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339A - 일체형 갈바닉 분리부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그리고 차폐 요소 - Google Patents

일체형 갈바닉 분리부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그리고 차폐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339A
KR20180122339A KR1020187025031A KR20187025031A KR20180122339A KR 20180122339 A KR20180122339 A KR 20180122339A KR 1020187025031 A KR1020187025031 A KR 1020187025031A KR 20187025031 A KR20187025031 A KR 20187025031A KR 20180122339 A KR20180122339 A KR 20180122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tact
plug connector
base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769B1 (ko
Inventor
라즈 페넨
준민 구오
잉타오 왕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주하이)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주하이)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하르팅 (주하이)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2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3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inductive component, e.g.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Abstract

별개의 트랜스포머에 수반되는,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공간, 원하지 않는 누화 그리고 전송 특성의 저하의 단점을 회피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100)가 제안되며, 플러그 커넥터(100)의 외부 접촉을 위한 단자 접촉부(112),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 및 단자 접촉부(112)와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 사이의 전도성 경로에서의 갈바닉 분리를 위한 트랜스포머 유닛을 갖는 플러그 기부(110), 및 플러그 접촉부(131)를 갖는 플러그 본체(130)를 포함하고, 플러그 기부(110) 및 플러그 본체(130)는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를 플러그 접촉부(131)에 연결하는 접촉 요소(120)를 포위하고, 접촉 요소(120)는 플러그 본체(130)의 플러그-인 방향에 직각인 평면 내에서 평면형이다. 플러그 커넥터(100)용 차폐 요소(300)가 또한 제안된다.

Description

일체형 갈바닉 분리부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그리고 차폐 요소
본 발명은 일체형 갈바닉 분리부(galvanic separation)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플러그 커넥터 및/또는 다른 플러그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는 차폐 요소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플러그 커넥터, 특히 M12 시리즈와 같은 라운드 플러그 커넥터의 분야에서, 이더넷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의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트랜스시버를 보호하기 위해 그리고 요구되는 신호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 예를 들어 IEEE 802.3 표준은 MDI 측(매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즉 플러그 커넥터 및 CAT 케이블)으로부터의 PHY 측(물리 계층; 즉 트랜스시버 측)의 갈바닉 분리를 명시하고, 상기 분리는 일반적으로 트랜스포머(transformer)에 의해 실현된다.
그러한 트랜스포머는 종래로부터 실제의 칩과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 사이에 제공되었고, 즉 그것들은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개재되었다.
RJ 플러그(특히, RJ45 플러그)의 분야에서, 예를 들어 트랜스포머가 플러그 소켓 내에 통합되는, "매그잭(Mag jack)"이 공지되어 있다. RJ 소켓 내측의 접촉부는 내부 표면 상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삽입된 플러그를 포위한다. 트랜스포머, 더 구체적으로 트랜스포머가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은 그러한 내부 표면의 일부를 따라, 전형적으로 접촉 표면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 평행하게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그러한 접근법은 접촉부가 내측에 있는, 즉 접촉이 수행될 때에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부에 의해 포위되는 다른 플러그 연결 개념에 적용가능하지 않다.
나아가, RJ45 플러그는 그 특정 구성으로 인해, 많은 산업용 플러그 분야에서 충분히 신뢰가능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M12 플러그 커넥터의 분야에서, 트랜스포머는 현재에도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제공된다. 그러한 별개의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것은 요구되는 구조 공간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추가로, 플러그 커넥터가 장착되어야 하는, 회로 기판의 레이아웃은 충분한 공기 간극 및 누설 클리어런스에 대한 필요성의 관점에서 더 복잡해진다. 또 다른 인자는 이어서 요구되는 전도체가 일반적으로 민감한, 트랜스시버 칩에서 추가적인 누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구성요소를 회로 기판 상에 위치시킬 때에 수반되는 추가적인 작업 이외에, 수반되는 추가적인 배선이 또한 전송 특성(신호 무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예를 들어 IEEE 802.3에 의해 요구되는 것과 같은 PHY 측과 MDI 측 사이의 갈바닉 분리를 보증할 수 있고, 전술된 단점, 즉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구조 공간, 충분한 공기 간극 및 누설 클리어런스에 대한 필요성, 트랜스시버 칩에서의 추가적인 누화, 설치에 수반되는 추가적인 작업 그리고 전송 특성의 저하가 피해지거나, 종래의 별개의 설계에 비해 적어도 감소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개념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로서, 플러그 커넥터의 외부 접촉을 위한 단자 접촉부, 기부-측 연결 접촉부, 및 단자 접촉부와 기부-측 연결 접촉부 사이의 적어도 전도성 경로에서의 갈바닉 분리를 위한 트랜스포머 유닛을 갖는 플러그 기부; 및 플러그 접촉부를 갖는 플러그 본체를 포함하고, 플러그 기부 및 플러그 본체는 기부-측 연결 접촉부를 플러그 접촉부에 연결하는 접촉 요소를 포위하고, 접촉 요소는 플러그 본체의 플러그-인 방향에 직각인 평면 내에서 평면형인, 플러그 커넥터를 제안한다.
트랜스포머 유닛은 전기적인 관점에서 플러그-인 방향으로 실제의 플러그 본체 뒤에 그러나 플러그 본체와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고, 플러그 본체는 플러그 본체와 플러그 기부 사이의 평면 내에 배치되는 접촉 요소에 의해 트랜스포머 유닛과 접촉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그것이 회로 기판에 요구하는 표면의 크기의 관점에서, 그 구조적인 요건에 대해 대응하는 형태의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별개의 트랜스포머(들)의 위치설정과 관련되는 설치 작업은 그러한 플러그 커넥터를 제작하는 실제의 설치 작업과 분리되고, 그에 따라 이러한 관점에서의 전문화 그리고 효율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비교적 더 치밀한 설계는 잠재적인 누화의 양을 감소시키고, 이것은 또한 플러그 커넥터 케이싱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더 치밀한 설계는 또한 전송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서 실시된다. 인쇄 회로 기판에서, 전기적인 연결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전도성 스트립을 인쇄 또는 식각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는 기부 측의 연결 접촉부 및 플러그 접촉부가 이를 통해 각각 연장하고, 기부-측 연결 접촉부 및 플러그 접촉부가 고정되고, 기부-측 연결 접촉부 및 플러그 접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도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외부 관통 구멍 및 내부 관통 구멍을 갖는다. 접촉 요소가 우선 플러그 본체에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러그 접촉부가 각각의 내부 관통 구멍을 통해 (예를 들어, 일부가 핀(pin)의 형태의 섹션으로) 연장하고, 예를 들어 연납땜에 의해, 그것에 전기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추가적인 조립 중에, 기부-측 연결 접촉부 및 단자 접촉부가 (예를 들어, 핀의 형태로) 각각의 외부 관통 구멍 내로 도입되고,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연납땜에 의해, 그곳에서 전기적으로 고정된다. 하나 이상의 외부 관통 구멍 및 하나 이상의 내부 관통 구멍의 각각의 전기적인 연결이 있으므로, (적어도 부분적인 갈바닉 분리를 갖는) 트랜스포머 유닛, 기부-측 연결 접촉부 및 접촉 요소를 통한 단자 접촉부와 플러그 접촉부 사이의 연속적인 연결이 있다.
