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615A -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 Google Patents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615A
KR20180127615A KR1020170062616A KR20170062616A KR20180127615A KR 20180127615 A KR20180127615 A KR 20180127615A KR 1020170062616 A KR1020170062616 A KR 1020170062616A KR 20170062616 A KR20170062616 A KR 20170062616A KR 20180127615 A KR20180127615 A KR 20180127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kickboard
unit
variab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1178B1 (ko
Inventor
정태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파야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파야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파야나인
Priority to KR1020170062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17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스탠딩 탑승기능에 한정된 킥보드에 사용자 선택에 따른 탈,부착 설치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안장유닛을 구비시키되, 그 가변안장유닛의 설치 및 높이조절 작업을 보다 손쉽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설치된 가변안장유닛을 견고한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형성하여, 킥보드 주행시 사용자 신체로 전달되는 주행충격을 별도의 현가장치, 예컨대, 쇽업쇼바 등의 구성을 필요함 없이 갖는 가변안장유닛 자체구성만으로 탄력적 흡수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효율성과 기능성, 그리고, 안전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탑승발판, 전,후륜휠, 조향 핸들축, 마찰제동부가 구비된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조향 핸들축에 안장높이 조절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조향 핸들축의 안장높이 조절공을 통해 설치높이가 조절되며 탈,부착 결합하는, 설치유도 고정프레임과, 안장으로 이루어진 가변안장유닛을 더 형성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a baby kickboard}
본 발명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복적 발구름 동작에 의해 주행하는 무동력 킥보드에 있어, 그 킥보드에 선택적 탈,부착 기능과, 높이조절기능, 그리고, 완충기능이 부여된 안장수단을 구비시키고, 여기에 더하여, 보호자에 의해 주행동력을 전달하는 견인수단, 초보탑승자의 주행균형을 유지시켜주는 보조안전 주행수단 등을 다양하게 마련되게 한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날로 증대되고 있음이 오늘날의 현실임을 알 수 있다.
이에, 근래에는 건강증진을 위한 레포츠 활동의 한 분야로서, 롤러 보드, 인라인스케이트, 킥보드 등과 같이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의 신체사이즈 내지 체력조건에 맞게 속도감을 즐길 수 있는 전문화된 놀이기구들이 다양하게 개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특히, 상기 킥보드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탑승시킨 상태하에, 발구름 동작을 반복할 경우, 점진적으로 주행 가속력이 증가하며, 일정한 속도감을 느끼게 하는 사용기능을 행하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종래의 킥보드는 스탠딩 탑승방식, 예컨대, 별도의 안장을 필요함 없이 사용자가 발판에 선채로 탑승하는 방식에 한정된 것인바, 따라서, 신체발달이 성숙하지 못한 유아 또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킥보드가 보급되는 경우, 미발달된 균형감각과 주행조작의 미숙, 그리고, 체력적 한계로 인해 상당한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킥보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탠딩 탑승방식에 한정된 것임에 따라,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탑승 이용함에 있어, 보호자가 킥보드의 주행방향과 속도를 조정하며 견인 및 안내할 수 있는 안전수단 등을 필요로하는 것임 불구하고, 종래의 킥보드는 이러한 안전수단들을 전혀 구비하고 있지 못한 것인바, 따라서, 취급 및 사용관계에 있어 안전사고에 쉽게 노출될수 밖에 없는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전술한 스탠딩 탑승방식 킥보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안장수단을 구비시킨 킥보드,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등록된 "자전거 겸용 킥보드"(실용신안등록 제0234355호)가 창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선출원 공개기술로서의 "자전거 겸용 킥보드"는 핸들과 발판, 바퀴로 이루어진 킥보드에 있어, 상기 킥보드에 안장과 페달, 그리고, 페달에 의해 주행동력을 발생시키는 체인구동장치를 마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선등록 기술로서의 "자전거 겸용 킥보드"는 주행동력을 전달하는 페달과 체인구동장치, 그리고,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힌지 접철 구조의 안장수단을 구비시킨 것으로, 이는, 실질적으로 자전거에 해당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일반적 자전거의 구성을 그대로 채용한 상기 "자전거 겸용 킥보드"는 페달구름 동작에 의해 주행동력을 발생하고, 탑승시 일반 자전거와 동일한 균형감각과 조작능력, 그리고, 체력을 요구함에 따라 유아들의 사용을 불가하게 하는 폐단, 예컨대, 사용 연령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선등록 기술로서의 "자전거 겸용 킥보드"는 안장수단이 킥보드로부터 선택적 분리되지 못한 채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조립구조, 예컨대, 단순한 힌지 접철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부피와 하중이 증가할 수밖에 없고, 특히, 접철된 안장수단의 간섭에 의해 스탠딩 탑승이 용이하지 못하며, 그러한, 용이하지 못한 스탠팅 탑승으로 인해 신체 균형유지가 어려고, 따라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배가되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킥보드 내지 자전거 겸용 킥보드 등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탠딩 탑승기능에 한정된 킥보드에 사용자 선택에 따른 탈,부착 설치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안장유닛을 구비시키되, 그 가변안장유닛의 설치 및 높이조절 작업을 보다 손쉽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설치된 가변안장유닛을 견고한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형성하여, 킥보드 주행시 사용자 신체로 전달되는 주행충격을 별도의 현가장치, 예컨대, 쇽업쇼바 등의 구성을 필요함 없이 갖는 가변안장유닛 자체구성만으로 탄력적 흡수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효율성과 기능성, 그리고, 안전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탈,부착 가변안장유닛이 구비되는 킥보드에 수납 인출사용기능을 갖는 견인수단과, 주행균형을 유지시켜주는 접철식 보조안전 주행수단을 더 마련되게 하여, 미발달된 균형감각과 주행조작의 미숙, 그리고, 신체적 한계를 갖는 유아 내지 어린이들이 킥보드를 이용함에 있어, 용이한 주행균형 유지와 심리적 사용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유아 내지 어린이가 탑승한 킥보드의 주행방향과 주행속도를 보호자에 의해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킥보드 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유아 내지 어린이를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취급형태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탑승발판, 전,후륜휠, 조향 핸들축, 마찰제동부가 구비된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조향 핸들축에 안장높이 조절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조향 핸들축의 안장높이 조절공을 통해 설치높이가 조절되며 탈,부착 결합하는, 설치유도 고정프레임과, 안장으로 이루어진 가변안장유닛을 더 형성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는, 스탠딩 탑승기능에 한정된 통상의 킥보드에 사용자 선택에 따라 탈,부착 설치 및 높이 조절이 용이한 가변안장유닛을 구비하여, 그 가변안장유닛의 설치 및 높이조절 작업을 편리하게 행하도록 하고, 아울러,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설치된 안장가변유닛에 의해 킥보드 주행시 사용자 신체로 전달되는 주행충격을 별도 현가장치 등의 구성을 필요함 없이 탄력적으로 흡수되게 한 것으로, 이는, 사용효율성과 기능성, 그리고, 안전성을 극히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는, 선택적 수납 인출사용기능을 갖는 견인수단(주행견인부)과, 주행균형을 유지시켜주는 접철식 보조안전 주행수단(보조균형 안전휠)을 더 마련하여, 신체적 한계를 갖는 유아 내지 어린이들이 킥보드를 이용함에 있어, 용이한 주행균형 유지와 심리적 사용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유아 내지 어린이가 탑승한 킥보드의 주행방향과 주행속도를 보호자에 의해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킥보드 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유아 내지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의 