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740A - Strut system of temporary plate with opening supporting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subgrade external wall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rut system of temporary plate with opening supporting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subgrade external wall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00740A KR20080100740A KR1020070046813A KR20070046813A KR20080100740A KR 20080100740 A KR20080100740 A KR 20080100740A KR 1020070046813 A KR1020070046813 A KR 1020070046813A KR 20070046813 A KR20070046813 A KR 20070046813A KR 20080100740 A KR20080100740 A KR 200801007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slab
- retaining wall
- wire
- undergr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지하 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에서 매입슬래브를 이용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및 시공 순서에 따른 단면도((b) 내지 (e))이다.Figure 1 is a plan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b) to (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equence showing an embodiment using a buried slab in the reverse support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for the continuous construction of the conventional underground plywood.
도 2는 종래에 적용되는 매입거푸집판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uried formwork plate conventionally applied.
도 3은 종래 흙막이벽측으로 시공되는 보를 콘크리트 영구구조에 접합시켜 설치하는 방법의 일반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및 단면도(b)이다.3 is a plan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b) showing a general embodiment of a method of bonding and installing a beam constructed in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side to a concrete permanent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가설 개방형판재 이용한 지하 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단면도(b), 사시도(c), 제작단면((d)내지 (e))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a), cross-sectional view (b), a perspective view (c),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everse support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for the continuous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plywood using the temporary open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d) to (e)).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되는 가설 개방형판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hypothetical open plat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지하 역타공사에서 흙막이벽측으로 시공되는 보의 다 양한 설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및 단면도((b) 내지(d))이다.6 is a plan view (a) and cross-sectional views (b) to (d) showing various installation examples of the beams constructed in the earth wall construction in the earthwork co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흙막이벽 11: 엄지말뚝 10: Block Wall 11: Thumb Pile
20: 보 25: 거치보20: see 25: pedestal
30: 철근콘크리트슬래브 30a: 매입슬래브30:
30b: 노출슬래브 30b: exposed slab
40: 매입거푸집판 41a: 수직판부40: embedded die
41b: 바닥판부 43: 개구부41b: bottom plate portion 43: opening portion
50: 지하외벽50: outer wall
140: 가설용 개방형판재 141a: 돌출 바닥판부140: open
141b: 타설 바닥판부 142: 트러스철선141b: pour bottom plate 142: truss wire
151: 브라켓 151a: 직각브라켓151:
151b: 경사브라켓151b: inclined bracket
도 1과 도 2는 종래의 매입거푸집판을 이용하여 슬래브가 흙막이벽을 지지하 고 있는 지하 흙막이 지지방식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basement support method for the slab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using a conventional buried formwork.
이러한 방식은 콘크리트 타설후 매입거푸집판을 제거하지 않고 지하 역타공사 및 지하 합벽공사가 이루에 짐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this method,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as the underground reverse work and the underground plywood work are carried out without removing the formwork boar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우선 매입거푸집판은 콘크리트 타설시 필요하나 구조물의 최종적인 상태에서 필요한 요소가 아니므로 매입에 의한 자원낭비가 발생하고, 매입거푸집판에 작용하는 콘크리트 타설하중을 보(20)에 전달하기 위해 별도의 지지보(25)의 설치와 매입거푸집판의 보강조치를 위한 사전 제작 및 설비의 필요성 등으로 비용이 크게 발생하게된다. 또한 매입거푸집판은 해체를 하지 않으므로 재질에 따라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이 떨어져 보강검토가 필요하게 된다.First, the purchase formwork plate is necessary for concrete pouring, but it is not necessary in the final state of the structure, so waste of resources is caused by the purchase, and the concrete placing load acting on the purchase formwork is transferred to the
