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292A -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Heat exc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292A
KR20180118292A KR1020170051383A KR20170051383A KR20180118292A KR 20180118292 A KR20180118292 A KR 20180118292A KR 1020170051383 A KR1020170051383 A KR 1020170051383A KR 20170051383 A KR20170051383 A KR 20170051383A KR 20180118292 A KR20180118292 A KR 20180118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frigerant
refrigerant tube
weld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이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진 filed Critical 이용진
Priority to KR1020170051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8292A/en
Publication of KR20180118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2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28F9/0131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formed by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comprising: a refrigerant tube having a moving path,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therein; a header unit coupled with the refrigerant tube, and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main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a cut-off part longitudinally cut to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tub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flow path,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 members, which protrude from the main body to surround an end part of the refrigerant tu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t both facing end parts of the cut-off part; and a plurality of welding ribs formed at facing positions of the protrusion members and extended in a direction apart from the protrusion member to be welded by a worker. Accordingly, since the heat exchanger has the welding rib on the protrusion member formed to surround the refrigerant tu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 extended available welding range is provided between the header unit and the refrigerant tube, thereby providing advantages of strongly fixing the refrigerant tube to the header unit and enhancing work efficiency due to a relatively wide welding work space.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헤더유닛에 냉매튜브를 연결시 용접 가능 부분을 확장할 수 있도록 용접리브가 마련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exchanger having a welding rib for expanding a weldable portion when a refrigerant tube is connected to a header unit.

일반적으로, 냉장고, 에어컨 등에 구현되는 냉동사이클은 저온저압의 가스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승온승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가스냉매를 외기에 의해 냉각, 응축시켜 액체냉매로 변환시 키는 응축기와, 다른 부분의 직경에 비해 협소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모세관 및 상기 모세관을 통과한 액체냉매가 저압 상태에서 낮은 온도로 증발함에 따라 냉장고의 고내 또는 에어컨에서 송풍되는 실내공기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BACKGROUND ART Generally, a refrigeration cycle implemented in a refrigerator, an air conditioner, or the like includes a compressor for raising and lowering a gas refrigerant at a low temperature and a low pressure to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and a gas cooler for cooling and condensing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compressor, A capillary for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liquid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condenser and a liquid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capillary are evaporated from a low pressure state to a low temperature, And an evaporator for absorbing the heat of the room air blown from the air conditioner.

여기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외기 등의 유체와 작동유체인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치 즉, 열교환기의 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serve as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a fluid such as outside air and a refrigerant as a working oil.

이러한 열교환기는 종래에 단면이 중공인 원형의 냉매튜브가 사행(蛇行)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밴딩되며, 상기 냉매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핀이 일정 간격으로 밀착되어 제공된다. 그러면, 상기 냉매튜브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상기 냉매튜브가 설치된 곳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냉각수 등과 같은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냉각핀이 열교환 면적과 열전도율을 높임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다.Conventionally, a circular refrigerant tube having a hollow section is bent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erpentine shape, and a plurality of cooling fins are closely attach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tub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n, heat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refrigerant tube and the fluid such as air or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tube. At this time, the heat-exchanging area and the heat conductivity are increased by the cooling fins, .

최근에는 열교환기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행 형상으로 밴딩된 냉매튜브는 종래의 냉매튜브 직경을 대폭 줄인 상태에서 상호 이격 적층시키고, 헤더유닛이 각각의 냉매튜브에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과 각각의 냉매 튜브에서 냉매가 토출되는 부분에 각각 구비되어 냉매튜브를 병렬로 연결한다. 이때, 헤더유닛에는 각각의 냉매튜브가 삽입 지지되는 용접공이 형성된다.Recently, a refrigerant tube bent in a serpentine shape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a heat exchanger has a structure in which refrigerant tubes are stack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ventional refrigerant tubes are greatly reduced in diameter, And the refrigerant tubes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portions where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refrigerant tubes, and the refrigerant tubes are connected in parallel. At this time, a welding hole is formed in the header unit in which the respective refrigerant tubes are inserted and supported.

