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217A - 핸드오버에서의 자원 구성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핸드오버에서의 자원 구성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217A
KR20180120217A KR1020187028315A KR20187028315A KR20180120217A KR 20180120217 A KR20180120217 A KR 20180120217A KR 1020187028315 A KR1020187028315 A KR 1020187028315A KR 20187028315 A KR20187028315 A KR 20187028315A KR 20180120217 A KR20180120217 A KR 20180120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time interval
terminal device
determining
r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899B1 (ko
Inventor
윤시 리
치안시 루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8012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7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by reducing handover delay, e.g. lat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구성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디바이스가 소스 셀로부터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단말 디바이스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시간 인터벌 - 이 시간 인터벌 내에 보충 자원이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함 - 을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핸드오버 동안에 보충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오버에서의 자원 구성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오버(handover)(HO)의 자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양호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고,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요구를 따라 가기 위해 발전하고 있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상용 및 공공 안전 애플리케이션들 모두를 타겟으로 하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 to device)(D2D) 피쳐들의 지원에 의해 확장되었다. LTE에 의해 가능해지는 일부 응용들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이며, 여기서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아이덴티티들을 운반하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검출함으로써 다른 디바이스 및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근접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응용은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직접 종단되는 물리 채널들에 기초하는 직접 통신으로 이루어진다. 3GPP에서, 이들 응용들 모두는 근접도 서비스(Proximity Services)(ProSe)의 산하에서 정의된다.
ProSe 프레임워크의 잠재적인 확장들 중 하나는 차량들, 보행자들 및 인프라스트럭쳐 간의 직접 통신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V2X 통신의 지원으로 이루어진다. V2X 통신은 V2V 통신, V2P 통신, V2I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V2V는 차량들 간의 LTE 기반 통신을 다루는 차량 대 차량(vehicle-to-vehicle)으로도 지칭되고, V2P는 차량과 개인에 의해 운반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보행자, 자전거 타는 사람, 운전자 또는 승객에 의해 운반되는 핸드헬드 단말) 간의 LTE 기반 통신을 다루는 차량 대 보행자(vehicle-to-pedestrian)로도 지칭되고, V2I는 차량과 도로변 유닛/네트워크 간의 LTE 기반 통신을 다루는 차량 대 인프라스트럭쳐(vehicle-to-infrastructure)로도 지칭된다. V2X 통신은, 사용 가능한 경우, NW 인프라스트럭쳐를 사용할 수 있지만, 커버리지가 부족한 경우에도 적어도 기본적인 V2X 접속이 가능해야 한다. LTE 기반 V2x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 LTE의 규모의 경제로 인해 경제적 이점을 얻을 수 있고, 이는 V2I, V2P 및 V2V 통신들에 의한 통신들 간의 보다 긴밀한 통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V2X의 관점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핸드오버 프로시져는, 단말 디바이스가 그 소스 셀로부터 분리되고 그 타겟 셀에는 접속되지 않은 분리 페이즈(detach phase), 및 단말 디바이스가 타겟 셀에 접속되었지만 V2X 송신을 위해 타겟 셀의 자원은 사용할 수 없는 비정상 페이즈(abnormal phase)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페이즈 동안에, 단말 디바이스는 V2X 송신을 위해 소스 셀로부터도 타겟 셀로부터도 자원들을 획득할 수 없다. 동시에,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하에 있지만, 커버리지를 벗어난 UE가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사전 구성된 자원들을 사용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이 페이즈 동안에 서비스 중단이 발생할 것이고, 중단 시간은 최대, 예를 들어, 2초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V2X 서비스들에서는 허용 불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구성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제1 양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소스 셀로부터 보충 자원(supplemental resource)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단말 디바이스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시간 인터벌 - 이 시간 인터벌 내에 보충 자원이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함 - 을 결정한다.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또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는, 타이머가 시작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시작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타이머의 상태에 기초하여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가 중단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타이머의 만료에 응답하여,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타이머의 만료에 응답하여, 셀 선택 프로시져와 연관된 추가 타이머가 중단되거나 또는 만료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는 단계 - 셀 선택 프로시져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후에 수행됨 -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GNSS) 타이밍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공통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타이머를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는,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가 중단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시작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GNSS 타이밍,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공통 타이밍 및 타겟 셀의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타이머를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양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보충 자원은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하다.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또한 제공된다.
제3 양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수신기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소스 셀로부터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보충 자원은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하다.
제4 양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송신기는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며, 보충 자원은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하다.
