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829Y1 - 행거 취부구 - Google Patents

행거 취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829Y1
KR200257829Y1 KR2020010027234U KR20010027234U KR200257829Y1 KR 200257829 Y1 KR200257829 Y1 KR 200257829Y1 KR 2020010027234 U KR2020010027234 U KR 2020010027234U KR 20010027234 U KR20010027234 U KR 20010027234U KR 200257829 Y1 KR200257829 Y1 KR 200257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upport
support piece
hanger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권 전
Original Assignee
재 권 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권 전 filed Critical 재 권 전
Priority to KR2020010027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829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 또는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등을 압출 성형하여 상부에는 지지편을 형성하고 하방 후단부에 개방된 삽치구가 형성된 장공상의 삽치홈을 형성하고, 삽치홈 후방에 지지돌기를 형성한 행거취부구와, 상기한 장공상의 삽치홈에 삽입되게 행거부재를 벽체에 지지시켜 가설하기 위한 삽치부와 지지부를 각각 형성한 지지편을 구비하고, 양측 지지편 사이에 주방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용기,접시등의 꽂이, 선반, 행거등의 행거부재 설치하여서 되는 행거 취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행거 취부구 {A hanger attachment device}
본 고안은 싱크대, 가구 등과 같은 수납장의 저면에 취부하여 접시꽂이, 선반, 행거등의 행거부재(이하 행거부재라 함)를 가설하기 위한 행거 취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알루미늄 또는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등을 압출 성형하여 상부에는 지지편을 형성하고 하방 후단부에 개방된 삽치구가 형성된 장공상의 삽치홈을 형성하고, 삽치홈 후방에 지지돌기를 형성한 행거취부구와, 상기한 장공상의 삽치홈에 삽입되게 행거부재를 벽체에 지지시켜 가설하기 위한 삽치부와 지지부를 각각 형성한 지지편을 구비하고, 양측 지지편 사이에 주방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용기,접시등의 꽂이, 선반, 행거등의 행거부재 설치하여서 되는 행거 취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 욕실과 같은 장소에 용기, 접시 또는 소용되는 각종 악세서리등의 용구를 걸어주고 보관하기 위한 용기, 접시꽂이, 선반, 행거등의 행거부재를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음은 통상적이고, 이러한 주방이나 욕실등에는 수납장이 대부분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음도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방이나 욕실등에 용품이나 용구등을 걸어주기 위한 행거부재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대체로 도 5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행거봉(100)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구(102),(103)을 수납장의 벽면(104)사이에 나사(105)로 설치하여 행거봉(100)을 가설하거나, 또는 주방의 벽면(106)에 지지구(102),(103)을 취부하여 행거봉(100)을 가설한다음, 이에 훅크상의 걸고리(107)를 형성한 행거, 선반, 꽂이대등의 행거부재(108)을 가설하는 구조로 설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설치위치에 따라 미리 행거봉(100)의 길이가 결정되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납장의 벽면 (104)사이에 설치하는 경우, 설치공간의 폭이 서로 다른 위치변경이 거의 불가능하여 위치변경시 새로운 행거봉을 준비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방이나 욕실등의 벽면(106)에 부착된 타일이나 벽면을 드릴등의 공구를사용하여 나사구멍을 천공한후 설치하게 되어 실내벽면이나 수납장의 외측벽면을 훼손하게 되는 결함을 나타나 일단 설치한 후에는 위치의 변경이나 해체에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는 결함을 나타내고, 해체한 후에는 손상된 벽면(106)의 나사구멍등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벽면(106)의 외관을 해치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고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행거봉(100)을 이용하여 행거부재(108)를 가설함에 있어서도 행거부재(108)를 단순히 훅크상의 걸고리구(107)로 걸어 별도의 고정수단이나 체결수단없이 가설하고 있으므로서, 외부의 충격이나 취급 부주의로 인하여 걸고리구(107)가 행거봉(100)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여 행거부재(108)가 추락할 우려가 상당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염려가 있거나 용품의 파손을 초래하게 될 안전사고 발생 위험과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할 우려도 상당히 높은 것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여 주방이나, 욕실등 외부에서 관찰히 가능하게 노출되는 벽면이나 수납장의 측벽면이 손상되거나 훼손되는 사례를 제거하고 노출이 되지 않는 목재로된 수납장의 저면부에 드릴등의 공구없이도 간편하고 견고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행거취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수납장의 저면과 같이 외부에서 관찰이 어려운 은밀한 위치에 취부하여 행거부재를 가설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서 주방벽면이나 수납장외벽면을 훼손하지 않고 설치하여 주방이나 욕실등의 실내분위기나 외관의 손상을 초래하지않고 깔끔하고 미려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행거취부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행거부재를 행거취부구에 가설함에 있어서도 행거부재에 설치된 지지편의 삽치부를 행거취부구 저면에 형성된 삽치하여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로 가설하여 줌으로 외부충격이나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행거부재의 이탈이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나 용품의 파손 염려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행거 취부구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취급이 간편한 재질로 압출성형하여 형성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로 손쉽게 절단하여 가설할 수 있게 하여 행거부재의 설치개수나 설치길이에 상응하여 행거 취부구를 설치할 수 있게 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알루미늄 또는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등의 재질로 상부에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하방 후단부에는 개방된 삽치구가 형성된 장공상의 삽치홈을 형성하고, 삽치홈 후방에는 지지돌기를 형성한 행거취부구를 압출성형하여 형성하고, 상기한 장공상의 삽치홈에 삽입되어 행거부재를 벽체에 지지시켜 가설하기 위한 삽치부와 지지부를 각각 형성한 지지편을 구비하여서 되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절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2 및 도 3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측면도로서
