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830B1 - 운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830B1
KR102227830B1 KR1020190111044A KR20190111044A KR102227830B1 KR 102227830 B1 KR102227830 B1 KR 102227830B1 KR 1020190111044 A KR1020190111044 A KR 1020190111044A KR 20190111044 A KR20190111044 A KR 20190111044A KR 102227830 B1 KR102227830 B1 KR 102227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mover
circumferential surface
bar
elimi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11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1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devices for cleaning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transporting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 및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용기의 내주면의 상부를 향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거기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운반 방법으로서, 용기의 내주면 상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빠르고 쉽게 파쇄할 수 있는 운반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운반 장치 및 방법{TRANSPORT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운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내주면 상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빠르고 쉽게 파쇄할 수 있는 운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 공정은 용선 예비처리, 전로 정련, 2차정련 및 연속주조 공정을 포함한다. 그중 용선 예비처리 공정에서 전로 정련 공정으로의 용선 운반에는 래들 및 용선 크레인이 사용된다.
용선 예비처리 공정을 수행하면서 용선이 담긴 래들의 내부에 다량의 슬래그가 발생한다. 용선 예비처리 공정이 종료되면 스키머 장치를 이용하여 슬래그를 래들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스키머 장치가 래들의 주입구측으로 슬래그를 긁어내기 때문에, 항상 소정량의 슬래그가 래들의 주입구측에 잔류 및 누적되고, 래들의 내주면 상부에 부착되어 부착물 예컨대 지금을 형성한다.
슬래그 배출이 종료되면, 래들을 운반하여 전로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래들을 경동시켜 용선을 전로에 장입한다. 이때, 지금이 용선의 배출을 막아서 래들 내에 잔류 용선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용선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전로 정련 공정에 차질이 생기고, 잔류 용선에 의해 래들을 청정하게 운용하기 힘들고, 래들 가동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별도의 작업장에서 굴삭 기계를 이용하여 래들 내에 부착된 지금을 탈락시키는 경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고, 지금을 탈락시킨 이후에 래들을 다시 승온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에 게재되어 있다.
JP 5606152 B2
본 발명은 용기의 내주면 상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빠르고 쉽게 파쇄할 수 있는 운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반 장치는, 피처리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의 내주면의 상부를 향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거기;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상부 전방에 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거기는 상기 용기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주입구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용기의 주입구측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부착물을 타격하도록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용기의 상부 후방과 대향하는 상부 전방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회전할 수 있고, 회전 정도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의 상부 전방에서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전후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거기는, 상기 용기의 상단부를 따라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바; 상기 회전 바의 중심부에서 돌출되는 타격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기는,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을 좌우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 바의 양측 가장자리가 각기 지지되는 복수의 회전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바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용기의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타격 바는 외면에 모서리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의 돌출 방향은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회전 바 및 상기 타격 바 사이에는 완충 부재, 탄성 부재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주권 후크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를 운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운반기; 및 상기 운반기의 보권 후크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거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는,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하우징;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보권 후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작동 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작동 부재가 지지될 수 있는 스토퍼; 상기 작동 부재의 승강을 이용하여 상기 제거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거기 및 상기 작동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부재는 서로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일부는 상기 보권 후크에 걸릴 수 있고, 그 나머지는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거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거기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복수의 링크의 끝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작동 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복수의 링크의 후방에서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를 하방으로 굴절시키는 제1 시브; 상기 작동 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를 상방으로 굴절시키는 제2 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거기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의 상기 제거기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링크의 끝단을 당겨 상기 제거기를 회전시키고, 상기 복수의 링크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과 상기 제거기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변화를 보상하도록 서로 간에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반 방법은, 용기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을 운반할 수 있는 운반 방법으로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마련된 제거기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제거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용기의 내주면 상부를 따라 이동시키며 부착물을 타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거기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기의 좌우 방향으로의 상기 제거기의 양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도록 상기 용기에 마련된 구동기를 보권 후크로 당기는 과정; 상기 제거기의 양측 가장자리의 좌우 방향의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거기가 마련된 상기 용기의 상부 후방에서 주입구가 구비된 상기 용기의 상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거기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물을 타격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의 주입구측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거기의 중심부에 구비된 타격 바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착물을 하방으로 타격하는 과정; 및 상기 부착물을 상기 용기의 내부로 탈락시키는 과정; 상기 제거기를 복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기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은, 주권 후크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를 운반하는 과정 중에 수행하고, 상기 부착물을 타격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를 경동시켜 상기 용기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배출하기 전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용기를 별도의 작업장으로 운반할 필요가 없이, 용기를 이용하여 용융물을 운반하는 과정 중에, 용기의 상부에 마련된 제거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용기의 주입구측 내주면의 상부에 부착된 부착물 예컨대 지금을 타격할 수 있고, 지금을 용기의 내부로 탈락시킬 수 있다. 이에, 용기의 내주면 상부에 부착된 지금을 빠르고 쉽게 파쇄할 수 있다.