제5 양태에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프로세서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소스 셀로부터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게 하고,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게 하도록 적응되며, 보충 자원은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하다.
제6 양태에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프로세서는, 단말 디바이스로 하여금,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게 하도록 적응되며, 보충 자원은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기 및 다른 양태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예로서 보다 완전히 명확해질 것이며, 첨부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 또는 문자들은 유사하거나 동등한 엘리먼트들을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대한 양호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되며,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핸드오버 프로시져의 흐름(200)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자원 구성을 위한 방법(3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자원 구성을 위한 방법(4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성공적인 핸드오버 프로시져의 다이어그램(500)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실패 프로시져의 다이어그램(600)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7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절한 디바이스의 단순화된 블록도(900)를 도시한다.
이제, 본 개시내용이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논의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대한 임의의 제한들을 제시하기보다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내용을 더 잘 이해하고 따라서 이를 구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논의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LTE-어드밴스드(LTE-Advanced)(LTE-A), LTE,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 고속 패킷 액세스(High-Speed Packet Access)(HSPA)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통신 표준들을 따르는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통신은 제1 세대(1G), 제2 세대(2G), 2.5G, 2.75G, 제3 세대(3G), 제4 세대(4G), 4.5G, 미래의 제5 세대(5G) 통신 프로토콜들 및/또는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미래에 개발될 임의의 다른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세대의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기지국(base station)(B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모바일 관리 엔티티, 서버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노드 B(NodeB 또는 NB), 이볼브드 NodeB(eNodeB 또는 eNB),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RRU), 무선 헤더(radio header)(RH),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RRH), 중계기, 펨토, 피코와 같은 저전력 노드 등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SS), 휴대용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MS) 또는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AT)일 수 있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를 지칭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모바일폰, 셀룰러폰,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라는 용어들은 상이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단수 형태들("a" 및 "an")은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갖는(has)," "갖는(having)," "포함하다(includes)" 및/또는 "포함하는(including)"이라는 용어들은 기술된 피쳐들, 엘리먼트들/또는 컴포넌트들 등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피쳐, 엘리먼트, 컴포넌트 및 그 조합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에 기초하는"이라는 용어는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으로 읽혀져야 한다. "일 실시예" 및 "실시예"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 읽혀져야 한다. "다른 실시예"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로 읽혀져야 한다. 명시적이고 암시적인 다른 정의들이 이하에 포함될 수 있다.
이제,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환경을 예시하는 도 1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단말 디바이스들 간에 D2D 통신이 수행되는 LTE 네트워크로서 예시된다. 특히,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이하, "BS(110)"로도 지칭됨)는 LTE 네트워크에서 3개의 단말 디바이스(120, 130, 150)를 서빙하는 서빙 셀(160)을 관리하고, 단말 디바이스들(120, 130, 140)은 D2D 통신 또는 V2X 통신을 수행한다.
도 1의 구성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제시하지 않고 예시의 목적으로만 설명되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가 임의의 적절한 수의 단말 디바이스들 및 BS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적절한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서빙 셀(이하, "소스 셀"로도 지칭됨)로부터 새로운 셀(이하, "타겟 셀"로도 지칭됨)로의 단말 디바이스(120)의 핸드오버에는 여러 페이즈들이 수반될 수 있다. 도 2는 핸드오버 프로시져의 흐름(200)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에서, UE는 단말 디바이스(120)를 나타내고, S-eNB(이하, "소스 eNB"로도 지칭됨)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 또는 소스 BS를 나타내고, T-eNB(이하, "타겟 eNB"로도 지칭됨)는 핸드오버의 타겟 셀을 관리하는 타겟 BS를 나타낸다. 도 2의 예에는 다음과 같이 4개의 페이즈가 예시되어 있다.
1. 정상 페이즈 : 이 페이즈 동안에, UE는 소스 eNB에 접속되고, mode1 자원들 또는 mode2 자원들을 사용하여 V2X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페이즈 1은 S-eNB로부터 T-eNB로 핸드오버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201)에서 시작한다. 그 후, T-eNB는 S-eNB에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ACK)을 전송한다(단계(202)). 페이즈 1은 UE가 S-eNB로부터 이동성 정보를 포함하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을 수신하면(단계(203)) 종료한다.