그러면, 각각의 용접공에 냉매튜브를 삽입하고, 헤더유닛과 냉매튜브가 만나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열교환기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열교환기 경우, 냉매튜브와 헤더유닛 사이의 용접범위가 비교적 작아 헤더유닛에 냉매튜브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고, 헤더유닛과 냉매튜브 사이 공간이 비교적 협소하여 용접작업의 효율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Then, a refrigerant tube was inserted into each of the welders, and a portion where the header unit and the refrigerant tube meet was welded to manufacture a heat exchanger. However, in the conventional heat exchanger, since the welding range between the refrigerant tube and the header unit is relatively small, the refrigerant tube is not firmly fixed to the header unit, the space between the header unit and the refrigerant tube is relatively narrow, .

등록특허공보 제10-0901633호: 열교환기용 헤더Patent Registration No. 10-0901633: Header for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헤더유닛과 냉매튜브 사이에 비교적 넓은 용접 가능 범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용접리브가 마련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 exchanger which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equipped with a welding rib so as to provide a relatively wide welding range between the header unit and the refrigerant tu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이동경로가 형성된 냉매튜브와, 상기 냉매튜브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메인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메인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냉매튜브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절개부의 상호 대향되는 양측 단부에,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된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출부재가 마련된 헤더유닛과, 상기 돌출부재들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작업자에 의해 용접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용접리브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exchanger including: a refrigerant tube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the refrigerant tube having a main passage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so as to surround the end portions of the refrigerant tu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main body having a cut-out portion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tub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welding ribs respectively formed at mutually opposed positions of the projecting members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rojecting members so as to be weldable by an operator.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냉매튜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의 상호 대향되는 양측 단부에 각각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들은 상기 삽입홈에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메인바디에,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formed at opposite ends of the cut-out portion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refrigerant tube can be inserted therein. The protruding members ar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sertion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groove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utout portion so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refrigerant tube can be drawn in.

상기 용접리브는 상기 돌출부재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절개부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길이 연장형성된다. The welding rib protrudes from the protruding member and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n edge of the cutout.

상기 용접리브는 상기 메인바디의 절개부로부터 상기 돌출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돌출부재의 단부 가장자리까지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welding rib may extend from the cut-out portion of the main body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rojecting member, and may extend from the main body to an end edge of the projecting member.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절개부가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장되며, 일단면 및 타단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헤더유닛은 상기 메인바디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어느 한 단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된 개폐마개와, 상기 메인유로로 상기 냉매를 공급하거나 상기 메인유로 내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다른 한 단부에 설치된 연결소켓을 더 구비한다. Wherein the main body is formed such that the incision part extend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one end face and the other end face are opened, and the header unit is provided with the main body so as to close either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a connection socke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or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to the main flow path 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in the main flow path to the outside.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용접리브들은 용접 가능 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상호 맞물린 파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welding ribs which are mutually opposed with respect to the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as mutually engaged waveforms so as to extend the weldable range.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용접리브들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용접리브들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Wherein one of the welding ribs that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and the other one of the welding ribs that are mutually opposed with respect to the cutout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coupling groove A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n oppose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메인바디에 연결된 냉매튜브를 감싸도록 형성된 돌출부재에 용접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더유닛과 냉매튜브 사이에 용접이 보다 확장된 용접 가능 범위를 제공하므로 헤더유닛에 냉매튜브가 견고하게 고정되며, 용접 작업공간도 비교적 넓어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welding ribs formed in the protrud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the refrigerant tu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weldable range between the header unit and the refrigerant tube is provided so that the refrigerant tube is firmly fixed to the header unit And the welding work space is comparatively wide,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가 적용된 냉동 사이클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열교환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열교환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열교환기의 헤더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용접리브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용접리브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frigeration cycle to which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exchanger of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exchanger of Figure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er unit of the heat exchanger of FIG. 2,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lding rib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ld rib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가 적용된 냉동사이클에 대한 도면이다. 1 is a view of a refrigeration cycle to which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가 적용된 냉동사이클은 압축기(100)와, 응축기(300)와, 모세관(500)과, 증발기(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 refrigeration cycle to which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include a compressor 100, a condenser 300, a capillary tube 500, and an evaporator 700.