이로부터 용기를 경동시켜 주입구를 통하여 용기의 외부로 용융물을 배출할 때, 용융물의 흐름이 지금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융물이 지금에 충돌하여 비산분진 및 화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금에 의해 용기 내에 잔류 용융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용기 가동률을 높일 수 있고, 용융물을 운반하는 작업에 드는 시간 및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산업 분야의 각종 피처리물을 용기에 담아 운반하는 장치 및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제철 분야의 전로 정련 공정으로 용융물 혹은 용선을 운반하는 장치 및 방법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의 (a) 내지 (C)는 도 1의 A 부분 및 B 부분을 확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는, 피처리물 예컨대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100) 및 용기(100)에 부착된 부착물 예컨대 지금을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용기(100)의 내주면의 상부를 향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용기(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거기(200)를 포함한다.
또한, 운반 장치는, 주권 후크(310)를 이용하여 용기(100)를 운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운반기, 및 운반기의 보권 후크(320)와 결합 가능하고, 제거기(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용기(100)에 설치되는 구동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융물(미도시)은 용선 예비처리 공정에서 처리된 용선일 수 있다. 용융물은 용기(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용기(100)는 용선 예비처리 공정에서 전로 정련 공정으로 용선을 운반하는 경로상에 마련되고, 운반기에 의해 경로를 따라 운반될 수 있다. 예컨대 용기(100)는 래들이고, 운반기는 용선 크레인일 수 있다.
용기(100)는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고, 내부에 수용된 용융물을 상부 전방 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용기(100)는 상부의 전방에 주입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주입구(120)를 주둥이부 혹은 펠리컨부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주입구(120), 주권 걸이(130) 및 보권 암(14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10)는 소정 면적의 바닥판 및 바닥판의 가장자리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소정 높이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은 원판 형상이고, 측벽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물론, 바닥판 및 측벽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바닥판 및 측벽에 의해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주입구(120)는 용기 본체(110)의 전후 방향(X)으로 제거기(200)와 상호 이격될 수 있고, 용기 본체(110)의 상단부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120)는 용기 본체(110)의 상하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용기 본체(110)의 좌우 방향(Z)을 기준으로, 주입구(120)의 양측 가장자리부는 중심부보다 그 높이가 낮을 수 있다. 제거기(200)에서 주입구(12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주권 걸이(130)를 중심으로 용기 본체(110)를 경동시키면, 주입구(120)를 통해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용융물을 용기 본체(11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용기 본체(110)의 폭 방향은 좌우 방향(Z)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고, 용기 본체(110)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X)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고, 용기 본체(110)의 높이 방향은 상하 방향(Y)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이 같은 방향의 정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주권 걸이(130)는 용기 본체(110)의 좌우 방향(Z)의 양측에서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주권 걸이(130)는 운반기의 주권 후크(310)에 결속될 수 있다. 보권 암(140)은 용기 본체(11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보권 암(140)은 일측이 용기 본체(110)의 하면에 배치되고, 타측이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권 암(140)은 타측에 후크 걸림체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 걸림체는 운반기의 보권 후크(320)에 결속될 수 있다. 후크 걸림체를 보권 후크(320)로 상승시켜 용기 본체(110)를 경동시킬 수 있다.
