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099A -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099A
KR20180059099A KR1020160158269A KR20160158269A KR20180059099A KR 20180059099 A KR20180059099 A KR 20180059099A KR 1020160158269 A KR1020160158269 A KR 1020160158269A KR 20160158269 A KR20160158269 A KR 20160158269A KR 20180059099 A KR20180059099 A KR 20180059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camera
wide
vehicle
view
wid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식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9099A/ko
Publication of KR2018005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fuel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6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vehicl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상용 차량의 사각 지대에 대한 용이한 감시가 가능하게 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는,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협각 카메라와 상기 차량의 측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광각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부,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방 일측 부근의 사각 지대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도록 상기 광각 카메라의 위치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광각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각 카메라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측방 시야를 확보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사각 지대의 시야를 확보한다.

Description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Environment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ercial vehicle}
본 발명은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상용 차량의 사각 지대에 대한 용이한 감시가 가능하게 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석에서 전방의 감시는 용이한 반면 측방이나 후방의 감시가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사각 지대가 발생하게 되며,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대부분의 인명 사고나 구조물 파손 등의 사고는 이러한 사각 지대에서 발생하게 된다.
운전자는 차량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미러를 통해 주변, 특히 사각 지대를 감시하며 차량을 운행하게 되나, 이러한 미러에 의한 감시는 운전자의 지속적인 주의가 요구되므로 운전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고, 차량 자체에 의한 시야 방해로 인해 안전 운행을 도모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버스나 트럭과 같은 상용 차량의 경우에는 소형 차량에 비하여 차량 자체에 의한 시야 방해가 상대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더 높게 된다.
최근에는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차량의 운전석 내에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를 설치하고 차량 운행 도중 주변을 감시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운전자가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에 대한 영상을 통해서만 주변을 감지하게 되므로 차량 주변에는 여전히 사각 지대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운행 도중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차량 주변을 감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6993호(2004.09.0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용 차량의 후방이나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각 지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사각 지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추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사각 지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는,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협각 카메라와 상기 차량의 측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광각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부,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방 일측 부근의 사각 지대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도록 상기 광각 카메라의 위치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광각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각 카메라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측방 시야를 확보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사각 지대의 시야를 확보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은, 차량의 시동 온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광각 카메라 및 협각 카메라 중 상기 차량의 측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상기 광각 카메라가 운전석 반대측의 사각 지대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상기 광각 카메라의 위치가 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가 조정된 광각 카메라에 의해 상기 사각 지대에 대한 영상이 획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상용 차량의 후방이나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각 지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사각 지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별도로 추가하지 않고도 사각 지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사각 지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게 사각 지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각 카메라 및 광각 카메라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가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카메라의 회전에 의해 확보되는 사각 지대의 시야가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카메라의 이동에 의해 확보되는 사각 지대의 시야가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1)는 영상 획득부(100), 제어부(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용 차량은 물건이나 사람의 수송에 사용되는 트럭이나 버스 등과 같은 대형 차량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용 차량이 버스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획득부(100)는 차량 전방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와 같이 영상 획득부(100)가 차량의 전방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주변의 장애물이나 사각 지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획득부(100)에 의해 획득된 주변 영상을 차량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AV 시스템, HU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 전방 양측에 설치된 영상 획득부(100) 중 운전석의 반대측에 설치된 영상 획득부(100)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석측에 설치된 영상 획득부(100)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용 차량의 경우에는 승용 차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기 때문에 때문에 운전석측의 차량 주변은 육안을 통해 확인이 가능한 반면, 운전석의 반대측은 육안을 통해 확인할 수 없는 사각 지대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 획득부(100)에 의해 운전석 반대측의 사각 지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영상 획득부(100)는 차량 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협각 카메라(110) 및 차량 측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각 카메라(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획득부(100)가 차량의 후방 영상 및 측방 영상을 획득하는 것은 규정을 만족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후방 영상은 UNECE Regulation No. 46의 Class Ⅱ를 만족하기 위한 것이고, 차량의 측방 영상은 UNECE Regulation No. 46의 Class Ⅳ를 만족하기 위한 것이다.
협각 카메라(110)는 광각 렌즈나 어안 렌즈보다 상대적으로 초첨 거리가 긴 반면 상대적으로 좁은 화각을 가지기 때문에 원거리 시야를 확보하는데 유리하고, 광각 카메라(120)는 광각 렌즈나 어안 렌즈와 같이 초점 거리가 짧은 반면 상대적으로 큰 화각을 가지기 때문에 근거리 시야를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각 카메라 및 광각 카메라의 화각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협각 카메라(110)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S1)는 광각 카메라(120)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S2)에 비하여 시야 거리가 길고 화각이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용 차량은 운전자가 운전석의 반대측 차량 전방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각 지대(BS)가 발생하게 되고, 운전자가 사각 지대(BS)에 위치하는 장애물이나 보행자 등을 확인하지 못하여 차량 사고나 인명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운전석의 반대측 차량 전방에 형성되는 사각 지대(BS)를 확인하지 못하여 차량 사고나 인명 사고가 발생하기 쉬운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석 반대측 차량 전방의 사각 지대(BS)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영상 획득부(10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제어부(200)는 사각 지대(BS)의 시야가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 조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판단하기 위하여 각종 