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006A -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006A
KR20180121006A KR1020170055115A KR20170055115A KR20180121006A KR 20180121006 A KR20180121006 A KR 20180121006A KR 1020170055115 A KR1020170055115 A KR 1020170055115A KR 20170055115 A KR20170055115 A KR 20170055115A KR 20180121006 A KR20180121006 A KR 20180121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view
vehicle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460B1 (ko
Inventor
예호철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46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1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용 차량의 사각 지대에 대한 용이한 감시가 가능하게 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는,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감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1 카메라보다 큰 화각을 가지며, 차량의 측방 시야를 확보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는, 종횡비가 1보다 작도록 위치된다.

Description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Environment monitoring apparatus for commercial vehicle}
본 발명은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용 차량의 사각 지대에 대한 용이한 감시가 가능하게 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석에서 전방의 감시는 용이한 반면 측방이나 후방의 감시가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사각 지대가 발생하게 되며,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대부분의 인명 사고나 구조물 파손 등의 사고는 이러한 사각 지대에서 발생하게 된다.
특히, 버스나 트럭과 같은 상용 차량의 경우에는 소형 차량에 비하여 차량 자체에 의한 시야 방해가 상대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더 높게 된다.
이를 위해, 차량에는 운전자가 사각 지대를 감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미러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미러에 대한 시야 범위는 UN/ECE 규칙 제46호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미러를 통한 감시는 운전자의 지속적인 주의가 요구되므로 운전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고, 차량 자체에 의한 시야 방해로 인해 안전 운행을 도모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차량의 운전석 내에 출력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주변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는 주로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긴 1보다 큰 종횡비를 가지도록 제조되는데, 종횡비가 1보다 큰 이미지 센서의 경우 세로 방향으로의 화각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미러의 시야 범위에 대한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차량 주변을 감시하고자 할 때 미러의 시야 범위에 대한 규정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6993호(2004.09.0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를 추가하거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충분한 시야 범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는,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감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1 카메라보다 큰 화각을 가지며, 차량의 측방 시야를 확보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는, 종횡비가 1보다 작도록 위치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종횡비가 1보다 큰 이미지 센서를 90도 회전시켜 위치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추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러의 시야 범위에 대한 규정을 만족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나 구성이 증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가 도시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가 설치된 상용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 범위가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위치에 따른 종횡비가 도시된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 범위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 범위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카메라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 범위가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1)는 영상 획득부(100), 영상 처리부(200) 및 영상 출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용 차량은 물건이나 사람의 수송에 사용되는 트럭이나 버스 등과 같은 대형 차량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용 차량이 버스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획득부(100)는 도 2와 같이 상용 차량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주변의 장애물이나 사각 지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1)가 아웃 사이드 미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 전방 양측 중 운전석 반대측에 설치된 영상 획득부(100)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운전석측에 설치된 영상 획득부(100)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00)는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복수의 카메라(110, 120, 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카메라(110, 