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789A -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 Google Patents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789A
KR20180119789A KR1020170053380A KR20170053380A KR20180119789A KR 20180119789 A KR20180119789 A KR 20180119789A KR 1020170053380 A KR1020170053380 A KR 1020170053380A KR 20170053380 A KR20170053380 A KR 20170053380A KR 20180119789 A KR20180119789 A KR 20180119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vehicle
lid
electric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527B1 (ko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이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희 filed Critical 이상희
Priority to KR102017005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52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78Traffic orientation, street mark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82Emblems, e.g. fixed by pins or screw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 전기작업차량을 정차시켜 전기작업을 이루고자 할 때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작업차량의 정차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일면에 개구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차량의 하중보전과 수평을 잡아주는 차량지지대에 체결수단을 통하여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와 덮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폴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1전광판과 대응되는 제2전광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서 전기작업을 이루고자 할 때 전기작업차량의 작업상태를 도로의 보행자나 차도의 차량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전기작업차량의 작업과정에서 작업차량의 이동에 따라 안전 표지판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한 없이 작업차량에 구비된 전광판을 통하여 작업상태를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고휘도 LED가 장착된 전광판의 구성을 통하여 차도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표지판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과 제2전광판의 구성을 통하여 전기작업의 작업상태와, 이에 따른 차량의 진로방향을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어, 작업차량의 운행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함은 물론이고, 작업차량의 정차로 인한 교통정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제1전광판, 제2전광판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더라도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제1전광판, 제2전광판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도 구비된 후부반사판의 구성을 통하여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작업차량의 정차상태를 안정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ELECTRIC BULLETIN BOARD FOR SUPPORTER OF CAR STRUCTURE}
본 발명은 도로에서 전기공사 작업을 실시할 시, 전기작업의 실시를 알릴 수있는 표지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에서 전기작업을 이루는 작업차가 정차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도로를 주행하는 일반차량 운전자에게 전기공사 작업의 실시를 인지하도록 하여 일반차량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도로 표지판이란,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표지판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로 표지판은,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서 전기, 수도, 가스 작업등을 이루는 경우, 이러한 작업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도로의 노측 도는 차도에 올려놓아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문헌(1)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공사장이나 도로에 설치하여 도로를 걷는 보행자나 차도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전기, 수도, 가스 작업의 작업중임을 인지시켜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작업상태를 인식시킬 수 있는 안전 표지대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안전 표지대는 일반적으로 널이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특히, 인도를 걷고 있는 보행자에게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작업중임을 쉽게 알릴 수 있으나,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하여 높은 시인성을 제공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안전 표지대는 작업자가 일일이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 안전 표지대의 설치와 수거를 이루어야 함으로써, 작업을 이루는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안전 표지대의 위치를 매번 변경하며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문헌(2)에서와 같이,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도로공사 표지대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도로공사 표지대는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위치의 이동 변경이 용이하고, 차도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나, 문헌(3)에서와 같은 특수 차량에는 손쉽게 적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전기작업을 이루기 위한 종래의 전기차량과 같은 경우에는 문헌(3)에서와 같이, 이동을 이루는 차량의 상부로 각종 전기설비와 공구장치(크레인, 윈치, 리프트, 단자압착기, 케이블절단기, 천공기) 등이 탑재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문헌(2)와 같은 도로공사 표지대를 차량의 상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종래의 각종 표지대 등은 차도를 운행하는 작업차량에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사용상의 불편함과 이로 인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의 불필요한 증대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7740호(2006.03.2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0454호(2016.12.21)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26730호(2003.09.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서 전기작업을 이루고자 할 때 전기작업차량의 작업상태를 도로의 보행자나 차도의 차량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전기작업차량의 작업과정에서 작업차량의 이동에 따라 안전 표지판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한 없이, 작업차량에 구비된 전광판을 통하여 작업상태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종래의 안전 표지판이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후부반사경의 반사되는 빛만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문제를 개선하여, 고휘도 LED가 장착된 전광판의 구성을 통하여 차도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표지판을 확보하고, 이에 따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과 제2전광판의 구성을 통하여 전기작업의 작업상태와, 이에 따른 차량의 진로방향을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어, 작업차량의 운행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함은 물론이고, 작업차량의 정차로 인한 교통정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제1전광판, 제2전광판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더라도 다른 하나를 편리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고, 손상되지 않은 제1전광판 또는 제2전광판을 통하여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작업차량의 작업상태를 안정적으로 알릴 수 있으며, 