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473B1 - 탈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잣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탈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잣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473B1
KR101978473B1 KR1020180127759A KR20180127759A KR101978473B1 KR 101978473 B1 KR101978473 B1 KR 101978473B1 KR 1020180127759 A KR1020180127759 A KR 1020180127759A KR 20180127759 A KR20180127759 A KR 20180127759A KR 101978473 B1 KR101978473 B1 KR 101978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pine
sorting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차복
Original Assignee
김차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복 filed Critical 김차복
Priority to KR1020180127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8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removing fleshy or fibrous hulls of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4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more than one sepa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는, 제1 잣 모체 - 상기 제1 잣 모체는 제2 잣 모체와 상기 제2 잣 모체를 에워싸는 외피로 이루어짐. - 를 파쇄하여 상기 제2 잣 모체를 획득하기 위한 탈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잣 모체가 유입되는 탈각 유입구와 상기 제2 잣 모체가 배출되는 탈각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각 하우징부; 상기 제1 잣 모체가 파쇄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 상에서 이동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탈각 롤러부; 상기 탈각 하우징부와 상기 탈각 롤러부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롤러부가 상기 탈각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탈각 롤러 지지부; 및 상기 탈각 롤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탈각 롤러부와 함께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탈각 외력인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잣 분리 장치 {SHELLER AND A PINE CONE THRESHER AND PINE NUT SEPARAT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잣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적으로 잣 열매로부터 잣을 분리할 수 있는 잣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잣은 잣나무의 열매로서, 솔 방울 같이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쓰인다. 이러한 잣은 잣 송이로부터 잣 알갱이를 탈리 시킨 후, 껍질을 탈각시켜 획득할 수 있다.
종래의 잣 알갱이를 잣 송이로부터 탈리시키기 위해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 내지 3과 같은 도구를 활용하여, 수확하고자 하는 사람이 직접 방망이나 집게를 이용하여 잣 송이를 파쇄시켜 탈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다만, 수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탈리 방식은 잣 알갱이와 잣 송이서 서로 섞이기 때문에, 잣 알갱이만을 탈리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잣 알갱이로부터 잣을 획득하기 위해서, 집게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일일이 잣 알갱이를 파쇄하여야 했다. 이러한, 수작업은 오랜 시간 동안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잣 분리 공정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삭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834호 (2009. 08. 2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8852호 (2012. 01. 16,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2042호 (2014. 12. 11, 등록)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잣 송이에서 잣을 분리시키기 위한 잣 분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잣 송이 파쇄 장치는, 잣 송이가 구비하는 제1 잣 모체를 수집하기 위하여, 상기 잣 송이가 파쇄되도록 상기 잣 송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잣 송이 파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잣 송이가 유입되는 탈곡 유입구와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탈곡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잣 송이가 파쇄되는 공간인 잣 송이 파쇄 공간을 제공하는 탈곡 하우징부; 상기 탈곡 하우징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잣 탈곡 하우징부를 지지하는 탈곡 지지부;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탈곡 지지부에 연결되는 탈곡 축부;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탈곡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잣 송이가 파쇄되기 전에 상기 제1 탈곡 배출구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잣 송이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탈곡 거름부; 및 상기 탈곡 축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탈곡 유입구와 상기 탈곡 거름부 사이의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탈곡 축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탈곡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잣 송이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잣 송이를 파쇄하는 잣 송이 파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곡 거름부는, 소정 크기의 복수의 거름 홀이 형성되어, 상기 탈곡 유입구에서 상기 탈곡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잣 송이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곡 축부는,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탈곡 지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곡 하우징부는, 상기 탈곡 거름부를 통과되지 못한, 상기 잣 송이가 파쇄되어 형성되는 잣 송이 파쇄물이 보관되도록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과 이격된 공간인 파쇄 보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잣 송이 파쇄부는, 상기 탈곡 축부에 연결되는 기둥 형상의 파쇄본체부 및 상기 파쇄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잣 송이에 외력을 인가하는 파쇄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쇄본체부는,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 및 상기 파쇄 보관 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파쇄돌출부는,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 상에 위치되는 파쇄본체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파쇄 보관 공간 상에 위치되는 파쇄본체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잣 송이 파쇄부는, 상기 탈곡 축부에 연결되는 기둥 형상의 파쇄본체부 및 상기 파쇄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잣 송이에 외력을 인가하는 파쇄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쇄돌출부는, 상기 탈곡 거름부를 통과되지 못한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이 상기 파쇄 보관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파쇄돌출부의 일 측면에서 상기 파쇄돌출부의 타 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과 상기 파쇄 보관 공간이 구분되도록 상기 탈곡 하우징부의 내면에 연결되는 탈곡 격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잣 송이 파쇄부는,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 및 상기 파쇄 보관 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 내의 상기 탈곡 거름부를 통과되지 못한 상기 잣 송이의 파쇄물이 상기 파쇄 보관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탈곡 격리부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곡 하우징부는, 상기 파쇄 보관 공간에 존재되는 상기 잣 송이의 파쇄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파쇄물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 장치에 따르면, 잣 송이를 구비하는 제1 잣 모체를 수집하기 위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잣 송이가 파쇄하기 위하여 상기 잣 송이에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도록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잣 송이 파쇄 장치; 상기 잣 송이 파쇄 장치로 상기 잣 송이를 공급하는 잣 송이 공급 장치; 상기 잣 송이 파쇄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 잣 모체를 포함하는 잣 송이 파쇄물로부터 제1 잣 모체를 분리하는 제1 잣 모체 구별 장치; 상기 제1 잣 모체가 저장되는 제1 잣 모체 탱크; 및 상기 제1 잣 모체 구별 장치에서 상기 제1 잣 모체 탱크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이동시키는 제1 잣 모체 이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는, 제1 잣 모체를 크기 별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 장치에 있어서, 제1 잣 모체를 미리 정해진 제1 크기가 기준인 두 개의 군으로 구별하는 제1 선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선별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인 제1 선별홀이 형성된 제1 선별 거름부 및 상기 제1 선별 거름부가 안착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초과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1-1 선별 배출구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1-2 선별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선별 하우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부에 연결되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선별부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외력인가부; 및 상기 제1 선별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력인가부가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사기 제1 선별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진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선별 거름부는, 상기 제1 선별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선별 거름판 및 상기 제1 선별 거름판과 연결되어, 상기 외력인가부가 미리 정해진 경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외력인가부를 가이드하는 제1 선별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제1 선별 거름판에 연결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에 외삽되어, 상기 진동모터에 의해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를 따라 일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었다가 타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선별 거름판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모터는, 상기 외력인가부가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제1 시간 동안 제1 세기로 상기 제1 선별부에 외력을 인가하고, 상기 외력인가부가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1 세기보다 더 강한 제2 세기로 상기 제2 선별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 거름부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이 안착되는 제1 선별 보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선별 보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선별 거름판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 거름부는,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에 상기 외력인가부가 외삽되는 경우, 상기 제1 선별 거름판과 상기 외력인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제1 선별 교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선별 교환부는,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선별 거름판의 하면이 상기 제1 선별 보완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선별 거름판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 상에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는, 제1 선별 베이스부,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는 제1 선별 측면부 및 상기 제1 선별 보완부가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선별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부는, 상기 제1 선별 돌출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선별 거름부가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의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선별 위치제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는, 상기 제1 선별 측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선별 돌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선별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선별 로드부 및 상기 제1 선별 돌기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제1 선별 로드부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선별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부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유입시키는 제1 잣 모체 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잣 모체 운송부는, 상기 제1 잣 모체를 수용하는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 상기 제1 잣 모체를 상기 제1 선별부로 유입시키는 제1 잣 모체 이동부 및 상기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에서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이동시키는 제1 잣 모체 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는, 일정한 양의 상기 제1 잣 모체를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선별 배출구에서 배출된 상기 제1 잣 모체를 미리 정해진 제2 크기가 기준인 두 개의 군으로 구별하는 제2 선별부; 상기 제1-2 선별 배출구에서 배출된 상기 제1 잣 모체를 미리 정해진 제3 크기가 기준인 두 개의 군으로 구별하는 제3 선별부; 및 상기 제3 선별부에서 선별된 군 중에서 하나의 군의 상기 제1 잣 모체를 미리 정해진 제4 크기가 기준인 두 개의 군으로 구별하는 제4 선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선별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인 제2 선별홀이 형성된 제2 선별 거름부 및 상기 제2 선별 거름부가 안착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초과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2-1 선별 배출구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초과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2-2 선별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선별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선별부는, 상기 제3 선별부는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인 제3 선별홀이 형성된 제3 선별 거름부 및 상기 제3 선별 거름부가 안착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초과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미만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3-1 선별 배출구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3-2 선별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3 선별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4 선별부는, 미리 정해진 제4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인 제4 선별홀이 형성된 제4 선별 거름부 및 상기 제4 선별 거름부가 안착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4 크기 초과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이하인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4-1 선별 배출구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초과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4 크기 이하인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4-2 선별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는, 제1 잣 모체 - 상기 제1 잣 모체는 제2 잣 모체와 상기 제2 잣 모체를 에워싸는 외피로 이루어짐. - 를 파쇄하여 상기 제2 잣 모체를 획득하기 위한 탈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잣 모체가 유입되는 탈각 유입구와 상기 제2 잣 모체가 배출되는 탈각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각 하우징부; 상기 제1 잣 모체가 파쇄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 상에서 이동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탈각 롤러부; 상기 탈각 하우징부와 상기 탈각 롤러부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롤러부가 상기 탈각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탈각 롤러 지지부; 및 상기 탈각 롤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탈각 롤러부와 함께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탈각 외력인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롤러 지지부는, 상기 탈각 롤러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탈각 롤러부가 연결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탈각 하우징부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탈각 기준부, 상기 탈각 기준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탈각 기준부와 연결되는 탈각 회전부 및 상기 탈각 하우징부에 고정되며 상기 탈각 회전부가 연결되는 탈각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탈각 기준부는, 상기 탈각 회전부가 상기 탈각 기준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탈각회전부가 상기 탈각 연결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탈각 하우징부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연결부는, 상기 탈각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탈각 연결부 및 상기 탈각 연결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회전부가 외삽되는 탈각 연결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탈각 회전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일단부는 상기 탈각 기준부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연결매개부에 외삽되도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탈각 롤러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와 연결되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탈각 하우징부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는 탈각 마찰부, 상기 탈각 마찰부가 안착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탈각 하우징부에 대해서 탈착되는 탈각 본체부 및 상기 탈각 본체부가 상기 탈각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탈각 마찰부가 상기 탈각 롤러부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탈각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탈각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탈각 마찰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탈각 위치 제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위치 제한부는, 상기 탈각 본체부에 안착되는 상기 탈각 마찰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각 본체부의 일측 방향으로의 상기 탈각 마찰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탈각 위치 제한부 및 상기 탈각 본체부에 안착되는 상기 탈각 마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각 본체부의 타측 방향으로의 상기 탈각 마찰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탈각 위치 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탈각 본체부는, 상기 제1 탈각 위치 제한부가 상기 탈각 본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탈각 위치 제한부가 삽입되는 복 수의 탈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본체부는, 상기 탈각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탈각 마찰부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기 제2 탈각 위치 제한부를 상기 탈각 본체부의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탈각 본체부의 타단부에 가압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하우징부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이동시키는 제1 잣 모체 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잣 모체 운송부는, 상기 제1 잣 모체를 수용하는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 상기 제1 잣 모체를 상기 제1 탈각 하우징부로 유입시키는 제1 잣 모체 이동부 및 상기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에서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이동시키는 제1 잣 모체 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는, 일정한 양의 상기 제1 잣 모체를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하우징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와 제1 잣 모체 분쇄물을 각각 분리시키는 탈각 분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잣 모체 분쇄물은, 상기 제2 잣 모체 및 상기 제1 잣 모체가 파쇄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잣 모체를 제외한 제1 잣 모체 잔여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분별기는, 상기 탈각 하우징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 잣 모체, 상기 제2 잣 모체 및 상기 제1 잣 모체 잔여물 중에서 상기 제2 잣 모체를 분리하는 제1 탈각 분별기 및 상기 제1 탈각 분별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와 상기 제1 잣 모체 잔여물 중에서 상기 제1 잣 모체를 분리하는 제2 탈각 분별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탈각 분별기는, 상기 제2 잣 모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인 제1 분리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분리 거름부 및 상기 제1 분리 거름부가 안착되며, 상기 제1 잣 모체와 상기 제1 잣 모체 잔여물이 배출되는 제1-1 분리 배출구와 상기 제2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1-2 분리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분리 하우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탈각 분별기는, 상기 제1 잣 모체 잔여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인 제2 분리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분리 거름부 및 상기 제2 분리 거름부가 안착되며,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2-1 분리 배출구와 상기 제1 잣 모체 잔여물이 배출되는 제2-2 분리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분리 하우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 장치는, 제2 잣 모체 - 상기 제2 잣 모체는 잣과 상기 잣을 에워싸는 내피로 이루어짐 - 에서 상기 내피를 제거하여 잣을 획득하기 위한 탈피 장치에 있어서, 제2 잣 모체가 소정 조건에 의해 가공되어 형성되는 제2 잣 가공 모체가 유입되는 탈피 유입구와 상기 잣과 상기 내피가 배출되는 탈피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2 잣 가공 모체가 이동되면서 상기 잣과 상기 내피가 분리되는 공간인 분리 공간을 제공하는 탈피 하우징부; 상기 분리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 공간에 있는 상기 제2 잣 가공 모체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잣과 상기 내피를 서로 분리시키는 탈피 외력인가부; 및 상기 탈피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잣의 양을 조절하는 잣 배출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피 외력인가부는, 상기 탈피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피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탈피 축부 및 상기 탈피 축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 축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탈피 축부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탈피 축부와 연결되는 탈피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피 가압부는,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탈피 축부의 가상의 중심 축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탈피 축부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탈피 축부와 연결되는 제1 탈피 가압부 및 상기 탈피 축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탈피 가압부와 이격되며 상기 탈피 축부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탈피 축부와 연결되는 제2 탈피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탈피 가압부는,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제2 탈피 가압부의 가상의 중심 축이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탈피 가압부의 가상의 중심 축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탈피 축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잣 배출 조절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분리 공간 내의 상기 잣과 상기 내피가 상기 탈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없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분리 공간 내의 상기 잣과 상기 내피가 상기 탈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리 공간 내의 상기 잣의 중량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잣 배출 조절부는,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분리 공간 내의 상기 잣과 상기 내피의 외부 배출 여부를 조절하는 잣 배출 위치이동부 및 상기 잣 배출 위치이동부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방해되도록 상기 잣 배출 위치이동부에 외력을 제공하는 잣 배출 중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잣 배출 위치이동부는,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분리 공간 내의 상기 잣과 상기 내피의 외부 배출 여부를 조절하는 잣 배출 격리판 및 상기 탈피 하우징부와 상기 잣 배출 격리판에 연결되어, 상기 잣 배출 격리판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잣 배출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탈피 외력인가부는, 상기 탈피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피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탈피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잣 배출 격리판은, 상기 탈피 축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잣 배출 격리판이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탈피 축부의 단면보다 넓게 형성되는 축부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잣 배출 중량부는, 개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잣 배출 이동부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잣 분리 장치에 따르면, 자동적으로 잣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크기 별로 선별된 잣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잣 획득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잣 획득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잣 분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 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에 대한 일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 장치가 구비하는 잣 송이 파쇄 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 장치가 구비하는 잣 송이 파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도 6은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타측 사시도
도 7은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후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 장치가 구비하는 제1 잣 모체 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가 구비하는 제1 선별부와 제2 선별부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가 구비하는 제1 선별부의 분해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가 구비하는 제1 선별부의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가 구비하는 외력인가부가 위치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16은 도 15의 A부분에 대한 확대 결합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A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가 구비하는 탈각 하우징부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가 구비하는 탈각 하우징부의 측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가 구비하는 탈각 하우징부의 상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가 구비하는 탈각 롤러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가 구비하는 탈각 외력인가부의 분해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가 구비하는 탈각 롤러 지지부가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 장치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 장치가 구비하는 탈피 하우징부,탈피 외력인가부 및 잣 배출 조절부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 장치가 구비하는 탈피 하우징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25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28은 도 25의 A부분의 결합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 장치가 구비하는 탈피 하우징부가 제공하는 분리 공간으로부터 잣이 배출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잣 분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잣 나무에 열린 열매를 잣 송이(P1)라고 할 수 있다.
