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737A - Tip Strengthening Apparatus for PHC - Google Patents
Tip Strengthening Apparatus for PH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5737A KR20180125737A KR1020170060404A KR20170060404A KR20180125737A KR 20180125737 A KR20180125737 A KR 20180125737A KR 1020170060404 A KR1020170060404 A KR 1020170060404A KR 20170060404 A KR20170060404 A KR 20170060404A KR 20180125737 A KR20180125737 A KR 201801257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bolt
- wall portion
- phc
- fastening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PHC 파일과 같은 파일 선단에 장착되어 경타 관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개의 유닛이 볼팅에 의해 조립식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조립 정밀성이 높고, 시공 오차 확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C pile tip reinforcement mechanism mounted on the tip of a file, such as a PHC file, for enhancing the comfort of putting a foot, and a plurality of units are assembled by assembling by bolting to improve assembly accurac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C file end reinforcement mechanism.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말뚝기초 시공방법은, 공장에서 제작된 말뚝을 현장으로 운반해서 사용하는 PHC 말뚝 공법과, 현장에서 말뚝을 직접 제작해서 시공하는 현장 타설 말뚝 공법으로 분류된다.Generally, concrete pil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is classified into PHC pile method which uses piles manufactured in factories to be transported to the site, and field pile pile method which is constructed by constructing piles directly in the field.
이 중에서, PHC 말뚝 공법은, PHC 말뚝을 지반에 직접 항타하여 설치하는 항타 PHC 말뚝 공법과, 스크류 오거(screw auger) 등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굴착된 천공홀에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고 PHC 말뚝을 삽입한 다음 해머로 PHC 말뚝의 두부에 경타를 가한 후 양생하는 매입 PHC 말뚝 공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 공법은 각 시공 현장의 상황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Among them, the PHC pile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PHC pile is installed by directly mounting a PHC pile on a ground, and a cement milk is poured into a perforated hole excavated using a screw auger, And PHC pile curing method after curing after putting a foot on the head of PHC pile with hammer. These methods ar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use of each construction site.
여기서, 항타 PHC 말뚝 공법은, PHC 말뚝을 직접 타격하는 방식과, 선 굴착 후 직타하는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직항타 PHC 말뚝 공법은 PHC 말뚝의 타격에너지로 인하여 느슨한 지반을 관통하고 말뚝 선단부를 견고한 원지반에 관입시켜 지지력이 커진다는 장점은 있으나, 견고한 층 관입시 강한 타격으로 인해 시공 중에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이 커서 인접 시설물이 밀집한 근접시공이 필요한 도심지와 축사 등이 인접한 농촌지역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Here, the hinge PHC pile method is divided into a PHC pile direct hitting method and a straight hitting method after pre-drilling. Such a direct PHC pile piercing method penetrates a loose ground due to the striking energy of a PHC pile, Although it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by penetrating into the paper board, it is difficult to use in the urban areas and housing areas where the adjacent buildings are close to each other due to the strong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due to strong impact And the like.
이에, 최근에는 PHC 말뚝의 시공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매입 PHC 말뚝 공법을 시행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noise and vibration occurring during the construction of PHC pile, most PHC piles have been used.
상기 매입 PHC 말뚝 공법은, 상기 항타 PHC 말뚝 공법에 비하여 저소음, 저진동 상태에서 PHC 말뚝의 시공이 가능한 반면, 스크류 오거 등의 굴착장비로 천공홀을 굴착하는 동안 천공홀 바닥에 슬라임이 잔류할 뿐만 아니라 천공홀 하부의 지반이 응력이완으로 인하여 원지반보다 강도가 약해지고, 슬라임 및 지반 이완영역 범위 내에 말뚝이 정착 시공 될 경우 PHC 말뚝의 선단 지지력이 작아진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매입 PHC 말뚝 공법이 말뚝 본체 내력과 선단 지지력 대비 시공비 측면에서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매입 PHC 말뚝이 슬라임층을 확실히 관통하여 원지반에 말뚝선단부를 정착시킴에 따라 선단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The PHC pile method can be applied to a PHC pile in a low noise and low vibration state as compared with the hanger PHC pile method. On the other hand, a slime remains in the bottom of the piercing hole during excavation of the piercing hole by a drilling rig such as a screw auger The strength of PHC pile is lower than that of the ground due to the stress relaxation. The PHC pile is weakened when the pile is fixed within the range of slime and soil relaxation. In order to secure the economical efficiency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cost,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PHC pile by firmly penetrating the slime layer and fixing the tip of the pile to the ground.
매입 PHC 말뚝의 선단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초기에는 매입 PHC 말뚝의 선단에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을 설치하였다.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embedded PHC pile, an insertion pipe for supporting layer penetration wa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embedded PHC pile at the beginning.