용기 본체(110)는 내주면의 상부에 부착물 예컨대 지금이 부착될 수 있다. 지금은 용기 본체(110)의 경동 시 용융물의 배출을 방해하는 장애물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란 운반 장치는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의 상부에 형성된 지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제거기가 용기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거기가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거기가 용기의 내주면에 중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거기(200)는, 용기(100)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고, 주입구(120)와 전후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제거기(200)는 용기(100)의 주입구(120)측 내주면 부근에 부착된 지금을 타격하도록, 좌우 방향(Z)의 축을 중심으로, 용기(100)의 상부 후방과 대향하는 상부 전방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거기(200)는 회전 정도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용기(100)의 상부 전방에서 용기(100)의 내주면과 전후 방향(X)으로 마주볼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지금을 하방으로 타격하여 탈락시킬 수 있다.
즉, 제거기(200)는 그 회전 정도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주입구(120)의 하측에서 용기(100)의 내주면과 전후 방향(X)으로 마주보며 주입구(120) 부근에 부착된 지금을 타격하여 탈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용기(100)의 상부 후방과 상부 전방은 전후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는 부분으로서, 예컨대 용기(100)의 상부 중 주입구(120)가 형성된 부분이 상부 전방이고, 나머지 부분이 후방일 수 있다. 즉, 전방과 후방은 주입구(120)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주입구(120)의 부근에서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 상부에 부착물 예컨대 지금이 형성되면, 용융물의 배출이 방해될 수 있다. 제거기(200)는 주입구(120)의 부근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용기(100)로부터 용융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제거기(200)는, 좌우 방향(Z)으로 용기 본체(110)의 상단부를 따라 연장되고, 좌우 방향(Z)으로의 양측 가장자리가 각각 용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바(210), 및 좌우 방향(Z)으로의 회전 바(210)의 중심부에서 돌출되는 타격 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거기(200)는, 좌우 방향(Z)으로 상호 이격되고, 좌우 방향(Z)으로의 회전 바(210)의 양측 가장자리와 마주보도록 용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 블록(230), 및 한 쌍의 지지 블록(230)을 각기 좌우 방향(Z)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좌우 방향(Z)으로의 회전 바(210)의 양측 가장자리가 각기 지지되는 좌우 방향(Z)의 축 예컨대 회전 축(24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210)는 회전을 이용하여 타격 바(220)를 용기 본체(110)의 상부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시켜 부착물 예컨대 지금에 충돌시킬 수 있다. 타격 바(220)는 회전 축(240)의 회전(θ) 정도에 따라, 용기 본체(110)의 상부 전방에서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 상부와 전후 방향(X)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고, 또한, 용기 본체(110)의 상부 후방에서 용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회전 바(210)는 일측이 절단된 링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면, 회전 바(210)는 호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회전 바(210)는 좌우 방향(Z)으로의 양측 가장자리가 각기 회전 축(240)에 지지될 수 있고, 좌우 방향(Z)으로의 중심부가 용기 본체(110)의 상부 전방 및 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회전 축(24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바(210)의 좌우 방향(Z)으로의 중심부가 용기 본체(110)의 상부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타격 바(220)는 좌우 방향(Z)으로의 회전 바(210)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물론, 타격 바(220)는 교체 가능한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고, 회전 바(210)의 중심부에 탈착될 수 있다. 즉, 타격 바(220)는 회전 바(210)와 일체형으로 마련되거나,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타격 바(220)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타격 바(220)는 지금과 충돌하여 지금을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에서 효과적으로 탈락시키기 위해, 외면에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모서리의 돌출 방향은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이에, 타격 바(220)가 용기 본체(110)의 상부 전방에 위치할 때에 모서리는 하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지금을 효과적으로 타격할 수 있고, 지금을 용기 본체(110)의 내부로 탈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서리가 용기 본체(110)의 상부 전방에서 용기 본체(110)의 내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금을 하방으로 타격함으로써,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으로부터 지금을 쉽게 탈락시킬 수 있다. 또한, 모서리는 타격 바(220)가 용기 본체(110)의 상부 전방에 위치할 때에는 상방을 향할 수 있다. 이에, 모서리가 용기 본체(110)와 불필요하게 접촉하여 마모되는 것을 원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는 완충 부재, 탄성 부재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 탄성 부재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 바(210) 및 타격 바(2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타격 바(220)와 회전 바(210) 사이에 완충 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완충 부재는 타격 바(220)와 지금이 서로 충돌할 때, 그 충격이 회전 바(210)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예컨대 고무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완충 부재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타격 바(220)와 회전 바(210) 사이에 탄성 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는 타격 바(220)와 지금이 서로 충돌할 때, 그 충격을 이용하여 타격 바(220)를 진동시켜, 타격 바(220)와 지금의 충돌 횟수를 늘려줄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예컨대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탄성 