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547A -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 Google Patents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547A
KR20180124547A KR1020170059290A KR20170059290A KR20180124547A KR 20180124547 A KR20180124547 A KR 20180124547A KR 1020170059290 A KR1020170059290 A KR 1020170059290A KR 20170059290 A KR20170059290 A KR 20170059290A KR 20180124547 A KR20180124547 A KR 20180124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adle
crusher
fixtur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0936B1 (ko
Inventor
최지환
권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5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93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transporting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1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devices for cleaning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걸릴 수 있고, 상기 이동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걸림부; 상기 이동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림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거부;를 포함하고, 용기에 고착된 고착물을 용이하게 파쇄하면서 용기를 운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Transporting Apparatus and Transporting Method}
본 발명은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사하게는 용기에 고착된 고착물을 용이하게 파쇄하면서 용기를 운반할 수 있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래들은 제강공정에서 취련이 완료된 용강을 턴디쉬로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강로에서 용융된 용강은 래들에 수강되고, 용강이 담긴 래들은 크레인에 의해 턴디쉬로 운반되어 턴디쉬에 용강을 주입할 수 있다. 주조작업은 래들에서 턴디쉬로 용강을 주입하면서 시작된다. 작업자는 래들 내 용강의 상부에 떠있는 슬래그가 턴디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턴디쉬 내부의 탕면 상태를 보고 래들의 노즐을 폐쇄하여 주입을 종료한다.
주입을 끝낸 래들 내부에는 슬래그와 주입되지 않은 잔류용강(또는, 잔탕)이 남게 된다. 래들 내에 남은 잔탕은 별도의 포트로 배출되어 배재된다. 이러한 배재 작업과정에서 래들의 개구부에 슬래그와 잔탕이 고착되면서, 래들의 개구부가 지금으로 덮이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종래에는 크레인으로 래들은 바닥에 내리고, 래들과 크레인을 분리한 후, 크레인의 후크로 래들에 고착된 지금을 타격하여 제거하였다. 그러나 래들 개구부 둘레를 따라 후크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일일이 지금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KR 10-0621929 B KR 2004-0087752 A KR 2002-0084950 A
본 발명은 용기를 지지하거나 운반하면서 용기의 개구부에 고착된 고착물을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에 고착된 고착물을 용기에서 신속하게 분리시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걸릴 수 있고, 상기 이동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걸림부; 상기 이동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림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주권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용기를 경동시킬 수 있는 보권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를 경동시킬 때는 상기 보권후크가 상기 용기에 걸릴 수 있고, 상기 제거부를 상하로 이동시킬 때는 상기 보권후크가 상기 제거부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거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빔 부재;
상기 빔 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후크; 및 하부가 상기 빔 부재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거부는, 상기 제2 걸림부가 걸릴 수 있고, 상기 빔 부재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연결기; 고착물을 파쇄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파쇄기; 및 상기 연결기의 이동력을 상기 파쇄기에 전달하도록 상기 연결기와 상기 파쇄기 사이에 배치되는 동력전달기;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연결기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파쇄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빔 부재 내부에 설치되는 제1 톱니부재; 상부가 상기 제1 톱니부재에 감겨있고, 하부가 상기 파쇄기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빔 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톱니부재와 이격되는 제2 톱니부재; 하부가 상기 제2 톱니부재에 감겨있고, 상부가 상기 연결기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톱니부재와 상기 제2 톱니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톱니부재 및 상기 제2 톱니부재와 맞물리게 배치되는 제3 톱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상기 제1 톱니부재에 감길 수 있도록 상기 제1 톱니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1 보조 구동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2 톱니부재에 감길 수 있도록 상기 제2 톱니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보조 구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파쇄기는, 상기 동력전달기와 연결되는 몸체부재; 상기 용기의 개구부 내측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파쇄부재; 및 일단이 상기 몸체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파쇄부재에 연결되는 지지암;를 포함한다.