요부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변안장유닛의 결합상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변안장유닛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의 이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의 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의 사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의 오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탑승발판(11)과, 전륜 휠(2)과, 조향 핸들축(3)과, 후륜 휠(4)과 마찰제동부(5)가 구비된 킥보드 본체(100), 그리고, 상기 조향 핸들축(3)에 탈,부착 결합하는 설치유도 고정프레임(6)과 안장(7)으로 이루어진 가변안장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킥보드 본체(100)는, 통상의 킥보드와 상이함이 없는 동일구성인바, 이와 같은, 킥보드 본체(100)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신체를 스탠딩 방식으로 받침하는 탑승발판(11)을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탑승발판(11) 전방에 좌,우 한쌍의 대칭구조로 이루어진 전륜 휠(2)을 형성하고, 한쌍의 전륜 휠(2) 상부면에 킥보드의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직립 설치구조의 조향 핸들축(3)을 형성하며, 재차, 탑승발판(1) 후방에 단일구성의 후륜 휠(4)을 형성하고, 단일구성의 후륜 휠(4) 상부면에 킥보드의 주행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 제어하는 마찰제동부(5)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통상의 킥보드 본체(100)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그 킥보드 본체(100)에 있어, 조향 핸들축(3) 상에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수직배열구조를 이루며 다단 구조로 수평 관통된 다수개의 안장높이 조절공(31)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변안장유닛(200)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지구성인바, 이러한, 가변안장유닛(200)에 있어, 상기 설치유도 고정프레임(6)은, 도 1 내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설치유도 고정프레임(6) 전방면에 반원호 형상을 취하는 소정길이구성의 프레임 밀착홈(61)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밀착홈(61)의 좌,우 양측면에 전방을 향해 대칭구조로 연장되는 한쌍의 체결유도 가이드(62)를 형성하며, 재차, 상기 프레임 밀착홈(61)의 중앙면 상부측에 수평으로 관통하는 볼트 체결공(63)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안장유닛(200)에 있어, 상기 안장(7)은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에 반원호 형상을 취하는 안장 밀착홈(71)을 형성하고, 상기 안장 밀착홈(71) 좌,우 양측면에 상기 체결유도 가이드(62)와 삽입구조로 연결하는 한쌍의 결합유도편(72)을 형성하며, 재차, 상기 안장 밀착홈(71)의 후방에 일체화 연결되는 탄성 안착판(73)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안장(7)에 있어, 상기 안장밀착홈(71)은 내측 중앙면 상부측에 도 1 및 도 3,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 볼트체결구(711)를 삽입구조로 더 장착 형성하고, 상기 금속제 볼트체결구(711) 하부면에 안장 보조고정돌기(712)를 더 돌출구조로 더 형성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는, 킥보드 본체(100)로 형성된 조향 핸들축(3)에 가변안장유닛(200)을 사용자 선택에 따른 높이를 조절관계로 탈,부착 설치 사용하는 것인바, 그에 대한 설치결합 사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치유도 고정프레임(6)의 볼트체결공(63)에 소정길이의 장볼트(B)를 삽입시키고, 삽입된 장볼트(B)를 조향핸들축(3)으로 형성된 다단 구성의 안장높이조절공(31)에 있어, 체결을 필요로 하는 위치(높이)의 안장높이 조절공(31)을 선택한 후, 그 선택된 안장높이 조절공(31)에 삽입시키는 형태로 하여, 설치유도 고정프레임(6)의 프레임 밀착홈(61)을 조향 핸들축(3)의 전방 외경면에 밀착시킨다.
연속하여, 상기와 같이, 고정프레임(1)이 밀착된 부위 대향 방향에 안장(7)을 위치되게 한 후, 그 안장(7)으로 형성된 결합유도편(72)을 설치유도 고정프레임(6)의 체결유도가이드(62) 외측면에 동일높이로 일치 수용시키는 형태로 삽입하여, 안착밀착홈(71)을 조향 핸들축(3)의 후방 외경면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결합유도편(72)을 설치유도 고정프레임(6)의 체결유도가이드(62) 외측면에 동일높이로 일치시켜 삽입하게 되면, 그 체결유도가이드(62)에 의한 삽입유도작용에 의해 안장밀착홈(71)으로 형성된 금속제 볼트체결구(711)는, 상기 장볼트(B)와 자연스럽게 일치되는 상태를 취하며 그 일치되는 장볼트(B)와 도 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된다.
