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466A - 항염증성 추출물 - Google Patents

항염증성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466A
KR20180127466A KR1020187031415A KR20187031415A KR20180127466A KR 20180127466 A KR20180127466 A KR 20180127466A KR 1020187031415 A KR1020187031415 A KR 1020187031415A KR 20187031415 A KR20187031415 A KR 20187031415A KR 20180127466 A KR20180127466 A KR 20180127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extract
composition
skin
extract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시스 라보
앙트완 빌리
마크 롤러
시모나 비르틱
Original Assignee
나투렉스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6113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12746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나투렉스 에스아 filed Critical 나투렉스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80127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88Applications,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에르바(Aerva) 속 식물의 지상 부위로부터 수득된 식물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아에르바 자바니카 (부름.에프.) 주스. 엑스 슐트 품종으로부터, 상기 지상 부위를 적어도 1종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추출 용매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이 유형의 상기 식물 추출물은 특히 화장품용, 뉴트라슈티컬용, 약제학적 또는 식품용 유형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서 관심을 끈다.

Description

항염증성 추출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식물 추출물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에르바(Aerva) 속 식물, 특히 아에르바 자바니카 (부름.에프.) 주스. 엑스. 슐트 (Aerva javanica (burm.f.) Juss. ex. Schult)로부터 수득된 또는 수득될 수 있는 식물 추출물, 상기 추출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염증의 처치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위한 상기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선행-공개된 문헌의 열거 또는 논의는 상기 문헌이 당업계의 기술현황의 일부이거나 또는 통상적인 일반 지식임을 인정하는 것으로 반드시 간주되지는 않아야 한다.
염증은 유기체에 대한 공격에 따른 정상적인 방어 현상이며, 개시기(initiation phase), 증폭기(amplification phase) 및 관해기(resolution phase)를 갖는다. 상기 염증 반응은 때때로 그 목표를 초과하여, 만성 염증의 경우에 관찰되는 것과 같은 유해 결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감염원(infectious agent), 불활성 이물(inert foreign substance), 물리적 작용제(physical agent), 외상후 세포병변(post-traumatic cytotissular lesion) 등과 같은 다양한 염증 원인이 있다.
염증의 2유형인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을 구별할 수 있다. 인식기, 및 면역 체계의 동원기(phase of mobilisation)의 전개에 관여하는 작용 메카니즘에서 발생하는 유사 작용에도 불구하고, 상기 2유형의 염증은 상기 염증을 관해하거나 관해하지 못하는 최종 결과에서 매우 상이하다.
급성 염증은 다양한 원인: 외상, 물리적 작용제, 내인성 또는 외인성 자극물(irritants), 또는 감염에 대한 자연적인 반응이다.
급성 염증은 3기(phase): 혈관기 또는 개시기, 세포기 또는 증폭기, 및 관해기(resolution phase)로 진행된다.
상기 염증의 제1기는 조혈줄기세포(HSCs): 림프구, 단핵구 및 대식세포의 분화로부터 비롯된 또는 항체, 보체 단백질 (혈청에 존재하고 내재 면역의 일부를 형성함), 및 혈액 응고와 관여하는 하게만(Hageman) 인자와 같은 순환 단백질(circulating protein)에 의한 "인식(recognition)" 반응으로 시작된다.
상기 인식기는, 상기 염증의 강도 및 위치의 함수로서 변화하는 세포 및 매개체의 군을 수반하는 다수의 연쇄 반응에 앞서 일어난다.
상기 최종기는 염증을 멈추게하는 다핵 세포의 아포토시스(apoptosis)에 해당한다; 이것을 상기 염증의 관해라고 지칭한다. 상기 면역 체계는 급성 염증에서는 거의 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급성 염증의 경우에, 상기 관해기는 항상성으로의 복귀, 성공적인 치유(healing) 및 조직 기능의 완전 회복(restoration)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해기가 일어나지 않으면 상기 염증 반응이 지속될 수 있고 상기 염증은 만성화된다. 이는 이후에 흉터 또는 섬유증의 형성을 주도하고, 심지어는 만성화로 인한 조직 변형을 주도할 수 있다.
만성 염증의 경우, 상기 염증 반응의 첫 번째 단계는 급성 염증에서 기재된 것과 유사한다.
그러나, 급성 염증과 달리, 만성 염증은 국부적인 염증 잔류에 기인하며, 이는 상기 유기체 내에서 임의의 병원체의 존재 또는 부재에 의해 영구화된다.
상기 염증 잔류는 자가 면역 질병으로 종종 기재되는 많은 만성 염증성 질병, 예컨대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고게롯-쇼그렌 질병 또는 크론병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만성 염증은 관절(관절증), 혈관 벽(동맥 경화증) 및 췌장(당뇨병)과 같은 세포 및 조직의 퇴행을 촉진한다. 장기적으로, 만성 염증은 면역 방어력의 저하를 유발하고, 염증 요소를 갖는 질병(심혈관 질병, 관절염, 천식, 알츠하이머 병, 과민성대장증후군, 암, 자가면역 질병 등)에 걸릴 수 있는 상황을 조성한다. 만성 염증은 자유 라디칼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신체 산화를 증가시킨다. 특히, 만성 염증은 노화를 촉진시킨다.
만성 염증은 심장 질병, 암 및 제2형 당뇨병을 비롯한 여러 다른 질병의 주요 위험 인자이다. 그러므로, 상기 전체 유기체는 상기 질병의 잠복 상태이지만, 현재로는 염증 상태를 겪는다.
만성 염증은 3가지 사항: 몇몇 명백한 징후, 상기 유기체 수준에서의 전체적인 작용, 및 경시적으로 지속되는 잠복적 점진적 작용에 의해 구별된다.
노화 자체가 염증을 촉진한다. 염증의 보다 많은 생물학적 지표가 노인 피험자에게서 발견된다. 그 이유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항산화, 호르몬 및 해독 기능의 전반적인 둔화, 미토콘드리아의 변형 및 부적절한 기능화, 자유 라디칼 방출의 증가, 독소(toxin) 또는 오염물질(pollutant)의 체내 축적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에, 염증 현상의 관해는 전-염증성(proinflammatory) 매개체의 단순 소멸로부터 발생하는 수동적 메카니즘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 현상의 관해는 다른 세포 유형 사이에서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OX), 리폭시게나아제(LOX) 또는 시토크롬 P450의 협동 작용(concerted action)을 동원한다. 이는 아라키돈산(ARA),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또는 도코사헥사엔산(DHA)과 같은 다중불포화 지방산(PUFA)으로부터 유래된 생리활성 지질(bioactive lipid)의 합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새로운 매개체는 리폭신, 레솔빈, 마레신 또는 프로텍틴으로 명명된다.
이들의 합성 경로는 과학 문헌에 광범위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아래에 간략하게 제시되어 있다:
a) 아라키돈산(ARA)-의존성 생리활성 매개체의 합성 경로
ARA는 ω6 계열의 비-필수 지방산이며, 세포막의 막 인지질에 포함된다. ARA는 포스포리파아제 A2에 의해 방출되며, 그의 활성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영향하에 염증 과정에 관여하는 유도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염증 동안에, 효소 12- 및 15-LOX는 중간 생성물인 12-(S)-HETE 및 15-(S)-HETE 각각의 생성을 허용한다. 5-LOX는 상기 ARA 분해 경로에서 이중 기능을 갖는다. 5-LOX는 ARA를 바로 5-(S)-HETE로 분해하고, 이어서 LTA4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류코트리엔 B4(LTB4)로 대사되거나, 또는 5-LOX는 15-(S)-HETE를 리폭신 A4 또는 B4(LXA4 및 LXB4)로 전환시킨다. LXA4 및 LXB4는 특화된 전-관해성 지질 매개체(specialised pro-resolving lipid mediator)(SPM) 계열에 속하는, 기재된 첫번째 매개체이다.
ARA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COX의 작용하에,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또는 트롬복산 B2(TBX2)가 유사하게 합성된다. 5-LOX의 작용하에, ARA의 전환은 또한 LTA4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류코트리엔 B4(LTB4)로 전환되는 중간체 (5-(S)-HETE)를 생성시킨다.
상기 PGs 및 LTB4s의 일부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인 염증 만성화 및 비-관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ARA 대사 경로를 억제하는 것은 염증에 보다 잘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약리학적 방향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COX를 억제하는 아스피린의 경우에 해당한다.
b) 도코사헥사엔산(DHA)-의존성 생리활성 매개체의 합성 경로
DHA는 ω3 유형의 필수 다중불포화 지방산이며, α-리놀렌산(ALA)의 분해로부터 수득되거나 또는 음식에서 직접 공급된다.
DHA 및 12-LOX 작용으로부터 시작하여, 14-HDoHE가 합성되어 마레신(7-Mar1)과 같은 생성물을 발생시킨다. 또한, DHA로부터 시작하여, 15-LOX의 작용은 중간체(17-HDoHE), 신경프로텍틴 D1의 전구체(PD1) 및 D-유형의 레솔빈(RvD1 및 RvD2)의 생성을 유도한다. 아스피린의 존재하에, 상기 D-유형 레솔빈의 에피머(epimer)가 유사하게 수득될 수 있다: 이들은 아스피린-유발된 레솔빈(AT-RvDs)이다.
c)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의존성 생리활성 매개체의 합성 경로
DHA처럼, EPA는, ALA의 분해로부터 형성되지만 음식에도 존재하는 ω3 유형의 다중불포화 지방산이다.
EPA에서 시작하여 COXs의 존재하에 중간체가 합성된다: 상기 중간체는, LOXs에 의해 전환될 때 레솔빈 E1과 E2 (RvE1과 RvE2)의 생성을 허용하는 18-HEPE이다.
이러한 생리활성 분자의 작용 메카니즘이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된다.
별도로 섭취된 리폭신 A4 또는 B4(또는 이들의 아스피린-의존성 에피머), 레솔빈 D1, 마레신 1, 레솔빈 E1 및 E2 및 뉴로프로텍틴 D1은 염증을 관해하기 위하여 염증반응 동안에 우리 유기체에서 자연적으로 합성되는 약물로 작용하기 때문에 오타코이드(autacoid)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들은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합성 및 전사인자 NF-KB의 동원을 감소시킴으로써 PMN의 침윤(infiltration)을 감소시켜 염증 현상의 관해를 촉진시키는 활성을 갖는다. RvE1 및 RvE2는 또한 손상된 각질층의 재상피화를 유도하는 능력을 갖는다. RvD1은 TRPA1, TRPV3 및 TRPV4의 동원에 의해 항-통각수용(anti-nociceptive) 능력을 부가적으로 갖는다.
급성 염증의 최종 결과(즉, 관해되었는지 또는 만성화되었는지)는 상해(injury)의 강도 및 특성 및 그의 위치뿐만 아니라 숙주의 과도한 반응 가능성과 같은 여러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염증으로부터 항상성(완전 관해)까지의 과정은 조직 수준에서 고도로 조절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프로스타글란딘(PGE2 및 PGD2)과 류코트리엔 B4은 특히 급성 염증의 개시기 및 증폭기에 관여한다. PGE2와 PGD2는 실제로 LTB4의 리폭신 A4로의 전환을 촉진시켜 레솔빈 D와 E 및 프로텍틴의 생성을 주도한다. 마찬가지로, PGE2, PGD2 및 LTB4는 또한 만성화로 될 수 있는 부적절한, 예컨대 과도한 반응을 유도하는 염증 과정을 촉진할 수 있다; 섬유증은 결합 조직의 실질적인 파괴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결합조직의 대체는 기능 상실을 초래한다.
어떤 경우라도, 관해 분자의 측정은 염증,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구(repair)에 양성 효과를 갖는 분자의 검증에 있어서 선택 모델을 나타낸다.
