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205B1 -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205B1
KR101272205B1 KR1020120029782A KR20120029782A KR101272205B1 KR 101272205 B1 KR101272205 B1 KR 101272205B1 KR 1020120029782 A KR1020120029782 A KR 1020120029782A KR 20120029782 A KR20120029782 A KR 20120029782A KR 101272205 B1 KR101272205 B1 KR 101272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ink
hole
ro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곤
Original Assignee
이종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곤 filed Critical 이종곤
Priority to KR102012002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2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for fastening kitchen utensils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싱크대 및 서랍에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거치장치의 크기가 작아 미사용 시 보관의 편리함과 이동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싱크대 및 서랍의 테두리(T)에 대칭되게 클립(10)을 이용하여 끼움 결합하고, 테두리(T)의 좌측에 결합된 거치장치(1)의 회전봉(21)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회전봉(21)에 각종 거치대상물(A)을 삽입시키면 완성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거치대상물(A)을 당기면 회전봉(21)의 기점으로 거치대상물(A)이 회전되고 필요한 크기로 절단 및 절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Sink and drawer installation possibility multipurpose hanging}
본 발명은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싱크대 및 서랍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고, 거치장치의 부피가 비교적 적게 차지함으로 미사용 시 보관의 편리함과 이동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식당의 싱크대 및 벽면 등에는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각종 주방용품을 걸 수 있는 거치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주방용품(이하 '거치대상물'라 한다)은 음식을 포장 또는 보관 시 사용하는 랩, 알루미늄 호일, 비닐봉지와 이물질을 닦을 시 사용되는 휴지 및 기름때를 제거하는 키친타월 등이 있으며, 내부 중앙에는 거치장치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의 종이지관이 구성되고, 상기 종이지관의 표면 외부에 거치대상물을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져 있으며, 이를 필요에 따라 절취하거나 절단하여 사용한다.
종래 거치장치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712705 및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20-1993-0005421,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20-1998-059606,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20-0280116 등과 같이 거치장치의 양측에 중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에 거치대상물의 종이지관을 끼움 결합하여 거치대상물을 당겨 종이지관이 중심축의 기점으로 회전이 되고, 필요한 만큼 절단 및 절취하여 사용한다.
종래의 거치장치를 주방의 싱크대 또는 벽면에 고정 결합할 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거치장치를 고정함으로 싱크대 또는 벽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거치장치를 다른 곳에 설치할 경우 기존에 설치된 싱크대 또는 벽면에 체결수단이 삽입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이를 막는 작업을 하거나 새것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거치장치의 잦은 사용으로 체결수단이 결합된 부분이 확장되고 거치장치가 흔들려 고정되도록 다른 곳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과 체결수단이 풀려 거치장치가 이탈되어 안전사고를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712705 B1 2007.05.04. KR 20-1993-0005421 Y1 1993.08.16. KR 20-1998-059606 U 1998.10.26. KR 20-0280116 Y1 2002.06.29. KR 20-1992-0006465 1992.09.18. KR 20-0422716 Y1 2006.07.31. KR 20-0292258 Y1 2002.10.18.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싱크대 및 벽면에 설치되는 거치장치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싱크대에 체결수단이 없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잦은 사용으로도 거치장치의 교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각종 거치대상물을 거치할 수 있는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거치장치는 거치대상물이 거치되는 회전봉과 싱크대 및 서랍의 테두리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클립으로 구성하고, 상기 클립은 'ㄷ'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클립의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클립편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테두리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판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판 중앙에는 상부로 단이 진 걸림턱을 갖는 관통공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는 하부 전·후방으로 지지프레임이 형성된 연결프레임을 구성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연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공과 관통공으로 연결핀을 삽입한 후 리베팅 결합구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 측면에는 회전봉이 끼움 결합되어 좌우로 회동되도록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봉의 하부에는 중공으로 삽입되는 중심축이 양측면으로 형성된 연결대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봉의 상부에는 거치대상물이 삽입되는 지지봉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는 회전봉을 좌우로 회동 시 받쳐주는 스토퍼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클립의 클립편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클립의 클립편 하부에는 판스프링이 삽입되는 내부로 함몰된 내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홈의 양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리베팅공을 형성하며, 상기 판스프링의 양측에는 테두리에 삽입될 시 판스프링이 압착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양측으로 유동되도록 타원형상의 타원공을 형성하며, 상기 리베팅공과 타원공에 연결핀을 삽입한 후 리베팅 결합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대응하도록 구성된 지지프레임의 하부 측면에는 중공의 기점으로 방사상에 한 개 이상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봉의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게 중심축의 기점으로 방사상에 