상기 제거부는,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파쇄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방법으로서, 파쇄기를 구비하는 운반장치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운반장치로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과정; 상기 용기에 고착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용기에 고착물이 발견되면, 상기 운반장치로 상기 용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쇄기로 고착물을 파쇄하고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운반장치로 상기 용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쇄기로 고착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를 정지시킨 상태 또는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파쇄기로 고착물을 파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용강을 수용하는 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착물은 지금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에 고착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래들 내부의 용강을 턴디쉬에 주입한 후 래들의 개구부에 지금이 고착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용강이 배재될 수 있는 배재포트로 래들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용강이 수용된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장치에 파쇄기가 구비된다. 운반장치로 용기를 운반하거나 지지하면서 용기에 고착된 고착물을 파쇄기로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다. 이에, 고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용기를 별도의 장소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고착물을 용기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고착물 제거장치를 용기로 이동시켜 제거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고착물을 파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착물을 신속하게 파쇄하여 고착물을 제거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에서 제2 걸림부가 제거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에서 제2 걸림부가 용기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거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톱니부재와 파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톱니부재와 연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에서 제2 걸림부가 제거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에서 제2 걸림부가 용기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래들을 운반하는 천장 크레인을 예를 들어 서술되지만,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장치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용강을 수용하는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장치(100)로서, 적어도 일부분이 용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이동부(110),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걸릴 수 있고, 이동부(1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걸림부(120), 이동부(1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걸림부(130), 및 제1 걸림부(120)에 설치되고, 제2 걸림부(130)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거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용기는 래들(50)일 수 있고, 고착물은 용강과 용강의 상부로 부상한 슬래그 등이 고착되어 형성되는 지금일 수 있고, 운반장치(100)는 천장 크레인일 수 있다. 주조작업이 종료된 후 래들(50) 내에 남은 잔탕은 별도의 포트로 배출되어 배재된다. 이러한 배재 작업과정에서 래들(50)의 개구부에 슬래그와 잔탕이 고착되면서, 래들(50)의 개구부가 지금으로 덮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운반장치(100)로 래들(50)을 운반하거나 지지하면서 래들(50)에 고착된 지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동부(110)는 작업장의 천장에 설치되어 제1 걸림부(120)에 걸린 래들(50)을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동부(110)는,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111), 프레임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제1 레일(112), 주행휠을 구비하여 제1 레일(112)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113), 이동부재(113)의 설치되는 제2 레일(114)과 제3 레일(115), 제2 레일(114) 상에서 이동부재(11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트롤리(116), 제3 레일(115) 상에서 이동부재(11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트롤리(117), 제1 트롤리(116)에 설치되어 제1 걸림부(120)와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드럼(118), 및 제2 트롤리(117)에 설치되어 제2 걸림부(130)와 연결되는 제2 와이어 드럼(119)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부(11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걸림부(120)는 래들(5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걸림부(120)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빔 부재(121), 하부가 빔 부재(121)에 연결되고, 상부가 이동부(110)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재(123), 및 빔 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주권후크(122)를 포함한다.
빔 부재(121)는 내부에 제거부(1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부재(121)는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빔 부재(121)의 상부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3)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즉, 빔 부재(121)의 상부에는 제1 지지부재(123)가 감겨질 수 있는 지지바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1 지지부재(123)에 의해 빔 부재(121)가 지지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빔 부재(121)의 하부에 연결된 주권후크(122)도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빔 부재(12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주권후크(122)는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빔 부재(12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주권후크(122)는 한 쌍이 구비되어 래들(50)의 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주권걸이(51)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걸릴 수 있다. 이에, 래들(50)은 주권후크(122)에 걸릴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고, 주권후크(12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거나 이동부(110)에 의해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주권후크(122)를 래들(50)에 건 상태에서 래들(50)은 원하는 위치로 운반할 수 있고, 원하는 위치에 래들(50)이 안착되면 래들(50)에서 주권후크(122)를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주권후크(122)의 구조나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3)는 와이어나 로프일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3)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3)의 일측은 제1 와이어 드럼(118)에 연결되고, 타측은 빔 부재(121)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3)는 제1 와이어 드럼(118)의 양단부에 각각 감길 수 있다. 이에, 제1 와이어 드럼(118)의 회전에 의해 제1 지지부재(123)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빔 부재(12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빔 부재(121)와 연결된 주권후크(122)에 걸린 래들(50)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걸림부(130)는 래들(50)을 경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걸림부(130)는, 보권후크(131), 및 하부가 보권후크(131)에 연결되고, 상부가 이동부(110)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132)를 포함한다. 제2 걸림부(130)는 래들(50) 및 제거부(140)의 연결기(141) 중 어느 하나에만 걸릴 수 있다. 즉, 래들(50)을 경동시킬 때는 제2 걸림부(130)가 래들(50)에 걸리고 제거부(140)의 연결기(141)에 걸리지 않으며, 래들(50)에 고착된 고착물을 제거할 때(또는, 제거부(140)의 파쇄기(142)를 상하로 이동시킬 때)는 제2 걸림부(130)가 래들(50)에 걸리지 않고 제거부(140)의 연결기(141)에 걸릴 수 있다.
