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162A - 다용도 물품 정리대 - Google Patents

다용도 물품 정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162A
KR20180122162A KR1020170056317A KR20170056317A KR20180122162A KR 20180122162 A KR20180122162 A KR 20180122162A KR 1020170056317 A KR1020170056317 A KR 1020170056317A KR 20170056317 A KR20170056317 A KR 20170056317A KR 20180122162 A KR20180122162 A KR 20180122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main body
hook
penetrating
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동
Original Assignee
이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동 filed Critical 이순동
Priority to KR102017005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2162A/ko
Publication of KR20180122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정리를 위해 필요한 걸이구가 정리대 본체에 복수 개 결합됨으로써 한꺼번에 많은 수의 물품을 정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본체; 및 본체에 결합되도록 걸이몸체와, 상기 걸이몸체에 형성된 나사홈에 삽입 결합되는 관통부와, 관통부의 일정길이를 삽입고정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접해 형성된 접착부로 구성된 걸이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용도 물품 정리대{Multi-use articles arrangement tool}
본 발명은 다용도 물품 정리대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품 정리를 위해 필요한 걸이구가 정리대 본체에 복수 개 설치됨으로써 한꺼번에 많은 수의 물품을 정리할 수 있는 것이다.
다용도 물품 정리대로는 한국실용신안공개 제20-2017-0001210호가 있다.
이 공개기술은, 가정 또는 사무실, 욕실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소형의 물품(주방용품, 사무용품, 욕실용품 등)을 정리하기 위한 정리대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벽체나 타일, 유리 및 파티션 등에 선택하여 설치가 가능하되,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고리, 흡착, 부착, 끼움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정리가 가능하게 하며, 특히, 정리된 물품을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물품의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인 정리 보관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정리대 부피를 최소화시켜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게 하면서도 다양하고 많은 용품의 정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물품 정리대에 관한 것이다.
그라나 이러한 기술은, 물품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서의 이점은 있으나, 자칫 물품이 의도하지 않게 미끄러져 원하지 않는 곳에 위치되거나 정리대를 이탈하여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는 등의 단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물품 정리대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정리대를 제조함으로써 복수 개의 물품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물품 정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리대에 구성되는 물품걸이구를 벽 등에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물품 정리가 가능하도록 한, 다용도 물품 정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에 따라 유추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물품 정리대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본체; 및 본체에 결합되도록 걸이몸체와, 상기 걸이몸체에 형성된 나사홈에 삽입 결합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의 일정길이를 삽입고정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접해 형성된 접착부로 구성된 걸이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본체에 형성된 통공은 지지부의 직경에 비해 작도록 형성되고, 관통부는 걸이몸체의 길이에 비해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접착부에 덮여 있는 커버가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걸이구는, 걸이몸체; 걸이몸체에 형성된 나사홈에 삽입 결합되는 관통부; 관통부의 일정길이를 삽입고정하는 지지부; 및 지지부는 홈이 형성된 것,지지부에 접해 형성된 접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물품 정리대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물품 정리대를 제조함으로써 복수 개의 물품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리대에 구성되는 물품걸이구를 벽 등에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물품 정리대의 본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물품 정리대의 본체에 걸이구가 설치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걸이구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걸이구의 걸이몸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걸이구의 관통부, 지지부 및 접착부 구성도.
본 발명은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동사 "포함한다" 및 그것의 활용형은 청구항 또는 설명에 나열되지 않은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요소 앞에 복수 표현이 없는 것은 그러한 구성요소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제1, 제2 및 제3 등의 사용은 어떠한 순서도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들은 명칭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벽에 설치되거나 또는 소정장소에 놓여지는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어 물품을 걸 수 있도록 하는 걸이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체는 복수 개의 통공이 종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 통공을 통해 걸이구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걸이구는 물품이 걸리는 몸체와, 걸이구가 본체에 결합되도록 본체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는 관통부와, 관통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걸이구가 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예를 들어 벽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하는 접착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걸이구는 몸체가 본체의 전면에 노출된다면, 관통부, 지지부와 접착부는 배면에 노출된다. 예를 들어 본체를 벽에 설치한다면 걸이구는 벽 앞쪽에 위치하고, 접착부는 벽에 부착되어 본체의 벽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걸이구는 예를 들어, 나사 또는 못을 예를 들어 벽에 박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접착부도 상기 정리대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어, 반드시 정리대에 구성하지 않더라도 개별적으로 옷 등, 물품을 걸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물품 정리대의 본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물품 정리대의 본체에 걸이구가 설치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걸이구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걸이구의 걸이몸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걸이구의 관통부, 지지부 및 접착부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물품 정리대의 본체(100)는 복수 개의 통공(110)이 종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 간격은 서로 인접한 통공을 통해 본체에 결합되는 걸이구에 물품이 정확하게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를 무시하고 조밀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통공이 조밀하게 형성되더라도 걸이구는 인접한 통공을 통해 본체에 결합되지 않고, 필요한 통공을 통해서만 결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본체(100)에 형성된 통공(110)을 통해 걸이구(2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걸이구(200)는 임의의 통공(110)을 통해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걸이구(200)는 물품이 걸리는 몸체(210)와, 본체(1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210)와 결합되는 관통부(220)와, 상기 관통부(220)를 지지하는 지지부(230)와, 상기 지지부(230)에 접하여 형성된 접착부(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10)는 본체(100)를 사이에 두고 관통부(220)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211)이 몸체(210)를 종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몸체(210)를 종으로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몸체(210)는 손잡이부분(212)과, 이 손잡이부분(212)에 접하여 형성된 소정길이의 원통형부분(213)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부(220)는 지지부(230)에 소정길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소정길이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몸체(210)에 형성된 나사홈(211)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이다. 상기 관통부(220)의 길이는 몸체(210)에 형성된 나사홈(211)의 길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몸체(210)에 옷 등 물품이 걸리므로 만일 관통부(220)가 나사홈(2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다면, 물품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부(230)는 관통부(220)의 일부를 삽입 고정시킨 수단으로서, 일부분에는 소정 크기의 홈(231)이 형성되어, 필요시 이 홈(231)을 통해 나사 또는 못을 예를 들어 벽에 고정하게 된다. 지지부(230)는 대체로 원형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크기는 본체(100)에 형성된 통공(110)에 비해 크도록 한다.
상기 접착부(240)는 접착력을 갖는 물질이 도포된 것으로서, 지지부(230)를 포함하여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최초에는 접착부(240)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커버(250)로 덮혀진다. 즉 본 발명의 걸이구를 단독으로 또는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벽에 대한 정리대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접착부(240)를 벽에 접착할 때 커버(250)를 분리한 후 벽에 접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걸이구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몸체(210)와 관통부(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30)에 형성된 홈(231)을 통해 예를 들어 벽 등에 나사 또는 못을 박아 고정시킴과 동시에 접착부(240)를 통해 벽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면, 이러한 상태에서 옷 등 물품을 걸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걸이구(200)를 본체(100)에 결합시켜 사용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걸이구(200)에서 몸체(210)를 분리시키면, 관통부(220)와 지지부(230)와 접착부(240)가 일체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러한 일체로 고정된 부분을 본체(100)의 배면에 위치시킨 후, 관통부(220)를 본체(100)의 통공(110)을 통해 본체(110)의 배면쪽에서 전면부쪽으로 관통시킨다.
이와 같이 관통부(220)를 본체(100)의 통공(110)을 관통시키면 통공(110)에 걸쳐 지지부(230)와 접착부(240)는 본체(100)의 배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관통부(220)만 본체(100)의 전면쪽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관통부(220)를 몸체(210)의 나사홈(211)에 삽입 결합시키면 본체(100)를 사이에 두고 몸체(210)와, 관통부(220), 지지부(230) 및 접착부(240)가 일체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접착부(240)에 덮여있는 커버(250)를 분리하고 접착부(240)를 예를 들어 벽에 부착시키면 본체(100)가 벽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를 예를 들어 벽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무게를 감안하여 벽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본체(100)에 형성된 통공(110)을 통해 나사 또는 못을 삽입하여 벽 등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다용도 물품 정리대의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 중에서 일부분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 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100 : 본체 110 : 통공
200 : 걸이구 210 : 걸이몸체
211 : 나사홈 220 : 관통부
230 : 지지부 231 : 지지부 홈
240 : 접착부 250 : 커버

