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898A - 대용량 꽃밥 채취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용량 꽃밥 채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898A
KR20180123898A KR1020170058253A KR20170058253A KR20180123898A KR 20180123898 A KR20180123898 A KR 20180123898A KR 1020170058253 A KR1020170058253 A KR 1020170058253A KR 20170058253 A KR20170058253 A KR 20170058253A KR 20180123898 A KR20180123898 A KR 20180123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her
unit
flowers
sor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463B1 (ko
Inventor
이상현
김월수
조정안
이용규
김종옥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463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7Apparatus for pollination
    • A01H1/02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에서 꽃밥(約:약 )을 채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꽃 정량공급 장치, 꽃밥 분리장치 및 꽃밥 선별장치를 포함하여 대량의 꽃을 연속적으로 처리할 뿐만 아니라 꽃밥 만을 정선하여 채취할 수 있는 구조의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용량 꽃밥 채취 시스템{System for extracting anthers from flowers in large quantity}
본 발명은 꽃에서 꽃밥(約:약)을 채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꽃 정량공급 장치, 꽃밥 분리장치 및 꽃밥 선별장치를 포함하여 대량의 꽃을 연속적으로 처리할 뿐만 아니라 꽃밥만을 정선하여 채취할 수 있는 구조의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 및 생태계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일예로 과수 개화기 이상저온과 꿀벌을 비롯한 꽃가루 매개곤충의 개체수 감소가 정상적인 수분 및 수정작용을 저해함으로써 착과율 감소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즉, 수분(pollination)이란 종자식물의 생식과정으로 수술(stamen)을 구성하는 꽃밥(anther) 속에 있는 화분(pollen)이 암술머리에 붙는 것을 의미하고 화분이 암술로 옮겨지는 것은 일반적으로 비, 바람, 곤충 등 자연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지는데 최근 이상기후에 의한 급격한 환경변화로 곤충에 의한 수분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분율의 저하 방지를 위해 과수 원예분야에서 사람의 손을 빌려 화분을 암술의 주두에 묻혀 인공적으로 수분이 진행되게 하는데, 최근 인공수분은 환경적 요인 및 재배 방식의 변화로 인해 점점 늘어가고 있으며, 안정적인 결실량 확보를 위하여 개화 전 꽃가루를 신속히 채취하여 인공수분을 실시할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종래의 인공수분은, 수꽃에서 직접 붓에 꽃가루를 묻히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꽃가루의 획득률이 낮고, 수꽃이 적은 경우 또는 암꽃과 수꽃이 떨어져 있는 경우에 아주 비효율적인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수꽃에서 꽃가루를 채취하는 꽃가루 채취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수꽃에서 꽃가루의 획득률을 높이기 위하여 일일이 수꽃에서 꽃잎을 제거한 후 음건하여 1개씩 핀셋으로 잡아 꽃가루를 채취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꽃가루 채취에 필요한 노동력이 과다하게 필요할 뿐만 아니라 꽃피는 기간이 매우 짧은 과수에서는 단기간에 인공수분 시기를 맞추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정용 믹서기 또는 핸드믹서기로 이루어지는 회전력공급장치와; 상기 회전력공급장치와 연결되어 공급되는 회전력으로 과수류의 (수)꽃으로부터 꽃가루를 분리하도록 이루어진 꽃가루 분리기로 구성된 꽃가루 채취기가 개발된 바 있다. 특히 개발된 꽃가루 채취기는 꽃가루 분리기가 회전력공급장치에 탈부착되며, 내측에 회전력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날개가 구비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부가 개구된 꽃가루분리기 몸체와; 상기 꽃가루분리기 몸체의 상측에 탈부착되는 깔데기형 뚜껑과; 상기 꽃가루분리기 몸체와 깔데기형 뚜껑 사이에 위치한 꽃가루분리용 채망을 갖는 구조를 갖고 있어, 사람이 일일이 꽃을 꽃가루분리기에 삽입시켜야 하므로 연속적으로 꽃가루를 채취하기 어려우며, 꽃에서 꽃가루만을 정선하여 채취할 수 없으므로 인공수분을 수행하더라도 수분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꽃밥분리장치에 일정한 수량의 꽃을 연속해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꽃 정량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꽃 정량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꽃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꽃을 해체하여, 꽃밥이 거의 포함되지 않도록 찌꺼기를 제거하고, 순도가 높은 꽃밥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꽃밥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꽃밥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꽃밥으로부터 찌꺼기는 최대한 제거하고, 높은 수율로 꽃밥만을 정선하여 채취할 수 있는 구조의 꽃밥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꽃 정량공급장치, 꽃밥 분리장치 및 꽃밥 선별장치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꽃을 공급받고, 공급된 꽃으로부터 꽃밥을 분리하고, 분리된 꽃밥으로부터 꽃밥을 선별하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꽃의 종류에 따라 꽃 정량공급장치가 공급하는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고, 꽃 정량공급장치가 공급하는 투입량에 따라 꽃밥 분리장치의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꽃밥 분리장치에서 얻어진 분리된 꽃밥의 종류 및 수량 등을 고려하여 꽃밥 선별장치에 사용되는 선별체의 종류, 진동강도를 제어하여 꽃밥채취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채취한 꽃들이 투입되어 수용되는 수용유닛; 및 상기 수용유닛의 하부 개구와 연결되어 상기 꽃들을 꽃밥 분리장치로 공급하는 운반유닛;을 포함하는 꽃 정량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방사형으로 넓은 상부개구가 하방으로 감소되어 더 작은 직경의 하부개구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 상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개구와 연통되고 일정각도를 갖도록 상기 하부개구에서 연장 형성되며 그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부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은 벨트가 장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 벨트 컨베이어; 상기 벨트의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간격으로 모든 벨트표면상에 설치되는, 상기 벨트와 동일한 폭을 갖고 일정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판형상 칸막이부재;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컨베이어프레임 양측에서 각각 상부측으로 상기 칸막이부재와 접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동일하거나 긴 길이를 갖고 상기 칸막이부재의 일정높이보다 높은 2개의 판형상 측벽부재; 및 상기 컨베이어프레임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가 일정한 각도의 경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의 양측 하단부가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양측 하부에서 각각 고정되어 상기 수용유닛의 다른 하단부가 상기 측벽부재와 인접하여 상기 벨트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는 상기 수용유닛의 양측 하단부가 고정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일정영역으로 상기 2개의 측벽부재와 상기 2개의 측벽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덮도록 형성되는 1개 이상의 덮개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꽃밥 분리장치로 공급하는 꽃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의 상부측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꽃밥 분리장치로 꽃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운반유닛에 의해 공급된 꽃을 수용하는 상부수용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꽃 정량공급 장치로부터 꽃을 공급받아 분쇄공간으로 투입하기 위해 수용하는 상부수용유닛; 그 내부에 상기 상부수용유닛으로부터 투입되는 꽃을 분쇄할 수 있는 폐쇄된 분쇄공간을 제공하는데, 상기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각각의 면 중 상기 상부수용유닛의 하부개구와 연통되는 상부투입구가 상부면의 일정영역에 형성되고, 꽃 분쇄물 중 꽃밥이 5중량% 미만으로 포함된 찌꺼기를 배출하는 찌꺼기배출구가 측면 중 어느 일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꽃 분쇄물 중 상기 찌꺼기를 제외한 꽃밥 포함 분쇄물이 배출되는 꽃밥 포함 분쇄물 배출구가 하부면에 형성되는 본체; 및 지면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분쇄공간 내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원통상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된 