접촉 요소에는 (내부 및/또는 외부) 관통 구멍이 제공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접촉부가 설정되거나, 기부-측 연결 접촉부 및/또는 플러그 접촉부가 압박되는 접촉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전기적인 고정이 마찬가지로 (내부 및/또는 외부) 관통 구멍의 경우에, 탄성 또는 소성 끼워맞춤, 또는 성형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 요소의 접촉은 유리하게는 전도성(그리고 초기에는 아직 변형가능한) 재료(연납땜 페이스트)가 관통 구멍 내에 제공되어 삽입된 접촉부가 접촉 요소에 연납땜되고, 그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예컨대 소위 "페이스트-인-홀(구멍)(paste-in-hole)" 기술에 의한, 내부 연납땜을 위한 기술에 의해 성취된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는 기부-측 연결 접촉부 및/또는 플러그 접촉부에 대한 접촉 요소의 1:1 배열을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내부 및/또는 외부 관통 구멍 각각은 기부-측 연결 접촉부 및/또는 플러그 접촉부에 대한 접촉 요소의 1:1 배열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그에 따라 관통 구멍을 위치설정 및/또는 치수설정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를 조립할 때에, 이러한 상대적인 위치설정이 하나의 미리한정된 형태로만 가능하다(그렇지 않으면, 접촉의 차단을 초래하기 때문에)는 것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단자 접촉부 및 플러그 접촉부가 기부-측 연결 접촉부, 플러그 접촉부 및 접촉 요소의 부정확한 배열의 결과로서 서로 부정확하게 할당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부정확한 설치에 대항하는 보호조치가 또한 플러그 기부 또는 플러그 본체 내의 각각의 상대부와 협력하는 적절한 리세스 및/또는 돌출부를 제공함으로써 관통 구멍과 독립적으로(또는 그것에 추가하여) 성취될 수 있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단자 접촉부의 단부가 접촉 요소의 평면에 평행하거나, 그것에 직각인 평면 내에 배열된다. 그러한 배열에서, 플러그-인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 또는 유사한 요소의 평면에 직각이거나 평행하다. 그러나, 경사형 플러그-인 방향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는 라운드 플러그 커넥터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라운드 플러그 커넥터는 M12, M8 또는 M6 플러그 커넥터이다. 라운드 플러그 커넥터, 특히 M12, M8 및 M6 타입은 특히 그 강건성으로 인해, 특히 그 플러그 연결의 신뢰성 관점에서, 산업용 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커넥터 타입이고,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가 기존의 시스템 내로 용이하게 통합되게 한다.
산업용 플러그 커넥터의 관점에서, 플러그 커넥터(또는 그 부품)와 하우징 사이의 차폐 방식의 전기 접촉에 대한 요구가 또한 있다. 그러한 차폐 연결을 위한 수단의 예가 제DE 10 2012 105 256 A1호 및 제WO 2012/041310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제DE 10 2012 105 256 A1호는 클로버 잎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차폐 스프링이 제공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절연체로서, 차폐 스프링은 절연체 내의 부분적인 원주방향 슬롯 내측에 제공되고, 그에 따라 절연체 내측에서 차폐 크로스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절연체를 개시하고 있다. 차폐 스프링은 절연체의 외측으로 측방으로 연장하고 그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하우징과의 전도성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제WO 2012/041310 A1호는 원주방향 홈이 제공되는 절연체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홈 내에 차폐 스프링이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의 차폐 크로스와 (접지된) 전방 판 삽입체 사이의 전도성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한 차폐 스프링에 수반되는 어려움은 주어진 환경 하에서, 플러그 커넥터를 하우징과 조립할 때에 가해지는 비교적 강력한 힘에 대한 필요성이 있을 수 있고, 그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부착되는 회로 기판을 손상시킬 위험성을 수반한다는 것이다.
제DE 10 2012 105 256 A1호의 경우에, 차폐 스프링이 슬롯 내측에서 오프셋되고 그에 따라 그것이 하우징 또는 하우징 슬리브 내로의 플러그 커넥터의 통과를 차단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제WO 2012/041310 A1호에서, 전방 판 삽입체 내로의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중에 나선형 차폐 스프링이 그 홈으로부터 이탈되고, 또한 그 이탈이 차폐 스프링과 차폐 크로스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할 수 있는 가능성이 또한 있다.
곡면형 디스크 스프링 또는 웨이브 와셔의 형태로 구성되는 연결 요소가 레지(ledge) 상에 제공되고, 연결 요소가 이어서 슬리브 내로의 플러그의 삽입 시에 압축되어 전도성 연결을 제공하는 배열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C자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부분적으로만 포위하는 연결 요소로서, 연결 요소의 아암이 연결 시에 벤딩되도록 경사져 연장하는, 연결 요소가 유사한 배열로서 제공된다.
그러한 배열의 단점은 아마도 연결 요소의 압축이 양호한 연결에 불충분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연결의 신뢰성이 연결 요소의 압축 방향으로의 회로 기판 내로의 플러그 커넥터의 위치설정의 정확성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의 위치설정의 위치 정확성과 기본적으로 무관하게 신뢰가능한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힘의 관점에서 손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플러그 커넥터용 차폐 요소에 대한 요구가 또한 있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싱 슬리브와 접촉하는 플러그 커넥터용 차폐 요소를 제안하며, 차폐 요소는 리본 형상이고, 플러그 커넥터 및 케이싱 슬리브의 연결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벽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차폐 요소는 플러그 커넥터 및 케이싱 슬리브의 연결 시에 케이싱 슬리브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는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져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탭을 포함한다.