도 2는 결합전 상태의 작동상태 측면도
도 3는 결합후 상태의 작동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예시도
도 5 및 도 6은 종래 행거의 취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1: 지지편 2: 삽치공 3: 삽치홈 4: 지지돌기 5: 행거취부구
6: 행거부재 7: 삽치부 8: 지지부 9: 지지편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절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전 상태의 작동상태 측면도이며, 도 3은 결합후 상태의 작동상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알루미늄 또는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등의 재질로 상부에는 지지편(1)이 형성되고 하방에는 후단 저부가 개방된 삽치공(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상의 삽치홈(3)을 형성하고, 삽치홈(3)의 후방 외측면에는 지지돌기(4)가 형성되게 압출성형한 행거취부구(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선반, 행거, 꽂이 등 행거부재(6)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부에는 상기한 삽치홈(3)에 안치되는 삽치부(7)와 지지부(8)를 각각 형성한 지지편 (9)이 양측에 돌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알루미늄 또는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등과 같은 재질로 압출성형되는 행거취부구(5)의 상부 지지편(1)에는 일정 간격으로 나사(10)를 삽통시켜 주기 위한 홈(11)이 요설되고, 상면에는 양면접착테이프(12)가 접착되어 이형지 (13)로 보호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우선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이나 욕실의 설치코져하는 현장에서 알루미늄 또는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등과 같은 재질로 압출성형되는 행거취부구(5)를 취부하기 위한 수납장의 저면(B)의 폭에 따라 행거취부구(5)의 길이를 결정하여 칼(카터)등과 같은 수공구를 사용하여 절단하고 상부의 양면접착테이프(12)의 이형지(13)를 제거한 다음, 수납장의 저면(B)에 알루미늄 또는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등과 같은 재질로 압출성형되는 행거취부구(5)의 상부 지지편 (1)은 수납장의 저면(B)에 밀착되고 후방의 지지돌기(4)는 벽체(W)에 밀착되는 상태로 가접착시켜 고정한 다음, 지지편(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홈(11)에 나사(10)를 관통시켜 목재로 된 수납장의 저면(B)에 체결하면 행거취부구(5)는 수납장 저면(B)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선반, 행거, 꽂이 등 용도에 따라 행거부재(6)가 일체로 취부된 지지편(9)의 상부 선단 삽치부(7)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취부구(5)의 하단 후방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삽치공(2)에 삽입하여 준 후 지지부(8)를 벽체(W)에 밀착시켜 주면 행거부재(6)의 하중에 의하여 삽치부(7)의 선단은 삽치홈(3)의 상면과 밀착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지지부(8)은 벽체(W)와 더욱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설치된 행거부재(6)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기설치된 행거부재(6)사이에 추가로 설치하고져 할 때에는 행거취부구(5)의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삽치공(2)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간격을 별려 위치에 구애됨이 없이 변경하거나 추가로 설치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해체시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행거부재(6)를 전방 상측으로 회동하여 지지편(9)의 상부 선단 삽치부(7)를 삽치공(2)으로 부터 인출하면 해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알루미늄 또는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등의 재질로 행거취부구를 압출성형하여 형성하여 주므로서 종래의 프레스물에 비하여 염가로 대량생산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행거부재를 설치함에 있어서도 실내의 벽체나 수납장 등의 가구 외측벽을 손상하지 않고 설치하게 되어 실내의 분위가나 외관을 손상하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지닌 유용항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알루미늄 또는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등의 재질로 상부에는 지지편(1)이 형성되고 하방에는 후단 저부가 개방된 삽치공(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상의 삽치홈(3)을 형성하고, 삽치홈(3)의 후방 외측면에는 지지돌기(4)가 형성되게 압출성형한 행거취부구(5)와;
    행거부재(6)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부에는 상기한 삽치홈(3)에 안치되는 삽치부(7)와 지지부(8)를 각각 형성한 지지편(9)을 구비한 행거 취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행거부재(6)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부에는 상기한 삽치홈(3)에 안치되는 삽치부(7)와 지지부(8)를 각각 형성한 지지편(9)을 넓은 판상의 철편으로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취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행거부재(6)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부에는 상기한 삽치홈(3)에 안치되는 삽치부(7)와 지지부(8)를 각각 형성한 지지편(9)을 철사와 같은 환봉으로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취부구.
KR2020010027234U 2001-09-06 2001-09-06 행거 취부구 KR200257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234U KR200257829Y1 (ko) 2001-09-06 2001-09-06 행거 취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234U KR200257829Y1 (ko) 2001-09-06 2001-09-06 행거 취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829Y1 true KR200257829Y1 (ko) 2001-12-24