이를 이용한 시공은 스크류 오거 등으로 지반에 천공홀을 굴착하고, 이와 같이 굴착된 천공홀에 시멘트 밀크를 주입한 후, 삽입관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천공홀에 삽입시킨 다음, 말뚝의 두부를 경타시키게 되면, 상기 삽입관이 슬라임 하부를 관통하여 단단한 원지반 지지층에 관입되어 선단 지지력이 향상되는 원리이다.In the construction using this method, a perforation hole is drilled in the ground with a screw auger, etc., and the cement milk is injected into the perforated hole thus drilled. Then, the insertion tube is inserted downward into the perforation hole, The insertion tube penetrates the slime bottom and penetrates into the hard base support layer to improve the tip end supporting force.
이러한 종래의 매입 말뚝의 경우, 스크류 오거 등의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지반에 천공홀을 형성하고, 이 천공홀에 시멘트 밀크를 주입한 후, 삽입관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천공홀에 삽입시키게 되는바, 중량의 매입 말뚝이 별다른 저항 없이 천공홀의 하부로 수직 낙하 되며, 이후 경타를 실시하게 된다.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embedded pile, a perforation hole is formed in the ground using a drilling rig such as a screw auger, cement milk is injec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and the inserted tube is inserted downward into the perforation hole The bar, the weighted pile, falls vertically into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without any resistance, and then performs the putt.
이때, 삽입관의 직경이 말뚝의 직경과 동일 또는 유사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그 부피 및 중량이 커서 제작 및 운반에 불리하고, 말뚝과의 조립시 말뚝과 삽입관을 수평방향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깊이가 있는 삽입관 내부에서 작업자가 볼팅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바, 그 조립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since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tube is formed to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pile,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insertion tube are large, which is disadvantageous to manufacture and transportation. When the pile is assembled with the pile, The operator has to perform the bolting work inside the insertion tube having the screw hole.
또, PHC 파일 하부와 선단 보강 기구 볼트 조립에 있어서 둘의 재질이 상이함으로 인해 제조 과정상에서의 미세한 변화, 온도 팽창의 상이함으로 인한 변화 등 볼트홀의 위치를 정확히 일치시키지 못하는 경우 조립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bolt holes are not precisely aligned due to the difference in material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PHC file and the bolt assembly of the end reinforcement mechanism, such as a slight chang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 variation due to a difference in temperature expansion, There was also a problem.
더불어 삽입관이 중량물이고 일정 깊이가 있는 강관 내부의 볼팅 작업이므로 삽입관 설치치, 1인 단순 볼팅 체결 조립이 어렵고, 소형 백호장비의 지원을 받거나 2인 1조 조립 작업이 요구되는 등, 그 조립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insertion tube is a heavy material and has a certain depth,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 insertion tube and the simple bolt fastening assembly for one person, so that it is required to be supported by the small backhoe equipment, There was also a problem of poor sex.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경타 관입성과 선단 지지력 향상을 위한 임플란트 파일을 갖는 복합말뚝"(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8632호, 특허문헌 1)에는 서로 독립된 봉 형상의 부재를 파일 하부에 체결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As 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composite pile having an implant file for enhancing the penetration of the sole and improving the tip end supporting forc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8632,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각 부재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규격이나 치수의 PHC 파일에 손쉽게 선단 보강 기구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하지만 특허문헌 1의 경우 독립된 봉 형상의 부재가 각기 하중을 받고, 서로 하중이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각 봉에 전달된 충격 하중은 그대로 PHC 파일에 전달되며, 경타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특정 봉에 충격이 집중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결국 파일의 손상을 불러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또다른 기술로 "선단지지력이 강화된 복합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5260호, 특허문헌 2)에는 PHC 파일의 하부 슈판에 결합되는 연결판과, 연결판에 물결 형상의 선단보강부재가 연결된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Another techniqu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25260 (Patent Document 2), which discloses a composite pile having a tip supporting force enhance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A structure in which a wavy end reinforcing member is connected is shown.
그런데, 특허문헌 2의 경우 선다보강기구의 부피가 파일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운반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PHC 파일의 하부에 선단보강기구를 조립하는 작업시 선단보강기구 역시 인력으로 들 수 없는 고 중량이기 때문에 크레인과 같은 기구의 도움 없이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since the volume of the stiffening mechanism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le, it is difficult to carry the stiffener.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tiffener at the bottom of the PHC fi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without the help of a mechanism such as a crane.
본 발명의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선단보강기구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파일에 연결 설치하는 과정에서 장비의 도움을 최소화하면서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하고, 조립이 간편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The PHC pile end reinforc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installed while minimizing the help of the equipment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pile end to the pile, So that the air can be shortened.