부재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타격 바(220)와 회전 바(210) 사이에 압력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타격 바(220)가 지금을 타격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는 압력 센서에서 타격 바(220)가 지금을 타격하는 것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제거기(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지금의 부착 상태를 압력 센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지지 블록(230)은 전후 방향(X)으로의 용기 본체(110)의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지지 블록(230)은 용기 본체(110)의 상부 전방보다 후방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후 방향(X)을 기준으로 하여, 지지 블록(230)은 용기 본체(110)의 중심부에서 소정 거리(d)만큼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회전 축(240)을 중심으로 회전 바(210)가 회전하여 타격 바(220)가 용기 본체(110)의 상부 전방에 위치하였을 때, 타격 바(220)가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 근방에서 지금을 타격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할 수 있고, 내주면과 전후 방향(X)으로 마주볼 수 있다. 즉, 이 구조에 의해, 회전 바(210) 및 타격 바(220)가 용기 본체(110)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블록(230)은 회전 축(240)이 축 회전하면서 회전 바(210)를 회전시키는 동안 회전 축(2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블록(230)은 좌우 방향(Z)의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고, 용기 본체(110)의 상부 후방에서, 용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각기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축(240)은 좌우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고, 지지 블록(230)을 좌우 방향(Z)으로 관통하도록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축(24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회전 바(210)의 양측 가장자리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회전 축(240)은 구동기(400)에 의해 회전하며, 회전 바(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운반기는 용기(110)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운반기는 구동기(400)와 연계하여 제거기(2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운반기는 운반기 본체, 주권 후크(310) 및 보권 후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운반기 본체는 천장 크레인 본체일 수 있다. 운반기 본체는 소정 높이에 주행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주권 후크(310) 및 보권 후크(320)는 각기 와이어 로프를 통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운반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기(400)는 운반기의 보권 후크(320)와 연계되고, 제거기(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용기(100)에 설치된다. 물론, 구동기(400)는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제거기(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용기(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기(400)는, 용기 본체(110)의 상부 후방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고,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연결된 중공형의 하우징(410), 하우징(410)의 상부에 마련된 스토퍼(420), 일부가 하우징(410)의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가 하우징(410)의 외부에 노출되며, 보권 후크(320)에 의해 상하 방향(Y)으로 승강 가능하며, 스토퍼(420)에 지지될 수 있는 작동 부재(430), 작동 부재(430)의 승강을 이용하여 제거기(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거기(200) 및 작동 부재(430)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10)은 용기 본체(110)의 후방에서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제거기(20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하우징(410)은 작동 부재(430)를 지지하고, 작동 부재(430)가 상하 방향(Y)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41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될 수 있고, 하우징(410)을 상하 방향(Y)으로 관통하도록 작동 부재(43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420)는 하우징(4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스토퍼(420)는 하우징(410)의 상부 개구 내에 마련될 수 있고,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스토퍼(420)는 작동 부재(430)가 지지될 수 있는 소정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420)에 의해 하우징(410)의 상부의 개구가 일부 막힐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제거기가 용기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거기가 용기의 내주면에 중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작동 부재(430)는 서로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프레임 중 일부는 보권 후크(320)에 걸릴 수 있고, 나머지는 연결 부재(440)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작동 부재(430)는, 상하 방향(Y)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Z)으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431), 좌우 방향(Z)으로 제1 프레임(431)의 상단에 장착되고, 보권 후크(320)에 걸릴 수 있는 제2 프레임(432), 스토퍼(420)의 상측에서 제1 프레임(431)에 장착되고, 스토퍼(4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는 제3 프레임(433) 및 스토퍼(420)의 하측에서 제1 프레임(431)에 장착되고, 스토퍼(42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제4 프레임(4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431) 및 제4 프레임(4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결 부재(4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431)은 상부가 하우징(41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하부가 하우징(4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431)의 상단은 후방으로 굴절될 수 있고, 그 굴절된 부분의 끝단에 제2 프레임(432)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제2 프레임(432)이 보권 후크(320)에 체결될 때, 보권 후크(320)와 용기 본체(110)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프레임(431)의 굴절된 부분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3 프레임(433)이 장착될 수 있고, 그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4 프레임(434)이 장착될 수 있다. 