보권후크(131)는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권후크(131)는 한 개가 구비되어 래들(50)의 바닥부에 구비되는 보권걸이(52)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래들(50)은 보권후크(131)에 걸릴 상태에서 바닥부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보권후크(131)가 래들(50)의 기울기를 조절하지 않을 때는, 보권후크(131)를 제거부(140)에 걸리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권후크(131)에 이동에 의해 제거부(140)에 구비되는 파쇄기(142)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래들(50)에 고착된 지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보권후크(131)의 구조나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32)는 와이어나 로프일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32)의 일측은 제2 와이어 드럼(119)에 연결되고, 타측은 보권후크(131)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32)는 제2 와이어 드럼(119)의 감길 수 있다. 이에, 제2 와이어 드럼(119)의 회전에 의해 제2 지지부재(132)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보권후크(13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보권후크(131)에 걸린 래들(50)이 경동될 수 있다. 또는, 보권후크(131)가 제거부(140)에 걸리는 경우, 보권후크(131)의 이동에 의해 제거부(140)의 파쇄기(142)가 상하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거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톱니부재와 파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쇄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거부(140)에 대해 상사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거부(140)는 빔 부재(121)에 설치되고, 래들(50)의 개구부에 고착된 고착물인 지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거부(140)는, 제2 걸림부(130)가 걸릴 수 있고, 빔 부재(121)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연결기(141), 고착물을 파쇄하도록 래들(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파쇄기(142), 및 연결기(141)의 이동력을 파쇄기(142)에 전달하도록 연결기(141)와 파쇄기(142) 사이에 배치되는 동력전달기(143)를 포함한다. 또한, 제거부(140)는, 래들(5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파쇄기(142)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커버(1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기(141)는 보권후크(131)가 걸릴 수 있도록 빔 부재의 상부에 위치한다. 연결기(141)는 보권후크(13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기(141)는 보권후크(131)에 걸리거나 보권후크(13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연결기(141)는, 빔 부재(121)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는 받침대, 서로 이격되어 받침대 상에 설치될 수 있는 지지판,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판은 삼각형의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는 원형의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일측 지지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타측 지지판에 연결되어 받침대의 상측에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기(141)의 구조나, 연결기(141)의 구성요소들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보권후크(131)는 연결기(141)의 연결바에 걸릴 수 있고, 보권후크(131)에 의해 연결기(141) 전체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보권후크(13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연결기(141)도 상측으로 이동하여 빔 부재(121)의 상부면과 이격될 수 있고, 보권후크(13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연결기(141)도 하측으로 이동하여 빔 부재(121)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파쇄기(142)는 래들(50)의 상측에서 래들(50)의 개구부로 낙하하여, 래들(50)의 개구부 주위에 고착된 지금을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파쇄기(142)는 주권후크(122)에 걸린 래들(5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파쇄기(142)는, 동력전달기(143)와 연결되는 몸체부재(142a), 래들(50)의 개구부 내측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파쇄부재(142c), 및 일단이 몸체부재(142a)에 연결되고, 타단이 파쇄부재(142c)에 연결되는 지지암(142b)를 포함한다.