차폐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의 벽 주위에서 연장할 때의, 그것의 기본적인 배열은 플러그 커넥터의 벽이 연장하는, 튜브와 유사하지만, 차폐 요소는 실제로 플러그 커넥터의 벽 주위에서 전체적으로 연장하지 않아도 된다(달리 말하면, 튜브의 섹션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 이러한 "튜브"(또는 부분적인 "튜브")는 플러그 커넥터 및 케이싱 슬리브의 특정 기하형상에 따라, 다른 형태가 또한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기본 단면을 갖지 않아도 된다. 차폐 요소는 그 단면 형상 면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벽의) 외부 형상에 기본적으로 대응하고 그에 따라 원형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차폐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 상에 제공되고 차폐 요소가 상부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가 케이싱 슬리브 내로 삽입될 때에, 하나 이상의 탭이 케이싱 슬리브에 의해 내향으로 벤딩되고, 플러그 커넥터가 케이싱 슬리브 내측에 제공될 때에 외향으로 압박하고, 또한 이것은 케이싱 슬리브 내로의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의 플러그 커넥터의 위치설정의 위치 정확성과 무관하게, 차폐 요소와 케이싱 슬리브 사이의 한정된 힘 그에 따라 한정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차폐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의 벽에 인접할 때에, 그것은 측방 변위가 방지되고, 그에 따라 케이싱 슬리브 내로의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이 이동된 차폐 요소에 의해 차단될 위험성을 피한다. 하나 이상의 탭의 경사형 배열로 인해, 그것 상에 가해지는 케이싱 슬리브의 힘이 대부분 내향으로 유도되고, 그에 따라 차폐 요소를 적절한 위치에 로킹하는 특정 수단이 추가로 제공되지 않을 때에도, 차폐 요소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될 가능성은 낮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차폐 요소는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플러그 커넥터 내측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한 접촉 요소는 예컨대 플러그 커넥터의 회로 기판 또는 핀에 대한 전도성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차폐 요소를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전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시에 핀 또는 회로 기판에 연납땜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그러한 접촉 요소(들)는 차폐 요소를 플러그 커넥터 내측의 차폐 크로스(또는 유사한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차폐 요소는 플러그 커넥터의 벽 내의 각각의 리세스 내로 연장하여 차폐 요소를 플러그 커넥터 상에 고정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고정 요소 또는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부하식이고, 플러그 커넥터의(더 구체적으로 플러그 커넥터의 벽의) 대응하는 베이(bay) 또는 개구 내로 결합되고,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플러그 커넥터의 벽을 따른 차폐 요소의 이동을 방지한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차폐 요소는 플러그 커넥터의 벽의 각각의 돌출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결합 요소 또는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언급된 고정 요소와 연계되고, 그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의 벽의 대응하는 돌출부(들)와 결합 요소의 맞닿음이 하나의 방향으로의 벽을 따른 차폐 요소의 이동을 제한하고, 또한 고정 요소가 그 상대부와 결합되면 반대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나아가, 결합 요소(들)의 배열 및/또는 형상은 플러그 커넥터 상으로의 차폐 요소의 오정렬 위치설정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벽의 형상이 그 대칭성으로 인해, 그것 상으로의 차폐 요소의 위치설정보다 많은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결합 요소(들)는 차폐 요소가 부정확한 위치설정으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차폐 요소는 차폐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의 벽을 포위하도록, 서로의 확실한 끼워맞춤(positive fit)을 위해 배열되는 로킹 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리본 형상의 차폐 요소가 예를 들어 벤딩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확실한 끼워맞춤을 갖는 로킹 요소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벽 주위에서의 차폐 요소의 용이하고 신뢰가능한 폐쇄가 성취될 수 있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차폐 요소는 스탬핑 및 벤딩에 의해 형성된다.
차폐 요소를 형성하는 다른 방식이 또한 고려될 수 있지만, 스탬핑 및 벤딩의 공정이 차폐 요소에 요구되는 특징을 성취하는 효과적인 수단을 가능하게 하는 데 유리하다.
차폐 요소는 유리하게는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폐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차폐 요소는 플러그 본체의 벽 주위에서 연장한다.
그러한 시스템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차폐 요소의 접촉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의 접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차폐 크로스가 플러그 본체 내에 삽입되고, 플러그 본체는 차폐 크로스 및 차폐 요소가 전도성 연결되도록 차폐 요소의 각각의 접촉 요소 및/또는 차폐 크로스의 돌출부가 이를 통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이제부터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케이싱 슬리브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케이싱 슬리브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케이싱 슬리브가 부착된 도 1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 및 2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기부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플러그 기부의 트랜스포머 유닛을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 및 2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기부를 도시한다.
도 11은 핀 할당을 보여주는, 도 10의 플러그 기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의 플러그 기부의 트랜스포머 유닛을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2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본체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전도성 스트립을 갖는 접촉 요소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차폐 요소가 있는 그리고 없는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 요소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차폐 크로스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를 도시한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세부사항은 도 2의 플러그 커넥터(100)의 분해도에서 관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나열된 순서로 서로의 상부에 "적층"되는, 플러그 기부(110), 접촉 요소(120), 플러그 본체(130) 및 커버(140)를 갖는다.
플러그 기부(110)는 복수의 단자 접촉부(112) 및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가 제공되는 기부 본체(114)를 갖는다. 기부 본체(114)는 단자 접촉부(112)를 갈바닉 분리 하에서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에 연결하는, 트랜스포머 유닛(여기서 도시되지 않음)이 수용되는, 트랜스포머 챔버(115)를 또한 갖는다. 단자 접촉부(112)는 대략 L자형이다. 도 2에 도시된 도면에서, 짧은 레그는 플러그 기부(110)의 저부 단부의 평면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단자 접촉부(112)의 긴 레그는 플러그 기부(110)의 기부 본체(114)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도면에서 상향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것들은 마찬가지로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와 같이, 기부 본체(114)로부터 돌출한다. 플러그 기부(110)의 추가적인 세부사항이 도 8-1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접촉 요소(120)는 내부 관통 구멍(121) 그리고 제1 및 제2 외부 관통 구멍(122, 123)이 제공되는 기판(124)을 갖는다. 제1 및 제2 외부 관통 구멍(122, 123)의 위치설정은 플러그 기부(110)의 단자 접촉부(112) 및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도 8 또는 도 10을 또한 참조)의 위치에 대응한다. 특히, 제1 외부 관통 구멍(122)은 그것들이 단자 접촉부(112)를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직사각형의 긴 측면 상에 배열되고, 제2 외부 관통 구멍(123)은 그것들이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를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직사각형의 짧은 측면 상에 배열된다. 그러나, 상이한 배열의 외부 관통 구멍(122, 123)이 또한 가능하다. 내부 관통 구멍(121)의 위치는 플러그 본체(130)(아래 참조)의 플러그 접촉부(131)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2 외부 관통 구멍(123)은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 및 플러그 접촉부(131)의 할당에 따라, 전도성 스트립(도 14 참조)에 의해 내부 관통 구멍(121)에 연결된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개별의 제1 외부 관통 구멍(122)이 하나 이상의 내부 관통 구멍(121)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그에 따라 직접적인 접촉이 하나 이상의 단자 접촉부(112)와 하나 이상의 플러그 접촉부(131)(또는 플러그 본체(130)의 어떤 다른 요소) 사이에 설정된다.
