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750B1 - 주방용품 걸이대 - Google Patents

주방용품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750B1
KR100846750B1 KR1020080015810A KR20080015810A KR100846750B1 KR 100846750 B1 KR100846750 B1 KR 100846750B1 KR 1020080015810 A KR1020080015810 A KR 1020080015810A KR 20080015810 A KR20080015810 A KR 20080015810A KR 100846750 B1 KR100846750 B1 KR 100846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rofile
hanger
safety clip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범
Original Assignee
(주)대진아트와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아트와이어 filed Critical (주)대진아트와이어
Priority to KR102008001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2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for fastening kitchen utensils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품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 상기 프로파일의 하측에 형성된 삽입구에 끼워져서 그 선단의 일부가 상기 공간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일단부에 상기 제1부분과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연결되는 횡봉과, 상기 횡봉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고리부로 이루어지는 후크걸이; 및 상기 제2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후크걸이가 상기 프로파일에 결합된 이후에는 상기 후크걸이가 전방으로 회전되려는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상기 후크걸이가 전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클립;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주방용품을 걸어두는 후크걸이가 프로파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주방용품의 예기치 않은 파손이나 신체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주방용품, 걸이대. 안전클립. 후크걸이, 프로파일, 고리대

Description

주방용품 걸이대{Kitchen hanger}
본 발명은 주방용품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용품을 걸어두는 후크걸이가 프로파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크걸이에 안전클립을 설치하여 후크걸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용품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되는 각종 주방용품, 즉 주걱, 가위, 컵 등을 걸어둘 수 있는 주방용품 걸이대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방용품 걸이대의 일 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주방용품 걸이대는 싱크대 상부장(200)의 아래에 프로파일(10)을 나사 등에 의해서 고정하고, 상기 프로파일(10)에 형성된 요홈부(11)에 컵이나 주걱 등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고리부(15)가 구비된 후크걸이(13)의 상부(14)를 삽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방용품 걸이대는 후크걸이(13)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고리부(15)들에 주걱이나 가위, 또는 컵 등을 걸어두고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후크걸이(13)의 고리부(15)에 걸린 주걱 등을 사용하려고 들어올릴 때 후크걸이(13)가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기울어지게 되는 경우가 있고, 위와 같이 후크걸이(13)가 기울어지게 되면, 후크걸이(13)의 상부(14)가 프로파일(10)의 요홈부(12)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후크걸이(13)의 상부(14)가 요홈부(12)에서 분리되게 되면, 고리부(15)에 걸린 주방용품들이 떨어져 파손될 수도 있고, 또 컵 등이 유리 재질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리가 파손되면서 손이나 기타 인체 부위에 부상이 발생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로파일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걸이에 회전식 안전클립을 설치하여 상기 안전클립을 회전시켜 후크걸이를 고정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용품 걸이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 상기 프로파일의 하측에 형성된 삽입구에 끼워져서 그 선단의 일부가 상기 공간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일단부에 상기 제1부분과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연결되는 횡봉과, 상기 횡봉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고리부로 이루어지는 후크걸이; 및 상기 제2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후크걸이가 상기 프로파일에 결합된 이후에는 상기 후크걸이가 전방으로 회전되려는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상기 후크걸이가 전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클립; 으로 구성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클립은, 상기 제2부분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는 상기 후크걸이가 상기 프로파일에 결합되었을 때, 그 몸체의 선단부가 상기 제1부분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클립은, 상기 후크걸이의 제2부분에 고정부착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후크걸이가 상기 프로파일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회동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제1부분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싱크대 상부장의 아래에 고정설치되거나 조명등기구의 하측에 조명등기구와 일체로 형성되는 프로파일에 후크걸이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후크걸이의 상단부에 안전클립을 설치하여 상기 안전클립으로 후크걸이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고리부에 걸어 든 각종 주방용품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방용품의 파손이나 신체 부위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에 대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 대에서 후크걸이에 안전클립을 결합시킨 외관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에서 후크걸이를 프로파일에 삽입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에서 후크걸이를 프로파일에 삽입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에서 후크걸이를 프로파일에 삽입시킨 후에 안전클립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는 프로파일(100)과, 상기 프로파일(100)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후크걸이(110)와, 상기 후크걸이(11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안전클립(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로파일(100)은 싱크대 상부장의 아래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고, 조명등기구의 하측에 조명등기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파일이 싱크대 상부장의 아래에 고정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로파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상부장의 아래에 고정부착되는 판재부분(101)과, 상기 판재부분(101)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그 내부에 공간부(103)가 형성되도록 하는 벽체부분(10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부분(104)은 그 하측에 후술하는 후크걸이(110)의 제1부분(111)이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이 싱크대 상부장(200)의 하부에 부착되는 