한 개 이상의 걸림돌기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방에 형성된 지지프레임은 테두리에 결합 시 거치대상물이 싱크대의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개략 'ㄱ'형상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급격하게 경사진 만곡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거치장치는 착탈식으로 싱크대 및 서랍의 손상 없이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효과와 다른 곳에 설치할 시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성과 효과를 제공하고, 거치장치의 부피가 작아 미사용 시 협소한 곳이라도 보관할 수 있는 편리성과 이동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거치장치의 클립에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거치장치의 설치 구성된 거치대상물을 당겨지는 외부의 힘이 발생하여도 견고히 고정되며 거치장치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거치봉의 하부 중앙에 중심축을 형성하여 좌우로 회전시켜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와 회전봉의 상부에 걸고리를 형성하여 손수건 또는 행주 등을 걸 수 있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거치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거치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거치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작동상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클립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8은 클립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회전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회전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회전봉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거치장치의 제3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단면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을 서랍의 테두리에 결합한 사용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거치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거치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랩 및 알루미늄 호일, 비닐봉지, 비닐팩, 휴지, 키친타월 등의 주방용품(이하 '거치대상물(A)'라 한다)을 걸어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절단 또는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회전봉(21)과 싱크대 또는 테이블, 서랍 등에 결합 및 분리되는 클립(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립(10)은 싱크대 및 서랍 등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ㄷ'형상으로 일측을 개구되게 개구부(11)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싱크대 및 서랍의 테두리(T)에 결합된 클립(10)의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클립편(12)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테두리(T)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판(13)을 형성한다.
상기 받침판(13)의 하부 전·후방에는 지지프레임(14)(15)을 형성한다.
상기 전방에 형성된 지지프레임(14)은 테두리(T) 등에 결합할 시 거치대상물(A)이 테두리(T)의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개략 'ㄱ'형상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급격하게 경사진 만곡부(14a)를 형성한다.
상기 후방에 형성된 지지프레임(15)은 상부를 완만하게 절곡시켜 구성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4)(15)의 하부 측면에는 회전봉(21)이 끼움 결합되어 좌우로 회동되도록 전후로 관통된 중공(17)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4)(15)의 끝단에는 회전봉(21)을 좌우로 회동할 시 회전각을 제어하고 회전봉(21)을 받쳐주는 스토퍼(19)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봉(21)은 상부에 거치대상물(A)이 삽입되는 지지봉(22)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연결대(23)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대(23)의 양측면에는 중심축(24)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봉(21)의 중심축(24)을 지지프레임(14)(15)의 중공(17)에 삽입하여 좌우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완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거치장치(1)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다용도 거치장치(1)의 구성 중 클립(10)과 지지프레임(14)(15)을 양분시켜 클립(10) 받침판(13) 중앙의 기점으로 지지프레임(14)(15)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립(10)의 받침판(13)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13a)을 형성한다.
전·후방에 형성된 지지프레임(14)(15)의 상부에는 연결프레임(30)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연결프레임(30)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연결공(31)을 형성한다.
상기 클립(10)의 관통공(13a)에 연결프레임(30)의 연결공(31)을 연접시키고 연결핀(P)을 삽입한 후 리베팅하여 결합 구성한다.
상기 연결핀(P)을 리베팅한 후에는 연결핀의 머리부가 관통공(13a)의 외부로 돌출되어 싱크대 및 서랍의 테두리(T)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걸리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관통공(13a)의 상부에는 내부로 함몰되게 단이 진 걸림턱(13b)을 형성하여 걸림 현상 없이 원활히 결합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구성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완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클립(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작동상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클립(10)의 클립편(1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경사각(θ)을 갖도록 구성하여 싱크대 및 서랍의 테두리(T)에 삽입 결합한 후 상기 클립편(12)이 아래쪽으로 테두리(T)를 가압하기 때문에 잦은 충격과 외부에서 당겨지는 힘에 의해 클립(10)이 테두리(T)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고 견고히 결합 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클립(10)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클립(10)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클립(10)의 클립편(12) 하부에 판스프링(40)을 구성한 것으로서,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클립편(12)의 하부에는 판스프링(40)이 삽입되는 내부로 함몰된 내입홈(41)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홈(41)의 양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리베팅공(42)을 형성한다.
상기 판스프링(40)은 중앙을 아치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양측에는 타원공(43)을 형성한다.