꽃을 분쇄하고 상기 찌꺼기를 상기 찌꺼기 배출구로 이송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회전분쇄유닛;을 포함하는 꽃밥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에 대해 나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는 면이 있는 판형의 블레이드이고,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와이어를 구부린 고리형의 블레이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측으로 상기 찌꺼기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찌꺼기 분리슈트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배출구의 높이 또는 크기를 조절하는 찌꺼기배출조절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꽃밥포함분쇄물 배출구는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는 구멍이 일정간격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면 전체에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꽃밥 분리장치로부터 얻어진 꽃밥포함분쇄물 중 체 눈 크기보다 작은 꽃밥은 하방으로 낙하시켜 통과시키고, 나머지 분쇄물을 남기는 하나 이상의 선별체유닛; 상기 선별체유닛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체유닛이 개방되도록 전체적으로 상부개구가 장방형으로 형성된 상부면, 상기 상부개구를 형성하는 4개의 측면 및 상기 4개의 측면 하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모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그 폭은 상기 상부개구의 폭 미만이고, 그 길이는 상기 상부개구의 길이 이하인 하부개구가 형성된 하부면이 포함된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유닛; 상기 선별체유닛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유닛;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부개구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체유닛에 의해 선별된 꽃밥을 저장하는 꽃밥저장유닛;를 포함하는 꽃밥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별체유닛은 그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재를 이루는 길이방향 좌우측면과 폭방향 전후측면 중 전면 또는 후면의 상단부에 인접하고 타단은 그 하단부에 인접하게 기울어져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별체유닛이 설치된 상기 프레임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의 하단부측으로 분쇄물배출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선별체유닛을 통과하지 못한 상기 나머지 분쇄물이 상기 선별체유닛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분쇄물배출구로 배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의 외부측으로 상기 분쇄물배출구와 연결되거나 그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배출되는 상기 나머지 분쇄물을 수집하는 수집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부개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재지지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지지체는 상기 프레임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별체유닛은 선별체가 2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선별체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상부선별체를 이루는 체눈 크기는 3 내지 7mm이고, 하부선별체를 이루는 체 눈 크기는 3mm미만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꽃밥저장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과 분리 가능하고, 그 상부면에 상기 프레임의 하부개구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삽입 가능한 크기의 상부개구가 형성된 통형상의 저장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꽃밥저장유닛은 상기 저장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퀴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반유닛를 통해 채취한 꽃을 일정량씩 꽃밥 분리장치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꽃 정량공급 장치; 상기 운반유닛 상단부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로부터 꽃을 공급받아 꽃밥 포함 분쇄물을 형성하는 꽃밥 분리장치; 및 상기 꽃밥 분리장치의 본체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꽃밥 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된 꽃밥포함분쇄물로부터 꽃밥만을 선별하는 꽃밥 선별장치;를 포함하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 상기 꽃밥 분리장치 및 상기 꽃밥 선별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 상기 꽃밥 분리장치 및 상기 꽃밥 선별장치는 서로 분리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 상기 꽃밥 분리장치 및 상기 꽃밥 선별장치는 모두 이동가능하게 하부에 바퀴부재가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꽃밥포함분쇄물 중 상기 꽃밥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된 꽃밥을 제외한 나머지 분쇄물이 수집되어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 또는 꽃밥 분리장치로 이송되어 재활용되는 수집 및 이송장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집 및 이송장치는 나머지분쇄물이 수집되는 수집유닛; 및 상기 수집유닛으로부터 상기 나머지분쇄물을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 또는 꽃밥 분리장치로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꽃밥 분리장치의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꽃밥 분리장치의 본체 하방과 꽃밥 선별장치 사이의 이격된 소정거리에 대응하는 측벽을 형성되는 가림막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는 상술된 어느 하나의 꽃 정량공급 장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꽃밥 분리장치는 상술된 어느 하나의 꽃밥 분리장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꽃밥 선별장치는 상술된 어느 하나의 꽃밥 선별장치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꽃 정량공급장치에 의하면 일정한 수량의 꽃을 연속해서 공급할 수 있으므로, 꽃밥 분리장치의 꽃밥분리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꽃밥 분리장치에 의하면, 꽃 정량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꽃으로부터 꽃을 연속적으로 해체하여 꽃밥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찌꺼기는 제거되고 대부분의 꽃밥이 포함된 분리된 꽃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꽃밥 선별장치에 의하면 꽃밥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꽃밥으로부터 찌꺼기는 최대한 제거하고 꽃밥 만을 정선하여 높은 수율로 채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에 의하면 꽃 정량공급장치, 꽃밥 분리장치 및 꽃밥 선별장치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꽃을 공급받고, 공급된 꽃으로부터 꽃밥을 분리하고, 분리된 꽃밥으로부터 꽃밥을 선별하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므로, 단시간 내에 대량의 꽃밥을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에 의하면 꽃의 종류에 따라 꽃 정량공급장치가 공급하는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고, 꽃 정량공급장치가 공급하는 투입량에 따라 꽃밥 분리장치의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꽃밥 분리장치에서 얻어진 분리된 꽃밥의 종류 및 수량 등을 고려하여 선별체의 종류, 진동강도를 제어하여 꽃밥채취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꽃밥만을 정선하여 채취할 수 있으므로 인공수정시 수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꽃 정량공급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꽃 정량공급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꽃 정량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수용유닛과 운반유닛이 연결된 상태에서 운반유닛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수용유닛 사이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꽃밥 분리장치를 측면 및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꽃밥 분리장치의 내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꽃밥 분리장치의 꽃밥 분리장치에서 본체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b는 프레임유닛에 장착된 본체의 후면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꽃밥 분리장치의 꽃밥 분리장치의 내부를 측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꽃밥 선별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꽃밥 선별장치에서 선별체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꽃밥 선별장치에 사용되는 꽃밥저장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꽃밥 선별장치에서 프레임부재와 꽃밥저장유닛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의 일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집 및 이송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갖는 통상의 의미와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재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이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꽃밥 선별장치"는 분리된 꽃밥으로부터 꽃밥만을 획득할 수 있도록 꽃밥만이 통과할 수 있는 체눈을 가진 선별체를 1개 이상 포함하는 장치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먼저, 꽃 정량공급 장치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꽃 정량공급장치는 채취한 꽃을 꽃밥 분리장치로 일정량씩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꽃 정량공급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유닛(110)과 운반유닛(120)을 포함한다. 