상기 압축기(100)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변화시킨다. 고온고압의 기체로 변화시킨 냉매는 토출관(150)을 통해 상기 응축기(300)로 토출시킨다.The compressor 100 converts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 refrigerant into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The refrigerant changed into a ga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s discharged to the condenser 300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0.

상기 응축기(300)는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고온고압의 기체로 변화되어 상기 토출관(150)을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가 유입되며, 유입된 냉매를 사행(蛇行)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유로를 통하여 이송시키면서 상온 고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킨다.The condenser 300 is changed from the compressor 100 to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0 flows into the condenser 300. The refrigerant flows in a variety of shapes, To a liquid refrigerant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상기 응축기(300)는 통상 상화좌우로 연속 절곡된 상태를 이루는 유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enser 300 is formed to have a flow path that is in a state of being continuously bent in right and left directions, i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냉매튜브(10)로 이루어진 응축기(300)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브라켓(7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응축기(300)와 같은 열교환기는 상기 고정브라켓(70)에 의해 냉장고 또는 에어컨 등의 기계실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a fixing bracket 70 may be provided to fix the condenser 300 including the refrigerant tube 10. Then, the heat exchanger such as the condenser 300 may be fixed to the machine room such as the refrigerator or the air conditioner by the fixing bracket 70.

상기 고정브라켓(70)에는 상기 냉매튜브(10)의 절곡된 부분이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70)에는 상기 응축기(300)가 상기 기계실에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bracket 70 may be formed with a fixing hole into which the bent portion of the refrigerant tube 10 is inserted. 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70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condenser 300 can be supported and fixed to the machine room.

상기 고정브라켓(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3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300)를 상기 기계실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300)의 일측에만 상기 고정브라켓(70)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응축기(300)를 거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응축기(300)와 모세관(500) 사이에는 상기 응축기(300) 측에 근접되도록 상기 응축기(300) 측으로 편중되어 드라이어(200)가 구비된다. 상기 드라이어(200)에 의해 상기 응축기(300)를 거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가 제습되어 상기 모세관(500) 측으로 이송된다.2, the fixing brackets 7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denser 300 to fix the condenser 300 to the machine room, and may be fixed to only one side of the condenser 300,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bracket 70. The condenser 300 is biased toward the condenser 300 between the condenser 300 and the capillary 500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liquid refrigerant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rough the condenser 300, (200). The liquid refrigerant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300 is dehumidified by the dryer 200 and transferred to the capillary 500 side.

상기 모세관(500)은 상기 토출관(150)에 비해 길이가 길고 지름이 작은 관으로, 상기 응축기(300)를 거친 상온 고압의 액체냉매가 상기 모세관(500)을 지나는 동안 냉매가 팽창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모세관(500)은 상기 압축기(100)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증발기(700)에서 기화되는 양을 충당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는 알맞은 양의 액체냉매를 통과시킴으로써, 냉매량을 조절한다. 상기 모세관(500)은 고압의 액체냉매를 증발압력으로 저하시켜, 냉매가 상기 모세관(500)의 단부에 이르렀을 때 냉매의 일정 범위의 양이 기화하게 된다.The capillary tube 500 has a longer length and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scharge tube 150. The refrigerant expands while the liquid refrigerant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300 passes through the capillary tube 500. More specifically, the capillary tube 500 adjusts the amount of refrigerant by passing an appropriate amount of liquid refrigerant, which is sufficient to cover the amount vaporized in the evaporator 700, while the compressor 100 is operating . The capillary 500 lowers the high pressure liquid refrigerant to the evaporation pressure so that a certain amount of the refrigerant vaporizes when the refrigerant reaches the end of the capillary tube 500.

