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916A - 교통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916A
KR20180120916A KR1020170054872A KR20170054872A KR20180120916A KR 20180120916 A KR20180120916 A KR 20180120916A KR 1020170054872 A KR1020170054872 A KR 1020170054872A KR 20170054872 A KR20170054872 A KR 20170054872A KR 20180120916 A KR20180120916 A KR 20180120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server
vehicles
cong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264B1 (ko
Inventor
한상진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5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26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06K2209/15

Abstract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등록한 차량들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가, 특정 도로의 각 위치들에서의 평균차량속도에 관한 값들을 획득하고, 정체라고 규정되는 속도들 중 최대정체속도의 오차범위 내에 있는 제1속도가 발생한 제1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속도 또는 최대정체속도에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더한 제3속도의 평균차량속도의 오차범위 내에 있는 제2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운행되는 제2차량에게 진행방향에 발생한 정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통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A method for managing traffic flow and a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서버를 이용하는 정보처리기술로서, 특히 강설 등 기상상황에 의해 발생한 교통정체를 감지하여 교통류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출퇴근 시간, 공휴일, 및 연휴와 같은 기간에는 특정 도로에 수많은 차량이 한꺼번에 몰려 교통정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차량 운전자들은 고속도로 상황 예측 정보를 얻거나 다른 도로로 우회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속도로의 교통정체로 인해 많은 차량들이 고속도로에 갇혀있다.
교통흐름을 파동으로 간주하면, 교통정체가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상류 쪽의 차량속도가 더 급격하게 발생할수록 더 큰 충격파가 발생한다. 충격파가 클수록 교통정체의 해소가 더디어진다. 따라서 교통정체 시 발생하는 교통 충격파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충격파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통정체가 발생한 지점을 기준으로 상류 쪽의 차량속도의 감소를 완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차량속도의 자연스러운 감소를 유도하기 위하여 교통정체 지역의 상류 쪽에서 운행 중인 차량에게 감속을 유도하는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모두 종래기술로서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통정체를 감지하여 교통류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방법은, 제1서버(10)가, 특정 도로(1)의 각 위치에서의 차량들의 평균차량속도에 관한 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가, 정체라고 규정되는 속도범위 중 최대값인 최대정체속도(20km/h)의 오차범위(211) 내에 있는 제1평균차량속도가 발생한 상기 특정 도로 상의 제1위치(12)를 결정하는 단계(S100),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평균차량속도(21km/h) 또는 상기 최대정체속도(20km/h)에 미리 결정된 제2속도값(ex, 40km/h)을 더하여 얻은 평균차량속도(61km/h or 60km/h)의 오차범위(221) 내에 있는 제2평균차량속도가 발생한 상기 특정도로 상의 제2위치(13)를 결정하는 단계(S110), 및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운행되는 제2차량(51)에게 상기 제1위치와 관련하여 교통정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차량을 특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1서버가, 상기 교통정보 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차량(S1)들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가, 상기 모든 차량들(S1) 중 상기 특정 도로의 상기 제1위치(12)와 상기 제2위치(13) 사이에 존재하는 차량들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차량들 중 상기 제2차량을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도로의 상기 제1위치보다 상류에 존재하는 소정의 인식위치에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인식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차량을 특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위치에서 정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제1시점(t1)보다 과거의 시점인 제2시점(t2) 이후에 상기 인식위치를 통과한 차량들의 차량번호들을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가,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들에 대응하는 차량들 중 상기 교통정보 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들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한 차량들만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도로의 상기 제1위치보다 상류에 존재하는 소정의 인식위치에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인식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차량을 특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위치에서 정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제1시점(t1)보다 과거의 시점인 제2시점(t2)으로부터, 상기 제1시점과 상기 제2시점 사이의 제3시점 사이의 시구간 동안, 상기 인식위치를 통과한 차량들의 차량번호들을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가,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들에 대응하는 차량들 중 상기 교통정보 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들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한 차량들만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시점은, 상기 제1시점에 상기 제1위치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1차량이 상기 인식위치를 통과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서버가, 상기 교통정체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2차량이 취한 액션에 관한 레포트를 상기 제2차량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액션이 미리 결정한 규칙에 부합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부합의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제2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2차량에 부과된 벌점 또는 보험료율을 상기 정도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결정한 규칙은,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2차량이 상기 교통정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것이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이 이루어진 제1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제2시점부터, 상기 제2차량의 속도가 상기 제1시점에서의 상기 제2차량의 속도에 비하여 일정 수준 이상 감소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체가 발생한 시점에 특정범위(시간 또는 위치)에 속하는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등록한 차량들에게 교통정체가 발생하였음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들이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로에 교통정체가 발생하더라도 빠른 시간 내에 정체가 풀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시점(t1)에서의 도로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균차량속도별 속도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 관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 관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차량(51)을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상기 단계(S130)의 제2차량을 결정하는 서로 다른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류'와 '하류'라는 용어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도로에서 차량이 정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상기 차량이 먼저 존재했던 위치는 상기 차량이 나중에 존재했던 위치에 비하여 상류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교통류 관리를 위한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이하, 간단히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들을 대상으로, 교통정체를 감지한 경우 서버가 교통류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이란, 예컨대 교통정체가 시작된 경우,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들 중 특정 위치구간에 포함된 차량들에게 속도를 줄이는 것을 권장하는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시점(t1)에서의 특정 도로에서의 교통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균차량속도별 속도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특정 도로(1) 상에는 제1차량(50), 제2차량(51), 제3차량(52), 및 제4차량(53)이 차량의 진행방향(2)에 따라 이동하고 있을 수 있다. 그 밖에 더 많은 차량이 도로(1) 상에 존재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를 생략하였다.