플러그 본체(130)는 복수의 접촉 챔버(135) 및 복수의 플러그 접촉부(131)를 갖는 플러그 기부 본체(134)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공지된 방식에서, 플러그 접촉부(131) 각각은 각각의 접촉 챔버(135) 내에 위치되는 제1 부분, 및 플러그 기부 본체(134) 외부로(즉, 도 2에 도시된 도면에서 하향으로) 연장하는 추가적인 부분을 갖는다. 접촉 요소(120)와 정합하기 위한 그 변형을 제외하면, 플러그 본체(130)는 공지된 플러그 커넥터 내의 공지된 플러그 본체 및 유사한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플러그 커넥터(100)에는 플러그 본체(130)를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차폐 요소(300)가 제공되고, 차폐 요소(300)는 특히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 및 설명된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플러그 본체(130)의 플러그 접촉부(131)(또는 더 정확하게는 플러그 기부 본체(134)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접촉부(131)의 각각의 추가적인 부분)가 접촉 요소(120)의 내부 관통 구멍(121)을 통해 안내되고 예컨대 소위 "페이스트-인-홀" 기술에 의한, 내부 연납땜을 위한 기술을 사용하여 그곳에서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그로 인한 접촉 요소(120) 및 플러그 본체(130)의 결합체는 이어서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 그리고 단자 접촉부(112)의 인접 부분이 접촉 요소(120)의 제2 및 제1 외부 관통 구멍(123, 122)을 통해 연장하고, 그것들이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 연납땜을 위한 기술을 사용하여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방식으로 플러그 기부(110)와 함께 결합된다. 커버(140)가 이어서 플러그 기부(110)의 기부 본체(114) 위에서 활주되어 그것 상으로 스냅-로킹된다. 플러그 본체(130) 및 접촉 요소(120)가 함께 결합될 때에, 플러그 본체(130)로부터 멀리 떨어진 다른 측면 상에 있는 접촉 요소(120)의 측면에 접근가능하고, 그에 따라 상기 내부 연납땜을 위한 기술이 전기적인 접촉 그리고 또한 기계적인 연결의 설정에 사용될 수 있다. 제공된 플러그 본체(130) 및 접촉 요소(120)의 결합체가 플러그 기부(110) 상에 위치될 때에, 플러그 기부(110)는 플러그 본체(130)로부터 멀리 떨어진 다른 측면 상에 있는 접촉 요소(120)의 측면 그리고 그에 따라 내부 관통 구멍(121)에 대한 이전의 자유로운 접근을 차단한다. 그러나, 외부 관통 구멍(122, 123)은 부착될 때에 플러그 본체(13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접촉 요소(120)의 영역 내에 있고, 그에 따라 대응하는 내부 연납땜을 위한 기술을 위한 접근이 여기서 제공된다.
도 3 및 4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0)를 위한 케이싱 슬리브의 제1 및 제2 변형예를 도시하고, 한편 도 5는 도 3의 케이싱 슬리브(150)가 부착된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0)를 도시한다. 도 3의 케이싱 슬리브(150)는 하우징의 전방 장착에 사용되고, 반면에 도 4의 케이싱 슬리브(160)는 후방 장착에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00)를 도시한다. 플러그 커넥터(200)의 세부사항은 도 7의 플러그 커넥터(200)의 분해도에서 관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20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재차 나열된 순서로 서로의 상부에 "적층"되는, 플러그 기부(210), 접촉 요소(120), 플러그 본체(130) 및 커버(140)를 갖는다. 접촉 요소(120), 플러그 본체(130) 및 커버(140)는 여기서 도 2의 플러그 커넥터(100)의 요소와 동일하고, 그에 따라 위의 설명의 반복이 생략될 수 있다.
플러그 기부(210)는 복수의 단자 접촉부(212) 및 기부-측 연결 접촉부(213)가 제공되는 기부 본체(214)를 갖는다. 기부 본체(214)는 단자 접촉부(212)를 갈바닉 분리 하에서 기부-측 연결 접촉부(213)에 연결하는 트랜스포머 유닛(여기서 도시되지 않음)이 수용되는, 트랜스포머 챔버(215)를 또한 갖는다. 단자 접촉부(212)는 플러그 커넥터(200)가 장착되어야 하는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유사한 요소와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각각의 부분이 평면(도 7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수평)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도록 설계된다. 단자 접촉부(212)는 또한 기부 부재(214)를 통해 연장하고, 이어서 기부-측 연결 접촉부(213)와 마찬가지로, 기부 부재(214) 외부로(도 7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우측으로) 돌출한다. 플러그 기부(210)는 여기서 단자 접촉부(212)의 짧은 레그("푸트")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과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의 평면(즉, 접촉 요소(120)의 평면) 사이에 90˚ 각도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2의 플러그 기부(110)와 상이하다. 안정화를 위해, 각진 플러그 커넥터(200)는 예컨대 소위 "픽 & 플레이스(pick & place)" 기술에 의한, 회로 기판 상으로의 자동화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270)를 또한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200)는 도 2의 플러그 커넥터(100)에 대해 위에서 논의된 것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플러그 커넥터(200)에는 위에서 논의된 플러그 커넥터(100)와 유사하게, 플러그 본체(130)를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차폐 요소(300)가 제공되고, 차폐 요소(300)는 특히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 및 설명된다.