상기 증발기(700)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전후 방향으로는 짧은 폭으로 이격되고, 좌우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긴폭으로 이격된다. 그러면, 상기 증발기(700)는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코일 형상을 이루며 밴딩될 수 있으나, 그 밴딩 방법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evaporator 700 is spaced apart by a short wid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ane. Then, the evaporator 700 may be bent in a coil shape from the bottom to the top, but the method of bending the evaporator 700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어큐뮬레이터(900)는 상기 압축기(100)와 상기 증발기(70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를 거친 냉매는 상기 압축기(100)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는 상기 압축기(100)의 구동정지 시 내측으로 냉매가 유입되며, 그 일부가 액상으로 변하여 축적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에 의해 상기 압축기(100)는 가동에 적합한 일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The accumulator 900 is installed between the compressor 100 and the evaporator 700.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accumulator 900 is transferred to the compressor 100 side. In the accumulator 900, refrigeran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accumulator 900 when the compressor 100 stops operating, and a part of the refrigerant is converted into a liquid phase and is accumulated. The accumulator 900 can maintain the compressor 100 at a constant pressure suitable for operation.

이때, 상기 어큐뮬레이터(900)의 입구 측에는 상기 증발기(700)와 연결되는 연결부(9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큐뮬레이터(900)의 출구 측에는 흡입관(130)에 의해 상기 압축기(100)가 연결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의 출구 측에는 상기 흡입관의 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930)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let 910 of the accumulator 90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910 connected to the evaporator 700. The compressor 100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accumulator 900 by a suction pipe 130. The outlet 930 of the accumulator 90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930 to which the end of the suction pipe is coupled.

여기서, 상기 응축기(300)와 상기 증발기(700)는 공기 또는 냉각수 등의 유체와 작동유체인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냉매튜브(10)가 헤더유닛(20)(20)에 다양한 형상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냉매튜브(10)가 설치되는 곳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냉각수 등과 같은 유체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The condenser 300 and the evaporator 700 serve as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a fluid such as air or cooling water and a refrigerant as a hydraulic fluid. The heat exchanger is formed by bending the refrigerant tube (10) forming the path of the refrigerant in various shapes in the header units (20) and (20). Further, the heat exchanger is heat exchanged with a fluid such as air or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place where the refrigerant tube 10 is installed.

본 발명에서 열교환기는 상기 응축기(300)와 상기 증발기(700)가 모두 해당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상기 응축기(3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증발기(70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300)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r may include both the condenser 300 and the evaporator 700, but the condenser 300 will be mainly described herein. At this tim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evaporator 700, and is not limited to the condenser 30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5)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heat exchanger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as follow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15)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이동경로가 형성된 냉매튜브(10)와, 상기 냉매튜브(10)가 결합되는 헤더유닛(20)과, 헤더유닛(20)의 상기 돌출부재(22)들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작업자에 의해 용접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재(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용접리브(3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eat exchanger 15 includes a refrigerant tube 10 in which a refrigerant flow path is formed, a header unit 20 to which the refrigerant tube 10 is coupled, a header unit 20, And a plurality of welding ribs 30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rojecting members 22 so as to be weldable by an operator.

냉매튜브(10)는 내부에 이동경로가 마련된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고정브라켓(70)들에 지지된다. 상기 냉매튜브(10)는 다단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이동경로로 냉매가 유입되되, 이동경로 내의 냉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각각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냉매튜브(10)는 열전달율이 우수한 구리와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frigerant tube 10 is formed in a pipe shape having a movement path therein, and a plurality of the refrigerant tubes 10 are supported on the fixing brackets 7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direction. The refrigerant tube 10 is formed so as to be bent in a multi-stage, and both ends are opened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moving path and the refrigerant in the moving pat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refrigerant tube 10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such as copper having a good heat transfer coefficient.

상기 헤더유닛(20)은 냉매튜브(10)들이 결합되는 메인바디(21)와, 상기 메인바디(21)에 연결된 상기 냉매튜브(10)의 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메인바디(21)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재(22)와, 상기 메인바디(21)의 일단부에 설치된 개폐마개(23)와, 메인바디(21)의 타단부에 설치된 연결소켓(24)을 구비한다. The header unit 20 includes a main body 21 to which the refrigerant tubes 10 are coupled and a main body 21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21 so as to surround the end of the refrigerant tube 10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 [ An opening and closing stopper 23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21 and a connecting socket 24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21.