Family

ID=7310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234U KR200257829Y1 (ko) 2001-09-06 2001-09-06 행거 취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8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750B1 (ko) 2008-02-21 2008-07-16 (주)대진아트와이어 주방용품 걸이대
KR102626434B1 (ko) * 2023-08-29 2024-01-18 주식회사 케이앤지씨씨 높이 및 간격조절이 용이한 주방용품 걸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750B1 (ko) 2008-02-21 2008-07-16 (주)대진아트와이어 주방용품 걸이대
KR102626434B1 (ko) * 2023-08-29 2024-01-18 주식회사 케이앤지씨씨 높이 및 간격조절이 용이한 주방용품 걸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871B2 (en) Hand tool rack
CA2449791C (en) Storage system
CA2446823C (en) System and apparatus for holding an item in storage
US8123185B2 (en) Bracket release mechanism
US6857528B2 (en) Over door storage rack for base cabinet doors
JP5192131B2 (ja) 家具の一部の引出し
KR200257829Y1 (ko) 행거 취부구
JP2018104950A (ja) 収納ユニットの取付方法
KR200410339Y1 (ko) 수납대 걸이구
KR101122058B1 (ko) 이동식 공구 보관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착탈식 서류수납함
JP2013009745A (ja) 横架型トレイ
JP5691888B2 (ja) タオル掛け具
KR200287178Y1 (ko) 행거 벽면취부구
KR20080083294A (ko) 주방용구용 걸이대 고정시스템
JP4301090B2 (ja) キャビネット用ハンギング構造
KR200333258Y1 (ko) 공구 걸이대
JP6306315B2 (ja) 浴室収納部材
KR200233763Y1 (ko) 가구용 간이 옷걸이대
KR200232267Y1 (ko) 착탈식 선반
KR200146213Y1 (ko) 욕실용품대 결착구조
JP2007296065A (ja) 家具取付構造
KR200192808Y1 (ko) 가구용 걸이장치
JP3778333B2 (ja) カウンター
KR950000891Y1 (ko) 도마 걸이구
KR101326065B1 (ko) 캐비넷용 문짝의 수납 가능한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523

Effective date: 2006070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427

Effective date: 20070117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