2. 분리 페이즈 : 이 페이즈는 UE가 S-eNB로부터 분리되는 단계(204)에서 시작해서, UE가 T-eNB에 접속되게 된다(단계(207)). 특히, UE는 S-eNB로부터 분리된 후,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를 T-eNB로 전송한다(단계(205)). T-eNB는 동기화 메시지를 수신하면, UE에 업링크(uplink)(UL) 자원 및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TA)를 전송한다(단계(206)). 그 후, UE는 T-eNB에 RRCConnectionRegonfigurationComplete를 전송한다(단계(207)). 이 페이즈 동안에, UE는 어떤 eNB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다.
3. 비정상 페이즈 : 이 페이즈 동안에, UE는 타겟 BS에 접속되지만, V2X 송신을 위해 타겟 BS로부터의 자원들을 사용할 수 없다.
UE가 mode2 자원을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비정상 페이즈는 단계(207)로부터 단계(208)로 진행하며, 단계(208)에서는 T-eNB로부터 V2X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SIB)이 수신된다. 이 페이즈 동안에, UE는 타겟 BS에 접속되지만, UE에 의해 V2X mode2 자원 풀이 획득되지 않았기 때문에, mode2 자원들을 사용하여 V2X 송신을 수행할 수 없다.
UE가 mode1 자원을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비정상 페이즈는 단계(207)로부터 단계(210)로 진행할 것이다. (ProSe에서, mode1 자원 할당을 위해 UE가 eNB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SidelinkUEInformation이 정의되었다. 이 메시지는 V2X에 의해 재사용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 페이즈에서, UE는 T-eNB로부터 V2X SIB수신(단계(208))한 후, SidelinkUEInformation을 T-eNB로 전송(단계(209))한 후, T-eNB로부터 RRCConnectionReconfiguration을 수신한다(단계(210)). 이 페이즈 동안에, UE는 타겟 eNB에 접속되지만, mode1 자원 할당의 일부 필요한 정보가 여전히 UE 측으로부터 누락됨에 따라, mode1 자원들을 사용하여 V2X 송신을 수행할 수 없다.
4. 정상 페이즈 : UE는 타겟 eNB에 접속되고, 타겟 eNB로부터의 자원들을 사용하여 V2X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UE가 mode2 자원을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이 페이즈는 단계(208)로부터 시작한다. UE가 mode1 자원들을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이 페이즈는 단계(210)로부터 시작한다.
그러나, "2 분리 페이즈" 동안에, UE는 소스 BS로부터도 또는 타겟 BS로부터도 V2X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획득할 수 없다. 동시에, UE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하에 있지만, 커버리지를 벗어난 UE가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사전 구성된 자원들을 사용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이 페이즈 동안에 서비스 중단이 발생할 것이고, 중단 시간은 최대 2초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V2X 서비스들에서는 허용 불가능할 것이다.
최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왔다. 하나의 솔루션("솔루션 #1"로도 지칭됨)은 소스 eNB의 자원들을 사용하는 것인데, 즉, UE가 소스 eNB로부터 분리된 후, 소스 eNB의 자원들을 계속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첫째, 타겟 eNB에 대한 간섭이 존재한다. 이 페이즈 동안에, 예를 들어, UE가 단계 5, 6 및 7을 수행할 때, UE는 타겟 eNB의 커버리지에 있었을 수 있다. V2X 자원 풀은 소스 eNB와 타겟 eNB 간에 정렬될 수 없다. 소스 eNB의 V2X 자원들이 타겟 eNB에서 LTE 트래픽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스 eNB의 자원들을 사용하는 UE는 타겟 eNB에 대해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 페이즈의 지속시간이 최대 2초일 수 있음을 고려하면, 그 영향은 중요할 수 있다.
둘째, 자원들이 낭비될 수 있다. 이 페이즈 동안에, UE는 소스 eNB에 접속되지 않으며, 즉, 소스 eNB는 이 페이즈가 언제 중단될지를 알지 못한다. eNB는 UE에 대한 자원들이 모든 경우들에 작동하도록 최소 2초간 예약해야 한다. 이 페이즈가 짧으면, 예를 들어, 수십 밀리초이면, 일부 자원들이 낭비될 것이다.
다른 솔루션("솔루션 #2"로도 지칭됨)은 타겟 eNB의 자원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타겟 eNB는 Handover Command 메시지를 통해 UE에게 일부 자원들을 제공할 수 있고, UE는 "2 분리 페이즈" 동안에 이들 자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도 솔루션 #1과 비슷한 단점들이 있다.