특정 도로(1)의 출입구(예컨대, 톨게이트)(101)에는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장치(또는 차량번호 인식장치)(111)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S10)에서, 차량 인식장치(111)는 특정 도로(1)의 상기 출입구(101)로 진입하는 차량들의 차량번호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인식장치는 도로(1)의 출입구가 아니더라도, 도로(1)의 다른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들 속도의 대푯값인 평균차량속도의 값에 따라 속도구간을 정체구간, 서행구간, 원활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예컨대, 0km/h(정차) ~ 20km/h 까지의 속도범위를 정체구간속도(21)라고 지칭할 수 있고, 20km/h ~ 60km/h 까지의 속도범위를 서행구간속도(22), 그리고 60km/h 이상의 속도범위를 원활구간속도(23)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정체구간, 상기 서행구간, 상기 원활구간을 구분하는 속도 기준값은 상술한 값과 다를 수 있다.
단계(S20)에서, 제1서버(이하의 도 4 참조)는 상기 특정 도로(1)의 각 위치들(11, 12, 13, 14)에서의 각 평균차량속도(V1, V2, V3, V4)에 관한 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11)에서의 평균차량속도(V1)는 4km/h 일 수 있고, 위치(12)에서의 평균차량속도(V2)는 21km/h 일 수 있고, 위치(13)에서의 평균차량속도(V3)는 60km/h 일 수 있고, 위치(14)에서의 평균차량속도(V4)는 110km/h 일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위치(11)부터 위치(12)까지는 정체구간에 속하며, 위치(12)부터 위치(13)까지는 서행구간에 속하며, 위치(13) 이전(즉, 차량의 진행방향(2)의 반대방향 쪽)은 원활구간에 속할 수 있다.
단계(S30)에서, 상기 제1서버는 특정 시점(t1)에 정체가 시작된 위치(12)보다 상류의 도로에서 운행 중인 차량들에게 도로의 정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체구간과 정체가 시작된 위치는 서로 구분되는 개념일 수 있다. 즉, 상기 정체가 시작되는 위치는 정체구간 중 가장 상류의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정체가 시작되는 위치는 오차범위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단계(S40)에서, 상기 제1서버는, 정체라고 규정되는 속도들(즉, 정체구간속도(21) 범위에 속하는 속도들) 중 최대정체속도(20km/h)로부터 미리 결정된 오차범위(211) 내에 있는 제1평균차량속도(예컨대, 21km/h)가 발생한 제1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위치는 도 1의 위치(12)일 수 있다. 상기 제1위치는, 정체구간의 최상류위치와 최하류위치 중 최하류위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서버는, 평균차량속도가 상기 최대정체속도인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오차범위 내에 있는 제1위치(예컨대, 위치(12))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50)에서,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평균차량속도(21km/h) 또는 상기 최대정체속도(20km/h)에 미리 결정된 제2속도값(예컨대, 40km/h)을 더하여 얻은 제3평균차량속도(61km/h or 60km/h)의 오차범위(221) 내에 있는 제2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위치는 평균차량속도(V3)가 60km/h인 위치(13)일 수 있다.