건강/약제학적 제품 내에서 합성 또는 인공(artificial) 성분의 사용은 소비자의 건강 및 케어(care)에 미칠 수 있는 가능한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우려가 되고 있다.
이는, 건강/약제학적/화장품용 제품의 인공 성분에 대한 자연 대체물에 대한 대중의 수요를 증가시켜왔다.
그로므로, 항-염증 적응증, 보다 정확하게는 만성 염증에 대한 적응증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 관심사항이다.
퍼옥시좀은 산소화된(oxygenated) 물의 대사에 관여하는 일련의 효소(카탈라아제, 우라테-옥시다아제, D-아미노산 옥시다아제) 및 지방산의 β-산화 효소를 함유하는 미토콘드리아에 유사한 작은 세포소기관이다.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s라고도 함)는 상기 유기체 내에서 특히 지질, 글루코오스 및 아미노산의 합성을 조절하는 핵 수용체 상과(superfamily)의 구성원이다.
최근에, 피부 및 다른 기관, 예컨대, 간, 신장, 심장, 근육, 뇌 및 지방(adipose) 조직에 존재하는 PPARs는 예를 들면, 세포 증식 및 분화, 면역 반응 및 아포토시스와 같은 세포 기능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PPARs은 또한 염증의 관해를 돕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수용체는 퍼옥시좀 증식체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천연 지방산에 의해 활성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수용체는 퍼옥시좀 및 미토콘드리아의 β-산화에 관여하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자극한다. 이러한 조절자 역할은 다양한 병리적 수준에서 중요한 다면발현성 효과를 상기 유기체 내에서 유발하며, 따라서 이들 마커는 새로운 치료법을 위한 연구에서 우선적인 표적이 된다.
특정 PPAR-α, -β/σ, -γ 수용체에 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합성 분자가 현재 존재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들 분자는 원하지 않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티아졸리딘다이온 유형의 약물의 경우에 심부전 위험이 증가하고 지방 생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티아졸리딘다이온이 아닌 2차 대사산물에 근거한 자연 대체물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s)의 활성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신규한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관심사항이다.
최근의 과학적 연구는 영양, 특히 칼로리 제한을, 건강하게 노화하는 것과 결부시켜 왔다. 동물 연구에서 칼로리 제한에 의해 수명 증가가 개선된다는 것일 수 있다.
SIRT1은 에너지 및 대사 과정의 유용성(availability)을 검출하기 위한 세포 센서로 작용하는, NAD+에 연결된 고 보존성 탈아세틸화효소 계열인 시르투인(sirtuin) SIRT1-7 계열의 구성원이다. SIRT1은 광범위한 조직 및 기관에서 발현되며, 간, 췌장 심장, 근육, 뇌, 피부의 조직 및 지방 조직에서 검출되어 왔다. SIRT1은 예를 들면, 칼로리 제한 또는 신체 운동에 의해 유발되는 낮은 세포 에너지 상태로 인해 유발되는 장애인 높은 NAD+ 수준에 의해 활성화된다. SIRT1의 활성화는 세포 보호에 대한 양성 효과 뿐만 아니라, 아포토시스, 세포주기, 생물학적주기(circadian rhythm),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글루코오스 관리, 지질 대사 및 에너지 항상성을 비롯한 활성 대사에 중요한 표적 단백질의 탈아세틸화를 주도한다. SIRT1의 대사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여러 마우스 모델이 사용되었다. SIRT1의 과발현이 비만증, 혈청 콜레스테롤 및 인슐린의 감소를 유발하는 동시에, 대사 증후군 및 비만에 의해 유도된 글루코오스 과민증(glucose intolerance) 및 인슐린 내성에 대하여 증가된 내성을 나타냄을 보여줄 수 있었다.
또한, SIRT1 단백질은 수많은 생물학적 과정, 특히 DNA 전사 및 복구에 관여하고 아포토시스 및 세포 노화(cellular senescence)의 과정에 관여한다. 이들은 세포 생존의 핵심 조절자이다. 보다 오래된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SIRT1의 내인성 발현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오래된 세포는 어린 세포보다 시르투인을 적게 생성한다. 테스트에 의하면, 인간 피부 세포에서 유전자 시르투인의 발현을 자극하면 노화가 늦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IRT1의 유지 및 활성화는 피부 노화의 징후를 없애고 피부의 장벽 기능을 유지하는데 있어 핵심이다. 실제로, 최근의 연구는 상기 장벽 기능의 완전성(integrity)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SIRT1의 주도적인 역할, 및 이에 따라 외부 공격에 대한 보호 역할뿐만 아니라 피부 수화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보여준다.
따라서, SIRT1의 활성화는 유기체의 항상성, 산화 스트레스 수준, 인슐린 내성 및/또는 지질 대사, 에너지 균형, 체력, 근육량, 세포 노화를 유지 또는 개선시켜서 노화 과정을 늦출 뿐만 아니라 만성 염증과 같은 만성 질병과 관련된 예방에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시르투인 활성화제로서 적응증을 갖는 신규한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관심사항이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예기치 않게,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 특히 아에르바 자바니카 (부름.에프.) 주스.엑스.슐트의 지상 부위(예를 들면, 식물의 잎)로부터 수득된 또는 수득될 수 있는 추출물이 특히 인간에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짐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면,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 특히 아에르바 자바니카 (부름.에프.) 주스.엑스.슐트의 상기 지상 부위로부터 수득된 또는 수득될 수 있는 추출물은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또는 도코사헥사엔산으로부터 유도된 것과 같은, 특화된 전-관해성 매개체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활성을 비롯한 항-염증성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밝혀졌다.
따라서, 상기 아에르바 식물, 특히 아에르바 자바니카 (부름.에프.) 주스.엑스.슐트의 상기 지상 부위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은 염증의 처치 또는 예방과 같은 수많은 치료적 및 비-치료적 용도(예: 화장품용 용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의학적 증상의 처치에서 유용할 수 있다.
도 1은 아에르바 자바니카의 물 전출(decoction) 또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 의해 자극된 후에 지질 매개체의 농도의 증가를 나타낸다.
식물 추출물
본 발명은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의 지상 부위로부터 수득된 또는 수득될 수 있는 식물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이후 "본 발명의 추출물"로 언급될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은 특히 식물 부위(고체 몸통부)에 함유된 식물함유 화합물(phytochemical compound)이 용매로 가용화되는 고체/액체 추출로부터 수득된 생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당업계의 숙련자들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은 상기 추출물이 식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식물로부터 단리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화합물 합성 또는 효소적 생성에 의해 대체적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수득된"은 상기 추출물이 상기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직접 유래됨을 의미한다.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은 아마란타세아에(Amaranthaceae) 과에 속한다.
상기 아에르바 속은 특히 열대 지역, 주로 아프리카 대륙(특히 마다가스카르)의 열대 지역뿐만 아니라 남서 아시아와 남아시아에서 발견된다.
"아에르바 속"은 특히 하기 품종을 포함한다: 아에르바 아르테미시오이데스(Aerva artemisioides), 아에르바 콘제스타(Aerva congesta), 아에르바 코리아세아 쉰즈(Aerva coriacea Schinz), 아에르바 훔베르티이 카바코(Aerva humbertii Cavaco), 아에르바 자바니카 (부르만 에프.) 에이.엘. 주스. 엑스 슐테스(Aerva javanica (Burman f.) A. L. Juss. ex Schultes), 아에르바 라나타 (엘) 에이.엘. 주스. 엑스 슐테스(Aerva lanata (L) A. L. Juss. ex Schultes), 아에르바 레우쿠라 모크.(Aerva leucura Moq.), 아에르바 마다가시카 수에스.(Aerva madagassica Suess.), 아에르바 마이크로필라 모크.(Aerva microphylla Moq.), 아에르바 레볼루타 발프.에프.(Aerva revoluta Balf.f.), 아에르바 세리세아 모크.- 아일랜드 퍼즐(Aerva sericea Moq.- island puzzle), 아에르바 생귀노렌타 (엘.) 블루메(Aerva sanguinolenta (L.) Blume), 아에르바 트랜스바알렌시스 간드.(Aerva transvaalensis Gand.), 아에르바 트리앵귤라리폴리아 카바코(Aerva triangularifolia Cavaco).
본 발명 대상인 바람직한 식물 추출물은 상기 아에르바 자바니카 (부름.에프.) 주스. 엑스 슐트 종(동의어: 아에르바 토멘토사 포르스크.(Aerva tomentosa Forsk.), 아에르바 페르시카 (부름.에프.) 메릴(Aerva persica (Burm.f.) Merill))의 상기 지상 부위로부터 수득된 또는 수득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종은 수직 초본 식물(높이 1.6 미터에 달할 수 있음)이다. 이는 선형 내지는 원형에 가까운(suborbicular) 호생엽(alternate leaves)을 포함하는 다년생 아관목(suffrutescent)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 꽃은 단성이며, 단부에서 그룹져 있으며 털모양의 원통형 스파이크(길이: 10 cm)를 가지며 직사각형 내지는 타원형의 화피편(tepal)을 갖는다. 상기 종은 볼모지(waste ground), 관목지(scrubland), 암석 지대에서 또는 열대 및 아열대 아프리카의 임연부(edges of forests)에서, 인도양에서, 열대 및 아열대 아시아에서 최대 1500 미터의 고도에서 생장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지상 부위"는 생장하고 있는 토양 내에 있지 않은 아에르바 식물의 임의의 부위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용어 "지상 부위"는 상기 식물의 뿌리를 함유하지 않지만, 잎, 줄기, 씨앗, 꽃 및 열매와 같은 부위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지상 부위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될 때 상기 "지상 부위"는 아에르바 식물, 특히 아에르바 자바니카 식물의 잎을 포함하거나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수성 추출물, 알코올 추출물 (물-알코올성 추출물을 포함함) 또는 유기 추출물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본 발명의 수성 추출물 및 본 발명의 알코올 추출물은 합쳐져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혼합된 추출물 중의 수성 추출물 : 알코올 추출물의 비는 1 : 10 내지 10 : 1, 예컨대 1 : 5 내지 5 : 1 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수성 추출물"은 상기 식물의 지상 부위(예를 들면, 잎)로부터의 추출이 유일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실시되었을 때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알코올 추출물"은 상기 식물의 지상 부위(예를 들면, 잎)로부터의 추출이 용매로서 알코올을 사용하여 실시되었을 때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을 지칭한다. 상기 알코올 용매는 유일하게 알코올(예: 100% 알코올), 예를 들면, 100% 에탄올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즉, 물-알코올성 용매), 예를 들면 에탄올과 물의 믹스(물-에탄올성 용매), 예를 들면, 물 중 약 1% 내지 약 99% 알코올 (예 : 에탄올)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물 : 알코올의 비는 10/90% v/v 내지 90/10% v/v 또는 30/70% v/v 내지 70/30% v/v, 예를 들면 50/50% v/v이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알코올성 추출물이다. 특히, 물-에탄올성 추출물과 같은 물-알코올성 추출물이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유기 추출물"은 상기 식물의 지상 부위(예를 들면, 잎)로부터의 추출이 알코올이 아닌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실시되었을 때 본 발명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 용매는 아세트산,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벤젠, 2-부탄온,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시클로헥산, 1,2-다이클로로에탄,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 에테르, 다이글림(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테르), 1,2-다이메톡시-에탄(글림, DME),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MSO), 1,4-다이옥산,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헵탄, 헥사메틸포스포르아마이드(HMPA), 헥사메틸포스포러스, 트리아마이드(HMPT), 헥산, 메틸 t-부틸, 에테르(MTBE), 메틸렌 클로라이드, N-메틸 -2-피롤리디논(NMP), 니트로메탄, 펜탄, 석유 에테르 (리그로인), 피리딘, 테트라 하이드로푸란(THF), 톨루엔, 트리에틸 아민, o-자일렌, m-자일렌 및 p-자일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코올성 추출물(예컨대, 물-알코올성 추출물, 예를 들면, 물-에탄올성 추출물)은 케르세틴 다이-람노실 글루코사이드(quercetin di-rhamnosyl glucoside), 캠페롤 쿠마로일 람노실 갈락토사이드(kaempferol coumaroyl rhamnosyl galatoside) 이성체, 이소람네틴 람노실 루티노사이드(isorhamnetin rhamnosyl rutinoside), 루틴(rutin), 캠페롤 쿠마로일 람노실 갈락토사이드(kaempferol coumaroyl rhamnosyl galactoside), 및/또는 캠페롤 다이-쿠마로일 람노실 갈락토사이드(kaempferol di-coumaroyl rhamnosyl galactoside)를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코올성 추출물(예를 들면, 물-알코올성 추출물)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0.3%의 케르세틴 다이-람노실 글루코사이드 추출물,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0.1%의 캠페롤 쿠마로일 람노실 갈락토사이드 이성체 추출물,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4 내지 약 0.08%의 이소람네틴 람노실 루티노사이드 추출물,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0.15%의 루틴 추출물,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0.1%의 캠페롤 쿠마로일 람노실 갈락토사이드 추출물, 및/또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0.3%의 캠페롤 다이-쿠마로일 람노실 갈락토사이드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루어질 수 있다.