잣 나무로부터 취득한 잣 송이(P1)를 탈곡 장치에 넣어 제1 잣 모체(P10)를 획득할 수 있다.
잣 송이(P1)는 복 수개의 제1 잣 모체(P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잣 모체(P10)는 견고한 껍질인 외피(D10), 상기 외피(D10)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잣(P30) 및 상기 잣(P30)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는 얇을 껍질의 내피(D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1 잣 모체(P10)는 선별 장치를 통해 크기 별로 선별될 수 있다.
선별된 상기 제1 잣 모체(P10)는 크기 별로 상기 탈각 장치로 유입되어 상기 외피가 탈각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잣 모체(P20)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잣 모체(P20)는 상기 잣(P30) 및 상기 내피(D2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잣 모체(P20)가 상기 탈피 장치로 유입되어, 상기 내피(D20)가 상기 잣(P3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탈피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잣 모체(P20)로부터 상기 잣(P30)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진행할 수 있는 잣 분리 장치는 잣 송이를 파쇄하여 제1 잣 모체(P10)를 획득하는 탈곡 장치, 상기 제1 잣 모체(P10)의 소정의 크기 군으로 선별하는 선별 장치, 상기 제1 잣 모체(P10)를 파쇄하여 제2 잣 모체(P20)를 획득하는 탈각 장치, 상기 제2 잣 모체(P20)를 탈피하여 잣(P30)을 획득하는 탈피 장치 및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장치를 개별적으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 장치에 대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 장치(1000)는, 잣 송이를 구비하는 제1 잣 모체를 수집하기 위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잣 송이가 파쇄하기 위하여 상기 잣 송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잣 송이 파쇄 장치(1100), 상기 잣 송이 파쇄 장치(1100)로 상기 잣 송이를 공급하는 잣 송이 공급 장치(1200), 상기 잣 송이 파쇄 장치(11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 잣 모체를 포함하는 잣 송이 파쇄물로부터 제1 잣 모체를 분리하는 제1 잣 모체 구별 장치(1300), 상기 제1 잣 모체가 저장되는 제1 잣 모체 탱크(1400) 및 상기 제1 잣 모체 구별 장치(1300)에서 상기 제1 잣 모체 탱크(1400)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이동시키는 제1 잣 모체 이동 장치(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잣 송이 공급 장치(1200)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잣 송이 공급 장치(1200)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잣 송이 공급 장치(1200)의 일단부는 상기 잣 송이 파쇄 장치(1100)의 탈곡 유입구(S1110-1)에 이웃되게 배치되고, 상기 잣 송이 공급 장치(1200)의 타단부는 지면에 이웃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잣 송이 공급 장치(1200)는 상기 잣 송이를 지면에서부터 상기 탈곡 유입구(S1110-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잣 송이 파쇄 장치(110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에 대한 일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 장치가 구비하는 잣 송이 파쇄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 장치가 구비하는 잣 송이 파쇄 장치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 장치가 구비하는 잣 송이 파쇄 장치(1100)는 잣 송이가 구비하는 제1 잣 모체를 수집하기 위하여, 상기 잣 송이가 파쇄되도록 상기 잣 송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잣 송이 파쇄 장치(1100)에 있어서, 상기 잣 송이가 유입되는 탈곡 유입구(S1110-1)와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탈곡 배출구(S1110-2)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잣 송이가 파쇄되는 공간인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을 제공하는 탈곡 하우징부(1110), 상기 탈곡 하우징부(111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잣 탈곡 하우징부(1110)를 지지하는 탈곡 지지부(1120),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탈곡 지지부(1120)에 연결되는 탈곡 축부(1130),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 내에 배치되어 상기 탈곡 유입구(S1110-1)로 유입된 상기 잣 송이가 파쇄되기 전에 상기 탈곡 배출구(S1110-2)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잣 송이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탈곡 거름부(1140) 및 상기 탈곡 축부(113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탈곡 유입구(S1110-1)와 상기 탈곡 거름부(1140) 사이의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에 배치되며, 상기 탈곡 축부(113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탈곡 유입구(S1110-1)로 유입된 상기 잣 송이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잣 송이를 파쇄하는 잣 송이 파쇄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잣 송이 파쇄 장치(1100)는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과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이 구분되도록 상기 탈곡 하우징부(1110)의 내면에 연결되는 탈곡 격리부(1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곡 하우징부(1110)는 상기 탈곡 거름부(1140)를 통과되지 못한, 상기 잣 송이가 파쇄되어 형성되는 잣 송이 파쇄물이 보관되도록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과 이격된 공간인 파쇄 보관 공간(S1113)을 더 제공할 수 있다.
탈곡 지지부(112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직립되도록 지면에 배치되는 제1 직립 지지부(1121) 및 제2 직립 지지부(11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곡 지지부(1120)는 상기 제1 직립 지지부(1121)와 상기 제2 직립 지지부(1122)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 지지부(1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립 지지부(1121)와 상기 제2 직립 지지부(112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부(1123)가 상기 제1 직립 지지부(1121)와 상기 제2 직립 지지부(1122)를 서로 연결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직립 지지부(1121) 또는 상기 제2 직립 지지부(1122)가 전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탈곡 하우징부(1110)의 일측에 상기 제1 직립 지지부(1121)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탈곡 하우징부(1110)의 타측에 상기 제2 직립 지지부(1122)가 연결될 수 있다.
탈곡 하우징부(1110)는 상기 탈곡 지지부(1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탈곡 하우징부(1110)는 상기 탈곡 유입구(S1110-1)가 형성되어 있는 상측 탈곡 하우징부(1111) 및 상기 탈곡 배출구(S1110-2)가 형성되어 있는 하측 탈곡 하우징부(11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곡 하우징부(1110)는 상기 하측 탈곡 하우징부(1112)의 일측에 연결되며 후술하는 파쇄 보관 공간(S1113)을 제공하는 보관 탈곡 하우징부(11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탈곡 하우징과 상기 하측 탈곡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탈곡 하우징과 상기 보관 탈곡 하우징은 내부에 후술하는 파쇄 보관 공간(S1113)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탈곡 하우징부(1111)는 내부가 빈 반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상측 탈곡 하우징부(1111)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상측 탈곡 상면(1111a), 상기 상측 탈곡 상면(1111a)의 각각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측 탈곡 일측면(1111b) 및 상측 탈곡 타측면(1111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유입구(S1110-1)는 상기 상측 탈곡 상면(1111a)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상측 탈곡 하우징부(111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하측 탈곡 하우징부(1112)는 내부가 빈 반 통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하측 탈곡 하우징부(1112)는 하측 탈곡 정면(1112a), 상기 하측 탈곡 정면(1112a)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하측 탈곡 정면(1112a)에 연결되는 제1 하측 탈곡 하면(1112b), 하측 탈곡 정면(1112a)과 대행되도록 배치되는 하측 탈곡 후면(1112c), 상기 하측 탈곡 후면(1112c)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하측 탈곡 후면(1112c)에 연결되는 제2 하측 탈곡 하면(1112d)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은 상기 하측 탈곡 정면(1112a), 상기 제1 하측 탈곡 하면(1112b), 상기 하측 탈곡 후면(1112c) 및 상기 제2 하측 탈곡 하면(1112d)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측 탈곡 하면(1112b)과 상기 제2 하측 탈곡 하면(1112d)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탈곡 배출구(S1110-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측 탈곡 정면(1112a)에서 상기 하측 탈곡 후면(1112c)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 하측 탈곡 하면(1112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탈곡 후면(1112c)에서 상기 하측 탈곡 정면(1112a)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2 하측 탈곡 하면(1112d)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탈곡 거름부(1140)를 통과한 잣 송이 파쇄물이 상기 탈곡 배출구(S1110-2)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제1 잣 모체 구별 장치(1300)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하측 탈곡 하우징부(1112)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보관 탈곡 하우징부(1113)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공간인 파쇄 보관 공간(S1113)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직립 지지부(1121)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보관 탈곡 하우징부(1113)는 상기 제1 직립 지지부(1121)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는 보관 탈곡 정면(1113a), 상기 제1 직립 지지부(1121)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며 상기 보관 탈곡 정면(1113a)과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보관 탈곡 후면(1113b), 상기 보관 탈곡 정면(1113a)과 상기 보관 탈곡 후면(1113b)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직립 지지부(1121)와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보관 탈곡 측면(1113c, 도 6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관 탈곡 하우징부(1113)는 상측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 탈곡 하우징부(1113)는 하측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으로 유입된 잣 송이 파쇄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보관 탈곡 하우징부(1113)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보관 탈곡 하우징부(1113)의 높이는 상기 잣송이 파쇄 공간의 높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은 상기 보관 탈곡 정면(1113a), 상기 보관 탈곡 후면(1113b), 상기 보관 탈곡 측면(1113c) 및 제1 직립 지지부(1121)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탈곡 하우징부(1110)는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에 존재되는 상기 잣 송이의 파쇄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파쇄물 배출구(1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파쇄물 배출구(1114)는 상기 보관 탈곡 정면(1113a), 상기 보관 탈곡 후면(1113b) 및 상기 보관 탈곡 측면(1113c)의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쇄물 배출구(1114)는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측 탈곡 하우징부(1112)의 일 측면은 상기 보관 탈곡 하우징부(111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 탈곡 하우징부(1112)의 타 측면은 상기 제2 직립 지지부(1122)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하측 탈곡 하우징부(1112)의 일 측면은 상기 보관 탈곡 측면(1113c)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하측 탈곡 하우징부(1112)의 타 측면은 상기 제2 직립 지지부(11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탈곡 하우징부(1112)와 상기 보관 탈곡 하우징부(1113)의 사이에는 탈곡 격리부(116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탈곡 격리부(1160)는 상기 보관 탈곡 측면(1113c)과 균일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보관 탈곡 측면(1113c)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탈곡 격리부(1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곡 격리부(1160)는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과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을 서로 구분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탈곡 격리부(116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탈곡 격리부(116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상측 탈곡 하우징부(1111)는 상기 하측 탈곡 하우징부(1112)와 상기 보관 탈곡 하우징부(1113)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정면 방향으로의 상기 상측 탈곡 상면(1111a)의 타단부는 하측 탈곡 정면(1112a)의 상측 부분과 결합(일례로, 링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정면 방향으로의 상기 상측 탈곡 상면(1111a)의 타단부는 상기 보관 탈곡 정면(1113a)의 상측 부분과 결합(일례로, 링크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상측 탈곡 하우징부(1111)는 상기 하측 탈곡 하우징부(1112)와 상기 보관 탈곡 하우징부(1113)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탈곡 하우징부(1111)가 폐쇄 위치일 경우, 후면 방향으로의 상기 상측 탈곡 상면(1111a)의 일단부는 하측 탈곡 후면(1112c)의 상측 부분과 접촉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과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은 상측 방향으로 외부와 격리될 수 있다.