또 다르게, 상기와 같이, 결합유도편(72)을 설치유도 고정프레임(6)의 체결유도가이드(62) 외측면에 동일높이로 일치시켜 삽입하게 되면, 그 체결유도가이드(62)에 의한 삽입유도작용에 의해 안장밀착홈(71)으로 형성된 안장보조 고정돌기(712)는, 조향 핸들축(3)으로 형성된 다단구조의 안장높이 조절공(31)에 있어 상기 장볼트(B)가 삽입된 안장높이 조절공(31) 하부의 안장높이 조절공(31)에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걸림되며, 별도의 볼트체결 없이 보조결합 고정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결합관계에 의해 가변안장유닛(200)은 킥보드 본체(100)의 조향 핸들축(3) 상에,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캔틸레버(canti lever) 구조로 선택적 설치되는 것이고, 이러한 설치상태에서, 탄성안착판(73)을 탑승수단으로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킥보드를 앉아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인바, 이러한 일련의 결합 및 이용관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를 구현한다.
이때, 가변안장유닛(200)은 캔틸레버(canti lever) 구조로 결합설치됨에 따라 킥보드의 주행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의 이실시예도로서, 이와 같은,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의 구성에 있어, 가변안장유닛(200)을 형성하는 설치유도 고정프레임(6) 전방 일측면에 주행견인부(64)를 더 마련되게 한다.
이에, 이실시예의 구성으로 마련되는 상기 주행견인부(64)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641)과, 수납홈(641)내로 수용 보관되는 견인줄(642), 그리고, 수납홈(641)의 개폐를 단속하는 마감커버(643)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납홈(641)은 소정의 깊이 구성으로써, 그 수납홈(641) 내측면에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권취릴(R)을 더 수용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납홈(641) 내로 수용설치되는 자동권취릴(R)은, 일반 줄자 등에 널리 적용되는 자동릴, 예컨대, 코일스프링에 의한 탄성 작용에 의해 풀림과 감김작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자동권취릴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인바, 따라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줄(642)은 소정길이를 갖는 유동성의 끝 구성으로, 이러한, 견인줄(642)은,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인출고리(G)가 마련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자동권취릴(R)에 연결된 구조로 감김 및 풀림되며 수납홈(641)내에 수용 보관되는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커버(643)는, 전술한 수납홈(641)을 개폐단속하는 수단으로, 이러한, 마감커버(643)는, 도 5의 부분확대도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면에 견인줄(642)의 인입/인출을 안내하는 견인줄 안내홈(H)을 형성하고, 견인줄(642)에 마련된 인출고리(G)를 탈,착 구조로 조립고정하는 고리고정구(J)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이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자동권취릴(P)에 탄성 감김된 견인줄(642)을 보호자 선택에 따라 인출하여, 유아 내지 어린이가 탑승한 킥보드를 견인하는 사용관계를 갖는다.
또 다르게, 자동권취릴(P) 감김된 상태의 견인줄(642)에 있어, 마감커버(643)의 고리고정구(J)로 체결 고정된 인출고리(G)는 그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야외활동시 필요한 물병이나 보조수납포켓 등을 거치시키는 용도를 갖는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의 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삼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이실시예 구성의 주행견인부(64) 구성에 있어, 자동권취릴(R)과, 견인줄 안내홈(H), 그리고, 고리고정구(J)를 배제시킨 형태로써,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고리(T)가 수용설치된 수납홈(641')과, 견인고리(T)에 걸림 연결되며 수납홈(641) 내로 수용 보관되는 견인줄(642')과, 상기 수납홈(641')의 개폐를 단속하며 견인줄(642')을 인입/인출토록 하는 마감커버(643')로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의 사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사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의 안장(7) 구성에 있어, 그 