도 8은 도 1 및 2의 플러그 커넥터(100)의 플러그 기부(110)의 변형예로서의 플러그 기부(110')를 도시하고, 도 9는 도 8의 플러그 기부(110')의 트랜스포머 유닛을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2(도 10을 또한 참조)에 도시된 도면과 대조적으로, 플러그 기부(110')는 (예컨대, 도 2 또는 10의 경우에서와 같은, 1/10 기가비트 전송 대신에 10/100 메가비트 전송을 위해) 더 적은 개수의 단자 접촉부(112) 및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를 갖지만, 플러그 기부(110')의 기부 본체(114)는 플러그 기부(110)(도 2 및 10 참조)의 기부 본체(114)와 동일하고, 그 이유로 또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트랜스포머 유닛(도 8에 도시되지 않음)은 기부 본체(114) 내측에(또는 더 정확하게는 트랜스포머 챔버(115) 내에) 수용되고, 도 9에 도시된 회로도에 따라 단자 접촉부(112) 및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에 연결된다.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L자형 연결 접촉부(112) 각각은 기부 본체(114)를 통해 연장하고, 그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도면에서) (플러그 커넥터(100)가 전체로서 인쇄 회로 기판 등에 연결되는) 짧은 레그가 하부 영역 내에 존재하고, 긴 레그의 자유 돌출 핀 부분이 상부 영역 내에 존재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핀 1-3, 11-12), 단자 접촉부(112) 각각은 (여기서 1차 측면으로서 지시되는) 트랜스포머 유닛의 트랜스포머에 연결되고, 트랜스포머 유닛의 2차 측면은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핀 6, 7, 13, 14)에 연결된다. 나아가, "이더넷-전력(Power-over-Ethernet)"(PoE) 전송을 위한 2차 측면 중심 탭은 적용분야에 따라, 전력을 제공하도록, 즉 "전력 공급 장비(Power Source Equipment)"(PSE)로서, 또는 전력을 수용하도록, 즉 "전력 수용 디바이스(Powered Device)(PD)"로서 배선될 수 있는, 추가적인 단자 접촉부(112)(핀 8, 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들 단자 접촉부(112)(핀 8, 9)는 PoE 공급 전압의 전송을 위해 제공되고, 접촉 요소(120) 상에 장착되는,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접촉 요소(120)의 적절한 구성요소(커패시터, 옴 저항) 및 전도성 스트립을 통해, 특히 소위 "밥-스미스 터미네이션(Bob-Smith Termination)"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단자 접촉부(112)(핀 5)로 연결되고, 또한 이러한 단자 접촉부(112)(핀 5)는 결국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100)를 회로 기판에 장착할 때에, 회로 기판의 접지 전위에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예에서, 단지 하나의 단자 접촉부(핀 4)가 미할당 상태로 남는다.
따라서, 트랜스포머의 모든 1차 측면 접촉부 그리고 그 2차 측면 소위 PoE 접촉부는 단자 접촉부(112)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100)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의 연결부와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회로 기판의 회로 설계에 이용가능하다. 플러그 기부(110')의 제작은 트랜스포머의 1차 측면 및 2차 측면이 단자 접촉부(112) 및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에 요구된 방식으로 각각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배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유닛을 기부 본체(114)의 트랜스포머 챔버(115) 내로 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0은 도 1 및 2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기부(110)를 도시하고, 도 11은 핀 할당을 보여주기 위한 도 10의 플러그 기부(11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10의 플러그 기부의 트랜스포머 유닛을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위에서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플러그 기부(110)는 단자 접촉부(112) 및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가 제공되고, 그 사이에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기 연결이 제공되는 기부 부재(114)를 포함한다. 핀 1 내지 28(도 11에 지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번호가 부여됨)의 핀 할당의 예가 도 12에 도시된다. 단자 접촉부(112) 중 4개(핀 15, 16, 17, 18)가 위에서 논의된 실시예에 대응하여, 각각의 중심 탭으로의 연결로 인해, 관련된 PoE 공급 전압을 공급한다. 이들 4개의 단자 접촉부(핀 15, 16, 17, 18)는 재차 위에서 논의된 실시예에 대응하여, PoE 공급 전압의 인출을 위해, 특히 "밥-스미스 터미네이션"을 포함하는, 상기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접촉 요소(120)의 적절한 구성요소 및 전도성 스트립을 통해, 추가적인 단자 접촉부(112)(핀 10)로 연결되고, 또한 이러한 추가적인 단자 접촉부(112)(핀 10)는 각각의 회로 기판의 접지 전위에 연결되도록 제공된다(여기서, 핀 19, 20 및 21이 미할당 상태에 있음). 단자 접촉부(112)의 개수를 제외하면,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위에서 수행된 관찰은 도 10 내지 12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0)의 플러그 본체(130)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의 도면의 아래로부터의 플러그 본체의 도면을 제공하는 도 13에 도시된 도면에서, 플러그 기부 본체(134)로부터 접촉 요소(120)(도 2 참조)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본체(130)의 플러그 접촉부(131)가 더 양호하게 관찰된다. 나아가, 플러그 본체를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차폐 요소(300)가 또한 도시되고, 플러그 본체의 플러그 접촉부(131)와 유사하게, 회로 기판 접촉 요소(312)가 차폐 요소(300)로부터 접촉 요소(120)(도 2 참조)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14의 a) 및 도 14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요소(120)의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의 도면을 도시한다. 접촉 요소(120)는 내부 관통 구멍(121) 그리고 제1 및 제2 외부 관통 구멍(122, 123)을 갖는 기판(124)을,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포함한다. 내부 관통 구멍(121)은 각각 전도성 스트립(127)에 의해 제2 외부 관통 구멍(123)과 연결된다. 기판(124)(또는 접촉 요소(120))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위한 추가적인 전도성 스트립 및 공간을 갖지만, 그것들이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 그것들은 여기서 추가로 논의되지 않는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차폐 요소(300)가 있는(도 15의 b)) 그리고 없는(도 15의 a))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의 도면을 도시한다.
위에서 논의되고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0)와 유사하게, 플러그 커넥터(100')는 플러그 기부(110"), 접촉 요소(도시되지 않음), 플러그 본체(130') 및 커버(140)를 포함한다.
이들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이 플러그 커넥터(100)에 대해 논의된 대응하는 요소와 매우 유사하거나 심지어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차이에 집중할 것이다.
플러그 본체(130')에는 플러그 기부 본체(134') 내에 제공되는 전도체/접촉 챔버의 쌍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차폐 크로스(360)(도 18 참조)가 제공된다.
플러그 본체(130')는 플러그 본체(130')의 외부 표면(또는 벽)에 근접하거나 그것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접촉 영역(361)을 제공하는 차폐 크로스(360)의 돌출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2개의 관통 구멍(138')(하나만 도시됨)을 포함한다.