상기 및 다른 잠재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핸드오버 동안의 자원 구성에 대한 솔루션들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자원 구성을 위한 방법(3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300)에 의해, 종래의 접근법들에서의 상기 및 다른 잠재적인 결함들이 극복될 수 있다. 방법(300)은 단말 디바이스(120)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과 같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방법(300)은 이하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단말 디바이스(120)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방법(300)은 블록(310)으로 들어가며, 여기서 소스 셀로부터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가 수신된다. 보충 자원은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에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한 자원을 지칭한다. 전환 기간은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시간 기간, 예를 들어, 도 2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셀로부터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단계(203))부터 타겟 셀로부터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단계(210))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충 자원은 사전 구성되거나 또는 핸드오버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의 서빙 셀에 의해 구성된다. 보충 자원은 핸드오버 동안에 특정 타이머 및/또는 특정 이벤트에 따라 효력을 발생시킨다. 보충 자원의 타이밍은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GNSS) 타이밍 기준 또는 공통 타이밍 기준(시스템의 보편적 타이밍의 경우) 또는 타겟 셀 타이밍(시스템의 상이한 타이밍의 경우)을 따를 수 있다. 보충 자원은 간섭 회피를 위해 서빙/타겟 셀에서 LTE 트래픽에 의해 사용될 수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충 자원은 하나 이상의 시간/주파수 자원 블록, 예를 들어,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PRB)을 포함하는 자원 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충 자원은, 예를 들어, HO 커맨드(전용 RRC 시그널링), SIB(RRC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등에서 소스 셀에 의해 통지될 수 있다.
블록(320)에서,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시간 인터벌이 결정된다. 타이머는 중단 상태, 만료 상태 등과 같은 상이한 상태들을 가질 수 있다. 타이머가 중단되는 경우, 즉, 타이머가 중단 상태에 들어가는 경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는 성공적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즉, 타이머가 만료 상태에 들어가는 경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는 실패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이머는 T304일 수도 있고, 또는 이미 정의된 다른 적절한 타이머일 수 있다.
시간 인터벌은 전환 기간 중 일부 - 이 전환 기간 중 일부 내에 보충 자원이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함 - 를 지칭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타이머가 시작되는 시점이 시간 인터벌의 시작으로서 결정될 수 있고, 시간 인터벌의 종료가 타이머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성공적인 핸드오버 프로시져의 다이어그램(500)을 도시한다. 도 5의 예에서는, 시간 인터벌의 시작이 타이머 T304가 시작되는 시점(501)일 수 있고, 전환 기간은 510으로 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점(501)은 소스 셀로부터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수신되는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실패 프로시져의 다이어그램(600)을 도시한다. 도 6의 예에서는, 시간 인터벌의 시작이 타이머 T304가 시작되는 시점(601)일 수 있고, 전환 기간은 시점(601)에서 시작해서 시점(603)까지 610에 의해 표시된다. 시점(603)은 새로운 셀이 선택되는 시점을 나타낸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환 기간(610)은 시점(601)에서 시작할 수 있고, 시점(602)에서 종료한다. 시점(602)은 타이머 T304가 만료되는 시점을 나타낸다.
시간 인터벌의 종료는 다수의 방법들로 타이머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가 중단되는 시점이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종료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가 성공적으로 완료될 때 타이머 T304가 중단되는 시점(502)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실시예에서,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되는 시점이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종료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수신되는 시점(503)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실시예에서, 타이머의 만료에 응답하여,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점이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종료는 타이머 T304가 만료되는 시점(602)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실시예에서, 타이머의 만료에 응답하여, 셀 선택 프로시져와 연관된 추가 타이머가 중단되거나 또는 만료되는 시점이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될 수 있다. 추가 타이머는 T311일 수 있다. 셀 선택 프로시져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종료는 적절한 E-UTRA 셀이 선택될 때 타이머 T311이 중단되는 시점(603)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간 인터벌의 시작은 타이머의 시작 시간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가 중단되는 시점이 시간 인터벌의 시작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되는 시점이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시작은 타이머 T304가 중단되는 시점(502)일 수 있고, 시간 인터벌의 종료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수신되는 시점(503)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임의적으로, 타이머는 GNSS 타이밍,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공통 타이밍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공통 타이밍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보편적 타이밍, 또는 타겟 셀과 소스 셀 모두에 의해 공통으로 사용되는 타이밍일 수 있다.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실시예들에서, 즉,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가 성공적인 실시예들에서, 타이머는 GNSS 타이밍,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공통 타이밍, 타겟 셀의 타이밍(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이한 타이밍들이 있는 경우)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충 자원은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의 시간 인터벌 동안에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V2X 통신은 핸드오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 동안에 보충 자원을 사용하면 이웃 셀들 또는 근접 셀들의 LTE 트래픽에 대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보충 자원을 일반 V2X 자원들과 중첩시키면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자원 구성을 위한 방법(400)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방법(400)은 BS(110)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과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방법(400)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BS(110)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방법(400)은 블록(410)으로 들어가며, 여기서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되어, 단말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보충 자원은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충 자원은 하나 이상의 시간/주파수 자원 블록, 예를 들어, PRB를 포함하는 자원 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충 자원은 사전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핸드오버 이전에 서빙 셀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충 자원은, 예를 들어, HO 커맨드(전용 RRC 시그널링), SIB(RRC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등에서 소스 셀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1의 단말 디바이스(120)는 보충 자원의 정보를 수신하면, 방법(300)을 수행하여 시간 인터벌 - 이 시간 인터벌 내에 보충 자원이 사용 가능함 - 을 결정할 수 있다.