도 3은 종래 지하 역타공사에서 흙막이벽측으로 시공되는 보(20)를 콘크리트 영구구조(49)에 접합시켜 설치하는 방법의 일반적인 실시예이다. 이 방법에 의해 보(20)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보(20)의 춤에 해당하는 높이로 RC테두리보와 같은 영구구조(49)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며, 이에 수반되어 영구구조(49)를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어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의 증대요인이 된다. 3 is a general embodiment of a method of bonding and installing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매입거푸집판 대신 일부 혹은 전체를 제거하는 가설 개방형판재의 재활용을 통해 비용절감을 가져오고, 후속 지하벽체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며, 매입거푸집판에서 콘크리트 타설하중을 보로 전달하기 위해 필요했던 거치보(25)를 없앨 수 있는 하중 지지형식을 마련하여, 경제적이며 구조적으로 안정된 건축물 지하 합벽의 연속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ringing cost savings through the recycling of hypothetical open plate material that removes part or the whole instead of the conventional formwork plate, and improves the adhesion performance with the subsequent underground wall, In order to provide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plywood of the building structurally stable by providing a load support type that can eliminate the mounting beam (25) needed to transfer the concrete placing load from the embedded formwork to the bea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가설 개방형판재를 지지하며 흙막이벽측으로 시공되는 보를 흙막이벽의 엄지말뚝과 보의 편심에 따라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여러 시공방식을 도출하여 현장의 시공성 및 경제성을 제고시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hypothetical open plate and to derive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to secure structural safety according to the thumb pile and the eccentricity of the beam to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 wall wall construction site and economic feasibility To enhan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흙막이벽; 상기 흙막이벽을 향하여 시공되는 보; 및, 상기 보 위로 상기 흙막이벽에 밀착 접하도록 시공되어 흙막이벽을 직접 지지하도록 시공되는 철근콘크리트슬래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에서,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the earth wall; A beam constructed toward the retaining wall; And, reinforced concrete slab which is construc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taining wall above the beam and is constructed to directly support the retaining wall.
상기 철근콘크리트슬래브(30)는 흙막이벽과 접하면서 지하외벽에 매입되는 매입슬래브(30a)와 지하외벽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슬래브(30b)로 구분되며, 상기 매입슬래브는 개구부를 형성시키는 돌출 바닥판부(141a)와 매입슬래브가 타설되는 타설 바닥판부(141b)로 구성된 가설 개방형판재(14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성형되며, 상기 돌출 바닥판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43)는 지하외벽의 마주보는 수직철근(51)을 동시에 관통시켜 배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가설 개방형판재는 매입슬래브의 양생이후 일부 혹은 전부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를 제공한다.The reinforc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인 상기 가설 개방형판재를 지지하며 흙막이벽(10)측으로 시공되는 보(20)를 흙막이벽의 엄지말뚝(11)과 보(20)의 편심에 따라 구조적 안전성과 시공성,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여러 시공방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흙막이벽; 상기 흙막이벽의 엄지말뚝; 상기 흙막이벽을 향하여 시공되는 보; 상기 흙막이벽의 엄지말뚝과 상기 보의 편심정도에 따라 상기 흙막이벽의 엄지말뚝에 접합되어 상기 보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에서,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흙막이벽의 엄지말뚝(11)과 보(20)의 편심정도에 따라 구조적 안전성내에 포함되는 편심의 경우 브라켓(151)없이 보를 편심되게 엄지말뚝에 직접 접합시키거나, 구조적 안전성을 초과하는 편심이거나 시공상의 편의를 위해 흙막이벽의 엄지말뚝과 직교되게 혹은 경사지게 접합된 브라켓(151a, 151b)이 상기 보(2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를 제공한다.In the case of the eccentricity included in the structural safe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eccentricity of the
또한, 본 발명은 (a)흙막이벽을 시공하고 내부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b)소정의 깊이로 굴착하는 단계; (c)상기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를 적용하면서 보 및 철근콘크리트슬래브의 층간 수평구조체를 흙막이벽의 수평지지체로 시공하는 단계; (d)상기 (b)단계와 (c)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건축물의 지하 최하층까지 층간 수평구조체에 의한 흙막이벽 지지골조를 완성하는 단계; 및, (e)수직철근이 매입슬래브의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배근한 후 매입슬래브의 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 설하여 층간 수평구조체 중 보의 일단부와 철근콘크리트슬래브의 매입슬래브를 매입시키면서 지하외벽을 흙막이벽에 접하는 지하 합벽으로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하 합벽의 연속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constructing the wall and installing the inner pillar; (b) digging to a predetermined depth; (c) constructing the interlayer horizontal structure of the beam and reinforced concrete slab as the horizontal support of the retaining wall while applying the reverse support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d) repeating steps (b) and (c) to complete the earth wall support frame by the interlayer horizontal structure up to the basement floor of the building; And, (e) reinforce the vertical rebar to pass through the opening of the embedded slab, and then install concrete through the opening of the embedded slab to purchase the one end of the beam and the embedded slab of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It provides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the building underground plywood comprising the; step of building into an underground plywood in contact with the earth wall.