더 적은 광이 통과하는, 덮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긴 하부 부분은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 내에 위치된 롤러 둘레로 연장된, 덮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위치는 상기 레일 하우징의 상기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조절되도록 구성된, 덮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어 제공된 롤러 포스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는 상기 가리개 패널의 상기 감긴 하부 부분의 위치가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의 상기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덮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는 롤러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롤러 포스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덮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는 베이스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포스트는 상기 베이스 판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판은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 내에 형성된 안내 채널 내에 수용된, 덮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채널은 상기 레일 하우징의 단부 캡으로부터 연장되는 대향하는 안내부들에 의해 형성된, 덮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는 안내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포스트는 상기 레일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슬롯을 통해 상기 롤러로부터 연장되는, 덮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단부와 제2 하우징 단부 간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롤러의 제1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롤러 포스트 부재에 대응하고;
    제2 롤러 포스트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롤러의 제2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덮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에 대해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를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덮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레일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슬롯을 통해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에 의해 형성된 나사산-형성된 개구 내로 연장되는 나사산-형성된 체결구를 포함하는, 덮개.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부 감긴 부분의 위치는 상기 하부 레일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롤러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변하는, 덮개.
  15. 건축물 구조부용 덮개로서,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가리개 패널로서, 상기 가리개 패널의 길이를 따라 교대로 배치된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들을 포함하는 상기 가리개 패널; 및
    상기 가리개 패널에 결합된 하부 레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는 하부 단부와 상부 단부 간에 연장되는 레일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는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연장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리개 패널은 상기 가리개 패널의 제1 측부를 형성하는 상기 롤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가리개 세그먼트, 및 상기 가리개 패널의 제2 측부를 형성하는 상기 롤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가리개 세그먼트를 모두 포함하도록 상기 가리개 패널은 상기 롤러 둘레로 감겨지고,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롤러의 위치는 상기 가리개 패널의 상기 제1 측부와 제2 측부 간에 상기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들의 수직 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레일 하우징의 상기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조절되도록 구성된, 덮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들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덮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어 제공된 롤러 포스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포스트 부재는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롤러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덮개.
  18. 밴드형 롤러 가리개의 가리개 밴드들을 정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롤러 가리개는 교대로 배치된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들을 갖는 가리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 가리개는, 레일 하우징 및 상기 레일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하부 레일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가리개 패널을 연장된 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가리개 패널이 상기 가리개 패널의 제1 측부를 형성하는 상기 롤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가리개 세그먼트, 및 상기 가리개 패널의 제2 측부를 형성하는 상기 롤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가리개 세그먼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가리개 패널은 상기 롤러 둘레에 감겨지고, 상기 제1 및 제2 가리개 세그먼트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가리개 패널을 연장된 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가리개 패널의 상기 제1 측부와 제2 측부 간에 상기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들의 수직 정렬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레일 하우징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상기 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롤러 가리개가 상기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가리개 밴드들의 상기 수직 정렬을 설정하도록 상기 레일 하우징에 대해 상기 롤러의 상기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밴드형 롤러 가리개의 가리개 밴드들을 정렬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상기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롤러의 단부에 결합된 체결구를 통해 상기 롤러 하우징에 대해 상기 롤러의 상기 위치를 잠그는 단계를 포함하는, 밴드형 롤러 가리개의 가리개 밴드들을 정렬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리개 패널을 연장된 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부 레일 조립체가 인접한 건축물 구조부의 하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가리개 패널을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밴드형 롤러 가리개의 가리개 밴드들을 정렬하는 방법.
