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687A - 콜드브루 키트 - Google Patents

콜드브루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687A
KR20180126687A KR1020170061378A KR20170061378A KR20180126687A KR 20180126687 A KR20180126687 A KR 20180126687A KR 1020170061378 A KR1020170061378 A KR 1020170061378A KR 20170061378 A KR20170061378 A KR 20170061378A KR 20180126687 A KR20180126687 A KR 20180126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filter
bottle
ba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홍
손일도
Original Assignee
(주)초이스블랜드
손일도
이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초이스블랜드, 손일도, 이재홍 filed Critical (주)초이스블랜드
Priority to KR102017006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6687A/ko
Publication of KR2018012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보틀(bottle)에 장착한 상태에서 커피를 우려내기 위한 더치커피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휴대용 보틀에 손쉽게 장착한 상태로 커피를 우려낼 수 있으며, 커피가 침출된 다음에는 별도의 여과 작업 없이 여과기만 버리고 바로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피백이 안정적으로 물에 담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여과기의 장착과 분리가 쉬우며, 기존의 보틀을 활용하면서도 장소 구애 없이 커피를 우려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보틀 장착용 더치커피 여과기 {omitted}
본 발명은 휴대용 보틀(bottle)에 장착한 상태에서 커피를 우려내기 위한 더치커피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더치커피는 뜨거운 물이 아닌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우려낸 커피를 가리킨다. 더치커피라는 명칭은 네덜란드풍(Dutch)의 커피라 하여 붙여진 일본식 명칭이고, 영어로는 '차가운 물에 우려낸다'는 뜻으로 콜드 브루(cold brew)라고 한다.
이러한 더치커피는 분쇄한 원두를 찬물 또는 상온의 물에 짧게는 3~4시간, 길게는 8~12시간 정도 우려내 커피 원액을 추출한다.
추출하는 방식에 따라 점적식(點滴式)과 침출식(浸出式)으로 구분하는데, 점적식은 용기에서 우려낸 커피가 한 방울씩 떨어지게 하는 방식이고, 침출식은 용기에 분쇄한 원두와 물을 넣고 10~12시간 정도 실온에서 숙성시킨 뒤 찌꺼기를 걸러내 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한편, 점적식은 등록특허 제10-1558895호에서 제시하는 것과 같은 별도의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오랜 시간동안 추출한 뒤 보관용기에 담아야 음용할 수 있으며, 침출식 역시 찌꺼기를 거르기 위한 여과장치가 있어야 하므로, 보틀(bottle) 등의 보관용기를 휴대하는 상태에서 커피를 만들어 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558895호 (2015.10.02.)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휴대용 보틀에 손쉽게 장착한 상태로 커피를 우려낼 수 있고, 커피가 침출된 다음에는 별도의 여과 작업 없이 여과기만 버리고 바로 음용할 수 있으며, 커피백이 안정적으로 물에 담긴 상태를 유지하게 하면도, 여과기의 장착과 분리가 쉽고, 기존의 보틀을 활용 가능케 하고, 장소 구애 없이 커피를 우려낼 수 있는 더치커피 여과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디(510)와 캡(520)으로 구성된 보틀(50)에 장착한 상태로 커피를 우려내기 위한 커피여과기(10)에 있어서, 바디 입구(511)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원판으로 형성된 걸이부(100); 커피 커피백(210)의 일측단부가 걸이부(100)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여과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걸이부(100)는 커피백(210)이 결합되는 방수층(110), 방수층(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쿠션층(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커피백(21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가장자리가 봉합된 형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틀 장착용 더치커피 여과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휴대용 보틀에 손쉽게 장착한 상태로 커피를 우려낼 수 있으며, 커피가 침출된 다음에는 별도의 여과 작업 없이 여과기만 버리고 바로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피백이 안정적으로 물에 담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여과기의 장착과 분리가 쉬우며, 기존의 보틀을 활용하면서도 장소 구애 없이 커피를 우려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여과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손잡이층이 형성된 걸이부의 측단면도.
도 3은 손잡이층이 형성된 커피여과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두 개의 커피백이 형성된 커피여과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커피여과기와 보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커피여과기와 보틀을 이용하여 커피를 우려내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5와 같이 보틀(50)을 바로 세운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보틀 장착용 더치커피 여과기는 바디(510)와 캡(520)으로 구성된 보틀(50)에 장착한 상태로 커피를 우려내기 위한 것으로서, 도 1과 같이 걸이부(100)와 여과부(200)로 구성된다.