몸체부재(142a)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재(142a)의 상부는 동력전달기(143)의 제1 연결부재(143d)와 연결된다. 이에, 동력전달기(143)의 제1 연결부재(143d)가 동력전달기(143)의 제1 톱니부재(143a)의 회전축에 감기면, 몸체부재(142a)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1 연결부재(143d)가 제1 톱니부재(143a)의 회전축에서 풀리면 몸체부재(142a)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파쇄부재(142c)는 래들(50)의 개구부에 형성된 고착물이나 부착물과 직접 충돌하여 고착물이나 부착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파쇄부재(142c)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래들(50)의 개구부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파쇄부재(142c)들이 래들(50)의 개구부 내로 진입할 수 있고, 개구부 주위에 형성된 고착물이나 부착물과 충돌하여 고착물이나 부착물을 파쇄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에 고착된 고착물이 개구부에서 분리되어 래들(50) 내 용강으로 낙하되고 용융되어 제거될 수 있다.
파쇄부재(142c)는 상부가 지지암(142b)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고착물과 접촉하여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소정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와 같이 파쇄부재(142c)는 원판의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의 (b)와 같이 파쇄부재(142c')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파쇄부재(142c')의 고착물과 충돌하는 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고착물을 효과적으로 파쇄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c)와 같이 파쇄부재(142c'')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래들(50)의 개구부의 둘레 형상을 따라 원형의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파쇄부재(142c'')가 래들(50)의 개구부 내부 둘레에 형성된 모든 고착물과 충돌하여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파쇄부재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암(142b)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파쇄부재(142c) 각각 또는 하나를 파쇄부재(142c)를 지지해줄 수 있다. 즉, 지지암(142b)의 일단은 몸체부재(142a)에 연결되고, 타단은 파쇄부재(142c)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암(142b)은 일단의 위치가 타단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파쇄부재(142c)가 몸체부재(142a)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파쇄기(142)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파쇄부재(142c)가 몸체부재(142a)보다 먼저 래들(50)의 개구부로 진입할 수 있고, 래들(50)에 고착된 고착물과 먼저 충돌할 수 있다. 몸체부재(142a)가 고착물과 바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몸체부재(142a)의 파손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암(142b)에 파쇄부재(142c)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파쇄부재(142c)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 파손된 파쇄부재(142c)만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따라서, 파쇄기(142)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그러나 지지암(142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톱니부재와 연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동력전달기(143)의 적어도 일부분은 빔 부재(12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기(143)는 일측이 연결기(141)와 연결되고 타측이 파쇄기(142)에 연결되어 보권후크(131)가 상하로 이동하는 힘을 파쇄기(14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동력전달기(143)는 제2 걸림부(130)의 보권후크(131) 또는 연결기(141)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파쇄기(14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보권후크(13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파쇄기(142)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보권후크(13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파쇄기(142)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결기(141)는 파쇄기(142)보다 하중이 무거울 수 있다. 따라서, 보권후크(131)가 연결기(141)가 연결되지 않을 때, 연결기(141)는 빔 부재(121)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파쇄기(142)는 연결기(141)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가지 않으면서 래들(5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연결기(141)가 빔 부재(121)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힘이 파쇄기(142)가 하측으로 이동하려는 힘보다 크기 때문에, 동력전달기(143)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파쇄기(142)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이에, 보권후크(131)로 연결기(14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전까지 파쇄기(142)는 래들(50)의 상측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권후크(131)로 연결기(141)를 상측으로 이동시켰다가 연결기(141)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때 연결기(141)가 파쇄기(142)보다 무겁기 때문에, 연결기(141)가 하측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파쇄기(142)는 안정적으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동력전달기(143)는, 빔 부재 내부에 설치되는 제1 톱니부재(143a), 상부가 제1 톱니부재(143a)에 감겨있고, 하부가 파쇄기(142)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143d), 빔 부재(121) 내부에 설치되고, 제1 톱니부재(143a)와 이격되는 제2 톱니부재(143b), 하부가 제2 톱니부재(143b)에 감겨있고, 상부가 연결기(141)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143e), 및 제1 톱니부재(143a)와 제2 톱니부재(143b) 사이에서 제1 톱니부재(143a) 및 제2 톱니부재(143b)와 맞물리게 배치되는 제3 톱니부재(143c)를 포함한다.