KR1020180058602A 2017-05-23 2018-05-23 조절 가능한 롤러 위치를 갖는 덮개를 위한 하부 레일 조립체 및 관련 방법 KR201801283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09846P 2017-05-23 2017-05-23
US62/509,846 2017-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362A true KR20180128362A (ko) 2018-12-03

Family

ID=62812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602A KR20180128362A (ko) 2017-05-23 2018-05-23 조절 가능한 롤러 위치를 갖는 덮개를 위한 하부 레일 조립체 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895106B2 (ko)
KR (1) KR20180128362A (ko)
CN (1) CN108930500A (ko)
AU (1) AU2018203526B2 (ko)
CA (1) CA3005531A1 (ko)
GB (1) GB2565183B (ko)
NL (1) NL2020963B1 (ko)
TW (1) TWI7982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888B1 (ko) * 2015-02-26 2017-03-15 주식회사 자연데코 롤 스크린을 갖는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
AU2018203526B2 (en) * 2017-05-23 2024-03-21 Hunter Douglas Inc. Bottom rail assembly for a covering with adjustable roller position and related methods
US10934772B2 (en) * 2018-02-19 2021-03-02 Tucson Rolling Shutters, Inc. Self-adjusting bottom bar for a retractable screen
US11261661B2 (en) * 2018-10-16 2022-03-01 Mechoshade Systems, Llc Roller shade system
US11655673B2 (en) 2018-10-16 2023-05-23 Mechoshade Systems, Llc Drive hub dampening posts
CN110185375A (zh) * 2019-06-17 2019-08-30 浙江辰鸿纺织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卷帘装置
CN110374483A (zh) * 2019-08-12 2019-10-25 安徽海德门窗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用门窗组合式多功能卷帘机构
TWI706079B (zh) * 2019-10-02 2020-10-01 范富美 百葉窗簾及百葉窗簾之下軌
US20210388673A1 (en) * 2020-06-11 2021-12-16 Lafayette Venetian Blind, Inc. Roller Blind Assembly with Improved Light Absorption or Light Reflection
US11786064B2 (en) * 2021-03-24 2023-10-17 Shenzhen Ruiqing Xingye Plastic Co. Ltd. Zebra curtain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1328A (en) 1872-09-17 Improvement in curtain-fixtures
US738720A (en) 1902-08-26 1903-09-08 Joseph P Gerth Shade-hanger.
US1368174A (en) 1920-06-08 1921-02-08 Frank M Lokometzki Curtain-fixture
US1451947A (en) 1921-10-13 1923-04-17 Gugliuzzi Nicholas Window-shade fixture
US1595234A (en) 1925-12-02 1926-08-10 Peter H Kuyper Mounting for rolling screen construction
US1805995A (en) 1930-01-20 1931-05-19 Joseph T Palladino Adjustable shade roller bracket
US2191008A (en) 1939-03-16 1940-02-20 Samuel A Cheves Shade-roller bracket
US2480438A (en) 1943-11-01 1949-08-30 Bergman Adjustable support for curtain-pole holders, etc.
US2651489A (en) 1949-05-10 1953-09-08 Kirsch Co Curtain rod bracket elevator
JPS532734Y2 (ko) * 1974-05-13 1978-01-24
DE3700745A1 (de) * 1987-01-13 1988-07-21 Warema Renkhoff Gmbh & Co Kg Faltstore zum innenseitigen verschatten von insbesondere wintergaerten od. dergl.
US6196508B1 (en) 1998-06-18 2001-03-06 Frederik G. Nijs Bracket system for motorized and crank operated shades
CA2404586C (en) * 2002-09-23 2010-10-05 Imperial Oil Resources Limited Integrated process for bitumen recovery, separation and emulsification for steam generation
SE525534C2 (sv) 2003-02-04 2005-03-08 Odin Ab Rullgardinsbeslag
WO2004071252A1 (en) 2003-02-07 2004-08-26 Pella Corporation Retractable screen door components and method
ES2302533T3 (es) * 2004-02-12 2008-07-16 Tae Woong Byeon Persianas para regular la iluminacion.