또한, 주물강 또는 주강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물결 형상을 취해 높은 강도를 발휘하여 경타 관입성이 우수하면서도 상부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부분만 판상을 취하고 그 외의 부분은 빈 공간이 되도록 하여 무게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조립 편의성이 극대화된 선단 보강 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made of cast steel or cast steel and has a wavy shape to exhibit high strength and excellent in ductability, while at the upper part, only the part for bolt fastening is taken as a plate, and the other part is made as an empty space, And to provide a tip reinforcement mechanism having maximized convenience in transportation and assembly.
또한, 연결측벽부, 내부측벽부를 테이퍼진 형상을 취하게 함으로써 외부측벽부는 물론 외부측벽부의 내측 공간에서도 경타 관입성이 높아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by making the connecting side wall portion and the inner side wall portion have a tapered shap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putting ability of the putter in the inner side space of the outer side wall portion as well as the outer side wall portion.
더불어 PHC 파일과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체결홀이 장방형의 슬릿 형태로 이루어져 미세한 시공 오차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조립 체결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HC file and the bolt fastening hole for bolt fastening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lit shape, so that the fastening hole can be easily assembled even in a fine construction error environment.
아울러, 연결측벽부에 볼트머리를 가압하는 가압볼트가 체결됨으로써 PHC파일과 연결된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여 암반에 견고하게 박힌 선단보강기구의 지지력이 PHC 파일에 원할히 전달된 채 유지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by securing the bolt for pressing the bolt head to the connecting side wall part, the bolt connected to the PHC file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end reinforcing mechanism firmly embedded in the rock can be maintained in the PHC file .
본 발명의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주면이 PHC 파일(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 개의 외부측벽부(11)와, 각 외부측벽부(11)의 양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중앙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연결측벽부(12)와, 각 연결측벽부(12)의 내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되 서로 인접한 외부측벽부(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측벽부(13)와, 내부측벽부(13) 및 내부측벽부(13) 양측의 연결측벽부(12) 상단에 둘레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볼트체결홀(14a)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측벽부(11)와 연결측벽부(12)에 의해 둘러쌓인 내향공간(15)과, 내부측벽부(13)와 연결측벽부(12)에 의해 둘러쌓인 외향공간(16)이 형성되어 있고, PHC 파일(1)이 등분할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되, 일측 단부는 외부측벽부(11)와 연결된 제1연결측벽부(12a)로 마감되고, 타측 단부는 내부측벽부(13)와 연결된 제2연결측벽부(12b)로 마감되며, 상기 제1연결측벽부(12a) 및 제2연결측벽부(12b)에는 각각 동일 반경을 이루는 제1측면볼트체결홀(12c)과 제2측면볼트체결홀(12d)이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유닛(10)과; 인접한 연결유닛(10)들의 제1측면볼트체결홀(12c) 및 제2측변볼트체결홀(12d)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인접한 연결유닛(10)들을 상호 연결하는 측방볼트(20)와; 상기 볼트체결홀(14a)을 통해 연결유닛(10)을 상기 PHC 파일(1)에 고정시키는 상방볼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HC file tip end reinforc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uter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측벽부(12)는 하단이 외측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2e)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nnecting
또, 상기 내부측벽부(13)는 상기 경사부(12e)가 연결된 지점으로 하향 돌출된 하부돌출부(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향돌출부(13a)는 상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되, 하부에 중앙 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테이퍼부(13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또한, 볼트체결홀(14a)은 PHC 파일(1) 중앙을 향해 장방형의 슬릿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더불어, 상기 연결측벽부(12)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가압볼트체결홀(12f)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볼트체결홀(12f)을 관통하여 단부 또는 외주면 중 어느 한 부분이 상기 상방볼트(30)의 볼트머리를 가압하는 가압볼트(4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본 발명에 의해, 선단보강기구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파일에 연결 설치하는 과정에서 장비의 도움을 최소화하면서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하고, 조립이 간편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ip reinforcing mechanism is constructed as a prefabricated structure, it can be installed while minimizing the help of the equipment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o a file, so that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y can be simplified and the air can be shortened.
또한, 주물강 또는 주강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물결 형상을 취해 높은 강도를 발휘하여 경타 관입성이 우수하면서도 상부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부분만 판상을 취하고 그 외의 부분은 빈 공간이 되도록 하여 무게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조립 편의성이 극대화된 선단 보강 기구가 제공된다.In addition, it is made of cast steel or cast steel and has a wavy shape to exhibit high strength and excellent in ductability, while at the upper part, only the part for bolt fastening is taken as a plate, and the other part is made as an empty space, A tip end reinforcement mechanism with maximized transportation and assembling convenience is provided.