조명등기구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기구의 하측 일부분에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후술하는 후크걸이(110)의 제1부분(111)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게 되며, 위와 같은 조명등기구에 부착되는 프로파일은 공지의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프로파일이 조명등기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싱크대 하부장에 별도로 부착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여 설명의 편의상 싱크대 하부장에 부착되는 프로파일로 대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후크걸이(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파일(100)의 벽체부분(104)에 형성된 삽입구(102)에 끼워져서 그 선단의 일부가 상기 공간부(103)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부분(111)과, 상기 제1부분(111)의 일단부에 상기 제1부분(111)과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제2부분(112)과, 상기 제2부분(112)에 연결되는 횡봉(113)과, 상기 횡봉(113)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고리부(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클립(120)은 상기 후크걸이(110)가 상기 프로파일(100)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후크걸이(110)가 전방으로 회전되려는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상기 후크걸이(110)가 전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걸이(110)의 제2부분(112)에 핀(123)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걸이(110)를 프로파일(100)에 삽입시키기 전에는 몸체(122)를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키고, 후크걸이(110)를 프로파일(100)에 삽입시킨 후에는 몸체(122)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122)의 선단부가 프로파일(101)의 벽체부분(104)쪽 즉, 상기 제1부분(111)쪽으로 이동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안전클립(120)은 몸체(122)의 선단부에 직각으로 받침부(121)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위와 같은 받침부(121)는 몸체(122)를 가늘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클립(120)은 위에서 설명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그 기능을 달성할 수가 있으며,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에서 안전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클립(120)은 후크걸이(110)의 제2부분(112)에 고정부착된 고정부재(134)와, 상기 고정부재(134)에 핀(132)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재(133)는 후크걸이(110)를 프로파일(100)에 삽입시키기 전에는 회동부재(133)가 고정부재(134)를 중심으로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며, 후크걸이(110)가 프로파일(100)에 삽입된 이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33)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동부재(133)의 선단부가 프로파일(100)의 벽체부분(104) 쪽으로 즉, 상기 후크걸이(110)의 제1부분(111)쪽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파일(100)과 후크걸이(110)와 안전클립(120)을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클립(120)의 몸체(122)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후크걸이(110)의 제2부분(112)에 결합시키며, 이러한 상태에서 후크걸이(110)를 프로파일(100)에 결합하는데, 이때, 후크걸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후크걸이(110)의 제1부분(111)의 선단부가 프로파일(100)의 공간부(103) 속으로 삽입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걸이(110)를 비스듬하게 경사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부분(111)의 선단부를 공간부(103) 속으로 삽입시키면 제1부분(111)이 공간부(103) 내부로 삽입되게 되고, 이 때에는 안전클립(120)의 몸체(12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122)를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몸체(122)의 선단이 프로파일(1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도 7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안전클립(120)이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임의 실수로 밀거나 당기는 것과 같은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서 후크걸이(110)에 전방으로 회전되려는 외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안전클립(120)이 프로파일(100)의 하부에 부딪혀서 상기 후크걸이(110)가 전방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고, 따라서, 고리부(114)에 걸려 있는 컵이나 기타 주방용품들이 고리부(114)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위의 예와는 달리 안전클립(120)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안전클립(120)의 회동부재(133)가 고정부재(134)의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한 다음에 후크걸이(110)의 제1부분(111)을 프로파일(100)의 공간부(103)에 삽입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동부재(133)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차 상측으로 선회시켜 도 10의 확대도에 나타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안전클립(120)의 회동부재(133)가 프로파일(100)의 벽체부분(104)에 위치하도록 하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서 후크걸이(110)에 전방으로 회전되려는 외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안전클립(120)이 프로파일(100)의 하부 벽체부분(104)에 부딪혀서 상기 후크걸이(110)가 전방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고, 따라서, 고리부(114)에 걸려 있는 컵이나 기타 주방용품들이 고리부(114)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일 사용자가 후크걸이(110)를 프로파일(1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회동부재(133)를 도 11의 화살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시키게 되면, 회동부재(133)가 프로파일(100)로부터 이탈되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후크걸이(110)를 경사시켜 프로파일(1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에 대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에서 후크걸이에 안전클립을 결합시킨 외관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에서 후크걸이를 프로파일에 삽입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에서 후크걸이를 프로파일에 삽입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에서 후크걸이를 프로파일에 삽입시킨 후에 안전클립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에서 안전클립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주요부를 확대시킨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걸이대에서 안전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안전클립을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안전클립을 분리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며,
도 13내지 도14는 종래의 주방용품걸이대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프로파일 101: 판재부분
102: 삽입구 103: 공간부
104: 벽체부분 110: 후크걸이
111: 제1부분 112: 제2부분
113: 횡봉 114: 고리부
120: 안전클립 121: 받침부
122: 몸체 123: 핀
133: 회동부재 134: 고정부재
200: 싱크대 상부장

