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564A -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564A
KR20180124564A KR1020170059316A KR20170059316A KR20180124564A KR 20180124564 A KR20180124564 A KR 20180124564A KR 1020170059316 A KR1020170059316 A KR 1020170059316A KR 20170059316 A KR20170059316 A KR 20170059316A KR 20180124564 A KR20180124564 A KR 20180124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sound
input
output
user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수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4564A/ko
Priority to PCT/KR2018/004498 priority patent/WO2018208026A1/ko
Priority to JP2018091853A priority patent/JP6567727B2/ja
Publication of KR20180124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564A/ko
Priority to US16/678,419 priority patent/US1087261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G10L2025/783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based on threshold deci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2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power inform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G10L25/87Detection of discrete points within a voic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출력하기 위한 소리의 출력 음량을 상기 측정된 입력 음량에 따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USER COMMAND ACCODING TO CONTROL VOLUME OF OUTPUT SOUND BASED ON VOLUME OF INPUT VOICE}
아래의 설명은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공지능 스피커와 같이 음성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음성 입력에 따라 답변 음성을 합성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9797호는 홈 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방법에 관한 기술로,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이동통신망 외에 와이파이와 같은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홈내 복수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자가 별도의 버튼 조작 없이도 음성 명령을 통해 다중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에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음량으로 소리가 출력되기 때문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음량의 크기가 너무 큰 경우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주변인이 큰 소리에 놀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음량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답변 음성이나 컨텐츠의 오디오를 제대로 듣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 음량으로 출력되는 소리를 들은 후에야 출력된 소리의 음량을 기준으로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명령과 동시에 출력되는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 및/또는 출력되는 소리에 대해 요구되는 출력 정확도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소리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다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키워드의 발화 시간에 따라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음성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한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주변 소음을 더 활용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미리 설정된 시간에 활성화시킬 수 있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출력하기 위한 소리의 출력 음량을 상기 측정된 입력 음량에 따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와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을 측정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출력하기 위한 소리의 출력 음량을 상기 측정된 입력 음량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명령과 동시에 출력되는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 및/또는 출력되는 소리에 대해 요구되는 출력 정확도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소리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다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키워드의 발화 시간에 따라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음성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한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주변 소음을 더 활용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미리 설정된 시간에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한 입력 음량에 따라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력될 소리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워드의 발화 시간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변 소음에 대한 소음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은 음성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입력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는 이러한 음성 입력을 직접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커넥트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플랫폼을 통해 인식 및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는 출력하기 위한 소리, 일례로 입력 음성에 대한 답변 음성 및/또는 입력 음성에 응답하여 제공될 컨텐츠의 오디오(이하, '오디오 컨텐츠')의 출력 음량을 입력 음성의 입력 음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은 상술한 전자 기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전자 기기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홈(smart home)이나 홈 네트워크 서비스와 같이 댁내의 기기들을 연결하여 제어하는 기술에서, 음성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100)가 사용자(110)의 발화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 입력 "불 꺼줘"를 인식 및 분석하여 댁내에서 전자 기기(100)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계된 댁내 조명기기(120)의 라이트 전원을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댁내의 기기들은 상술한 댁내 조명기기(120) 외에도 텔레비전, PC(Personal Computer), 주변기기, 에어컨, 냉장고, 로봇 청소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을 비롯하여, 수도, 전기, 냉난방 기기 등과 같은 에너지 소비장치, 도어록, 감시카메라 등과 같은 보안기기 등 온라인 상에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네트워크는 이더넷(Ethernet), HomePNA, IEEE 1394와 같은 유선 네트워크 기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Wireless 1394, Home RF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댁내의 기기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댁내에 구비된 인공지능 스피커나 로봇 청소기 등과 같은 기기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은 사용자(110)의 모바일 기기일 수도 있다. 