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696B1 - 풀림방지 볼트 - Google Patents

풀림방지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696B1
KR101928696B1 KR1020180030073A KR20180030073A KR101928696B1 KR 101928696 B1 KR101928696 B1 KR 101928696B1 KR 1020180030073 A KR1020180030073 A KR 1020180030073A KR 20180030073 A KR20180030073 A KR 20180030073A KR 101928696 B1 KR101928696 B1 KR 101928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bolt
insertion groove
outer diame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욱
이현룡
Original Assignee
박홍욱
이현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욱, 이현룡 filed Critical 박홍욱
Priority to KR1020180030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16B39/101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with a plate, spring, wire or ring holding two or more nuts or bolt heads which are mainly in the sam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with thread-engaging surfaces formed by inserted coil-springs, discs, or the like; Independent pieces of wound wire used as nuts; Threaded inserts for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림방지볼트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2) 구조가 간단해서 제조가 간편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3) 볼트의 회전에 의해서 구조체에 결합용 나사산을 가공할 수 있는 풀림방지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풀림방지 볼트{LOCKING BOLT}
본 발명은 풀림방지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속적으로 장시간 또는 순간적인 진동이나 회전체에 의하여, 임의로 볼트가 풀리는 것이 방지되고 벽면고정 및 너트결합이 가능하고, 주기적인 흔들림 현상이 방지되며, 반복적으로 사용 가능한 풀림방지볼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풀림방지 볼트의 하부에 태핑 볼트와 같은 기능성 볼트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어서 너트 없이 체결 부재에 직접 체결될 수 있는 풀림방지 볼트에 관한 것이다.
부재 등을 단단히 죄어 고정할 때에 볼트나 너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단히 죄어 고정한 부분에 반복해서 진동이 작용하면 볼트나 너트가 느슨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부터 여러 가지 발명이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헤드부와 테이퍼부를 구비하여 테이퍼부의 내면이 원추 곡면으로 형성되고, 테이퍼부의 외면이 오목면상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부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 체결 부재에 의하면 강고하게 피체결체를 단단히 죄어서 고정할 수 있고, 테이퍼부의 작용에 의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적합한 로킹 작용을 구비한 것이 얻어진다.
그러나 이 체결 부재와 같은 특수한 형상의 경우 선반(旋盤) 등을 사용한 절삭 가공이 아니면 제조가 곤란하고 게다가 절삭 가공은 제조에 특별한 기량을 필요하므로 생산비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코일스프링에 의한 풀림방지볼트가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2는 너트(10)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11)에 의해 볼트(12)와의 나사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풀림방지너트에 있어서, 상기 너트(10)의 내주면에는 너트(10)의 나사산(13)에 비해 내경이 넓으며 그 내부에는 별도의 나선홈이 형성되지 않은 확경부(50)가 형성되고, 이 확경부(50)의 종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11)의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단부(51)가 끼움 결합되는 삽입홈(52)이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11)의 내측면은 반원형 만곡부(53)가 돌출 형성되고 외측면은 평면인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경부(50)와 삽입홈(52)의 길이방향 폭은 상기 코일스프링(11)이 장착된 후에 볼트(12)의 나사산 피치(P)보다 한 피치이상 넓은 여유공간(54,55)이 형성되는 풀림방지너트가 제공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1) 너트(10)의 내주면에는 너트(10)의 나사산(13)에 비해 내경이 넓으며 그 내부에는 별도의 나선홈이 형성되지 않은 확경부(50)가 형성해야 하므로, 생산성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2) 너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체의 모재 자체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를 체결하는 형태의 곳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특허문헌 3은 특허문헌 