TWM255694U (en) * 2004-02-23 2005-01-21 Nien Made Entpr Co Ltd Adjustment device for reel of curtain
DK1621721T3 (da) 2004-07-23 2012-08-13 Hunter Douglas Ind Bv Justerbart beslag-arrangement
US7770625B2 (en) 2004-09-17 2010-08-10 Stephen Lukos Anti-bow roller tube arrangement
US8220520B2 (en) 2004-09-17 2012-07-17 Stephen Lukos Spring biased slide arrangement for anti-bow roller tube
US7134473B2 (en) 2004-09-17 2006-11-14 Stephen Lukos Anti-bow roller tube arrangement
KR100754441B1 (ko) * 2005-07-05 2007-09-03 (주)한국윈텍 멀티 쉐이드장치
CA2613690C (en) 2006-12-14 2015-11-24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Roller blind mounting system and parts therefor
US7571756B2 (en) 2006-12-20 2009-08-11 Hunter Douglas Inc. System for operating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JP5165317B2 (ja) 2007-09-27 2013-03-21 トーソー株式会社 ロールブラインド
US7854419B2 (en) 2007-12-14 2010-12-21 Philip Ng Adjustable mounting bracket for roller blind
KR100866344B1 (ko) * 2008-05-07 2008-10-31 김성철 롤 블라인드
US8122932B2 (en) 2009-01-21 2012-02-28 Rollease, Inc. Multi-section window dressing with coupling clutch
KR101048674B1 (ko) 2009-09-25 2011-07-12 좋은금속(주) 롤 블라인드
US20110139381A1 (en) 2009-12-10 2011-06-16 Joseph Daniels System for operating and positioning a roller shade
TWI445878B (en) 2010-07-01 2014-07-21 Blinds with a looped blind sheet for adjusting opacity
US20120043029A1 (en) * 2010-08-20 2012-02-23 Gaskill Robert D Dual Panel Window Shade Apparatus with Improved Bottom Weight Bar and Rail
DE102010063595B4 (de) 2010-12-20 2016-11-03 Bos Gmbh & Co. Kg Abdecksystem und Kraftfahrzeug mit einem Abdecksystem
US9512672B2 (en) * 2012-11-19 2016-12-06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with coordinated vane sets
US8960621B2 (en) 2013-07-12 2015-02-24 Zmc Metal Coating Inc. Slide lock for a roller blind fascia
CN104514480B (zh) * 2013-09-30 2016-06-01 江门嘉东装璜制品有限公司 能够补偿高度的环圈式斑马帘及其补偿高度的方法
US9587429B2 (en) * 2014-11-10 2017-03-07 Li-Ming Cheng Light input-adjustable window shade
TWM510125U (zh) * 2015-01-12 2015-10-11 zhe-wen Zhou 雙捲簾及下擺
KR101670079B1 (ko) * 2015-03-18 2016-11-09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롤 블라인드용 웨이트 유닛장치
CN106285434A (zh) * 2015-05-15 2017-01-04 郑立铭 斑马帘
US20160348428A1 (en) * 2015-06-01 2016-12-01 Li-Ming Cheng Zebra Shade
CN205314886U (zh) * 2016-01-15 2016-06-15 东莞市美佳窗饰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斑马帘
CN205477312U (zh) * 2016-01-21 2016-08-17 加联达企业股份有限公司 可调光帘布结构
US9631422B1 (en) * 2016-02-01 2017-04-25 Calendar Enterprises Co., Ltd. Roller shade with a light regulating function
AU2018203526B2 (en) * 2017-05-23 2024-03-21 Hunter Douglas Inc. Bottom rail assembly for a covering with adjustable roller position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2020963A (en) 2018-11-28
US20210123300A1 (en) 2021-04-29
CN108930500A (zh) 2018-12-04
GB2565183A (en) 2019-02-06
GB201808370D0 (en) 2018-07-11
US11898401B2 (en) 2024-02-13
CA3005531A1 (en) 2018-11-23
AU2018203526B2 (en) 2024-03-21
GB2565183B (en) 2022-06-08
NL2020963B1 (en) 2019-03-28
AU2018203526A1 (en) 2018-12-13
US20180340369A1 (en) 2018-11-29
TWI798227B (zh) 2023-04-11
US10895106B2 (en) 2021-01-19
TW201901023A (zh) 201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8362A (ko) 조절 가능한 롤러 위치를 갖는 덮개를 위한 하부 레일 조립체 및 관련 방법
US9347261B2 (en) Adjustment mechanisms for shades
RU2692850C1 (ru) Оконная штора
US10513884B2 (en) Roller shade assembly with multiple shade configurations
KR20160104460A (ko) 롤 스크린을 갖는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 및 그에 사용되는 롤 스크린
US20220136324A1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feature having a bottom rail leveling mechanism
US10676988B2 (en) Window covering control apparatus
US9482050B2 (en) Shade lock assembly
KR20180111301A (ko) 롤 블라인드
JP4696401B2 (ja) ブラインド装置
KR101109136B1 (ko) 롤 블라인드
KR101729695B1 (ko) 롤 방식으로 권취되는 스크린, 그리고 스크린 제작 장치 및 방법
US7950436B1 (en) Room darkening system and method
JPH08177350A (ja) ロール式網戸
JPH0714626Y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用ガイドレール
JP6426421B2 (ja) シャッター
GB2501797A (en) Screen Assembly
JP2016199970A (ja) ガイドレール
KR20170016903A (ko)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롤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