120, 130)를 각각 제1 카메라(110), 제2 카메라(120) 및 제3 카메라(130)라 칭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카메라(110, 120, 130)는 단일의 하우징(미도시)에 수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카메라(110, 120, 130)의 적어도 일부는 별도의 하우징에 수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획득부(100)가 제1 카메라 내지 제3 카메라(110, 120, 13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운전석 반대측에 설치된 영상 획득부(100)의 일 예이며, 운전석측에 설치된 영상 획득부(100)는 제1 카메라 내지 제3 카메라(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이는 상용 차량의 경우에는 승용 차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차체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석측의 차량 주변은 육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운전석 반대측의 차량 주변은 육안을 통해 장애물이나 사각 지대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운전석 반대측에 대한 충분한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운전석 반대측에 설치된 영상 획득부(100)에 더 많은 카메라가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 범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100)는 제1 카메라(110)에 의한 제1 시야 범위(S1), 제2 카메라(120)에 의한 제2 시야 범위(S2) 및 제3 카메라(130)에 의한 제3 시야 범위(S3)를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시야 범위(S1)은 차량 후방의 원거리 시야 범위로서 차량의 일부를 포함하여 차량 후방의 지평선에 이르는 시야 범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시야 범위(S2)는 차량 측방에 대한 넓은 시야 범위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시야 범위(S3)은 차량 전방으로부터 측방에 이르는 차량에 근접한 영역에 대한 시야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시야 범위(S1), 제2 시야 범위(S2) 및 제3 시야 범위(S3)는 UN/ECE 규칙 제46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Class Ⅱ, Class Ⅳ, Class Ⅴ 및 Class Ⅵ를 만족하는 시야 범위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카메라 내지 제3 카메라(110, 120, 130) 각각은 소정의 종횡비를 가지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카메라 내지 제3 카메라(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는 1보다 작은 종횡비를 가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종횡비는 노면에 평행한 방향을 가로 방향이라 하고, 노면에 수직한 방향을 세로 방향이라 할 때 가로 방향의 길이와 세로 방향의 길이의 비로 이해될 수 있으며,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길 때의 종횡비는 1보다 크게 되고,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때의 종횡비는 1보다 작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가로 방향의 화각은 이미지 센서의 가로 방향의 길이에 의해 달라지고, 카메라의 세로 방향의 화각은 이미지 센서의 세로 방향의 길이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제1 카메라(110)는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카메라(110)는 적어도 UN/ECE 규칙 제46호의 Class Ⅱ를 만족하는 제1 시야 범위(S1)를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카메라(110)의 이미지 센서는 종횡비가 1보다 작도록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Class Ⅱ를 만족하는 시야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세로 방향으로 화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도 5의 (a)와 같이 가로 방향의 길이를 a라 하고 세로 방향의 길이를 b라 할 때 일반적인 이미지 센서는 16:9나 4:3 등과 같이 a가 b보다 크게 제조되어 종횡비가 1보다 크게 위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세로 방향으로의 화각이 Class Ⅱ를 만족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 5의 (b)와 같이 제1 카메라(110)의 이미지 센서를 90도 회전시켜 위치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의 종횡비가 1보다 작도록 위치시키는 것이다.
즉, Class Ⅱ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차량 후방의 지평선까지 시야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세로 방향의 화각 중 상측 경계선이 노면과 평행하거나 노면보다 상측을 향할 필요가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의 종횡비가 1보다 크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세로 방향의 화각 중 상측 경계선이 노면보다 하측을 향하기 때문에 Class Ⅱ를 만족하기 어려운 반면, 본 발명에서는 세로 방향의 화각 중 상측 경계선이 노면과 평행하거나 노면보다 상측을 향하도록 이미지 센서를 90만큼 회전시켜 위치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횡비가 16:9인 이미지 센서는 가로 방향으로의 화각이 대략 36도이고 세로 방향으로의 화각이 대략 14도 정도로서, 이미지 센서가 16:9의 종횡비를 가지도록 위치되는 경우 도 6의 (a)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의 화각이 Class Ⅱ를 만족하기 어려우나 이미지 센서를 90도 회전시켜 9:16의 종횡비를 가지도록 위치하는 경우 세로 방향의 화각이 대략 36도가 되어 도 6의 (b)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의 화각이 Class Ⅱ를 만족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이미지 센서가 90만큼 회전된 경우 세로 방향의 화각 중 상측 경계선이 노면에 평행한 경우의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로 방향의 화각 중 상측 경계선이 노면보다 상측을 향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의 종횡비가 1보다 큰 경우 가로 방향의 화각은 도 7의 (a)와 같이 Class Ⅱ를 만족할 수 있게 되는데, 이미지 센서가 회전되어 1보다 작은 종횡비를 가지도록 위치되는 경우에도 도 7의 (b)와 같이 Class Ⅱ를 만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미지 센서가 1보다 큰 종횡비를 가지도록 위치되는 경우에도 이미지 