이처럼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댁내의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댁내의 기기들과 연결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음성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100)가 사용자(110)의 발화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 입력 "오늘 날씨"를 인식 및 분석하여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210)로부터 오늘의 날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도 전자 기기(100)는 댁내의 기기들 중 하나이거나 사용자(110)의 모바일 기기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기능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210)에 접속하여 외부 서버(21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사용자(110)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음성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110)의 발화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 입력을 적어도 포함하는 사용자 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직접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 및 분석하여 음성 입력에 알맞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처리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한 인식이나 인식된 음성 입력의 분석, 사용자에게 제공될 음성의 합성 등의 처리를 전자 기기(100)와 연계된 외부의 플랫폼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전자 기기들(310)과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 및 컨텐츠·서비스(330)를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들(310)은 댁내에 구비되는 기기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적어도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들(310)이나 전자 기기들(31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이하, 앱들)은 인터페이스 커넥트(340)를 통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과 연계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커넥트(340)는 전자 기기들(310)이나 전자 기기들(31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앱들의 개발을 위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및/또는 개발 문서들을 개발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커넥트(340)는 전자 기기들(310)이나 전자 기기들(31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앱들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이 제공하는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개발자들은 인터페이스 커넥트(340)가 제공하는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및/또는 개발 문서를 이용하여 개발한 기기나 앱은 인터페이스 커넥트(340)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이 제공하는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음성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고, 출력될 음성을 합성하기 위한 음성처리모듈(321), 수신된 영상이나 동영상을 분석하여 처리하기 위한 비전처리모듈(322), 수신된 음성에 따라 알맞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적절한 대화를 결정하기 위한 대화처리모듈(323), 수신된 음성에 알맞은 기능을 추천하기 위한 추천모듈(324), 인공지능이 데이터 학습을 통해 문장 단위로 언어를 번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공신경망 기반 기계 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 325) 등과 같이 음성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을 인터페이스 커넥트(340)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수신된 음성 입력을 상술한 모듈들(321 내지 325)을 활용하여 인식 및 분석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성 입력에 따라 적절한 답변 음성을 합성하여 제공하거나, 적절한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확장 키트(350)는 제3자 콘텐츠 개발자 또는 회사들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에 기반하여 새로운 음성기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개발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00)는 수신된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을 외부 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고, 외부 서버(210)는 확장 키트(350)를 통해 제공되는 API를 통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음성 입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수신되는 음성 입력을 인식, 분석하여 적절한 답변 음성을 합성하여 제공하거나 음성 입력을 통해 처리되어야 할 기능에 대한 추천정보를 외부 서버(2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서, 외부 서버(210)는 음성 입력 "오늘 날씨"를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전송할 수 있고,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부터 음성 입력 "오늘 날씨"의 인식을 통해 추출되는 키워드 "오늘" 및 "날씨"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210)는 키워드 "오늘" 및 "날씨"를 통해 "오늘의 날씨는 …"와 같은 텍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다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생성된 텍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는 텍스트 정보를 음성으로 합성하여 외부 서버(210)로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서버(210)는 합성된 음성을 전자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100)는 합성된 음성 "오늘의 날씨는 …"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110)로부터 수신한 음성 입력 "오늘 날씨"가 처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의 전자 기기(410)는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100)에 대응할 수 있고, 서버(420)는 앞서 설명한 외부 서버(210)나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을 구현하는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전자 기기(410)과 서버(420)는 메모리(411, 421), 프로세서(412, 422), 통신 모듈(413, 4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414, 4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11, 4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411, 42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전자 기기(410)나 서버(4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411, 4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410)에 설치되어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41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411, 4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413, 423)을 통해 메모리(411, 4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43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410)의 메모리(41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412, 4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411, 421) 또는 통신 모듈(413, 423)에 의해 프로세서(412, 4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2, 422)는 메모리(411, 4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413, 423)은 네트워크(430)를 통해 전자 기기(410)과 서버(42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410) 및/또는 서버(420)가 다른 전자 기기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410)의 프로세서(412)가 메모리(4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430)를 통해 서버(42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420)의 프로세서(4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430)를 거쳐 전자 기기(4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4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42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은 프로세서(412)나 메모리(4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4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14)는 입출력 장치(4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4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415)는 전자 기기(41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42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24)는 서버(420)와 연결되거나 서버(42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410) 및 서버(420)는 도 4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또는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4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4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4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입출력 장치(415)로서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답변 음성이나 오디오 컨텐츠와 같은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입출력 장치(415)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따라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음량은 입력 음량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기기(410)를 호출하는 목소리가 클수록,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역으로, 사용자가 전자 기기(410)를 호출하는 목소리가 