제3 프레임(433) 및 제4 프레임(434) 사이에 스토퍼(420)가 위치할 수 있고, 제1 프레임(431)의 높이에 따라 제3 프레임(433)이 스토퍼(420)에 접촉하거나, 제4 프레임(434)이 스토퍼(420)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제1 프레임(431)의 탈락이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탈락은 제1 프레임(431)이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탈은 제1 프레임(431)이 상방으로 탈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프레임(431)의 하단 또는 제4 프레임(434)은 연결 부재(4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431)이 제3 프레임(433)을 통하여 스토퍼(42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프레임(431) 또는 제4 프레임(434)과 연결 부재(440)와의 연결부가 하우징(410)의 하방으로 밀려 내려갈 수 있다. 제1 프레임(431)이 상승하여 스토퍼(420)의 하면에 제4 프레임(434)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술한 연결부가 하우징(410)의 내부로 당겨 올라올 수 있다.
작동 부재(430)는 보권 후크(320)에 결속될 수 있고, 보권 후크(320)의 승강 움직임을 연결 부재(440)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 부재(440)는 보권 후크(320)의 승강 움직임을 회전 움직임으로 전환하여 제거기(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연결 부재(440)는, 제거기(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좌우 방향(Z)으로의 제거기(200)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441, 442, 443),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일측이 복수의 링크의 끝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작동 부재(430)와 연결된 와이어(444), 복수의 링크의 후방에서 용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와이어(444)를 상면으로 지지하며 하방으로 굴절시키는 제1 시브(445), 및 작동 부재(430)의 하측에서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하면으로 와이어(444)를 지지하며 상방으로 굴절시키는 제2 시브(44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440)는, 와이어(44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시브(445, 446)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보도록 설치된 가이드(447), 와이어(444)의 경로를 따라 나열되고, 와이어(444)를 감싸도록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안내 고리(448), 및 제거기(200)를 역회전시켜서 용기 본체(110)의 상부 후방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제거기(200)의 양측 가장자리 예컨대 회전 축(240)에 설치되는 탄성체(44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링크는 제1 링크(441), 제2 링크(442), 및 제3 링크(4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441)는 좌우 방향(Z)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Z)으로의 제거기(200)의 양측 가장자리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441)는 일단부가 회전 축(24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링크(441)는 타단부에 제2 링크(442)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링크(442)는 좌우 방향(Z)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링크(441)의 끝단 예컨대 제1 링크(44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크(442)는 제1 링크(441)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 링크(443)는 제2 링크(442)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제1 링크(441)의 끝단에서 이격되고 제1 링크(441)의 측면에서 좌우 방향(Z)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링크(443)는 제1 링크(441)와 제2 링크(442)가 서로 포개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링크(441)는 타단부가 제2 링크(442)에 의해 당겨질 수 있고, 이에, 제1 링크(441)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그 타단부가 회전하여 회전 축(2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링크(443)가 제2 링크(432)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제1 링크(441)가 역방향으로 역회전(-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444)는 일단이 제2 링크(442)의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작동 부재(430)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444)는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와이어(444)는 복수의 시브, 가이드, 및 안내 고리에 의해 그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와이어(444)는 제2 링크(442)의 끝단을 당겨 제1 링크(441)의 끝단을 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부터 상기 제거기(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링크는 와이어(444)의 일측과 제거기(200)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변화를 보상하도록 서로 간에 회전 운동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서로 간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술한 거리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복수의 시브는 회전 축(24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 시브(445) 및 작동 부재(4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시브(4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시브(445)는 용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지지될 수 있고, 상면으로 와이어(444)를 둘러 감아, 후방에서 전방으로 와이어(444)를 안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시브(446)은 하우징(410)의 내부에서 작동 부재(430)의 하방으로 이격되고,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시브(446)는 하면으로 와이어(444)를 둘러 감아 전방에서 후방으로 와이어(444)를 안내할 수 있다.