또한, 동력전달기(143)는, 제1 연결부재(143d)가 제1 톱니부재(143a)에 감길 수 있도록 제1 톱니부재(143a)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1 보조 구동부재(143f), 및 제2 연결부재(143e)가 제2 톱니부재(143b)에 감길 수 있도록 제2 톱니부재(143b)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보조 구동부재(143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톱니부재(143a)는 빔 부재(12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톱니부재(143a)는 파쇄기(142)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1 톱니부재(143a)는, 톱니바퀴 모양으로 형성되는 본체, 및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제1 톱니부재(143a)의 회전축에는 제1 연결부재(143d)가 연결될 수 있고, 제1 톱니부재(143a)의 본체가 회전하면 회전축도 회전하여 제1 연결부재(143d)가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43d)는 로프나 와이어일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43d)는 일측이 제1 톱니부재(143a)의 회전축에 감겨있고, 타측이 파쇄기(142)의 상부와 연결된다. 이에, 파쇄기(142)는 제1 연결부재(143d)에 의해 래들(50)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43d)가 제1 톱니부재(143a)의 회전축에 감기면 파쇄기(142)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래들(50)과 이격될 수 있고, 제1 연결부재(143d)가 제1 톱니부재(143a)에서 풀리면 파쇄기(142)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래들(50)의 개구부를 향하여 낙하할 수 있다.
제2 톱니부재(143b)는 빔 부재(12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톱니부재(143b)는 연결기(141)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2 톱니부재(143b)는 제1 톱니부재(143a)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톱니부재(143b)는, 톱니바퀴 모양으로 형성되는 본체, 및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제1 톱니부재(143a)의 회전축에는 제2 연결부재(143e)가 연결될 수 있고, 제2 톱니부재(143b)의 본체가 회전하면 회전축도 회전하여 제2 연결부재(143e)가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43e)는 로프나 와이어일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43e)는 일측이 제2 톱니부재(143b)의 회전축에 감겨있고, 타측이 연결기(141)의 하부와 연결된다. 연결기(14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2 연결부재(143e)가 제2 톱니부재(143b)의 회전축에서 풀리면서 제2 톱니부재(143b)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연결기(14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2 연결부재(143e)가 제2 톱니부재(143b)에서 감기면서 제2 톱니부재(143b)가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 톱니부재(143c)는 톱니바퀴 모양으로 형성되고, 빔 부재(12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톱니부재(143c)는 제1 톱니부재(143a)와 제2 톱니부재(143b) 사이에 위치한다. 제3 톱니부재(143c)의 일측은 제1 톱니부재(143a)와 맞물리고, 제3 톱니부재(143c)의 타측은 제1 톱니부재(143a)와 맞물리게 배치된다.
제3 톱니부재(143c)는 제2 톱니부재(143b)의 회전력을 제1 톱니부재(143a)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2 톱니부재(143b)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 톱니부재(143c)가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톱니부재(143a)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톱니부재(143b)가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 톱니부재(143c)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톱니부재(143a)를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3 톱니부재(143c)는 제2 톱니부재(143b)의 회전방향으로 제1 톱니부재(143a)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부재(143e)가 제2 톱니부재(143b)의 회전축에 감기면서 제2 톱니부재(143b)를 회전시키면, 제1 톱니부재(143a)가 회전하면서 제1 연결부재(143d)가 제1 톱니부재(143a)에 감길 수 있고, 제2 연결부재(143e)가 제2 톱니부재(143b)의 회전축에서 풀리면서 제2 톱니부재(143b)를 회전시키면, 제1 톱니부재(143a)가 회전하면서 제1 연결부재(143d)가 제1 톱니부재(143a)에서 풀릴 수 있다. 이에, 연결기(14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동력전달기(143)에 의해 파쇄기(142)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연결기(14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동력전달기(143)에 의해 파쇄기(142)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보조 구동부재(143f)와 제2 보조 구동부재(143g)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제1 보조 구동부재(143f)와 제2 보조 구동부재(143g)는 빔 부재(12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보조 구동부재(143f)는 제1 톱니부재(143a)와 연결되고, 제2 보조 구동부재(143g)는 제2 톱니부재(143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보조 구동부재(143f)나 제2 보조 구동부재(143g)가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제1 톱니부재(143a)나 제2 톱니부재(143b)가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권후크(131)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2 연결부재(143e)가 제2 톱니부재(143b)의 회전축에서 풀린 후 제2 톱니부재(143b)에 제2 연결부재(143e)를 감을 때, 보권후크(131)를 하측으로 이동시켜도 제2 톱니부재(143b)에 제2 연결부재(143e)가 감기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제2 보조 구동부재(143g)로 제2 톱니부재(143b)를 회전시켜 제2 톱니부재(143b)에 제2 연결부재(143e)를 다시 감을 수 있다.