또한, 연결측벽부, 내부측벽부를 테이퍼진 형상을 취하게 함으로써 외부측벽부는 물론 외부측벽부의 내측 공간에서도 경타 관입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making the connecting side wall portion and the inner side wall portion have a tapered shap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putting performance in the inner side space of the outer side wall portion as well as the outer side wall portion.
더불어 PHC 파일과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체결홀이 장방형의 슬릿 형태로 이루어져 미세한 시공 오차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조립 체결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HC file and the bolt fastening hole for bolt fastening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slit, so that the fastening hole can be easily assembled even in a fine construction error environment.
아울러, 연결측벽부에 볼트머리를 가압하는 가압볼트가 체결됨으로써 PHC파일과 연결된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여 암반에 견고하게 박힌 선단보강기구의 지지력이 PHC 파일에 원할히 전달된 채 유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bolts for pressing the bolt head are fastened to the connecting side wall portion, the bolts connected to the PHC pil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ront end reinforcing mechanism firmly embedded in the rock can be maintained in the PHC pile.
도 1은 본 발명의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와 PHC 파일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의 일측 절단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의 타측 절단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연결측벽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내부측벽부가 두꺼우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가압볼트가 추가로 포함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PHC file tip reinforcing mechanism and a PHC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PHC pile tip reinforc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one side of a PHC pile tip reinforc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PHC pile tip reinforc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sid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nnecting side wall portion is incl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inner sidewall portion is formed thick and incl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essure bolt is furthe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PHC 파일(1)의 선단에 체결되어 매입 후 경타 과정에서 암반과 같은 경질 지반에 관입될 수 있도록 된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C pile end reinforcement mechanism which is fastened to the tip of a PHC file (1) and can be penetrated into a hard ground such as a rock in a soaking process after filling.
이를 위한 PHC 파일(1)은 통상의 PHC 파일처럼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에 볼트체결홀(1a)이 형성되며, 이 볼트체결홀(1a)을 통해 본 발명의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가 연결된다.1, a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본 발명의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는 복수 개의 연결유닛(10), 연결유닛(10)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측방볼트(20) 및 연결유닛(10)을 PHC 파일(1)에 고정시키는 상방볼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HC pile front end reinforc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연결유닛(10)은 주강, 주물강과 같이 고강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PHC 파일(1)을 등분할한 형태로 형성되되 서로 맞대어져 조립되도록 각각 라운드진 형상을 이룬다.The connecting
이러한 연결유닛(1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유닛(10)은 크게 외부측벽부(11), 연결측벽부(12), 내부측벽부(13) 및 덮개부(14)로 이루어져 있다.The connecting
외부측벽부(11)는 각 연결유닛(10)마다 서로 이격된 상태로 최소 2개 이상의 다수 개로 이루어진다.The
구체적으로, PHC 파일(1)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이 PHC 파일(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연결측벽부(12)는 각 외부측벽부(11)의 양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중앙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ng
또, 내부측벽부(13)는 각 연결측벽부(12)의 내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되 서로 인접한 외부측벽부(11)의 사이에 위치한다.The inner
덮개부(14)는 내부측벽부(13) 및 내부측벽부(13) 양측의 연결측벽부(12) 상단에 둘레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볼트체결홀(14a)이 형성되어 있다.The
볼트체결홀(14a)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PHC 파일(1) 중앙을 향해 장방형의 슬릿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이는 시공 과정에서의 오차, 콘크리트 재질의 파일(1)과 강재로 이루어진 연결유닛(10)의 재질 차이에 따라 온도 팽창의 차이에 따른 미세한 차이 등 다양한 환경 변수에 의해 전술한 파일(1)의 볼트체결홀(1a)과 일직선을 취하지 못할 경우에도 슬릿을 따라 볼트 체결 위치를 미세 조정함으로써 용이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rror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minute differences due to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expansion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material between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연결유닛(10)은 내부측벽부(13)와 외부측벽부(11)가 연결측벽부(12)를 기준으로 서로 번갈아가면서 형성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측벽부(11)와 연결측벽부(12)에 의해 둘러쌓인 내향공간(15)과, 내부측벽부(13)와 연결측벽부(12)에 의해 둘러쌓인 외향공간(16)이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ng
한편, 이러한 연결유닛(10)의 일측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측벽부(11)와 연결된 제1연결측벽부(12a)로 마감되고, 타측 단부는 내부측벽부(13)와 연결된 제2연결측벽부(12b)로 마감된다.One end of the