다만, 상측 탈곡 하우징부(1111)가 개방 위치일 경우, 후면 방향으로의 상기 상측 탈곡 상면(1111a)의 일단부는 하측 탈곡 후면(1112c)의 상측 부분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과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은 상측 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탈곡 축부(1130)는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 및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 상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탈곡 축부(113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직립 지지부(1121)의 상측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탈곡 축부(1130)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직립 지지부(1122)의 상측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곡 축부(1130)는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편향되게 상기 탈곡 지지부(112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탈곡 축부(1130)는 상기 보관 탈곡 후면(1113b)에서 상기 보관 탈곡 정면(1113a)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제1 직립 지지부(1121) 및 상기 제2 직립 지지부(11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잣 송이 파쇄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탈곡 거름부(1140)는 상기 잣 송이 파쇄부(1150)의 하측 부분을 포위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곡 거름부(1140)의 단면적은 전체적으로 'U'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탈곡 거름부(114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탈곡 거름부(1140)는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탈곡 거름부(1140)의 일 측면은 상기 하측 탈곡 정면(1112a)의 내면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탈곡 거름부(1140)의 타 측면은 상기 하측 탈곡 후면(1112c)의 내면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탈곡 거름부(1140)가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 상에 배치되는 위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탈곡 거름부(1140)는 소정 크기의 복수의 거름 홀(h1140)이 형성되어, 상기 탈곡 유입구(S1110-1)에서 상기 탈곡 배출구(S1110-2) 방향으로 상기 잣 송이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거름 홀(h1140) 보다 작은 잣 송이 파쇄물 및 제1 잣 모체는 상기 탈곡 배출구(S1110-2)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거름 홀(h1140) 보다 큰 잣 송이 파쇄물은 상기 탈곡 거름부(1140)를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잣 송이 파쇄부(1150)는 상기 탈곡 축부(1130)에 연결되는 기둥 형상의 파쇄본체부(1151) 및 상기 파쇄본체부(115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잣 송이에 외력을 인가하는 파쇄돌출부(11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쇄본체부(1151)는 상기 탈곡 축부(1130)에 고정되어, 상기 탈곡 축부(113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탈곡 축부(113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파쇄본체부(1151)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파쇄본체부(115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파쇄본체부(1151)는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 및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탈곡 격리부(1160)가 파쇄본체부(1151)에 저촉되는 것이 예방되도록, 상기 탈곡 격리부(1160)의 상면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 내의 상기 탈곡 거름부(1140)를 통과되지 못한 상기 잣 송이의 파쇄물이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잣 송이 파쇄부(1150)(구체적으로 상기 파쇄 본체부)는 상기 탈곡 격리부(1160)와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파쇄돌출부(1152)는 상기 파쇄본체부(115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파쇄돌출부(1152)는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 상에 위치되는 파쇄본체부(115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돌출부(1152)는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 상에 위치되는 파쇄본체부(115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파쇄돌출부(1152)는 상기 잣 송이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잣 송이를 파쇄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곡 거름부(1140)를 통과되지 못한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이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파쇄돌출부(1152)는 상기 파쇄돌출부(1152)의 일 측면에서 상기 파쇄돌출부(1152)의 타 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동부(h1152)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파쇄돌출부(1152)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 상기 잣 송이가 파쇄되는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잣 송이 공급 장치(1200)의 일단부에 상기 잣 송이를 올려놓으면, 상기 잣 송이는 상기 잣 송이 공급 장치(12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탈곡 유입구(S1110-1)를 향해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잣 송이는 상기 탈곡 유입구(S1110-1)를 통해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탈곡 유입구(S1110-1)를 통해 유입된 상기 잣 송이는 상기 파쇄본체부(1151)와 후면 방향의 상측 탈곡 상면(1111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잣 송이는 상기 파쇄본체부(1151)와 상기 하측 탈곡 후면(1112c)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잣 송이가 상기 탈곡 거름부(1140)에 안착된 후, 상기 잣 송이는 상기 파쇄돌출부(1152)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파쇄돌출부(1152)는 상기 잣 송이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잣 송이가 상기 파쇄본체부(1151)와 정면 방향의 상측 탈곡 상면(1111a) 사이에 위치되거나, 상기 파쇄본체부(1151)와 상기 하측 탈곡 정면(1112a)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파쇄돌출부(1152)는 상기 잣 송이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잣 송이는 파쇄되어, 작은 크기의 잣 송이 파쇄물 및 상기 제1 잣 모체는 상기 탈곡 거름부(1140)를 통과해 상기 탈곡 배출구(S1110-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탈곡 거름부(1140)를 통과하지 못하는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은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 상에 축적될 수 있다.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 상에 크기가 큰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이 가득 찰 경우,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은 상기 탈곡 격리부(1160)와 상기 파쇄본체부(1151)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과해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동부(h1152)로 인해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은 상기 파쇄 보관 공간(S1113)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잣 송이 파쇄 공간(S1111)으로 유입된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은 상기 파쇄물 배출구(1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잣 송이 파쇄 장치(1100)로부터 배출된 상기 제1 잣 모체는 상기 제1 잣 모체 구별 장치(13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 구별 장치(1300)는 상기 탈곡 지지부(1120)에 의해 지지되는 구별 하우징부(1310) 및 상기 구별 하우징부(1310)에 안착되어 소정 크기의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구별 거름부(1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별 하우징부(1310)는 상기 수평 지지부(1123)에 의해 지지되는 구별 베이스부(1311),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연결되는 제1 구별 측면(1312) 및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의 타측에 소정의 각도로 연결되는 제2 구별 측면(13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별 거름부(1320)를 통과한 잣 송이 파쇄물과 상기 제1 잣 모체는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 상에서 이동되어 후술하는 제1 잣 모체 이동 장치(150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별 하우징부(1310)는 상기 구별 거름부(1320)를 통과하지 못하는 잣 송이 파쇄물이 배출되는 제1 구별 배출구(13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별배출구는 전방 방향으로의 상기 구별 거름부(1320)의 타단부와 상기 제1 구별 측면(13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별 하우징부(1310)는 상기 구별 거름부(1320)를 통과한 잣 송이 파쇄물과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2 구별 배출구(13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별 배출구(1315)는 전방 방향으로의 상기 구별 거름부(1320)의 일단과 전방 방향으로의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별 배출구(1315)의 일부에는 제2 구별 배출홀(h131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를 유동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와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이 이동될 수 있다.
구별 거름부(1320)는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1 구별 측면(1312) 및 상기 제2 구별 측면(1313)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구별 측면(1312)은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제1-1 구별 측면(1312a), 상기 제1-1 구별 측면(1312a)으로부터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제1-2 구별 측면(1312b) 및 상기 제1-2 구별 측면(1312b)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제1-3 구별 측면(1312c)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별 측면(1313)은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제2-1 구별 측면(1313a), 상기 제2-1 구별 측면(1313a)으로부터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제2-2 구별 측면(1313b) 및 상기 제2-2 구별 측면(1313b)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제2-3 구별 측면(1313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별 거름부(1320)는 상기 제1-2 구별 측면(1312b)과 상기 제2-2 구별 측면(1313b)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구별 거름부(1320)는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구별 거름부(132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홀은 상기 거름 홀(h1140)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상기 탈곡 배출구(S1110-2)로부터 잣 송이 파쇄물과 상기 제1 잣 모체는 후방 방향으로의 상기 구별 거름부(1320)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와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이 후방 방향으로의 상기 거름부 일단부에서부터 전방 방향으로의 상기 거름부 타단부까지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잣 모체는 상기 구별 거름부(1320)를 통과하여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 위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별 거름부(1320)에 형성된 관통 홀 보다 작은 잣 송이 파쇄물도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구별 거름부(1320)를 통과하지 못한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은 상기 구별 거름부(1320)의 상면 상에서 위치 이동된 후에 상기 제1 구별 배출구(13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구별 베이스부(1311) 위에 안착된 상기 제1 잣 모체와 잣 송이 파쇄물은 상기 제2 구별 배출구(1315)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 장치(150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타측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 장치는 상기 탈곡 축부(1130)가 회전되도록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제1 탈곡 구동부(1600), 상기 탈곡 축부(113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기 탈곡 축부(1130)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구별 하우징부(1310)의 진동을 구현하는 제2 탈곡 구동부(1700) 및 상기 탈곡 축부(113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기 탈곡 축부(1130)의 동력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제1 잣 모체 탈리 장치(1510)를 구동시키는 제3 탈곡 밸트부(18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탈곡 구동부(1600)는 동력을 생성하는 제1 탈곡 모터부(1610), 상기 탈곡 축부(113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탈곡 기어부(1620) 및 상기 제1 탈곡 모터부(1610)에서 생성되는 동력을 상기 제1 탈곡 기어부(1620)에 전달하는 제1 탈곡 벨트부(16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탈곡 구동부(1700)는 제2 탈곡 구동축(1710) 및 상기 탈곡 축부(1130)외 회전력을 상기 제2 탈곡 구동축(1710)으로 전달하는 제2 탈곡 벨트부(17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탈곡 구동부(1700)는 상기 제2 탈곡 구동축(1710)의 외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탈곡 편심부(17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탈곡 구동축(1710)은 상기 탈곡 지지부(11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2 탈곡 구동축(1710)이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탈곡 구동축(1710)은 상기 수평 지지부(112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탈곡 구동축(1710)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탈곡 벨트부(17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탈곡 벨트부(1720)에 의해 상기 제2 탈곡 구동축(1710)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탈곡 편심부(1730)는 상기 제2 탈곡 구동축(1710)의 일부 외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탈곡 편심부(173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탈곡 편심부(1730)의 중심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탈곡 구동축(1710)의 중심과 일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탈곡 편심부(1730)는 상기 제1 잣 모체 구별 장치(13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잣 모체 구별 장치(1300)는 후방 방향으로의 상기 구별 하우징부(1310)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구별 하우징부(1310)에 연결(일례로, 링크 결합)되는 구별 연결부(1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별 연결부(1330)는 일 측면에서 타 측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별 연결부(1330)에는 상기 제2 탈곡 구동축(1710) 및 상기 제2 탈곡 편심부(173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탈곡 축부(1130, 도 2 참조)가 회전되면, 상기 제2 탈곡 벨트부(1720, 도 6 참조)에 의해 상기 제2 탈곡 구동축(1710, 도 6 참조)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탈곡 구동축(1710)이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2 탈곡 편심부(1730)도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탈곡 편심부(1730)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구별 연결부(1330)는 소정의 궤적을 가지며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탈곡 편심부(1730)와 상기 구별 연결부(1330) 사이에 탄성 부재 또는 링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별 하우징부(1310) 및 상기 구별 거름부(1320, 도 6 참조)는 진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제1 잣 모체 구별 장치(1300) 내의 제1 잣 모체와 잣 송이 파쇄물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 탈곡 구동 밸트부(1800)는 상기 탈곡 축부(1130)의 타단부와 후술하는 탈리 팬(1513)과 연결되어, 상기 탈리 팬(1513)이 회전될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 장치가 구비하는 제1 잣 모체 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 장치(1500)는 상기 제1 잣 모체와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을 분리시키는 제1 잣 모체 탈리 장치(1510) 및 상기 제1 잣 모체 탈리 장치(151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 잣 모체를 상기 제1 잣 모체 탱크(1400)로 이동시키는 제1 잣 모체 운송 장치(15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잣 모체 탈리 장치(1510)는, 상기 제1 잣 모체 및 잣 송이 파쇄물이 이동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탈리 하우징부(1511),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탈리 지지부(1512) 및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 내에 배치되는 탈리 팬(15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잣 모체 탈리 장치(1510)는,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에 연결되어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에서 배출되는 제1 잣 모체와 잣 송이 파쇄물을 분리하는 탈리 배출부(15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잣 모체 탈리 장치(1510)는,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에 타단부에 연결되는 탈리 격리부(15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는 탈리 상면(1511a), 상기 탈리 상면(1511a)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탈리 상면(1511a)과 연결되는 탈리 측면(1511b) 및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탈리 측면(1511b)과 연결되고 상기 탈리 상면(1511a)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탈리 하면(1511c)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탈리 상면(1511a), 상기 탈리 측면(1511b) 및 상기 탈리 하면(1511c)에 연결되는 탈리 정면(1511d) 및 상기 탈리 정면(1511d)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탈리 후면(1511e)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리 상면(1511a) 일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잣 모체 구별 장치(1300)로부터 배출되는 제1 잣 모체 및 잣 송이 파쇄물이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의 일단부에는 상기 탈리 팬(1513)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탈리 정면(1511d) 및 상기 탈리 후면(1511e)의 일측에 상기 탈리 팬(1513)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은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의 타단부 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상기 탈리 팬(1513)에 의해 미소 크기의 잣 송이 파쇄물이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탈리 팬(1513)은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로 유입된 상기 제1 잣 모체 및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이 이동될 수 있는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탈리 격리부(1515)는 상기 탈리 측면(1511b)과 대향되도록 상기 탈리 정면(1511d)와 상기 탈리 후면(1511e)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리 격리부(1515)는 상기 탈리 하면(1511c)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탈리 상면(1511a)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탈리 격리부(1515)는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잣 모체가 상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잣 송이 파쇄물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와 잣 송이 파쇄물이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기 탈리 상면(1511a) 부분은 상기 탈리 격리부(1515)와 상기 탈리 팬(151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탈리 하면(1511c)은 상기 탈리 배출부(151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리 하면(1511c)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가 제공하는 공간은 상기 탈리 배출부(1514)가 제공하는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탈리 배출부(1514)는 상기 탈리 하면(1511c)으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탈리 하면(1511c)에 연결되는 제1 탈리 배출부(1514a), 상기 탈리 하면(1511c)으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탈리 하면(1511c)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탈리 배출부(1514a)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탈리 배출부(1514b) 및 상기 제1 탈리 배출부(1514a)와 상기 제2 탈리 배출부(1514b)에 연결되는 제3 탈리 배출부(1514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탈리 배출부(1514c)는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상기 제1 탈리 배출부(1514a)와 상기 제2 탈리 배출부(1514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탈리 배출부(1514c)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탈리 배출부(1514c)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을 통하여 잣 송이 파쇄물이 통과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잣 모체만이 상기 제3 탈리 배출부(1514c)를 통하여 상기 제1 잣 모체 운송 장치(152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 내에 유입된 제1 잣 모체 및 잣 송이 파쇄물은 상기 탈리 팬(1513)에 의해 상기 탈리 배출부(1514)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잣 송이 파쇄물의 일부는 상기 탈리 팬(1513)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상기 탈리 하우징부(1511)의 타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탈리 배출부(1514)는 경사지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탈리 배출부(1514) 상의 상기 제1 잣 모체 및 잣 송이 파쇄물은 중력에 의해 하강될 수 있다.