의심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주어진 측면, 특징 또는 파라미터에 대해 표기된 바람직함, 선택사항, 특정 특징 등은, 문맥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측면들, 특징들 및 파라미터들에 대해 표기된 것과 같은 임의의 및 모든 상이한 바람직한, 선택사항 및 특정 특징들 등과 조합되어 개시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약"은, 예를 들면, 측정가능한 값(예컨대, 상기 반응 혼합물 중의 특정 구성성분의 양 또는 중량)을 지칭할 때, 명시된 양의 ± 20%, ± 10%, ± 5%, ± 1%, ± 0.5%, 특히, ± 0.1%의 편차를 지칭한다.
숙련자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고체 형태 또는 액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고체 형태라 할 때, 상기 추출물이 비정질(amorphous) 고체로서 또는 결정질 또는 부분-결정질 고체로서 제공될 수 있음이 포함된다.
추출 방법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상기 아에르바 속의 지상 식물 부위를 적어도 1종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추출 용매와 접촉시키는 단계, 유리하게는 이후에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의 지상 부위로부터 수득되거나 또는 수득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은 추출 및 단리 방법 또는 이의 통상의 변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은 접촉 단계, 탈색 단계 ("표백 단계"로 언급될 수 있음) 및/또는 탈취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탈색 단계 및 탈취 단계는 단일 단계(single step)로 함께 수행되거나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탈색 단계와 탈취 단계가 별도로 수행된다면, 상기 탈색 단계는 상기 탈취 단계의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공하는 방법은 하기의 연속적인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루어질 수 있다:
a)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의 지상 부위를 제조/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지상 부위를 상기 추출 용매와 접촉시키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여 원하는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상기 지상 부위의 고체 잔류물을 추가로 접촉시키는 단계, 이어서 여과하는 단계,
d) 선택적으로, 원하는 상기 여액을 탈색 및/또는 탈취하는 단계, 및
e) 선택적으로, 상기 식물 추출물을 고체 지지체 상에서 또는 액체 지지체 상에서 제형화하는 단계.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가 하기에 기재되어 있으며,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선택적으로 분쇄 단계 및 선택적으로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의 지상 부위를 제조/제공하는 단계,
b) 1 내지 8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주위 온도에서, 환류하에 또는 45 내지 55 ℃ 범위의 온도에서 상기 지상 부위를 상기 추출 용매와 동적 또는 정적 방식으로 접촉시키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여 원하는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상기 지상 부위의 고체 잔류물을 추가로 접촉시키는 단계, 이어서 여과하는 단계,
d) 선택적으로, 원하는 상기 여액을 탈색 및/또는 탈취하는 단계, 및
e) 상기 식물 추출물을 고체 지지체 상에서 제형화하거나 또는 액체 지지체 상에서 제형화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방법동안에, 추출 용매 또는 처리될 여액의 부피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또한 농축된 용액 또는 고체를 수득하기 위해, 단계 c) 후에 및/또는 단계 d) 후에, 농축 단계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농축 단계는 상기 추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 용매를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용매가 제거되고 고체 추출물만이 잔류할 때까지 상기 용매가 농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용매(여액)는 약 30% 내지 약 70% DM (건조 물질, 건조된 물건 또는 건조 물건), 예를 들면 약 50% DM으로 (예를 들면, 회전 증발에 의해) 농축된다.
이어서, 상기 추출물은 약 90% 내지 약 99%, 예를 들면 약 97%의 % DM으로 추가 건조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건조 공정은 원자화(atomization), 공기 건조, 오븐 건조 및 태양 건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건조는 담체(carrier)와 함께 또는 담체없이 수행될 수 있다.
제조 단계 a)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의 지상 부위로부터 제조 또는 제공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상기 아에르바 식물의 잎, 줄기, 종자, 꽃 및/또는 열매로부터 수득되거나 또는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은 예를 들면 품명 아에르바 자바니카 (부름.에프.) 주스. 엑스 슐트 식물일 수 있다.
상기 지상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 용매와 접촉되기 전에 건조된 후에 분쇄되거나 또는 분쇄된 후에 건조된다. 그러나, 생(fresh) 식물의 사용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분쇄가 이용될 때, 0.5 내지 5 mm, 예를 들면 1 m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며 100 ㎛ 내지 50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분쇄 물질을 수득하도록 분쇄가 조정된다.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분쇄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건조가 이용될 때, 저장 중에 상기 식물 재료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건조가 조정된다; 바람직하게, 잔류 수(residual water)의 비율은 10% 미만이다. 예를 들면, 상기 분쇄된 입자는 약 90% 내지 약 99%, 예컨대 약 97%의 % DM (건조 물질, 건조된 물건 또는 건조 물건)으로 건조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건조 공정은 원자화, 공기 건조, 오븐 건조 및 태양 건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접촉 단계 b)
(선택적으로 분쇄 및 건조된) 상기 지상 부위는 상기 추출 용매와 접촉된다.
상기 추출 용매는 유리하게는 하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 극성 용매, 예를 들면, 물, 아임계수,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및 에탄올,
- 공융 용매(eutectic solvent), 및
- 초임계 CO2.
상기 추출 용매는 또한 전술한 용매 중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알코올성 용매 또는 물과 적어도 1종의 알코올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성-알코올성 용매 (물-알코올성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수성-알코올성 용매는 물/알코올의 비가 바람직하게는 10/90% v/v 내지 90/10% v/v (부피/부피), 바람직하게는 30/70% v/v 내지 70/30% v/v인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된 물/알코올의 비는 유리하게는 약 50/50% v/v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성-알코올성 용매는 물/에탄올의 비가 바람직하게는 10/90% v/v 내지 90/10% v/v (부피/부피), 바람직하게는 30/70% v/v 내지 70/30% v/v인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된 상기 물/에탄올의 비는 유리하게는 약 50/50% v/v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사용되는 용어 "공융 용매"는 유기 염(암모늄 또는 포스포늄)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상대이온(counter-ion) 및 수소 결합 공여체(hydrogen bond donor)의 존재를 포함하지 않는 깊은 공융 용매(deep eutectic solvent: DES)를 함유한다.
초임계 CO2(이산화탄소)는 적용되는 온도가 임계 온도(Tc)보다 높도록, 예컨대, 35 ℃ 내지 80 ℃ 범위이고, 적용되는 압력이 임계 압력(Pc)보다 크도록, 예컨대, 7.4x106 Pa보다 크도록 한 온도 및 압력 조건에 적용된 유체이다.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의 지상 부위를 상기 추출 용매와 접촉시키는 단계는 고체-액체 추출 기법에 근거하며, 상기 고체-액체 추출 기법은 선택적으로 냉침(macerating)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또는 냉침은 동적(교반과 함께) 또는 정적일 수 있다.
식물/용매 접촉은 유리하게는 1 내지 8 시간, 예컨대 1.5 내지 4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 시간의 기간에 걸쳐 일어난다.
상기 접촉은 주위 온도, 환류하에 또는 45 내지 55 ℃ 범위의 온도, 예컨대 약 50 ℃에서 일어날 수 있다.
"주위 온도"는 15 ℃ 내지 35 ℃,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30 ℃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 추출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식물/용매의 비 (식물 중량 (g)/용매 부피 (ml))는 1 : 5 내지 1 : 20, 바람직하게는 1 : 10 (즉, 용매 1 리터당 100 g의 지상 부위)의 범위이다.
임의의 적합한 추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속슬레(Soxhlet) 장치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임의의 비-용해된 식물 물질은 예를 들면, 여과 및 상기 추출 용매와의 재-접촉에 의해 상기 용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 단계는 1회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반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여과 단계 c)
단계 b)의 마지막에 수득된 추출 생성물은 식물 섬유질(fibre) 및 불용성 구성성분을 갖지 않는 추출 덩어리를 수득하기 위해 여과된다.
이 여과는 일반적으로 식물 섬유질의 잔류물이 확실하게 제거되도록 전형적으로 다공도가 감소하는(예를 들면, 1000 ㎛와 5 ㎛ 사이) 필터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여과 작업에 의해 실시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여과는 1 내지 10 회, 예컨대 1 내지 5 회의 연속적인 여과 작업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이 여과 단계 c)의 마지막에, 잔사물(retentate) 및 여액이 수득된다; 상기 여액은 본 발명의 "조질의" 식물 추출물을 형성한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식물 물질로부터 식물함유 화합물의 전부 또는 많은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잔사물에 대하여 제2 접촉 단계 b)가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단계 b) 및 c)를 다시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조질의" 식물 추출물이 수득될 때까지 본 발명의 추출물을 생성하는 공정을 계속하기 위해 상기 2회의 추출 결과물을 합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농축 단계는 여과 단계 c)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인 탈색 및/또는 탈취 단계 d)
상기 "조질의" 식물 추출물은 최종 용도에서 상기 추출물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탈색 및/또는 정제 및/또는 탈취될 수 있다. 이로써 탈색 및/또는 정제 및/또는 탈취된 식물 추출물이 수득된다. 상기 단계는 또한 정제 단계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탈색 및/또는 정제 및/또는 탈취하기 위해, 상기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면, 표백토, 활성탄, 활성 차콜, 또는 벤토나이트와 같은 점토로부터 선택된 활성 물질과 접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 물질은 활성 차콜, 예컨대 10% 활성 차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중량/중량(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10중량%)의 활성 물질 범위의 비가 유리하게 사용된다. 건조 중량에 근거한 비율은 추출 용매를 함유하지 않거나 흔량(trace amount)으로 함유하는 상기 추출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표기된다.
상기 활성 물질과의 접촉은 유리하게는 15 분 내지 2 시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1 시간 범위의 기간동안 유지된다.
이 접촉은 주위 온도 내지 약 50 ℃에서 일어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은 상기 활성 물질(탈색/탈취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유리하게 여과된다.
이 탈색 및/또는 정제 및/또는 탈취 단계는 대안적으로 이온 교환 수지 또는 흡착 수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농축 단계는 상기 탈색 및/또는 탈취 단계 d)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을 제형화하는 선택적인 단계 e)
상기 제형화 단계는 유리하게는 상기 조질의 식물 추출물(농축 및/또는 표백 및/또는 탈취될 수 있음)을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부형제)와 합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는 유리하게는 자연에 존재하는 천연 기원의 화합물이거나, 또는 개질된 천연 기원의 화합물이어서 상기 지지체 구조가 지지체가 유도되어진 천연 생성물과 상이하고 따라서 자연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제형화 단계는 예를 들면, 고체 지지체 상에서의 건조 및 다른 한편으로는 액체 지지체 상에서의 제형화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건조는 상기 식물 추출물이 농축되도록 한다.