2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를 가지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후단에 연장형성하며 제1부재 보다 외경이 작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를 가지는 제2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2부재의 후단부에 코일스프링을 수용하는 코일스프링 수용홈을 형성한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외경의 크기가 제1부재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내경의 크기가 제2부재와 동일하며, 코일스프링의 선단부가 제1부재의 나사산 끝단부와 서로 대응되며, 코일스프링의 일단에 소정의 길이가 내측으로 절곡된 고정부를 형성하여 코일스프링 수용홈에 코일스프링의 고정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부재의 나사산 사이의 나사골에 삽설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부의 선단에 위치하며 상기 나사부보다 축 지름이 크게 형성된 머리로 구성되는 볼트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경이 제1부재의 나사산의 외경과 같고,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 침상 형태로 돌출침을 구성하며, 상기 돌출침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일정 길이로 포물선형을 그리며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 수용홈에 코일스프링의 끝부분에 있는 돌출침이 코일스프링의 가소성에 의하여 외경이 변화되고 이에 따른 마찰력과 돌출침의 걸림으로 인하여 풀림방지 볼트는 결합의 임의 풀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특허문헌 1과 같은 변형된 너트가 아닌 기존의 너트를 사용하여 단순 조립만으로 풀림방지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체결의 해체가 가능함으로써 너트의 재사용이 가능하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1부재(10) 보다 외경이 작은 제2부재의 외주면에 또 다시 나사산(20a)을 형성해야 하고, 또한, 코일스프링이 제2부재의 나사산에 삽설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제조가 복잡하고, 대량생산에 문제가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 침상 형태로 돌출침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의 제조공정도 복잡하고, 코일스프링의 고정부가 결합되는 수용홈이 제2부재의 후단부 밑면에 형성됨으로써 실제 작업현장에서 작업시 볼트에 결합된 코일스프링이 삽입홈에 완전히 체결되지 못하고 빠지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작업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코일스프링이 제2부재의 나사산에 삽설되어야 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을 볼트 본체 상에 쉽게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고, 제2부재의 후단부 밑면에 수용홈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너트가 필요 없거나 별도의 체결공이 없는 상태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풀림방지를 위한 코일스프링이 볼트 몸체에 쉽게 체결될 수 있고, 체결된 이후 쉽게 탈착되지 않으며, 제조공정이 간단해서 쉽게 제조될 수 있는 풀림방지볼트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너트가 필요 없거나 별도의 체결공이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풀림방지볼트가 필요하다.
한편, 일반적인 볼트의 경우 외주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이용해서 판재 등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조립될 판재 등에 볼트가 결합될 나사구멍을 형성해야 한다. 이와 같은 판재 등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체결될 판재에 드릴을 이용하여 볼트의 지름보다 약간 작은 지름을 갖는 구멍을 뚫은 뒤, 이러한 구멍의 내주에 볼트와 같은 지름을 갖는 탭을 이용하여 나선홈을 가공함으로써 나사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하나의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드릴링 작업과 태핑 작업의 두 가지 공정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고, 볼트 체결로 마무리해야 하는 등 작업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그만큼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드릴작업, 태핑작업, 볼트 등의 조립 작업 중에서 잘못된 공정이 하나라도 발생하면 가공된 제품에 불량이 발생되어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50491호(특허문헌 4) 등에는 별도의 태핑작업이 필요 없는 셀프태핑볼트를 개시하고 있다. 즉, 소재의 결합홀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태핑작업과 소재들을 결합하는 볼트의 체결작업을 일체화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셀프태핑볼트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셀프태핑볼트는 하나의 볼트에서 태핑작업을 한 후 그 뒤에 볼트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태핑작업이 완벽하지 못할 경우 볼트가 쉽게 풀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셀프 태핑기능을 가지면서도 일단 체결된 이후에는 쉽게 풀리지 않는 볼트도 필요한 실정이다.