또는, 파쇄기(14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 연결부재(143d)가 제1 톱니부재(143a)의 회전축에서 풀린 후 제1 톱니부재(143a)에 제1 연결부재(143d)를 감을 때, 제1 보조 구동부재(143f)로 제1 톱니부재(143a)를 회전시켜 제1 톱니부재(143a)에 제1 연결부재(143d)를 다시 감으면서 파쇄기(142)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구동부재(143f)와 제2 보조 구동부재(143g)의 작동을 제어하여, 파쇄기(142)를 더 신속하게 이동시키거나, 파쇄기(142)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에, 파쇄기(142)로 래들(50)에 고착된 지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동력전달기(143)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거부(140)는 커버(149)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커버(149)는 래들(50)의 개구부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래들(50)의 개구부 또는, 래들(50)의 둘레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커버(149)는 래들(5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고, 파쇄부재(142c)에 의해 래들(50) 내 지금이 파쇄될 때, 래들(50) 외부로 파쇄된 지금이 날라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설비가 지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149)는 파쇄기(142)의 상부에 설치되고, 파쇄기(142)와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49)는 파쇄기(142)의 몸체부재(142a)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파쇄기(142)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커버(149)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래들(50)의 개구부를 덮어 폐쇄할 수 있고, 파쇄된 고착물이 래들(50)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파쇄기(142)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는 커버(149)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여 래들(50)의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149)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용강이 수용된 래들(50)을 운반하는 운반장치(100)에 파쇄기(142)가 구비되기 때문에, 운반장치(100)로 래들(50)을 운반하거나 지지하면서 래들(50)의 개구부에 고착된 고착물을 파쇄기(142)로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다. 이에, 고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래들(50)을 별도의 장소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고착물을 파쇄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고착물 제거장치를 용기로 이동시켜 제거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고착물을 파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착물을 신속하게 파쇄하여 고착물을 래들(50)에서 분리시키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방법은,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방법으로서, 파쇄기를 구비하는 운반장치를 마련하는 과정(S100), 운반장치로 용기를 지지하는 과정(S200), 용기에 고착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S300), 용기에 고착물이 발견되면, 운반장치로 용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파쇄기로 고착물을 파쇄하고,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S400)을 포함한다. 이때, 용기는 래들(50)일 수 있고, 고착물은 용강과 용강의 상부로 부상한 슬래그 등이 고착되어 형성되는 지금일 수 있고, 운반장치(100)는 천장 크레인일 수 있다.