안장(7)으로 마련된 좌,우 한쌍의 결합유도편(72) 외측면에 발받침 높이조절공(P)이 마련된 설치레일(721)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레일(721)에 가변 발받침 유닛(8)을 슬라이딩 구조로 더 결합 형성하되, 상기 발받침 유닛(8)은 탄성걸림 고정구(811)가 구비된 이송체결로드(81)와, 이송체결로드(81) 하단면에 힌지 접철구조로 결합된 발 받침대(82)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킥보드 본체(100)에 가변안장유닛(200)을 설치한 상태하에, 유아 또는 어린이가 안장에 앉은 형태로 탑승할 경우, 설치레일(721)과 이송체결로드(81)에 의해 발받침 유닛(8)의 길이를 조절과 동시에 발 받침대(82)를 힌지 접철 구조로 펼침 하여 탑승자의 발을 편안하게 거치 되게 하는 사용관계를 갖게 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의 오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오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의 구성인 탑승발판(1)의 하부면 중앙 좌,우 양측면에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힌지 접철되는 한쌍의 균형보조안전 휠(11)을 더 설치 형성하여, 균형 감감이 미숙한 유아 또는 어린이가 킥보드에 탑승할 경우, 균형보조안전 휠(11)을 선택적으로 펼침 하여, 보조적 형태로 균형력을 유지시키는 사용관계를 갖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1 : 탑승발판 2 : 전륜 휠
3 : 조향 핸들축 4 : 후륜 휠
5 : 마찰제동부 6 : 설치유도 고정프레임
7 : 안장 8 : 발 받침 유닛
11 : 균형보조 안전휠 31 : 안장높이 조절공
61 : 프레임 밀착홈 62 : 체결유도 가이드
63 : 볼트체결공 64 : 주행견인부
71 : 안장 밀착홈 73 : 탄성 안착판
81 : 이송체결로드 82 : 발 받침대

Claims (5)

  1. 탑승발판(11) 전방에 전륜 휠(2)과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조향 핸들축(3)이 구비되고, 탑승발판(1) 후방에 후륜 휠(4)과 주행속도를 조절하는 마찰제동부(5)가 구비된 킥보드 본체(100)에 있어서;
    상기 조향 핸들축(3)은, 봉 형상의 직립설치구조를 이루는 것을 포함하며, 그 직립 설치된 조향 핸들축(3)에 다단 구조로 수평 관통된 다수개의 안장높이 조절공(31)을 더 형성하고;
    상기 조향 핸들축(3)의 높이조절공(31)을 통해 설치높이가 조절되며 탈,부착 결합하는, 설치유도 고정프레임(6)과, 안장(7)으로 이루어진 가변안장유닛(200)을 형성하며;
    상기 가변안장유닛(200)에 있어, 설치유도 고정프레임(6)은 전방면에 반원호 형상을 취하는 프레임 밀착홈(61)과, 프레임 밀착홈(61) 좌,우 양측면에 대칭구조로 연장된 한쌍의 체결유도 가이드(62)와, 프레임 밀착홈(61)의 중앙면 상부측에 수평으로 관통하는 볼트 체결공(63)을 형성하고;
    상기 가변안장유닛(200)에 있어, 안장(7)은 전방면에 반원호 형상을 취하는 안장 밀착홈(71)과, 안장 밀착홈(71) 좌,우 양측면에 상기 체결유도 가이드와 삽입구조로 연결하는 한쌍의 결합유도편(72)과, 안장 밀착홈(71)의 후방에 일체화 연결되는 탄성 안착판(73)을 형성하되;
    상기 안장밀착홈(71)은 내측 중앙면 상부측에 금속제 볼트체결구(711)를 삽입구조로 더 장착 형성하고, 금속제 볼트체결구(711) 하부면에 안장 보조고정돌기(712)를 더 돌출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유도 고정프레임(6)은, 전방 일측면에 주행 견인부(64)를 더 형성하되;
    상기 주행 견인부(64)는, 자동권취릴(R)이 수용설치된 수납홈(641)과;
    일측 단부에 인출고리(G)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자동권취릴(R)에 연결된 구조로 감김 및 풀림되며 상기 수납홈(641)내로 수용 보관되는 견인줄(642)과;
    전면 중앙면에 견인줄(642)의 인입/인출을 안내하는 견인줄 안내홈(H)과, 인출고리(H)를 탈,착 구조로 조립고정하는 고리고정구(J)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홈(641)의 개폐를 단속하는 마감커버(64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견인부(64)는, 견인고리가 수용설치된 수납홈(641')과;
    상기 견인고리(T)에 걸림 연결되며 수납홈 내로 수용 보관되는 견인줄(642')과;
    상기 수납홈(641')의 개폐를 단속하며 견인줄(642')을 인입/인출토록 하는 마감커버(64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7)은, 좌,우 한쌍의 결합유도편(72) 외측면에 발받침 높이조절공(P)이 마련된 설치레일(721)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레일(721)에 가변 발받침 유닛(8)을 슬라이딩 구조로 더 결합 형성하되, 상기 발받침 유닛(8)은 탄성걸림 고정구(811)가 구비된 이송체결로드(81)와, 이송체결로드(81) 하단면에 힌지 접철구조로 결합된 발 받침대(8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발판(1)은, 하부면 중앙 좌,우 양측면에 대칭되는 한쌍의 균형보조안전 휠(11)이 힌지 접철구조로 더 설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기능을 개선시킨 유아용 킥보드.