이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일부 실시예들의 보다 상세한 설명들이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 전환 기간 동안에 타이머에 기초하여 보충 자원이 사용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HO가 성공적인 경우, HO 커맨드가 소스 셀로부터 수신되기 때문에 서빙 셀의 자원 구성이 릴리스될 것이고, 타겟 셀로부터의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이후에 타겟 셀의 자원 구성이 획득될 것이며, 즉, 전환 기간 동안에 명확한 자원 정의가 없다. 도 6의 예에서, HO가 실패하는 경우, RRC 접속 재확립이 성공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적어도 T304 시간 기간 동안에도 사용 가능한 자원이 없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시예 1에서, 자원 사용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 : HO 커맨드(전용 RRC 시그널링) 또는 SIB(RRC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중 어느 하나에서, 보충 자원(시간/주파수 도메인 정의, 제한된 하나의 시간/주파수 자원 또는 자원 세트/풀)이 소스 셀에 의해 통지된다.
단계 2 : 보편적 타이밍(GNSS 또는 전체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공통 타이밍 중 어느 것)을 참조하여 T304가 시작된 이후에, 자원이 UE에 의해 사용된다. 자원 사용이 중단되는 다수의 경우들이 있을 수 있다.
- MAC 계층이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을 때 중단됨;
- RRC 접속 재구성이 타겟 셀로부터 수신될 때 중단됨;
- T304가 만료될 때 중단됨; 또는
- T311이 중단/만료될 때(이 경우, T304가 만료될 때, 보충 자원이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음) 중단됨.
단계 3 : 이후에, 새로운 자원이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새로운 자원은 (RRC 접속 재구성 또는 타겟 셀의 SIB 등에서 운반되는) 타겟 셀에 의해 구성되는 자원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HO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패하는 경우, 새로운 자원이 커버리지를 벗어난 경우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새로운 자원(예를 들어, 예외적인 자원 풀 또는 사전 구성된 자원)은 시점(603) 이후에 사용 가능할 수 있고, 새로운 타이머, 예를 들어, T301과 연관될 수 있다. 전환 기간이 시점(601)에서 시작하여 시점(602)에서 종료하는 다른 예에서는, 예외적인 자원 풀이 시점(602) 이후에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 2 : 전환 기간 동안에 타이머와 연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보충 자원이 사용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O 커맨드 이후에 시작된 타이머 T304는 불확실한 기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HO 실패(RRC 접속 재확립이 성공적이든 아니든 간에) 또는 HO 성공에 의해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들이 타겟 셀의 관점에서 구성될 수 있고 상이한 타이밍이 상이한 eNB들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이 자원이 타겟 셀과의 성공적인 접속 후에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자원 사용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 : HO 커맨드(전용 RRC 시그널링) 또는 SIB(RRC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중 어느 하나에서, 보충 자원(시간/주파수 도메인 정의, 제한된 하나의 t/f 자원 또는 자원 세트/풀)이 소스 셀에 의해 통지된다.
단계 2 : 타겟 셀의 타이밍을 참조하여 랜덤 액세스가 MAC 계층에서 성공적이기 때문에, 보충 자원이 UE에 의해 사용될 것이다.
단계 3 : 새로운 자원 구성이 포함되는 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될 때, 보충 자원은 중단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7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단말 디바이스(7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 디바이스(120)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700)는 수신기(710) 및 제어기(720)를 포함한다. 수신기(710)는 소스 셀로부터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720)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보충 자원은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제어기(720)는 타이머가 시작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시작으로서 결정하고, 타이머의 상태에 기초하여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제어기(720)는,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가 중단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제어기(720)는,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제어기(720)는, 타이머의 만료에 응답하여,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제어기(720)는, 타이머의 만료에 응답하여, 셀 선택 프로시져와 연관된 추가 타이머가 중단되거나 또는 만료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셀 선택 프로시져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후에 수행된다.