플러그 본체(130') 각각은 차폐 요소(300)의 각각의 고정 요소(304, 도 16 참조)와 결합하거나 그것을 수용하는, 2개의 리세스(136')(하나만 도시됨)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로, 플러그 본체(130')는 차폐 요소의 절결부 또는 결합 요소(306, 306', 도 16 참조)와 협력하는, 2개의 돌출부(137')(하나만 도시됨)를 포함한다.
차폐 요소(300)가 플러그 커넥터(100')의 플러그 본체(130') 상에 제공되는 경우에, 돌출부(137')가 차폐 요소(300)의 결합 요소 내에 수용되고, 차폐 요소(300)의 고정 요소가 리세스(136') 내에 수용되고, 그에 따라 차폐 요소(300)를 플러그 본체(130') 상에 로킹하여 플러그 커넥터(100')의 플러그-인 방향을 따른 추가적인 이동에 대항한다.
차폐 크로스(360)의 접촉 영역(361)이 플러그 본체(130')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으면,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본체(130)의 외부 기하형상은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138)이 내부에 제공되지 않는 여기서 논의된 플러그 본체(130')와 대응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동일한 차폐 요소(300)가 플러그 커넥터(100, 100')의 실시예 둘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접촉 영역(361)이 전형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으면, 적절한 위치의 대응하는 리세스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차폐 요소(300)와 연계하여 차폐 크로스(360)를 제공하는 것은 전도체 쌍들 사이의 차폐가 증가하므로,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신호 내의 높은 주파수가 플러그 커넥터를 통과하게 한다.
더 높은 주파수에서, 과도하게 이격되지 않는 차폐 크로스와 차폐 요소 사이의 연결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게, 차폐 크로스의 3개 또는 4개 모두의 레그에는 차폐 요소와 접촉하는 접촉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배열이 또한 고려된다.
도 16은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 요소(300)의 도면을 도시한다. 차폐 요소(300)는 폐쇄된 리본과 같이 성형되고, 예를 들어 도 1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본체의 외부 표면 또는 벽을 포위하고 그것에 맞닿는다.
차폐 요소(300)는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크로스의 접촉 영역(361)과 접촉하는 2개의 접촉 요소(301)를 포함한다. 이들 차폐 크로스 접촉 요소(301)는 차폐 요소(300)의 (도면에서) 상부 부분으로부터 경사형 방식으로, 즉 내향으로 경사져 연장하고 그에 따라 차폐 요소(300)가 플러그 본체 상에 제공될 때에 차폐 크로스 접촉 요소(301)를 차폐 크로스의 접촉 영역 상에 압박하는 탄성력이 있다.
차폐 요소(300)는 2개의 탭(302)을 추가로 포함하고, 그 각각은 차폐 크로스 접촉 요소(301)가 내향으로 연장하는 것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외향으로 연장한다. 탭(302)은 케이싱 슬리브(도 17 참조)와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차폐 요소(300)는 2개의 고정 요소(304)를 추가로 포함하고, 고정 요소는 또한 내향으로 연장하고, 그것들이 플러그 본체(도 15 참조)의 대응하는 리세스와 결합하도록 제공된다.
차폐 요소(300)는 그 단면도에서, 기본적으로 대칭이고, 또한 차폐 요소(300)는 상이한 크기의 절결부의 형태로 구성되는 2개의 결합 요소(306, 306')를 포함한다. 플러그 본체(도 15 참조)의 대응하는 돌출부와 협력하여, 이러한 배열은 플러그 본체 상으로의 차폐 요소(300)의 부정확한 위치설정(즉, 180˚ 회전 또는 상하 뒤집힘)을 방지한다.
차폐 요소(300)의 리본 형상은 대응하는 로킹 요소(308, 308') 사이의 더브테일-연결(dovetail-connection)에 의해 폐쇄된다.
차폐 요소(300)는 (도면에서) 하향으로 연장하는 회로 기판 접촉 요소(312)를 추가로 포함하고,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차폐 요소(300)와 플러그 커넥터의 회로 기판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0')의 도면을 도시한다.
플러그 커넥터(100')에 부착된 도 15에 도시된 커버(140)가 도 17의 a)의 도면에 제공되지 않으므로, 플러그 커넥터(100')가 나열된 순서로 적층되는, 플러그 기부(110"), 접촉 요소(120') 및 플러그 본체(130')를 포함한다는 것이 관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에는 탭(302)(그 중 하나가 도 17의 a)에 도시됨), 차폐 크로스 접촉 요소(301)(그 중 하나가 도 17의 a)에 부분 단면도로 도시됨) 및 고정 요소(그 중 하나가 도 17의 a)에 도시됨)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차폐 요소(300)가 또한 제공된다. 나아가, 플러그 커넥터(100')는 플러그 본체(130') 내에 제공되고 플러그 기부 본체(134')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차폐 크로스(360)를 포함한다. 차폐 크로스(360)에는 차폐 요소(300)의 차폐 크로스 접촉 요소(301)와 전도성 접촉하는, 접촉 영역(361)이 제공된다.
도 17의 b)는 도 17의 a)에 도시된 점선을 따른 도 15의 플러그 커넥터(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의 a)의 돌출부의 평면은 차폐 크로스(360)의 아암을 따라 연장하고 그에 따라 (대략 28.5˚만큼 시계방향으로 틸팅된) 도 17의 b)의 회전 배열과 대응하지 않는다. 참조를 위해, 커버(140)가 또한 도 17의 b)에 도시된다. 차폐 요소(300)는 플러그 본체(130')를 포위하고, 플러그 본체에 차폐 크로스(360)가 제공된다. 차폐 크로스(360)의 2개의 아암이 그 접촉 영역(361)에서 차폐 요소의 차폐 크로스 접촉 요소(301)까지 연장한다. 차폐 크로스(360)는 플러그 본체(130')의 접촉 챔버(135') 사이에 제공된다.
도 17의 c)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싱 슬리브(150)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100')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7의 c)의 도면의 부분 단면도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요소(300)의 탭(302)은 케이싱 슬리브(150)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고, 그에 따라 케이싱 슬리브(150)와 차폐 크로스(360) 사이의 전도성 연결을 제공한다.
도 17의 c)의 돌출부의 평면은 도 17의 a)에 비해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28.5˚만큼 플러그 커넥터(100')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차폐 크로스(360)의 2개의 도면을 도시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차폐 크로스(360)의 아암 중 2개에는 그 각각의 단부에 접촉 영역(361)이 제공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차폐 크로스의 기본적인 구조 및 기능에 익숙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이 여기서 요구되지 않는다.