1. 일본등록특허공보 제3860200호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701782호 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60737호 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504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종래의 풀림방지볼트와 달리 코일스프링이 쉽고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풀림 방지 기능이 우수하며, 제조공정이 간단해서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풀림방지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림방지볼트에 태핑볼트와 같은 기능성 볼트를 분리가능하게 일체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너트가 필요 없거나 별도의 체결공이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풀림방지볼트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풀림방지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제2부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2부재에 수용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보다 외경이 작고, 제1부재와 달리 별도의 나사산이 없으며, 외측 후부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일단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코일스프링의 절곡부가 제1삽입홈에 밀착 결합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풀림방지볼트는,
상기 제1삽입홈은 상기 제2부재 외경의 원주 방향으로 3~5mm 간격을 가지며, 코일스프링의 절곡부가 제1삽입홈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풀림방지볼트는,
제1삽입홈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 일단의 내부 직경은 제2부재의 외경 대비 90 내지 100%이고, 타단의 내부 직경은 제2부재의 외경 대비 102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풀림방지볼트는,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제1삽입홈에 안착 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제2부재의 외경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풀림방지볼트는,
상기 제2부재의 끝단에 소정깊이를 갖는 제2삽입홈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풀림방지볼트는,
소정깊이를 갖는 제2삽입홈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돌출부에 결합되는 태핑 볼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풀림방지볼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의 풀림방지볼트와 달리 코일스프링이 쉽고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풀림방지볼트의 구조를 종래에 비해 단순화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풀림방지볼트에 태핑볼트와 같은 기능성 볼트를 분리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너트가 필요 없거나 별도의 체결공이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특허문헌 3의 풀림방지 볼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일부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는 풀림방지볼트(10)는 본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되, 본체(10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머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60)로 구분된다.
먼저, 제1부재(110)에는 나사산(115)이 형성된다. 제1부재의 후단(120)에 제2부재(16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부재(160)는 제1부재(110)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며, 제1부재와 달리 별도의 나사산이 가공되지 않는다. 즉, 제2부재(160)의 외면(165)은 별도의 산과 골이 없이 평평하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과 달리 하나의 환봉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나사산을 가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상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제2부재(160)의 길이는 제1부재(11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2부재(160)에는 코일스프링(180)이 수용된다. 제2부재(160)에는 나사산이 가공되지 않고 평평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180)이 제2부재(160)에 손쉽게 삽입되며 수용될 수 있다. 제2부재(160)는 코일스프링(180)이 제2부재(160) 상에서 수용되고, 유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제2부재의 후부(163)에 제1삽입홈(170)이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코일스프링(180)은 한쪽 끝을 일단(181)이라 정의하며, 다른 쪽 끝을 타단(186)이라 정의한다. 코일스프링의 일단(181)은 제2부재(160)에 형성된 제1삽입홈(170)에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그 끝이 절곡된 절곡부(182)를 포함한다.
코일스프링(180)의 내경은 제2부재(16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외경보다 살짝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2부재(160)에 코일스프링(180)을 보다 쉽게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일단 코일스프링이 삽입홈에 삽입되면 스프링의 강한 장력에 의해 스프링의 절곡부와 제2부재가 밀착 결합되기 때문에 일정 크기의 힘이 작용해야만 제2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코일스프링(180)은 절곡부가 형성된 일단의 내부 직경은 제2부재의 외경 대비 9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이고, 타단의 내부 직경은 제2부재의 외경 대비 102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10%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의 타단의 직경은 일단의 직경보다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의 타단의 직경이 일단의 직경에 비해 크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이 제2부재에 쉽게 체결될 수 있고, 코일스프링의 일단의 직경이 제2부재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제2부재의 제1삽입홈에 보다 강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코일스프링을 갖는 풀림방지볼트는 너트나 체결공에 체결될 경우에는 직경이 큰 스프링의 타단을 압축하면서 체결되고, 반대로 너트 등으로부터 풀릴 경우 코일스프링의 타단의 직경의 장력이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풀림방지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제1삽입홈은 상기 제2부재 외경의 원주 방향으로 2~7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5mm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삽입홈이 2mm 보다 작으면 스프링의 절곡부가 삽입되기가 어렵고, 7mm보다 큰 경우에는 스프링의 절곡부가 풀림방지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 제1삽입홈(170)은 제2부재의 외면(165)상의 일부를 절삭 또는 기타 가공을 통해 홈을 형성한다.
코일스프링의 감김수는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이고, 감김수가 2보다 작은 경우 스프링의 장력이 너무 약하고, 10보다 큰 경우에는 가공이 어렵고, 너트나 체결공과 밀착되게 체결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홈, 구체적으로 제1삽입홈(170)에 코일스프링 일단(181)의 절곡부(182)가 안착하게 된다. 일단 코일스프링이 절곡부가 제1삽입홈에 안착되면, 절곡부는 제1삽입홈 내에서만 유동가능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은 제1삽입홈의 간격만큼만 제한적으로 유동이 가능하다.