작을수록,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은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과 동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작은 목소리나 속삭이는 목소리로 전자 기기(410)를 호출하면, 전자 기기(410) 역시 작은 음성이나 속삭이는 음성으로 사용자의 호출에 응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음량을 글자의 크기로서 표현한 예로서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따라 전자 기기(41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출력 음량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서는 도 6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음량(글자의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더 큰 음량을 표현하고 있음)의 음성에 따라 전자 기기(410)에서 상대적으로 큰 음량의 소리가 출력되는 예를, 도 6에서는 도 5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음량(글자의 크기가 더 작은 것으로 더 작은 음량을 표현하고 있음)의 음성에 따라 전자 기기(410)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음량의 소리가 출력되는 예를 비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410)과 같은 컴퓨터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410)는 도 7의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710 내지 730)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412)는 메모리(4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412)는 전자 기기(41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 기기(410)가 도 7의 단계들(710 내지 730)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41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710)에서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전자 기기(410)가 포함하는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에 따른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전자 기기(410)는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음량의 측정은 음의 크기를 수치화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20)는 수신된 음성 입력으로부터 음에 관련된 오디오 주파 전류를 측정하여 얻어지는 VU 단위의 값으로서, 입력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전자 기기(410)는 수신된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출력하기 위한 소리의 출력 음량을 측정된 입력 음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측정된 입력 음량에 비례하도록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출력하기 위한 소리는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답변 음성 및/또는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출력 음량을 알지 못하더라도 사용자 자신이 사용자 명령을 위해 발화하는 음성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출력 음량을 직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기기(410)는 단계(720)에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이 포함하는 모든 음성에 대한 입력 음량을 측정하지 않고, 음성 입력이 포함하는 키워드 중 전자 기기(410)를 웨이크업(wake-up) 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한 입력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한 입력 음량에 따라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에서도 입력 음량과 출력 음량을 말풍선에 포함된 글자의 크기로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 기기(410)는 평상시에는 슬립 상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전자 기기(410)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에 웨이크업 상태로 모드가 변경되면서, 해당 키워드와 함께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사용자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스피커"를 미리 설정된 키워드로서 활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키워드 "스피커"에 대해 측정되는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서는 미리 설정된 키워드 "스피커"가 실제 사용자의 명령 "오늘 날씨"보다 상대적으로 큰 음량을 갖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에서 출력되는 소리 "오늘의 날씨는 …"의 출력 음량이 "스피커"에 해당하는 입력 음량에 따라 조절되어 실제 사용자의 명령 "오늘 날씨"에 대한 입력 음량보다 상대적으로 큰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역으로 도 9에서는 미리 설정된 키워드 "스피커"가 실제 사용자의 명령 "오늘 날씨"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음량을 갖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에서 출력되는 소리 "오늘의 날씨는 …"에 대한 출력 음량이 실제 사용자의 명령 "오늘 날씨"에 대한 입력 음량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 입력 전체가 아닌 특정 키워드와 같은 일부분에 대한 입력 음량을 통해서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력될 소리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의 단계들(1010 및 1020)은 도 7의 단계(7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1010)에서 전자 기기(410)는 측정된 입력 음량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또는 측정된 입력 음량이 제1 임계값 이하이고 소리에 대해 요구되는 출력 정확도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소리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전자 기기(410)와 연계된 다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입력 음량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측정된 입력 음량에 따라 조절된 출력 음량의 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할 가능성이 발생한다. 또한, 출력될 소리가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중요한 정보인 경우와 같이, 높은 출력 정확도가 요구되는 상황이 존재한다. 따라서, 전자 기기(410)는 측정된 입력 음량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나 또는 측정된 입력 음량이 제1 임계값 이하이면서 출력될 소리에 대해 요구되는 출력 정확도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출력될 소리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른 기기의 도움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기기(410)는 상술한 특정 조건에 따라 소리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전자 기기(410)가 아닌 전자 기기(410)와 연계된 다른 기기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020)에서 전자 기기(410)는 생성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제어 정보는 전자 기기(410)에서 직접 다른 기기로 전달되거나 도 2를 통해 설명한 외부 서버(210)를 통해 다른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 정보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달될 수 있고, 제어 정보에 따라 스마트폰이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정보의 전송은 두 기기간에 직접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들 또는 서버의 중계를 통해 두 기기간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들과 같이 이미 잘 알려진 방법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기기(410)는 특정 키워드의 발화 시간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입력이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키워드의 발화 시간에 비례하도록 소리의 출력 음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워드의 발화 시간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음성 입력 "볼륨 높여"에서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키워드 "높여"의 발화 시간에 기반하여 출력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키워드 "높여"를 1초에 걸쳐서 발화하는 것과 키워드 "높여"를 3초에 걸쳐서 발화하는 것과 같이 특정 키워드의 발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음량은 발화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변화폭이 커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키워드 "높여"를 1초에 걸쳐서 발화하는 것보다 3초에 걸쳐서 발화하는 경우 출력 음량의 증가폭이 더 커질 수 있다. 역으로, 출력의 음량의 감소폭 역시 "소리 줄여"나 "볼륨 작게" 등과 같은 음성 입력의 키워드에 대한 발화 시간에 기반하여 더 커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기기(410)는 주변 소음에 대한 소음 음량을 추가적인 파라미터로 활용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변 소음에 대한 소음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의 단계들(1210 및 1220)은 도 7의 단계(720) 이후에, 그리고 단계(730) 대신 수행될 수 있다.