건조는 고체 지지체의 존재하에 적합한 건조 설비(예를 들면, 아토마이저(atomiser), 진공 오븐 또는 드럼 건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고체 지지체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고체 지지체는 유리하게는 다당류, 예를 들면 말토덱스트린, 전분 또는 아카시아 검 유형의 천연 다당류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으로, 말토덱스트린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말토덱스트린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이다.
말토덱스트린은 20 미만의 덱스트로스 당량을 갖는 전분 가수분해 산물로 정의된다. 덱스트로스 당량(DE 값)은 가수 분해물의 건조 물건에 대한 D-글루코오스의 비율로 표기되는, 전분 유래 올리고당의 환원력의 척도이며, 무수 글루코오스 단위의 평균 중합도(DP)의 역치(inverse value)이다. 전분 가수분해의 산물로서, 말토덱스트린은 선형 아밀로오스 및 분지형 아밀로펙틴 분해 산물을 함유하며, 따라서 α-(1,4) 및 α-(1,6) 연결에 의해 결합된 D-글루코오스 중합체로 간주된다.
말토덱스트린은 천연 화합물(전분)에서 유래되지만, 이들의 구조는 이들이 유래된 천연 분자(전분)의 초기 구조와 상이하다. 이러한 차이는 가수분해 공정에 의해 유도된다. 따라서, 말토덱스트린 구조는 자연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는 아라비아 고무, 덱스트로스 및 염을 포함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또는 상기 고체 지지된 추출물은 분말 형태 일 수 있다.
액체 지지체가 사용되는 경우, 원하는 분야에서의 용도를 고려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상기 추출물의 제형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점도의 액체 지지체는 가용화제(solubiliser), 유화제, 계면활성제, 피부연화제(emollient)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 지지체는 글리콜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예를 들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프로판다이올) 또는 계면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유성 지지체(oily suppor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액체 지지체"는 다음을 포함한다:
- 폴리올;
- 보존제가 있거나 없는 물;
- 에탄올 및 지방 알코올과 같은 알킬-알코올 유형의 임의의 화합물;
- 유기산(예컨대, 구연산, 말산, 아스코르브산, 젖산, 글리콜산) 및/또는 설탕(예컨대, 수크로오즈, 프럭토오즈, 이노시톨) 및/또는 아미노산(예컨대, 글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베타인, 콜린 유도체)를 함유하는 공융 용매;
- 알킬 글루코사이드,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그의 유도체.
다른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는 지방산의 모노 및 다이글리세라이드, MPG,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80, 식물성 오일, 지방산의 모노 및 다이글리세라이드, 글루코스 시럽, 글리세린, 물 및 알코올을 함유한다.
또한, 폴리올은 글리콜로 불리우며, 임의의 제한을 의미하지 않으면서 1,2- 프로판다이올,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변화가능한 치환기를 갖는 다이올과 같이 적어도 2개의 알코올 작용기(-OH)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에 해당하며; 상기 유기 화합물은 또한 글리세롤 또는 카프릴릴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트리올을 함유한다.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임의의 제한을 의미하지 않으면서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카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올레 에이트, 글리세롤 모노미리스테이트, 글리세롤 모노팔미테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알킬 글루코사이드 및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는 임의의 제한을 의미하지 않으면서, 데실 글루코사이드,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부틸 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 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 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에틸 글루코사이드, 이소스테아릴 글루코사이드, 헵틸 글루코사이드, 라 우릴 글루코사이드, 미리스틸 글루코사이드, 헥사데실 글루코사이드, 옥타데실 글루코사이드, 옥틸도데실 글루코사이드, 운데실 글루코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또는 액체 지지된 식물 추출물은 액체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본 발명의 추출물은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유리하게는 화장품용, 뉴트라슈티컬(nutraceutical)용, 약제학적 또는 식품용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특히 인간 내에 또는 인간 상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화장품용 조성물"은 특히 피부, 모발 또는 구강 점막을 세척, 보호 또는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고/하거나 외양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피부, 모발 또는 구강 점막에 적용되는 제제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뉴트라슈티컬용 조성물"은 특히 의약 형태로 입수가능하게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식품과 결합되어 있지 않으며 예컨대 만성 질병에 대해 유익한 또는 보호적인 생리학적 효과를 갖는 식물 추출물로 이해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의 부가적인 구성성분이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무독성이며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부가적인 구성성분은 일반적으로 무균이며 발열원을 갖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성분은 본 발명의 추출물과 양립(compatible)할 수 있고 수용체에 유해하지 않다는 의미에서 "허용가능" 해야한다. 따라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단지 부형제로만 작용하도록 의도된, 즉 그 자체가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제형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화합물(들)을 함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을 유리하게는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상기 약제학적, 화장품용, 뉴트라슈티컬용 또는 식품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치료적으로 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유효량"은 "치료적 유효량", "유효한 투여량" 또는 "치료적으로 유효한 투여량"과 동의어이며, 염증 처치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목적하는 치료적 효과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본 발명의 추출물의 최소 투여량을 지칭하며 염증과 연관된 징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투여량을 함유한다. 염증 처치에서의 유효성은 하나 이상의 임상 징후 및/또는 상기 증상과 관련된 생리학적 지표에 근거하여 개체에서의 개선을 관찰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염증의 개선은 동시 처치(concurrent therapy)에 대한 필요성 감소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정 염증에 대해 개체에게 투여되어야 하는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량은 염증의 유형, 상기 염증의 위치, 상기 염증의 원인, 상기 염증의 중증도, 목적하는 경감 정도, 목적하는 경감 지속시간, 사용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의 구체적인 투여량, 사용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배설 속도, 사용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역학(pharmacodynamic), 상기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다른 화합물의 성질, 구체적인 제형, 구체적인 투여 경로, 환자의 구체적인 특징, 병력 및 위험 인자, 예를 들면, 연령, 체중, 전반적인 건강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 인자들을 고려함으로써 당업계의 일반적인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반복 투여가 이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추출물의 유효량은 투여 빈도,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반감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인자에 의해 더 좌우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예를 들면, 약제학적, 화장품용, 뉴트라슈티컬용 또는 식품용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최종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추출물이 건조되었는지 또는 액체 지지체 상에 제형화되었는지에 따라) 0.001 중량% 내지 2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상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과 함께, 적어도 1종의 다른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상기 조성물의 목적하는 형태 및 목적하는 투여 경로에 따라 변형된,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라 함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adjuvant), 희석제 및/또는 담체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화장품용으로 또는 피부과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일 수 있다.
화장품용, 피부과적 및/또는 식품용으로 허용가능한 성분/부형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들(본원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로 언급되는 것들을 포함 함)을 포함하며, 천연 또는 비-천연일 수 있어서, 즉, 이들의 구조가 자연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특정한 경우에, 이들은 천연 화합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고 이후에 개질되어, 이들이 유래한 천연 산물과 구별될 수 있다(예컨대, 말토덱스트린).
적합한 담체는 불활성 고체 희석제 또는 충전재, 무균 수용액 및 다양한 유기 용매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체 담체의 예는 락토오스, 백토(terra alba), 수크로오스, 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덱스트린, 탈크, 젤라틴, 한천, 펙틴, 아카시아,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스테아르 산, 아라비아 고무, 변성 전분(modified starch) 및 셀룰로오스, 사카로오스, 이산화 규소의 저급 알킬 에테르이다. 액체 담체의 예는 시럽, 식물성 오일, 인지질, 지방산, 지방산 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및 물이다. 또한, 상기 담체 또는 희석제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서방성 물질(sustained release material),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다이스테아레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왁스와 혼합하여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예는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및 기타 유기산과 같은 완충제;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저분자량(약 10개 미만의 잔기)의 폴리펩타이드;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 글로불린과 같은 단백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과 같은 아미노산; 단당류, 이당류, 및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또는 덱스트린을 비롯한 다른 탄수화물; EDTA와 같은 킬레이트화제;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당 알코올(sugar alcohol); 나트륨과 같은 염-형성 상대 이온; 및/또는 TWEEN (예컨대, 폴리소르베이트 20, 40, 60 또는 80과 같은 폴리소르베이트 계열의 유화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및 PLURONIC (예컨대,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주성분으로하는 블록 코폴리머)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화제를 함유한다.
당업계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추출물(예를 들면, 약제학적, 화장품용, 뉴트라슈티컬용 또는 식품용 조성물과 같은 조성물 형태)이 환자 또는 피험자(예컨대, 사람 또는 동물 환자 또는 피험자)에게 임의의 적합한 경로, 예컨대, 경장(enteral), 국소, 경비(nasal), 폐, 구강(buccal), 설하(sublingual), 경피(transdermal), 대장내(intracisternal), 복강내 및 비경구 (피하, 근육내, 척수강내, 정맥내 및 피내(intradermal)를 포함) 경로에 의해 투여 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장내 경로의 경우, 상기 조성물(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뉴트라슈티컬용, 식품용 및/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젤라틴 캡슐, 당의정, 시럽, 현탁액, 용액, 분말, 과립, 에멀션, 마이크로구체(microsphere) 또는 나노구체, 또는 제어 방출(controlled release)을 허용하는 지질 또는 중합체성 소포(polymeric vesicle)의 형태일 수 있다.
비경구 경로의 경우, 상기 조성물은 관류(perfusion) 또는 주사를 위한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경장 또는 비경구 경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추출물은 1 회 내지 3 회 투여시 대략 0.001 mg/체중 kg 내지 1000 mg/체중 kg,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3 회 투여시 0.01 mg/체중kg 내지 100 mg/체중kg의 일일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약 100mg/일 내지 약 2000mg/일, 또는 약 500mg/일 내지 약 1500mg/일, 또는 약 1000mg/일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 또는 가축치료제 또는 식품용 또는 애완동물 사료용 보충물, 또는 식품용, 사료용 또는 애완동물 사료용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되는 경우에, 상기 추출물은 전술한 추출물 투여량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약 100mg 내지 약 2000mg 또는 약 500mg 내지 약 1500mg 또는 약 1000mg/일의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10mg, 20mg, 30mg, 40mg, 50mg, 60mg, 70mg, 80mg, 100mg, 250mg, 500mg, 1000mg, 1500mg 또는 2000mg/일의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 100mg 내지 약 2000mg 또는 약 500mg 내지 약 1500mg, 또는 약 1000mg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공하기 위해 1일에 1회 이상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화장품용, 뉴트라슈티컬용 또는 식품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 및 약제학적 또는 식품용/뉴트라슈티컬용 조성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의심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하는" 또는 "포함한다"를 사용할 때, 기재된 상기 추출물 또는 조성물이 상기 열거된 성분(들)을 함유해야 하지만, 선택적으로 부가적인 성분을 함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용어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또는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다"를 사용할 때, 기재된 상기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상기 열거된 성분(들)을 함유해야 하며, 또한 임의의 부가적인 성분이 상기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본질적인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소량(예를 들면, 최대 5 중량%, 또는 최대 1 중량% 또는 0.1 중량%)의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용어 "이루어지는" 또는 "이루어지다"가 사용될 때, 기재된 상기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상기 열거된 성분(들)만을 함유해야 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보다 구체적으로 화장품용, 피부학적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국소 경로에 의해 적용에 적합한 형태로 패키징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국소 경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및 점막의 처치를 의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연고(unguent), 크림, 밀크, 연고(ointment), 분말, 함침 패드(impregnated pad), 용액, 겔, 스프레이, 로션 또는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마이크로구체 또는 나노구체 또는 지질 또는 중합체성 소포 또는 중합체성 패치 및 제어 방출형 하이드로 겔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국소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상기 조성물은 무수 형태 또는 수성 형태일 수 있다.