수용유닛(110)은 채취한 꽃들이 투입되면 이를 수용하여 잠시 또는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운반유닛(120)은 수용유닛(110)의 하부 개구와 연결되어 꽃들을 꽃밥 분리장치(200)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용유닛(110)은 상부부재(111)와 하부부재(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채취한 꽃들이 투입되어 수용된다. 상부부재(111)는 채취한 꽃의 투입시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상부개구는 방사형으로 넓게 형성되지만, 하방으로 점점 감소되어 상부개구보다는 작은 직경의 하부개구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하부부재(112)는 상부부재(111)의 하부개구와 연통되면서 일정각도를 갖도록 상부부재(111)의 하부개구에서 연장 형성되는데, 하부부재(112)의 하부 또한 개구로 형성되며 하부부재의 하부개구를 형성하는 측면 중 양측면의 단부가 연장 형성되어 운반유닛(120)의 컨베이어프레임(121b)과 고정되는 수용유닛(110)의 양측 하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유닛(110)의 양측 하단부가 컨베이어프레임(121b)의 양측 하부에서 각각 고정되어 수용유닛(110)의 다른 하단부가 측벽부재(123)와 인접하여 벨트(121a)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 구현예로서 하부부재(112)가 상부부재(111)의 하부개구에서 연장 형성되는 일정각도는 운반유닛(120)과 고정시 상부부재(111)의 상부개구가 지면과 수평을 이룰 수 있는 각도일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로서 하부부재(112)의 하부개구가 장방형상인 경우 그 크기는 하구개구를 형성하는 양측 하단부 사이의 거리인 폭(가로방향)은 운반유닛(120)의 벨트(121a)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폭을 갖고 다른 하단부 사이의 거리인 길이는 운반부재(120)의 칸막이부재(122)와 칸막이부재(122)의 설치간격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운반유닛(120)은 수용유닛(110)의 하부 개구와 연결되어 수용유닛(110)에 투입된 꽃들을 일정량씩 이송하여 꽃밥 분리장치(200)로 공급하기 위해, 벨트 컨베이어(121), 칸막이부재(122), 측벽부재(123) 및 지지대(124)를 포함한다. 벨트 컨베이어(121)는 공지된 구성의 벨트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컨베이어 프레임(121b)에 컨베이어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가 설치되고, 벨트(121a)가 표면에 장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벨트 컨베이어(121)의 길이 및 경사각은 꽃 정량공급 장치(100)와 꽃밥 분리장치(200)사이의 설치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칸막이부재(122)는 벨트(121a)의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간격으로 모든 벨트(121a)의 표면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판형상부재로서, 일 구현예로서 벨트(121a)와 동일한 폭(가로길이)을 갖고 일정높이(세로길이)를 갖는 장방형상 평판일 수 있다. 칸막이부재(122)의 설치간격은 상술된 바와 같이 수용유닛(110)의 하부개구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측벽부재(123)는 컨베이어프레임(121b) 양측에서 벨트(121a)의 길이방향을 감싸도록 각각 상부측으로 칸막이부재(122)와 수직하고 접하도록 설치되는데 2개의 매우 긴 장방형상 판상부재로서, 일 구현예로서 벨트 컨베이어(121)와 동일하거나 긴 폭(가로길이)을 갖고 칸막이부재(122)의 일정높이보다 높은 높이(세로길이)를 가질 수 있다. 지지대(124)는 컨베이어프레임(121b) 하부에 부착되어 벨트 컨베이어(121)가 일정한 각도의 경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벨트 컨베이어(121)를 일정한 각도로 지지할 수 있기만 하면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꽃 정량공급장치(100)의 이동편이성을 위해 지지대의 하부에는 4개 이상의 바퀴가 부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필요한 경우, 운반유닛(120)의 상부측 단부와 연결되어 꽃밥 분리장치(200)로 꽃을 공급하기 위해 운반유닛(120)에 의해 공급된 꽃을 수용하는 상부수용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부수용유닛(130)은 그 상부개구는 방사형으로 넓게 형성되어 운반유닛(120)에 의해 공급된 꽃을 외부로 떨어뜨리지 않고 모두 수용할 수 있고, 상부개구가 하방으로 감소되어 그 하부개구는 꽃밥 분리장치(200)의 상부투입구(221a)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유닛(110)은 운반유닛(120)의 하부 일정위치에 고정 설치되는데, 수용유닛(110)의 운반유닛(120)에 대한 설치위치는 채취한 꽃을 작업자가 수용유닛(110)에 투입하기 용이한 높이로 결정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수용유닛(110)과 운반유닛(120)의 연결 설치상태가 도시된 도 3을 참조하면, 수용유닛(110)의 양측 하단부(112b)가 컨베이어프레임(121b)의 양측 하부에서 각각 고정되어 수용유닛(110)의 다른 하단부(112c)가 측벽부재(123)와 인접하여 하부부재(112)의 하부개구(112a)가 벨트(121a)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결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용유닛(110)을 이루는 하부부재의 하부개구(112a)로부터 투입된 꽃들이 낙하하여 운반유닛(120)의 칸막이부재(122)와 칸막이부재(122)사이 공간의 벨트(121a)에 위치된 상태로 벨트 컨베이어(121)의 동작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수용유닛(110)과 운반유닛(120)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측벽부재(123)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있어 꽃들이 수용유닛(110)이 고정 설치된 위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외부로 떨어질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유닛(110)의 양측 하단부(112b)가 고정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일정영역만큼 2개의 측벽부재(123)와 2개의 측벽부재(123) 사이에 위치한 벨트(121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면을 덮도록 덮개부재(126)가 1개 이상 더 설치될 수 있는데, 덮개부재(126)는 꽃들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용유닛(110)과 운반유닛(120)을 포함하는 꽃 정량공급장치(100)는 자체 스위치 또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21)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는데, 특히 운반유닛(120) 즉 벨트 컨베이어(121)의 속도를 제어하여 꽃밥 분리장치(200)로 공급하는 꽃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속도를 빠르게 하면 꽃밥 분리장치(200)로 공급되는 꽃의 수량이 감소되고 속도를 느리게 하면 꽃밥 분리장치(200)로 공급되는 꽃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꽃밥 분리장치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꽃밥 분리장치는 꽃으로부터 꽃밥이 떨어질 수 있도록 꽃에 물리적 힘을 가하는 장치로서, 꽃이 꽃밥 분리장치를 거치게 되면 꽃의 구성요소 즉 꽃받침, 줄기, 꽃잎, 꽃밥 및 수술대 등으로 각각 분리되는데, 꽃밥이 5중량% 미만으로 거의 없는 부분은 버려지고 대부분의 꽃밥이 포함된 꽃밥분쇄물을 분리된 꽃밥으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꽃밥 분리장치(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용유닛(210), 본체(220), 회전분쇄유닛(230)을 포함하는데, 후술하는 구성을 가진 상부수용유닛(210), 본체(220), 회전분쇄유닛(230)은 도 4에 도시된 프레임유닛(240)의 내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프레임유닛(240)의 하부에는 꽃밥 분리장치(200)의 이동편의성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부수용유닛(210)은 꽃 정량공급 장치(100)로부터 꽃을 공급받아 분쇄공간(226)으로 투입하기 위해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그 상부개구는 방사형으로 넓게 형성되어 운반유닛(120)에 의해 공급된 꽃을 외부로 떨어뜨리지 않고 모두 수용할 수 있고, 그 하부개구는 상부투입구(221a)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220)는 그 내부에 상부수용유닛(210)으로부터 투입되는 꽃을 분쇄할 수 있는 폐쇄된 분쇄공간(226)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분쇄공간(226)을 형성하는 각각의 면 중 상부수용유닛(210)의 하부개구와 연통되는 상부투입구(221a)가 상부면(221)의 일정영역에 형성되고, 꽃 분쇄물 중 꽃밥이 5중량%미만으로 포함된 찌꺼기를 배출하는 찌꺼기배출구(223a)가 측면(223) 중 어느 일측면으로 형성되며, 꽃 분쇄물 중 찌꺼기를 제외한 꽃밥 포함 분쇄물이 배출되는 꽃밥 포함 분쇄물 배출구(222a)가 하부면(222)에 형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20)이 내부가 비어 있는 길쭉한 원통 형상을 갖고 지면에 수평한 상태로 꽃밥 분리장치(200)의 프레임유닛(240)에 설치되는 경우, 상부투입구(221a)는 본체(220)의 상부면(221)의 일측 특히 꽃 정량공급장치(100)에 가까운 전면(223)측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찌꺼기배출구(223a)는 본체(220)의 후면(223) 하단에 형성되며, 분쇄물배출구(222a)는 본체(220)의 하부면(222)에 형성된다. 