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은 건축물 지하의 층간 슬래브가 흙막이벽을 지지하도록 시공되는 지하 흙막이벽의 지지구조에서, 가설 개방형판재(140)를 이용하여 흙막이벽(10)과 접하면서 지하외벽(50)에 매입되는 매입슬래브(30a)가 개구부(43)가 형성되도록 시공함으로써, 지하외벽(50)을 시공함에 있어 수직철근(51)의 층간 연속배근 및 콘크리트의 층간 연속타설이 가능해지고, 지하 외벽(50)과 매입슬래브(30a)의 부착성능이 향상되어 일체성이 강화된 지하 합벽으로 완성시키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은 지하 흙막이벽의 지지구조와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 합벽의 연속 시공방법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uried buried in the basement
1. 지하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1. Reverse support structure of underground retaining wal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지하 역타공법에서 지하 흙막이벽의 지지구조는 흙막이벽(10); 상기 흙막이벽(10)을 향하여 시공되는 보(20); 및, 상기 보(20) 위로 상기 흙막이벽(10)에 밀착 접하도록 시공되어 흙막이벽(10)을 직접 지지하도록 시공되는 철근콘크리트슬래브(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보(20) 및 철근콘크리트슬래브(30)가 흙막이벽(10)을 지지 하는 층간 수평구조체로서 역할하게 된다.4 is a view showing a reverse support structure of the basement wal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derground reverse drilling method,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is the retaining wall (10); A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철근콘크리트슬래브(30)를 흙막이벽(10)에 접하면서 지하외벽(50)에 매입되는 매입슬래브(30a);와 지하외벽(50)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슬래브(30b);로 구분하고,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edded slab (30a) is buried in the basement
상기 매입슬래브(30a)는 개구부를 형성시키는 돌출 바닥판부와 매입슬래브가 타설되는 타설 바닥판부로 구성된 가설 개방형판재에 노출슬래브 두께 이상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성형되며, 상기 돌출 바닥판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는 지하외벽의 마주보는 수직철근(51)을 동시에 관통시켜 배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The embedded
매입슬래브(30a)가 완성되면 가설 개방형판재(140)의 돌출 바닥판부가 재활용되기 위해 제거되며 이때 만들어진 개구부(43)는 지하외벽(50)의 수직철근(51)의 층간 연속배근과 콘크리트의 층간 연속타설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된다. When the embedded
도 4(c) 내지 (d)는 돌출 바닥판부(141a)와 타설 바닥판부(141b)를 상부철선(142a)과 하부철선(142b)이 래티스 철선(142c)에 의해 접합되어 트러스구조 혹은 비렌딜구조로 만들어진 트러스철선(142)에 연결시키고, 상기 트러스철선(142)을 보(20)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지지보(25)가 필요없도록 한 경우를 표현한 일실시예이다. 트러스철선(142)은 처짐을 완화시키기 위해 캠버를 주는 것도 가능하며, 트러스철선을 보(20) 사이에 지지시킬 때 자립할 수 있도록 상부철선 혹은 하부철선과 연결시킨 자립철선(142d)을 부착시킬 수 있다. 트러스철선(142)의 상부철선, 하부철선, 래티스 철선, 자립철선은 철근, 고강도 철선, 원형 또는 각형의 강 재를 이용할 수 있다.4 (c) to (d) show that the protruding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에서 매입슬래브(30a)를 시공하기 위한 가설 개방형판재의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Figure 5 shows various embodiments of the temporary opening plat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mbedded slab (30a) in the reverse support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for the continuous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ply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가설 개방형판재는 상기 매입슬래브(30a)의 개구부를 형성시키는 돌출 바닥판부와 매입슬래브가 타설되는 타설 바닥판부로 구성된다. 가설 개방형판재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매입슬래브가 성형된 이후 가설 개방형판재가 재활용되기 위해서는 해체가 용이한 구조가 되어야 한다.The temporary open plate member includes a protruding bottom plate portion for forming an opening of the embedded
도 5(a)의 경우는 돌출 바닥판부를 상향으로 해체하는 경우이며, 이를 위해선 돌출 바닥판부의 수직판재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역사다리꼴 형태가 되어야 편리하다. 또한 손잡이를 돌출 바닥판부의 수직판재 상단부근에 설치하면 해체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5 (a) is a case of dismantling the protruding bottom plate upward, for this purpose, it is convenient th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plate of the protruding bottom plate part is narrow and the upper part has a wide trapezoidal shape. In addition, if the handle is installed near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of the protruding bottom plate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dismantling.