다시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임의의 제한을 의미하지 않으면서, 분말, 에멀션, 마이크로에멀션, 나노에멀션, 현탁액, 용액, 로션, 크림, 겔 크림, 수성 또는 에탄올성 겔, 혈청, 에어로졸, 지질 소포체의 분산액의 형태일 수 있다.
"에멀션"은 특히 유중수적형(water-in-oil) 또는 수중유적형(oil-in-water) 유형의 에멀션 또는 이중 에멀션(오일-인-물-인-오일(oil-in-water-in-oil) 또는 물-인-오일-인-물(water-in-oil-in-water))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최종 용도 및 원하는 투여 방법에 따라 선택된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매는 물, 에탄올,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피부유화제, 보습제, 겔화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오일, 활성제, 착색제, 안료, 향수, 향료 또는 자외선 차단제로부터 선택된, 상기 화장품, 약제, 뉴트라슈티컬 또는 식품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불활성 또는 활성 첨가제 또는 이러한 첨가제의 조합물, 즉, 예를 들면 하기 첨가제 중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할 수 있다:
- 글리세롤 또는 다른 글리콜과 같은 1종 이상의 피부연화제, 습윤제 또는 수화제; 이들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비율로 상기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유도체, 천연 기원(natural origin)의 고무 (구아, 아카시아, 캐럽(carob), 알지네이트, 카라기난, 펙틴, 트라가칸트) 또는 생물공학적 기원 고무(잔탄), 점토(라포나이트(laponite),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카올린),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겔화제 또는 텍스쳐화제로, 이들 리스트는 망라된 것이 아니고; 이러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5%의 비율로 상기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의 비율로 존재하는 다양한 극성 및 이온성의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30%,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15%의 비율로, 임의의 제한을 의미하지 않으면서, 식물성 오일(호호바 오일, 해바라기 오일, 참기름(sesame oil), 차오일, 동백 오일, 아르간 오일, 크랜베리 오일, 시어 버터, 망고 버터), 이소도데칸, 옥틸도데칸올, 스쿠알란, 다이메티콘과 같이 일반적으로 오일로 불리우는 1종 이상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석유-, 실리콘- 또는 식물-기반의 지방 물질;
-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10%, 더욱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5%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임의의 제한을 의미하지 않으며, 비타민, 히알루론산, 탈색제 또는 식물 추출물과 같은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1종 이상의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활성제;
-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10% 비율의, 천연, 동물성 또는 합성 기원의 1종 이상의 착색제;
-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20% 비율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실리카, 말토덱스트린 또는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같은 1종 이상의 항-응고제 또는 압축제;
- 예를 들면, 향료, 항산화제, 보존제 또는 맛 개선제.
치료적 용도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의학적 증상의 처치에 유용할 수 있다.
특히 본원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용도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염증을 예방 및/또는 처치(근치(curing)를 포함할 수 있음)하기 위한 제제, 유리하게는 만성 염증을 예방 및/또는 처치(근치를 포함할 수 있음)하기 위한 제제, 더욱 유리하게는 피부 질병과 관련된 만성 염증을 예방 및/또는 처치(근치를 포함할 수 있음)하기 위한 제제, 및/또는
- 유리하게는 염증 자극 이후의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s)의 활성화제, 및/또는
- 피부 장애, 특히 만성 염증과 관련된 피부 장애를 처치하기 위한 제제, 및/또는
- 유리하게는 염증 자극 후의 시르투인, 보다 구체적으로는 SIRT1의 활성화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약물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염증을 예방 및/또는 처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만성 염증을 예방 및/또는 처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부 장애와 관련된 만성 염증을 예방 및/또는 처치하는데 있어서의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s)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 (PPARs) 작용제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염증 자극 이후에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s) 작용제로서 사용하기위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장애 및 병리의 처치, 및/또는 대뇌 외상 범위에서의 신경 수준에서 산화 스트레스의 제어, 및/또는 치유 현상의 촉진, 및/또는 세포 응집력의 개선, 및/또는 체중 및 관련 장애의 관리를 위한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s) 작용제로서의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장애는 전형적으로 만성 염증과 관련되며,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건선, 농진(couperose), 홍색증(erythrosis), 모세혈관확장증(telangiectasia) 또는 주사(rosacea), 또는 비듬, 특히 건선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SIRT1과 같은 시르투인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르투인 활성화제, 특히 S1RT1 활성화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염증 자극 후에 시르투인 활성화제, 특히 SIRT1 활성화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피부의 장벽 기능 및 이에 따른 피부 수화를 개선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시르투인 활성화제, 및/또는 노화-방지 활성화제, 및/또는 대사증후군 및 관련 질환의 처치를 위한 제제, 및/또는 퇴행성 질병 및/또는 관련 장애의 처치를 위한 제제로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질병/증상은 자가면역 질병(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고게롯-쇼그렌 질병 또는 크론병), 심혈관 질병(예컨대, 심장병), 천식, 알츠하이머 질병, 헌팅턴 질병, 과민성대장증후군, 암, 제2형 당뇨병, 아토피성 피부염, 골다공증, 또는 COPD (만성 폐색성 폐 질병)을 함유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염증의 처치 또는 예방을 위한, PPARs의 활성화를 위한 및/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시르투인(예: SIRT1)을 활성화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PARs을 활성화하기 위한 및/또는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은 시르투인(예컨대, SIRT1)을 활성화하기 위한 염증을 예방 처치하는방법이 제공된다.
염증의 예방 및/또는 처치를 위한 제제
본원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염증, 보다 구체적으로는 만성 염증 및 모든 관련 장애의 처치에 적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항염증성, 즉, 염증과 싸워서, 특히 염증 반응 및 이로부터 발생되는 증상/질병을 처치하기위한 약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만성 염증 또는 만성 염증성 질병의 처치를 위한 제제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피부 장애, 즉, 예를 들면,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건선, 농진, 홍색증, 모세혈관확장증 또는 주사, 또는 비듬과 관련된 만성 염증의 처치를 위한 제제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될 때 "처치 또는 처치하는"은 다음을 포함한다:
- 질병 중증도의 감소;
- 질병 징후의 처치;
- 질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적 처치, 및
- 질병을 근치하기 위한 근치적 처치.
특히, 상기 용어는 당업계의 숙련자(예컨대, 의사)에게 알려져 있는 기법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는, 상기 질병 또는 장애와 관련된 1종 이상의 임상 징후(예컨대, 곰팡이 감염)의 중증도의 감소 및/또는 상기 질병 또는 장애의 진행을 늦추는 것(즉, 예컨대 이와 같이 처치받지 않은 환자에게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과 비교할 때, 상기 질병 또는 장애가 보다 중증의 상태로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킴)을 달성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예방"(및, 유사하게 "예방하는")은 상기 질병 또는 장애의 예방조치를 의미한다(및 역으로도 해당됨). 특히, 상기 용어는 환자(또는 건강한 피험자)가 상기 증상을 전개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적어도 10% 감소, 예컨대, 적어도 20%, 30% 또는 40% 감소, 예를 들면 적어도 50% 감소).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문맥에서, 상기 용어 "처치하는" 및 "예방하는"은 이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환자의 치료적 또는 고식적 처치뿐만 아니라, 관련 질병 상태에 걸리기 쉬운 환자의 예방적 처치 및/또는 진단을 포함한다.
의학적 증상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감소시키는"은 관찰된 양을 보다 작게 하거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피험자" 및 "환자"는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포유류 종(특히 인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상기 관해 분자(resolution molecule)의 합성에 필요한 효소 체계의 활성화제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리폭시게나아제(LOX) 계열, 유리하게는 5-LOX 및/또는 12-LOX 및/또는 15-LOX의 효소 체계에 있어서 촉진 활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상기 관해 분자로 이끄는 지질 매개체 합성에서 핵심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또는 도코사헥사엔산으로부터 유도된 특화된 전-관해 매개체, 즉, 하기 분자 중 적어도 1종의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 ARA로부터 유래: LTB4, 5-HETE, 12-HETE, 15-HETE;
- DHA로부터 유래: 14-HDoHE, 17-HDoHE, RvD1, RvD2, 7-Mar1, PD1, PDx;
- EPA로부터 유래: 18-HEPE.
상기 식물 추출물은 유사하게 최종 관해 매개체, 즉 RVD1, RVD2, 7-Mar1 및 PD1 매개체 중 적어도 1종의 생성을 자극할 수 있는 제제이다.
PPARs의 활성화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염증 자극 후에 상기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s)의 활성화제(작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상기 유기체 내에서 PPARs-관련 경로를 활성화시켜 이들 대사 경로와 관련된 장애를 개선하고 처치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활성 성분일 수 있다.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s라고도 함)는 특히 상기 유기체 내의 지질, 글루코오스 및 아미노산의 합성을 조절하는 핵 수용체 상과의 구성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PPAR-α, -β/σ, -γ로부터 선택된 PPARs 중 적어도 1종의 작용제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특히 염증 자극 후에 PPARα 및 PPARβ의 mRNA의 발현을 강화시키는데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식물 추출물은 PPAR-관련 경로와 연관된 병리적 측면에서 특히 하기로서 지표를 나타낼 수 있다:
- 건선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 장애 및 병리의 처치를 위한 제제, 및/또는
- 대뇌 외상과 관련하여 작용하는, 신경 수준에서의 산화 스트레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제, 및/또는
- 치유 현상을 촉진시키기 위한 제제, 및/또는
- 세포 응집 개선에 의한 상기 피부의 장벽 기능에서의 제제, 및/또는
- 체중 및 관련 장애를 관리하기 위한 제제.
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추출물은 또한 신경퇴행성 질병, 통증, 암, 면역 체계, 피부 장애를 처치하고 피지의 과생산과 관련된 병리의 처치에 적합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산화 스트레스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상기 PPARs는 많은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PPAR을 관여시키는 대사 장애에서의 처치 및 그의 장기적 결과에서 약물학적으로 중요할 수 있다:
a) 대사 증후군
PPARα 활성화제는 지방산의 간 산화를 증가시킴으로써 또한 지방 세포의 비대 및 증식을 담당하는 순환 트리글리세리드의 수준을 감소시킴으로써 설치류의 비만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PPARγ 리간드와 관련하여, 이들은 지방 조직에서 렙틴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에 관여한다. 렙틴은 식욕을 감소시키는 것을 주된 효과로 하는 단백질이다.
b) 면역 반응
PPARγ는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고 면역 세포가 항-염증성 표현형으로 분화되도록 유도하는 능력에 의해 면역 반응에서 근본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왔다. 최근의 임상 시험 결과는 식품에 존재하는 천연 PPARγ 작용제가 인체 건강에 유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 치유/장벽 기능
치유의 현상은 3기로 구분되는 과정이다: 염증기, 각질형성세포 이동기 및 재-상피화기(상처의 봉합). PPARβ/σ는 각질형성세포의 이동 및 부착에 관여한다. PPARβ/σ에 의해 유발되는 첫번째 전-염증성 신호와 치유 상처의 최종 단계에서 음성(negative) 조절 경로 사이에 정교한 밸런스가 있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흉터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켈로이드 흉터의 형성을 피하면서 치유 과정의 미세한 조정이 이루어진다. 비정상적인 흉터의 요점은 마찬가지로 상기 PPARγ 경로를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PPARs에 대한 작용은 세포 부착 및 응집에 대해 작용함으로써 차단 기능 수준에서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d) 진통제
상기 합성 PPARα 작용제는 투여량-의존적으로 작용하는 광범위한 약효(broad-spectrum)의 진통제로 작용한다. 퍼플루오로옥타노산과 같은 PPARα 리간드의 척추상(supraspinal) 투여는 말초 부종 및/또는 염증성 통각과민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반면, 로시글리타존과 같은 PPARγ 리간드의 척수강내(intrathecal) 투여는 신경병성 통증과 관련된 임상 증상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이러한 약물 PPARs 리간드가 진통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e) 피부 장애 및 병리
PPARα 및 γ 경로의 활성화는 세포 분화를 활성화시키고 아포토시스를 조절하며 세포 증식을 억제하여서, 건선 및 알레르기 기원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 병리에 관련하여 양성의 효과를 갖는다. 실제로, EP 제1041977호에는, PPARs 활성화제가 표피 세포 분화의 기형과 관련된 피부 장애에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하기 피부 장애가 예시로 언급될 수 있다: 건선, 습진, 피부염, 여드름(acne vulgaris), 어린선(ichthyosis)을 포함한 각화증, 및 피부암. 표피 세포 분화에서의 이러한 기형은 일반적으로 상기 표피 세포의 과다증식에 수반된다.