제1 시브(445)와 제2 시브(446)의 사이에서 와이어(444)가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안내 고리(448)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1 시브(445)의 상측에는 가이드(447)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447)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시브(445)의 상면을 상하 방향(Y)으로 마주볼 수 있다. 가이드(447)는 와이어(444)가 제1 시브(445)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제거기가 용기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거기가 용기의 내주면에 중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탄성체(449)는 와이어(444)를 통해 제2 링크(442)의 끝단을 하방 및 후방으로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회전 축(240)을 역회전(-θ)시켜 제거기(200)를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성체(449)는 각종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 블록(230)의 내부에서 회전 축(2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449)는 일측이 회전 축(240)에 지지되고, 타측이 지지 블록(230)의 내부면에 지지될 수 있다.
탄성체(449)는 복수의 링크에 의해 회전 축(240)이 강제로 회전(θ)하는 동안 회전 축(240)의 회전에 의해 변형되며 탄성력을 축적하고, 복수의 링크에 의한 강제 회전이 해제되면 축적된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 축(240)을 역회전(-θ)시킬 수 있다. 이에, 회전 축(240)과 연결된 회전 바(210)가 역회전할 수 있고, 회전 바(210) 및 그에 장착된 타격 바(220)가 용기 본체(110)의 상부 후방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가 적용되는 운반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방법은, 용기(100)를 이용하여 피처리물 예컨대 용융물을 운반할 수 있는 운반 방법으로서, 용기(100)의 상부에 마련된 제거기(200)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과정, 제거기(200)의 적어도 일부를 용기(100)의 내주면 상부를 따라 이동시키며 부착물 예컨대 지금을 타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100)의 상부 전방에는 주입구(120)가 구비될 수 있고, 부착물은 주입구(120) 측에서 용기(100)의 내주면 상부에 부착되는 지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거기(200)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은, 용기(100)를 운반할 수 있도록 마련된 운반기의 주권 후크(310)를 이용하여 용기(100)를 운반하는 과정 중에 수행할 수 있다. 부착물을 타격하는 과정은, 용기(100)를 경동시켜 수용된 용융물을 배출하기 전에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과정들의 순서 및 그 수행 시점은 상술한 바 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
우선, 용융물이 담긴 용기(100)를 운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주권 후크(310)를 이용하여 용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반기의 주권 후크(310)를 용기(100)의 주권 걸이(130)에 체결하고, 주권 후크(310)를 상승 및 이동시킨다. 이때, 용기(10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운반할 수 있다. 제1 위치는 용융물의 이전 처리 공정이 완료된 위치일 수 있고, 제2 위치는 용융물의 다음 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는 용선 예비처리 공정 위치일 수 있고, 제2 위치는 전로 정련 공정 위치일 수 있다. 물론, 이들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이 과정 중에,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의 상부에는 부착물 예컨대 지금이 형성될 수 있다. 지금은 용융물을 제2 위치의 공정 설비에 공급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용기(100)를 운반하는 과정 중에, 용기(100)의 상부 후방에 마련된 제거기(200)를 회전시켜 용기(100)의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 지금을 타격하여 용기(100)의 내부로 탈락시킬 수 있다.