메인바디(21)는 냉매튜브(10)들의 이격방향에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부에 내부에 메인유로(25)가 마련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1)는 일단면 및 타단면이 개방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6)는 메인바디(21)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타단부 가장자리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body 21 extends in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spacing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tubes 10 and is formed into a pipe shape having a main flow path 25 therein. The main body 21 has one end and the other end open, and a cut-out portion 26 is formed at on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cut-out portion 26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from one edge of the main body 21 to the other edge.

또한, 메인바디(21)는 냉매튜브(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26)의 상호 대향되는 양측 단부에 각각 복수의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은 절개부(26)의 가장자리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반구형으로 형성되되, 냉매튜브(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반구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부(26)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2개의 삽입홈은 단위그룹을 이루고, 한 쌍의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단위그룹은 다수개가 절개부(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각 단위그룹의 삽입홈들에 냉매튜브(10)가 삽입되어 냉매튜브(10)는 메인바디(21)에 결합된다. The main body 2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not shown) at both opposite ends of the cutout portion 26 so that the refrigerant tube 10 can be inserted.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cutout portion 26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tube 10. The two insertion grooves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incising section 26 are formed as a unit group and a plurality of unit groups including a pair of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cision section 26. The refrigerant tube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of each unit group so that the refrigerant tube 1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

돌출부재(22)는 상기 절개부(26)의 상호 대향되는 양측 단부에, 상기 메인바디(21)에 연결된 상기 냉매튜브(10)의 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메인바디(21)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이때, 돌출부재(22)는 삽입홈들에 인접된 위치의 메인바디(21)에 각각 형성되되, 메인바디(21)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돌출부재(22)들은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otruding members 22 are protruded from the main body 21 so as to surround the end portions of the refrigerant tube 10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 at opposite end portions of the cut-out portion 26 opposite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rojecting members 22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main body 21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insertion grooves, and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ng members 22 exten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또한, 돌출부재(22)들은 상기 절개부(26)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상기 냉매튜브(10)의 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28)이 각각 형성된다. 인입홈(28)은 돌출부재(22)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되며, 냉매튜브(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입홈(28)은 돌출부재(22)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며, 메인바디(21)에 인접된 일단부는 메인바디(21)의 삽입홈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재(22)들은 메인바디(21)에 냉매튜브(10)를 고정시 냉매튜브(10)의 단부를 파지하여 냉매튜브(10)가 메인바디(2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In addition, the projecting members 22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the inlet grooves 28 so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refrigerant tube 10 can be inserted into the mutually facing side surfaces with respect to the cut-out portion 26, respectively. The lead-in groove 28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tube 10, and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rojecting member 22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inlet groove 28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rotruding member 22 and one end adjacent to the main body 21 communicates with the insertion groove of the main body 21, Or the like. The protruding members 22 support the refrigerant tube 10 so that the refrigerant tube 10 is firmly fixed to the main body 21 when the refrigerant tube 10 is fixed to the main body 21.

상기 개폐마개(23)는 용접리브(30)들이 상호 용접되어 메인바디(21)에 냉매튜브(10)가 고정시 메인바디(21)의 개방된 일단부를 폐쇄하도록 메인바디(21)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마개(23)는 메인바디(21)의 내부로 인입되되, 외측면이 메인바디(2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될 수 있도록 메인바디(21)의 메인유로(25)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용접리브(30)들이 상호 용접된 다음, 메인바디(21)의 일단부에 개폐마개(23)를 삽입한다. 메인바디(21) 내부에 삽입된 개폐마개(23)와 메인바디(21)의 일단부를 용접하여 메인바디(21)의 일단부를 폐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개폐마개(23)가 메인바디(21)의 일단부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개폐마개(23)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열교환기(15)의 설치장소에 따라 메인바디(21)의 타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2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21 so that the welding ribs 30 are welded to each other to close the open end of the main body 21 when the refrigerant tube 10 is fixed to the main body 21. [ Respectively.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23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1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23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And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After the welding ribs 30 are welded to each other,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23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main body 21. The opening and closing cap 23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1 and one end of the main body 21 are welded to close one end of the main body 21. [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23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the figure but may be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heat exchanger 15 Or may be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21.