다만, 일부의 잣 송이 파쇄물은 상기 제3 탈리 배출부(1514c)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홀을 통과하여 지면으로 바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는 상기 제3 탈리 배출부(1514c)의 일단부 부근에 있는 제1 잣 모체 운송 장치(1520)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잣 모체 운송 장치(1520)로 이동된 상기 제1 잣 모체 및 잣 송이 파쇄물은 또 다른 제1 잣 모체 탈리 장치(1510)로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제1 잣 모체 탈리 장치(151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 탈리 장치(1510)로부터 배출되는 제1 잣 모체는 또 다른 제1 잣 모체 운송 장치(1520)를 통해 상기 제1 잣 모체 탱크(140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술한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탈곡 구동부(16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잣 모체 운송 장치(1520)가 상기 제1 잣 모체를 이동시키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 탈리 장치(1510) 및 상기 제1 잣 모체 운송 장치(1520)의 배치 개 수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술한 탈곡 장치를 활용하여 잣 송이로부터 제1 잣 모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에 대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2000)는, 제1 잣 모체를 크기 별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 장치(2000)에 있어서, 제1 잣 모체를 미리 정해진 제1 크기가 기준인 두 개의 군으로 구별하는 제1 선별부(2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 장치(2000)는 후술하는 제1-1 선별 배출구(2127)에서 배출된 상기 제1 잣 모체를 미리 정해진 제2 크기를 기준으로 두 개의 군으로 구별하는 제2 선별부(2200), 후술하는 제1-2 선별 배출구(2128)에서 배출된 상기 제1 잣 모체를 미리 정해진 제3 크기가 기준인 두 개의 군으로 구별하는 제3 선별부(2300) 및 상기 제3 선별부(2300)에서 선별된 군 중에서 하나의 군의 상기 제1 잣 모체를 미리 정해진 제4 크기가 기준인 두 개의 군으로 구별하는 제4 선별부(2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 장치(2000)는 상기 제1 선별부(2100)에 연결되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선별부(2100)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외력인가부(2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력인가부(2500)는 상기 제2 선별부(2200)에 연결되어,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 선별부(2200)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선별부(2300) 및 상기 제4 선별부(240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 장치(2000)는, 상기 제1 선별부(2100)에 연결되어 상기 외력인가부(2500)가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선별부(2100)에 외력을 인가하는 진동 모터(M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 모터(M10)는 상기 제2 선별부(2200)에 연결되어, 상기 외력인가부(2500)가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선별부(2200)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선별부(2300) 및 상기 제4 선별부(240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 장치(2000)는 상기 제1 선별부(2100)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유입시키는 제1 잣 모체 운송부(2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력인가부(250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력인가부(2500)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외력인가부(250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외력인가부(250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제1 선별 가이드부(21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외력인가부(2500)는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외삽되어,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 상에서 상 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M10)가 후술하는 제1 선별 하우징부(2120)에 인가하는 외력을 인가하면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가 진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외력인가부(2500)는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M10)는 상기 외력인가부(2500)가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력인가부(2500)는 후술하는 제1 선별 거름판(2111)에 외력은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 운송부(2700)는 상기 제1 잣 모체를 수용하는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2710), 상기 제1 잣 모체를 상기 제1 선별부(2100)로 유입시키는 제1 잣 모체 이동부(2720) 및 상기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2710)에서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2720)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이동시키는 제1 잣 모체 매개부(27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잣 모체 탱크(1400)에 저장된 제1 잣 모체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2710)로 옮겨질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 탱크(1400)에 수용된 상기 제1 잣 모체는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273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2730)는 지면 아래에 매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잣 모체는 상기 제1 잣 모체 탱크(1400) 상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2730)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2730)의 위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잣 모체 탱크(1400) 상에서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2730)로 이동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의 양은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2730)에서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2720)로 이동되는 양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2720)는 시간당 동일한 양의 상기 제1 잣 모체를 상기 제1 선별부(2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2730)는 시간당 동일한 양의 상기 제1 모체를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27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2730)는 일정한 양의 상기 제1 잣 모체를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27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잣 모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2720)는 지하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2730)로부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배치되는 제1 선별부(2100)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선별 장치(2000)는 상기 제1 선별부(2100)와 상기 제2 선별부(2200)가 지지되는 제1 선별 지지부(2800) 및 상기 제3 선별부(2300)와 상기 제4 선별부(2400)가 지지되는 제2 선별 지지부(2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각의 선별부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가 구비하는 제1 선별부와 제2 선별부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가 구비하는 제1 선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선별 지지부(2800)에 상기 제1 선별부(2100)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선별 지지부(2800)에 상기 제2 선별부(22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선별부(2200)는 상기 제1 선별부(21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선별 지지부(28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선별부(2100)로부터 낙하되는 제1 잣 모체는 상기 제2 선별부(220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부(2100)와 상기 제1 선별 지지부(28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선별부(2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제1 선별 지지부(2800)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선별부(2200)와 상기 제1 선별 지지부(28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선별부(21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인 제1 선별홀(h2111)이 형성된 제1 선별 거름부(2110) 및 상기 제1 선별 거름부(2110)가 안착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초과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1-1 선별 배출구(2127)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1-2 선별 배출구(2128)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선별 하우징부(21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부(2100)는 후술하는 제1 선별 돌출부(2123)에 안착된 상기 제1 선별 거름부(2110)가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선별 위치제한부(2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선별 거름부(2110)는 상기 제1 선별홀(h2111)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선별 거름판(2111) 및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과 연결되어, 상기 외력인가부(2500)가 미리 정해진 경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외력인가부(2500)를 가이드하는 제1 선별 가이드부(21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 거름부(2110)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이 안착되는 제1 선별 보완부(21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 거름부(2110)는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상기 외력인가부(2500)가 외삽되는 경우,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과 상기 외력인가부(25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연결되는 제1 선별 교환부(21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선별 거름판(2111)은 얇은 판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은 직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에는 복 수개의 상기 제1 선별홀(h2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 선별 보완부(2113)는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와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을 서로 매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의 상면에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이 안착되고,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의 하면은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는 복 수의 로드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는 후술하는 제1-1 선별 측면부(2122a)와 연결되는 제1-1 선별 보완부(2113a), 후술하는 제1-2 선별 측면부(2122b)와 연결되는 제1-2 선별 보완부(2113b), 상기 제1-1 선별 보완부(2113a)의 일단부와 상기 제1-2 선별 보완부(2113b)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3 선별 보완부(2113c), 상기 제1-1 선별 보완부(2113a)의 타단부와 상기 제1-2 선별 보완부(2113b)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1-4 선별 보완부(2113d), 상기 제1-1 선별 보완부(2113a)와 상기 제1-2 선별 보완부(2113b)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3 선별 보완부(2113c)의 중단부와 상기 제1-4 선별 보완부(2113d)의 중단부에 연결되는 제1-5 선별 보완부(2113e) 및 상기 제1-3 선별 보완부(2113c)와 상기 제1-4 선별 보완부(2113d)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선별 보완부(2113a)와 상기 제1-5 선별 보완부(2113e)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1-5 선별 보완부(2113e)와 상기 제1-2 선별 보완부(2113b)에 연결되는 제1-6 선별 보완부(2113f)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선별 보완부(2113a), 상기 제1-2 선별 보완부(2113b) 및 상기 제1-5 선별 보완부(2113e)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3 선별 보완부(2113c), 상기 제1-4 선별 보완부(2113d) 및 상기 제1-6 선별 보완부(2113f)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선별 보완부(2113a)에 대해서 상기 제1-3 선별 보완부(2113c), 상기 제1-4 선별 보완부(2113d) 및/또는 상기 제1-6 선별 보완부(2113f)는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는 90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2 선별 보완부(2113b)에 대해서 상기 제1-3 선별 보완부(2113c), 상기 제1-4 선별 보완부(2113d) 및/또는 상기 제1-6 선별 보완부(2113f)는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는 90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5 선별 보완부(2113e)에 대해서 상기 제1-3 선별 보완부(2113c), 상기 제1-4 선별 보완부(2113d) 및/또는 상기 제1-6 선별 보완부(2113f)는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는 90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복 수개의 제1-6 선별 보완부(2113f)가 상기 제1-1 선별 보완부(2113a)와 상기 제1-5 선별 보완부(2113e)에 연결되고, 상기 제1-5 선별 보완부(2113e)와 상기 제1-2 선별 보완부(2113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선별 가이드부(211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는 원 기둥 형상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는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선별 교환부(2114)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1 선별 교환부(2114a) 및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이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에 외력을 인가하는 제1-2 선별 교환부(2114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1 선별 교환부(2114a)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얇은 판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는 원형의 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는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외삽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에는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의 상면에서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의 하면으로 관통되어 소정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2 선별 교환부(2114b)는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외삽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는 너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선별 하우징부(2120)는 제1 선별 베이스부(2121),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는 제1 선별 측면부(2122) 및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가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선별 돌출부(212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는 상기 제1 선별 측면부(212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선별 돌기부(2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일단부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는 제1 선별 일면부(2125) 및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타단부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는 제1 선별 타면부(212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측면부(2122)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1-1 선별 측면부(2122a) 및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타 측에 연결되는 제1-2 선별 측면부(212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일면부(2125)는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의 일단부와 상기 제1-2 측면부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는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의 타단부와 상기 제1-2 측면부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 상기 제1 선별 일면부(2125) 및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와 직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선별 돌출부(2123)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선별 돌출부(2123)는 상기 제1 선별 일면부(2125)에서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돌출부(2123)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로 연결되는 제1-1 선별 돌출부(2123a) 및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로 연결되는 제1-2 선별 돌출부(2123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선별 돌출부(2123a)와 상기 제1-2 선별 돌출부(2123a)는 소정의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1 선별 돌출부(2123a)의 일 측부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에 연결되고, 상기 제1-1 선별 돌출부(2123a)의 타 측부는 상기 제1-2 선별 돌출부(2123a)의 타 측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선별 돌출부(2123a)의 일 측부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에 연결되고, 상기 제1-2 선별 돌출부(2123a)의 타 측부는 상기 제1-1 선별 돌출부(2123a)의 타 측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1 선별 돌출부(2123a)의 내면, 상기 제1-2 선별 돌출부(2123a)의 내면 및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면은 상기 제1 선별 일면부(2125)에서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공간(일례로, 삼각 기둥 형상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잣 모체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2500)에 의한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상기 외력인가부(2500)에 의해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가 파손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복 수개의 상기 제1 선별 돌출부(2123)가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두 개의 제1 선별 돌출부(2123)가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상면에서 이동되는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1 선별 배출구(212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1 선별 배출구(2127)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타단부의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선별 배출구(2127),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 및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측 방향의 공간과 상기 제1 선별 베이스의 하측 방향의 공간을 연통시키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선별 배출구(2127),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 및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측 방향의 공간과 상기 제1 선별 베이스의 하측 방향의 공간을 연통시키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상측에서 이동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인,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초과의 상기 제1 잣 모체는 상기 제1-1 선별 배출구(2127)를 통해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하측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선별 배출구(2127)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면에서 이동되는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2 선별 배출구(212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 선별 배출구(2128)는 상기 제1-1 선별 배출구(2127)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도록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에 연결되는 제1-2 선별 배출일측면(2128a), 상기 제1-1 선별 배출구(2127)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도록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에 연결되는 제1-2 선별 배출타측면(2128b) 및 상기 제1-2 선별 배출일측면(2128a)과 상기 제1-2 배출타측면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선별 거름부(2110)가 안착되는 제1-2 선별 배출상면(2128c)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선별 배출구(2128)는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2 선별배출상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경과 동시에 상기 제1-2 선별 배출일측면(2128a)과 상기 제1-2 선별 배출타측면(2128b)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1-2 선별 배출하면(2128d)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 선별 배출일측면(2128a)은 일 측에 형성되는 제1-1 선별 배출구(2127)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는 동시에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선별 배출일측면(2128a)은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의 내면에서 외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2 선별 배출타측면(2128b)은 타 측에 형성되는 제1-1 선별 배출구(2127)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는 동시에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선별 배출타측면(2128b)은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의 내면에서 외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선별 배출일측면(2128a)과 상기 제1-2 선별 배출타측면(2128b)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2 선별 배출상면(2128c)은 상기 제1-2 선별 배출일측면(2128a)과 상기 제1-2 선별 배출타측면(2128b)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 선별 배출상면(2128c), 상기 제1-2 선별 배출일측면(2128a) 및 상기 제1-2 선별 배출타측면(2128b)은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면 상에서 이동되는 제1 잣 모체가 이동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2 선별 배출상면(2128c)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상면에서 이동되는 제1 잣 모체는 상기 제1-2 선별 배출일측면(2128a)의 외면,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의 내면 및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의 내면이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2 선별부(2200)로 낙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상면에서 이동되는 제1 잣 모체는 상기 제1-2 선별 배출타측면(2128b)의 외면,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의 내면 및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의 내면이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2 선별부(2200)로 낙하될 수 있다.