제1삽입홈은 일정 길이의 간격을 갖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의 절곡부가 쉽게 안착될 수 있고, 코일스프링이 제1삽입홈 내에서 어느 정도 유동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볼트가 너트나 체결홈 등에 체결될 경우 쉽게 체결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제1삽입홈(17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례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코일스프링의 일단(181)이 안착될 수 있는 한도에서 제1삽입홈(17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설명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제2부재(160)에 수용된 코일스프링(180)의 조임력을 이용하여 풀림방지가 이루어진다. 즉, 볼트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코일스프링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별도의 장력이나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지만, 일단 결합된 이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코일스프링(180)의 가소성에 의하여 외경이 변화되고, 이에 따른 마찰력으로 인하여 임의로 풀려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풀림방지볼트의 실시례에서는 코일스프링의 일단(181)이 제1삽입홈(170)에 안착시, 코일스프링의 타단(186)은 제2부재(160)의 외경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의 감김수가 2.5~3.5인 경우, 코일스프링의 일단(181)이 제1삽입홈(170)에 안착시, 코일스프링의 타단(186)은 제2부재(160)의 외경을 기준으로 일단(181)과 180도 반대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럴 경우, 코일스프링(180)의 장력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조임력이 증가되므로 더욱 효과적인 풀림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는 제2부재(160)의 끝단에 태핑볼트와 같은 기능성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제2삽입홈(190)이 더 형성된다.
제2삽입홈(190)은 제2부재의 끝단(164)으로부터 소정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부재의 끝단(164)으로부터 제1부재(110)를 향해 소정깊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제2부재의 제2삽입홈(190)에는 너트나 별도의 체결 홈이 없는 판재나 벽면에 직접 체결될 수 있도록 태핑볼트와 같은 기능성 볼트가 삽입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제2삽입홈에 태핑 볼트(tapping bolt)(300)가 삽입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태핑 볼트(300)는 본체(310)와 선단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선단부(330)는 일단(331)으로부터 타단(332)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는 형상을 가진다. 본체(310)에는 나사산(315)이 형성되어, 피착물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부재(160)에 삽입되는 태핑 볼트(300)의 고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태핑 볼트(300)는 그 후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를 가지며 돌출형성된 고정부(320)가 형성된다. 태핑 볼트의 고정부(320)가 제2삽입홈(190)에 삽입 고정시 태핑 볼트(300)는 임의로 회전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제2삽입홈(190)의 단면이 사각형을 갖도록 형성하고, 이에 따라 태핑 볼트(300)의 고정부(320) 역시 그 단면을 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태핑 볼트(300)가 제2부재(160)에 결합한 후 임의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삽입홈 및 태핑 볼트의 고정부는 암나사와 수나사 형태롤 형성함으로써 나사결합에 의해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2부재(160)의 끝단에 제2삽입홈 대신 태핑볼트와 같은 기능성 볼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돌출부(19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부재와 결합되는 태핑볼트 내부에는 제3삽입홈이 형성되며, 제2부재의 돌출부(195)가 제3삽입홈에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풀림방지볼트 100 : 본체
110 : 제1부재 160 : 제2부재
170 : 제1삽입홈 180 : 코일스프링
190 : 제2삽입홈 300 : 태핑 볼트

Claims (6)

  1. 나사산이 형성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제2부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2부재에 수용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보다 외경이 작고, 제1부재와 달리 별도의 나사산이 없으며, 외측 후부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일단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코일스프링의 절곡부가 제1삽입홈에 밀착 결합되어 안착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절곡부가 제1삽입홈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일단의 내부 직경이 제2부재의 외경 대비 90% 내지 100% 미만이고, 타단의 내부 직경은 제2부재의 외경 대비 102%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홈은 상기 제2부재 외경의 원주 방향으로 3~5 mm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볼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제1삽입홈에 안착 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제2부재의 외경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끝단에 소정깊이를 갖는 제2삽입홈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볼트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홈 또는 돌출부와 결합되는 태핑 볼트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볼트
