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772A -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 Google Patents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772A
KR20180122772A KR1020170056764A KR20170056764A KR20180122772A KR 20180122772 A KR20180122772 A KR 20180122772A KR 1020170056764 A KR1020170056764 A KR 1020170056764A KR 20170056764 A KR20170056764 A KR 20170056764A KR 20180122772 A KR20180122772 A KR 20180122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anchor
bolt
main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438B1 (ko
Inventor
이선호
Original Assignee
이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호 filed Critical 이선호
Priority to KR102017005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43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를 이용한 소재 간의 결합시 단순한 구성에 의해 탭 가공 없이도 드릴 등을 이용한 홀 가공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재 간 결합시 선작업 공정을 줄이고, 그에 따라 소재 간 결합 및 그를 포함하는 작업 공정의 전체적인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에 있어서, 볼트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피고정물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앵커 본체와, 상기 앵커 본체의 내측에 폭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는 볼플런저 및 상기 볼플런저에 의해 지지되고 앵커 본체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피고정물의 내측벽을 가압하는 가압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Anchor structure for fastenning a bolt}
본 발명은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를 이용한 소재 간의 결합시 단순한 구성에 의해 탭 가공 없이도 드릴 등을 이용한 홀 가공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재 간 결합시 선작업 공정을 줄이고, 그에 따라 소재 간 결합 및 그를 포함하는 작업 공정의 전체적인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는 둘 이상의 부품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구로, 볼트 이음은 분해와 조립이 쉽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볼트는 머리와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져 있고, 몸체의 일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안쪽에 볼트의 나사산과 맞는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와의 결합에 의해 둘 이상의 부품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둘 이상의 부품을 결합시키는 경우, 즉 고정물을 피고정물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피고정물에 볼트 삽입을 위한 홀을 가공한 후, 상기 홀의 측면에 볼트 체결을 위한 암나사를 가공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나사 가공을 탭 가공이라 한다.
즉, 종래에는 가공물을 피가공물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 체결을 위한 탭 가공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탭 가공을 위해서는 별도의 공정에 의한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생산 원가가 상승되고 싸이클 타임이 증가되며 불량률이 높아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0331호에는 부품고정용 볼트체결구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함몰되어 빈 공간을 이루는 원형의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와 연결되도록 보다 외측으로 다수 개가 함몰되는 슬롯으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볼트 체결시 탭 가공이 필요없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보일 수는 있겠으나, 단순히 볼트 체결시 힘에 의해 볼트의 나사부가 코어부를 파고 들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피고정물이 금속인 경우에는 적용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정력이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형 가공의 경우 열처리된 코어 소재 즉, SK-61종 및 SK-11종의 소재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와 같이 열처리된 소재의 경우 탭 가공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볼트에 의한 체결방법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0331호(2010. 02. 2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를 이용한 소재 간의 결합시 단순한 구성에 의해 탭 가공 없이도 드릴 등을 이용한 홀 가공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재 간의 결합시 피고정물의 내측벽을 가압하는 가압볼이 이동하는 경로가 하향 기울기를 이루도록 하여 가압볼이 지속적으로 피고정물의 내측벽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함으로써 앵커 본체가 피고정물의 내부에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에 있어서, 볼트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피고정물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앵커 본체와, 상기 앵커 본체의 내측에 폭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는 볼플런저 및 상기 볼플런저에 의해 지지되고 앵커 본체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피고정물의 내측벽을 가압하는 가압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앵커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볼플런저 및 가압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 본체에는 볼플런저가 삽입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플런저는 후단부가 이탈방지구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가압볼을 지지하는 지지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 본체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구를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구에는 가압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가압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에는 