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183A - 막분리 모듈의 파울링을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막분리 모듈의 파울링을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183A
KR20180119183A KR1020170052250A KR20170052250A KR20180119183A KR 20180119183 A KR20180119183 A KR 20180119183A KR 1020170052250 A KR1020170052250 A KR 1020170052250A KR 20170052250 A KR20170052250 A KR 20170052250A KR 20180119183 A KR20180119183 A KR 20180119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normal state
membrane filtration
filtration system
pump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670B1 (ko
Inventor
김수한
김민석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6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01D65/109Testing of membrane fouling or clogging, e.g. amount or affin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4Specific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means
    • B01D2313/243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70Control mean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r a computer
    • B01D2313/701Control mean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r a computer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70Control mean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r a computer
    • B01D2313/702Control mean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r a computer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은 원수로부터 막분리에 의해 여과수를 생성하는 막분리 모듈 및 막분리 모듈로 원수를 공급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막여과 시스템에서, 막여과 시스템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 및 진동 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이상 상태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MEMBRANE FILTRATION SYSTEM BEING CAPABLE OF DIAGNOSING SYTEM ANOMALY}
본 발명은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처리, 물 재이용, 해수담수와 등의 수처리 분야에 적용되는 막여과 시스템에서 막분리 모듈의 파울링과 같은 이상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막여과 시스템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기술로서, 상하수처리, 물 재이용, 해수 담수화 등 다양한 수처리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막여과 시스템에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 중 하나는 파울링(막오염 현상)이다. 파울링은 막여과 시스템의 에너지 소모량을 증가시키고 막 교체의 빈도를 증가시켜, 시스템 운영을 위한 경제성을 하락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파울링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어 있지만, 주로 랩스케일 규모의 연구에 한정되어 있었다. 또한, 막여과 시스템의 현장 운영자들이 가장 많이 요청하는 사항은 "파울링이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세정으로 회복이 되지 않기 때문에, 파울링 시작 시점을 최대한 빨리 파악하고 싶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파울링의 시작 시점에 적절히 막을 세정시킨다면, 파울링에 의한 에너지 효율의 감소 및 막 교체 비용과 관련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하지만, 유량, 압력 수질과 같은 현장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만으로는 파울링 시작 시점을 찾아내기가 매우 어렵다. 파울링이 일어나면 막의 투수율(단위 압력당 막 투과 플럭스)이 하락하지만, 투수율 하락의 원인은 파울링 뿐만 아니라 원수의 수온, 삼투압 등 다양하기 때문에, 단순한 투수율의 모니터링을 통해서 파울링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는 없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역삼투 막여과 공정의 경우 미국 ASTM에서는 파울링 외에 다른 영향을 배제시킨 표준화 지표를 제안하였고, 정밀여과/한외여과 공정의 경우 온도 영향이 보정된 표준화 지표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표준화 지표들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막의 온도계수, 물의 점성, 삼투압 등과 관련되는 이론식들이 모든 현장에서 잘 맞는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표준화 지표를 사용하더라도 데이터의 변동이 심해서 파울링 시작 시점의 파악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820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막여과 시스템에 설치된 진동 센서로부터 획득한 진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파울링과 같은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고 이에 따라 막 세정과 같은 필요한 조치를 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울링에 의한 에너지 효율의 감소 및 막 교체 비용 등과 관련되는 막여과 시스템의 운영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원수로부터 막분리에 의해 여과수를 생성하는 막분리 모듈 및 상기 막분리 모듈로 원수를 공급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막여과 시스템에서, 상기 막여과 시스템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 및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이상 상태 판별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 센서는 상기 펌프, 상기 막분리 모듈 또는 상기 펌프와 상기 막분리 모듈 사이의 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진동 센서는 감지된 진동 신호를 상기 이상 상태 판별부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 상태 판별부는 정상 상태에서 상기 펌프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 또는 압력에 따른 진동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감지된 진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이상 상태를 판별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 상태 판별부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의사결정트리(Decision tree),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중 어느 하나일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 상태 판별부는 상기 막분리 모듈의 파울링 상태를 판별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 상태 판별부는 상기 펌프의 이상 상태를 판별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 상태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를 관리자에게 무선으로 송신하는 시스템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에 따르면 시스템에 