더불어, 상기 제1연결측벽부(12a) 및 제2연결측벽부(12b)에는 각각 PHC 파일(1)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 반경을 이루는 제1측면볼트체결홀(12c)과 제2측면볼트체결홀(12d)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connecting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측방볼트(20)는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한 연결유닛(10)들의 제1측면볼트체결홀(12c) 및 제2측변볼트체결홀(12d)을 서로 관통하여 체결되어 인접한 연결유닛(10)들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때, 측방볼트(20)의 머리 반대 부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21)가 체결된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상방볼트(3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체결홀(14a) 및 볼트체결홀(1a)를 일직선으로 나사결합되어 관통함으로써 상기 연결유닛(10)을 상기 PHC 파일(1)에 고정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PHC 파일(1)에 본 발명의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 구조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3 and 4 show a cross-sectional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도 3의 경우는 내부측벽부(13) 측을 절단한 측단면도이며, 도 4의 경우는 외부측벽부(11) 측을 절단한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inner
도 3을 살펴보면, 상방볼트(30)가 덮개부(14)의 볼트체결홀(14a)을 통해 PHC 파일(1)의 볼트체결홀(1a)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선단 보강 기구가 파일(1)에 결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3, the
이때, 내부측벽부(13)는 경타 과정에서 단단한 암반에 부딪혀 관입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ner
또, 도 4의 외부측벽부(11) 역시 경타 과정에서 단단한 암반에 부딪혀 관입되게 된다.In addition, the outer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외부측벽부(11), 내부측벽부(13) 및 연결측벽부(12)가 모두 동일한 하단 높이를 이루고 있어 암반에 고르게 부딪혀 관입되게 된다.3 and 4, the outer
그런데, 경타 과정에서 PHC 파일(1)은 내부에 중공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내향공간(15)은 파일(1)의 중공된 공간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관입시 내향공간(15)에 위치하게 되는 파쇄된 암반 등의 파쇄물은 중공된 공간으로 별다른 저항 없이 유입되지만, 외향공간(16)의 경우 천공홀 벽면에 의해 완전히 막혀 있거나, 좁은 틈만 있기 때문에 파쇄물이 덮개부(14)에 가하는 압력이나 충격이 상대적으로 커 덮개부(14) 및 그 주변 부위의 하단에 상당한 충격 하중 부담을 발생시키게 된다.Since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측벽부(12)는 하단이 외측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2e)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ng
이러한 구조는 내부측벽부(13)의 상하단 길이는 외부측벽부(11)의 상하단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진 형상을 취하게 된다.In this structure, the upper and lower end lengths of the inner
이러한 구성은 하부가 불균일 단면 형태를 이루어 관입면이 평평한 경우 경사부(12e) 하부에 파쇄 과정에서 공간이 형성되어 파쇄물이 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if the bottom portion has a nonuniform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penetration surface is flat, a space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더불어, 전체적으로 외곽이 뾰족한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관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penetration can be made easier because the shape of the outline is entirely taken as a whole.
하지만 내부측벽부(13)의 하단 높이가 낮기 때문에 외부측벽부(11) 측에 충격 하중이 집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inner
이러한 문제점을 보다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6과 같은 구조가 제시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tructure as shown in FIG. 6 can be suggested.
도 6의 구조는 경사부(12e)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내부측벽부(13)는 상기 경사부(12e)가 연결된 지점으로 하향 돌출된 하부돌출부(13a)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The structure of FIG. 6 has an
여기서 하부돌출부(13a)의 하단은 외부측벽부(11)의 하단과 동일한 수평면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더불어, 상기 하향돌출부(13a)는 상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되, 하부에 중앙 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테이퍼부(13b)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In addition, the downward protruding
이러한 구조는 내부측벽부(13)의 하부에 경사진 단면 형태의 테이퍼부(13b)가 형성되고, 이 부분의 두께가 상측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충격에 의한 파손 가능성을 줄이면서 관입이 보다 용이해지고, 더불어, 경사부(12e)의 하부로는 틈새(13c)가 형성되어 파쇄물들의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structure, a tapered
이때, 내부측벽부(13) 전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하부돌출부(13a)의 두께만 두껍게 한 것은 각 연결유닛(10)의 중량을 최소화하여 인력에 의한 인양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lower protruding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볼트체결홀(1a, 14a)들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된 상향볼트(30)가 풀어지는 경우 암반에 본 발명의 보강 기구가 관입됨으로 인한 지지력이 파일(1)에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볼트(40)를 추가로 포함시켜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s shown in FIG. 7, a
이 구성은 상기 연결측벽부(12)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가압볼트체결홀(12f)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볼트체결홀(12f)을 관통하여 단부 또는 외주면 중 어느 한 부분이 상기 상방볼트(30)의 볼트머리(31)를 가압하는 가압볼트(4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In this configuration, a press
가압볼트(40)를 상방볼트(30)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The reason for positioning the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연결측벽부(12)들이 평행한 상태를 이루지 않고 파일(1) 중심을 향해 일직선을 취하기 때문에 점차 중앙 측은 사이 거리가 외곽 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형태를 취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since the adjacent connecting