실시예에서, 제어기(720)는, GNSS 타이밍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공통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타이머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제어기(720)는,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가 중단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시작으로서 결정하고, 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제어기(720)는, GNSS 타이밍,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공통 타이밍, 및 타겟 셀의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타이머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타이머는 T304일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BS(120)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송신기(810)를 포함하며, 보충 자원은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하다.
단말 디바이스(700)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은 방법(300)의 블록들에 대응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은 방법(400)의 블록들에 대응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모든 동작들 및 피쳐들은 단말 디바이스(700)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에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고 유사한 효과들을 갖고,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모든 동작들 및 피쳐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에도 적용 가능하고 유사한 효과들을 갖는다.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말 디바이스(700)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닛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예를 들어,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머신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머신 실행 가능 명령어들에 추가하여 또는 대신에, 단말 디바이스(700)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에 포함된 컴포넌트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들의 예시적인 타입들은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FPGA)들,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들, 특정 용도 표준 제품(Application-specific Standard Product)(ASSP)들, 시스템 온 칩 시스템(System-on-a-chip system)(SOC)들, 복합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CPLD)들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구현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장치는, 소스 셀로부터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보충 자원은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함 - 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타이머가 시작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시작으로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타이머의 상태에 기초하여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가 중단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타이머의 만료에 응답하여,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타이머의 만료에 응답하여, 셀 선택 프로시져와 연관된 추가 타이머가 중단되거나 또는 만료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셀 선택 프로시져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후에 수행됨 - 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장치는, GNSS 타이밍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공통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타이머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가 중단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시작으로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되는 시점을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장치는, GNSS 타이밍,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공통 타이밍 및 타겟 셀의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타이머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타이머는 T304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구현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장치는,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 - 보충 자원은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함 - 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절한 디바이스(900)의 간략화된 블록도를 도시한다. 디바이스(900)는 BS(110)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900)는 데이터 프로세서(data processor)(DP)(910), DP(910)에 결합된 메모리(MEM)(920), DP(910)에 결합된 적절한 RF 송신기(TX) 및 수신기(RX)(940), 및 DP(910)에 결합된 통신 인터페이스(950)를 포함한다. MEM(920)은 프로그램(PROG)(930)을 저장한다. TX/RX(940)는 양방향 무선 통신을 위한 것이다. TX/RX(940)는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이 응용에서 언급된 액세스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950)는 eNB들 간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X2 인터페이스,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MME)/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S-GW)와 eNB 간의 통신을 위한 S1 인터페이스, eNB와 중계 노드(relay node)(RN) 간의 통신을 위한 Un 인터페이스, 또는 eNB와 단말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위한 Uu 인터페이스와 같이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들과의 통신에 필요한 임의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PROG(930)는, 연관된 DP(910)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900)가, 도 3의 방법(300) 또는 도 4의 방법(400)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디바이스(900)의 DP(9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910) 및 MEM(920)의 조합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하도록 적응된 프로세싱 수단(960)을 형성할 수 있다.