이후, 단계(S60)에서,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위치(12)와 상기 제2위치(13) 사이에서 운행되는 차량들(예컨대, 제2차량(51))에게 진행방향에 발생한 정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교통류 관리를 위한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시스템은 시스템에 등록한 차량들, 제1서버(10), 및 제2서버(20), 및 복수 개의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는, 각 차량에 설치된 이동형 단말기, 또는 각 차량에 탑승한 사람이 사용하는 이동형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시스템에 등록한 차량은 예컨대, 차량(50), 차량(51) 및 차량(53)일 수 있다. 이때, 차량(52)은, 시스템에 미등록한 차량으로서, 상기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차량일 수 있다.
이때, 이동하는 차량(50, 51, 53)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GPS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고,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소지한 사용자기기로서 GPS 수신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차량 또는 상기 탑승자의 사용자기기는 제1서버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때,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GPS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GPS 장치는 예컨대, 각 차량(50, 51, 53)에 설치된 GPS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각 차량(50, 51, 53)에는 OBD 정보 취득부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탑승자의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OBD 정보 취득부로부터 OBD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GPS 정보 및 상기 OBD 정보를 제1서버(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서버(10)는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차량들(예컨대, 일만 대)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두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차량들에는 도 4에 도시한 상기 차량들(50, 51, 53)이 포함될 수 있다.
제1서버(10)는 특정 정체구간의 상류에 존재하는 구간, 예컨대 상술한 서행구간 또는 원활구간에 속한 차량들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차량(예컨대, 도 4의 차량(51), 차량(53))에게 정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를 제공받은 차량들에 설치된 통신 단말기로부터 각 차량의 OBD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1서버(10)는 이렇게 전달받은 OB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차량이 취한 액션이 미리 결정한 규칙에 부합한지 판단하여 제2서버(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서버(20)는, 제1서버(10)로부터 수신한 부합의 정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벌점 또는 보험료율을 변경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 관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체 차량집합(S0)은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집합(S1)과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차량집합(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위치(12)와 상기 제2위치(13) 사이에 존재하는 차량들의 집합(S11)에는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 및/또는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차량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1위치(12)와 상기 제2위치(13) 사이에 존재하는 차량들의 집합(S11)과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집합(S1)의 교집합에는 차량(51) 및 차량(53)이 포함되며, 상기 집합(S11)과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차량집합(S2)의 교집합에는 차량(52)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4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차량(51)을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1 모니터링 방법>
상기 제1서버(10)는,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차량(S1)들(예컨대, 일만 대)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두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버(10)가, 상기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차량들(S1) 중 상기 제1위치(12)와 상기 제2위치(13) 사이에 존재하는 차량, 예컨대 상기 제2차량(51)을 특정할 수 있다.
<제2 모니터링 방법>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차량(51)을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서버(10)는, 정체가 발생한 제1시점(t1)보다 과거의 시점인 제2시점(t2) 이후에 상기 특정 도로에 진입한 차량번호들을 상기 차량 인식장치(111)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2시점(t2)은, 제1시점(t1)에 제1위치(12) 또는 제1위치(12)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1차량(50)이 상기 특정 도로(1)의 상기 차량 인식장치(111)가 설치된 지점, 예컨대 출입구(101)를 통과한 시점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시점(t2)은, 실질적으로 정체라고 판단되기 시작하는 제10위치에 존재하는 차량이 상기 차량 인식장치(111)가 설치된 지점을 통과한 과거의 시점일 수 있다.
이후 제1서버(10)는, 상기 차량 인식장치(111)를 이용하여 획득한 차량번호들 중에서 상기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들을 선별할 수 있다.
제1서버(10)는, 상기 선별된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 참여 차량들만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체가 발생한 제1시점(t1)보다 과거의 시점인 제2시점(t2)에서부터, 제1시점(t1)과 제2시점(t2) 사이의 제3시점(t3) 사이의 시구간(t2~t3, T2) 동안, 상기 특정 도로에 진입한 차량번호들을 상기 차량번호 인식장치(111)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1서버(10)는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들을 선별할 수 있다.