걸이부(100)는 바디 입구(511)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원판으로 형성되며, 도 2의 측단면도와 같이 방수층(110), 쿠션층(120)을 기본으로 하여 손잡이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100)의 직경이 바디 입구(511)의 외경과 대응됨으로써 바디 입구(511)에 걸쳐지되 바디(510)의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커피여과기(10)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걸이부(100)가 캡(520)과 별개로 구성되어 캡(520)을 열어도 커피여과기(10)가 보틀의 바디 입구(511)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걸이부(100)의 외경이 바디 입구(511)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한 것은 맨홀 뚜껑과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걸이부(100)가 바디(510) 내부로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방수층(110)은 커피백(210)이 결합되는 최하단 층으로서 커피백(210)이 물(W)에 적셔질 때 이를 타고 오르는 물이 외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손잡이층(130)이 형성될 때, 방수층(110)에 의해 손잡이층(130)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쿠션층(120)은 방수층(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층으로서, 탄성있는 재질로 바디의 입구에 걸이부(100)를 걸쳐 캡(520)을 닫을 때 바디 입구(511)와 캡(520)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손잡이층(130)은 쿠션층(120)의 상부에서 형성되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을 가로지르는 접이부(131)를 기준으로 일부는 쿠션층(120)에 접합되고 일부는 떨어지도록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바디(510)로부터 커피여과기(10)를 제거할 때 떨어진 부분을 잡아 쉽고 위생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캡(520)을 닫을 때에는 떨어진 부분도 쿠션층(120)에 밀착되어 캡(520)이 바디(510)에 결합될 때 간섭되지 않는다.
여과부(200)는 커피 커피백(210)의 일측단부가 걸이부(100)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부분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커피백(210)으로 구성된다.
커피백(21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가장자리가 봉합된 형태인 것으로서 커피가루를 내장하는 다공성 시트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원기둥 형상의 다공성 시트 일단부를 봉합하여 커피가루를 담은 후 타단부를 봉합한 뒤 이를 걸이부(100)의 하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내장되는 커피가루는 원두를 분쇄한 것과 같이 찬물이나 상온의 물에 장시간 담궈 커피 원액을 우려낼 수 있는 가루가 해당된다.
한편, 정량의 커피가루를 하나의 커피백(210)에 담을 수도 있으나, 도 4와 같이 정량의 커피가루를 두 개의 커피백(210)에 나눠 담은 채 걸이부(100)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커피가루와 바디(510)에 담긴 물(W)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서 커피가루가 물(W)에 우러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510)에 정량의 커피가루에 해당하는 물의 양을 표시하는 지시선(512)이 도 5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데, 커피백(210)이 바디(510) 내의 물(W)에 담길 때 물이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피백(210)을 담그기 전에 채워야할 물의 적정한 수위를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커피여과기(10)를 보틀(50)에 장착하여 커피를 우려내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 걸이부(100)의 직경과 보틀 바디 입구(511)의 외경이 동일한 커피여과기(10)와 보틀(50)을 준비하고, 보틀의 바디(510)에 적정량의 물(W)을 채운다. 이 때, 적정량이라 함은 커피여과기(10)를 보틀(50)에 장착하여 커피백(210)이 물에 잠기더라도 물이 바디(510)의 외부로 넘치지 않을 정도의 양이다.
s2: 보틀 바디의 입구(511)로 여과부(200)를 넣어 커피백(210)이 물(W)에 잠기도록 걸이부(100)를 바디 입구(511)에 걸친다. 이 때 바디 입구(511)가 충분히 커야 하므로 입구가 작은 일반적인 페트병 보다는 숟가락이 들어갈 정도로 큰 입구를 가진 병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여과부(200)는 바디 입구(5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여과부(200)가 바디 입구(511)를 통해 여유있게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s3: 걸이부(100)가 바디 입구(511)에 걸쳐진 상태에서 캡(520)을 닫는다.
s4: 캡(520)을 닫은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여 커피백(210) 내의 커피가루와 물(W)이 접촉하여 물(W)에 커피가 우러나도록 한다.
s5:일정시간이 흐른 뒤 커피(C)가 충분히 우러나온 상태이다.
s6: 캡(520)을 열어 걸이부(100)를 잡고 커피여과기(10)를 바디(510)로부터 제거한다.
s7: 사용한 커피여과기(10)는 통째로 버린다.
s8: 보틀(50)을 휴대하면서 커피(C)를 음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커피여과기
100 : 걸이부
110 : 방수층
120 : 쿠션층
130 : 손잡이층
131 : 접이부
200 : 여과부
210 : 커피백
50 : 보틀
510 : 바디
511 : 입구
512 : 지시선
520 : 캡