단계(1210)에서 전자 기기(410)는 음성 입력이 포함하는 주변 소음에 대한 소음 음량 또는 소리를 출력하고자 하는 시점의 주변 소음에 대한 소음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1220)에서 전자 기기(410)는 수신된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출력하기 위한 소리의 출력 음량을 측정된 입력 음량 및 측정된 소음 음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측정된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되, 주변 소음에 대한 소음 음량에 따라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추가로 더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발화 시의 소음 음량이나 소리를 출력하는 시점의 소음 음량의 크기가 커질수록 조절된 출력 음량이 더 커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기기(410)는 소리의 출력 음량을 측정된 입력 음량에 따라 조절하는 기능이 특정 시간대에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7의 단계들은 현재 시각이 전자 기기(410)에 설정된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밤중이나 새벽과 같이 소리의 출력 음량이 민감한 시간대에 출력 음량의 조절을 위한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명령과 동시에 출력되는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 및/또는 출력되는 소리에 대해 요구되는 출력 정확도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소리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다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키워드의 발화 시간에 따라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음성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한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소음을 더 활용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고, 입력 음량에 따라 출력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미리 설정된 시간에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출력하기 위한 소리의 출력 음량을 상기 측정된 입력 음량에 따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입력 음량에 비례하도록 상기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입력 음량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측정된 입력 음량이 상기 제1 임계값 이하이고 상기 소리에 대해 요구되는 출력 정확도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소리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상기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전자 기기와 연계된 다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이 상기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키워드의 발화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발화 시간에 비례하도록 상기 소리의 출력 음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는, 상기 음성 입력에 응답하여 출력하기 위한 답변 음성 및 오디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입력이 포함하는 키워드 중 상기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전자 기기를 웨이크업(wake-up) 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한 입력 음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이 포함하는 주변 소음에 대한 소음 음량 또는 상기 소리를 출력하고자 하는 시점의 주변 소음에 대한 소음 음량을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소음 음량을 더 이용하여 상기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시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현재 시각이 상기 설정된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소리의 출력 음량을 상기 측정된 입력 음량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10.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을 측정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출력하기 위한 소리의 출력 음량을 상기 측정된 입력 음량에 따라 조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입력 음량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측정된 입력 음량이 상기 제1 임계값 이하이고 상기 소리에 대해 요구되는 출력 정확도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소리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상기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전자 기기와 연계된 다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입력이 상기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키워드의 발화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음성 입력이 포함하는 키워드 중 상기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전자 기기를 웨이크업(wake-up) 시키기 위해 기설정된 키워드의 입력 음량을 측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입력이 포함하는 주변 소음에 대한 소음 음량 또는 상기 소리를 출력하고자 하는 시점의 주변 소음에 대한 소음 음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소음 음량을 더 이용하여 상기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시간 정보를 설정하고,
    현재 시각이 상기 설정된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소리의 출력 음량을 상기 측정된 입력 음량에 따라 조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시스템.