제1-2 선별 배출일측면(2128a), 제1-2 선별 배출타측면(2128b), 제1-2 선별 배출상면(2128c) 및 제1-2 선별 배출하면(2128d)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초과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이동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는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 하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선별부(2200) 상에 안착되는 제1 선별 안착부(212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안착부(2129)는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와 연결되는 제1-1 선별 안착부(2129a),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와 연결되는 제1-2 선별 안착부(2129b) 및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와 연결되는 제1-3 선별 안착부(2129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안착부(2129)는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1 선별 안착부(2129a)의 외면과 상기 제1 선별 타면부(2126)의 외면은 균일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2 선별 안착부(2129b)는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 선별 안착부(2129b)의 외면과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의 외면은 균일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3 선별 안착부(2129c)는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3 선별 안착부(2129c)의 외면과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의 외면을 균일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1 선별 안착부(2129a)의 일단부는 상기 제1-2 선별 안착부(2129b)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1 선별 안착부(2129a)의 타단부는 상기 제1-3 선별 안착부(2129c)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안착부(2129)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제2 선별부(2200)의 제2 선별 거름판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선별 안착부(2129)의 하단부는 상기 제2 선별 거름판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안착부(2129)로 인해, 상기 제1 잣 모체는 용이하게 상기 제2 선별부(2200)로 낙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선별 돌기부(2124)는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에서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 돌기부(2124)는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에서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돌기부(2124)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홀인 제1 선별 돌기홀(h21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돌기홀(h2124)에는 후술하는 제1 선별 가압부(2132)가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선별 돌기홀(h2124)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상기 제1 선별 돌기부(2124)가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 및/또는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선별 위치제한부(2130)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선별 로드부(2131) 및 상기 제1 선별 돌기부(2124)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제1 선별 로드부(2131)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선별 가압부(213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선별 로드부(213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소정의 로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로드부(2131)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이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선별 가압부(2132)는 상기 제1 선별 돌기홀(h2124)에 삽입된 후에, 상기 제1 선별 돌기부(2124) 상에서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가압부(2132)는 상기 제1 선별 로드부(2131)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기 제1 선별 로드부(2131)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선별 가압부(2132)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가 구비하는 제1 선별부의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2는 제1 선별 거름부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3은 제1 선별 하우징부에 제1 선별 거름부 및 제1 선별 위치제한부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의 상면에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 및 상기 제1-3 선별 측면부의 상면에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둘레 부분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4 선별 측면부의 상면에도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이 안착될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둘레 부분이 상기 제1-4 선별 측면부의 상면에 안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이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1-3 선별 보완부(2113c)에서 상기 제1-4 선별 보완부(2113d) 방향으로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이 단부는 상기 제1-4 선별 보완부(2113d)로부터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단부는 상기 제1-2 선별 배출상면(2128c)의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은 관통하여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는 상기 제1-5 선별 보완부(2113e)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의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는 용접에 의해 상기 제1-5 선별 보완부(2113e)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가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는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는 상기 외력인가부(2500)가 외삽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가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외삽되어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가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외삽되어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는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이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에 상기 제1 선별 거름부(2110)가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선별 돌출부(2123)의 상측에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의 하면이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1 선별 보완부(2113a)의 측면은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선별 보완부(2113b)의 측면은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3 선별 보완부(2113c)의 측면은 상기 제1 선별 일면부(2125)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3 선별 보완부(2113c)의 측면은 제1-2 선별 배출구(2128)의 일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단부는 상기 제1-2 선별 배출상면(2128c)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하나의 제1 선별 로드부(2131)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과 상기 제1 선별 돌기부(21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하나의 제1 선별 로드부(2131)는 상기 제1-1 선별 측면부(2122a)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제1 선별 로드부(2131)는 상기 제1-2 선별 측면부(2122b)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를 기준으로 양 측에 상기 제1 선별 로드부(2131)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선별 거름부(2110)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선별 가압부(2132)는 상기 제1 선별 돌기부(2124)의 제1 선별 돌기홀(h2124)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선별 로드부(2131)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가압부(2132)는 상기 제1 선별 돌기부(2124)를 기준으로 상 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높이의 상기 제1 선별 로드부(2131)에 대해서도 상기 제1 선별 가압부(2132)를 가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가 구비하는 외력인가부가 위치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선별 교환부(2114)가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하면이 상기 제1 선별 보완부(2113)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교환부(2114)는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 상에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와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는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외삽될 수 있고,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분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외력인가부(2500)에 의해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 및/또는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가 파손되었을 경우에, 파손된 부분만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 및/또는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는 상기 외력인가부(2500)가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에 직접적으로 타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력인가부(2500)가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외삽되었을 경우, 상기 외력인가부(2500)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는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2500)는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외삽되어, 상기 진동모터에 의해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를 따라 일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었다가 타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M10)는 상기 외력인가부(2500)가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제1 시간 동안 제1 세기로 상기 제1 선별부(210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모터(M10)는 상기 외력인가부(2500)가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1 세기보다 더 강한 제2 세기로 상기 제2 선별부(220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진동 모터(M10)는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M10)는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는 진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가 진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에 외삽된 상기 외력인가부(2500)도 진동될 수 있다.
상기 외력인가부(2500)는 상기 제1 선별 가이드부(2112)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를 타격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력인가부(2500)는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와 이격되었다가, 중력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를 타격할 수 있다.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에 전달되는 충격은 상기 제1-1 선별 교환부(2114a)를 통해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동 모터는 제1 시간 동안 제1 세기로 상기 제1 선별 하우징부(212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외력인가부(2500)는 제1 높이로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와 이격되었다가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와 충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선별 거름판(2111) 상에 있는 제1 잣 모체가 상기 제1-1 선별 배출구(2127)과 상기 제1-2 선별 배출구(2128)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동 모터는 제2 시간 동안 제2 세기로 제1 선별 하우징부(212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외력인가부(2500)는 제2 높이로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와 이격되었다가 상기 제1-2 선별 교환부(2114b)와 충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선별홀(h2111)에 끼어있는 제1 잣 모체가 상기 제1 선별 베이스부(2121)의 상면 상으로 하강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선별부(22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인 제2 선별홀이 형성된 제2 선별 거름부 및 상기 제2 선별 거름부가 안착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초과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2-1 선별 배출구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초과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2-2 선별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선별 하우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선별부(2200)는 제2 선별 돌출부에 안착된 상기 제2 선별 거름부가 상기 제2 선별 베이스부의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선별 위치제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선별 거름부는 상술한 제1 선별부(2100)와 마찬가지로 제2 선별 거름판, 제2 선별 가이드부, 제2 선별 교환부 및 제2 선별 보완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선별 하우징부는 상술한 제1 선별부(2100)와 마찬가지로 제2 선별 베이스부, 제2 선별 측면부 및 제2 선별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선별 위치 제한부는 상술한 제1 선별부(2100)와 마찬가지고 제1 선별 로드부(2131) 및 제2 선별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3 선별부(2300) 및 제4 선별부(2400)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선별부(2300)는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인 제3 선별홀이 형성된 제3 선별 거름부 및 상기 제3 선별 거름부가 안착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초과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미만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3-1 선별 배출구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3-2 선별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3 선별 하우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선별부(2400)는 미리 정해진 제4 크기 이하의 상기 제1 잣 모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인 제4 선별홀이 형성된 제4 선별 거름부 및 상기 제4 선별 거름부가 안착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4 크기 초과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이하인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4-1 선별 배출구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초과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4 크기 이하인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4-2 선별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하나의 제1 잣 모체 운송부(2700)를 통해 상기 제1 잣 모체는 상기 제1 선별부(210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별홀(h2111)을 통과하지 못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초과 크기의 제1 잣 모체는 제1-1 선별 배출구(2127)를 통해 제2 선별부(220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선별부(2200)로 이동된 제1 잣 모체 중에서 제2 선별 거름판에 형성된 상기 제2 선별홀을 통과한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이하의 제1 잣 모체는 제2-2 선별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선별부(2200)로 이동된 제1 잣 모체 중에서 상기 제2 선별홀을 통과하지 못한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초과의 제1 잣 모체는 제2-1 선별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제2-1 선별 배출구를 통해서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초과의 제1 잣 모체만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선별 배출구를 통해서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초과되면서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이하의 제1 잣 모체만이 획득될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제1 크기는 직경 10.5mm인 제1 선별홀(h2111)을 통과할 수 있는 제1 잣 모체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제2 크기는 직경 11.5mm인 제2 선별홀을 통과할 수 있는 제1 잣 모체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및/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크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선별홀(h2111)을 통과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이하의 크기인 제1 잣 모체는 제1-2 선별 배출구(2128)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2 선별 배출구(2128)에서 배출되는 제1 잣 모체는 다른 하나의 제1 잣 모체 이동부(2720)를 통해 제3 선별부(2300)로 이동될 수 있다.
제3 선별 거름판에 형성된 제3 선별홀을 통과한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이하 크기의 제1 잣 모체는 제3-2 선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2 선별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이하의 제1 잣 모체를 획득할 수 있다.
제3 선별 거름판에 형성된 제3 선별홀을 통과하지 못한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초과 크기의 제1 잣 모체는 제4 선별부(2400)로 이동될 수 있다.
제4 선별 거름판에 형성된 제4 선별홀을 통하지 못한 미리 정해진 제4 크기 초과 크기의 제1 잣 모체는 제4-1 선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1 선별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4 크기 초과이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이하 크기의 제1 잣 모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4 선별홀을 통과한 미리 정해진 제4 크기 이하 크기의 제1 잣 모체는 제4-2 선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2 선별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초과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4 크기 이하인 제1 잣 모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제3 크기는 직경 8.5mm인 제3 선별홀을 통과할 수 있는 제1 잣 모체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제4 크기는 직경 9.5mm인 제4 선별홀을 통과할 수 있는 제1 잣 모체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및/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4 크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즉,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크기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크기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제4 크기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나,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잣 모체가 복 수개의 선별부를 거침으로써, 복 수의 크기 군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선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3000)는, 제1 잣 모체 - 상기 제1 잣 모체는 제2 잣 모체와 상기 제2 잣 모체를 에워싸는 외피로 이루어짐. - 를 파쇄하여 상기 제2 잣 모체를 획득하기 위한 탈각 장치(3000)에 있어서, 상기 제1 잣 모체가 유입되는 탈각 유입구와 상기 제2 잣 모체가 배출되는 탈각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각 하우징부(3100), 상기 제1 잣 모체가 파쇄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 상에서 이동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탈각 롤러부(3200),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와 상기 탈각 롤러부(3200)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롤러부(3200)가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탈각 롤러 지지부(3300) 및 상기 탈각 롤러부(320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탈각 롤러부(3200)와 함께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탈각 외력인가부(3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장치(3000)는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이동시키는 제1 잣 모체 운송부(3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장치(3000)는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를 지지하는 탈각 지지부(3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장치(3000)는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와 제1 잣 모체 분쇄물을 각각 분리시키는 탈각 분별기(3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장치(3000)는 상기 탈각 분별기(3700)를 지지하는 탈각 분별 지지부(3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장치(3000)는 상기 탈각 분별기(3700)에 결합되어 상기 탈각 분별기(3700)가 진동되도록 상기 탈각 분별기(3700)에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는 진동 모터(M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 운송부(3500)는 상기 제1 잣 모체를 수용하는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3510), 상기 제1 잣 모체를 상기 제1 탈각 하우징부(3100)로 유입시키는 제1 잣 모체 이동부(3520) 및 상기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3510)에서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3520)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이동시키는 제1 잣 모체 매개부(35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3510),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3520) 및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35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탈각 분별기(3700)는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 잣 모체, 상기 제2 잣 모체 및 상기 제1 잣 모체 잔여물 중에서 상기 제2 잣 모체를 분리하는 제1 탈각 분별기(3710) 및 상기 제1 탈각 분별기(3710)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와 상기 제1 잣 모체 잔여물 중에서 상기 제1 잣 모체를 분리하는 제2 탈각 분별기(37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탈각 분별기(3710)는 상기 제2 잣 모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인 제1 분리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분리 거름부 및 상기 제1 분리 거름부가 안착되며, 상기 제1 잣 모체와 상기 제1 잣 모체 잔여물이 배출되는 제1-1 분리 배출구와 상기 제2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1-2 분리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분리 하우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탈각 분별기(3720)는 상기 제1 잣 모체 잔여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인 제2 분리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분리 거름부 및 상기 제2 분리 거름부가 안착되며, 상기 제1 잣 모체가 배출되는 제2-1 분리 배출구와 상기 제1 잣 모체 잔여물이 배출되는 제2-2 분리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분리 하우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탈각 분별기(3710)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제1 선별부(2100)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탈각 분별기(3720)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제2 선별부(2200)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2720)에 의해 상기 제1 잣 모체는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 상에서 이동되는 상기 제1 잣 모체는 상기 탈각 롤러부(3200)와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에 의해 파쇄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가 파쇄되어, 제1 잣 모체, 제1 잣 모체 잔여물 및 제2 잣 모체는 상기 제1 탈각 분별기(3710)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잣 모체는 제2 잣 모체와 제1 잣 모체 잔여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홀을 통과하지 못하는 제1 잣 모체와 제1 잣 모체 잔여물은 제1-1 분리 배출구(상술한 제1-1 선별 배출구(2127)와 대응됨)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홀을 통과한 제2 잣 모체는 상기 제1-2 분리 배출구(상술한 제1-2 선별 배출구(2128)와 대응됨)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1 분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제1 잣 모체와 제1 잣 모체 잔여물은 제2 탈각 분별기(3720)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분리홀을 통과하지 못하는 제1 잣 모체는 제2-1 분리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2710)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리홀을 통과한 제1 잣 모체 잔여물은 제2-2 분리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2 탈각 분별기(37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파쇄되지 않은 제1 잣 모체는 다시 탈각 하우징부(3100)로 이동되어 파쇄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이러한 순환 과정을 통해, 제1 잣 모체는 파쇄될 수 있고, 제2 잣 모체가 수집될 수 있다.