덮개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후부반사판의 구성을 통하여 제1전광판, 제2전광판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도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작업차량의 정차상태를 안정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특징적인 구성은, 일면에 개구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차량의 하중보전과 수평을 잡아주는 차량지지대에 체결수단을 통하여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와 덮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폴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1전광판과 대응되는 제2전광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폴딩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케이스와 덮개를 연결하는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덮개를 개폐시키는 리니어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수단과 대응되는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의 외측면에는 후부반사판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지지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고, 돌출이 이루어진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지지대와 케이스 간의 결합시, 상기 지지프레임에 케이스가 밀착되게 위치된 후 상기 결합공 및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지지대는 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결합공 및 체결공을 관통 결합하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체인, 후크, 접착패스너, 접착테이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고정수단과 대응되는 체인, 후크, 접착패스너, 접착테이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서 전기작업을 이루고자 할 때 전기작업차량의 작업상태를 도로의 보행자나 차도의 차량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전기작업차량의 작업과정에서 작업차량의 이동에 따라 안전 표지판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한 없이 작업차량에 구비된 전광판을 통하여 작업상태를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고휘도 LED가 장착된 전광판의 구성을 통하여 차도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표지판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과 제2전광판의 구성을 통하여 전기작업의 작업상태와, 이에 따른 차량의 진로방향을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어, 작업차량의 운행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함은 물론이고, 작업차량의 정차로 인한 교통정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제1전광판, 제2전광판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더라도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제1전광판, 제2전광판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도 구비된 후부반사판의 구성을 통하여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작업차량의 정차상태를 안정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케이스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케이스와 덮개의 연결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케이스와 덮개에 LED램프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다른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와 덮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일면에 개구(10a)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차량(1)의 하중보전과 수평을 잡아주는 차량지지대(2)에 체결수단(15)을 통하여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개구(10a)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20)와,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폴딩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41)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20)는 상기 제1전광판(41)과 대응되는 제2전광판(42)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은 도 1 내지 도 5, 도 8에서와 같이, 전기작업 차량(1)의 지지대(2)에 케이스(10)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덮개(20)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는, 도 1 내지 도 5,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작업을 이루기 위한 차량(1)의 지지대(2)에 상기 케이스(10)를 체결수단(15)을 통하여 결합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0)에는 덮개(20)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 구성한 후에,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복수개의 LED램프(L)가 구비된 제1전광판(41)을 설치 구성하고, 상기 제1전광판(41)과 마주보는 덮개(20)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LED램프(L)가 구비된 제2전광판(42)을 설치 구성한다.
상기 LED램프(L)는 종래의 전광판에 적용되는 LED램프(L)와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은 상기 LED램프(L)를 구비한 구성으로 전기작업을 이루는 차량(1)에서 전달되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작동이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배터리(미도시)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에 구비된 LED램프(L)의 선택적인 발광과 LED램프(L)를 통한 문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전기작업을 이루는 차량(2)이 운행을 이루거나, 정차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와 결합 된 덮개(20)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에 구비된 LED램프(L)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전기작업 차량(1)이 위치된 도로 또는 차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와, 차량의 운전자에게 작업차량(1)의 운행 위치 또는 정차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동일한 문자나 문양이 나타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이 각각 다른 문자나 문양을 나타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은 차량(1)의 방향지시등과 대응되는 방향이 나타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1)이 차도를 운행하는 경우에는 차량(1)의 이동 방향이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에 표시될 수 있게 하여 전기작업을 이루기 위한 차량(1)의 이동과정에서도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1)의 운행방향과 정차하고자 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의 방향지시등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제어장치(미도시)와 연결하여 상기 차량제어장치(미도시)의 작동에 연동을 이루며 작동되도록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의 LED램프(L)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별도의 제어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에 구비된 LED램프(L)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 및 덮개(20)는 차량(1)의 지지대(2)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나 환경에 손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스(10) 및 덮개(20)를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내측으로 상술한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의 설치가 이루어진 케이스(10)와 덮개(20)를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호 개폐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시한 도 1, 도 2, 도 4,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개폐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폴딩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폴딩장치(30)는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31)와,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를 