설치된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파울링과 같은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빠르게 진단하여 막 세정과 같은 조치를 취함으로써 시스템 운영비를 절감시킬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막분리 모듈로 원수를 공급시키는 펌프의 이상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비정상적인 시스템의 중단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파울링의 시작 시점에 막 세정을 수행하여 막여과 시스템의 최적 운영 상태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펌프를 통과하는 원수의 유량과 압력에 따른 진동 데이터를 각각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카올린에 의한 파울링 발생시 역삼투 시스템의 펌프에서 측정한 진동 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에서 소요되는 에너지 비중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펌프를 통과하는 원수의 유량과 압력에 따른 진동 데이터를 각각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4는 카올린에 의한 파울링 발생시 역삼투 시스템의 펌프에서 측정한 진동 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5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에서 소요되는 에너지 비중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의 막여과 시스템은 상하수처리, 물 재이용, 해수담수화 등의 수처리 분야에 적용되는 시스템으로 막분리 모듈(110) 및 펌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막분리 모듈(110)은 원수를 공급 받아 원수로부터 여과수 또는 농축수를 추출하도록 한다. 이때, 막분리 모듈(110)은 정삼투 막모듈 또는 역삼투 막모듈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단일의 막분리 모듈(110)을 도시하고 있으나, 막여과 시스템에 사용되는 막분리 모듈(110)은 복수 개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펌프(120)는 막분리 모듈(110)에 원수를 공급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막여과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은 진동 센서(130) 및 이상 상태 판별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진동 센서(130)는 막여과 시스템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한 진동 데이터는 후술하는 이상 상태 판별부(140)로 전송한다. 이때, 진동 센서(130)로부터 획득한 진동 데이터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이상 상태 판별부(140)로 송신될 수가 있다.
진동 센서(130)는 막여과 시스템의 막분리 모듈(110), 펌프(120), 펌프(120)와 막분리 모듈(110) 사이의 배관 등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각 단위 부품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가 있다. 상기 막분리 모듈(110), 펌프(120) 및 펌프(120)와 막분리 모듈(110) 사이의 배관은 파울링 등과 같은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때 발생하는 진동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이다.
이상 상태 판별부(140)는 컴퓨터와 같은 연산 장치로 형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 센서(130)로부터 진동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한다. 이때,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라고 하면 막분리 모듈(110)에서의 파울링, 펌프(120)의 노후나 손상 등을 의미할 수가 있다.
막여과 시스템의 운전은 펌프(12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펌프(1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술한 펌프(120), 막분리 모듈(110), 배관 등의 구성 부품에 나타날 수가 있다. 또한, 각 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도 3의 (a)와 (b)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펌프(120)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과 압력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
만약 파울링으로 인해 막분리 모듈(110)의 막 표면에 오염물질이 축적된다면, 유체 저항이 바뀌기 때문에 펌프(120)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과 압력이 동일한 조건이라도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진동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이상 상태 판별부(140)는 정상 상태에서 펌프(120)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과 압력에 따른 진동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감지한 진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할 수가 있다.
이때, 진동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만으로는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가 없다. 도 3 및 도 4의 그래프의 진동 데이터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동일한 유량과 압력의 운전 조건에서도 시간에 따라서 진동이 일정하지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진동 데이터를 대표할 수 있는 평균이나 표준편차와 같은 통계적 수치를 이용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이상 상태 판별부(140)에서는 진동 데이터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 이용하여 이상 상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의사결정트리(Decision tree),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은 막여과 시스템의 구성 부품의 진동을 감지하여 파울링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펌프(120)의 노후나 손상과 같은 이상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5는 역삼투 해수담수화 시스템에서 에너지 소모 비율을 도시하고 있는데, 막분리 모듈(110)로 원수를 공급하는 펌프(120)에 의한 에너지 소모 비욜이 80% 이상으로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또한, 펌프(120)의 정지는 전체 시스템의 정지를 의미하므로 전체 막여과 시스템에서 펌프(120)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아주 중요함을 알 수가 있다.
이에, 이상 상태 판별부(140)는 진동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진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정상 상태의 진동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수신한 진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펌프(120)의 이상 상태도 감지함으로써, 펌프(120)의 이상에 따른 전체 막여과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운전 상황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시스템 상태 알림부는 이상 상태 판별부(140)에 의한 판별 결과를 막여과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이상 상태의 판별 결과를 무선으로 관리자의 무선 단말기(150)에 송신할 수가 있다. 이에, 관리자는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인지하여, 막 세정, 시스템 중단, 펌프(120)의 교체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막분리 모듈
120: 펌프
130: 진동 센서
140: 이상 상태 판별부
150: 무선 단말기