이하, 잣이 파쇄되는 공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16은 도 15의 A부분에 대한 확대 결합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A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에 상기 탈각 롤러 지지부(3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롤러 지지부(3300)에 상기 탈각 롤러부(32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에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각 롤러부(3200)는 상기 탈각 롤러 지지부(3300)에 연결되는 탈각 롤러 축부(3210) 및 상기 탈각 롤러 축부(3210)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 잣 모체에 외력을 인가하는 탈각 롤러 외력부(3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각 롤러 외력부(3220)는 상기 탈각 롤러 축부(3210)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탈각 롤러 축부(321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탈각 롤러 외력부(322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가 구비하는 탈각 하우징부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가 구비하는 탈각 하우징부의 측면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가 구비하는 탈각 하우징부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탈각 하우징부(3100)는 상기 탈각 지지부(3600)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지지부(3600)로부터 직립되게 배치되는 탈각 직립부(3110), 상기 탈각 직립부(3110)가 제공하는 공간과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2720)로부터 배출되는 제1 잣 모체가 유입되는 탈각 유입부(3120), 상기 탈각 롤러 지지부(330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탈각 직립부(3110)에 연결되는 탈각 가이드부(3130) 및 상기 탈각 직립부(3110)가 제공하는 공간 내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탈각 유입부(3120)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제1 잣 모체가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잣 모체가 파쇄되는 탈각 경사부(31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탈각 하우징부(3100)는 상기 탈각 직립부(3110)에 연결되어 상기 탈각 직립부(3110)가 제공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탈각 밀폐부(3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탈각 하우징부(3100)는 후술하는 제1 탈각 삽입부(h3111b) 및 상기 제2 탈각 삽입부(h3112b)의 일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탈각 안내부(3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각 지지부(3600)는 상기 탈각 직립부(3110)로부터 배출되는 제2 잣 모체, 제1 잣 모체 및 제1 잣 모체 잔여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탈각 직립부(3110)가 제공하는 공간과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탈각 지지부(3600)를 통해서 배출되는 제2 잣 모체, 제1 잣 모체 및 제1 잣 모체 잔여물은 제1 탈각 분별기(3710)로 유입될 수 있다.
탈각 직립부(3110)는 상기 탈각 지지부(3600)의 상면으로부터 직립되는 탈각 우측면부(3111),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와 대향되도록 상기 탈각 지지부(3600)의 상면으로부터 직립되는 탈각 좌측면부(3112),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와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는 탈각 정면부(3113) 및 상기 탈각 정면부(3113)와 대향되도록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와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는 탈각 후면부(311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와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탈각 상면부(3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각 직립부(31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의 상단은 상기 탈각 지지부(360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a) 및 상기 제1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a)과 연결되며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 상단은 상기 탈각 지지부(360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탈각 좌측면부 상단(3112a) 및 상기 제1 탈각 좌측면부 상단(3112a)과 연결되며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탈각 좌측면부 상단(311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탈각 상면부(3115)는 상기 제1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a)과 상기 제1 탈각 좌측면부 상단(3112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각 밀폐부(3150)는 상기 제2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a)과 상기 제2 탈각 좌측면부 상단(3112b)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탈각 밀폐부(3150)는 상기 제2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b)과 상기 제2 탈각 좌측면부 상단(3112b)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밀폐부(3150)는 후술하는 일측 탈각 돌출부(3131)와 타측 탈각 돌출부(3133)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탈각 연결본체부(3331)가 체결 수단에 의해 일측 탈각 돌출부(3131)와 타측 탈각 돌출부(3133)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탈각 밀폐부(3150)도 상기 일측 탈각 돌출부(3131)와 상기 타측 탈각 돌출부(313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탈각 연결본체부(3331)와 상기 일측 탈각 돌출부(3131) 사이에 상기 탈각 밀폐부(3150)가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탈각 연결본체부(3331)와 상기 타측 탈각 돌출부(3133) 사이에 상기 탈각 밀폐부(315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에는 상기 탈각 롤러 외력부(3220)가 상기 탈각 직립부(3110)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탈각 롤러 축부(3210)가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는 상기 제2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b)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는 상기 제2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b)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는 상기 제2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b)과 직교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복 수개의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가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에는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가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의 외면에서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의 내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탈각 직립부(3110)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탈각 삽입부(h311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탈각 삽입부(h3111b)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탈각 삽입부(h3111b)의 형상은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의 단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복 수개의 제1 탈각 삽입부(h3111b)가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탈각 삽입부(h3111b)는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와 같은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탈각 삽입부(h3111b)는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에는 상기 탈각 롤러 외력부(3220)가 상기 탈각 직립부(3110)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탈각 롤러 축부(3210)가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는 상기 제2 탈각 좌측면부 상단(3112b)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는 상기 제2 탈각 좌측면부 상단(3112b)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는 상기 제2 탈각 좌측면부 상단(3112b)과 직교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복 수개의 상기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가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는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와 대향되도록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에는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가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의 외면에서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의 내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탈각 직립부(3110)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탈각 직립부(3110)의 타단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탈각 삽입부(h311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탈각 삽입부(h3112b)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 탈각 삽입부(h3112b)의 형상은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의 단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복 수개의 제2 탈각 삽입부(h3112b)가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탈각 삽입부(h3112b)는 상기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와 같은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탈각 삽입부(h3112b)는 상기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탈각 삽입부(h3112b)는 상기 제1 탈각 삽입부(h3111b)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탈각 본체부(342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탈각 삽입부(h3111b)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탈각 삽입부(h3112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탈각 삽입부(h3111b)를 에워싸는 탈각 안내부(3160)가 제공하는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탈각 삽입부(h3112b)가 에워싸는 탈각 안내부(3160)가 제공하는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탈각 유입부(3120)는 상기 탈각 상면부(311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각 유입부(3120)는 상기 탈각 직립부(3110)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과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각 유입부(3120)로 유입되는 제1 잣 모체는 상기 탈각 직립부(3110)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탈각 가이드부(3130)는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측 탈각 돌출부(3131), 상기 일측 탈각 돌출부(3131)와 연결되며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와 이격되는 일측 탈각 연장부(3132),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의 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타측 탈각 돌출부(3133), 상기 타측 탈각 돌출부(3133)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 탈각 연장부(3132)와 대향되며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와 이격되는 타측 탈각 연장부(3134) 및 상기 일측 탈각 연장부(3132)와 상기 타측 탈각 연장부(3134)에 연결되어 상기 탈각 롤러 지지부(33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탈각 제한부(313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측 탈각 돌출부(3131)는 상기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일측 탈각 연장부(3132)는 상기 일측 탈각 돌출부(3131)와 연결되며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탈각 돌출부(3133)는 상기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의 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탈각 연장부(3134)는 상기 타측 탈각 돌출부(3133)와 연결되며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와 이격될 수 있다.
일측 탈각 연장부(3132)는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측 탈각 연장부(3134)도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제2 탈각 슬라이딩부(h3112a)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탈각 연장부(3132)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탈각 돌출부(3131)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 탈각 연장부(3132)의 타단부는 상기 탈각 제한부(3135)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탈각 연장부(3134)의 일단부는 상기 타측 탈각 돌출부(3133)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탈각 연장부(3134)의 타단부는 상기 탈각 제한부(3135)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각 롤러 지지부(3300)의 일부는 상기 일측 탈각 연장부(3132)와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의 외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탈각 롤러 지지부(3300)는 상기 일측 탈각 연장부(3132)와 상기 타측 탈각 연장부(3134)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탈각 롤러 지지부(3300)의 일부는 상기 타측 탈각 연장부(3134)와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의 외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탈각 롤러 지지부(3300)의 일부는 상기 일측 탈각 연장부(3132)와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의 외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탈각 롤러 지지부(3300)의 일부는 상기 타측 탈각 연장부(3134)와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의 외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복 수개의 상기 탈각 가이드부(3130)가 상기 탈각 직립부(3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각 안내부(3160)는 상기 탈각 제한부(3135)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탈각 기준부(3310)로 인해 상기 탈각 제한부(3135)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탈각 안내부(3160)는 상기 탈각 제한부(3135)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탈각 경사부(3140)는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 및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에 연결될 수 있다.
탈각 경사부(3140) 경사지게 상기 탈각 직립부(3110)가 제공하는 소정에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탈각 경사부(3140)의 경사와 상기 제2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b) 및 제2 탈각 좌측면부 상단(3112b)의 경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탈각 경사부(3140)의 경사와 상기 제2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b) 및 제2 탈각 좌측면부 상단(3112b)의 경사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탈각 경사부(3140)는 상기 제1 잣 모체가 이동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탈각 경사 영역부(3141) 및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제공되도록 상기 탈각 경사 영역부(3141)와 연결되는 탈각 배치 제공부(3142)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각 경사 영역부(3141)는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의 내면 및 상기 탈각 좌측면부(3112)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경사 영역부(3141)의 경사는 상기 제2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b) 및 제2 탈각 좌측면부 상단(3112b)의 경사와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탈각 경사 영역부(3141)가 상기 탈각 직립부(3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탈각 배치 제공부(3142)는 하나의 탈각 경사 영역부(3141)에서 다른 하나의 탈각 경사 영역부(3141)로 제1 잣 모체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와 상기 탈각 롤러 외력부(3220) 사이에서 상기 제1 잣 모체가 파쇄되기 위하여 상기 탈곡 외력인가부(2500)가 배치되도록, 상기 탈각 경사 영역부(3141)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각 배치 제공부(3142)는 하나의 탈각 경사 영역부(3141)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1 탈각 배치면(3142a), 다른 하나의 탈각 경사 영역부(3141)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2 탈각 배치면(3142b)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탈각 배치면(3142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탈각 배치면(3142b)에 연결되어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3 탈각 배치면(3142c)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각 경사 영역부(3141)와 상기 제3 탈각 배치면(3142c)의 경사는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탈각 배치면(3142a)과 상기 제2 탈각 배치면(3142b)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탈각 경사 영역부(3141)가 상기 탈각 직립부(3110)로 배치되기 위하여, 상기 탈각 배치 제공부(3142)의 측 단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탈각 삽입부(h3111b)와 상기 제2 탈각 삽입부(h3112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가 구비하는 탈각 롤러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롤러 지지부(3300)는 상기 탈각 롤러부(3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탈각 롤러부(3200)가 연결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에 연결되는 탈각 기준부(3310), 상기 탈각 기준부(3310)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탈각 기준부(3310)와 연결되는 탈각 회전부(3320) 및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에 고정되며 상기 탈각 회전부(3320)가 연결되는 탈각 연결부(3330)를 구비할 수 있다.
탈각 기준부(3310)는 상기 롤러 축부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탈각 기준본체부(3311), 상기 탈각 기준본체부(331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일측 기준돌출부(3312) 및 상기 일측 기준돌출부(3312)와 대향되도록 상기 탈각 기준본체부(3311)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타측 기준돌출부(33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각 기준본체부(3311)에 형성된 관통홀에 상기 롤러 축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탈각 기준본체부(3311)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롤러 축부의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될 있다.
상기 일측 기준돌출부(3312)는 상기 탈각 기준본체부(3311)의 둘레 측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기준돌출부(3313)는 상기 탈각 기준본체부(3311)의 둘레 측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기준돌출부(3312)의 측면은 상기 일측 탈각 연장부(31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함입되어 형성되는 일측 기준함입부(331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기준함입부(3312a)에 상기 일측 탈각 연장부(3132)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기준돌출부(3313)의 측면은 상기 타측 탈각 연장부(31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함입되어 형성되는 타측 기준함입부(33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기준함입부(3313a)에 상기 타측 탈각 연장부(3134)가 삽입될 수 있다.