연결하는 회전링크(32)와, 상기 회전링크(32)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32)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덮개(20)를 개폐시키는 리니어액츄에이터(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폴딩장치(30)를 도시한 도 1, 도2, 도 4, 도 5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모터(3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또는 구비된 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을 통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모터(31)를 사용하며, 상기 리니어액츄에이터(33)는 상기 모터(31)와 회전링크(33)를 연결하고, 상기 모터(3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링크(3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여 구성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모터(31)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또는 구비된 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을 통하여 회전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리니어액츄에이터(33)에 구비된 바(33a)가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연결 방향으로 수평방향 이동을 이루게 되며, 상기 바(33a)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바(33a)와 연결된 회전링크(32)가 케이스(10)와 덮개(20)의 연결 방향으로 수평방향 이동을 이루며, 상기 덮개(20)의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바(33a)가 케이스(10)와 연결된 덮개(2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33a)와 연결된 회전링크(32)가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를 이루며, 상기 케이스(10)에 연결된 덮개(20)가 열리도록 하는 것이고, 이와 반대로 상기 바(33a)가 덮개(20)와 연결된 케이스(1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33a)와 연결된 회전링크(32)가 접히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0)에 연결된 덮개(20)가 케이스(10)의 일면을 가리도록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폴딩장치(30)는 상기 케이스(10)와 덮개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또는 구비된 배터리(미도시)의 전원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이외에도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으로 고정수단(11)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덮개(2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수단(11)과 대응되는 걸림수단(1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11)과 걸림수단(12)의 구성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가 결합을 이룬 경우, 상기 고정수단(11)과 걸림수단(12)을 결합하여 결합이 이루어진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가 결합을 이룬 후에 상기 고정수단(11)과 걸림수단(12)의 구성을 통하여 상호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11)과 걸림수단(12)을 삭제하고, 상술한 폴딩장치(30)의 회전링크(32) 상태에 따라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결합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폴딩장치(30)의 회전링크(32)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신호 없이는 상기 회전링크(32)의 이동을 이루는 모터(31)와 리니어액츄에이터(33)가 작동을 이루지 못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회전링크(32)의 접힌 상태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지하여, 상기 회전링크(32)와 연결된 케이스(10)와 덮개(20)의 위치를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에서는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1)이 후크형태를 이루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고정수단(11)은 체인, 후크, 접착패스너, 접착테이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수단(12)은 상기 고정수단(11)과 대응되는 체인, 후크, 접착패스너, 접착테이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고정수단(11)과 걸림수단(12)의 구성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폴딩장치(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개폐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삭제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개폐를 조절하고,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가 결합 된 상태에서는 견고하게 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20)에는 회전링크(32)와 연결되는 별도의 이동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고정수단(11)과 걸림수단(12)의 결합 되는 구성 또는 상기 폴딩장치(30)를 통한 케이스(10)와 덮개(20)의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는 구성 이외에도, 상기 폴딩장치(30)의 회전링크(32) 이동에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10)와 연결된 덮개(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이동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회전링크(3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미도시)가 이동되며, 상기 케이스(10)와 연결된 덮개(20)의 개페 과정을 용이하게 이루고,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결합 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덮개(20)의 외측면에는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후부반사판(22)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후부반사판(22)은 종래의 후부반사판(22)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후부반사판(22)은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내측에 구비된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이 구비된 LED램프(L)의 고장 또는 전원공급의 문제로 그 기능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도, 도로 또는 차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와 차량의 운전자에게 구비된 후부반사판(22)의 반사되는 빛을 인식시킴으로써, 전기작업을 이루는 차량(1)의 위치를 도로 또는 차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와 차량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 있도록 하여 최소한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차량지지대(2)와 케이스(10)를 결합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케이스(10)가 결합을 이루는 차량지지대(2)에는 케이스(10)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고, 돌출이 이루어진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3a)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3)을 설치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결합공(3a)과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0b)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차량지지대(2)와 케이스(10) 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3)의 일면으로 상기 케이스(10)가 밀착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결합공(3a) 및 체결공(10b)에 체결수단(15)을 결합하여 차량지지대(2)의 일측에 케이스(10)가 밀착되는 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결합을 통하여, 전기작업을 이루는 차량(1)의 차량지지대(2)와 케이스(10)의 결합을 편리하고 손쉽게 이룰 수 있으며,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전광판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차량지지대(2)와 손쉽게 분리하여 교체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차량지지대(2)는 램프(3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수단(15)은 상기 결합공(3a) 및 체결공(10b)을 관통 결합하는 볼트로 구성된다.