차량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부(2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 조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각 지대(BS)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운전석의 반대측 차량 전방의 사각 지대(BS)는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전방에 걸쳐져 형성되기 때문에 화각이 상대적으로 좁은 협각 카메라(110)는 사각 지대(BS)에 대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면이 있어 화각이 상대적으로 넓은 광각 카메라(120)를 통해 사각 지대(BS)에 대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제어부(200)는 사각 지대(BS)의 시야 확보가 필요한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 조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도어 열림, 시동 온/오프, 변속단 및 차량 속도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조정되도록 구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위치는 사각 지대(BS)의 시야가 요구되지 않는 상황, 즉 전술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일반적인 주행 상황에서 차량의 측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위치하며, 제2 위치는 사각 지대(BS)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위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구동부(300)는 광각 카메라(120)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각 카메라(120)가 회전 또는 이동하여 위치가 조정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300)는 제1 위치에서 광각 카메라(120)의 시점이 대략 차량의 측후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광각 카메라(120)의 시점을 변경시켜 사각 지대(BS)가 광각 카메라(120)의 시야(S2) 내에 위치하도록 광각 카메라(120)를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광각 카메라(120)는 제1 위치에 있을 때 전술한 도 3과 같이 사각 지대(BS)가 광각 카메라(120)의 시야(S2) 내에 위치하지 않게 되나, 하측 방향으로 회전된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도 5와 같이 사각 지대(BS)가 광각 카메라(120)의 시야(S2) 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각 카메라(120)가 하측 방향으로 회전된다는 것은 이전 위치에 비하여 하측 방향으로 회전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1 위치에 따라 제2 위치는 회전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구동부(300)는 광각 카메라(12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미도시)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광각 카메라(120)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300)는 제1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위치로 광각 카메라(12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광각 카메라(120)는 제1 위치에 있을 때 사각 지대(BS)가 광각 카메라(120)의 시야(S2) 내에 위치하지 않게 되나, 제1 위치와 시점은 유지되나 제1 위치에 비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도 6과 같이 광각 카메라(120)의 시야(S2) 내에 사각 지대(BS)가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구동부(300)는 광각 카메라(120)가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미도시) 등과 같은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협각 카메라(110) 및 광각 카메라(120)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부(100)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어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가 조정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협각 카메라(110)의 위치는 유지되고 광각 카메라(120)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어 위치가 조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구동부(300)가 광각 카메라(120)를 회전시키거나 전방으로 이동시켜 사각 지대(BS)가 광각 카메라(120)의 시야(S2)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각 카메라(120)는 회전 운동, 직선 운동, 곡선 운동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위치가 조정될 수 있으며,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 조정 방식에 따라 구동부(300)의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00)가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200)는 도어 열림 및 시동 온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될 때 광각 카메라(1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도어 열림이 감지되고, 시동이 켜지는 것은 차량 운행이 목적이라 볼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에 앞서 운전자로 하여금 사각 지대(BS)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 열림이 감지되고 시동이 온될 때 광각 카메라(1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조정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위하여 도어 열림이 감지되고, 시동이 오프된 경우라도 광각 카메라(1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시동이 온된 상태에서 변속단이 후진단(R)인 경우에는 차량의 후진시 시야 확보를 위하여 광각 카메라(120)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이는 도어 열림 및 시동 온이 감지된 경우라도 변속단이 후진단(R)인 경우에는 사각 지대(BS)의 시야에 비하여 중요도가 높은 측방 및 후방 영상이 획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어부(200)는 시동이 온된 상태에서 변속단이 후진단(R)이 아니며, 차량 속도가 0일 때 광각 카메라(12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조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전에 이미 제2 위치로 조정된 상태라면 조정 없이 이전 위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차량 속도가 0보다 클 때는 제1 위치로 조정되어 측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00)가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은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 조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빈번하게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차량의 시동이 온될 때와 오프될 때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다양한 조건이 만족될 때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스는 각 정류장에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빈번하게 도어가 열리게 되는데, 이 경우 차량 속도가 0일 때는 승객의 승하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광각 카메라(120)가 제2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 7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광각 카메라(12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은, 먼저 도어 열림을 감지하고(S110),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되면 시동이 온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120).
차량의 시동이 온된 경우,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운행에 앞서 사각 지대(BS)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조정된다(S130).
이때, 전술한 S130 단계에서는 도어가 열리고 시동이 온될 때 광각 카메라(120)가 제2 위치로 조정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S110 및 S120 단계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될 때 광각 카메라(120)가 제2 위치로 조정될 수도 있다.
광각 카메라(120)를 통해 사각 지대(BS)의 확인이 가능한 상태에서 변속단을 감지하여 후진단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40).
변속단이 후진단인 경우 차량 측후방의 시야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조정하게 된다(S150).
만일, 전술한 S140 단계에서 변속단이 후진단이 아닌 경우, 차량 속도를 감지하여 차량 속도가 0보다 큰 경우에는 차량이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전술한 S150 단계와 같이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조정하게되고, 차량 속도가 0인 경우에는 이전 위치인 제2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차량 운행이 종료되어 시동이 오프된 경우(S160), 광각 카메라(120)가 초기 위치로 조정된다(S170).
이때, 도 7에서는 광각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가 제1 위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각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는 제2 위치일 수도 있으며, 광각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가 제2 위치인 경우 전술한 S130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차량의 시동이 온된 후 차량 운행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를 조정하고, 차량 운행이 종료되는 시점에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운행 도중이라도 전술한 다양한 조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광각 카메라(120)의 위치가 조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에서는 차량의 운행이 종료되고 시동이 오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시점에서라도 시동이 오프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18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은, 상용 차량의 사각 지대(BS)를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의 카메라를 추가하지 않고 측방 및 후방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각 지대(BS)의 확인이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구성이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사각 지대(BS)의 용이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영상 획득부
110: 협각 카메라
120: 광각 카메라
200: 제어부
210: 감지부
300: 구동부