가압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상기 가이드홀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과 가이드홀은 가압볼이 볼플런저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가압볼이 볼플런저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깊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를 이용한 소재 간의 결합시 단순한 구성에 의해 탭 가공 없이도 드릴 등을 이용한 홀 가공만으로 결합이 가능하므로, 소재 간 결합시 선작업 공정을 줄이고, 그에 따라 소재 간 결합 및 그를 포함하는 작업 공정의 전체적인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 본체가 피고정물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볼에 의한 피고정물 내측벽의 가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앵커 본체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체결용 앵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앵커 본체와 이탈방지구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체결용 앵커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체결용 앵커를 이용하여 고정물을 피고정물에 고정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체결용 앵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앵커 본체와 이탈방지구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체결용 앵커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체결용 앵커를 이용하여 고정물을 피고정물에 고정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볼트를 이용한 소재 간의 결합시 단순한 구성에 의해 탭 가공 없이도 드릴 등을 이용한 홀 가공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재 간 결합시 선작업 공정을 줄이고, 그에 따라 소재 간 결합 및 그를 포함하는 작업 공정의 전체적인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이하, '앵커(100)'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앵커 본체(110), 볼플런저(130), 가압볼(140) 및 이탈방지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앵커 본체(110)는 피가공물에 형성된 결합홀(3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가공물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10)가 피가공물의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볼플런저(130) 및 가압볼(1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볼트(10)가 체결되는 나사산(112a), 즉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홀(11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앵커 본체(110)의 하부에는 볼플런저(130)가 삽입 결합되는 관통홀(118)이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앵커 본체(110)의 하부 외주면에는 후술할 이탈방지구(120)가 결합되는 결합홈(114)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114)에는 후술할 가압볼(1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6)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홈(116)은 그 일측 단부가 관통홀(118)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관통홀(118)과 연결된 일측 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앵커 본체(110)의 원주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16)은 관통홀(118)과 연결된 일측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깊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볼플런저(130)는 앵커 본체(110)의 내측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후술할 가압볼(140)을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앵커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18)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어 후술할 이탈방지구(12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볼플런저(130)는 몸체(132), 스프링(134) 및 지지볼(1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몸체(132)는 볼플런저(130)가 앵커 본체(110)의 관통홀(118) 내측에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통홀(118)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후단부가 이탈방지구(1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34)은 몸체(132)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가압볼(140)에 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몸체(132)와 지지볼(136)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볼(136)은 스프링(134)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가압볼(1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가압볼(140)은 앵커 본체(110)의 관통홀(118)에 일부가 삽입되어 볼플런저(1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앵커 본체(110)에 체결 고정된 볼트(10)의 회전에 의해 가압볼(140)의 일부는 앵커 본체(110)의 외측으로 점점 돌출되어 피고정물(30)의 결합홀(32) 내측벽을 가압함으로써 앵커 본체(110)가 피고정물(30)의 결합홀(32) 내부에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압볼(140)은 그 일부가 앵커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피고정물(30)의 결합홀(32) 내측벽과 접촉한 상태가 되고, 볼트(10)의 회전에 의해 앵커 본체(110)가 피고정물(30)의 결합홀(32) 내측에서 회전하는 경우 결합홀(32) 내측벽과의 마찰력에 의해 앵커 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6)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볼(140)은 볼플런저(130)의 지지볼(136)에 점접촉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볼트(10)의 회전에 의한 이동시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16)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118)과 연결된 일측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깊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즉 가압볼(140)이 볼플런저(130)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그 