따라서 어느 한 쪽의 연결측벽부(12)에 가압볼트(40)가 체결된 경우 가압볼트(40)는 상방볼트(30)의 축심에 수직하지 않고 경사진 방향으로 체결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더욱이 통상의 육각볼트는 볼트머리(31)가 균일하지 않고 각진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가압볼트(40)는 단부가 평평한 면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Further, since the
더 나아가 볼트체결홀(14a)이 전술한 것처럼 장방형의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 위치의 조정이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가압볼트(40)는 상향볼트(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편심되게 위치하여 가압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그런데, 이 경우 가압볼트(40)가 상향볼트(30)가 고정되는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 측을 가압하게 될 경우 가압에 의해 오히려 상향볼트(30)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이러한 이유로 두 가압볼트(4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가압볼트(40)의 조작에 의해 상향볼트(30)가 풀리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는지, 조이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여 두 가압볼트(40) 중 어느 하나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원할한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when the two
이렇게 가압볼트(40)의 가압 세팅이 끝나게 되면, 가압볼트(40)의 단부나, 그 상측의 외주면이 상향볼트(30)에 밀착되어 상향볼트(30)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ressing of the
더 나아가, 이러한 가압볼트(40)를 이용하여 조립 과정에서 효과적인 영점 조정을 할 수 있다.Further, by using the
구체적으로, 각각의 연결유닛(10)을 파일(1)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향볼트(30)를 느슨하게 조여 파일(1)의 하부에 각 연결유닛(10)을 임시 고정한 후 다시 조이는 과정을 진행해야 하는데, 비록 상향볼트(30)가 외향공간(16)에 있다 하더라도 볼트머리(31)가 덮개부(14)의 하부에 견고하게 조여야 하는데, 이때 렌치의 회전이 용이하지 않다.Specifically, in connecting the
특히, 최종 마감시에는 최대한의 힘으로 조여줘야 하는데 공구를 사용할 공간이 좁기 때문에 더욱 작업이 어렵다.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tighten with the maximum force at the final closing time, but it is difficult to work because the space for using the tool is narrow.
반면, 가압볼트(40)를 이용할 경우 상향볼트(30)를 일정 수준까지 체결한 후 양측의 가압볼트(40)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마무리 가압을 할 수 있게 되며, 가압 후의 상향볼트(30)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contrast, when the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의 설치 예는 항타기 등에 매달린 채 경타 대기 상태에 있는 PHC 파일의 하단에 각 연결유닛(10)들을 사람이 든 채 상향볼트(30)를 통해 연결하고, 인접한 연결유닛(10)들은 측방볼트(20)를 통해 서로 연결함으로써 PHC 파일에 간편하게 설치된다.The above-described installation example of the PHC file front end reinforc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each
가압볼트(40)가 구비된 실시예의 경우 상향볼트(30) 체결 마무리 과정이나,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조여줘 상향볼트(3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그런 후 항타기 등을 이용하여 경타를 실시하여 본 발명의 선단 확장 기구가 암반형 지반에 관입되어 견고한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게 한다.Thereafter, the end eff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netrated into the rock-type ground by performing a putter using a hanger or the like, so that a strong supporting force can be exerted.
이러한 시공 방식은 선단 보강 기구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파일에 연결 설치하는 과정에서 장비의 도움을 최소화하면서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하고, 조립이 간편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Such a construction method can be installed while minimizing the help of the equipment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file to the file because the end reinforcement mechanism is constructed as a prefabricated structure, so that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y can be simplified and the air can be shortened.
이처럼 장비 활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덮개 부분이 종래와 달리 볼트 체결을 위한 최소한의 부분만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하기도 하다.It is also possible to minimize the use of such a device because the cover portion has a minimum portion for bolt fastening unlike the conventional one.
또한, 연결측벽부, 내부측벽부가 테이퍼진 형상을 취한 실시예의 경우 외부측벽부는 물론 외부측벽부의 내측 공간에서도 경타 관입성이 높아지고, 파쇄물에 의한 저항을 저감시켜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Also,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onnecting sidewall portion and the inner sidewall portion are formed in a tapered shap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enetration of the putt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side wall portion as well as the outer side wall portion, and the resistance by the crushed material can be reduced to minimize the damage.
더불어 PHC 파일과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체결홀이 장방형의 슬릿 형태로 이루어져 미세한 시공 오차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조립 체결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연결측벽부에 볼트머리를 가압하는 가압볼트가 체결됨으로써 PHC파일과 연결된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여 암반에 견고하게 박힌 선단보강기구의 지지력이 PHC 파일에 원할히 전달된 채 유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HC file and the bolt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bolt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lit shape, so that the fastening bolt for pressing the bolt head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side wall part,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end reinforcing mechanism, which is firmly embedded in the rock, can be maintained in the PHC pile.