Claims (15)

  1.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협각 카메라와 상기 차량의 측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광각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부;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방 일측 부근의 사각 지대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도록 상기 광각 카메라의 위치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광각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각 카메라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측방 시야를 확보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사각 지대의 시야를 확보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카메라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운전석 반대측의 사각 지대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카메라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동일한 시점을 가지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에 비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카메라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서로 다른 시점을 가지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카메라는,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조정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도어 열림, 시동 온/오프, 변속단 및 차량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열림 및 상기 시동 온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될 때 상기 광각 카메라가 상기 제2 위치로 조정되도록 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 오프가 만족될 때 상기 광각 카메라가 초기 위치로 조정되도록 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속단이 후진단일 때 상기 광각 카메라가 상기 제1 위치로 조정되도록 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속단이 주행단 상태에서 상기 차량 속도가 0일 때 상기 광각 카메라가 제2 위치로 조정되도록 하고, 상기 차량 속도가 0보다 클 때 상기 광각 카메라가 상기 제1 위치로 조정되도록 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11. 차량의 시동 온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광각 카메라 및 협각 카메라 중 상기 차량의 측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상기 광각 카메라가 운전석 반대측의 사각 지대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상기 광각 카메라의 위치가 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가 조정된 광각 카메라에 의해 상기 사각 지대에 대한 영상이 획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도어 열림이 감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되는 단계는,
    상기 광각 카메라의 회전 및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광각 카메라의 위치가 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변속단이 감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되는 단계는,
    상기 변속단이 후진단일 때 상기 광각 카메라에 의해 상기 측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상기 광각 카메라의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변속단이 주행단일 때 차량 속도에 따라 상기 측방 시야 및 상기 사각 지대의 시야 중 어느 하나가 확보되도록 상기 광각 카메라의 위치가 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가 감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되는 단계는,
    상기 광각 카메라가 초기 위치로 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방법.
KR1020160158269A 2016-11-25 2016-11-25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80059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69A KR20180059099A (ko) 2016-11-25 2016-11-25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69A KR20180059099A (ko) 2016-11-25 2016-11-25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99A true KR20180059099A (ko) 2018-06-04

Family

ID=6262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269A KR20180059099A (ko) 2016-11-25 2016-11-25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90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2995A1 (ko) * 2020-11-16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993A (ko) 2003-02-27 2004-09-04 주식회사 센트럴미디어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용 전후방감시시스템의 영상처리장치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993A (ko) 2003-02-27 2004-09-04 주식회사 센트럴미디어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용 전후방감시시스템의 영상처리장치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2995A1 (ko) * 2020-11-16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16B1 (ko) 차량용 사이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3790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immediate surroundings of a vehicle
US8493199B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roving automatic guidance of a vehicle
US10759354B2 (en) Camera used as a vehicle size referenc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JP5310602B2 (ja) 車両用周辺監視システム
US20170166131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CN109070800A (zh) 用于车辆的图像显示设备和方法
JP2018134887A (ja) 車両用周辺監視装置
US10011227B2 (en) Vehicular viewing device
JP2017202741A (ja) 車両用視認装置
US11124117B2 (en) Imaging device,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WO2018061680A1 (ja) 車両用視認装置
JP2003104123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05125828A (ja) 車両周囲視認装置を備えた車両周囲視認システム
JP2005125828A5 (ko)
US20180290595A1 (en) Vehicle side mirror positioning method and assembly
JP2011189775A (ja) 車両の後側方確認装置
US20160129838A1 (en) Wide angle rear and side view monitor
KR20180059099A (ko) 상용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JP2007253821A (ja) 乗員撮像装置
JP2019116220A (ja) 車両用視認装置
KR20070047944A (ko) 후방감지 리어 뷰 카메라 시스템
KR102061210B1 (ko) 차량 측 전방 사각 영역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JP7345114B2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76082B2 (ja) 運転者状態推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