Claims (3)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
    상기 프로파일의 하측에 형성된 삽입구에 끼워져서 그 선단의 일부가 상기 공간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일단부에 상기 제1부분과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연결되는 횡봉과, 상기 횡봉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고리부로 이루어지는 후크걸이; 및
    상기 제2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후크걸이가 상기 프로파일에 결합된 이후에는 상기 후크걸이가 전방으로 회전되려는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상기 후크걸이가 전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클립;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걸이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클립은, 상기 제2부분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는 상기 후크걸이가 상기 프로파일에 결합되었을 때, 그 몸체의 선단부가 상기 제1부분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걸이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클립은,
    상기 후크걸이의 제2부분에 고정부착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후크걸이가 상기 프로파일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회동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제1부분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걸이대.
KR1020080015810A 2008-02-21 2008-02-21 주방용품 걸이대 KR100846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10A KR100846750B1 (ko) 2008-02-21 2008-02-21 주방용품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10A KR100846750B1 (ko) 2008-02-21 2008-02-21 주방용품 걸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750B1 true KR100846750B1 (ko) 2008-07-16

Family

ID=3982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810A KR100846750B1 (ko) 2008-02-21 2008-02-21 주방용품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7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568B1 (ko) 2008-04-10 2010-07-16 이종득 주방용 행어 설치구조
KR20170009114A (ko) 2015-07-15 2017-01-25 김영수 주방용품 걸이대
KR20170029902A (ko) 2015-09-08 2017-03-16 정연학 주방용품 걸이대
KR102467103B1 (ko) 2021-08-26 2022-11-14 박정애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구
KR102626434B1 (ko) * 2023-08-29 2024-01-18 주식회사 케이앤지씨씨 높이 및 간격조절이 용이한 주방용품 걸이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1926A (ja) * 1991-10-03 1993-08-31 Imperial Chem Ind Plc <Ici> アルカン酸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ロイコトリエンが介在する疾患または症状に使用するための調剤学的組成物
KR200179829Y1 (ko) 1999-11-04 2000-04-15 이선갑 주방용품 걸이대
KR20000015645U (ko) * 1999-01-09 2000-08-05 박경호 바지걸이
KR200257829Y1 (ko) 2001-09-06 2001-12-24 재 권 전 행거 취부구
KR200287178Y1 (ko) 2002-04-29 2002-08-29 재 권 전 행거 벽면취부구
KR200366166Y1 (ko) 2004-07-26 2004-11-03 미광기업 주식회사 행거
KR200395970Y1 (ko) 2005-06-17 2005-09-15 박인행 물품 걸이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1926A (ja) * 1991-10-03 1993-08-31 Imperial Chem Ind Plc <Ici> アルカン酸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ロイコトリエンが介在する疾患または症状に使用するための調剤学的組成物
KR20000015645U (ko) * 1999-01-09 2000-08-05 박경호 바지걸이
KR200179829Y1 (ko) 1999-11-04 2000-04-15 이선갑 주방용품 걸이대
KR200257829Y1 (ko) 2001-09-06 2001-12-24 재 권 전 행거 취부구
KR200287178Y1 (ko) 2002-04-29 2002-08-29 재 권 전 행거 벽면취부구
KR200366166Y1 (ko) 2004-07-26 2004-11-03 미광기업 주식회사 행거
KR200395970Y1 (ko) 2005-06-17 2005-09-15 박인행 물품 걸이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568B1 (ko) 2008-04-10 2010-07-16 이종득 주방용 행어 설치구조
KR20170009114A (ko) 2015-07-15 2017-01-25 김영수 주방용품 걸이대
KR20170029902A (ko) 2015-09-08 2017-03-16 정연학 주방용품 걸이대
KR102467103B1 (ko) 2021-08-26 2022-11-14 박정애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구
KR102626434B1 (ko) * 2023-08-29 2024-01-18 주식회사 케이앤지씨씨 높이 및 간격조절이 용이한 주방용품 걸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750B1 (ko) 주방용품 걸이대
US6290075B1 (en) Detachable wall-mounted shelf
KR20090109150A (ko) 주방용품 걸이대
US6938283B1 (en) Sink and faucet support assembly
KR20130097910A (ko) 벽면부착식 옷걸이
KR20200087614A (ko) 주방용품 걸이대
US20090057246A1 (en) Space-saver pot lid hanging storage device
KR101272205B1 (ko)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KR20150004512U (ko) 화장지걸이
KR100937481B1 (ko) 개구부 덮개
KR20190049150A (ko) 주방용 선반
EP2140792A1 (en) Handle element, handle or handle cover for a kitchen utensil and kitchen utensil preferably provided with such a handle element
KR20170100949A (ko) 가구용 걸이대
EP2950003A1 (en) Cover plate for a cooking top of a kitchen appliance
JP2017052076A (ja) ベルトフック鞘
WO2020222708A2 (en) Practical ironing board with a hanger unit
US8353119B2 (en) Iron holder
KR101427373B1 (ko)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KR102626434B1 (ko) 높이 및 간격조절이 용이한 주방용품 걸이장치
KR20070000838U (ko) 대아용 샤워기 걸이
JP6713703B2 (ja) 吊掛装置
JP2009233073A (ja) 浴室用棚
KR200362103Y1 (ko) 선반 시스템 조명장치
KR20200085200A (ko) 채널형 주방도구 걸이대
KR200341652Y1 (ko) 뒤집개 꽂이가 구비된 프라이팬의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