1 : 파일
1a : 볼트체결홀
10 : 연결유닛
11 : 외부측벽부
12 : 연결측벽부
12a : 제1연결측벽부
12b : 제2연결측벽부
12c : 제1측면볼트체결홀
12d : 제2측면볼트체결홀
12e : 경사부
12f : 가압볼트체결홀
13 : 내부측벽부
13a : 하향돌출부
13b : 테이퍼부
13c : 틈새
14 : 덮개부
14a : 볼트체결홀
15 : 내향공간
16 : 외향공간
20 : 측방볼트
21 : 너트
30 : 상방볼트
31 : 볼트머리
40 : 가압볼트1:
10: connecting unit 11: outer side wall part
12: connecting
12b: second connecting
12d: second side
12f: press bolt fastening hole 13: inner side wall part
13a: downward projecting
13c: clearance 14: lid portion
14a: bolt fastening hole 15: inward direction space
16: outward space 20: lateral bolt
21: nut 30: upper bolt
31: bolt head 40: pressure bolt
Claims (5)
외주면이 PHC 파일(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 개의 외부측벽부(11)와, 각 외부측벽부(11)의 양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중앙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연결측벽부(12)와, 각 연결측벽부(12)의 내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되 서로 인접한 외부측벽부(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측벽부(13)와, 내부측벽부(13) 및 내부측벽부(13) 양측의 연결측벽부(12) 상단에 둘레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볼트체결홀(14a)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측벽부(11)와 연결측벽부(12)에 의해 둘러쌓인 내향공간(15)과, 내부측벽부(13)와 연결측벽부(12)에 의해 둘러쌓인 외향공간(16)이 형성되어 있고, PHC 파일(1)이 등분할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되, 일측 단부는 외부측벽부(11)와 연결된 제1연결측벽부(12a)로 마감되고, 타측 단부는 내부측벽부(13)와 연결된 제2연결측벽부(12b)로 마감되며, 상기 제1연결측벽부(12a) 및 제2연결측벽부(12b)에는 각각 동일 반경을 이루는 제1측면볼트체결홀(12c)과 제2측면볼트체결홀(12d)이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유닛(10)과;
인접한 연결유닛(10)들의 제1측면볼트체결홀(12c) 및 제2측변볼트체결홀(12d)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인접한 연결유닛(10)들을 상호 연결하는 측방볼트(20)와;
상기 볼트체결홀(14a)을 통해 연결유닛(10)을 상기 PHC 파일(1)에 고정시키는 상방볼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
In the PHC pile end reinforcement mechanism,
A plurality of outer side wall portions 1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C pile 1 so as to have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PHC pile 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inner side wall portion 13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adjacent outer side wall portions 11 and connects the inner side ends of the connecting side wall portions 12 with each other; And a lid part 14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ide wall part 12 on both sides of the side wall part 13 and formed with a bolt fastening hole 14a and connected to the outer side wall part 11 An inwardly directed space 15 surrounded by the side wall portion 12 and an outwardly directed space 16 surrounded by the inner side wall portion 13 and the connecting side wall portion 12 are formed and the PHC file 1 is divided into equal parts One end portion of which is closed by a first connecting side wall portion 12a connected to the outer side wall portion 11, And the first connection side wall portion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side wall portion 12b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first side bolt fastening holes 12c ) And a second side bolt fastening hole (12d) are formed;
A lateral bolt 20 fastened through the first side bolt fastening hole 12c and the second side bolt fastening hole 12d of the adjacent connecting units 10 to interconnect adjacent connecting units 10;
And an upper bolt (30) for fixing the connecting unit (10) to the PHC file (1) through the bolt fastening hole (14a).
PHC file tip reinforcement.
상기 연결측벽부(12)는 하단이 외측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2e)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side wall part (12) is composed of an inclined part (12e) whose lower end is inclined upwards from the outside to the center side.
PHC file tip reinforcement.
상기 내부측벽부(13)는 상기 경사부(12e)가 연결된 지점으로 하향 돌출된 하부돌출부(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향돌출부(13a)는 상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되, 하부에 중앙 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테이퍼부(13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side wall part 13 is formed with a lower projection part 13a protruding downward to a point where the slope part 12e is connected. The downward projection part 13a is thicker than the upper part, And a tapered portion (13b)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ide of the tapered portion
PHC file tip reinforcement.
볼트체결홀(14a)은 PHC 파일(1) 중앙을 향해 장방형의 슬릿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Wherein the bolt fastening hole (14a) is formed in a rectangular slit shape toward the center of the PHC pile (1)
PHC file tip reinforcement.