상기 연결소켓(24)은 상기 메인유로(25)로 상기 냉매를 공급하거나 상기 메인유로(25) 내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21)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연결소켓(24)은 용접리브(30)들이 상호 용접되어 메인바디(21)에 냉매튜브(10)가 고정시 메인바디(21)의 타단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단부 외측면이 메인바디(21)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메인바디(21)의 메인유로(25)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소켓(24)은 내부에 메인유로(25)에 연통되는 서브유로(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때, 연결소켓(24)의 타단부는 메인바디(21)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브유로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연결소켓(24)은 타단부에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관 또는 냉매가 공급되는 공급관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서브유로에 연통되는 설치구가 형성되어 있다. The connection socket 24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21 to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main flow path 25 or to discharge the refrigerant in the main flow path 25 to the outside. The connection socket 24 is formed such that the welding ribs 30 are welded to each other and inserted in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21 when the refrigerant tube 10 is fixed to the main body 21, 21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flow path 25 of the main body 21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Further, the connection socket 24 is provided therein with a sub passage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main passage 25.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socket 24 is form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sub flow path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21 increases. In addition, the connection socket 24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ub-flow path so that a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or a supply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suppli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연결소켓(24)이 메인바디(21)의 타단부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소켓(24)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열교환기(15)의 설치장소에 따라 메인바디(21)의 일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connection socket 24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but may be provided at a location where the heat exchanger 15 is installed Or may b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21.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헤더유닛(20)은 복수개가 냉매튜브(1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header units 2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refrigerant tube 10