필요한 경우, 상부투입구(221a)와 분쇄물배출구(222a)가 본체(220)의 측면(223)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중력에 의해 꽃 정량공급 장치(100)로부터 투입되는 꽃이 본체(210의 분쇄공간(226) 내부로 효과적으로 낙하하여 투입되고, 꽃밥 포함 분쇄물이 본체(220)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투입구(221a)는 본체(210의 상부면(221)에 형성되고, 분쇄물배출구(222a)는 본체(220)의 하부면(222)에 형성되었다. 여기서, 분쇄물배출구(222a)는 회전드럼(231)의 회전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폭이 좁은 구멍(이하 "장 홀")이 일정간격으로 본체(220)의 하부면(222) 전체에 복수 개 타공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분쇄물배출구(222a)의 구성은 회전드럼(231이 꽃을 분쇄한 다음 꽃 분쇄물 전체를 회전하면서 얻어진 찌꺼기는 회전시키는 동시에 후방으로 이송하며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꽃밥 포함 분쇄물이 찌꺼기로부터 분리되어 하방으로 용이하게 낙하하여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분쇄물배출구(222a)를 구성하는 장 홀의 길이 및 폭은 꽃밥 포함 분쇄물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본체(220)의 후면(223)에는 찌꺼기배출구(223a)의 높이 또는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찌꺼기배출조절부재(224)가 구비된다. 필요한 경우 찌꺼기배출조절부재(224)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쭉한 상하 방향 장 홀(224a)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 장 홀(224a)에 볼트(224b)를 삽입하여 본체(220)의 후면(223)에 체결된다. 즉, 찌꺼기배출조절부재(224)는 상하 방향 장 홀(224a)이 볼트(224b)에 체결되는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본체(220)의 후면(223)에 체결되는 높이를 가변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찌꺼기배출조절부재(224)에 의해 찌꺼기배출구(223a)를 가로막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찌꺼기가 배출되는 구멍의 크기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찌꺼기배출구(223a)의 높이 및 크기의 가변은 본체(220) 내부에서 꽃 분쇄물의 정체되는 시간 및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찌꺼기배출구(223a)의 높이를 낮게 할 경우, 찌꺼기가 본체(220) 내부에서 정체되는 시간이 짧아지고 배출 속도는 빨라져 꽃밥 포함 분쇄물에 꽃밥의 함유량정도는 높일 수 있으나 시간대비 얻어지는 꽃밥포함 분쇄물의 배출량은 줄어든다. 그러나 찌꺼기배출구(223a)의 높이를 높게 할 경우, 찌꺼기가 본체(220)내부에서 정체되는 시간이 길어져, 시간 대비 꽃밥 포함 분쇄물의 배출량을 늘려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전체적인 꽃밥의 배출량을 늘릴 수는 있으나 꽃밥 포함 분쇄물에 꽃밥의 함유량정도는 낮아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꽃의 종류나 수분 함량 정도에 따라 찌꺼기배출구(223a)의 높이 및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꽃밥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본체(220)의 외부측으로 찌꺼기 배출구(223a)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찌꺼기 분리슈트(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분쇄유닛(23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드럼(231), 블레이드부재(232) 및 모터(233)를 포함한다. 회전드럼(231)은 지면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본체(220)의 분쇄공간(226) 내에 설치되는데, 일구현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회전드럼(231)은 모터(233)에 의해 회전하는데 모터(233)의 동력은 풀리(233a)와 벨트(233b)를 통해 회전드럼(231)의 회전축에 전달된다. 필요한 경우 모터(233)의 회전축이 회전드럼(231)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모터(233)의 회전축과 회전드럼(231)의 회전축 사이에는 회전력을 적절한 기어비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는 감속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모터(233)는 인버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속도가 가변될 수 있는 가변속 모터일 수 있으며, 본체(220)로 투입되는 꽃의 양이나 종류 또는 수분(물기) 함량 등 꽃의 상태에 따라 회전드럼(231)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부재(232)는 회전드럼(231)의 외부면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부착되어 형성되고, 투입된 꽃을 분쇄하고 찌꺼기를 찌꺼기 배출구(223a)로 이송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232a) 및 복수 개의 제2블레이드(232b)로 구성된다. 제1블레이드(232a)는 회전축에 수직방향으로 회전드럼(231)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투입된 꽃을 분쇄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블레이드(232)는 투입되는 꽃과 접촉하여 분쇄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꽃의 분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 타원형상의 면으로 이루어지며, 면이 회전드럼(231)의 회전축에 수직이 되도록 부착된다. 특히 제1블레이드(232a)는 회전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개(이하 '제1 블레이드 셋'이라 함) 구비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 셋은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의 블레이드 셋들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232b)는 회전축에 대해 나선방향(spiral)을 따라 부착 형성되어 투입된 꽃을 분쇄하는 동시에 찌꺼기를 찌꺼기 배출구(223a)로 이송하는 구성요소로서, 제2블레이드(232b)는 회전축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비스듬한 방향으로 부착되는데, 제2블레이드(232b)가 투입되는 꽃을 분쇄하는 동시에 찌꺼기배출구(223a) 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꽃밥 분리장치(200)는 꽃을 분쇄하는 동시에 일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단속적이 아닌 연속적으로 꽃을 분쇄할 수 있고, 대량의 꽃밥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블레이드(232b)는 제1블레이드(232a)와 비교하여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철사와 같은 와이어를 구부린 고리형태(급치(扱齒))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회전드럼(231) 내부에서 분쇄물을 이송할 때, 부하가 커져 모터(233)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분쇄물이 회전하며 이송될 때, 본체(220)의 내측 하부면(222)에 형성된 분쇄물배출구(222a)로 자유롭게 낙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찌꺼기와 꽃밥포함 분쇄물이 효과적으로 분리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꽃밥 분리장치(200)는 꽃밥 분리장치(200)의 처리속도를 고려하여 설정된 꽃 정량공급장치(100)의 공급 속도에 따라 일정한 양의 꽃이 연속적으로 투입되어 꽃밥 포함 분쇄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분리된 꽃밥을 빠르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꽃밥 분리장치(200)는 작업자로부터 꽃의 양 또는 종류를 입력받고 꽃의 양 또는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분쇄유닛(230)에 동력을 부여하는 모터(233)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패널이 내장되거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4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꽃밥 선별장치에 대해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꽃밥 선별장치는 꽃밥 분리장치에서 얻어진 꽃밥 포함 분쇄물로부터 꽃밥만을 정선하기 위한 장치로서, 꽃밥을 고르기 위한 선별체를 1개 이상 포함하는데, 적어도 1개의 선별체는 체눈의 크기가 3mm미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꽃밥의 크기가 3mm미만이므로, 순도가 거의 100%에 가까운 꽃밥만을 선별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꽃밥 분리장치(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체유닛(310), 프레임유닛(320), 진동유닛(330) 및 꽃밥저장유닛(340)을 포함한다.
