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318A -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 - Google Patents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318A
KR20140144318A KR20130065606A KR20130065606A KR20140144318A KR 20140144318 A KR20140144318 A KR 20140144318A KR 20130065606 A KR20130065606 A KR 20130065606A KR 20130065606 A KR20130065606 A KR 20130065606A KR 20140144318 A KR20140144318 A KR 20140144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guide plate
guide
sig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일
Original Assignee
주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일 filed Critical 주영일
Priority to KR2013006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4318A/ko
Publication of KR20140144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안내표지판 내지 전광판이 필요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도로 상황이나 보수가 필요할 때 손쉽게 전광판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도로 차단 없이도 안전한 보수를 제공하고, 최적 위치에 전광판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 및 도로 안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안내판 설치를 위해 고정 지지되는 것으로 통상의 전신주, 철재 빔 또는 타워크레인 구조물의 다양하게 적용하여 도로의 일측에 위치하여 안내판 설치를 위해 고정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부에 일정의 높이에 위치하고 지지부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안내판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이동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바, 상기 이동바의 일측에 위치하여 도로의 이정표, 고속도로의 방향 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LED 소자가 부설되어 설치되는 안내판, 상기 지지부 상부 일측에 고정부설되어 태양열에 의해 전원이 충전되고, 상기 이동바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설된 안내판의 LED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열 축전지, 상기 이동바에 일측에 부설된 안내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내롤러의 회전에 따라 구동와이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내판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동작하는 이송수단,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이송수단을 구동하거나 안내판에 부설된 LED 소자의 발광부재에 이정표 표시, 도로 방향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를 표시하도록 이송수단, 이동바 및 안내롤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패널 및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안내판에 표시될 도로표시, 안내문구 등의 도로정보를 입력하는 원격조정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도로안내판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 또는 도형에 엘이디 발광수단을 두어 야간에 운전자에게 도로안내판의 도로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A signpost contained moving device enable location adjustment}
본 발명은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통 안내표지판 내지 전광판이 필요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도로 상황이나 보수가 필요할 때 손쉽게 전광판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도로 차단 없이도 안전한 보수를 제공하고, 최적 위치에 전광판이 위치되도록 하므로써 광고효과 및 도로 안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운전자 등에게 도로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도로표지판, 도로 안내판, 시선유도등과 같은 시설물들이 설치되거나, 주행중 주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각종 정보나 사고사실 예정 시간 등을 표시하기 위한 전광판이 설치되기도 한다.
특정지역의 명칭 아래 현재의 위치에서 남아있는 거리를 안내하여 주는 등의 행선지표시나 방향표시, 거리표시 등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 상황을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안내판은 운전자가 운행하는 도로의 정면으로 보이도록 비교적 크게 제작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상적인 주의력만으로도 그 내용을 잘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야간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나 크기에 의한 주의력 환기는 별로 유용하지가 않다. 도로 주변의 가로등이 있는 경우라 할지라도 밤에는 운전자가 도로 안내판의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안내판의 문자 또는 도형은 형광도료로 도색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나 이 또한 장시간이 지나게 되면 야광이 바래게 되고 빛이 흐려지는 문제가 생기게 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문자 또는 도형색 표면에 다시 형광시트를 부착하였으나 이 또한 접착력이 약해 비에 노출되게 되면 떨어져 안내판의 미관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종래 고속 도로를 포함한 각종 도로에 설치되는 안내 표지판 및 전광판은 고정식으로 설치되는데, 도로의 폭이 좁은 경우 일측에 지주를 세우고 지주 상단에 횡으로 가로질르는 횡바를 연결하여 그 횡바에 안내 표지판이나 전광판 등을 고정 설치하고 있으며, 도로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도로 양측에 지주나 빔을 세워 그 사이를 횡바로 연결한 후 필요 위치에 안내 표지판이나 전광판 등을 고정 설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교통 안내표지판 내지 전광판이 위치 고정되어 있는 경우 도로의 폭이나 상황이 변하거나, 보수가 필요할 때와 같이 필요에 의해 위치를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안내표지판 내지 전광판을 위치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도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작업대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일일이 작업대 위로 올라가서 인위적으로 고정상태를 풀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우 도로 정체는 물론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통 안내표지판 내지 전광판이 필요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도로 상황이나 보수가 필요할 때 손쉽게 전광판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도로 차단 없이도 