용접리브(30)는 돌출부재(22)들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돌출부재(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상기 용접리브(30)는 절개부(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되, 절개부(26)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접리브(30)는 절개부(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된 돌출부재(22)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용접리브(30)는 상기 메인바디(21)의 절개부(26)로부터 상기 돌출부재(22)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메인바디(21)로부터 상기 돌출부재(22)의 단부 가장자리까지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welding ribs 30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ojecting members 22 and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rojecting members 22.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elding ribs 30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tout portion 26 and extend along the end edge of the cutout portion 26. Further, the welding ribs 30 extend so as to abu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jecting member 22 which is adjacent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cutout portion 26. The welding ribs 30 extend from the cutouts 26 of the main body 21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rotruding members 22 and extend from the main body 21 to the protruding members 22 It is preferable to extend to the end edge.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5)의 헤더유닛(20)에 냉매튜브(10)를 조립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method of assembling the refrigerant tube 10 in the header unit 20 of the heat exchanger 15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돌출부재(22)들의 인입홈(28)에 각각 냉매튜브(10)를 세팅한 다음, 각 냉매튜브(10)의 단부가 메인바디(21)의 삽입홈에 인입되도록 냉매튜브(10)를 메인바디(21)에 결합시킨다. 냉매튜브(10)의 결합이 완료되면 메인바디(21)의 절개부(26)가 폐쇄되도록 메인바디(21)의 절개부(26) 양단부를 가압한다. 즉, 절개부(26)의 양단부가 상호 접촉하도록 메인바디(21)를 가압하여 변형시킨다. The refrigerant tube 10 is set in each of the inlet grooves 28 of the protruding members 22 and then the refrigerant tube 10 is inserted so that the end of each refrigerant tube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main body 21. [ To the main body (21). The ends of the cut portion 26 of the main body 21 are pressed so that the cut portion 26 of the main body 21 is closed when the coupling of the refrigerant tube 10 is completed. That is, the main body 21 is pressed and de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cut portion 2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절개부(26)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위치의 돌출부재(22)들은 인접되어 냉매튜브(10)들을 파지한다. 또한, 절개부(26)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용접리브(30)들도 상호 밀착되는데, 작업자는 용접기를 통해 상호 밀착된 용접리브(30)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리브(30)들을 상호 용접한다. 용접리브(30)들이 상호 용접고정되면 메인바디(21)의 양단부에 각각 개폐마개(23) 및 연결소켓(24)을 설치한 다음, 개폐마개(23) 및 연결소켓(24)을 메인바디(21)에 용접한다. 메인바디(21)에 대한 연결소켓(24)의 용접이 완료되면 연결소켓(24)의 설치구에 배출관 또는 공급관을 삽입한 다음, 배출관 또는 공급관을 연결소켓(24)에 고정시킨다. At this time, the projecting members 22 at mutually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utout 26 are adjacent to each other to grip the refrigerant tubes 10. The weld ribs 30 mutually opposed with respect to the cutout portion 26 are also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elder welds the weld ribs 30 along the edges of the weld ribs 30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welder . Closing lid 23 and the connecting socket 24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21 when the welding ribs 30 are welded and fixed to each other and then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23 and the connecting socket 24 are fastened to the main body 21). When welding of the connection socket 24 to the main body 21 is completed, the discharge pipe or the supply pipe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connection socket 24, and then the discharge pipe or the supply pipe is fixed to the connection socket 24. [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5)는 메인바디(21)에 연결된 냉매튜브(10)를 감싸도록 형성된 돌출부재(22)에 용접리브(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더유닛(20)과 냉매튜브(10) 사이에 용접이 보다 확장된 용접 가능 범위를 제공하므로 헤더유닛(20)에 냉매튜브(10)가 견고하게 고정되며, 용접 작업공간도 비교적 넓어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The heat exchanger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welding ribs 30 formed on the projecting members 22 formed to enclose the refrigerant tubes 10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 It is advantageous that the refrigerant tube 10 is firmly fixed to the header unit 20 and the welding work space is comparatively wide because the welding between the tubes 10 provides an extended welding range.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접리브(40)가 도시되어 있다. 6, a welding rib 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previous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절개부(26)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용접리브(40)들은 용접 가능 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상호 맞물린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매튜브(10)를 메인바디(21)에 결합시 상호 접촉된 용접리브(40)들 가장자리가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용접할 수 있는 범위가 확장되어 보다 견고하게 용접리브(40)들을 상호 용접시킬 수 있고,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어 외부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견고하게 용접상태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elding ribs 40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ut-out portion 26 are formed as mutually engaged waveforms so as to extend the weldable range. Since the edges of the welded ribs 4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refrigerant tube 1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 are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the range of welding by the operator is extended to more firmly fix the welded ribs 40 Welding can be performed, and the structural strength is improved, so that the welding state can be maintained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접리브(50)가 도시되어 있다. 7 shows a welding rib 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절개부(26)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용접리브(50)들 중 상측에 위치한 용접리브(50)에 결합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26)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용접리브(50)들 중 하측에 위치한 용접리브(50)에는 상기 결합홈(51)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51)에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51)은 용접리브(50)의 하면에 대해 상방으로 인입되게 형성되고, 결합돌기(52)는 결합홈(51)에 대향되는 용접리브(50)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a welding groove 51 is formed in a welding rib 5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elding ribs 50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utout 26, A welding protrusion 52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groove 5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1. The coupling rib 51 is formed in the welding rib 50 at a lower side of the welding ribs 50, Respectively. The engaging groove 51 is formed to be pull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elding rib 50 and the engaging projection 52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lding rib 50 facing the engaging groove 51 do.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측에 위치한 용접리브(50)에 결합홈(51)이 형성되고, 하측에 위치한 용접리브(50)에 결합돌기(52)가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측에 위치한 용접리브(50)에 결합돌기(52)가 형성되고, 하측에 위치한 용접리브(50)에 결합홈(51)이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coupling groove 51 is formed in the upper welding rib 50 and a coupling projection 52 is formed in the lower welding rib 50. However, A coupling protrusion 5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elding rib 50 and a coupling groove 5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welding rib 50.