선별체유닛(310)은 꽃밥 분리장치(200)로부터 얻어진 꽃밥포함분쇄물 중 체 눈 크기보다 작은 꽃밥은 하방으로 낙하시켜 통과시키고, 나머지 분쇄물은 체의 표면에 남기는 선별체를 1개 이상 포함한다. 선별체유닛(310)에 포함된 선별체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입자만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일종의 거름망으로써, 거름망을 구성하는 체 눈의 크기는 선별된 꽃밥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 선별체의 개수 및 설치위치에 따라 각각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체유닛(310)은 그 일단이 프레임부재(321)를 이루는 길이방향 좌우측면과 폭방향 전후측면 중 전면 또는 후면의 상단부에 인접하고 타단이 프레임부재(321)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별체유닛(321)의 길이방향 일단은 높고 그 타단이 낮게 기울어져 설치되면, 선별체유닛(321)을 통과하지 못하고 남은 나머지 분쇄물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해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321)의 전면 또는 후면의 하단부측으로 분쇄물배출구(321b')가 더 형성되면, 선별체유닛(310)을 통과하지 못한 나머지 분쇄물이 선별체유닛(310)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분쇄물배출구(321b')로 배출될 수 있다. 선별체유닛(310)에 선별체가 2개 이상 설치되는 경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체가 2개 설치되는 경우, 상부선별체(311)를 이루는 체 눈 크기는 3 내지 7mm이고, 하부선별체(312)를 이루는 체눈 크기는 3mm미만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선별체(311)와 하부선별체(312)의 체 눈의 크기를 상이하게 하는 이유는 꽃밥의 수율 및 순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즉, 상부선별체(311)는 체 눈의 크기가 3 내지 7mm 사이로서 비교적 커서 꽃밥 분리장치(200)로부터 얻어진 꽃밥 포함 분쇄물 중 꽃잎과 같은 큰 입자의 분쇄물은 선별체 상에 남지만 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분쇄물이 통과하게 되고, 하부선별체(312)는 체 눈의 크기가 3mm미만이므로 수술대 등과 같은 작은 입자의 분쇄물은 상부선별체(311)를 통과했더라도 하부선별체(312)는 통과하지 못하고 선별체 상에 남게 되고 크기가 3mm미만인 꽃밥만이 통과되므로 최종적으로 꽃밥 만을 정선하여 선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상부선별체(311)를 통과하지 못한 큰 입자의 분쇄물인 보통 정도의 크기를 갖는 꽃잎 등은 'b'의 경로를 통해 분쇄물배출구(321b')로 배출되고, 하부선별체(312)를 통과하지 못한 작은 입자의 분쇄물인 가장 작은 크기를 갖는 수술대 등이'c'의 경로를 통해 분쇄물배출구(321b') 로 배출된다. 이 때, 'b'의 경로로 배출되는 큰 입자분쇄물 및 'c'의 경로로 배출되는 작은 입자분쇄물에는 꽃밥이 섞여있게 되므로 분쇄물배출구(321b')로 배출되는 분쇄물을 폐기하지 않고 수집하여 꽃밥 분리장치(200)에 다시 투입하여 분쇄한 후 꽃밥 선별장치(300)에서 다시 선별하게 되면 꽃밥의 수득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유닛(320)의 외부측으로 분쇄물배출구(321b')와 연결되거나 그 하방에 위치하여 배출되는 나머지 분쇄물을 수집하는 수집유닛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유닛(320)은 선별체유닛(310)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공간은 프레임부재(321)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서 프레임부재(3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체유닛(310)이 설치된 상태에서 개방되도록 전체적으로 상부개구(321a)가 장방형으로 형성된 상부면, 상부개구(321a)를 형성하는 4개의 측면(321b) 및 길이방향측 중심부로 경사면을 이루도록 모아져 그 폭은 상부개구(321a)의 폭 미만이고, 그 길이는 상부개구(321a)의 길이 이하인 하부개구(321a')가 형성된 하부면(321c)을 포함한다. 프레임유닛(320)은 선별체유닛(321)이 설치된 프레임부재(321)의 하부개구(321a')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에 위치하도록 프레임부재(321)를 지지 고정하는 프레임부재지지체(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재지지체(322)가 형성되면 프레임부재(321)의 하부개구(321a') 하방에 꽃밥저장유닛(340)이 프레임유닛(320)과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프레임부재지지체(322)는 프레임부재(32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22b)이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322b)은 진동유닛(330)에 의한 진동이 선별체유닛(310)에 가해질 때, 상하방향으로 선별체유닛(310)이 설치된 프레임부재(321)가 진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별체유닛(310)의 선별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지면과 같은 소정의 지지위치에 선별체유닛(310)이 설치된 프레임부재(321)가 스프링 상에 고정되어 떠 있도록 위치시킬 수 있기만 하면 프레임부재(321)와의 연결 위치 및 프레임부재지지체(322) 내에서의 설치위치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일 구현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22b)이 포함된 프레임부재지지체(322)는 프레임부재(321)의 측면(321b) 중 길이방향 양 측면의 양 단부측으로 2개씩 4개의 연결구(322a)가 설치되고, 연결구(322a)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22b) 및 스프링(322b)이 설치되는 4개의 다리와 각 다리에 의해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2개의 모서리가 연결된 형태의 지지대(32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도 선별체유닛(310)이 설치된 프레임유닛(320)의 이동편의성을 위해 지지대(322c)의 하부에는 4개 이상의 바퀴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진동유닛(330)은 프레임유닛(320) 내부에 설치된 선별체유닛(3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프레임유닛(320)에 고정 설치되어 선별체유닛(310)에 의한 꽃밥 포함 분쇄물의 선별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바이브레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유닛(33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는 마그네틱 바이브레이터, 초음파, 에어, 진동 모터 등을 이용하는 바이브레이터 등 그 종류에는 특별한 제약없이 공지된 모든 종류의 바이브레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꽃밥저장유닛(340)은 프레임부재(321)의 하부개구(321a') 하방에 설치되어 선별체유닛(310)에 의해 선별된 꽃밥을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320)과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프레임부재(321)의 하부개구(321a')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서랍식으로 선별된 꽃밥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유닛(320)과 꽃밥저장유닛(340)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도 꽃밥저장유닛(340)의 하부측으로 이동편의성을 위해 바퀴부재가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꽃밥저장유닛(340)은 일 구현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320)과 분리 가능하고, 그 상부면에 프레임부재(321)의 하부개구(321a')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삽입 가능한 크기의 상부개구(341a')가 형성된 통형상의 저장부재(34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재(341)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지만 