안전한 보수를 제공하고, 최적 위치에 전광판이 위치되도록 하므로써 광고효과 및 도로 안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엘이디)만으로 구성되어 주간에는 일반 도로표지판과 같이 사용되고 야간에는 태양광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지명표시나 방향표시를 LED로 조사하여 운전자가 도로상황을 쉽게 파악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은, 안내판 설치를 위해 고정 지지되는 것으로 통상의 전신주, 철재 빔 또는 타워크레인 구조물의 다양하게 적용하여 도로의 일측에 위치하여 안내판 설치를 위해 고정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부에 일정의 높이에 위치하고 지지부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안내판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이동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바, 상기 이동바의 일측에 위치하여 도로의 이정표, 고속도로의 방향 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LED 소자가 부설되어 설치되는 안내판, 상기 지지부 상부 일측에 고정부설되어 태양열에 의해 전원이 충전되고, 상기 이동바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설된 안내판의 LED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열 축전지, 상기 이동바에 일측에 부설된 안내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내롤러의 회전에 따라 구동와이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내판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동작하는 이송수단,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이송수단을 구동하거나 안내판에 부설된 LED 소자의 발광부재에 이정표 표시, 도로 방향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를 표시하도록 이송수단, 이동바 및 안내롤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패널 및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안내판에 표시될 도로표시, 안내문구 등의 도로정보를 입력하는 원격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상기 조작패널은 상기 원격조정기 사용자가 안내판 내에 표시하고자 하는 안내판 문구, 도로의 이정표, 고속도로의 방향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 등을 수신하여 안내판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신호송출을 제어하거나, 이송수단을 구동하여 안내판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안내판 표시 및 위치 조절에 필요한 조작패널의 제반적인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조정기에서 전송된 안내판 문구, 도로의 이정표시, 고속도로의 방향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해당 정보를 안내판 일측에 구비된 발광부재로 전송하여 LED 소자를 통해 해당 수신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해당 입력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안내판 필요정보를 안내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동하거나, 상기 안내판의 위치를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동작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고 상기 구동부를 통해 표시된 안내판의 필요정보 또는 이송수단을 통해 고정된 위치 정보값을 표시하는 상태확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안내판의 후면에 고정설치되는 PCB기판과 상기 PCB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바 일측에 구성된 통공에 삽입 관통되어 설치되는 LED와 상기 PCB기판의 전력공급선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용의 전지셀를 구비한 태양열축전지와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PCB기판은 통상의 리벳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안내판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안내판에 밀착되는 측면 및 후면에 실리콘막을 도포하여 안내판의 후면에 부착시킴으로서 비 또는 안개등의 수분에 의한 누전을 막아 전기적 쇼트현상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은, 교통 안내표지판 내지 전광판이 필요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도로 상황이나 보수가 필요할 때 손쉽게 전광판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도로 차단 없이도 안전한 보수를 제공하고, 최적 위치에 전광판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 및 도로 안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은, LED(엘이디)만으로 구성되어 주간에는 일반 도로표지판과 같이 사용되고 야간에는 태양광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지명표시나 방향표시를 LED로 조사하여 운전자가 도로상황을 쉽게 파악하여 안전운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은 고속도로를 포함한 모든 도로에 광고와 아울러 도로 정보 등을 LED 발광소재를 통해 표시하여 인식할 수 있어 도로 상황에 맞추어 그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안내판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 또는 도형에 엘이디 발광수단을 두어 야간에 운전자에게 도로안내판의 도로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안전을 위한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은 엘이디 발광수단이 구비된 도로안내판을 적용함으로써 발광수단으로 교체가 필요없는 엘이디를 채용하고 이의 전원수단으로 자체 전력공급이 가능한 태양열축전지를 사용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조작패널의 구동을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요부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요부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슬라이드 이동 동작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크게, 지지부(10), 이동바(20), 태양열축전지(30), 안내판(40), 이동수단(50), 조작패널(60) 및 원격조정기(70)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10)는 안내판(40) 설치를 위해 고정 지지되는 것으로 통상의 전신주, 철재 빔, 타워크레인 구조물 등의 다양하게 적용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도로에 설치하여 안내판(40)를 통해 도로의 이정표, 고속도로의 방향 표시를 위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바(20)는 지지부(10) 상부에 일정의 높이에 위치하고 지지부(10)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안내판(40)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이동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판(40)는 상기 이동바(20)의 일측에 위치하여 도로의 이정표, 고속도로의 방향 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LED 소자가 부설되어 설치된다.