탈각 회전부(33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 기둥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각 회전부(3320)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각 회전부(3320)의 일단부는 상기 탈각 기준본체부(33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각 회전부(3320)는 상기 탈각 기준본체부(331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탈각 연결부(3330)는 판 형상으로 상기 일측 탈각 돌출부(3131)와 타측 탈각 돌출부(3133)에 연결되는 탈각 연결본체부(3331) 및 상기 탈각 연결본체부(3331)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회전부(3320)가 외삽되는 탈각 연결매개부(3332)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각 연결본체부(3331)의 직사각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탈각 연결본체부(333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일단부는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일측 탈각 돌출부(313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타단부는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타측 탈각 돌출부(3133)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탈각 연결본체부(3331)의 중앙에는 상기 탈각 회전부(3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각 연결매개부(3332)는 상기 탈각 연결본체부(3331)에 형성된 소정의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탈각 연결본체부(33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각 회전부(3320)는 상기 탈각 연결매개부(3332)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탈각 연결매개부(3332)는 상기 탈각 회전부(3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탈각 연결매개부(3332)에 형성된 홀의 내면에는 너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각 연결매개부(3332)는 너트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탈각 연결부(3330)는,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에 연결되는 탈각 연결부(3330) 및 상기 탈각 연결본체부(3331)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회전부(3320)가 외삽되는 탈각 연결매개부(33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각 회전부(33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일단부는 상기 탈각 기준부(3310)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연결매개부(3332)에 외삽되도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가 구비하는 탈각 외력인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는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는 탈각 마찰부(3410), 상기 탈각 마찰부(3410)가 안착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에 대해서 탈착되는 탈각 본체부(3420) 및 상기 탈각 본체부(3420)가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탈각 마찰부(3410)가 상기 탈각 롤러부(3200)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탈각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탈각 본체부(3420)에 안착된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탈각 위치 제한부(34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각 본체부(3420)는 상기 탈각 마찰부(3410) 및 상기 탈각 위치 제한부(3430)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각 본체부(3420)는 상면이 부재하며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탈각 본체부(3420)는 상기 제1 탈각 위치 제한부(3431)가 상기 탈각 본체부(34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탈각 위치 제한부(3431)가 삽입되는 복 수의 탈각 삽입홀(h34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정면 및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후면에 상기 탈각 삽입홀(h3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각 삽입홀(h3421)은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정면 및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후면에 복 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22에는 상기 탈각 삽입홀(h3421)이 2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탈각 본체부(3420)는 상기 탈각 본체부(3420)에 안착된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기 제2 탈각 위치 제한부(3432)를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P100)이 삽입되도록,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타단부에 가압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탈각 본체부(3420)에 안착된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타단부에 접촉된 상기 제2 탈각 위치 제한부(3432)를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P100)이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타단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가압 수단(P100)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타단부에는 가압홀(h342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탈각 마찰부(3410)는 상기 탈각 본체부(342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탈각 마찰부(3410)는 상기 탈각 롤러 외력부(3220)와 함께 상기 제1 잣 모체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각 마찰부(3410)는 사각 기둥 형상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탈각 위치 제한부(3430)는 상기 탈각 본체부(3420)에 안착되는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일측 방향으로의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탈각 위치 제한부(3431) 및 상기 탈각 본체부(3420)에 안착되는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타측 방향으로의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탈각 위치 제한부(34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탈각 위치 제한부(3431)는 상기 탈각 마찰부(3410)와 접촉되어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탈각 제한본체부(3431a) 및 상기 제1 탈각 제한본체부(3431a)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삽입홀(h3421)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탈각 제한본체부(3431a)를 상기 탈각 본체부(3420)에 고정시키는 제1 탈각 매개부(3431b)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탈각 제한본체부(3431a)는 사각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탈각 제한본체부(3431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탈각 매개부(3431b)는 상기 제1 탈각 제한본체부(3431a)의 측면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탈각 매개부(3431b)는 상기 제1 탈각 제한본체부(3431a)의 측면으로부터 두 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탈각 매개부(3431b)는 상기 탈각 삽입홀(h3421)에 삽입된 상태로서, 용접에 의해 상기 탈각 본체부(34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탈각 위치 제한부(3432)는 사각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탈각 제한본체부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탈각 위치 제한부(3431)가 상기 탈각 본체부(342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각 롤러 외력부(3220)의 폭에 따라 어느 상기 탈각 삽입홀(h3421)에 상 제1 탈각 매개부(3431b)가 삽입되는지가 고려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탈각 마찰부(3410)가 상기 탈각 본체부(3420) 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일단부에 상기 제1 탈각 제한본체부(3431a)가 접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탈각 위치 제한부(3432)가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타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압홀(h3422)에 가압 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2 탈각 위치 제한부(3432)가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타단부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탈각 롤러부(3200)와 이격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는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와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탈각 본체부(3420)는 제1 탈각 삽입부(h3111b)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외면은 상기 제1 탈각 배치면(3142a), 상기 제2 탈각 배치면(3142b) 및 상기 제3 탈각 배치면(3142c)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폭이 상기 탈각 롤러 외력부(3220)의 폭을 포함하도록,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가 상기 제1 탈각 삽입부(h3111b)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일단부는 상기 탈각 우측면부(3111)로부터 연장된 탈각 안내부(316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탈각 본체부(3420)의 타단부는 상기 탈각 타측면부로부터 연장된 탈각 안내부(3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모체는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상면과 상기 탈각 롤러 외력부(3220) 사이에 이동되면서, 상기 탈각 마찰부(3410)와 상기 탈각 롤러 외력부(3220)에 의해 외력이 인가되어 파쇄될 수 있다.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3000)는 상기 탈각 롤러부(3200)가 회전되도록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탈각 구동부(3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각 구동부(3900)는 소정의 전원에 의해 동력을 제공하는 탈각 모터부(3910), 각 각의 탈각 기준본체부(3311)에 의해 지지되는 각 각의 탈각 롤러 축부(3210)에 연결되는 탈각 구동회전부(3920) 및 상기 탈각 모터부(3910)에서 생산되는 동력을 상기 탈각 구동회전부(3920)에 전달하는 탈각 벨트부(39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각 모터부(3910)는 탈각 지지부(3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탈각 모터부(3910)에 의해 상기 탈각 벨트부(3930)가 위치 이동되며, 상기 탈각 벨트부(3930)에 의해 상기 탈각 구동회전부(3920)는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각의 상기 탈각 롤러 축부(3210)가 회전되어 상기 탈각 롤러 외력부(3220)도 회전되어, 상기 제1 잣 모체를 파쇄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각 장치가 구비하는 탈각 롤러 지지부가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탈각 기준본체부(3311)는 상기 제1 탈각 우측면부 상단(3111a)에서 상기 제1 탈각 슬라이딩부(h3111a)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탈각 가이드부(313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일측 기준함입부(3312a)에 상기 일측 탈각 연장부(313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타측 기준함입부(3313a)에 상기 타측 탈각 연장부(3134)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탈각 연결본체부(3331)는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일측 탈각 돌출부(3131)와 상기 타측 탈각 돌출부(3133)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탈각 회전부(3320)가 상기 탈각 기준부(331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탈각 기준부(3310)가 상기 탈각회전부가 상기 탈각 연결부(3330)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탈각 회전부(3320)가 상기 탈각 기준본체부(3311)를 기준으로 상기 탈각 연결매개부(3332) 상에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일측 기준돌출부(3312)는 상기 일측 탈각 연장부(3132)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타측 기준돌출부(3313)는 상기 일측 탈각 연장부(3132)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탈각 기준본체부(3311)가 위치 이동되면, 상기 탈각 하우징부(3100) 상에 배치된 상기 탈각 롤러부(3200)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탈각 롤러 외력부(3220)와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3400)의 상기 탈각 마찰부(3410)의 상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제1 잣 모체에 대해서 탈각 할 수 있다.
상기 탈각 장치(3000)에 의해 상기 제1 잣 모체가 구비하는 외피가 파쇄되어 제2 잣 모체가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2 잣 모체는 소정의 온도의 물에 소정의 시간 동안 담겨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소정의 온도는 80 ℃ ~ 90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온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소정의 시간은 5 ~ 10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기간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로 인해, 상기 내피가 상기 잣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물에 불어진 제2 잣 모체는 후술하는 탈피 장치(4000)로 유입되어, 상기 잣이 획득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탈피 장치(4000)에 대해서 자세하세 서술하도록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 장치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 장치(4000)는 제2 잣 모체 - 상기 제2 잣 모체는 잣과 상기 잣을 에워싸는 내피로 이루어짐 - 에서 상기 내피를 제거하여 잣을 획득하기 위한 탈피 장치(4000)에 있어서, 제2 잣 모체가 소정 조건에 의해 가공되어 형성되는 제2 잣 가공 모체가 유입되는 탈피 유입구(4112)와 상기 잣과 상기 내피가 배출되는 탈피 배출구(4113)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2 잣 가공 모체가 이동되면서 상기 잣과 상기 내피가 분리되는 공간인 분리 공간을 제공하는 탈피 하우징부(4100), 상기 분리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 공간에 있는 상기 제2 잣 가공 모체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잣과 상기 내피를 서로 분리시키는 탈피 외력인가부(4200) 및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에 연결되어 상기 탈피 배출구(4113)에서 배출되는 상기 잣의 양을 조절하는 잣 배출 조절부(4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피 장치(4000)는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를 지지하는 탈피 지지부(4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피 장치(4000)는 상기 탈피 지지부(440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잣 모체가 상기 분리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2 잣 모체를 안내하는 탈피 안내부(4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피 지지부(4400)는 내부에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탈피 지지부(4400)는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탈피 지지부(4400)의 상면에는 상기 탈피 안내부(4500)가 삽입되는 제1 탈피 지지홀(4410) 및 상기 탈피 지지부(4400)의 하면에는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의 탈피 배출구(4113)로부터 배출되는 잣이 배출되는 제2 탈피 지지홀(44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탈피 안내부(4500)의 일부는 상기 제1 탈피 지지홀(4410)에 삽입되어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의 탈피 유입구(411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피 안내부(4500)는 물에 불려진 상기 제2 잣 모체가 일정한 양으로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2 잣 모체를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피 안내부(4500)는 깔때기 형상일 수 있다.
다만,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탈피 안내부(450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 장치가 구비하는 탈피 하우징부,탈피 외력인가부 및 잣 배출 조절부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 장치가 구비하는 탈피 하우징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는 상기 탈피 외력인가부(4200)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 및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에 연결되는 탈피 하우징덮개부(41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는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에 연결되는 제1 탈피 하우징체결부(4130) 및 상기 탈피 하우징덮개부(4120)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탈피 하우징체결부(4130)에 체결될 수 있는 제2 탈피하우징체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는 상기 제2 잣 모체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탈피 외력인가부(4200)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분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리 공간은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내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탈피 하우징덮개부(412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분리 공간에 배치된 상기 탈피 외력인가부(4200)는 외부로부터 은닉될 수 있으며, 상기 탈피 하우징덮개부(412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분리 공간에 배치된 상기 탈피 외력인가부(4200)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탈피 하우징덮개부(4120)의 일단부는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에 항상 연결될 수 있다.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탈피 하우징덮개부(4120)의 타단부는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탈피 하우징덮개부(4120)의 타단부는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탈피 하우징체결부(4130)와 상기 제2 탈피 하우징체결부(4140)가 체결되어 상기 탈피 하우징덮개부(4120)는 제1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 중단부의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측면이 관통되어 탈피 하우징개구부(4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 방향으로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일 측면이 관통되어 상기 탈피 유입구(4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피 유입구(4112)는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일 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타측 방향으로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일 측면이 관통되어 상기 탈피 배출구(4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피 배출구(4113)는 지면 방향으로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일 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의 일단부 및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의 타단부는 상기 탈피 지지부(440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타측 방향으로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일 측면이 관통되어 탈피 관찰부(4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피 관찰부(4114)는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일 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후술하는 잣 배출 격리판(4311)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잣 배출 위치이동부(4310)에 연결되는 잣 배출 중량부(4320)의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탈피 유입구(4112)는 상기 탈피 안내부(45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잣 모체는 상기 탈피 안내부(4500)와 상기 탈피 유입구(4112)를 통해 상기 분리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잣 모체는 상기 탈피 배출구(4113)와 상기 제2 탈피 지지홀(44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는 상기 탈피 지지부(4400) 상에서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의 일측에서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의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탈피 유입구(4112)로 유입된 제2 잣 모체가 중력에 의해 상기 탈피 배출구(4113)로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탈피 외력인가부(4200)는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에 연결되어,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탈피 축부(4210) 및 상기 탈피 축부(4210)의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 축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탈피 축부(4210)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탈피 축부(4210)와 연결되는 탈피 가압부(4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피 축부(4210)는 상기 분리 공간 상에 배치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피 장치(4000)는 상기 탈피 축부(42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탈피 축부(4210)에 동력을 제공하는 탈피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레로, 상기 탈피 구동부는 전동 모터, 상기 전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탈피 축부(4210)로 전달하는 탈피 벨트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탈피 구동부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탈피 가압부(4220)는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탈피 축부(4210)의 가상의 중심 축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탈피 축부(4210)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탈피 축부(4210)와 연결되는 제1 탈피 가압부(4221) 및 상기 탈피 축부(42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탈피 가압부(4221)와 이격되며 상기 탈피 축부(4210)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탈피 축부(4210)와 연결되는 제2 탈피 가압부(42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탈피 가압부(4222)는 이 방향으로의 상기 제2 탈피 가압부(4222)의 가상의 중심 축이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탈피 가압부(4221)의 가상의 중심 축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탈피 축부(421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탈피 축부(42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탈피 축부(4210)의 가상의 중심 축은 제1 가상의 중심 축(G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탈피 가압부(4221)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탈피 가압부(4221)의 가상의 중심 축은 제2 가상의 중심 축(G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탈피 가압부(4222)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제2 탈피 가압부(4222)의 가상의 중심 축은 제3 가상의 중심 축(G3)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상의 중심 축(G1)과 상기 제2 가상의 중심 축(G2)은 서로 직교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상의 중심 축(G1)과 상기 제3 가상의 중심 축(G3)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2 가상의 중심 축(G2)과 상기 제3 가상의 중심 축(G3)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가상의 중심 축(G2)과 상기 제3 가상의 중심 축(G3)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제2 잣 모체가 더욱 효과적으로 탈피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탈피 가압부(4221) 및/또는 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탈피 축부(4210)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분리 공간 상에 상기 탈피 가압부(4220)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탈피 가압부(4220)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분리 공간 상의 상기 제2 잣 모체는 서로 슬립(slip)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잣 모체 간의 접촉 마찰력에 의해, 상기 내피는 상기 잣 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7은 도 25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5의 A부분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 장치가 구비하는 탈피 하우징부가 제공하는 분리 공간으로부터 잣이 배출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잣 배출 조절부(430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분리 공간 내의 상기 잣과 상기 내피가 상기 탈피 배출구(4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잣 배출 조절부(430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분리 공간 내의 상기 잣과 상기 내피가 상기 탈피 배출구(4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잣 배출 조절부(4300)는 상기 분리 공간 내의 상기 잣의 중량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잣 배출 조절부(4300)는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분리 공간 내의 상기 잣과 상기 내피의 외부 배출 여부를 조절하는 잣 배출 위치이동부(4310) 및 상기 잣 배출 위치이동부(431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방해되도록 상기 잣 배출 위치이동부(4310)에 외력을 제공하는 잣 배출 중량부(43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잣 배출 위치이동부(4310)는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분리 공간 내의 상기 잣과 상기 내피의 외부 배출 여부를 조절하는 잣 배출 격리판(4311) 및 상기 탈피 하우징부(4100)와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에 연결되어,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잣 배출 이동부(4312)를 구비할 수 있다.