매입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돌출 바닥판부의 유동을 막기위한 돌출 바닥판부의 고정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타설 바닥판부에 개구부가 없는 폐쇄형일 경우 돌출 바닥판부를 타설 바닥판부에 얹고 고정시키고, 개구부가 있는 개방형일 경우 돌출 바닥판부를 개구부에 관입시켜 타설 바닥판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타설 바닥판부에 개구부 유무에 관계없이 인접한 돌출 바닥판부의 수직판부들의 상부에 각재 및 고정부속으로 연결시켜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수직판재 상단부근의 손잡이에 고정용 각재를 관통시켜 위치를 잡고 고정할 수 도 있다.The fixing of the protruding bottom plate part to prevent the flow of the protruding bottom plate part during concrete pouring for forming the embedded slab may b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closed type having no opening in the pouring bottom plate part, the protruding bottom plate part is fixed and placed on the pouring bottom plate part, and in the case of an open type having an opening, the protruding bottom plate part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fixed to the pouring base plate part. It can be fixed by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plate part of the adjacent protruding bottom plate part with the lumber and the fixing part with or without openings, and can hold and fix the position by penetrating the fixing material to the handle near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Can also be.
도 5(b)의 경우 돌출 바닥판부와 타설 바닥판부를 하향 해체하는 경우이며, 돌출 바닥판부와 타설 바닥판부를 고정시켜 동시에 하향 해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5 (b) is a case of dismantling the protruding bottom plate portion and the pouring bottom plate portion,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protruding bottom plate portion and the pouring bottom plate portion downward dismantling at the same time.
도 5의 돌출 바닥판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는 지하외벽의 마주보는 수직철근(51)을 동시에 관통시켜 배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시키고 벽체두께 이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개구부(43)는 각형, 삼각형, 원통형 등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나, 작업성을 고려하면 사각형 개구부가 바람직하다. The opening formed by the protruding bottom plate part of FIG. 5 may be formed to a size that can be penetrated by simultaneously penetrating the
상기 가설형 개방형판재의 재질은 합판, 플라스틱, FRP, 강판, 철근, 리브 라스, 와이어메쉬, 익스팬디드 메탈, 망상전신(網狀展伸)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거나 둘 이상으로 복합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The material of the hypothetical open plate may be made of plywood, plastic, FRP, steel sheet, rebar, rib lath, wire mesh, expanded metal, reticulated telescopic metal,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Do.