제1서버(10)는, 상기 선별한 차량들만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상기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차량(S1)들을 추적하는 방법과 비교해 보면, 지구위치정보를 추적해야 하는 차량들의 숫자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제1서버(10)는, 선별된 차량들 각각(예컨대, 제2차량(51))이 정체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취한 액션에 관한 레포트를 상기 선별된 차량들 각각(예컨대, 제2차량(51))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1서버(10)는 상기 선별된 각 차량에 대하여, 상기 레포트에 따른 액션이 미리 결정한 규칙에 부합하는 정도에 관한 보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서버는, 상기 전송된 보상정보와 연관된 차량, 예컨대 제2차량(51)에 부과된 벌점 또는 보험료율을 상기 정도에 따라 변경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서버는 통신사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회사에서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단계(S100)에서, 제1서버가, 특정 도로의 각 위치들에서의 평균차량속도에 관한 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S110)에서, 상기 제1서버가, 정체라고 규정되는 속도들 중 최대정체속도의 오차범위 내에 있는 제1평균차량속도가 발생한 제1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평균차량속도 또는 최대정체속도에 미리 결정된 제2속도값을 더하여 얻은 제3평균차량속도의 오차범위 내에 있는 제2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운행 중인 제2차량에게, 상기 제2차량의 진행방향에 발생한 정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상기 저1서버가, 상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2차량이 취한 액션에 관한 레포트를 상기 제2차량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계(S150)에서,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액션이 미리 결정한 규칙에 부합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부합의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제2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리 결정한 규칙은, 상기 정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차량이 수신한 것이 확인되었을 때에 상기 제2차량이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차량속도를 일정 수준 이상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상기 단계(S130)의 제2차량을 결정하는 서로 다른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8a에 제시한 제1방법에 따른 순서도를 설명한다.
단계(S200)에서, 제1서버가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차량들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두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단계(S210)에서, 상기 제1서버가 상기 모든 차량들 중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차량들을 특정하여 그 중 상기 제2차량을 특정할 수 있다.
이하, 도 8b에 제시한 제2방법에 따른 순서도를 설명한다.
단계(S300)에서, 제1서버가 정체가 발생한 제1시점보다 과거의 시점인 제2시점 이후에 상기 인식장치가 인식한 차량들의 차량번호들을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정체가 발생한 상기 제1시점은, 상기 정체가 시작되는 위치에서 정체가 발생한 시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정체가 시작되는 위치보다 하류에 있는 다른 위치에서는 이미 상기 제1시점보다 이전의 시점에 정체가 발생했을 것이다. 따라서 정체가 발생한 시점을 정의할 때에는 정체가 발생한 지점과 연관하여 정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시점은, 상기 제1시점에 상기 제1위치에 존재하는 차량이 상기 인식장치를 통해 인식된 시점일 수 있다. 즉, 단계(S300)는 상기 제1시점에 상기 제1위치에 존재하는 차량이 상기 인식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통과한 이후에, 상기 인식장치를 지나쳐 온 차량들을 선별하기 위한 단계이다.
단계(S310)에서, 상기 제1서버가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들 중에서 상기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들을 선별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상기 선별한 차량들만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하, 도 8c에 제시한 제3방법에 따른 순서도를 설명한다.
단계(S400)에서, 제1서버가, 정체가 발생한 제1시점보다 과거의 시점인 제2시점에서부터, 상기 제1시점과 상기 제2시점 사이의 제3시점까지의 시구간 동안, 상기 특정 도로에 진입한 차량번호들을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계(S410)에서,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들을 상기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들을 선별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상기 선별한 차량들만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8)

  1. 제1서버가, 특정 도로의 각 위치에서의 차량들의 평균차량속도에 관한 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가, 정체라고 규정되는 속도범위 중 최대값인 최대정체속도의 오차범위 내에 있는 제1평균차량속도가 발생한 상기 특정 도로 상의 제1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평균차량속도 또는 상기 최대정체속도에 미리 결정된 제2속도값을 더하여 얻은 평균차량속도의 오차범위 내에 있는 제2평균차량속도가 발생한 상기 특정도로 상의 제2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운행되는 제2차량에게 상기 제1위치와 관련하여 교통정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량을 특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1서버가, 상기 교통정보 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차량들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가, 상기 모든 차량들 중 상기 특정 도로의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차량들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차량들 중 상기 제2차량을 특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도로의 상기 제1위치보다 상류에 존재하는 소정의 인식위치에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인식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차량을 특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위치에서 정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제1시점보다 과거의 시점인 제2시점 이후에 상기 인식위치를 통과한 차량들의 차량번호들을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가,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들에 대응하는 차량들 중 상기 교통정보 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들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한 차량들만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도로의 