센서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를 구비하여 세로 방향으로의 화각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이미지 센서의 개수가 증가되어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세로 방향의 화각을 만족하기 위하여 세로 방향의 길이를 크게 조정하는 경우 종횡비가 유지되도록 가로 방향의 길이도 함께 커지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증가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이미지 센서를 90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세로 방향으로의 화각을 용이하게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비용 및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 카메라(120)는 제1 카메라(110)에 비하여 차량 측방의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 카메라(120)는 도 8과 같이 적어도 UN/ECE 규칙 제46호의 Class Ⅳ를 만족하는 제2 시야 범위(S2)를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카메라(120)는 제1 카메라(110)에 비하여 차량 측방에 대한 넓은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제1 카메라(110)보다 큰 화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카메라(120)는 제1 카메라(110)와 함께 시점이 차량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의 시점이 차량 후방을 향한다는 것은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이 시점이 나란하다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의 시점이 서로 소정 각도를 가지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제3 카메라(130)는 운전석 반대측의 차량 전방으로부터 측방에 이르는 차량에 근접한 영역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3 카메라(130)는 도 9와 같이 적어도 UN/ECE 규칙 제46호의 Class Ⅴ 및 Class Ⅵ을 만족하는 시야 범위(S3)를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제3 카메라(130)는 차량 전방 및 측방의 근접 영역에 대한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시점이 노면을 향하도록 위치하며,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보다 큰 화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영상 획득부(100)는 아웃 사이드 미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프런트 도어 또는 프런트 도어 부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 획득부(100)의 위치에 따라 차체에 의해 차량 전방의 일부 영역에 대한 시야가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3 카메라(13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에서 차량 전방 일부 영역에 대한 시야가 차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획득부(100)는 제3 카메라(130)에 의한 시야가 차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차량의 전단에 위치되거나 차량 전단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영상 획득부(100)는 차체로부터 연장되는 로드(미도시) 등에 의해 차체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3 카메라(130)는 차속이 기준 속도 이하이거나 정지되었을 때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카메라(130)는 차량 전방 및 측방에 대한 시야가 요구되는 차량에만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운전석 반대측에 설치되는 영상 획득부(100)에 제1 내지 제3 카메라(110, 120, 130)가 포함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운전석측에 설치되는 영상 획득부(100)는 차량 전방 및 측방의 근접한 영역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경우 제3 카메라(130)는 생략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00)는 영상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감시 영상을 생성하여 영상 출력부(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영상 처리부(200)는 영상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대한 왜곡 보정이나 정합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200)는 카메라에 광각 카메라가 사용되는 경우 완전한 구 형태가 아니고 초점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렌즈의 기하학적 왜곡, 즉 방사상 왜곡이나 접선 방향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왜곡 보정 알고리즘에 의한 왜곡 보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200)는 동일한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복수의 카메라의 화각이 서로 다른 경우 각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정합시켜 감시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획득부(200)는 제1 카메라(110)의 이미지 센서가 90도 회전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제1 카메라(11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이미지 센서의 종횡비에 대응되는 크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영상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300)는 영상 처리부(200)에 의해 생성된 감시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출력부(300)는 제1 출력부(310) 및 제2 출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부(310)는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출력부(310)는 종횡비가 1보다 작은 제1 카메라(110)의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 왜곡 없이 출력될 수 있도록 종횡비가 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부(310)는 제1 카메라(11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과 제2 카메라(12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되는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 정합된 단일 영상이 출력될 수도 있다.