상기 타원공(43)은 클립(10)을 싱크대 및 서랍의 테두리(T)에 삽입될 시 판스프링(40)이 압착되고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양측으로 유동되며, 연결핀(P)에 힘이 전달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40)의 타원공(43)과 클립편(12)의 리베팅공(42)에 연결핀(P)을 삽입하고 연결핀(P)을 리베팅 구성하면, 클립(10)의 또다른 실시예는 완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회전봉(21)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회전봉(21)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회전봉(21)의 지지봉(22)에 행주 또는 수건(D)을 걸 수 있도록 걸고리(60)를 형성한 구성으로,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걸고리(60)는 하부 일측이 꼬부라진 갈고리 형상이며 끝단에 걸림 기능을 갖는 구형상의 걸림구(61)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평평하게 절단되어 젓가락 또는 막대(S)를 안치할 수 있는 안치면(62)을 형성하며, 상부 양측에는 회전축(63)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걸고리(60)가 지지봉(22)의 내부면과 연접되어 자연스럽게 회동되도록 아치형태의 가이드면(64)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봉(22)은 중앙에 'ㄷ'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50)를 형성하고, 전·후면에는 전후로 관통된 결합공(5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22)의 절개부(50)에 걸고리(60)를 삽입한 후 걸고리(60)의 회전축(63)을 결합공(51)에 삽입 결합시키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회전봉(21)의 다른 실시예는 완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회전봉(21)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도 11의 단면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회전봉(21)을 지지프레임(14)(15) 중공(17)의 기점으로 외부에서 힘을 가해 회동시키고 필요한 위치에서 고정한 후 회전봉(21)이 회동되지 않고 이탈되지 않으며 견고히 고정되며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4)(15)의 측면에는 중공(17)의 기점으로 방사상에 한 개 이상의 걸림홈(18)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봉(21)의 연결대(23) 양측에는 중심축(24)의 기점으로 방사상에 한 개 이상의 걸림돌기(25)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4)(15)의 걸림홈(18)과 회전봉(21)의 걸림돌기(25)로 대응되게 구성하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걸림홈(18)과 걸림돌기(25)가 구성된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후방에 형성된 지지프레임(15)의 중간부분에는 회전봉(21)의 연결대(23)에 밀착되도록 내부로 단이 진 단턱부(15a)를 형성하면, 회전봉(21)의 또다른 실시예는 완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거치장치의 제3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4는 도 13의 단면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회전봉(21)의 지지봉(22)과 연결대(23)를 양분하여 연결대(23) 중앙의 기점으로 지지봉(22)이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봉(22)의 일측면에는 체결수단(70)을 삽입하여 공회전되도록 좌우로 관통된 삽입공(71)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대(23)의 일측면에는 지지봉(22)의 삽입공(71)과 대응되게 체결수단(70)이 체결되는 체결공(72)을 형성하면, 다용도 거치장치(1)의 제3실시예는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용도 거치장치(1)는 도 15 내지 도 17과 같이 각종 싱크대 및 서랍의 테두리(T)에 클립(10)을 끼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거치장치(1)를 테두리(T)에 대칭되게 클립(10)의 개구부(11)로 삽입시켜 끼움 결합하고, 테두리(T)의 좌측에 결합된 거치장치(1)의 회전봉(21)은 오른쪽으로 회동시키고, 우측에 결합된 거치장치(1)의 회전봉(22)은 왼쪽으로 회동시킨 후 각종 거치대상물(A)을 삽입시키면 완성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거치대상물(A)을 당기면 회전봉(21)의 기점으로 거치대상물(A)이 회전되고 필요한 크기로 절단 및 절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4)(15)의 걸림홈(18)과 회전봉(21)의 걸림돌기(25)를 형성하여 좌우로 회동시킨 후 회전봉(21)이 고정 결합되므로 회전봉(21)에 거치된 거치대상물(A)이 이탈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4)(15)의 끝단에는 스토퍼(19)를 형성하여 회전봉(21)을 좌우로 회전 시 180˚회전되고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여 상기 회전봉(21)이 아래쪽으로 쳐져 거치대상물(A)이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착탈식으로 부피가 작고 간단한 구성으로 싱크대 및 서랍의 손상 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고, 보관의 용이함을 제공하며, 다른 곳에 설치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클립(10)의 클립편(12)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기울어지게 경사각(θ)을 구성하여 잦은 충격과 외부에 힘을 가해도 테두리(T)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 고정된다.