MEM(920)은 국부적인 기술 환경에 적절한 임의의 타입의 것일 수 있고,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반도체 기반 메모리 디바이스들, 자기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광학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고정 메모리 및 이동식 메모리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저장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900)에는 단 하나의 MEM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디바이스(900)에는 다수의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메모리 모듈들이 있을 수 있다. DP(910)는 국부적인 기술 환경에 적절한 임의의 타입의 것일 수 있고,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범용 컴퓨터들, 특수 목적 컴퓨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들 및 멀티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에 기초한 프로세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900)는 메인 프로세서를 동기화하는 클록에 시간상으로 종속된 주문형 집적 회로 칩과 같은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또는 특수 목적 회로들,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다른 양태들은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태들이 블록도들, 흐름도들로서 또는 일부 다른 도면 표현을 사용하여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블록들, 장치들, 시스템들, 기술들 또는 방법들은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 회로들 또는 로직, 범용 하드웨어 또는 제어기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로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타겟이 되는 실제 또는 가상 프로세서 상의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에 포함된 것들과 같은 머신 실행 가능 명령어들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 태스크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라이브러리들, 객체들, 클래스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모듈들의 기능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모듈들 간에 결합되거나 또는 분할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에 대한 머신 실행 가능 명령어들은 로컬 또는 분산형 디바이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로컬 및 원격 저장 매체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기재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제공되어, 프로그램 코드들이,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의해 실행될 때,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에서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이 구현되게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머신 상에서 전체적으로, 머신 상에서 부분적으로, 스탠드얼론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는 머신 상에서 부분적으로는 원격 머신 상에서, 또는 원격 머신 또는 서버 상에서 전체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일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머신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머신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들은 하나 이상의 배선을 갖는 전기 커넥션,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디바이스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 실행 가능 명령어들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 태스크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객체들, 컴포넌트들, 로직,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격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에 의해 태스크들이 수행되는 분산형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저장 매체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동작들이 특정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원하는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특정 상황들에서는, 멀티 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특정 구현의 세부사항들이 상기 논의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대한 제한들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 실시예들에 특정될 수 있는 피쳐들에 대한 설명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별개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피쳐들은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피쳐들은 또한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이 구조적 피쳐들 및/또는 방법론적 동작들에 특정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개시내용이 반드시 상술한 특정 피쳐들 또는 동작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상술한 특정 피쳐들 및 동작들은 청구 범위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형태들로서 개시된다.

Claims (26)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소스 셀로부터 보충 자원(supplemental resource)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보충 자원은 상기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가 시작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시작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이머가 중단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의 만료에 응답하여,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의 만료에 응답하여, 셀 선택 프로시져와 연관된 추가 타이머가 중단되거나 또는 만료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셀 선택 프로시져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후에 수행됨 -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GNSS) 타이밍, 및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공통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이머를 조정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이머가 중단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시작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NSS) 타이밍,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공통 타이밍, 및
    상기 타겟 셀의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이머를 조정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T304인 방법.
  1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게 하는 단계 - 상기 보충 자원은 상기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함 -
    를 포함하는 방법.
  12.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장치로서,
    소스 셀로부터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 상기 보충 자원은 상기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함 -
    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이머가 시작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시작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타이머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이머가 중단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이머의 만료에 응답하여,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이머의 만료에 응답하여, 셀 선택 프로시져와 연관된 추가 타이머가 중단되거나 또는 만료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셀 선택 프로시져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후에 수행되는 장치.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NSS) 타이밍, 및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공통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이머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중단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이머가 중단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시작으로서 결정하고,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재구성이 수신되는 시점을 상기 시간 인터벌의 종료로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NSS) 타이밍,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공통 타이밍, 및
    상기 타겟 셀의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이머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T304인 장치.
  22.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장치로서,
    보충 자원에 관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핸드오버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와 연관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의 전환 기간 내에 시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 상기 보충 자원은 상기 결정된 시간 인터벌 내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함 -
    를 포함하는 장치.