상기 가설형 개방형판재는 해체방향별 돌출 바닥판부 수직부재의 형태, 고정방법, 재질의 조합을 통해 최적의 재활용 및 해체가 용이한 구조로 만들수 있다.The hypothetical open plate member can be made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cycled and dismantled easily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shape, fixing method, and material of the protruding bottom plate vertical member for each dismantling direc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흙막이벽의 엄지말뚝(11)과 보(20)의 편심정도에 따라지하 역타공사에서 흙막이벽측으로 시공되는 보의 다양한 설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6(a)의 보(20a)처럼 흙막이벽과 직교되게 설치되는 보를 도 6(a)의 보(20b)처럼 흙막이벽의 엄지말뚝 방향으로 편심되게 시공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보의 길이가 최초 설계시보다 길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보에 작용하는 여러 부재력 중에서 휨모멘트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보가 구조적으로 불안전해 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때 보의 허용응력에 대한 작용응력의 비율인 응력비(S.R : stress ratio)와 흙막이벽의 엄지말뚝과 보의 편심각도(θ)간에서 다음과 같은 관계를 유도해 낼 수 있다. 즉, 응력비(S.R)를 통해 보의 허용 최대모멘트를 환산할 수 있고, 상기 허용 최대모멘트가 작용할 때의 보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허용편심각도(θ allow)는 θ allow= TAN(1/S.R-1)이며, 통상적인 보의 응력비가 각각 0.85, 0.9, 0.95에 따라 허용편심각도(θ allow)는 대략 10도, 6도, 3도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즉, 보의 응력비를 확인하면 엄지말뚝과 직접 접합시킬 수 있는 보 부재의 한계를 결정할 수 있다.Figure 6 is a plan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installation embodiments of the beam to be constructed in the earth wall wall in the underground reverse drill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eccentricity of the
상기의 검토과정을 거쳐 흙막이벽의 엄지말뚝(11)과 보(20)의 편심이 구조적 안전성내에 포함되는 경우 추가의 엄지말뚝 및 브라켓없이 도 6(a)의 보(20a)와 같이 편심되게 엄지말뚝에 접합시키거나, 도 6(a)의 보(20b)와 같이 직각브라켓(151a)에 보(20)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 때 보와 흙막이벽의 엄지말뚝의 접합은 볼트접합 혹은 용접접합을 하거나 관계없으며, 직각브라켓(151a)을 이용하는 경우는 별도의 접합을 하지 않아도 된다. 도 6(a)의 보(20)는 구조적 안전성을 초과하는 편심의 경우 흙막이벽의 엄지말뚝과 경사지게 접합되는 브라켓(151b)으로 보(2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6의 브라켓에 작용하는 부재력이 큰 경우 보(20)를 선시공된 상층의 구조물, 즉 흙막이벽 혹은 보에 철근, 봉강, 와이어 로프등의 인장재를 이용하여 지지시킴으로써 부재력을 저감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When the
도 6(b)는 도 6(a)의 보(20a)가 편심되게 엄지말뚝에 접합될 때의 단면이고, 도 6(c)는 7(a)의 보(20b)가 직각브라켓(151a)에 보(20)를 거치될 때의 단면이며, 도 6(d)는 7(a)의 보(20)가 경사브라켓(151b)에 거치될 때의 단면이다.6 (b) is a cross section when the
2. 건축물 지하 합벽의 구축방법2.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underground plywood
도 4은 상기 지하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를 적용하여 지하 흙막이합벽을 완성하는 시공순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지하 합벽의 구축방법을 설명한다.Figure 4 shows the construction sequence to complete the basement sump wall by applying the reverse support structure of the basement wall, with reference to this will be describ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uilding basement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흙막이벽(10)의 시공 및 내부 기둥 설치(a)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of internal pillars
먼저 건축물이 설치된 곳의 경계선에 흙막이벽(10)을 시공하고 내부 기둥 위치에 기둥을 설치한다. 흙막이벽(10)의 종류와 무방하며, 도 4는 CIP로 시공된 흙막이벽(10)을 보여준다.First, construct the retaining
(b)굴착(b) excavation
소정의 깊이로 굴착한다. 이때 굴착은 외부로 노출된 흙막이벽(10)이 자립하여 충분히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진행한다.Excavate to a predetermined depth. At this time, the excavation proceeds to the extent that the retaining
(c)층간 수평구조체 시공(c) Construction of interlevel horizontal structures
전술한 지하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를 적용하면서 보(20) 및 철근콘크리트슬래브(30)의 층간 수평구조체를 흙막이벽(10)의 수평지지체로 시공한다. 보(20)는 흙막이벽(10)을 향하도록 시공하며, 철골, SRC, RC, PC, 복합구조 등 어떤 형태로든 무방하며, 도 4에서는 철골보를 도시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슬래브(30)는 매입슬래브(30a)와 노출슬래브(30b)가 구분되도록 시공하되 매입슬래브(30a)는 가설 개방형판재(140)을 적용하여 시공하도록 하며, 철근콘크리트구조를 포함하는 형태이면 가능하다.The interlayer horizontal structure of the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철근콘크리트슬래브(30)의 매입슬래브(30a) 시공에 트러스철선(14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1에서 매입거푸집판을 지지하기 위해 보(20) 단부에 지하외벽(50)의 내측선과 일치하는 곳에 설치하는 거치보(25)를 생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d)흙막이벽 지지골조 완성(d) completion of supporting wall
상기 (b)단계의 굴착단계와 (c)단계의 층간 수평구조체 시공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건축물의 지하 최하층까지 층간 수평구조체에 의한 흙막이벽(10) 지지골조를 완성한다.Repeating the excavation step and the step (c) of the interlayer horizontal structure construction step of step (b) to complete the supporting
(e)합벽 구축 (e) construction of plywood