Claims (9)

  1. 원수로부터 막분리에 의해 여과수를 생성하는 막분리 모듈 및 상기 막분리 모듈로 원수를 공급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막여과 시스템에서,
    상기 막여과 시스템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 및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이상 상태 판별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센서는 상기 펌프, 상기 막분리 모듈 또는 상기 펌프와 상기 막분리 모듈 사이의 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센서는 감지된 진동 신호를 상기 이상 상태 판별부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태 판별부는 정상 상태에서 상기 펌프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 또는 압력에 따른 진동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감지된 진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태 판별부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막여과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의사결정트리(Decision tree),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중 어느 하나인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태 판별부는 상기 막분리 모듈의 파울링 상태를 판별하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태 판별부는 상기 펌프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태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를 관리자에게 무선으로 송신하는 시스템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KR1020170052250A 2017-04-24 2017-04-24 막분리 모듈의 파울링을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KR102041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250A KR102041670B1 (ko) 2017-04-24 2017-04-24 막분리 모듈의 파울링을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250A KR102041670B1 (ko) 2017-04-24 2017-04-24 막분리 모듈의 파울링을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183A true KR20180119183A (ko) 2018-11-02
KR102041670B1 KR102041670B1 (ko) 2019-11-07

Family

ID=6432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250A KR102041670B1 (ko) 2017-04-24 2017-04-24 막분리 모듈의 파울링을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6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093B1 (ko) 2020-10-15 2021-06-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여과막 손상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형 여과막 손상 판단 장치
KR20220067424A (ko) 2020-11-17 2022-05-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여과막의 내구연한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구연한 판단 장치
KR20220067411A (ko) 2020-11-17 2022-05-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여과막 노후도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여과막 노후도 판단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373A (ja) * 2006-03-09 2007-09-20 Toshiba It & Control Systems Corp 水処理用ろ過システムの膜損傷検出装置及び膜損傷検出方法
KR100950218B1 (ko) * 2009-09-09 2010-03-29 주식회사 한미엔텍 중공사막 모듈의 파손 감지장치
KR101068205B1 (ko) 2011-03-04 2011-09-28 박병선 파울링 저감을 위한 mbr조 어셈블리
US20130075331A1 (en) * 2010-06-10 2013-03-28 Ramila Hishantha Peiris Method for fluorescence-based fouling forecasting and optimization in membrane filtration operations
JP2014136210A (ja) * 2013-01-18 2014-07-28 Toshiba Corp 膜ファウリング診断・制御装置、膜ファウリング診断・制御方法及び膜ファウリング診断・制御プログラム
KR20150138940A (ko) * 2014-05-30 2015-12-1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중공사막 여과장치 및 그의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
US9375683B2 (en) * 2007-09-12 2016-06-28 Danisco Us Inc. Filtration with internal fouling contro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373A (ja) * 2006-03-09 2007-09-20 Toshiba It & Control Systems Corp 水処理用ろ過システムの膜損傷検出装置及び膜損傷検出方法
US9375683B2 (en) * 2007-09-12 2016-06-28 Danisco Us Inc. Filtration with internal fouling control
KR100950218B1 (ko) * 2009-09-09 2010-03-29 주식회사 한미엔텍 중공사막 모듈의 파손 감지장치
US20130075331A1 (en) * 2010-06-10 2013-03-28 Ramila Hishantha Peiris Method for fluorescence-based fouling forecasting and optimization in membrane filtration operations
KR101068205B1 (ko) 2011-03-04 2011-09-28 박병선 파울링 저감을 위한 mbr조 어셈블리
JP2014136210A (ja) * 2013-01-18 2014-07-28 Toshiba Corp 膜ファウリング診断・制御装置、膜ファウリング診断・制御方法及び膜ファウリング診断・制御プログラム
KR20150138940A (ko) * 2014-05-30 2015-12-1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중공사막 여과장치 및 그의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093B1 (ko) 2020-10-15 2021-06-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여과막 손상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형 여과막 손상 판단 장치
KR20220067424A (ko) 2020-11-17 2022-05-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여과막의 내구연한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구연한 판단 장치
KR20220067411A (ko) 2020-11-17 2022-05-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여과막 노후도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여과막 노후도 판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670B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9183A (ko) 막분리 모듈의 파울링을 판별하는 막여과 시스템
JP5079372B2 (ja) 膜分離方法および膜分離装置
US93147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verse osmosis predictive maintenance using normalization data
US109603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direct membrane monitoring
KR101706452B1 (ko) 분리막 이상상태 실시간 감지방법
JP2015100766A (ja) 異常検出機能を有する淡水化システム
WO2020152100A1 (en) Fouling type detection
JP2014237071A (ja) プラント故障予兆検知及び回復支援システム
JP7306826B2 (ja) 造水システムの物理洗浄工程トラブル判定プログラム及び物理洗浄工程トラブル判定装置、並びに記録媒体
WO2015198898A1 (ja) プラント異常予知装置、異常予知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Naessens et al. PCA as tool for intelligent ultrafiltration for reverse osmosis seawater desalination pretreatment
KR101753453B1 (ko) 중공사막 여과장치 및 그의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
JPH10286445A (ja) 膜分離装置
JP2005288220A (ja) 水質改質システム
JP2005087949A (ja) 膜ろ過装置の膜損傷の検知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WO2020071507A1 (ja) 水質プロファイルの作成方法、分離膜モジュールの検査方法及び水処理装置
JP4903464B2 (ja) 信頼性の高い膜の破断を検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3625561B1 (en) Membrane integrity monitoring in water treatment
KR100965135B1 (ko) 압전체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
Norafifah et al. A study of operational factors for reducing the fouling of hollow fiber membranes during wastewater filtration
JP2007152284A (ja) 膜処理装置及び膜損傷検知方法
JP2021102184A (ja) 浸漬型膜分離装置の異常判定方法及び浸漬型膜分離装置の異常判定装置
KR101530879B1 (ko) 여과막 손상 감시장치 및 그 방법
EP4355467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fluid and controlling a process in a membrane filtration plant
KR100462357B1 (ko)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59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0

Effective date: 201910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