위의 논의에서,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플러그 커넥터, 즉 수형-암형 쌍 중 암형 버전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변형예로 제한되지 않고, 또한 (예컨대, 개별적인 접촉 챔버 대신에 돌출 핀 접촉부를 갖는) 수형 버전, 또한 중립 또는 혼성 버전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100, 100' 플러그 커넥터
110, 110', 110' 플러그 기부
112 단자 접촉부
113 기부-측 연결 접촉부
114 기부 본체
115 트랜스포머 챔버
120, 120' 접촉 요소
121 내부 관통 구멍
122 제1 외부 관통 구멍
123 제2 외부 관통 구멍
124 기판
127 전도성 스트립
130, 130' 플러그 본체
131 플러그 접촉부
134, 134' 플러그 기부 본체
135, 135' 접촉 챔버
136' 리세스
137' 돌출부
138' 관통 구멍
140 커버
150 케이싱 슬리브
160 케이싱 슬리브
200 플러그 커넥터
210 플러그 기부
212 단자 접촉부
213 기부-측 연결 접촉부
214 기부 본체
215 트랜스포머 챔버
270 카운터웨이트
300 차폐 요소
301 차폐 크로스 접촉 요소
302 탭
304 고정 요소
306, 306' 결합 요소
308, 308' 로킹 요소
312 회로 기판 접촉 요소
360 차폐 크로스
361 접촉 영역

Claims (15)

  1.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이며,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의 외부 접촉을 위한 단자 접촉부(112),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 및 단자 접촉부(112)와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 사이의 적어도 전도성 경로에서의 갈바닉 분리를 위한 트랜스포머 유닛을 갖는, 플러그 기부(110, 110', 110", 210); 및
    플러그 접촉부(131)를 갖는 플러그 본체(130, 130')
    를 포함하고,
    플러그 기부(110, 110', 110", 210) 및 플러그 본체(130, 130')는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를 플러그 접촉부(131)에 연결하는 접촉 요소(120, 120')를 포위하고,
    접촉 요소(120, 120')는 플러그 본체(130, 130')의 플러그-인 방향에 직각인 평면 내에서 평면형인,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120, 120')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서 실시되는,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120, 120')는 기부 측의 연결 접촉부(113) 및 플러그 접촉부(131)가 이를 통해 각각 연장하고,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 및 플러그 접촉부(131)가 고정되고,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 및 플러그 접촉부(1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도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외부 관통 구멍(123) 및 내부 관통 구멍(121)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120)는 기부-측 연결 접촉부(113) 및/또는 플러그 접촉부(131)에 대한 접촉 요소(120, 120')의 1:1 배열을 위해 구성되는,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 접촉부(112)의 단부가 접촉 요소(120, 120')의 평면에 평행하거나, 그것에 직각인 평면 내에 배열되는,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는 라운드 플러그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
  7. 제6항에 있어서, 라운드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는 M12, M8 또는 M6 플러그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
  8.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의 케이싱 슬리브(150, 160)와 전도성 접촉하는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용 차폐 요소(300)로서,
    차폐 요소(300)는 리본 형상이고,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 및 케이싱 슬리브(150, 160)의 연결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의 벽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차폐 요소(300)는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 및 케이싱 슬리브(150, 160)의 연결 시에 케이싱 슬리브(150, 160)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는 예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져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탭(302)을 포함하는,
    차폐 요소(300).
  9. 제8항에 있어서,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 내측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301, 312)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폐 요소(300).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차폐 요소(300)를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 상에 고정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의 벽 내의 각각의 리세스(136') 내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304)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폐 요소(300).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의 벽의 각각의 돌출부(137')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요소(306, 306')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폐 요소(300).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 요소(300)가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의 벽을 포위하도록, 서로의 확실한 끼워맞춤을 위해 배열되는 로킹 요소(308, 308')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폐 요소(300).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 요소(300)는 스탬핑 및 벤딩에 의해 형성되는, 차폐 요소(300).
  14.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 그리고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폐 요소(3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며, 차폐 요소(300)는 플러그 본체(130, 130')의 벽 주위에서 연장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차폐 요소(300)의 접촉 요소(312) 중 적어도 하나가 플러그 커넥터(100, 100', 200)의 접촉 요소(120, 120')의 접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차폐 크로스(360)가 플러그 본체(130') 내에 삽입되고,
    플러그 본체(130')는 차폐 크로스(360) 및 차폐 요소(300)가 전도성 연결되도록 차폐 요소(300)의 각각의 접촉 요소(301) 및/또는 차폐 크로스(360)의 돌출부가 이를 통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138')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87025031A 2016-02-04 2016-08-26 일체형 갈바닉 분리부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그리고 차폐 요소 KR102095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73561 WO2017132959A1 (en) 2016-02-04 2016-02-04 Plug connector with integrated galvanic separation
CNPCT/CN2016/073561 2016-02-04
PCT/CN2016/096947 WO2017133224A1 (en) 2016-02-04 2016-08-26 Plug connector with integrated galvanic separation and shielding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339A true KR20180122339A (ko) 2018-11-12
KR102095769B1 KR102095769B1 (ko) 2020-04-01

Family

ID=5949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031A KR102095769B1 (ko) 2016-02-04 2016-08-26 일체형 갈바닉 분리부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그리고 차폐 요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18756B2 (ko)
EP (1) EP3411928B1 (ko)
KR (1) KR102095769B1 (ko)
CN (1) CN109075512B (ko)
WO (2) WO2017132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45246S1 (en) 2016-07-26 2019-04-0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with asymmetric rectangular hot terminal edge slots and terminals with a rectangular edge protrusion
DE102018103639B3 (de) 2018-02-19 2019-06-0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Leiterkartensteckverbinder mit einem Schirmanbindungselement
CN209282467U (zh) * 2018-11-30 2019-08-20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保持架、连接器壳体、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11240061B2 (en) * 2019-06-03 2022-02-01 Progress Rail Locomotiv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DE102019127134A1 (de) * 2019-10-09 2021-04-15 Perinet GmbH Stecker für ein Internet-of-Things Gerät