또한, FR 제2004/003069호에는 PPARs 활성화제가 피지선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피지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이 기재되어 있다. 과도한 피지는 세균군(bacterial flora)의 무질서한 전개의 지지체로 작용할 수 있고 면포(comedone) 및/또는 여드름 병변을 유발하거나 또는 두피 부위에서 비듬 생성을 담당하는 말라세지아(Malassezia) 효모의 존재에 관여하는 비정상적인 박리(abnormal desquamation)를 유발할 수 있다 . 상기 피지 기능과 관련된 장애는 마찬가지로 피부 장애, 특히 구강-주위의 피부염, 피지선의 유전적 과형성(hyperplasia)과 같은 피지선 과형성에 연관된 병리, 또는 내분비 기원의 과-안드로겐(hyperandrogeny)과 같은 호르몬 장애에 연관된 피지의 과다생성을 주도할 수 있다.
피부 장애의 처치를 위한 제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피부 장애, 특히 만성 염증에 연관된 피부 장애의 처치를 위한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문제의 피부 장애는 특히 건선, 습진, 편평태선(lichen plnus), 루푸스와 관련된 피부 병변, 피부염(예컨대, 아토피성, 지루성 또는 일광 피부염), 각화(예컨대, 지루성, 노쇠, 화학선(actinic), 광-유발성 또는 모낭 각화증), 여드름, 켈로이드, 모반(nevi), 사마귀, 어린선 및 및 피부암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피부의 구조적 또는 각질화 단백질의 mRNA, 예컨대, LAMC2, FN1, ITGA2, IVL, KRT19, GBA, HAS2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염증 자극후에 mRNA FN1, LAMC2, IVL 및 ITGA2의 발현에 대해 상승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르투인 활성화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염증 자극 후에 시르투인, 보다 구체적으로는 SIRT1의 활성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상기 유기체 내에서 SIRT1 경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능력, 따라서 보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대사 경로에 연관된 장애를 개선시키는 능력을 갖는 활성 성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피부 수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제제, 항산화제, DNA 복구제 또는 노화방지제로서 적용하기 위한 활성 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또한 노화, 세포 노화, 산화 스트레스의 유해 효과, 상기 장벽 기능의 완전성(integrity) 상실에 연관된 퇴행성 질병의 예방 및 처치, 및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이 상기에 연관된 병인의 개선을 위한 활성 성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강한 신체 조성의 개선 및/또는 유지, 글루코오스 또는 인슐린 관리의 개선 및/또는 유지, 양호한 노화의 유지, 건강한 지질 수준 또는 지방 대사의 개선 및/또는 유지, 과체중의 예방 및/또는 처치, 건강한 에너지 항상성의 개선 및/또는 유지, 세포의 보호, DNA의 복구 및/또는 노화 동안의 체력 및/또는 근육량의 유지를 위한 신규한 SIRT1 활성화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은 노화 과정을 늦추고 만성 노화-관련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만 발병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신규한 SIRT1 활성화제에 관한 것으로서,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상승된 혈중 지질 수준의 발병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죽상동맥경화증 및/또는 심혈관 질병의 발병 위험을 감소시킨다.
비-치료적 활성제로서의 식물 추출물
본 발명은 또한 비-치료적 화장품용 또는 피부과적 활성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비-치료적 용도는 피지 과생성의 처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치료적 용도는 또한 진정제, 비듬-방지제 또는 노화-방지제로서 상기 추출물의 용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또한 비-치료적 용도, 예를 들면 화장품 용도에서 예를 들면 하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s)의 활성화제 (작용제), 및/또는
- 시르투인, 보다 구체적으로는 SIRT1의 활성화제, 및/또는
- 특히 염증 자극 이후에, 상기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제제.
본 발명은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기재된다.
실시예 1: 아에르바 식물 추출물의 수득 방법
하기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아에르바 식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a) 아에르바 자바니카 (부름.에프.) 주스. 엑스 슐트로부터의 식물 원료를 100 ㎛ 내지 50 ㎜의 입자 크기로 분쇄하였다;
b) 이어서, 상기 원료를 50% 에탄올/50% 물과 접촉시켰다; 동적 추출은 50 ℃에서 2시간동안 수행하였다;
c) 상기 식물 물질을 상기 추출 용매와 다시 접촉시키기 전에 여과를 수행하였다;
d) 필요에 따라, 존재하는 건조 추출물 기준으로 10%의 활성탄을 첨가하여 탈수/탈취 단계를 수행하였다. 접촉은 30분 내지 1시간동안 수행하였다;
e) 여과 및 농축 후에, 상기 추출물을 말토덱스트린 유형의 고체 지지체 상에서 상기 추출물을 건조시키거나 또는 글리세롤과 같은 액체 지지체 상에서 제형화하였다.
케르세틴 다이-람노실 글루코사이드, 캠페롤 쿠마로일 람노실 갈락토사이드 이성체, 이소람네틴 람노실 루티노사이드, 루틴, 캠페롤 쿠마로일 람노실 갈락토사이드, 및/또는 캠페롤 다이-쿠마로일 람노실 갈락토사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화합물의 양은 정량화를 위한 UV 또는 DAD 검출기 및/또는 화합물의 확인(identification) 및 정량을 위한 MS를 구비하는 전통적인 HPLC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UV 모니터링은 330 nm에서 실시되었고, 표적 화합물의 양은 공지 농도의 기준 화합물의 피크 면적과 샘플의 피크 면적을 비교함으로써 정량화되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 세포 모델에 대한 지질 관해 매개체의 자극
장비 및 방법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의 작용은 PUFAs (다중불포화 지방산: 아라키돈산(ARA),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ARA (5-HETE, 12-HETE, 15-HETE), DHA (14-HDoHE, 17-HDoHE), EPA (18-EPE)의 대사의 전략적 교차점에 위치하는 7종 지질의 합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따라서, 이들 7종 지질의 평가는, 만성 염증과 관련하여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상기 관해 매개체의 합성에 연관되는 효소 경로가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추출물에 의해 동원되었는지 여부를 확립할 수 있게 하였다. PUFAs로부터 유도된 최종 대사산물을 이와 같이 동일 세포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수행된 모든 실험에 대해, 비-세포독성 투여량만을 평가하였다.
0.0064 내지 500 ㎍/ml를 테스트한 후에, 11, 33, 100 및 200 ㎍/ml의 비-세포독성 투여량을 나머지 작업기간동안 유지하였다. 정상 인간 표피 각질형성세포 (NHEK, Promocell)에 대해 상기 세포독성 테스트를 수행하였고, 수상 세포(dendritic cell: DC) 및 NHEK의 공-배양에 대하여 상기 관해 분자의 합성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상기 세포독성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24시간동안 배양 배지에서 96-웰 디쉬에서 250 세포/cm2의 밀도로 0.0064 내지 500 ㎍/ml 범위의 투여량에서 상기 활성화제의 존재하에 상기 NHEK를 배양하였다. 최종 6시간동안, Alamar Blue (Invitrogen: DAL1025)를 상기 배지에 도입하였다. 상기 시약은 대사 활성 세포에 의해 형광 지시약인 레소루핀(resorufin)으로 환원되는 비-형광 지시약인 레사주린(resazurin)을 함유한다. 따라서, 생성된 형광 수준은 살아있는 세포의 수에 비례한다. 530 nm에서 여기(excitation)가 수행되고 590 nm에서 판독이 수행된다. 본 실험의 마지막에, 상기 지질 매개체의 합성에 대한 평가를 위해 각 활성제에 대한 비-세포독성 농도를 선택하였다.
관해 경로의 활성화를 증명하는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1차 사람 단핵구를 씨딩(seeding)하고 GM-CSF(10 ng/ml) 및 IL-4(10 ng/ml)에 의해 분화시켰다; 이와 동시에, 각질형성세포 일차 배양 세포(NHEK)를 준비하였다. 1주동안 배양한 후에, 상기 NHEK를 인서트(insert)에 침착시키고, 수상돌기(DC)화된 세포와의 접촉없이 배양하였다. 상기 DC/NHEK 공-배양 시스템을 200 ㎍/ml의 농도로 상기 활성제의 존재하에 4시간동안 예비-배양하였다. 에이코사펜타엔산(EPA - 1 ㎍/ml) 및 도코사헥사엔산(DHA - 1 ㎍/ml)의 혼합물(1/1 비)의 존재하에, 포르볼 미리스테이트(PMA - 0.05 μM)와 칼슘 이오노포어(A23187 - 1 μM)의 결합에 의해 상기 염증 반응이 유발되었다. 감도 임계값을 낮추고 상기 관해 분자가 측정되도록 하기 위해 EPA와 DHA의 첨가가 필요하였다. 질량 분석에 의한 분석 및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유래된 입자(5-HETE, 12-HETE, 15-HETE), DHA로부터 유래된 입자(14-HDoHE, 17-HDoHE) 및 EPA로부터 유래된 입자(18-HEPE)의 정량화를 위해 2 시간 및 4 시간 후에 상청액(supernatant)을 회수하였다.
각각의 실험 조건에 대해 실험을 3회반복(triplicate) 실시하였다.
상기 지질 매개체를 어세이(assay)하기 위해 상기 상청액을 얼음 위에서 해동시키고 상기 지질 화합물을 분석 전에 메탄올에 첨가된 채로 고상 추출(SPE)에 의해 농축시켰다. 사용된 분석 방법은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상이한 분석물을 체류 시간(retention)의 함수로 분리하는 단계와 이들을 질량 분석법으로 정량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네거티브 모드에서 작동하는 전자분사 이온화 소스(electrospray ionisation source)(Jet stream technology)가 장착된 6460 Triple Quad LC/MS 질량 분석기(Agilent Technologies)에 결합된 LC 1290 Infinity 체인(Agilent Technologies)에서 상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는 ZorBAX SB-C18 컬럼에서 수행하였다.
이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PUFA에 의해 자극된 대조군에 대한 활성화 백분율을 얻기 위해 다음 계산법을 이용하여 각 마커의 투여량을 계산에 의해 전환시켰다:
활성화% = 100 x (상기 활성제의 수치 - 상기 PUFA 대조군의 수치)/상기 PUFA 대조군의 수치
질량 분석법에 의한 생체마커의 평가 결과
염증 자극 시간의 마지막에, 질량 분석법에 의한 분석 및 유도된 상기 분자의 정량화를 위해 상기 상청액을 회수하였다 :
- 아라키돈산으로부터: LTB4, 5-HETE, 12-HETE, 15-HETE;
- DHA로부터: 14-HDoHE, 17-HDoHE, RvD1, RvD2, 7-Mar1, PD1, PDx;
- EPA로부터: 18-HEPE.