제거기(200)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은, 좌우 방향(Z)으로의 제거기(200)의 양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도록 용기(100)에 마련된 구동기(400)를 보권 후크로 당기며 회전력을 생성하는 과정, 제거기(200)의 양측 가장자리의 좌우 방향의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제거기(200)가 마련된 용기(100)의 상부 후방에서 주입구가 구비된 용기(100)의 상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거기(200)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권 후크(320)와 제거기(200)를 연계시킬 수 있도록 용기(100)에 마련된 구동기(400)를 보권 후크(320)로 당기고, 구동기(400)의 승강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회전력을 제거기(200)에 전달하여 제거기(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용기(100)의 상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거기(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보권 후크(320)를 구동기(400)의 작동 부재(430)에 체결시키고, 보권 후크(320)를 상승시킨다. 이에, 작동 부재(430)가 상승하며 구동기(400)의 연결 부재(440)에 구비된 와이어(444)를 당기고, 와이어(444)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441, 442, 443)가 회전하며 제거기(200)의 회전 축(2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회전 축(240)과 연결된 제거기(200)의 회전 바(210)가 용기(10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후, 부착물을 타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용기(100)의 주입구(120)측의 내주면을 따라서, 용기(100)의 좌우 방향(Z)으로의 제거기(200)의 중심부에 구비된 타격 바(22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부착물을 하방으로 타격하고, 부착물을 용기(100)의 내부로 탈락시킬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바(210)를 회전시키면, 회전 바(210)에 장착된 타격 바(220)가 용기 본체(1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전하고, 타격 바(220)가 용기 본체(110)의 전방에서 용기 본체(110)의 내부면 상부 근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지금을 하방으로 타격하여 탈락시킬 수 있다. 즉, 주입구(120)의 부근에 형성된 지금을 탈락시킬 수 있다.
이후, 제거기(200)를 복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권 후크(320)가 하강하면, 와이어(444)를 당기는 힘이 해제되고, 이에, 탄성체(449)가 회전 축(240)을 역회전(-θ)시켜 회전 바(210) 및 타격 바(220)를 복귀시킬 수 있다(도 1 참조).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용기(100)의 내주면 상부에서 지금이 제거되면, 용기(100)를 경동시켜 제2 위치의 공정 설비에 용융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용융물이 지금과 충돌하는 것이 원천 방지되므로, 용융물이 지금에 충돌하여 비산분진 및 화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금에 의해 용기(100) 내에 잔류 용융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 및 변형될 것이고, 이에 의한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용기
200: 제거기
220: 타격 바
400: 구동기
430: 작동 부재
440: 연결 부재
449: 탄성체

Claims (17)

  1. 피처리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의 내주면의 상부를 향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거기;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부 전방에 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거기는 상기 용기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주입구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용기의 주입구측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부착물을 타격하도록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용기의 상부 후방과 대향하는 상부 전방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회전할 수 있고, 회전 정도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의 상부 전방에서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전후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는 운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거기는,
    상기 용기의 상단부를 따라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바;
    상기 회전 바의 중심부에서 돌출되는 타격 바;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거기는,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을 좌우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 바의 양측 가장자리가 각기 지지되는 복수의 회전 축;을 포함하는 운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용기의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이격되는 운반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타격 바는 외면에 모서리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의 돌출 방향은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나란한 방향인 운반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 및 상기 타격 바 사이에는 완충 부재, 탄성 부재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운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주권 후크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를 운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운반기; 및
    상기 운반기의 보권 후크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거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하우징;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보권 후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작동 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작동 부재가 지지될 수 있는 스토퍼;
    상기 작동 부재의 승강을 이용하여 상기 제거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거기 및 상기 작동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서로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일부는 상기 보권 후크에 걸릴 수 있고, 그 나머지는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운반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거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거기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복수의 링크의 끝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작동 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복수의 링크의 후방에서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를 하방으로 굴절시키는 제1 시브;
    상기 작동 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를 상방으로 굴절시키는 제2 시브;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거기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의 상기 제거기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링크의 끝단을 당겨 상기 제거기를 회전시키고,
    상기 복수의 링크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과 상기 제거기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변화를 보상하도록 서로 간에 회전 운동하는 운반 장치.