상기 태양열 축전지(30)는 지지부(10) 상부 일측에 고정부설되어 태양열에 의해 전원이 충전되고, 상기 이동바(20)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설된 안내판(40)의 LED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수단(50)는 상기 이동바(20)에 일측에 부설된 안내판(4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송수단(50)의 구동신호에 따라 안내롤러(53)가 회전에 따라 구동와이어(55)의 구동에 의해 안내판(40)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동작된다.
상기 조작패널(60)은 원격조정기(70)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이송수단(50)을 구동하거나 안내판(40)에 부설된 LED 소자의 발광부재(45)에 이정표 표시, 도로 방향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를 표시하도록 이송수단(50), 이동바(20) 및 안내롤러(53) 등을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격조정기(7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안내판(40)에 표시될 도로표시, 안내문구 등의 도로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조작패널(60)의 구동을 위한 블록도로서, 상기 조작패널(60)은 제어부(61), 수신부(63), 전송부(65), 구동부(67) 및 상태확인부(69)로 구성되는데,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원격조정기(70) 사용자가 안내판(40) 내에 표시하고자 하는 안내판 문구, 도로의 이정표, 고속도로의 방향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 등을 수신하여 안내판(40)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신호송출을 제어하거나, 이송수단(50)을 구동하여 안내판(4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안내판(40) 표시 및 위치 조절에 필요한 조작패널의 제반적인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수신부(63)는 제어부(6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조정기(70)에서 전송된 안내판 문구, 도로의 이정표시, 고속도로의 방향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 등을 수신하게 되고, 상기 수신부(63)을 통해 수신된 해당 정보를 상기 제어부(61)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내판(40) 일측에 구비된 발광부재(45)로 전송하여 LED(49) 소자를 통해 해당 수신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전송부(65)를 통해 입력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구동부(67)는 상기 전송부(65)를 통해 전송된 안내판 필요정보를 안내판(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이송수단(50)을 통해 안내판(40)의 위치를 이송하여 특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하고, 해당 구동부(67)을 통해 표시된 안내판(40)의 필요정보 또는 이송수단(50)을 통해 고정된 위치 정보값을 상태확인부(69)를 통해 확인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요부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안내판(40)은 보통 10㎝ 내지 20cm 이상의 폭을 가지는 문자 또는 도형이 백색형광시트로 접착되거나 야광도료로 인쇄된다.
이때, 상기 안내판(40)의 문자 또는 도형의 획을 이루는 문양 중앙을 따라서는 이동바(20) 일측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공의 간격은 3~10㎝ 정도로 천공하며, 직경은 통상 엘이디(LED)(47)가 관통될 수 있는 5~7㎜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판(40)의 후면으로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부착될 수 있는 발광부재(45)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요부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발광부재(45)는 상기 안내판(40)의 후면에 고정설치되는 PCB기판(47)과 상기 PCB기판(47)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바(20) 일측에 구성된 통공에 삽입 관통되어 설치되는 LED(49)와 상기 PCB기판(47)의 전력공급선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용의 전지셀(도면부호 미도시)를 구비한 태양열축전지(30)와 연동되어 구성된다.