깊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볼(140)은 가이드홈(116)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점점 더 외측으로 돌출하여 피고정물(30)의 결합홀(32) 내측벽을 강하게 가압하게 되므로 앵커 본체(110)가 결합홀(32) 내측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이탈방지구(120)는 앵커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볼플런저(130) 및 가압볼(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앵커 본체(110)에 형성된 결합홈(114)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구(1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124)가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이탈방지구(120)가 결합홈(11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구(120)에는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홀(122)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홀(122)은 앵커 본체(110)의 가이드홈(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압볼(140)의 직경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가압볼(14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압볼(1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구(120)는 앵커 본체(110)의 결합홈(114)에 끼움 결합되면서 관통홀(118)의 일측 단부를 커버하여 볼플런저(130)의 몸체(132) 후단을 지지함으로써 앵커 본체(110)의 관통홀(118)에 삽입 설치된 볼플런저(13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이드홀(122)에 의해 가압볼(140)의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가압볼(1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앵커 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6)과 이탈방지구(120)에 형성된 가이드홀(1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볼(1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홀(118)이 형성된 부분, 즉 가압볼(140)이 볼플런저(130)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가압볼(140)의 진행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피고정물(30) 내부에서의 앵커 본체(1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압볼(1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단부는 볼플런저(130)의 지지볼(136)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 단부는 앵커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피고정물(30)의 결합홀(32) 내측벽과 접촉한 상태에서, 볼트(10)의 회전에 의해 앵커 본체(110)가 피고정물(30)의 결합홀(32) 내측에서 회전하는 경우 결합홀(32) 내측벽과의 마찰력에 의해 앵커 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6)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가이드홈(116)과 가이드홀(122)이 관통홀(118)이 형성된 부분을 시점으로 하여 가압볼(140)의 진행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로 형성되는 경우, 가압볼(140)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앵커 본체(110)의 고정 작업이 보다 적은 힘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볼(140)에 가이드홈(116)과 가이드홀(122)의 하향 기울기를 따라 이동하려는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쐐기 효과가 발생되므로 앵커 본체(110)는 피고정물(3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고정물(30)의 내측에 고정된 앵커 본체(11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기 위해서는 가압볼(140)에 의한 가압력이 약화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가압볼(140)이 앵커 본체(110)의 고정시와는 반대로 가이드홈(116)과 가이드홀(122)의 상향 기울기를 따라 이동하여야 하므로 앵커 본체(110)가 잘 풀리지 않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앵커(100)를 이용한 소재 간의 결합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고정물(30)에 앵커 본체(110)의 삽입을 위한 결합홀(32)을 가공한 후, 가공된 결합홀(32)의 내측으로 볼플런저(130)와 가압볼(140) 및 이탈방지구(120)가 결합된 앵커 본체(11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가압볼(140)은 볼플런저(130)에 구비된 스프링(134)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결합홀(32)에 삽입된 후 스프링(134)의 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하여 피가공물의 결합홀(32) 내측벽에 접촉하게 된다.
다음, 앵커 본체(110)가 삽입된 피고정물(30)의 상부에 고정물(20)을 위치시킨 후, 볼트(10)를 나사산(112a)이 형성된 앵커 본체(110)의 체결홀(112)을 통해 삽입하여 체결 고정시킨다.
상기 볼트(10)가 앵커 본체(110)에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볼트(10)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면, 볼트(10)에 고정된 앵커 본체(110) 또한 피고정물(30)의 결합홀(32) 내측에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결합홀(32)의 내측벽과 접촉된 가압볼(140)은 내측벽과의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홈(116) 및 가이드홀(12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동 과정에서 가이드홈(116)의 형상, 즉 점점 깊이가 낮아지는 형상에 의해 점점 외측으로 돌출하면서 결합홀(32)의 내측벽을 가압하게 되어 앵커 본체(110)가 피고정물(30)의 결합홀(32) 내측에 견고히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압볼(140)은 진행 방향을 향해 하향 기울기로 형성된 가이드홈(116) 및 가이드홀(122)의 형상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계속 받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결합홀(32)의 내측벽을 가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앵커 본체(110)는 피고정물(30)의 내측에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에 의하면, 볼트(10)를 이용한 소재 간의 결합시 단순한 구성에 의해 탭 가공 없이도 드릴 등을 이용한 홀 가공만으로 결합이 가능하므로, 소재 간 결합시 선작업 공정을 줄이고, 그에 따라 소재 간 결합 및 그를 포함하는 작업 공정의 전체적인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앵커 본체(110)가 피고정물(30)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볼(140)에 의한 피고정물(30) 내측벽의 가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앵커 본체(110)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를 이용한 소재 간의 결합시 단순한 구성에 의해 탭 가공 없이도 드릴 등을 이용한 홀 가공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재 간 결합시 선작업 공정을 줄이고, 그에 따라 소재 간 결합 및 그를 포함하는 작업 공정의 전체적인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10 : 볼트 20 : 고정물