이들 결과가 하기 표 2 및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Figure pct00002
상기 PUFAs의 존재하에 PMA/A23187 자극이 상기 관해 분자의 합성에 필요한 효소 체계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5-리폭시게나아제, 12-리폭시게나아제 및 15-리폭시게나아제 효소 활성 각각의 지표인 5-HETE, 12-HETE 및 15-HETE의 증가가 관찰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관해 분자의 전구체인 14-HDOHE, 17-HDOHE 및 18-HEPE의 분비가 또한 관찰된다. 이러한 결과는 예상된 것과 일치한다.
염증 관해에 관여하는 합성 중간체의 분비의 증가는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추출물의 영향하에서 관찰된다. 이러한 증가는 모든 중간체에서 유의미하고, 자극 시간동안 활성화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다(15-HETE 제외).
최종 관해 매개체와 관련하여, RVD1 및 RVD2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2종의 다른 대사산물인 7(s) 마레신과 PD1의 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이 또한 관찰된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은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의 전-관해성 역할을 지원한다.
실시예 3: 재구성된(reconstructed) 피부 모델에 대한 관해 경로 및 수용체의 활성화
재구성된 인간 표피(RHE) 모듈을 본 실험에서 사용하였으며, 본 실험을 3회반복(triplicate) (3개 웰) 수행하였다.
상기 모듈은 12일 전개 단계에서 Skinethic에 의해 공급되었고, 공기와 접촉되어 각질형성된 표면을 보여주고, 이어서 상기 배양 배지와 접촉하여 비-각질형성된 세포의 심부 표면을 보여준다.
상기 활성화제를 국소적으로 및 배양 배지에 적용함으로써 자극전에 이들을 추가 4일동안 상기 배양물에서 더 유지시켰다.
상기 배양 배지에서 상기 활성제를 희석하고 상기 용액을 상기 RHE 모듈의 표면에 24시간동안 적용함으로써 국소 자극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24시간의 마지막에, 공기-액체 배양이 다시 허용되도록 상기 각질형성된 세포와 접촉한 상기 배지를 조심스럽게 흡인하였다. 상기 성장 및 자극 배지는 상기 RHE 유지보수에 특정된 제조업체가 직접 공급하는 배지이다.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추출물에 관하여 상기 RHEs의 생존도(viability)를 테스트하기 위해, 상기 RHEs는 전술한 바와 같이 24시간 동안 국소적으로 및 배양 배지에 적용된 상기 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24시간의 마지막에, Alamar blue의 존재하에 24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 동안 공기-액체 배양이 허용되도록 하기 위해 국소 적용된 상기 자극을 철회하고 상기 시간 각각에서 형광을 판독하였다. 이 테스트 후에, 나머지 연구를 위해 500 ㎍/ml의 테스트 농도를 선택하였다.
상기 RHE 모듈은 상기 생존도 테스트동안 선택된 2개의 투여량에서 상기 활성제의 존재 하에 배양하였다. 상기 활성제는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24시간동안 국소적으로 상기 세포 배양 배지에 적용되었다. 상기 24 시간의 마지막에, 추가로 24시간 더 공기-액체 배양이 허용되도록 하기 위해 국소 적용된 자극이 철회되었다.
이어서, OSM, TNF-α 및 IL-17 각각의 10 ng/ml의 칵테일(문헌 [Boniface K 등, J. Immunol., 2007, 178 : 4615] 간행물에 따라 선택됨)에 상응하는 염증 자극(Mix CTK)이 상기 RHEs 아래의 배지에서 공기-액체 배양되는 24시간동안 첨가되거나 또는 첨가되지 않았다. 상기 활성제의 용매를 상기 대조군 웰에 도입하였다.
상기 자극 단계의 마지막에, 상기 세포를 디스파아제(dispase)에 의해 이들 지지체로부터 분리하였고, 이어서 회수하고, 퀴아졸(qiazol)의 존재하에 Precellys에 의해 용해(lyse)하였다. 페놀/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세정 컬럼 상에 통과시킨 후에, 상기 RNAs를 나노드롭 상에서 어세이하기 전에 밀리큐(milliQ) 물에 넣고 이후 사용을 위해 동결시켰다. 이어서, Maxima First stand cDNA 합성 키트(ThermoFisher)에 의해 역전사를 실시하고, 이어서 Fluidigm 프로토콜 버전 PN100-1201B1에 따라 칩(96x96)을 준비하는 특이적 단계를 수행하였다.
상기 mRNAs의 발현 수준은 하기 기준 유전자에 의해 정규화(normalised)되었다: YWHAZ, GAPDH, HPRT1 및 ACTB.
상기 결과는 DDCt(Delta Delta Ct)로 일반적으로 명명되는 Livak 방법을 이용하여 10-5 M에서 상기 DMSO 대조군에 대한 유도 횟수의 수치로 표기된다. 상기 Cts는 사전정의된 임계값보다 높은 형광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사이클 횟수에 해당한다. 각 유전자의 경우에, 상기 값은, 1에 해당하는 상기 대조군에 대하여 표기된다.
염증 자극하에서, 하기 유전자의 발현이 모니터링되었다(표 4):
Figure pct00004
상기 염증 칵테일의 존재하에,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이 LTB4의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상기 LTA4 가수분해효소 유전자(LTA4H p = 0.04028)의 발현의 증가를 유도하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DC/NHEK 모델에서 수행된 실험과 완벽하게 일치하며, 염증 조건하에서 상기 활성제가 LTB4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5-리폭시게나아제 활성으로 인해 상기 관해 분자의 합성에 잠재적으로 관여하는 효소인 eLOX-3의 mRNAs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또한 주목되었다. 마찬가지로, 15LOX1의 발현은 매우 약간 증가한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15-리폭시게나아제 및 5-리폭시게나아제 활성 각각의 지표인 15-HETE 및 5-HETE의 증가가 관찰된 상기 DC/NHEK 모델에서 얻어진 결과와 일치한다. 특히, 15-LOX 효소적 활성은 프로텍틴 D1의 합성에 필요하며, 따라서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의 영향하에 실시예 2에서 관찰된 PD1의 합성을 강화시킨다.
각질형성세포-수지상 세포 모델에서 얻어진 결과를 고려할 때, 이러한 유도는 이들 효소에 좌우되는 상기 관해 분자의 전구체의 유도로 인해 염증에 대한 양성 제어 루프를 확립한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이 상기 대조군의 수준에서 작용할 수 있는 능력 및 만성 염증의 관해 능력과 완전히 일치한다.
또한,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에 의해 상기 RHE를 자극한 후에 상기 관해 수용체와 관련된 유전자가 모니터링되었다 (표 5).
Figure pct00005
상기 관해와 직접 관련된 상기 수용체의 발현은 레솔빈 E1 수용체 CMKRL1 및 GPR32, 상기 레솔빈 D1 수용체 및 FPR2, 상기 리폭신 A4 수용체와 같은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에 의해 활성화되었다.
염증 자극 후에 동일한 모니터링이 수행되었다 (표 6):
Figure pct00006
사이토카인의 믹스(mix)로 대표되는 염증 자극의 존재하에서,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이 선행 단락에 기재된 상기 수용체의 mRNAs의 발현, 특히 FPR2 (p = 0.01238), 상기 리폭신 A4 수용체, CMKRL1 (p = 0.07858), 상기 레솔빈 E1 수용체 및 GPR32 (p = 0.05332), 상기 레솔빈 D1 수용체의 유의미한 유도를 강화시킴을 측정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재구성된 피부 모델에 대한 피부 보호 경로의 활성화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을 재구성된 피부 모델에서 500㎍/ml의 농도로 접촉시켰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하기 유전자가 자극되었다(표 7):
Figure pct00007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은 피부 보호 메카니즘을 유도하는데, IL1B (p = 0.00504), IL1A (p = 0.00685), IL17A (p = 0.01932) 및 IL12A (p = 0.001941)의 mRNAs의 유의한 증가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으로, 이들은 피부 방어 체계의 대사 및 항균성 펩타이드에 연관된 mRNAs (RNASE7 (p = 0.01374))의 유도에 직접 관련된다.
실시예 5: 재구성된 피부 모델에 대한 염증 제어 경로의 활성화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은 전-염증 자극의 존재하에 재구성된 피부 모델에서 500 ㎍/ml의 농도로 접촉되었다.
24시간동안 배양한 후에, 하기 유전자가 자극되었다(표 8):
Figure pct00008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은 그의 강화작용(potentiation)을 유도하는데 성공하는 것보다 큰 정도로 염증 자극의 효과를 역전시키는 경향을 가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염증 반응을 완전히 마비시키지 않으면서 제어하는 중요한 효과를 가져서, 방어 활성과 같은 중요 활성의 발현(DEFB4 p = 0.1470)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이고 잠복 경향을 갖는 만성 염증 상태를 제어하는 작용과 완전히 일치한다.
실시예 6: 일반 대사의 제어 및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 경로의 활성화 - PPARs 활성화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은 재구성된 피부 모델에서 500 ㎍/ml의 농도로 접촉되었다.
24시간동안 배양한 후에, 하기 유전자가 자극되었다(표 9):
Figure pct00009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은 예를 들면, 지방산 대사, 염증 제어 또는 치유 현상과 같은 광범위한 생리학적 제어에 관여하는 전사 인자 PPARs베타 (p = 0.00006), PPARs알파 (p = 0.02723) 및 PPARs감마 (p = 0.12356)의 mRNAs의 발현의 증가를 유도한다.
이러한 경로의 활성화는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이 만성 염증성 현상의 수준에서 제어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산화 스트레스를 향해 상기 유기체 반응을 자극하기 위한 제어 역할을 함을 명확하게 나타낸다.
상기 PPARs은 상기 유기체의 전반적인 항상성에서 일정 역할을 하며, 피부 장애, 특히 만성 염증 수준의 병인(예를 들면,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뿐만 아니라, 치유, 체중 관리, 신경퇴행성 질병 또는 암에서 작용하며 다양한 도메인에서의 치료적 표적이 된다[문헌 (Sertznig et al., 2008; Yessoufou et al., 2010)].
염증 자극 후에 상기 동일한 유전자가 모니터링되었다(표 10):
Figure pct00010
염증 자극의 존재하에,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이 PPAR베타 (p = 0.01845) 및 알파 (p = 0.04015)의 mRNA의 발현을 강화시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
실시예 7: 장벽 기능에서 일정 역할을 하는 진피-표피 세포 응집 경로의 활성화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은 재구성된 피부 모델에서 500 ㎍/ml의 농도에서 접촉되었다.
24시간동안 배양한 후에 하기 유전자가 자극되었다(표 11):
Figure pct00011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이 상기 기저 막(basal membrane)을 구성하는 라미닌 LAMC2 (p = 0.01523), 표피와 진피 사이를 연결시키는 피브로넥틴 FN1 (p = 0.01569), 세포외 기질에 세포를 결합시키는데 관여하는 인테그린 ITGA2 (p = 0.04782), 보호 및 각질층(stratum corneum)에 관여하는 인볼루크린(involucrin) IVL (p = 0.06220), 사이토케라틴 KRT19 p = 0.22774)와 같은 피부의 구조적 또는 각질형성 단백질의 mRNA의 발현, 및 피부의 장벽 기능에 관여하는 GBA (p = 0.00075)의 mRNA의 유의한 과발현을 유도함을 증명할 수 있었다. 히알루론산 HAS2 (p = 0.11201)의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mRNAs가 유도되었음이 또한 나타났다.
이러한 변형은 피부 기질의 리모델링 및 피부 수화의 손실을 유도하는 피부 장애에서 중요한 장벽 기능의 개선에 대한 상기 활성제의 영향을 나타낸다. 상기 장벽 기능의 손실은 실제로 감지할 수 없는 물 손실의 증가를 유발한다.
염증 자극 후에 하기 유전자가 모니터링되었다(표 12):
Figure pct00012
염증 자극 후에,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은 염증 자극에 대해 FN1, LAMC2, IVL, ITGA2를 그 자체로 증가시킴으로써 FN1, LAMC2, IVL, ITGA2의 mRNAs 발현에 대한 효과의 상승을 유도한다.