Claims (4)

  1.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걸이몸체와, 상기 걸이몸체에 형성된 나사홈에 삽입 결합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의 일정길이를 삽입고정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접해 형성된 접착부로 구성된 걸이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물품 정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통공은 지지부의 직경에 비해 작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는 걸이몸체의 길이에 비해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물품 정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에 덮여 있는 커버가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물품 정리대.
  4. 걸이몸체;
    상기 걸이몸체에 형성된 나사홈에 삽입 결합되는 관통부;
    상기 관통부의 일정길이를 삽입고정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는 홈이 형성된 것,
    상기 지지부에 접해 형성된 접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
KR1020170056317A 2017-05-02 2017-05-02 다용도 물품 정리대 KR20180122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17A KR20180122162A (ko) 2017-05-02 2017-05-02 다용도 물품 정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17A KR20180122162A (ko) 2017-05-02 2017-05-02 다용도 물품 정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162A true KR20180122162A (ko) 2018-11-12

Family

ID=6439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317A KR20180122162A (ko) 2017-05-02 2017-05-02 다용도 물품 정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21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141A1 (ko) 2018-10-12 2020-04-16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재조합 rsv 생백신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141A1 (ko) 2018-10-12 2020-04-16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재조합 rsv 생백신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9847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wide range of article supporting fixtures to a variety of support surfaces
US8641003B2 (en) Shelving end brackets with interchangeable pieces for supporting hang rods of different sizes
CA2526979A1 (en) Tool rack
US10875173B1 (en) Tool holding rack and suspending board for hanging the same
KR20090048622A (ko) 제거가능한 부속품을 구비하는 벽 장착가능한 와이어 그리드 오거나이저 시스템
US20180080496A1 (en) Hook Arrangement Device
CA2498533A1 (en) Wall unit support system
US10111559B2 (en) Hardware assembly
US20120068032A1 (en) Metal Hooked Utility Bracket Assembly
KR20180122162A (ko) 다용도 물품 정리대
US6116434A (en) Article holder and organizer
KR102064686B1 (ko) 욕실용 선반
US6145676A (en) Magnetic storage rack
US20190142197A1 (en) Multi-Hook Adjustable Door Hanger
KR101390118B1 (ko) 비품 걸이대
JP3205610U (ja) 物品懸架用有孔ボー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物品取付構造
KR20120128767A (ko) 벽 부착용 걸이 겸 집게
JP3034815U (ja) 作業用工具及び部品整理保管台
KR200418583Y1 (ko) 흡착식 칫솔걸이
WO2018099188A1 (zh) 瓷缝钉
US6484985B1 (en) Clip for panel system
KR20200073539A (ko)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KR200192808Y1 (ko) 가구용 걸이장치
KR200257829Y1 (ko) 행거 취부구
US201601952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ably attaching towels window coverings window treatments clothing rugs bathroom fixtures and accessories kitchen fixtures and accessories closet fixtures and accessories paper towels toilet tissue fabrics and the like to a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