꽃밥 선별장치(300)의 선별용량 및 프레임부재(321)의 하부개구(321a')의 지면에서의 높이를 고려하여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선별된 꽃밥을 이동시켜 포장하거나 다른 장치(화분채취기 등)에 꽃밥을 투입시키기 용이한 형태 예를 들면저장부재(341)의 상부면(341a)이 개폐가 가능하게 구현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필요한 경우 꽃밥저장유닛(340)은 저장부재(341)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퀴부재(3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퀴부재(3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41)의 하부에 직접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저장부재(341)의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대를 판상 또는 프레임으로 형성한 다음 그 하부에 4개 이상의 바퀴부재를 형성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꽃밥 선별장치(300) 또한 꽃밥 분리장치(200)의 처리속도 및 그에 따라 얻어지는 꽃밥 포함 분쇄물의 종류 및 양을 고려하여 진동유닛(330)의 진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패널이 내장되거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4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된 구성의 꽃 정량공급장치(100), 꽃밥 분리장치(200) 및 꽃밥 선별장치(300)는 서로 연결 설치되면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1)은 꽃 정량공급장치(100), 꽃밥 분리장치(200) 및 꽃밥 선별장치(300)를 포함하는데, 필요한 경우 컨트롤박스(400) 와 수집 및 이송장치(50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1)을 살펴본다. 여기서, 꽃 정량공급장치(100), 꽃밥 분리장치(200) 및 꽃밥 선별장치(300)에 대해서는 각 장치의 개별적인 구성을 상술한 바 있으므로 각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연결관계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1)에서 꽃 정량공급 장치(100)는 운반유닛(120)을 통해 채취한 꽃을 일정량씩 꽃밥 분리장치(200)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꽃밥 분리장치(200)는 운반유닛(120) 상단부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꽃 정량공급 장치(100)로부터 꽃을 공급받아 꽃밥 포함 분쇄물을 형성한다. 꽃밥 선별장치(300)는 꽃밥 분리장치(200)의 본체(220)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꽃밥 분리장치(200)에 의해 분리된 꽃밥포함분쇄물로부터 꽃밥만을 선별하는 구성요소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꽃밥 분리장치(200)의 본체(220)와 꽃밥 선별장치(300) 사이의 이격된 소정거리가 형성하는 공간에서 꽃밥포함분쇄물이 꽃밥 선별장치(300)로 자유낙하하면서 꽃밥 선별장치(300)가 아닌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거리에 대응하는 측벽을 형성하는 가림막이 본체(220) 하방의 전후좌우로 본체(220)가 고정 설치된 프레임유닛(240)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1)에서 꽃 정량공급 장치(100), 꽃밥 분리장치(200) 및 꽃밥 선별장치(3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지만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별개의 장치로 사용되거나 하나의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장치가 분리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경우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꽃 정량공급 장치(100), 꽃밥 분리장치(200) 및 꽃밥 선별장치(300)는 모두 이동가능하게 하부에 바퀴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1)이 컨트롤박스(400)를 포함하는 경우 컨트롤박스(400)를 통해 꽃 정량공급 장치(100), 꽃밥 분리장치(200) 및 꽃밥 선별장치(300)의 꽃의 종류나 상태 등에 따라 작업모드를 작업자가 기 설정하여 제어할 수 있는데, 컨트롤박스(4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밥 분리장치(200)의 프레임유닛(240) 외부에 장착시켜 구현할 수도 있지만, 별도로 분리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구현된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1)에서 컨트롤박스(400)는 디폴트로 꽃 정량공급 장치(100)의 운반유닛(120)의 칸막이부재(122)와 칸막이부재(122) 사이에 수용유닛(110)의 하부개구(112a)가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작업자는 작업할 채취한 꽃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꽃 정량공급 장치(100)의 운반속도, 꽃밥 분리장치(200)의 분쇄속도 및 꽃밥 선별장치(300)의 진동속도를 컨트롤박스의 조작패널 상에서 설정한다. 그 후 컨트롤박스를 통해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1)을 동작시킨 후 작업자가 꽃 정량공급 장치(100)의 수용유닛(110)에 채취한 꽃을 투입하거나, 작업자가 꽃 정량공급 장치(100)의 수용유닛(110)에 채취한 꽃을 가득 투입한 다음 컨트롤박스를 통해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1)을 동작시키게 되면 운반유닛(120)의 속도에 따라 칸막이부재(122)와 칸막이부재(122) 사이에 일정량의 꽃이 위치하여 꽃밥 분리장치(200)로 꽃이 공급되고, 꽃밥 분리장치(200)는 공급된 꽃을 분쇄하여 꽃밥 포함 분쇄물을 하방에 위치한 꽃밥 선별장치(300)로 자유낙하시키며 꽃밥 선별장치(300)는 진동에 의해 꽃밥만을 선별하여 꽃밥저장유닛(340)에 저장하게 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높은 순도로 선별된 꽃밥을 대량으로 얻을 수 있다. 이 때 꽃밥 선별장치(300)의 분쇄물배출구(321b')를 통해 배출되는 분쇄물에 포함된 꽃밥을 채취하여 전체적인 꽃밥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1)은 도 13과 같이 수집 및 이송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1)이 도 13과 같이 구현되면, 컨트롤박스의 조작패널 설정시 수집 및 이송장치(500)의 이송속도를 분쇄물이 수집유닛(510)을 채우는 속도를 고려하여 설정하게 되면, 수집 및 이송장치(500)에 의해 분쇄물이 자동으로 일정량씩 꽃 정량공급장치(100) 또는 꽃밥 분리장치(2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및 이송장치(500)는 꽃밥포함분쇄물 중 꽃밥 선별장치(300)를 통해 선별된 꽃밥을 제외한 나머지 분쇄물 즉 꽃밥 선별장치(300)의 분쇄물배출구(321b')를 통해 배출되는 분쇄물을 수집하여 꽃 정량공급 장치(100) 또는 꽃밥 분리장치(200)로 이송시켜 재활용하는 구성요소로서, 수집 및 이송장치(500)는 나머지분쇄물이 수집되는 수집유닛(510) 및 수집유닛(510)으로부터 나머지분쇄물을 꽃 정량공급 장치(100) 또는 꽃밥 분리장치(200)로 이송하는 이송유닛(520)을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유닛(510)은 꽃밥 선별장치(300)의 분쇄물배출구(321b')의 하방에 위치하여 분쇄물을 수집하는 구성요소이고, 이송유닛(520)은 상부에 수집유닛(510)이 형성된 벨트 컨베이어(521) 및 벨트 컨베이어(521)를 일정한 경사로 지지하는 지지대(5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521)는 공지된 구성의 벨트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컨베이어 프레임(521b)에 컨베이어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가 설치되고, 벨트(521a)가 표면에 장착되어 일정 길이로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벨트 컨베이어(521)의 길이, 형태 및 경사각은 꽃밥 선별장치(300)와 꽃 정량공급 장치(100) 또는 꽃밥 분리장치(200)사이의 설치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서는 곡선형 벨트 컨베이어가 사용되었다. 