표피생장인자 EGF 뿐만 아니라 COL1A1의 mRNAs의 발현은 상기 염증 자극의 존재하에 억제되었다.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을 첨가하면 기저 수준에서 상기 발현을 부분적으로 복구함으로써 상기 감소를 조절한다.
실시예 8 : 산화 스트레스 및 피부 노화에 대한 보호 경로의 활성화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이 재구성된 피부 모델에서 500㎍/ml의 농도로 접촉되었다.
24 시간동안 배양한 후에 하기 유전자가 자극되었다(표 13):
Figure pct00013
상기 아에르바 추출물은 헴 옥시게나아제(heme oxygenase) HMOX1 (p = 0.00417), HBEGF (p = 0.01701) 및 SIRT1 (p = 0.02794)의 유의한 과발현을 유도하였으며, 이들 모두는 피부의 항산화 방어를 증가시키고 세포 노화를 제한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하는데 관여한다.
염증 자극 후에 하기 유전자가 모니터링되었다(표 14):
Figure pct00014
염증 자극 후에 상기 활성제는 SIRT1의 발현 증가 (p = 0.04739)에 대해 유의한 상승 효과 및 HMOX1 및 SFN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가짐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9: 아에르바 자바닉의 물 전출 또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 의해 자극한 후에 지질 매개체 합성의 비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전술된 기법을 이용한 여과 및 건조에 앞서, 아에르바 자바니카 (부름.에프.) 주스. 엑스. 슐트로부터의 식물 원료를 50 ℃에서 2시간동안 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전출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자극을 수행하였다.
자극 이후의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Claims (54)

  1. 아에르바(Aerva) 속 식물의 지상 부위(aboveground part)로부터 수득된 또는 수득될 수 있는 식물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이 아에르바 자바니카 (부름.에프.)주스. 엑스 슐트(Aerva javanica (Burm.f.) Juss. ex Schult)인 식물 추출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약 0.1 내지 약 0.3%의 케르세틴 다이-람노실 글루코사이드, 약 0.05 내지 약 0.1%의 캠페롤 쿠마로일 람노실 갈락토사이드 이성체, 약 0.04 내지 약 0.08%의 이소람네틴 람노실 루티노사이드, 약 0.5 내지 약 0.15%의 루틴, 약 0.05 내지 약 0.1%의 캠페롤 쿠마로일 람노실 갈락토사이드, 및 약 0.1 내지 약 0.3%의 캠페롤 다이-쿠마로일 람노실 갈락토사이드를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이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의 지상 부위를 적어도 1종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추출 용매와 접촉시키는 단계, 선택적으로 이후에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 방법에 의해 수득된 또는 수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추출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가 극성 용매, 공융 용매, 초임계 CO2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추출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방법이, 상기 접촉 단계 이후에, 탈색 단계 및/또는 탈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추출물.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가 알코올성 용매 또는 수성-알코올성 용매인 식물 추출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물(drug)로 사용하기 위한 식물 추출물.
  9. 하기 (i) 및 (ii)를 포함하는 조성물:
    (i)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추출물, 및
    (ii) 적어도 1종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화장품용, 약제학적 또는 식품용 조성물인 조성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가 피부과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인 조성물.
  12. 염증의 예방 및/또는 처치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추출물 또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이 만성 염증인 식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 염증이 피부 장애에 관련된 것인 식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
  15.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의 활성화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추출물 또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PPAR의 활성화가 염증 자극 이후인 식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피부 장애 및 병리의 처치, 및/또는 대뇌 외상 범주 내에서 작용하는, 신경 수준에서의 산화 스트레스의 제어, 및/또는 치유 현상의 촉진, 및/또는 세포 응집의 개선, 및/또는 체중 및/또는 관련 장애의 관리에 사용하기 위한 식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애가 만성 염증에 관련된 것인 식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애 및 병리가 건선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식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
  20. 시르투인(sirtuin)의 활성화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추출물 또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시르투인이 SIRT1인 식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시르투인 또는 SIRT1의 활성화가 염증 자극 이후인 식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의 장벽 기능 및 이에 따른 상기 피부 수화의 개선을 위한 제제, 및/또는 노화-방지 활성제, 및/또는 대사증후군 및 관련 질병의 처치를 위한 제제, 및/또는 퇴행성 질병 및/또는 관련 장애를 처치하기 위한 제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식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
  24. 염증의 예방 및/또는 처치를 위한 의약(medicament)의 제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추출물 또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이 만성 염증인 용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 염증이 피부 장애에 관련된 것인 용도.
  27.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추출물 또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PPAR의 활성화가 염증 자극 이후인 용도.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피부 장애 및 병리의 처치, 및/또는 대뇌 외상 범주 내에서 작용하는, 신경 수준에서의 산화 스트레스의 제어, 및/또는 치유 현상의 촉진, 및/또는 세포 응집의 개선, 및/또는 체중 및 관련 장애의 관리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용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애가 만성 염증에 관련된 것인 용도.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애 및 병리가 건선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32. 시르투인을 활성화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추출물 또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시르투인이 SIRT1인 용도.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시르투인 또는 SIRT1의 활성화가 염증 자극 이후인 용도.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의 장벽 기능 및 이에 따른 상기 피부 수화의 개선, 및/또는 노화-방지 활성제로서, 및/또는 대사증후군 및 관련 질병의 처치, 및/또는 퇴행성 질병 및/또는 관련 장애의 처치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용도.
  3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추출물 또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및/또는 처치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이 만성 염증인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 염증이 피부 장애에 관련된 것인 방법.
  3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추출물 또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의 활성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PPAR의 활성화가 염증 자극 이후인 방법.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피부 장애 및 병리의 처치, 및/또는 대뇌 외상 범주 내에서 작용하는, 신경 수준에서의 산화 스트레스의 제어, 및/또는 치유 현상의 촉진, 및/또는 세포 응집의 개선, 및/또는 체중 및/또는 관련 장애의 관리를 위한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애가 만성 염증에 관련된 것인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애 및 병리가 건선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4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추출물 또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르투인의 활성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시르투인이 SIRT1인 방법.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시르투인 또는 SIRT1의 활성화가 염증 자극 이후인 방법.
  47. 제4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의 장벽 기능 및 이에 따른 상기 피부 수화의 개선, 및/또는 노화-방지 활성제로서, 및/또는 대사증후군 및 관련 질병의 처치, 및/또는 퇴행성 질병 및/또는 관련 장애의 처치를 위한 방법.
  4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추출물의 하기로서의 비-치료적 용도:
    -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PAR)의 활성화제, 및/또는
    - 시르투인, 보다 구체적으로는 SIRT1의 활성화제, 및/또는
    - 특히 염증 자극 이후에, 상기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제제.
  4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아에르바 속의 지상 식물 부위를 적어도 1종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추출 용매와 접촉시키는 단계, 선택적으로 이후에 상기 용매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가 극성 용매, 공융 용매, 초임계 CO2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49항 또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방법이, 상기 접촉 단계 이후에, 탈색 단계 및/또는 탈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49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a) 내지 (e)의 연속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a) 상기 아에르바 속 식물의 지상 부위를 제조/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지상 부위를 상기 추출 용매와 접촉시키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여 원하는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상기 지상 부위의 고체 잔류물을 추가로 접촉시키는 단계, 이후의 여과하는 단계,
    d) 선택적으로, 원하는 상기 여액을 탈색 및/또는 탈취하는 단계, 및
    e) 선택적으로, 상기 식물 추출물을 고체 지지체 상에서 또는 액체 지지체 상에서 제형화하는 단계.
  53. 제52항에 있어서, 단계 c) 이후 및/또는 단계 d) 이후에 농축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4. 제49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가 알코올성 용매 또는 수성-알코올성 용매인 방법.
KR1020187031415A 2016-04-06 2017-04-06 항염증성 추출물 KR201801274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3022A FR3049864A1 (fr) 2016-04-06 2016-04-06 Extrait vegetal issu d'une plante du genre aerva, composition le contenant et utilisation dudit extrait vegetal
FR1653022 2016-04-06
PCT/GB2017/050958 WO2017174988A1 (en) 2016-04-06 2017-04-06 Anti-inflammatory extra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466A true KR20180127466A (ko) 2018-11-28

Family

ID=5661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415A KR20180127466A (ko) 2016-04-06 2017-04-06 항염증성 추출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083560A1 (ko)
EP (1) EP3439679A1 (ko)
JP (1) JP2019513763A (ko)
KR (1) KR20180127466A (ko)
CA (1) CA3020043A1 (ko)
FR (1) FR3049864A1 (ko)
WO (1) WO20171749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575A (ko) * 2020-03-05 2021-09-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용 성분의 추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1353A1 (en) * 2020-12-09 2022-06-15 Beiersdorf AG New cosmetics solvents comprising ascorbic aci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3075B1 (fr) 1997-12-31 2000-05-05 Cird Galderma Utilisation d'activateurs de ppar-gamma en dermatologie
JP2009013128A (ja) * 2007-07-06 2009-01-22 Sosin:Kk 皮膚外用剤及び口腔用組成物
RU2008129526A (ru) * 2008-07-21 2010-01-27 Елен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Карманова (RU) Фиточа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575A (ko) * 2020-03-05 2021-09-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용 성분의 추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4988A1 (en) 2017-10-12
FR3049864A1 (fr) 2017-10-13
JP2019513763A (ja) 2019-05-30
CA3020043A1 (en) 2017-10-12
EP3439679A1 (en) 2019-02-13
US20190083560A1 (en)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ianecci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novel ammonium glycyrrhizinate/niosomes delivery system: human and murine models
JP3958968B2 (ja) 皮膚外用剤及び美白剤
AU2009315289B2 (en) Phytocomplex from bergamot fruit, process of manufacture and use as dietary supplement and in the pharmaceutical field
WO2001026670A1 (fr) Agents de soin de la peau, agents anti-ages pour la peau, agents de blanchiment de la peau et preparations pour la peau, a usage externe
JPH10298098A (ja) リポキシゲナーゼ阻害剤
JP5223083B2 (ja) 血管新生抑制剤
Chen et al. Emulsification and antioxidation of biosurfactant extracts from Chinese medicinal herbs fermentation in vitro
JP2007269757A (ja) 脂肪細胞分化阻害剤ならびにこれを含有する医薬品、医薬部外品、化粧品および食品
JP5751981B2 (ja) 新規フェニルエタノイド配糖体及び皮膚化粧料
Andersson et al. Shea butter extract for bioactive skin care
KR102525516B1 (ko) 염증후 색소과다침착의 치료를 위한 바쿠치올 조성물
WO2015104484A1 (fr) Extrait végétal comprenant des sucrose-esters en tant que principe actif pour son utilisation dans une composition cosmétique, dermatologique ou nutracosmétique
KR20180127466A (ko) 항염증성 추출물
CA3085663A1 (fr) Association d'un retinoide et d'un extrait de silybum marianum (l.) gaertn
KR101863297B1 (ko) 클로로겐산 및 루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6046456A1 (fr) Utilisation dermocosmetique ou pharmaceutique d'une composition contenant au moins un inhibiteur de certaines chimiokines
KR101394550B1 (ko) 장미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086491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JP2012162487A (ja) 美白剤、抗老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101816816B1 (ko)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미백 및 항염용 조성물
JP2006232807A (ja) 西洋わさび抽出物を含む抗酸化剤
KR101645355B1 (ko)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KR20190033871A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229211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미세먼지 유발 염증 개선, 및 모공축소용 조성물
JP2002080383A (ja) 免疫防御を刺激する組成物における少なくとも1種のアヤメ科植物の少なくとも1種の抽出物の使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