US11637389B2 (en) * 2020-01-27 2023-04-25 Ampheno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high speed mounting interfa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2921A2 (en) * 1991-05-08 1992-11-11 Amphenol Corporation Composite canned data bus coupler connector
EP1936752A2 (de) * 2006-12-19 2008-06-25 Intercontec Produkt GmbH Modulare Rundsteckverbindung
US20100233905A1 (en) * 2009-03-13 2010-09-16 Hosiden Corporation Connector
CN102801059A (zh) * 2012-08-16 2012-11-28 乐清市华信电子有限公司 带网络变压器的双层网络接口及其制造方法
DE102012105256A1 (de) * 2012-06-18 2013-12-19 HARTING Electronics GmbH Isolierkörper eines Steckverbinders
CN103579820A (zh) * 2012-07-23 2014-02-1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插座连接器和插头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13932U1 (ko) * 1987-10-16 1988-01-14 Du Pont De Nemours (Nederland) B.V., Dordrecht, Nl
US5382182A (en) * 1993-05-28 1995-01-17 Apple Computer, Inc. Special purpose modular connector plug
US5387135A (en) * 1993-06-09 1995-02-07 Apple Computer, Inc. Special purpose modular receptacle jack
EP0694996A1 (en) * 1994-07-22 1996-01-31 Connector Systems Technology N.V. Selectively metallized plastic hold-down connector
DE19736631C1 (de) * 1997-08-22 1999-04-29 Hansa Metallwerke Ag Einrichtung zum Entkeimen von Wasser, welches eine Sanitäreinrichtung durchströmt
US6394853B1 (en) * 2000-08-04 2002-05-2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Data connector for selective switching between at least two distinct mating connector plugs
US6244908B1 (en) * 2000-08-04 2001-06-12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Switch within a data connector jack
DE20121594U1 (de) * 2001-12-01 2003-01-23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Modularer Rundsteckverbinder
CN2629278Y (zh) * 2003-05-06 2004-07-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570397U (en) * 2003-05-09 2004-01-01 Hon Hai Prec Ind Co Ltd Modular jack
CN100544131C (zh) * 2004-06-24 2009-09-23 摩勒克斯公司 具有提供poe功能的集成电路元件的插座连接器组件
DE102006056001B4 (de) * 2006-11-24 2008-12-0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onfektionierbarer Rundsteckverbinder für Ethernet
DE202006018985U1 (de) * 2006-12-15 2007-03-29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Lampe mit einem Sockel und mindestens einem lichtemittierenden Halbleiterbauelement
CN201178025Y (zh) * 2008-01-05 2009-01-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磁性线圈模组及设有该模组的电连接器
CN201207652Y (zh) * 2008-03-25 2009-03-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网络接口电路及具有该电路的电连接器
JP2010086827A (ja) * 2008-09-30 2010-04-15 Molex Inc 電気コネクタ
WO2011056979A2 (en) * 2009-11-06 2011-05-12 Molex Incorporated Modular jack with enhanced shielding
DE102010002176B4 (de) * 2010-02-22 2011-12-15 Tyco Electronics Amp Gmbh Kontakteinrichtung
DE102010051954B3 (de) * 2010-08-13 2012-02-09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Steckverbinder für differenzielle Datenübertragung
US8545274B2 (en) * 2010-12-02 2013-10-01 Molex Incorporated Filtering assembly and modular jack using same
CN102801060B (zh) * 2011-05-23 2016-01-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磁性模组的制造方法及利用此种磁性模组制造的电连接器
DE102011078622B4 (de) * 2011-07-04 2013-07-25 Ifm Electronic Gmbh Rundsteckverbinder mit abgeschirmtem Anschlusskabel und einsetzbarem Hakenelement sowie Bausatz dazu
US8591261B2 (en) * 2011-08-01 2013-11-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agnetic assembly
WO2014008132A1 (en) * 2012-07-06 2014-01-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Managed electrical connectivity systems
US9203198B2 (en) * 2012-09-28 2015-12-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Low profile faceplate having managed connectivity
TWI524609B (zh) * 2014-02-11 2016-03-01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CN204179420U (zh) * 2014-08-06 2015-02-25 东莞建冠塑胶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rj45整合型连接器的防突波保护结构
DE102016208847C5 (de) * 2016-05-23 2020-03-26 Siemens Healthcare Gmbh Geschirmte Verbindungsleitung für Magnetresonanztomographen
US9843121B1 (en) * 2016-08-23 2017-12-12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Communication connector having contact pads contacted by movable contact members
US10014607B1 (en) * 2017-03-13 2018-07-03 Bionsense Webster (Israel) Ltd. PCB sub-connecto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2921A2 (en) * 1991-05-08 1992-11-11 Amphenol Corporation Composite canned data bus coupler connector
EP1936752A2 (de) * 2006-12-19 2008-06-25 Intercontec Produkt GmbH Modulare Rundsteckverbindung
US20100233905A1 (en) * 2009-03-13 2010-09-16 Hosiden Corporation Connector
DE102012105256A1 (de) * 2012-06-18 2013-12-19 HARTING Electronics GmbH Isolierkörper eines Steckverbinders
CN103579820A (zh) * 2012-07-23 2014-02-1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插座连接器和插头连接器
CN102801059A (zh) * 2012-08-16 2012-11-28 乐清市华信电子有限公司 带网络变压器的双层网络接口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2959A1 (en) 2017-08-10
US20190044290A1 (en) 2019-02-07
EP3411928A1 (en) 2018-12-12
CN109075512A (zh) 2018-12-21
WO2017133224A1 (en) 2017-08-10
US10418756B2 (en) 2019-09-17
EP3411928A4 (en) 2020-01-08
CN109075512B (zh) 2020-11-03
EP3411928B1 (en) 2021-10-06
KR102095769B1 (ko)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769B1 (ko) 일체형 갈바닉 분리부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그리고 차폐 요소
TWI758340B (zh) 插座連接器
US7048550B2 (en) Electrical adapter assembly
TWI392166B (zh) 電連接器
KR100282629B1 (ko) 전기접지시라우드
US7128607B2 (en) Socket connector with reliable shielding member
JP4938746B2 (ja) 電気コネクタ
US20080020654A1 (en) Upright electrical connector
KR2014014598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실장체
US6923687B2 (en) Audio jack having improved contacts
US728502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21174770A (ja) 基板側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7241160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camera module
KR20160101520A (ko) 리셉터클 커넥터
EP2705575B1 (en) High-voltage resistance for a connector attached to a circuit board
CN110870146B (zh) 具有屏蔽元件的印刷电路板插接连接器
US20230046020A1 (en) Connector
KR100291296B1 (ko) 전기커넥터키잉시스템
KR200473302Y1 (ko) 커넥터
CN112615212A (zh) 具有安全连接器和磁性元件的网络插座
JP2001237041A (ja) Crtソケットの抵抗素子接続構造
KR10185709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2009199891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CN116960695A (zh) 电连接器和电子设备
JP3329785B2 (ja) ダブルフォーカス型crt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