상기 연결측벽부(12)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가압볼트체결홀(12f)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볼트체결홀(12f)을 관통하여 단부 또는 외주면 중 어느 한 부분이 상기 상방볼트(30)의 볼트머리를 가압하는 가압볼트(4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 선단 보강 기구.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The connection side wall portion 12 is formed with a press bolt fastening hole 12f which penetr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press bolt (40) penetrates the press bolt fastening hole (12f) and either the end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esses the bolt head of the upper bolt (30).
PHC file tip reinforce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0404A KR101941571B1 (en) | 2017-05-16 | 2017-05-16 | Tip Strengthening Apparatus for PH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0404A KR101941571B1 (en) | 2017-05-16 | 2017-05-16 | Tip Strengthening Apparatus for PHC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5737A true KR20180125737A (en) | 2018-11-26 |
KR101941571B1 KR101941571B1 (en) | 2019-01-23 |
Family
ID=6460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0404A KR101941571B1 (en) | 2017-05-16 | 2017-05-16 | Tip Strengthening Apparatus for PHC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1571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3499A (en) * | 2003-12-03 | 2005-06-08 | 김영란 | Attachable and detachable assembly connection device for 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and execution method therewith |
KR20120108381A (en) * | 2011-03-24 | 2012-10-05 |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 Extended vertical support power reinforcing device of pile |
KR20140122460A (en) * | 2013-04-10 | 2014-10-20 | (주)스마텍엔지니어링 |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of PHC Piles |
KR20150017079A (en) * | 2013-08-06 | 2015-02-16 | 김기웅 | Coupling apparatus for non-welding of pile |
KR20160025260A (en) | 2014-08-27 | 2016-03-08 | 백규호 | Complex pile with improved end bearing capacity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1618632B1 (en) | 2014-10-29 | 2016-05-10 | 시지엔지니어링(주) | PHC Composite Pile with Implant Pile for Increasing Driveability and End Bearing Capacity |
-
2017
- 2017-05-16 KR KR1020170060404A patent/KR10194157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3499A (en) * | 2003-12-03 | 2005-06-08 | 김영란 | Attachable and detachable assembly connection device for 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and execution method therewith |
KR20120108381A (en) * | 2011-03-24 | 2012-10-05 |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 Extended vertical support power reinforcing device of pile |
KR20140122460A (en) * | 2013-04-10 | 2014-10-20 | (주)스마텍엔지니어링 |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of PHC Piles |
KR20150017079A (en) * | 2013-08-06 | 2015-02-16 | 김기웅 | Coupling apparatus for non-welding of pile |
KR20160025260A (en) | 2014-08-27 | 2016-03-08 | 백규호 | Complex pile with improved end bearing capacity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1618632B1 (en) | 2014-10-29 | 2016-05-10 | 시지엔지니어링(주) | PHC Composite Pile with Implant Pile for Increasing Driveability and End Bearing Capac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1571B1 (en) | 2019-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17248B2 (en) | Column assembly for use in building foundation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 |
KR100886922B1 (en) | Footing reinforcing or structure recovering method | |
KR101341260B1 (en) | Method of reinforcing existing concrete footing structure using micropile | |
US20120301227A1 (en) | Foundation pil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KR101001107B1 (en) | Double pipe connection type enlarged steel pipe pile head reinforcement | |
CN101010465A (en) | Foundation structure of steel tower | |
KR20080100740A (en) | Strut system of temporary plate with opening supporting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subgrade external wall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 |
JP3649717B2 (en) | Joints and structures for joining steel pipe pile heads to concrete foundations | |
KR101941571B1 (en) | Tip Strengthening Apparatus for PHC | |
KR101331219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micro pile using reinforcing end bearing capacity | |
KR101127475B1 (en) | Device for connecting wales | |
KR200381589Y1 (en) |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ecastconcrete pile | |
KR200201561Y1 (en) |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steel pipe pile | |
JP5139377B2 (en) | Manhole floating prevention structure | |
KR20120067402A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precast concrete column to cast-in-place footing | |
KR200233313Y1 (en) | a bolt coupling method of th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for H-pile | |
KR101253841B1 (en) | Vertically Inserting Column into the Eccentrically Bored Hole & the Method Thereof | |
KR102191745B1 (en) | H-beam reinforcement for earth-walled | |
KR100262977B1 (en) | A plate for steel pile plile | |
KR20090055731A (en) | The connectors for steel pile head embedded inconcrete footing with double cap and thereof structure | |
KR20010028793A (en) | Precast Retaining Wall Using High Strength Micro Pile | |
JP4669386B2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foundation in existing underwater structure and its reinforcement method | |
KR101618632B1 (en) | PHC Composite Pile with Implant Pile for Increasing Driveability and End Bearing Capacity | |
KR200194424Y1 (en) | Precast retaining wall using high strength micro pile | |
KR102560642B1 (en) | Composite pile using micro p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