흙막이벽(10) 지지골조가 완성되면, 흙막이벽(10)에 접하는 지하외벽(50)을 시공한다. 지하외벽(50)의 시공은 수직철근(51)이 매입슬래브(30a)의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배근한 후 매입슬래브(30a)의 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간 수평구조체 중 보(20)의 일단부와 철근콘크리트슬래브의 매입슬래브(30a)를 매입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층간 수평구조체 시공에서 매입슬래브(30a)의 개구부가 충분히 확보되었기 때문에 개구부를 통해 지하외벽의 수직철근(51)의 층간 연속배근과 콘크리트의 층간 연속타설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지하외벽(50)은 층간 일체성이 강화되면서 흙막이벽에 접하여 하나의 지하 합벽으로 구축된다. When the retaining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 지하의 층간 슬래브가 흙막이벽을 지지하도록 시공되는 지하 흙막이벽의 지지구조에서, 흙막이벽과 접하면서 지하외벽에 매입되는 매입슬래브를 개구부가 형성된 가설 개방형판재를 이용하여 일부 혹은 전체를 제거하는 가설 개방형판재의 재활용을 통해 비용절감을 가져오고, 후속 지하벽체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며, 매입거푸집판에서 콘크리트 타설하중을 보로 전달하기 위해 필요했던 거치보를 없앨 수 있는 하중지지형식을 마련하여, 경제적이며 구조적으로 안정된 건축물 지하 합벽의 연속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basement wall, the interlayer slab of the building basement is constructed so as to support the wall, using the hypothetical opening type plate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buried slab which is buried in the basement outer wall while contacting the wall. To reduce costs, improve adhesion to subsequent underground walls, and eliminate the pedestals needed to transfer concrete pour loads from embedded formwork to beams. By providing a load bearing typ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nomical and structurally stable method of continuous construction of underground plywood in buildings.
또한 상기 가설 개방형판재를 지지하며 흙막이벽측으로 시공되는 보를 흙막이벽의 엄지말뚝과 보의 편심에 따라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흙막이벽 엄지말뚝에 직접 접합, 직각 혹은 경사브라켓의 이용 등을 통하여 현장의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eam supporting the hypothetical open plate and constructed on the side of the retaining wal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taining pile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retaining wall of the retaining wall to secure structural safety according to the eccentricity of the retaining wall. It can improve the work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6813A KR20080100740A (en) | 2007-05-14 | 2007-05-14 | Strut system of temporary plate with opening supporting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subgrade external wall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6813A KR20080100740A (en) | 2007-05-14 | 2007-05-14 | Strut system of temporary plate with opening supporting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subgrade external wall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0740A true KR20080100740A (en) | 2008-11-19 |
Family
ID=4028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6813A KR20080100740A (en) | 2007-05-14 | 2007-05-14 | Strut system of temporary plate with opening supporting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subgrade external wall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100740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8918B1 (en) * | 2009-05-18 | 2010-01-27 |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frame by channel |
KR101034853B1 (en) * | 2010-06-22 | 2011-05-17 |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by whole support of retaining wall and form corresponding to uneven surface for using in the same |
KR200470708Y1 (en) * | 2012-08-09 | 2014-01-07 |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A steel frame having water stop for transferring earth pressure on retaining wall |
CN105113510A (en) * | 2015-08-24 | 2015-12-02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Inner supporting beam structure for foundation pit soil outlet opening in reverse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
KR20160110699A (en) * | 2015-03-11 | 2016-09-22 | (주)대우건설 | Structure for connecting earth retaining wall |
CN107119696A (en) * | 2017-06-27 | 2017-09-01 | 中国水利水电第八工程局有限公司 | The deep foundation ditch concrete supporting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a kind of default hole for hoist |
CN114277850A (en) * | 2021-12-28 | 2022-04-05 | 恒富建设集团有限公司 | Basement roof settlement post-cast strip construction method |
-
2007
- 2007-05-14 KR KR1020070046813A patent/KR2008010074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8918B1 (en) * | 2009-05-18 | 2010-01-27 |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frame by channel |
WO2010134731A2 (en) * | 2009-05-18 | 2010-11-25 |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a branch-type steel frame with channels for the continuous construction of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