지지대(522)는 컨베이어프레임(521b) 하부에 부착되어 벨트 컨베이어(521)가 일정한 각도의 경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벨트 컨베이어(521)를 일정한 각도로 지지할 수 있기만 하면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송 및 수집장치(500)의 이동편이성을 위해 지지대(522)의 하부에는 4개 이상의 바퀴가 부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수집유닛(510)은 벨트 컨베이어(521)상에 형성되는 칸막이부재(511) 및 측벽부재(512)를 포함한다. 칸막이부재(511)는 벨트(521a)의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간격으로 모든 벨트(521a)의 표면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판형상부재로서, 일 구현예로서 벨트(521a)와 동일한 폭(가로길이)을 갖고 일정높이(세로길이)를 갖는 장방형상 평판일 수 있다. 칸막이부재(511)의 설치간격은 꽃밥 선별장치(300)에서 배출되는 분쇄물의 함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측벽부재(512)는 컨베이어프레임(521b) 양측에서 벨트(521a)의 길이방향을 감싸도록 각각 상부측으로 칸막이부재(511)와 수직하고 접하도록 설치되는데 2개의 매우 긴 장방형상 판상부재로서, 일 구현예로서 벨트 컨베이어(521)와 동일하거나 긴 폭(가로길이)을 갖고 칸막이부재(5111)의 일정높이보다 높은 높이(세로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
100 : 꽃 정량공급 장치 110 : 수용유닛
111 : 상부부재 112 : 하부부재
120 : 운반유닛 121 : 벨트 컨베이어
121a :벨트 121b : 컨베이어 프레임
122 : 칸막이부재 123 : 측벽부재
124 : 지지대 125 : 덮개부재
126 : 바퀴부재 130 : 상부수용유닛
200 : 꽃밥 분리장치 210 : 상부수용유닛
220 : 본체 221 : 상부면
221a : 상부투입구 222 : 하부면
222a : 분쇄물 배출구 223 : 측면
223a : 찌꺼기배출구 224 : 찌꺼기배출조절부재 226: 분쇄공간
225 : 찌꺼기분리슈트 230 : 회전분쇄유닛
231 : 회전드럼 232 : 블레이드부재
232a : 제1블레이드 232b : 제2블레이드
233 : 모터
300 : 꽃밥 선별장치 310 : 선별체유닛
311 : 상부 선별체 312 : 하부선별체
320 : 프레임유닛 321 : 프레임부재
321a : 상부개구 321b: 측면
321b': 분쇄물배출구 321c : 하부면
321c': 하부개구 322 : 스프링지지체
330 : 진동유닛 340 : 꽃밥저장유닛
341 : 저장부재 341a : 상부개구
342 : 바퀴부재 350 : 수집유닛
400 : 컨트롤박스 500 : 수집 및 이송장치
510 : 수집유닛 520 : 이송유닛

Claims (32)

  1. 채취한 꽃들이 투입되어 수용되는 수용유닛; 및
    상기 수용유닛의 하부 개구와 연결되어 상기 꽃들을 꽃밥 분리장치로 공급하는 운반유닛;을 포함하는 꽃 정량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방사형으로 넓은 상부개구가 하방으로 감소되어 더 작은 직경의 하부개구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 상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개구와 연통되고 일정각도를 갖도록 상기 하부개구에서 연장 형성되며 그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정량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는
    벨트가 장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 벨트 컨베이어;
    상기 벨트의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간격으로 모든 벨트표면상에 설치되는, 상기 벨트와 동일한 폭을 갖고 일정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판형상 칸막이부재;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컨베이어프레임 양측에서 각각 상부측으로 상기 칸막이부재와 접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동일하거나 긴 길이를 갖고 상기 칸막이부재의 일정높이보다 높은 2개의 판형상 측벽부재; 및
    상기 컨베이어프레임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가 일정한 각도의 경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정량공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의 양측 하단부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의 양측 하부에서 각각 고정되어 상기 수용유닛의 다른 하단부가 상기 측벽부재와 인접하여 상기 벨트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정량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는 상기 수용유닛의 양측 하단부가 고정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일정영역으로 상기 2개의 측벽부재와 상기 2개의 측벽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덮도록 형성되는 1개 이상의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정량공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꽃밥 분리장치로 공급하는 꽃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정량공급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의 상부측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꽃밥 분리장치로 꽃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운반유닛에 의해 공급된 꽃을 수용하는 상부수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정량공급 장치.
  8. 꽃 정량공급 장치로부터 꽃을 공급받아 분쇄공간으로 투입하기 위해 수용하는 상부수용유닛;
    그 내부에 상기 상부수용유닛으로부터 투입되는 꽃을 분쇄할 수 있는 폐쇄된 분쇄공간을 제공하는데, 상기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각각의 면 중 상기 상부수용유닛의 하부개구와 연통되는 상부투입구가 상부면의 일정영역에 형성되고, 꽃 분쇄물 중 꽃밥이 5중량%미만으로 포함된 찌꺼기를 배출하는 찌꺼기배출구가 측면 중 어느 일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꽃 분쇄물 중 상기 찌꺼기를 제외한 꽃밥 포함 분쇄물이 배출되는 꽃밥 포함 분쇄물 배출구가 하부면에 형성되는 본체; 및
    지면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분쇄공간 내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원통상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된 꽃을 분쇄하고 상기 찌꺼기를 상기 찌꺼기 배출구로 이송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회전분쇄유닛;을 포함하는 꽃밥 분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에 대해 나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분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는 면이 있는 판형의 블레이드이고,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와이어를 구부린 고리형의 블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분리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측으로 상기 찌꺼기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찌꺼기 분리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분리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배출구의 높이 또는 크기를 조절하는 찌꺼기배출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분리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꽃밥포함분쇄물 배출구는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는 구멍이 일정간격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면 전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분리장치.