KR1020170059316A 2017-05-12 2017-05-12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24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316A KR20180124564A (ko) 2017-05-12 2017-05-12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8/004498 WO2018208026A1 (ko) 2017-05-12 2018-04-18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8091853A JP6567727B2 (ja) 2017-05-12 2018-05-11 受信した音声入力の入力音量に基づいて出力される音の出力音量を調節するユーザ命令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6/678,419 US10872617B2 (en) 2017-05-12 2019-11-08 User command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output volume of sound to be output, on basis of input volume of received voice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316A KR20180124564A (ko) 2017-05-12 2017-05-12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64A true KR20180124564A (ko) 2018-11-21

Family

ID=6410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316A KR20180124564A (ko) 2017-05-12 2017-05-12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72617B2 (ko)
JP (1) JP6567727B2 (ko)
KR (1) KR20180124564A (ko)
WO (1) WO2018208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1375A (ja) * 2019-01-30 2020-08-13 株式会社Preferred Networks 制御装置、制御対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085225B (zh) * 2019-04-24 2024-01-02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语音交互方法、装置、智能机器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685083B (zh) * 2019-10-17 2024-07-16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测量唤醒率的方法和系统
CN111104090B (zh) * 2019-12-31 2023-05-05 云知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音量调整方法及装置
CN111736798A (zh) * 2020-05-25 2020-10-02 北京小米松果电子有限公司 音量调节方法、音量调节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269667B2 (en) * 2020-07-16 2022-03-08 Lenovo (Singapore) Pte. Ltd. Techniques to switch between different types of virtual assistance based on threshold being met
CN112201232A (zh) * 2020-08-28 2021-01-08 星络智能科技有限公司 语音输出控制方法、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2105372A (ja) * 2021-01-04 2022-07-1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音声応答装置、音声応答方法および音声応答プログラム
US11749287B2 (en) * 2021-04-09 2023-09-05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finder using voice authentication
CN113223519B (zh) * 2021-04-23 2024-06-04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远场音量控制方法、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CN114089945A (zh) * 2021-10-29 2022-02-25 歌尔科技有限公司 音量实时调整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695642A (zh) * 2022-09-26 2023-02-03 展讯通信(天津)有限公司 通话音量调节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700U (ko) * 1988-09-27 1990-03-30
KR19980041437A (ko) * 1996-11-30 1998-08-17 유기범 소음레벨에 따른 수신음량 자동조정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JP3744161B2 (ja) * 1997-03-28 2006-0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音声指示装置および音声指示情報記憶媒体
JP2002350167A (ja) * 2001-05-29 2002-12-04 Denso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40096330A (ko) * 2003-05-09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으로 방송수신기의 음량을 조절하는 방법
JP2006054613A (ja) * 2004-08-10 2006-02-23 Nec Access Technica Ltd Tv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におけるtv駆動方法
JP4953767B2 (ja) * 2006-11-02 2012-06-1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音声生成装置
JP5222543B2 (ja) * 2007-12-10 2013-06-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ジョン装置
KR101387928B1 (ko) 2010-06-24 2014-04-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홈 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방법
US8594281B2 (en) * 2012-01-10 2013-11-2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ynamic menu framework
JP5983077B2 (ja) * 2012-06-15 2016-08-31 ソニー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および再生装置
JP5404860B2 (ja) * 2012-07-10 2014-02-0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端末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40072927A (ko) * 2012-11-15 201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5996603B2 (ja) * 2013-10-31 2016-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ーバ、発話制御方法、発話装置、発話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9830924B1 (en) * 2013-12-04 2017-11-28 Amazon Technologies, Inc. Matching output volume to a command volume
KR20180071029A (ko) * 2016-12-19 2018-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75036A1 (en) 2020-03-05
JP6567727B2 (ja) 2019-08-28
JP2018194832A (ja) 2018-12-06
WO2018208026A1 (ko) 2018-11-15
US10872617B2 (en)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4564A (ko) 수신된 음성 입력의 입력 음량에 기반하여 출력될 소리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949497B1 (ko) 사용자 발화의 표현법을 파악하여 기기의 동작이나 컨텐츠 제공 범위를 조정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6731894B2 (ja) デバイス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JP6752870B2 (ja) 複数のウェイクワードを利用して人工知能機器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924852B1 (ko) 네트워크에 연결된 음향기기와의 멀티모달 인터렉션 방법 및 시스템
KR102209092B1 (ko)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8042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US11514890B2 (en) Method for user voice input processing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CN111640429B (zh) 提供语音识别服务的方法和用于该方法的电子装置
US1174927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based on vo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90068133A (ko)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음소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79791A (ko)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U2019201441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voice input
KR20190021012A (ko)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
KR101975423B1 (ko)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02073A (ko) 기계의 자동 활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12927B1 (ko) 인공지능 기기의 자동 불량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61091A (ko) 인텔리전트 어시스턴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55844B1 (ko)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18666A (ko) 기계의 자동 활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239223B1 (ko) 기계의 자동 활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29729A (ko) 네트워크에 연결된 음향기기와의 멀티모달 인터렉션 방법 및 시스템
KR102241792B1 (ko)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
KR102152334B1 (ko) 음원 필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0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108

Effective date: 2020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