주조작업은 래들(50)에서 턴디쉬로 용강을 주입하면서 시작된다. 주조작업이 종료된 후, 주입을 끝낸 래들(50) 내부에는 슬래그와 주입되지 않은 잔탕이 남게 된다. 따라서, 운반장치(100)를 이용하여 래들(50)을 운반하여 잔탕을 배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래들(50)의 개구부에 슬래그와 잔탕이 고착되면서, 래들(50)의 개구부가 지금으로 덮여 배재작업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운반장치(100)로 래들(50)을 지지한 상태 또는 운반하는 상태에서 지금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래들(50)을 운반하면서 지금을 제거하는 공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운반장치(100)로 래들(5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주권후크(122)를 래들(50)의 주권걸이(51)에 걸어 턴디쉬의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그런 다음, 래들(50)의 개구부를 검사하여 지금이 부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운반장치(100)는 래들(50)을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래들(50)의 개구부에 지금이 발견되면, 운반장치(100)로 지금을 제거할 수 있다. 보권후크(131)를 래들(50)에서 분리시키거나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파쇄기(142)가 래들(50)의 상측에서 래들(50)의 개구부를 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 다음, 보권후크(131)를 빔 부재(121) 상부에 안착된 연결기(141)에 걸 수 있다. 보권후크(13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연결기(141)가 상측으로 당겨져 빔 부재(121)의 상측으로 이동하고, 연결기(141)가 연결된 동력전달기(143) 작동하면서 파쇄기(142)를 하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쇄기(142)의 파쇄부재(142c)가 래들(50)의 개구부 또는 개방된 상부 내로 진입할 수 있고, 파쇄부재(142c)가 개구부 둘레에 고착된 고착물과 충돌하여 고착물을 파쇄할 수 있다. 이에, 고착물이 신속하게 효과적으로 래들(50)의 개구부에서 분리되고, 래들(50) 내 용강으로 낙하되어 용융될 수 있다. 고착물이 래들(50)의 개구부에서 분리되었기 때문에, 래들(50) 내 잔탕의 배재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지금을 제거하는 작업은, 운반장치(100)가 래들(50)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운반장치(100)가 래들(50)을 이동시키는 상태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래들(50)이 정지된 상태에서 지금을 제거하면, 파쇄기(142)가 래들(50)의 개구부로 안정적으로 진입하여 지금을 파쇄할 수 있다. 래들(50)을 이동시키면서 지금을 제거하면, 이동작업과 지금 제거작업이 동시에 수행되어 전체적인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 다음, 운반장치(100)는 래들(50)을 용강이나 잔탕이 배재될 수 있는 포트로 이동시킬 수 있다. 래들(50)의 개구부에 지금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래들(50)을 경동시켜 래들(50) 내의 용강이나 잔탕을 포트에 안정적으로 배재할 수 있다.
이처럼, 용강이 수용된 래들(50)을 운반하는 운반장치(100)에 파쇄기(142)가 구비되기 때문에, 운반장치(100)로 래들(50)을 운반하거나 지지하면서 래들(50)의 개구부에 고착된 고착물을 파쇄기(142)로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다. 이에, 고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래들(50)을 별도의 장소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고착물을 파쇄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고착물 제거장치를 용기로 이동시켜 제거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고착물을 파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착물을 신속하게 파쇄하여 고착물을 래들(50)에서 분리시키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운반장치 110: 이동부
120: 제1 걸림부 121: 빔 부재
130: 제2 걸림부 140: 제거부
141: 연결기 142: 파쇄기
143: 동력전달기 149: 커버

Claims (13)

  1.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걸릴 수 있고, 상기 이동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걸림부;
    상기 이동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림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주권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용기를 경동시킬 수 있는 보권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를 경동시킬 때는 상기 보권후크가 상기 용기에 걸릴 수 있고, 상기 제거부를 상하로 이동시킬 때는 상기 보권후크가 상기 제거부에 걸릴 수 있는 운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거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빔 부재;
    상기 빔 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후크; 및
    하부가 상기 빔 부재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제2 걸림부가 걸릴 수 있고, 상기 빔 부재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연결기;
    고착물을 파쇄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파쇄기; 및
    상기 연결기의 이동력을 상기 파쇄기에 전달하도록 상기 연결기와 상기 파쇄기 사이에 배치되는 동력전달기;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연결기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파쇄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운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빔 부재 내부에 설치되는 제1 톱니부재;
    상부가 상기 제1 톱니부재에 감겨있고, 하부가 상기 파쇄기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빔 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톱니부재와 이격되는 제2 톱니부재;
    하부가 상기 제2 톱니부재에 감겨있고, 상부가 상기 연결기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톱니부재와 상기 제2 톱니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톱니부재 및 상기 제2 톱니부재와 맞물리게 배치되는 제3 톱니부재;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상기 제1 톱니부재에 감길 수 있도록 상기 제1 톱니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1 보조 구동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2 톱니부재에 감길 수 있도록 상기 제2 톱니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보조 구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운반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는,
    상기 동력전달기와 연결되는 몸체부재;
    상기 용기의 개구부 내측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파쇄부재; 및
    일단이 상기 몸체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파쇄부재에 연결되는 지지암;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파쇄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운반장치.