또한 클립(10)에 판스프링(40)을 설치하여 싱크대 및 서랍의 테두리(T)에 결합한 후 테두리(T)를 판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회전봉(21)에 걸고리(60)를 형성하여 행주 또는 수건(D) 등을 걸 수 있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방에 형성된 지지프레임(14)을 개략 'ㄱ'형상으로 만곡부(14a)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테두리(T)에 결합하고 거치대상물(A)을 거치한 후에는 거치대상물(A)이 테두리(T)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으며, 개폐문을 여닫을 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는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1: 거치장치 10: 클립
11: 개구부 12: 클립편
13: 받침판 13a: 관통공
13b: 걸림턱 14: 지지프레임
14a: 만곡부 15: 지지프레임
17: 중공 18: 걸림홈
19: 스토퍼 21: 회전봉
22: 지지봉 23: 연결대
24: 중심축 25: 걸림돌기
30: 연결프레임 31: 연결공
40: 판스프링 41: 내입홈
42: 리베팅공 43: 타원공
50: 절개부 51: 결합공
60: 걸고리 61: 걸림구
62: 안치면 63: 회전축
64: 가이드면 70: 체결수단
71: 삽입공 72: 체결공
T: 테두리 θ: 경사각
A: 거치대상물 P: 연결핀
D: 행주 또는 수건 S: 젓가락 또는 막대

Claims (8)

  1. 통상적인 거치장치(1)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1)는 거치대상물(A)이 거치되는 회전봉(21)과 싱크대 및 서랍의 테두리(T)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클립(10)으로 구성하고,
    상기 클립(10)은 'ㄷ'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11)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클립(10)의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클립편(12)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테두리(T)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판(13)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판(13)의 하부 전·후방에는 지지프레임(14)(1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4)(15)의 하부 측면에는 회전봉(21)이 끼움 결합되어 좌우로 회동되도록 중공(17)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봉(21)의 하부에는 중공(17)으로 삽입되는 중심축(24)이 양측면으로 형성된 연결대(23)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봉(21)의 상부에는 거치대상물(A)이 삽입되는 지지봉(22)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4)(15)의 끝단에는 회전봉(21)을 좌우로 회동 시 받쳐주는 스토퍼(1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2. 통상적인 거치장치(1)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1)는 거치대상물(A)이 거치되는 회전봉(21)과 싱크대 및 서랍의 테두리(T)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클립(10)으로 구성하고,
    상기 클립(10)은 'ㄷ'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11)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클립(10)의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클립편(12)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테두리(T)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판(13)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판(13) 중앙에는 상부로 단이 진 걸림턱(13b)을 갖는 관통공(13a)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13)의 하부에는 하부 전·후방으로 지지프레임(14)(15)이 형성된 연결프레임(30)을 구성하며,
    상기 연결프레임(30)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연결공(31)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공(31)과 관통공(13a)으로 연결핀(P)을 삽입한 후 리베팅 결합구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4)(15)의 하부 측면에는 회전봉(21)이 끼움 결합되어 좌우로 회동되도록 중공(17)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봉(21)의 하부에는 중공(17)으로 삽입되는 중심축(24)이 양측면으로 형성된 연결대(23)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봉(21)의 상부에는 거치대상물(A)이 삽입되는 지지봉(22)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4)(15)의 끝단에는 회전봉(21)을 좌우로 회동 시 받쳐주는 스토퍼(1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립(10)의 클립편(1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경사각(θ)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립(10)의 클립편(12) 하부에는 판스프링(40)이 삽입되는 내부로 함몰된 내입홈(41)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홈(41)의 양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리베팅공(42)을 형성하며,
    상기 판스프링(40)의 양측에는 테두리(T)에 삽입될 시 판스프링(40)이 압착되고 상기 판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양측으로 유동되도록 타원형상의 타원공(43)을 형성하고,