WO2010134731A3 (en) * | 2009-05-18 | 2011-01-27 |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a branch-type steel frame with channels for the continuous construction of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
KR101034853B1 (en) * | 2010-06-22 | 2011-05-17 |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by whole support of retaining wall and form corresponding to uneven surface for using in the same |
KR200470708Y1 (en) * | 2012-08-09 | 2014-01-07 |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A steel frame having water stop for transferring earth pressure on retaining wall |
KR20160110699A (en) * | 2015-03-11 | 2016-09-22 | (주)대우건설 | Structure for connecting earth retaining wall |
CN105113510A (en) * | 2015-08-24 | 2015-12-02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Inner supporting beam structure for foundation pit soil outlet opening in reverse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
CN107119696A (en) * | 2017-06-27 | 2017-09-01 | 中国水利水电第八工程局有限公司 | The deep foundation ditch concrete supporting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a kind of default hole for hoist |
CN114277850A (en) * | 2021-12-28 | 2022-04-05 | 恒富建设集团有限公司 | Basement roof settlement post-cast strip construction method |
CN114277850B (en) * | 2021-12-28 | 2023-07-28 | 恒富建设集团有限公司 |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roof settlement post-pouring z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23219B2 (en) | Precast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90094971A (en) | Under ground top-down method | |
KR20080100740A (en) | Strut system of temporary plate with opening supporting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subgrade external wall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 |
KR100775767B1 (en) | Top-down method using the vertical steel bar for the src column | |
KR101107567B1 (en) | For top down methode of rc structure, the connecting devices between beam structure and vertical steel material, the supporting structures of exclusive us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se devices | |
KR102286225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busing PC integrating method without support | |
KR101051978B1 (en) | Basement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C member | |
KR100605514B1 (en) | Bracket support type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230986B1 (en) | Constructing method for underground external wall using form with concrete placing inlet and vibrator inlet for preventing concrete counterflow | |
KR100444838B1 (en) | A fibe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nd a composite underground wall structure using thereof | |
KR101270697B1 (en) | Precast Concrete Blocks and Remodeling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s for Low and Middle-rise Beam-column Buildings by Using that Blocks | |
JP3760304B2 (en) |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 |
KR101415867B1 (en) | Precast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downward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 |
KR20100007721A (en) | Reinforcement | |
KR20100043161A (en) | Pillar construction method by layer-built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adapting the same | |
KR20080103260A (en) |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separate concrete pours and strut system method utilizing the same | |
KR200370135Y1 (en) | Forms for edge girder construction | |
KR100722198B1 (en) | Strut system of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subgrade external wall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 |
KR20080059951A (en) | Underground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connecting member strengthening shearing force therefor | |
KR200428941Y1 (en) | Strut system of temporary retaining wall | |
KR100626326B1 (en) | concrete structure | |
KR100673475B1 (en) | A pc girder member for frame of underground layer and assembling structure of frame of underground by using of it and the method therof | |
KR20060023915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s and walls using erection piles without preliminary wall-attached supports | |
JP2006002428A (en) | Reinforcing method of existing floor and base isolation method of existing building | |
JP4511080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