KR1020180030073A 2018-03-15 2018-03-15 풀림방지 볼트 KR101928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73A KR101928696B1 (ko) 2018-03-15 2018-03-15 풀림방지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73A KR101928696B1 (ko) 2018-03-15 2018-03-15 풀림방지 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696B1 true KR101928696B1 (ko) 2018-12-12

Family

ID=6466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073A KR101928696B1 (ko) 2018-03-15 2018-03-15 풀림방지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6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3829A (zh) * 2020-03-20 2020-05-19 兰州鑫博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弹性螺纹永不松动螺栓
KR102285186B1 (ko) 2021-04-01 2021-08-03 오춘식 풀림방지 볼트
KR20220000472A (ko) 2020-06-26 2022-01-04 오춘식 풀림방지 볼트
KR20230130263A (ko) 2022-03-03 2023-09-12 토탈산업 주식회사 풀림방지용 볼트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218B1 (ko) * 1996-04-09 1999-09-01 정부강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JP3127534B2 (ja) * 1991-11-06 2001-01-29 井関農機株式会社 四輪駆動型農用走行車両
JP2002323024A (ja) 2001-04-25 2002-11-08 Kaiwa Tec Kk 水中カーテンの修理方法とその装置
JP2008298218A (ja) * 2007-06-01 2008-12-11 Yasuyuki Suzuki ボルト緩み止め構造
JP2012137174A (ja) 2010-12-27 2012-07-19 Hama System:Kk 緩み防止ボルト
KR101669549B1 (ko) 2015-07-31 2016-11-04 구정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534B2 (ja) * 1991-11-06 2001-01-29 井関農機株式会社 四輪駆動型農用走行車両
KR100220218B1 (ko) * 1996-04-09 1999-09-01 정부강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JP2002323024A (ja) 2001-04-25 2002-11-08 Kaiwa Tec Kk 水中カーテンの修理方法とその装置
JP2008298218A (ja) * 2007-06-01 2008-12-11 Yasuyuki Suzuki ボルト緩み止め構造
JP2012137174A (ja) 2010-12-27 2012-07-19 Hama System:Kk 緩み防止ボルト
KR101669549B1 (ko) 2015-07-31 2016-11-04 구정언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3829A (zh) * 2020-03-20 2020-05-19 兰州鑫博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弹性螺纹永不松动螺栓
KR20220000472A (ko) 2020-06-26 2022-01-04 오춘식 풀림방지 볼트
KR102285186B1 (ko) 2021-04-01 2021-08-03 오춘식 풀림방지 볼트
KR20230130263A (ko) 2022-03-03 2023-09-12 토탈산업 주식회사 풀림방지용 볼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696B1 (ko) 풀림방지 볼트
US20160160904A1 (en) Anti-loosening bolt assembly
KR100573255B1 (ko) 셀프-태핑 인서트, 인서트 어셈블리, 그리고 인서트를장착하기 위한 방법
US5333977A (en) Bolt having a locking means
WO2015118702A1 (ja) 緩み止め機能を備えたボルト
US3473431A (en) Blind fastener
JP2005509804A (ja) 誤差補償取付装置
GB2066402A (en) A slack-resisting bolt-and-nut
JP2007040347A (ja) ゆるみ止めナット
JP2006105269A (ja) 管継手
JP2020020367A (ja) ブラインドボルト
JP2008161989A (ja) ボーリングバーの加工径調整装置および方法
KR102194640B1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강화한 볼트 어셈블리
JP6843795B2 (ja) 簡易式ナ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簡易式ファスナー
US20180313394A1 (en) Captive fastener
KR200345713Y1 (ko) 너트 풀림방지구조
KR20030066925A (ko) 너트 풀림 방지용 체결볼트
KR20150103491A (ko) 슬리브의 길이를 크게 줄인 개량형 세트 앵커볼트
JP2002221213A (ja) ゆるみ防止止めネジ
KR20000072765A (ko) 진동 볼트 및 너트
JP2005249084A (ja) ネジのロック機構
KR200235137Y1 (ko) 풀림방지용 볼트
JP2006084017A (ja) 楔効果を利用したロックナット
JP2006037996A (ja) 軸と回転体の締結構造
KR19980064299U (ko) 풀림방지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