Claims (3)

  1. 바디(510)와 캡(520)으로 구성된 보틀(50)에 장착한 상태로 커피를 우려내기 위한 커피여과기(10)에 있어서,
    바디 입구(511)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원판으로 형성된 걸이부(100);
    커피 커피백(210)의 일측단부가 걸이부(100)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여과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틀 장착용 더치커피 여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100)는
    커피백(210)이 결합되는 방수층(110),
    방수층(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쿠션층(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틀 장착용 더치커피 여과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백(21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가장자리가 봉합된 형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틀 장착용 더치커피 여과기.
KR1020170061378A 2017-05-18 2017-05-18 콜드브루 키트 KR20180126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378A KR20180126687A (ko) 2017-05-18 2017-05-18 콜드브루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378A KR20180126687A (ko) 2017-05-18 2017-05-18 콜드브루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687A true KR20180126687A (ko) 2018-11-28

Family

ID=6456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378A KR20180126687A (ko) 2017-05-18 2017-05-18 콜드브루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66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296A (ko) * 2021-06-16 2022-12-23 김장성 기호성 음료 추출용 드립백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용 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296A (ko) * 2021-06-16 2022-12-23 김장성 기호성 음료 추출용 드립백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용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4637B1 (en) Insulated brewing pot for coffee or tea
US20090250479A1 (en) Method & device for enhancing aroma from beverage cup
US20060169149A1 (en) Basket for holding coffee grounds in coffee brewing machine
US20150257582A1 (en) Refillable beverage brewer system
US20170121065A1 (en) Disposable coffee filter and cup
KR20180126687A (ko) 콜드브루 키트
JP4476316B2 (ja) 茶漉し付きティーポット
CN102973089A (zh) 新型茶杯
JP2007244541A (ja) 容器
JP3105409U (ja) 茶葉と茶湯を隔離できるティーポット
KR200419982Y1 (ko) 융등 천필터를 사용하는 커피 드립 용기
KR100898405B1 (ko) 일회용 원두커피 여과기
CN210493607U (zh) 按压式茶水分离杯
CN201727258U (zh) 一种茶叶不怕浸泡的茶杯
JP2007296307A (ja) 茶こし茶器構造体
CN209382605U (zh) 杯盖以及具有杯盖的饮料杯结构
JPH0642581Y2 (ja) コーヒーフィルター
JP4658559B2 (ja) 容器
JP3152879U (ja) 飲用溶液抽出器
KR200475781Y1 (ko)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CN203987278U (zh) 一种冲茶器
TWI352584B (ko)
CN106859179B (zh) 一种泡茶器具
KR102464843B1 (ko) 여과기능이 구비된 용기
KR200467397Y1 (ko) 티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