  14. 꽃밥 분리장치로부터 얻어진 꽃밥포함분쇄물 중 체 눈 크기보다 작은 꽃밥은 하방으로 낙하시켜 통과시키고, 나머지 분쇄물은 남기는 하나 이상의 선별체유닛;
    상기 선별체유닛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체유닛이 개방되도록 전체적으로 상부개구가 장방형으로 형성된 상부면, 상기 상부개구를 형성하는 4개의 측면 및 상기 4개의 측면 하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모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그 폭은 상기 상부개구의 폭 미만이고, 그 길이는 상기 상부개구의 길이 이하인 하부개구가 형성된 하부면이 포함된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유닛;
    상기 선별체유닛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유닛;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부개구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체유닛에 의해 선별된 꽃밥을 저장하는 꽃밥저장유닛;를 포함하는 꽃밥 선별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체유닛은 그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재를 이루는 길이방향 좌우측면과 폭방향 전후측면 중 전면 또는 후면의 상단부에 인접하고 타단은 그 하단부에 인접하게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선별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체유닛이 설치된 상기 프레임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의 하단부측으로 분쇄물배출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선별체유닛을 통과하지 못한 상기 나머지 분쇄물이 상기 선별체유닛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분쇄물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선별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의 외부측으로 상기 분쇄물배출구와 연결되거나 그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배출되는 상기 나머지 분쇄물을 수집하는 수집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선별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부개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재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선별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지지체는 상기 프레임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선별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체유닛은 선별체가 2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선별체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상부선별체를 이루는 체눈 크기는 3 내지 7mm이고, 하부선별체를 이루는 체 눈 크기는 3mm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선별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꽃밥저장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과 분리 가능하고, 그 상부면에 상기 프레임의 하부개구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삽입 가능한 크기의 상부개구가 형성된 통형상의 저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선별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꽃밥저장유닛은 상기 저장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밥 선별장치.
  23. 운반유닛를 통해 채취한 꽃을 일정량씩 꽃밥 분리장치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꽃 정량공급 장치;
    상기 운반유닛 상단부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로부터 꽃을 공급받아 꽃밥 포함 분쇄물을 형성하는 꽃밥 분리장치; 및
    상기 꽃밥 분리장치의 본체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꽃밥 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된 꽃밥포함분쇄물로부터 꽃밥만을 선별하는 꽃밥 선별장치;를 포함하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 상기 꽃밥 분리장치 및 상기 꽃밥 선별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 상기 꽃밥 분리장치 및 상기 꽃밥 선별장치는 서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 상기 꽃밥 분리장치 및 상기 꽃밥 선별장치는 모두 이동가능하게 하부에 바퀴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꽃밥포함분쇄물 중 상기 꽃밥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된 꽃밥을 제외한 나머지 분쇄물이 수집되어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 또는 꽃밥 분리장치로 이송되어 재활용되는 수집 및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및 이송장치는 나머지분쇄물이 수집되는 수집유닛; 및 상기 수집유닛으로부터 상기 나머지분쇄물을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 또는 꽃밥 분리장치로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
  29. 제 23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꽃밥 분리장치의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꽃밥 분리장치의 본체 하방과 꽃밥 선별장치 사이의 이격된 소정거리에 대응하는 측벽을 형성되는 가림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꽃 정량공급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꽃 정량공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꽃밥 분리장치는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꽃밥 분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꽃밥 선별장치는 제 14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꽃밥 선별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꽃밥 채취시스템.
KR1020170058253A 2017-05-10 2017-05-10 대용량 꽃밥 채취 시스템 KR101961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253A KR101961463B1 (ko) 2017-05-10 2017-05-10 대용량 꽃밥 채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253A KR101961463B1 (ko) 2017-05-10 2017-05-10 대용량 꽃밥 채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898A true KR20180123898A (ko) 2018-11-20
KR101961463B1 KR101961463B1 (ko) 2019-03-22

Family

ID=6456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253A KR101961463B1 (ko) 2017-05-10 2017-05-10 대용량 꽃밥 채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4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9985A (zh) * 2019-04-08 2019-07-12 佛山市欧若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提取物用超微粉碎机
CN110152871A (zh) * 2019-06-20 2019-08-23 长沙埃比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固体垃圾破碎装置
CN111604120A (zh) * 2020-05-29 2020-09-01 宁夏农林科学院种质资源研究所(宁夏设施农业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可移动式果树花粉生产设备
KR102425209B1 (ko) * 2021-08-09 2022-07-27 강동화 회전드럼을 갖는 화분 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9425B (zh) * 2020-01-10 2021-06-15 安徽理工大学 一种用于多源煤基固废充填的筛选转运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0254U (ja) * 1984-05-17 1985-12-17 株式会社ミツワ 遮蔽板付葯採取機
JPS62204467U (ko) * 1986-06-17 1987-12-26
JPH0264517U (ko) * 1988-10-31 1990-05-15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0254U (ja) * 1984-05-17 1985-12-17 株式会社ミツワ 遮蔽板付葯採取機
JPS62204467U (ko) * 1986-06-17 1987-12-26
JPH0264517U (ko) * 1988-10-31 1990-05-15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9985A (zh) * 2019-04-08 2019-07-12 佛山市欧若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提取物用超微粉碎机
CN110152871A (zh) * 2019-06-20 2019-08-23 长沙埃比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固体垃圾破碎装置
CN111604120A (zh) * 2020-05-29 2020-09-01 宁夏农林科学院种质资源研究所(宁夏设施农业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可移动式果树花粉生产设备
KR102425209B1 (ko) * 2021-08-09 2022-07-27 강동화 회전드럼을 갖는 화분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463B1 (ko)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463B1 (ko) 대용량 꽃밥 채취 시스템
US106468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cannabis
JP4601236B2 (ja) 穀物の選別システム
CN102151599B (zh) 一种简易式碎土机
CN108855333A (zh) 一种可调式玉米筛分磨粉装置
JPH10137620A (ja) ガラス粉砕機及びそれを用いたガラス粉砕システム
CN108927277A (zh) 一种饲料循环打碎筛选装置
CN209135449U (zh) 秸秆饲料的一体化制备装置
KR101670988B1 (ko) 석발 기능이 구비된 벼 정선기
KR101235915B1 (ko) 버섯 배지용 톱밥 입도 선별장치
KR101831257B1 (ko) 꽃에서 수술을 분리 채취하는 분리 채취 장치
CN209034435U (zh) 一种透水砖材料粉碎筛选装置
CN112156985B (zh) 油菜籽无级可调分选装置
CN212142827U (zh) 一种用于玉米的粗粉碎装置
KR101978473B1 (ko) 탈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잣 분리 장치
CN112369193B (zh) 一种用于食用向日葵的收割脱粒的方法
CN203942839U (zh) 一种小型谷物清选机
CN208412196U (zh) 一种用于制作桂花鱼饲料的包装装置
CN111774285A (zh) 新型降低vas流化冷床烟丝造碎工艺装置
CN109699558A (zh) 海水植食性鱼类养殖装置及养殖方法
CN216880441U (zh) 一种粮食种子加工用精选装置
CN212237617U (zh) 碎粒机
CN219187723U (zh) 一种甜荞饱瘪种子分离筛选装置
CN217165338U (zh) 一种用于紫花苜蓿种子快速除杂质的装置
CN220830709U (zh) 一种甜菜种子比重风选制粒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