냉매튜브(10)를 메인바디(21)에 결합시 절개부(26)의 양단부가 상호 접촉하도록 메인바디(21)를 가압하여 변형시킬 경우, 결합돌기(52)가 결합홈(51)에 삽입되어 용접리브(50)들이 상호 결속되므로 메인바디(21)의 길이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호 접촉된 용접리브(50)들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용접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main body 21 is pressed and deform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cutout portion 26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refrigerant tube 1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 the engaging projections 52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s 51 The welding ribs 5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 the welding ribs 5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 냉매튜브
15: 열교환기
20: 헤더유닛
21: 메인바디
22: 돌출부재
23: 개폐마개
24: 연결소켓
25: 메인유로
26: 절개부
28: 인입홈
30: 용접리브
10: Refrigerant tube
15: Heat exchanger
20: header unit
21: Main body
22:
23: Opening and closing plug
24: connection socket
25: main flow path
26: incision
28: entry home
30: welding rib

Claims (7)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이동경로가 형성된 냉매튜브와;
상기 냉매튜브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메인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메인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냉매튜브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절개부의 상호 대향되는 양측 단부에,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된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출부재가 마련된 헤더유닛과;
상기 돌출부재들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작업자에 의해 용접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용접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A refrigerant tube having a moving path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 main body having a main passag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cutout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ain passag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ain passage; A header unit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members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so as to surround the end of the refrigerant tu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welding ribs respectively formed at mutually opposite positions of the projecting members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rojecting members so as to be weldable by an op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냉매튜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의 상호 대향되는 양측 단부에 각각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들은 상기 삽입홈에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메인바디에,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formed at both opposite ends of the cut-out portion so that the refrigerant tube can be inserted therein,
Wherein the protruding members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on the main body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end portions of the refrigerant tube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side surfaces oppos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ut- And the inlet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inlet groove can be form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리브는 상기 돌출부재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절개부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길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elding rib is protruded from the protruding member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edge of the cutou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리브는 상기 메인바디의 절개부로부터 상기 돌출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돌출부재의 단부 가장자리까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elding rib extends from the cut-out portion of the main body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rotruding member, and extends from the main body to an end edge of the protruding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절개부가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장되며, 일단면 및 타단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헤더유닛은
상기 메인바디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어느 한 단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된 개폐마개와;
상기 메인유로로 상기 냉매를 공급하거나 상기 메인유로 내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다른 한 단부에 설치된 연결소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body extend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incision and has one end and another end open,
The header unit
An opening / closing cap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as to close one end of the main body or the other en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socke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or at another end of the main body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to the main flow path 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in the main flow path to the outs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용접리브들은 용접 가능 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상호 맞물린 파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elding ribs mutually opposed with respect to the cut-out portion are formed in mutually engaged waveforms so as to extend the weldable ran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용접리브들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용접리브들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one of the welding rib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And the other one of the welding rib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at a position facing the coupling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KR1020170051383A 2017-04-21 2017-04-21 Heat exchanger KR201801182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383A KR20180118292A (en) 2017-04-21 2017-04-21 Heat exc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383A KR20180118292A (en) 2017-04-21 2017-04-21 Heat excha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292A true KR20180118292A (en) 2018-10-31

Family

ID=6409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383A KR20180118292A (en) 2017-04-21 2017-04-21 Heat exc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829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806B1 (en) Double pipe and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KR101938713B1 (en) Refrigerator
JP2009281593A (en) Evaporator unit
JP2014055699A (en) Heat exchanger
KR20130084178A (en) Header and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US20080223560A1 (en) Heat exchanger
JP4179092B2 (en) Heat exchanger
KR20040086241A (en) Refrigeration system and its condensing apparatus
KR20180118292A (en) Heat exchanger
KR101210570B1 (en) Heat exchanger
KR101461077B1 (en) Heat exchanger
KR20110113810A (en) Condenser
KR101222609B1 (en)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010704A (en) Condenser unit assembly
JPWO2020178966A1 (en) Gas header,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KR101630448B1 (en) Heat exchange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20190092214A (en)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48845Y1 (en) Condensor Having End Cap For Preventing Bending
JP6541219B2 (en) Heat exchanger with receiver
KR100622446B1 (en) Condenser integrated with receiver dryer
KR101192301B1 (en) Condenser integrated with receiver dryer
KR20130057548A (en) Condenser
KR20070111656A (en) Header of high pressure heat exchanger
KR101462887B1 (en) A Condenser
KR20090004273A (en) High pressure refrigerant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