상기 PCB기판(47)은 통상의 리벳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안내판(40)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안내판(40)에 밀착되는 측면 및 후면에 실리콘막을 도포하여 안내판(40)의 후면에 부착시킴으로서 비 또는 안개등의 수분에 의한 누전을 막아 전기적 쇼트현상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양열축전지(30)는 상기 지지부(10) 일측에 고정부설되어 상기 안내판(40)의 발광부재(45)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태양열축전지(30) 내 부설된 광센서(31)을 통해 태양원을 수집하는데, 내부 컨트롤러(33)의 제어신호 즉, 일몰 후 일출시까지 전원공급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데, 이는 상기 발광부재(45)의 전원공급 및 차단을 조절하는 일몰과 일출에 따라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광센서(31) 또는 일몰과 일출시간이 입력되어 있어 일정한 시간에 전원공급 및 차단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광센서(31)를 이용할 경우 주위의 밝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일몰 시간 이전에도 주위가 어두워질 경우에는 자동으로 단계적 조명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의 슬라이드 이동 동작상태를 도시한 확대도로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지지부(10) 상부 일측에는 조작패널(60)이 구비되고, 조작패널(60)과 이송수단(50)로 횡으로 이동바(20)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이동바(20)는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에 횡으로 가로질러 도로 또는 안내판의 표시를 위해 전폭에 걸친 길이로 고정 부설되어 지지부(10) 및 도로 표지판의 구조물을 견고하게 연결 조립되고, 하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홈이 구성되어 이동홈을 통해 안내판(40)의 슬라이더 부재(42)가 걸어지게 설치되어 이동바(20)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판(4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 부재(42)와 이동바(20)의 내부 접촉 위치로는 안내판(30)이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슬라이드 베어링(도면부호 미도시)을 설치하여 구동된다.
상기 이동바(2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이동수단(50)은 조작판넬(60)의 구동신호에 따라 윈치(51)의 회전 방향에 따라 구동와이어(55)가 좌, 우로 순환되며 구동와이어(55)의 중간위치에 각각 설치된 안내판(40)을 좌우로 위치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동와이어(55)는 수개의 안내 롤러(53)들의 안내로 저항없이 윈치(5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선회된다.
한편, 상기 안내판(40)은 복수로 하나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일측 상행 방향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타측 하행 방향에 설치되어 자동차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상행선에 위치된 안내판(40)은 주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나 도로 상황 등을 LED(49)의 통공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어 표시토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로의 공사 등의 원인으로 도로 폭이나 기타 상황이 변하는 경우 조정실 내부의 조작판넬(60)의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설정된 안내표시 및 안내문구를 수신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판(40)를 좌우 슬라이드 이동시켜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지지부 20 : 이동바
30 : 태양열축전지
31 : 광센서 33 : 컨트롤러
40 : 안내판
42 : 슬라이드 부재 45 : 발광부재
47 : PCB 기판 49 : LED 소자
50 : 이송수단
51 : 윈치 53 : 안내롤러
55 : 구동와이어
60 : 조작패널
61 : 제어부 63 : 수신부
65 : 전송부 67 : 구동부
69 : 상태확인부
70 : 원격조정기

Claims (3)

  1. 안내판 설치를 위해 고정 지지되는 것으로 통상의 전신주, 철재 빔 또는 타워크레인 구조물의 다양하게 적용하여 도로의 일측에 위치하여 안내판 설치를 위해 고정 지지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 상부에 일정의 높이에 위치하고 지지부(10)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안내판(40)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이동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바(20),
    상기 이동바(20)의 일측에 위치하여 도로의 이정표, 고속도로의 방향 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LED 소자가 부설되어 설치되는 안내판(40),
    상기 지지부(10) 상부 일측에 고정부설되어 태양열에 의해 전원이 충전되고, 상기 이동바(20)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설된 안내판(40)의 LED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열 축전지(30),
    상기 이동바(20)에 일측에 부설된 안내판(4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내롤러(53)의 회전에 따라 구동와이어(55)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내판(40)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동작하는 이송수단(50),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이송수단(50)을 구동하거나 안내판(40)에 부설된 LED 소자의 발광부재(45)에 이정표 표시, 도로 방향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를 표시하도록 이송수단(50), 이동바(20) 및 안내롤러(53)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패널(60) 및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안내판(40)에 표시될 도로표시, 안내문구 등의 도로정보를 입력하는 원격조정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60)은