  10.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방법으로서,
    파쇄기를 구비하는 운반장치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운반장치로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과정;
    상기 용기에 고착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용기에 고착물이 발견되면, 상기 운반장치로 상기 용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쇄기로 고착물을 파쇄하고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운반장치로 상기 용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쇄기로 고착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를 정지시킨 상태 또는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파쇄기로 고착물을 파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방법.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용강을 수용하는 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착물은 지금을 포함하는 운반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고착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래들 내부의 용강을 턴디쉬에 주입한 후 래들의 개구부에 지금이 고착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용강이 배재될 수 있는 배재포트로 래들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방법.
KR1020170059290A 2017-05-12 2017-05-12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KR101960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90A KR101960936B1 (ko) 2017-05-12 2017-05-12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90A KR101960936B1 (ko) 2017-05-12 2017-05-12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47A true KR20180124547A (ko) 2018-11-21
KR101960936B1 KR101960936B1 (ko) 2019-03-21

Family

ID=6460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290A KR101960936B1 (ko) 2017-05-12 2017-05-12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142A (ko) * 2019-04-15 2020-10-23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950A (ko) 2001-05-03 2002-11-16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KR20040027082A (ko) * 2002-09-27 2004-04-01 주식회사 포스코 천정기중기의 주, 보권으로 지지된 수송물의 경동 각도조정장치
KR20040087752A (ko) 2003-04-08 2004-10-15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상부의 지금제거장치
KR100621929B1 (ko) 2005-04-28 2006-09-15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래들의 슬래그 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950A (ko) 2001-05-03 2002-11-16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KR20040027082A (ko) * 2002-09-27 2004-04-01 주식회사 포스코 천정기중기의 주, 보권으로 지지된 수송물의 경동 각도조정장치
KR20040087752A (ko) 2003-04-08 2004-10-15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상부의 지금제거장치
KR100621929B1 (ko) 2005-04-28 2006-09-15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래들의 슬래그 파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142A (ko) * 2019-04-15 2020-10-23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936B1 (ko)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936B1 (ko)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TW201228887A (en) Magnus rotor
KR101568725B1 (ko) 래들 장치
NL2007546C2 (en) Vibratory pile driver and method.
JP6533731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破袋システム及び方法
CN115023579A (zh) 金属材料供给装置
WO2005097330A1 (ja) 自走式破砕機
JP2003166010A (ja) Krインペラー付着物除去装置及び方法
US20200331377A1 (en) Transportation Container
KR102227830B1 (ko) 운반 장치 및 방법
CN113182509B (zh) 一种钢包清渣装置及钢包清渣方法
KR20230031018A (ko) 운반 장치
KR101160285B1 (ko) 슬래그 대차 걸림 방지 장치
JPH08271670A (ja) 原子炉格納容器内の重量物の据付方法
JP3888890B2 (ja) 塔状構造物の解体装置
KR102139630B1 (ko) 용기 장치 및 부착물 제거방법
KR102179559B1 (ko) 운반 장치 및 방법
CN216469012U (zh) 一种活性炭进料无尘破包系统
KR20040087752A (ko) 래들상부의 지금제거장치
JP2015222127A (ja) コンテナー搬送設備及びコンテナー搬送制御方法
GB2102854A (en) Charging a stranding machine
JP2012045594A (ja) 鋳造ラインおよび砂落し方法
JP4869980B2 (ja) 溶融固化体の抜き取り前処理装置
JPH0826658A (ja) フックの脱索機構
KR100804964B1 (ko) 스크랩 바스켓의 크레인훅크 이탈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