상기 제1위치보다 상류에 존재하는 소정의 인식위치에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인식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차량을 특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1위치에서 정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제1시점보다 과거의 시점인 제2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시점과 상기 제2시점 사이의 제3시점 사이의 시구간 동안, 상기 인식위치를 통과한 차량들의 차량번호들을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가,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들에 대응하는 차량들 중 상기 교통정보 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참여형 속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차량들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한 차량들만의 지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점은, 상기 제1시점에 상기 제1위치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1차량이 상기 인식위치를 통과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가, 상기 교통정체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2차량이 취한 액션에 관한 레포트를 상기 제2차량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액션이 미리 결정한 규칙에 부합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부합의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제2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2차량에 부과된 벌점 또는 보험료율을 상기 정도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한 규칙은,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2차량이 상기 교통정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것이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이 이루어진 제1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제2시점부터, 상기 제2차량의 속도가 상기 제1시점에서의 상기 제2차량의 속도에 비하여 일정 수준 이상 감소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KR1020170054872A 2017-04-28 2017-04-28 교통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00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872A KR102003264B1 (ko) 2017-04-28 2017-04-28 교통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872A KR102003264B1 (ko) 2017-04-28 2017-04-28 교통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916A true KR20180120916A (ko) 2018-11-07
KR102003264B1 KR102003264B1 (ko) 2019-07-25

Family

ID=6436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872A KR102003264B1 (ko) 2017-04-28 2017-04-28 교통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2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3574A (zh) * 2021-12-29 2022-04-05 湖南师范大学 一种基于卷积策略的车辆调度评价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9640A (ja) * 2009-09-24 2011-04-07 Denso Corp 渋滞発生予防装置及び渋滞発生予防システム
JP2012212270A (ja) * 2011-03-30 2012-11-01 Canvas Mapple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
KR101228265B1 (ko) * 2011-12-12 2013-02-07 박현정 가변속도 제어시스템
JP2016164714A (ja) * 2015-03-06 2016-09-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9640A (ja) * 2009-09-24 2011-04-07 Denso Corp 渋滞発生予防装置及び渋滞発生予防システム
JP2012212270A (ja) * 2011-03-30 2012-11-01 Canvas Mapple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
KR101228265B1 (ko) * 2011-12-12 2013-02-07 박현정 가변속도 제어시스템
JP2016164714A (ja) * 2015-03-06 2016-09-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3574A (zh) * 2021-12-29 2022-04-05 湖南师范大学 一种基于卷积策略的车辆调度评价方法
CN114283574B (zh) * 2021-12-29 2022-10-28 湖南师范大学 一种基于卷积策略的车辆调度评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264B1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4920B2 (en) Traffic lane guidance system for vehicle and traffic lane guidance method for vehicle
US11891071B2 (en) Vehicle to vehicle telematics
US9922556B2 (en) Traffic light system and method
CN109074737A (zh) 安全驾驶辅助系统、服务器、车辆、以及程序
CN112382098B (zh) 交通拥堵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60046297A1 (en) Driving evaluation system, electronic device, driving evaluation method, and program
JP2009193212A (ja) 道路交通情報システム
US20130103291A1 (en) Traffic signal cycle estimation device and traffic signal cycle estimation method
CN103810858A (zh) 无线移动设备、服务器及与其相关的方法和系统
WO2013136778A1 (ja) 不慮予測感度判定装置
CN111489555A (zh) 一种交通运行状态预测方法、装置和系统
JP2005115557A (ja) 移動手段判別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od交通量算出装置および方法
KR20160054921A (ko) 수신신호강도지수를 이용한 구간 검지기 및 이를 구비한 통행시간 산출 시스템과 방법
KR101945179B1 (ko) 위험 교통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318621A (ja) 交通情報推定装置及び方法
Obuhuma et al. Driver behaviour profiling using dynamic Bayesian network
JP2018190315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交通管制装置および交通管制方法
KR102003264B1 (ko) 교통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3240505B2 (ja) 渋滞区間推定方法および渋滞区間推定装置
JP2005128645A (ja) 位置情報提供による特典付与システム
JP2006031422A (ja) 交通情報生成装置及び交通情報生成方法、交通情報提供装置並びに交通情報配信システム
KR101815941B1 (ko) 불안정 교통류 정보 제공 방법
US1044402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mo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transportation mechanisms
CN112622921B (zh) 一种检测司机异常驾驶行为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774294B1 (ko) 교통신호정보를 이용한 세그먼트데이터 기반의 링크속도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