잣 배출 격리판(4311)의 둘레면은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는 원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은 상기 탈피 축부(421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이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탈피 축부(4210)의 단면보다 넓게 형성되는 축부 삽입홀(h43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의 상기 축부 상비 홀에 상기 탈피 축부(421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은 상기 분리 공간 상에서 상기 잣 배출 이동부(4312)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이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배출 격리판의 일측의 분리 공간 상의 상기 잣은 상기 탈피 배출구(4113)를 통해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이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의 둘레면은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은 상기 탈피 배출구(4113)에 이웃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 삽입홀(h4311)의 상단부는 상기 탈피 축부(4210)와 접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축부 삽입홀(h4311)의 하단부는 상기 탈피 축부(4210)와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잣의 일반적인 크기로 인해 상기 축부 삽입홀(h4311)의 하단부와 상기 탈피 축부(42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이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배출 격리판의 일측의 분리 공간 상의 상기 잣은 상기 탈피 배출구(41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축부 삽입홀(h4311)의 상단부는 상기 탈피 축부(4210)와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축부 삽입홀(h4311)의 하단부는 상기 탈피 축부(421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의 둘레면은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의 일부는 상기 탈피 관찰부(4114)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잣 배출 이동부(4312)는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 및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에 연결되어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의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잣 배출 이동부(4312)는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에 결합되는 제1 잣 배출 이동부(4312a), 상기 제1 잣 배출 이동부(4312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의 타면에 연결되는 제2 잣 배출 이동부(4312b) 및 상기 제1 잣 배출 이동부(4312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 잣 배출 이동부(4312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배출 이동부(4312a)의 일단부는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잣 배출 이동부(4312a)의 타단부는 상기 잣 배출 중량부(4320)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잣 배출 이동부(4312a)의 타단부는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잣 배출 이동부(4312a)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잣 배출 이동부(4312c)는 상기 제1 잣 배출 이동부(4312a)의 타단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을 항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잣 배출 중량부(4320)는 상기 잣 배출 이동부(4312)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3 잣 배출 이동부(4312c)에 상기 잣 배출 중량부(4320)가 외삽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잣 배출 이동부(4312c)에 외삽되는 상기 잣 배출 중량부(4320)의 개수는 상기 탈피 배출구(4113)를 통해 배출되는 잣의 희망하는 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의 일측의 상기 분리 공간 상에 상기 잣 및 상기 내피가 제1 방향으로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에 인가하는 외력이 상기 잣 배출 중량부(4320)에 의해 상기 잣 배출 이동부(4312)가 제2 방향으로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에 인가하는 외력보다 크다면,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1 위치인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잣 및 상기 내피는 상기 탈피 배출구(4113)를 통해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의 일측의 상기 분리 공간 상에 상기 잣 및 상기 내피가 제1 방향으로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에 인가하는 외력이 상기 잣 배출 중량부(4320)에 의해 상기 잣 배출 이동부(4312)가 제2 방향으로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에 인가하는 외력보다 작다면,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은 제1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탈피 배출구(4113)를 통해 상기 탈피 하우징본체부(4110)로부터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도 27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제1 방향은 반 시계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내피와 상기 잣의 탈피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3 잣 배출 이동부(4312c)에 연결되는 상기 잣 배출 중량부(432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내피와 상기 잣의 탈피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3 잣 배출 이동부(4312c)에 연결되는 상기 잣 배출 중량부(4320)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2 잣 모체가 효과적으로 탈피가 되지 않는다면, 상기 잣 배출 격리판(4311)의 일측의 분리 공간상에 상기 제2 잣 모체가 위치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왜냐 하면 상기 탈피 가압부(4220)에 의해 각 각의 상기 제2 잣 모체가 슬립되는 정도가 더 많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더 무거운 상기 잣 배출 중량부(4320)를 상기 제3 잣 배출 이동부(4312c)에 연결시키거나, 더 많은 개수의 상기 잣 배출 중량부(4320)를 상기 제3 잣 배출 이동부(4312b)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잣 배출 중량부(4320)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상기 잣의 양 혹은 탈피 되는 정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원활한 탈피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0 : 탈곡 장치 2000 : 선별 장치
3000 : 탈각 장치 4000 : 탈피 장치

Claims (11)

  1. 제1 잣 모체 - 상기 제1 잣 모체는 제2 잣 모체와 상기 제2 잣 모체를 에워싸는 외피로 이루어짐. - 를 파쇄하여 상기 제2 잣 모체를 획득하기 위한 탈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잣 모체가 유입되는 탈각 유입구와 상기 제2 잣 모체가 배출되는 탈각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각 하우징부;
    상기 제1 잣 모체가 파쇄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 상에서 이동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탈각 롤러부;
    상기 탈각 하우징부와 상기 탈각 롤러부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롤러부가 상기 탈각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탈각 롤러 지지부; 및
    상기 탈각 롤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탈각 롤러부와 함께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탈각 외력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는 탈각 마찰부, 상기 탈각 마찰부가 안착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탈각 하우징부에 대해서 탈착되는 탈각 본체부 및 상기 탈각 본체부가 상기 탈각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탈각 마찰부가 상기 탈각 롤러부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탈각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탈각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탈각 마찰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탈각 위치 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탈각 위치 제한부는,
    상기 탈각 본체부에 안착되는 상기 탈각 마찰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탈각 본체부의 일측 방향으로의 상기 탈각 마찰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탈각 위치 제한부 및 상기 탈각 본체부에 안착되는 상기 탈각 마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각 본체부의 타측 방향으로의 상기 탈각 마찰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탈각 위치 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탈각 위치 제한부는,
    상기 탈각 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탈각 본체부는,
    상기 탈각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탈각 마찰부의 타단부에 접촉된 상기 제2 탈각 위치 제한부를 상기 탈각 본체부의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상기 탈각 본체부의 타단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가압 수단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탈각 본체부의 타단부에 가압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각 롤러 지지부는,
    상기 탈각 롤러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탈각 롤러부가 연결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탈각 하우징부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탈각 기준부, 상기 탈각 기준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탈각 기준부와 연결되는 탈각 회전부 및 상기 탈각 하우징부에 고정되며 상기 탈각 회전부가 연결되는 탈각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탈각 기준부는,
    상기 탈각 회전부가 상기 탈각 기준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탈각회전부가 상기 탈각 연결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탈각 하우징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탈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각 연결부는,
    판 형상으로 상기 탈각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탈각 연결본체부 및 상기 탈각 연결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회전부가 외삽되는 탈각 연결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탈각 회전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일단부는 상기 탈각 기준부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연결매개부에 외삽되도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탈각 롤러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와 연결되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탈각 하우징부와 분리되는,
    탈각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각 본체부는,
    상기 제1 탈각 위치 제한부가 상기 탈각 본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탈각 위치 제한부가 삽입되는 복 수의 탈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각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각 하우징부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이동시키는 제1 잣 모체 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잣 모체 운송부는,
    상기 제1 잣 모체를 수용하는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 상기 제1 잣 모체를 상기 제1 탈각 하우징부로 유입시키는 제1 잣 모체 이동부 및 상기 제1 잣 모체 수용 탱크에서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로 상기 제1 잣 모체를 이동시키는 제1 잣 모체 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잣 모체 매개부는,
    일정한 양의 상기 제1 잣 모체를 상기 제1 잣 모체 이동부로 전달하는,
    탈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각 하우징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와 제1 잣 모체 분쇄물을 각각 분리시키는 탈각 분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잣 모체 분쇄물은,
    상기 제2 잣 모체 및 상기 제1 잣 모체가 파쇄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잣 모체를 제외한 제1 잣 모체 잔여물로 이루어지는,
    탈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각 분별기는,
    상기 탈각 하우징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 잣 모체, 상기 제2 잣 모체 및 상기 제1 잣 모체 잔여물 중에서 상기 제2 잣 모체를 분리하는 제1 탈각 분별기 및 상기 제1 탈각 분별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와 상기 제1 잣 모체 잔여물 중에서 상기 제1 잣 모체를 분리하는 제2 탈각 분별기를 구비하는,
    탈각 장치.
  11. 잣 송이를 파쇄하여 제1 잣 모체를 획득하는 탈곡 장치;
    상기 제1 잣 모체를 소정의 크기 군으로 선별하는 선별 장치;
    소정의 크기 군으로 선별된 상기 제1 잣 모체를 파쇄하여 잣과 상기 잣을 에워싸는 내피로 이루어 지는 제2 잣 모체를 획득하는 탈각 장치;
    상기 제2 잣 모체의 상기 내피를 제거하여 잣을 획득하는 탈피 장치; 및
    상기 탈곡 장치, 상기 선별 장치, 상기 탈각 장치 및 상기 탈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각 장치는,
    상기 제1 잣 모체가 유입되는 탈각 유입구와 상기 제2 잣 모체가 배출되는 탈각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각 하우징부;
    상기 제1 잣 모체가 파쇄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 상에서 이동되는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탈각 롤러부;
    상기 탈각 하우징부와 상기 탈각 롤러부에 연결되며, 상기 탈각 롤러부가 상기 탈각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탈각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탈각 롤러 지지부; 및
    상기 탈각 롤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탈각 롤러부와 함께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인가하는 탈각 외력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각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잣 모체에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는 탈각 마찰부, 상기 탈각 마찰부가 안착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탈각 하우징부에 대해서 탈착되는 탈각 본체부 및 상기 탈각 본체부가 상기 탈각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탈각 마찰부가 상기 탈각 롤러부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탈각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탈각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탈각 마찰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탈각 위치 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탈각 위치 제한부는,
    상기 탈각 본체부에 안착되는 상기 탈각 마찰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탈각 본체부의 일측 방향으로의 상기 탈각 마찰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탈각 위치 제한부 및 상기 탈각 본체부에 안착되는 상기 탈각 마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각 본체부의 타측 방향으로의 상기 탈각 마찰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탈각 위치 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탈각 본체부는,
    상기 탈각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탈각 마찰부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기 제2 탈각 위치 제한부를 상기 탈각 본체부의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상기 탈각 본체부의 타단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가압 수단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탈각 본체부의 타단부에 가압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 분리 장치.
KR1020180127759A 2018-10-24 2018-10-24 탈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잣 분리 장치 KR101978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759A KR101978473B1 (ko) 2018-10-24 2018-10-24 탈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잣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759A KR101978473B1 (ko) 2018-10-24 2018-10-24 탈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잣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473B1 true KR101978473B1 (ko) 2019-08-28

Family

ID=6777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759A KR101978473B1 (ko) 2018-10-24 2018-10-24 탈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잣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4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340B1 (ko) 2020-11-22 2021-03-24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피잣 탈각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619B1 (ko) * 1990-08-13 1993-04-06 김승기 밤을 가공하는 장치
KR100351684B1 (ko) * 2000-06-26 2002-09-11 서인석 밤 내피의 박피장치
KR200445834Y1 (ko) 2007-08-27 2009-09-03 강창균 견과류의 껍질 제거 장치
KR101108852B1 (ko) 2009-01-06 2012-01-31 유남열 다기능 수동 잡곡 선별기
KR101145580B1 (ko) * 2010-03-15 2012-05-15 홍성표 잣 자동 탈각 장치
KR101360574B1 (ko) * 2012-11-15 2014-02-11 허종현 잣 탈피장치
KR101373411B1 (ko) * 2013-01-15 2014-03-26 허종현 잣 탈피장치
KR20140142042A (ko) 2013-06-03 2014-12-11 유제태 판형 스크린망
US20170245691A1 (en) * 2016-02-29 2017-08-31 Scott Staten OLIVER Powered nut cracke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619B1 (ko) * 1990-08-13 1993-04-06 김승기 밤을 가공하는 장치
KR100351684B1 (ko) * 2000-06-26 2002-09-11 서인석 밤 내피의 박피장치
KR200445834Y1 (ko) 2007-08-27 2009-09-03 강창균 견과류의 껍질 제거 장치
KR101108852B1 (ko) 2009-01-06 2012-01-31 유남열 다기능 수동 잡곡 선별기
KR101145580B1 (ko) * 2010-03-15 2012-05-15 홍성표 잣 자동 탈각 장치
KR101360574B1 (ko) * 2012-11-15 2014-02-11 허종현 잣 탈피장치
KR101373411B1 (ko) * 2013-01-15 2014-03-26 허종현 잣 탈피장치
KR20140142042A (ko) 2013-06-03 2014-12-11 유제태 판형 스크린망
US20170245691A1 (en) * 2016-02-29 2017-08-31 Scott Staten OLIVER Powered nut crac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340B1 (ko) 2020-11-22 2021-03-24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피잣 탈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371B1 (ko) 탈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잣 분리 장치
KR101960774B1 (ko) 잣 송이 탈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잣 분리 장치
KR101586465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N102264248B (zh) 用于绿色和成熟咖啡果混合物选择加工的实施在脱果肉机中的振动式弹性螺旋圆锥状裙板
KR101961463B1 (ko) 대용량 꽃밥 채취 시스템
KR101586464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1586467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N110743645B (zh) 一种小麦胚芽剥离装置
KR101978473B1 (ko) 탈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잣 분리 장치
CN103975706A (zh) 油菜田间育种脱粒机
KR101235915B1 (ko) 버섯 배지용 톱밥 입도 선별장치
KR20090014046A (ko) 곡물 선별기
CN207463628U (zh) 一种茶梗茶叶分离机
JP6931241B2 (ja) 葯採取装置
JP2009233528A (ja) 穀粒選別機の小米取出装置
CN217221819U (zh) 一种作物病害检测用研磨装置
KR101973705B1 (ko) 선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잣 분리 장치
KR200287400Y1 (ko) 지렁이와 지렁이 알 및 지렁이 분변토 선별장치
CN212120090U (zh) 一种籽粒脱壳机的壳体收集装置
KR200344538Y1 (ko) 콩 정선이 가능한 콩 탈곡기
US2047508A (en) Grain separator
CN107537643A (zh) 一种自动进料的摆动切碎机
CN208412196U (zh) 一种用于制作桂花鱼饲料的包装装置
CN105612942A (zh) 油菜脱粒风选机
CN114885684B (zh) 一种基于草料的饲料制造用粉碎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