  23.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유형으로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5.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1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유형으로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1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87028315A 2016-04-01 2017-02-23 핸드오버에서의 자원 구성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133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078389 2016-04-01
CNPCT/CN2016/078389 2016-04-01
PCT/CN2017/074509 WO2017076373A2 (en) 2016-04-01 2017-02-23 Method and device for resource configuration in hand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217A true KR20180120217A (ko) 2018-11-05
KR102133899B1 KR102133899B1 (ko) 2020-07-15

Family

ID=5866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315A KR102133899B1 (ko) 2016-04-01 2017-02-23 핸드오버에서의 자원 구성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200921B2 (ko)
EP (1) EP3195655B1 (ko)
JP (1) JP6917390B2 (ko)
KR (1) KR102133899B1 (ko)
CN (1) CN108886728A (ko)
BR (1) BR112018070144A2 (ko)
HK (1) HK1258083A1 (ko)
WO (1) WO20170763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997A1 (en) 2017-06-15 2018-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102604568B1 (ko) * 2017-09-27 2023-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V2x 시스템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
BR112020018842A2 (pt) 2018-03-16 2021-02-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ositivos e métodos para comunicação d2d
KR20200034531A (ko) * 2018-09-21 202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082903B2 (en) 2018-12-03 2021-08-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handover in non-terrestrial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WO2021029079A1 (ja) * 2019-08-15 2021-02-18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
CN112584447A (zh) * 2019-09-29 2021-03-30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方法
CN113473546A (zh) * 2021-07-15 2021-10-0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终端切换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8937A1 (zh) * 2014-05-09 2015-11-12 富士通株式会社 资源选择装置和通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8473A1 (en) * 1999-05-26 2000-12-06 Motorola, Inc. Group handov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GB2389753B (en) * 1999-05-28 2004-02-25 Nec Corp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771964B1 (en) * 1999-09-24 2004-08-03 Nokia Networks Handover betwe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systems
US6810256B2 (en) * 2000-01-03 2004-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the transcoding of connections handed off between mobile switching centers
GB2371172B (en) * 2001-01-10 2003-01-08 Ericsson Telefon Ab L M Paging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20040228491A1 (en) * 2003-05-13 2004-11-18 Chih-Hsiang Wu Ciphering activation during an inter-rat handover procedure
US7382750B2 (en) * 2003-07-02 2008-06-03 High Tech Computer Corp. Inter-RAT handover to UTRAN with simultaneous PS and CS domain sevices
DE602007009799D1 (de) * 2007-04-20 2010-11-25 Panasonic Corp Verbessertes Übertragungsschema für Protokolldateneinheiten während eines Vorgangs mit Zurücksetzung der Protokollschicht
KR101496900B1 (ko) * 2008-10-21 2015-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지피에스 수신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 저장 방법
CN101998553B (zh) * 2009-08-14 2013-07-3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资源的分配方法和设备
CN102244907B (zh) 2010-05-14 2015-05-27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中快速切换的方法和装置
JP5596883B2 (ja) * 2011-04-12 2014-09-2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ネットワーク再進入を行う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40171085A1 (en) * 2011-07-26 2014-06-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processing
CN104604318B (zh) * 2012-08-23 2019-03-12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向不同服务站点提供物理层资源
WO2014182213A1 (en) * 2013-05-10 2014-11-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over procedures for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4521252B (zh) * 2013-08-06 2019-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umts到lte的网络切换方法、设备及系统
WO2015095583A1 (en) * 2013-12-20 2015-06-25 Kyocera Corporation Handover of device-to-device (d2d) user equipment (ue) devices using d2d subframes with cell identifiers
CN105850203B (zh) * 2013-12-30 2019-07-09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基于邻近的服务的方法和装置
EP3120596B1 (en) * 2014-03-21 2020-09-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aiting time for determination of radio link fail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60146B2 (en) * 2014-03-21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priority
WO2016021585A1 (ja) * 2014-08-05 2016-02-1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集積回路、および、通信方法
CN105338548A (zh) * 2014-08-06 2016-0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到设备资源池配置方法、装置及系统
CN104869654B (zh) * 2015-04-07 2018-06-19 北京邮电大学 一种资源调配系统、基站、设备及方法
CN107295454B (zh) 2016-03-31 2022-11-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的配置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8937A1 (zh) * 2014-05-09 2015-11-12 富士通株式会社 资源选择装置和通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6373A2 (en) 2017-05-11
EP3195655A4 (en) 2017-10-04
BR112018070144A2 (pt) 2019-02-05
JP2019512986A (ja) 2019-05-16
KR102133899B1 (ko) 2020-07-15
WO2017076373A3 (en) 2017-06-15
US10813021B2 (en) 2020-10-20
EP3195655B1 (en) 2020-01-29
US10200921B2 (en) 2019-02-05
US20170289874A1 (en) 2017-10-05
HK1258083A1 (zh) 2019-11-01
CN108886728A (zh) 2018-11-23
JP6917390B2 (ja) 2021-08-11
US20190174376A1 (en) 2019-06-06
EP3195655A2 (en)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899B1 (ko) 핸드오버에서의 자원 구성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08605253B (zh) 涉及侧链路通信的蜂窝切换的方法和装置
EP2958372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handover of user equipment group
JP2018026625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07113664B (zh) 用于设备到设备通信中切换的改进的报告
EP3711362B1 (en) Methods for mobility latency reduction in a hierarchical nr architecture
EP4152822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primary cell change
JP2024501544A (ja) 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方法
US9509594B2 (en) Mobile terminal preparation
US10172106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data transmission interruption during handovers
US11044642B2 (en) Data transmission during handover
US11146993B2 (en) Handover with postponed path switch
JP7464128B2 (ja) 端末デバイス、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および端末デバイスにより実行される通信の方法
JP7485100B2 (ja) 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通信の方法
US20240015616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of communication
US20230225004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s
WO2021174388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of communication
CN113348698B (zh) 终端设备的移动增强
CN116114303A (zh) 利用多个候选目标小区的服务小区改变过程
WO2024016364A1 (en) Methods, devices, and medium for communication
WO2023131514A1 (en) Coordinated mro for pscell change fai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