KR1020170062616A 2017-05-21 2017-05-21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KR101951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616A KR101951178B1 (ko) 2017-05-21 2017-05-21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616A KR101951178B1 (ko) 2017-05-21 2017-05-21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615A true KR20180127615A (ko) 2018-11-29
KR101951178B1 KR101951178B1 (ko) 2019-04-29

Family

ID=6456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616A KR101951178B1 (ko) 2017-05-21 2017-05-21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1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1738A (zh) * 2019-04-24 2019-07-12 中山市辣妈日用品有限公司 一种可变滑板车的婴儿推车
WO2020142861A1 (zh) * 2019-01-07 2020-07-16 深圳信隆健康产业发展股份有限公司 滑行车改良结构
KR102500991B1 (ko) * 2022-10-14 2023-02-17 주식회사 에코큐브 어린이용 킥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671B1 (ko) 2019-10-31 2021-09-02 홍은주 킥보드 견인 바 및 견인 바가 구비된 킥보드
KR20230172287A (ko) 2022-06-15 2023-12-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결합이 용이한 길이조절 킥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379004U (zh) * 2011-11-21 2012-08-15 瑞士米高公司 一种带座位的滑板车
US8740236B2 (en) * 2011-01-17 2014-06-03 Micro Mobility Systems Ag Infant scooter
CN205801302U (zh) * 2016-06-08 2016-12-14 高国喜 一种封闭式两轮四轮互换车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0236B2 (en) * 2011-01-17 2014-06-03 Micro Mobility Systems Ag Infant scooter
CN202379004U (zh) * 2011-11-21 2012-08-15 瑞士米高公司 一种带座位的滑板车
CN205801302U (zh) * 2016-06-08 2016-12-14 高国喜 一种封闭式两轮四轮互换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2861A1 (zh) * 2019-01-07 2020-07-16 深圳信隆健康产业发展股份有限公司 滑行车改良结构
CN110001738A (zh) * 2019-04-24 2019-07-12 中山市辣妈日用品有限公司 一种可变滑板车的婴儿推车
KR102500991B1 (ko) * 2022-10-14 2023-02-17 주식회사 에코큐브 어린이용 킥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178B1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178B1 (ko)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US7900940B1 (en) Pedestrian cycle
KR20120010487A (ko) 배터리 및 페달 구동용 접이식 자전거
KR200459090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200459089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US7188849B2 (en) Child transport vehicle and carrier adapted therefor
CN210078833U (zh) 自助驱动型游乐运动设备
US20190168065A1 (en) Active stroller entertainment system
KR20130126220A (ko) 스탠드형 보행장치
CN104670385A (zh) 带座位的滑板车
JP3018290B1 (ja) 三輪車
JP2005096500A (ja) 電動三輪キックスケータ
KR200428429Y1 (ko) 보조 조향장치를 갖는 세발자전거용 안장
US20080211199A1 (en) Snow Vehicle
KR101286618B1 (ko) 연결형 자전거
KR101837955B1 (ko) 탈부착 가능한 간이의자용 자전거 안장
CN110314365A (zh) 一种带减震系统和制动装置的轮滑鞋
US7429055B2 (en) Cycling device
CN211810027U (zh) 一种不用手扶的滑板车
RU2810342C1 (ru) Подручная опора адаптационная
KR102521400B1 (ko) 운동 유희 자전거
KR102500991B1 (ko) 어린이용 킥보드
JP3436977B2 (ja) 綱渡り用バランス維持具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
CN221061181U (zh) 一种可调节高度的四轮推车
CN214138668U (zh) 一种多功能可变形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