제2 출력부(320)는 제3 카메라(13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출력부(310) 및 제2 출력부(320)가 서로 다른 장치로 구성되며, 일 예로 클러스터 등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출력부(300)는 차량의 차속이 기준 속도 이상일 때는 차량의 후방 및 측방에 대한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제1 출력부(310)를 통해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고, 차량의 차속이 기준 속도 미만일 때는 차량의 후방 및 측방뿐만 아니라 전방에 대한 시야 확보가 요구되므로 제1 출력부(310)를 통해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제2 출력부(320)를 통해 제3 카메라(13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출력부(300)가 운전석 반대측에 설치된 영상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출력부(300)는 차량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영상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1)는 일반적으로 종횡비가 1보다 크게 제조되는 이미지 센서를 90도 회전시켜 위치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추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UN/ECE 규칙 제46호에서 규정하는 시야 범위를 만족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나 구성이 증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영상 획득부
110, 120, 130: 카메라
200: 영상 처리부
300: 영상 출력부
310: 제1 출력부
320: 제2 출력부

Claims (12)

  1.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감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1 카메라보다 큰 화각을 가지며, 차량의 측방 시야를 확보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는,
    종횡비가 1보다 작도록 위치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운전석 반대측에 설치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종횡비가 1보다 크도록 제조된 이미지 센서가 90도 회전되어 위치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에 의해 확보되는 세로 방향의 시야 범위 중 상측 경계선은,
    노면과 평행하거나 노면보다 상측을 향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UN/ECE 규칙의 Class Ⅱ를 만족하는 시야 범위를 확보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는,
    UN/ECE 규칙의 Class Ⅳ를 만족하는 시야 범위가 확보되도록 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차량의 전방 및 운전석 반대측에 근접한 영역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는 제3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카메라는,
    상기 제2 카메라보다 큰 화각을 가지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카메라는,
    UN/ECE 규칙의 Class Ⅴ 및 Class Ⅵ를 만족하는 시야 범위를 확보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는,
    시점이 차량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3 카메라는,
    시점이 노면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3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차속이 기준 속도 이상일 때 상기 제1 출력부로부터 영상이 출력되며,
    상기 차속이 상기 기준 속도 미만일 때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2 출력부로부터 영상이 출력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부는,
    종횡비가 1보다 작은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KR1020170055115A 2017-04-28 2017-04-28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KR101975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115A KR101975460B1 (ko) 2017-04-28 2017-04-28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115A KR101975460B1 (ko) 2017-04-28 2017-04-28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006A true KR20180121006A (ko) 2018-11-07
KR101975460B1 KR101975460B1 (ko) 2019-05-08

Family

ID=6436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115A KR101975460B1 (ko) 2017-04-28 2017-04-28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4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5539A (ja) * 1996-05-02 1997-11-18 Kokusai Electric Co Ltd 車載監視システムと車運転時の監視方法
KR20040076993A (ko) 2003-02-27 2004-09-04 주식회사 센트럴미디어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용 전후방감시시스템의 영상처리장치및 방법
KR20160051321A (ko) * 2014-11-03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능동 사이드 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5539A (ja) * 1996-05-02 1997-11-18 Kokusai Electric Co Ltd 車載監視システムと車運転時の監視方法
KR20040076993A (ko) 2003-02-27 2004-09-04 주식회사 센트럴미디어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용 전후방감시시스템의 영상처리장치및 방법
KR20160051321A (ko) * 2014-11-03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능동 사이드 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460B1 (ko)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99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de vision detection of obstacles for vehicles
CN103978934B (zh) 用于车辆尤其是商业用车的观察系统
KR101552444B1 (ko) 시각 시스템
JP2014208529A (ja) 車両用のミラー代替システム
US20150042797A1 (en) Motor vehicle rear side view display system
US8537221B2 (en) Lane change control system
US20130155236A1 (en) Camera-mirror system for motor vehicle
US9630568B2 (en) Camera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10011227B2 (en) Vehicular viewing device
US20100289631A1 (en) Dual-mode vehicle rear vision system
JP2005167638A (ja) 移動体周囲監視装置、移動体および画像変換方法
CN108136964B (zh) 带镜子的拍摄装置
KR20160076736A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US20160129838A1 (en) Wide angle rear and side view monitor
KR102190892B1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US20060078328A1 (en) Vehicle comprising a catadioptric camera
KR101975460B1 (ko)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KR102457633B1 (ko) 차량 외부 측전방 상태 확인 장치
GB2397189A (en) Forward looking road monitoring system for vehicles
KR20160034669A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US9358928B2 (en) Forward and rearward viewing mirror device
KR102190891B1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EP3489087B1 (en) Vehicle imaging system
US20200055453A1 (en) On-board camera
KR20180059099A (ko)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