    상기 리베팅공(42)과 타원공(43)에 연결핀(P)을 삽입한 후 리베팅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4)(15)의 하부 측면에는 중공(17)의 기점으로 방사상에 한 개 이상의 걸림홈(18)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봉(21)의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홈(18)에 대응되게 중심축(24)의 기점으로 방사상에 한 개 이상의 걸림돌기(2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방에 형성된 지지프레임(14)은 테두리(T)에 결합 시 거치대상물(A)이 테두리(T)의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개략 'ㄱ'형상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급격하게 경사진 만곡부(14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2)은 중앙에 걸고리가 내입되도록 'ㄷ'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50)를 형성하고, 전·후면에는 전후로 관통된 결합공(51)이 형성되며,
    상기 걸고리(60)는 갈고리 형상으로 끝단에 걸림 기능을 갖는 구형상의 걸림구(61)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평평하게 절단되어 젓가락 또는 막대(S)를 안치할 수 있는 안치면(62)을 형성하며, 상부 양측에는 지지봉(22)의 결합공(51)에 삽입 결합되어 회동되도록 회전축(6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21)의 지지봉(22)과 연결대(23)를 양분(兩分) 구성하며,
    상기 지지봉(22)은 중앙에 걸고리(60)가 내입되도록 'ㄷ'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50)를 형성하고, 전·후면에는 전후로 관통된 결합공(51)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좌우로 관통된 삽입공(71)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대(23)의 측면에는 삽입공(71)과 대응되게 체결공(72)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71)과 체결공(72)에 체결수단(70)을 결합하여 연결대(23) 중앙의 기점으로 지지봉(22)이 회동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걸고리(60)는 갈고리 형상으로 끝단에 걸림 기능을 갖는 구형상의 걸림구(61)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평평하게 절단되어 젓가락 또는 막대(S)를 안치할 수 있는 안치면(62)을 형성하며, 상부 양측에는 지지봉(22)의 결합공(51)에 삽입 결합되어 회동되도록 회전축(6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KR1020120029782A 2012-03-23 2012-03-23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KR101272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782A KR101272205B1 (ko) 2012-03-23 2012-03-23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782A KR101272205B1 (ko) 2012-03-23 2012-03-23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205B1 true KR101272205B1 (ko) 2013-06-13

Family

ID=4886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782A KR101272205B1 (ko) 2012-03-23 2012-03-23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2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4392A (zh) * 2018-05-07 2018-09-11 华帝股份有限公司 洗碗机水管摆臂结构及其洗碗机
KR20190126498A (ko) * 2018-05-02 2019-11-12 이종곤 다용도 거치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465Y1 (ko) * 1990-11-30 1992-09-18 김순국 주방용 식품포장대 걸이
KR200280116Y1 (ko) 1999-06-30 2002-06-29 손영귀 주방용 롤지 보관용 인출기
KR200292258Y1 (ko) 2002-07-19 2002-10-18 종열 김 랩 거치대
KR200422716Y1 (ko) 2006-05-15 2006-07-31 백순현 멀티 랩홀더
KR100712705B1 (ko) 2006-04-19 2007-05-04 (주)신아솔물산 두루마리 포장재 커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465Y1 (ko) * 1990-11-30 1992-09-18 김순국 주방용 식품포장대 걸이
KR200280116Y1 (ko) 1999-06-30 2002-06-29 손영귀 주방용 롤지 보관용 인출기
KR200292258Y1 (ko) 2002-07-19 2002-10-18 종열 김 랩 거치대
KR100712705B1 (ko) 2006-04-19 2007-05-04 (주)신아솔물산 두루마리 포장재 커팅장치
KR200422716Y1 (ko) 2006-05-15 2006-07-31 백순현 멀티 랩홀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498A (ko) * 2018-05-02 2019-11-12 이종곤 다용도 거치대
KR102094781B1 (ko) 2018-05-02 2020-03-30 이종곤 다용도 거치대
CN108514392A (zh) * 2018-05-07 2018-09-11 华帝股份有限公司 洗碗机水管摆臂结构及其洗碗机
CN108514392B (zh) * 2018-05-07 2024-05-28 华帝股份有限公司 洗碗机水管摆臂结构及其洗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8807B2 (ja) 物掛け用パネルを用いた掛け装置
JP2021510576A (ja) 取り付け手段
KR101272205B1 (ko)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JP4415286B1 (ja) 物掛け用ポール受具
KR100846750B1 (ko) 주방용품 걸이대
JP2007068557A (ja) 扉への補助パーツの取付け構造
JP6103437B2 (ja) 収納扉用タオルハンガー
JP3184524U (ja) 自転車用籠の連接部材
KR101427373B1 (ko)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KR200476654Y1 (ko) 욕실용 거울
KR101272204B1 (ko)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JP2001149209A (ja) 衣服用ハンガー掛け具
KR20150004512U (ko) 화장지걸이
KR20170100949A (ko) 가구용 걸이대
KR101506879B1 (ko) 2단 옷걸이 봉 고정대
JP4301090B2 (ja) キャビネット用ハンギング構造
JP2007313226A (ja) 物品吊下げ具
JP5927581B2 (ja) 物品保持具
CN110013186B (zh) 一种锁扣结构
JP2009213679A (ja) 物品保持具
JP6112788B2 (ja) ハンガー
KR102021732B1 (ko) 키친타월 걸이대
JP6252726B2 (ja) 握りバー
KR20190105748A (ko) 랩 고정거치대
JP4773576B1 (ja) スポンジたわし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