30 : 피고정물 32 : 결합홀
100 : (볼트 체결용) 앵커 110 : 앵커 본체
112 : 체결홀 112a : 나사산
114 : 결합홈 116 : 가이드홈
118 : 관통홀 120 : 이탈방지구
122 : 가이드홀 124 : 절개부
130 : 볼플런저 132 : 몸체
134 : 스프링 136 : 지지볼
140 : 가압볼

Claims (8)

  1.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에 있어서,
    볼트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피고정물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앵커 본체와,
    상기 앵커 본체의 내측에 폭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는 볼플런저 및
    상기 볼플런저에 의해 지지되고 앵커 본체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피고정물의 내측벽을 가압하는 가압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볼플런저 및 가압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본체에는 볼플런저가 삽입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플런저는 후단부가 이탈방지구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가압볼을 지지하는 지지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본체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구를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에는 가압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가압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에는 가압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상기 가이드홀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과 가이드홀은 가압볼이 볼플런저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가압볼이 볼플런저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깊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KR1020170056764A 2017-05-04 2017-05-04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KR101942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764A KR101942438B1 (ko) 2017-05-04 2017-05-04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764A KR101942438B1 (ko) 2017-05-04 2017-05-04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772A true KR20180122772A (ko) 2018-11-14
KR101942438B1 KR101942438B1 (ko) 2019-01-25

Family

ID=6432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764A KR101942438B1 (ko) 2017-05-04 2017-05-04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4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467U (ja) * 1992-01-20 1993-08-10 株式会社マテックマツザキ 鋏におけるナットの弛み回動防止装置
JP2003184847A (ja) * 2001-12-17 2003-07-03 Tamagawa Seiki Co Ltd ロック機能付ボルト・ナット構造
KR20030074848A (ko) * 2000-05-18 2003-09-19 박문용 앵커 조립체 및 너트 조립체
KR20100020331A (ko) 2008-08-12 2010-02-22 김철운 부품고정용 볼트체결구
KR20170001272U (ko) * 2016-05-04 2017-04-12 신명하이텍 주식회사 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클램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467U (ja) * 1992-01-20 1993-08-10 株式会社マテックマツザキ 鋏におけるナットの弛み回動防止装置
KR20030074848A (ko) * 2000-05-18 2003-09-19 박문용 앵커 조립체 및 너트 조립체
JP2003184847A (ja) * 2001-12-17 2003-07-03 Tamagawa Seiki Co Ltd ロック機能付ボルト・ナット構造
KR20100020331A (ko) 2008-08-12 2010-02-22 김철운 부품고정용 볼트체결구
KR20170001272U (ko) * 2016-05-04 2017-04-12 신명하이텍 주식회사 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클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438B1 (ko) 201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896B1 (ko) 후시공 앵커, 후시공 앵커의 시공 방법, 후시공 앵커 시스템 및 회전 방지 지그
TW200722636A (en) Fastening element for hard constructional components
EP2592285A1 (en) Screw assembly element
JP2009115166A (ja) 締結装置
CA2979509C (en) Expansion anchor
JP2020527465A (ja) 切削工具及び連結ねじを保持するための保持部材を有する切削工具本体
KR101928696B1 (ko) 풀림방지 볼트
KR101845007B1 (ko) 앵커볼트 조립체
JPS61230867A (ja) 砥石車用締付装置
JP6329772B2 (ja) 下段部材の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KR101942438B1 (ko) 볼트 체결용 앵커 구조
US3107569A (en) Expansion bolt with nut actuated expansion wedges
TWI622464B (zh) Tool chuck for power tools
JP2006105269A (ja) 管継手
MX2008000305A (es) Acoplamiento entre dos cuerpos que comprende un anillo de corte deformable elasticamente con una rosca de tornillo formando labios de corte.
US10124473B2 (en) Screwdriver bit assembly with a magnetic structure
JP2019090301A (ja) シールドセグメント用継手部材
JP2008179991A (ja) 足場用壁つなぎ取付ボルト
JP2023161843A (ja) リング装着治具およびリング装着方法
US3055528A (en) Apparatus for setting rivets
JP2008180340A (ja) コンクリート用釘
KR101582258B1 (ko) 세트 앵커 볼트
KR20170002262A (ko) 고정안정성 증대용 결합면을 갖는 고정구 세트
EP3235596B1 (en) Screwdriver bit assembly with a magnetic structure
JP2021122903A (ja) C型止め輪取付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c型止め輪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