이는, 상술한 램프(3b)의 점등되는 불빛을 통하여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전체적인 시인성을 더욱 높임으로써, 도로 또는 차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와 차량 운전자에게 전기작업을 이루는 차량(1)의 이동방향과 정차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기 체결수단(15)을 볼트로 구성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지대(2)와 케이스(10)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견고하게 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체결수단(15)은 나사, 못, 체인, 고리 등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2: 차량지지대 3: 지지프레임
3a: 결합공 3b: 램프
10: 케이스 10a: 개구
10b: 체결공 11: 고정수단
15: 체결수단 20: 덮개
21: 걸림수단 22: 후부반사판
30: 폴딩장치 31: 모터
32: 회전링크 33: 리니어액츄에이터
41: 제1전광판 42: 제2전광판
L: LED램프

Claims (7)

  1. 일면에 개구(10a)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차량(1)의 하중보전과 수평을 잡아주는 차량지지대(2)에 체결수단(15)을 통하여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개구(10a)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20)와,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폴딩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41)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20)는 상기 제1전광판(41)과 대응되는 제2전광판(4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장치(3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31)와,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를 연결하는 회전링크(32)와,
    상기 회전링크(32)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31)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덮개(20)를 개폐시키는 리니어액츄에이터(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고정수단(11)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2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수단(11)과 대응되는 걸림수단(2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의 외측면에는 후부반사판(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지지대(2)는
    상기 케이스(10)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고, 돌출이 이루어진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3a)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3)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결합공(3a)과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0b)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지지대(2)와 케이스(10) 간의 결합시, 상기 지지프레임(3)에 케이스(10)가 밀착되게 위치된 후 상기 결합공(3a) 및 체결공(10b)에 체결수단(15)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지지대(2)는 램프(3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15)은
    상기 결합공(3a) 및 체결공(10b)을 관통 결합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1)은 체인, 후크, 접착패스너, 접착테이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걸림수단(11)은 상기 고정수단(11)과 대응되는 체인, 후크, 접착패스너, 접착테이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KR1020170053380A 2017-04-26 2017-04-26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KR101935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380A KR101935527B1 (ko) 2017-04-26 2017-04-26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380A KR101935527B1 (ko) 2017-04-26 2017-04-26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89A true KR20180119789A (ko) 2018-11-05
KR101935527B1 KR101935527B1 (ko) 2019-01-04

Family

ID=6432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380A KR101935527B1 (ko) 2017-04-26 2017-04-26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5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565B1 (ko) * 2019-12-16 2020-07-21 박동석 차량 탑재용 이동식 사인보드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2272634B1 (ko) * 2021-01-11 2021-07-06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긴급차량용 확장형 전광판
KR102605422B1 (ko) * 2023-05-22 2023-11-23 세화자동차주식회사 도로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사인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04B1 (ko) * 2019-05-29 2019-10-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641307B1 (ko) * 2021-12-20 2024-02-27 한중희 회전형 안내표지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740B1 (ko) * 2003-07-18 2006-04-04 (주)현대공업 안전 표지대
US7347017B2 (en) 2005-05-24 2008-03-25 Shaffer Jr John Ripley Mobile advertising frame
US7535343B1 (en) 2007-02-09 2009-05-19 Pinckney Michael M Holding device attachable to a vehicle
ES1142231Y (es) 2015-07-09 2015-11-03 Zazpe Ibán Olaciregui Pancarta de seguridad incorporada en vehículo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565B1 (ko) * 2019-12-16 2020-07-21 박동석 차량 탑재용 이동식 사인보드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2272634B1 (ko) * 2021-01-11 2021-07-06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긴급차량용 확장형 전광판
KR102605422B1 (ko) * 2023-05-22 2023-11-23 세화자동차주식회사 도로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사인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527B1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527B1 (ko)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US6496123B2 (en) Portable traffic light
KR101219104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장치
KR102133565B1 (ko) 차량 탑재용 이동식 사인보드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449662B1 (ko) 자동차 비상상태 표시시스템
US5523926A (en) Industrial van
JP2004011183A (ja) 交通指示ロボット
KR102270160B1 (ko) 접이식 발광표지판
KR200458467Y1 (ko) 싸인보드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견인식 싸인보드 트레일러
KR101388725B1 (ko) 자동차용 화살표 표지판
KR20170085669A (ko) 다양한 설치구조와 표시기능을 갖는 차량용 위험 알림장치
KR102110959B1 (ko) 도로공사 안내용 방향 표시장치
KR200379180Y1 (ko) 스탠드형 도로용 표지판
KR200338433Y1 (ko) 도로용 안내표시판
KR101823654B1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100599243B1 (ko) 차량 유도장치가 구비된 도로의 가드레일
KR200360002Y1 (ko) 라이트와 엘이디 전구가 장착된 횡단 보도용 교통 안전표지판
CN215814555U (zh) 预警机器人
CN1175144C (zh) 遥控式防逃逸车辆拦截器
KR20140144318A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
KR101728493B1 (ko) 차량용 도로표시판 식별장치
KR200447439Y1 (ko) 교통 안내용 신호기
KR19980060889U (ko) 위험 경고장치
JPH0612016Y2 (ja) 踏切標識
KR20190100574A (ko) 방향 표시용 러버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