    상기 원격조정기(70) 사용자가 안내판(40) 내에 표시하고자 하는 안내판 문구, 도로의 이정표, 고속도로의 방향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 등을 수신하여 안내판(40)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신호송출을 제어하거나, 이송수단(50)을 구동하여 안내판(4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안내판(40) 표시 및 위치 조절에 필요한 조작패널의 제반적인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61),
    상기 제어부(6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조정기(70)에서 전송된 안내판 문구, 도로의 이정표시, 고속도로의 방향표시, 도로상의 필요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63),
    상기 제어부(61)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수신부(63)을 통해 수신된 해당 정보를 안내판(40) 일측에 구비된 발광부재(45)로 전송하여 LED(49) 소자를 통해 해당 수신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해당 입력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63),
    상기 제어부(6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송부(65)를 통해 전송된 안내판 필요정보를 안내판(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동하거나, 상기 안내판(40)의 위치를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이송수단(50)을 동작하는 구동부(67), 및
    상기 제어부(61)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고 상기 구동부(67)을 통해 표시된 안내판(40)의 필요정보 또는 이송수단(50)을 통해 고정된 위치 정보값을 표시하는 상태확인부(6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45)는
    상기 안내판(40)의 후면에 고정설치되는 PCB기판(47)과 상기 PCB기판(47)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바(20) 일측에 구성된 통공에 삽입 관통되어 설치되는 LED(49)와 상기 PCB기판(47)의 전력공급선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용의 전지셀을 구비한 태양열축전지(30)와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PCB기판(47)은
    통상의 리벳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안내판(40)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안내판(40)에 밀착되는 측면 및 후면에 실리콘막을 도포하여 안내판(40)의 후면에 부착시킴으로서 비 또는 안개등의 수분에 의한 누전을 막아 전기적 쇼트현상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
KR20130065606A 2013-06-10 2013-06-10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 KR20140144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606A KR20140144318A (ko) 2013-06-10 2013-06-10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606A KR20140144318A (ko) 2013-06-10 2013-06-10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318A true KR20140144318A (ko) 2014-12-18

Family

ID=5267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5606A KR20140144318A (ko) 2013-06-10 2013-06-10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43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28B1 (ko) 2015-07-07 2016-09-12 한림기술주식회사 연쇄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자주식 전광판
CN109448407A (zh) * 2018-11-19 2019-03-08 陈良财 一种基于远程控制交通疏导的智能交通信号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28B1 (ko) 2015-07-07 2016-09-12 한림기술주식회사 연쇄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자주식 전광판
CN109448407A (zh) * 2018-11-19 2019-03-08 陈良财 一种基于远程控制交通疏导的智能交通信号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89672U (zh) 一种道路路口红绿灯装置
KR101255678B1 (ko) 도로명 및 도로안내 표지판용 엘이디 조명기구
CN110782665A (zh) 一种无灯控平面交叉路口提示预警系统及提示预警方法
KR101325128B1 (ko) 주변 환경요인에 따라 내용이 변하는 스마트 led 도로표지판 시스템
KR20140144318A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이송수단이 구비된 도로 안내판
KR101492578B1 (ko) 도로 표지 및 교통 안전표지의 감시 제어 시스템
KR200397941Y1 (ko) 독립형 도로정보 제공장치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399469B1 (ko) 가변정보표지
KR101446063B1 (ko) 가변정보표지
KR101317203B1 (ko) 도로 표지장치
KR20130135577A (ko) 오엘이디의 면광원을 마련한 도로표지판
JP2008076577A (ja) 停電時避難誘導電柱
KR101605190B1 (ko) 절전형 led 표지 장치
KR20220056263A (ko) 능동형 도로 표지판 및 그 제어 방법
KR200410338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교통안전표지장치
KR20110100711A (ko) 인쇄방식의 오엘이디의 면광원을 마련한 도로표지판
KR100890378B1 (ko) 도로안내판
JP2013079498A (ja) 逆光対策道路標識板
KR200415033Y1 (ko) 고휘도 엘이디 주차유도 전광판
KR100949367B1 (ko) 레이저 조사 유니트
KR20160012595A (ko) 도로용 표지판
EP4270370A1 (en) Signage panel with rear display
KR200305648Y1 (ko) 광고 기능을 갖는 도로 표지판 장치
CN205140213U (zh) 一种智能交通标志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