  14. 용기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을 운반할 수 있는 운반 방법으로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마련된 제거기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제거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용기의 내주면 상부를 따라 이동시키며 부착물을 타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기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기의 좌우 방향으로의 상기 제거기의 양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도록 상기 용기에 마련된 구동기를 보권 후크로 당기는 과정;
    상기 제거기의 양측 가장자리의 좌우 방향의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거기가 마련된 상기 용기의 상부 후방에서 주입구가 구비된 상기 용기의 상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거기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 방법.
  15. 삭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을 타격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의 주입구측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거기의 중심부에 구비된 타격 바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착물을 하방으로 타격하는 과정; 및
    상기 부착물을 상기 용기의 내부로 탈락시키는 과정;
    상기 제거기를 복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거기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은, 주권 후크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를 운반하는 과정 중에 수행하고,
    상기 부착물을 타격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를 경동시켜 상기 용기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배출하기 전에 수행하는 운반 방법.
KR1020190111044A 2019-09-06 2019-09-06 운반 장치 및 방법 KR102227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044A KR102227830B1 (ko) 2019-09-06 2019-09-06 운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044A KR102227830B1 (ko) 2019-09-06 2019-09-06 운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830B1 true KR102227830B1 (ko) 2021-03-15

Family

ID=7513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044A KR102227830B1 (ko) 2019-09-06 2019-09-06 운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8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152B2 (ko) 1979-12-17 1981-02-09
JPS6341355U (ko) * 1986-09-03 1988-03-18
JPH0715153U (ja) * 1993-08-19 1995-03-14 川崎製鉄株式会社 取鍋付着スラグの除去治具
KR200180022Y1 (ko) * 1999-09-08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용강 정련설비 지금제거 장치
KR20000020768U (ko) * 1999-05-13 2000-12-15 이구택 메탈카의 부착지금 제거장치
JP2001179437A (ja) * 1999-12-24 2001-07-03 Fujikoo:Kk 地金付着物の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152B2 (ko) 1979-12-17 1981-02-09
JPS6341355U (ko) * 1986-09-03 1988-03-18
JPH0715153U (ja) * 1993-08-19 1995-03-14 川崎製鉄株式会社 取鍋付着スラグの除去治具
KR20000020768U (ko) * 1999-05-13 2000-12-15 이구택 메탈카의 부착지금 제거장치
KR200180022Y1 (ko) * 1999-09-08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용강 정련설비 지금제거 장치
JP2001179437A (ja) * 1999-12-24 2001-07-03 Fujikoo:Kk 地金付着物の除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420B1 (ko) 원료 공급장치
KR102227830B1 (ko) 운반 장치 및 방법
KR101667294B1 (ko) 원료 공급장치
KR101845233B1 (ko)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
CN102472584B (zh) 用于定位原料篮的装置
JPH11199019A (ja) 副原料投入用旋回シュート
US11358539B2 (en) Transportation container
KR101960936B1 (ko)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JP4095107B1 (ja) 木材破砕処理システム
CN216104462U (zh) 一种带式输送机皮带防撕裂装置
CN105772146A (zh) 钼铁粗碎装置
KR102139630B1 (ko) 용기 장치 및 부착물 제거방법
KR101050201B1 (ko)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CN212424691U (zh) 便于检修的硅锰矿石上料装置
KR102092749B1 (ko) 원료 공급장치
JP2007021554A (ja) クロップ排出装置
KR101070105B1 (ko) 슈트 내의 운송물 고착 방지 장치
CN211970497U (zh) 一种炼钢用集料斗
KR102092750B1 (ko) 이송 장치 및 이송 방법
WO2006083176A1 (en) Cleaning device
KR101643275B1 (ko) 소결광 저장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CN115255338B (zh) 高效落砂工部
KR101362724B1 (ko) 부산물 처리장치 및 부산물 처리방법
JP7556343B2 (ja) 高温溶融物処理鍋の固定装置および移送用台車
CN201010663Y (zh) 一种具有防吊钩脱钩功能的钢包口清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