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887B1 - A Condenser - Google Patents

A Cond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887B1
KR101462887B1 KR1020080078550A KR20080078550A KR101462887B1 KR 101462887 B1 KR101462887 B1 KR 101462887B1 KR 1020080078550 A KR1020080078550 A KR 1020080078550A KR 20080078550 A KR20080078550 A KR 20080078550A KR 101462887 B1 KR101462887 B1 KR 101462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eader
baffle
rail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9820A (en
Inventor
장준일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887B1/en
Publication of KR2010001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8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8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19Arrangements for sealing end plates into casing or header box; Header box sub-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0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dismountable joints
    • F28F9/12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dismountable joints by flange-ty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시버 드라이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모서리 상에 레일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헤더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조 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배플 구조를 가지는 응축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e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denser,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a receiver dryer and has a baffle structure which can easily be combined with a header by forming a rail structure on a corner, To provide a condenser.

본 발명의 응축기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튜브삽입홀(113)이 형성되는 헤더(111), 상기 헤더(111)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에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112)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배플(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높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10); 상기 튜브삽입홀(113)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120); 및 상기 튜브(1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응축기(100)에 있어서, 상기 헤더(111)에는 코킹홀(111a)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112)에는 상기 헤더(111)와 결합하는 쪽의 상기 탱크(112)의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레일(112a)이 형성되고, 상기 배플(114)은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둘레와 동일한 외주면을 가지는 본체면(114d), 상기 결합 레일(112a)과 맞물리도록 상기 본체면(114d)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 홈(114a) 및 상기 코킹홀(111a)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면(114d)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코킹부(114b)를 포함하여 이 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d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er 111 formed with a plurality of tube insertion holes 113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ank 111 coupled with the header 111, 112) and at least one baffle (114) dividing the refrigerant flow path space in the width direction, the header tank (110) having a pair of header tanks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eight direction; A plurality of tubes 120 having both ends thereof inserted and fixed in the tube insertion hole 113 to form a refrigerant passage; And a plurality of fins (130)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120); A cocking hole 111a is formed in the header 111 and an edge of the tank 112 which is coupled to the header 111 is formed in the tank 112. [ And the baffle 114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The baffle 114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An engaging groove 114a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surface 114d so as to engage with the engaging rail 112a and an engaging groove 114a formed on the body surface 114d to be inserted into the caulking hole 111a, And a caulking portion 114b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114d.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탭, 레일, 배플, 일체형 Condenser, receiver drier, tap, rail, baffle, integral

Description

응축기 {A Condenser}A Condenser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시버 드라이어가 구비되는 헤더탱크의 헤더와 탱크가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enser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a header of a header tank having a receiver dryer from spreading to a tank.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열교환기는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열교환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 열교환매체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장치에서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냉매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 하게 되어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A heat exchanger is a device that absorbs heat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dissipates heat to the other side. It is a cooling system that absorbs heat from the room and emits it to the outside. It will act as a heating system. Basically, the heat exchanger is composed of an evaporator for absorbing heat from the surrounding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heat exchange medium, a condenser for releasing heat to the surroundings, and an expansion valve for expanding the heat exchange medium. In the cooling apparatus, the actual cooling action is caused by the evaporator in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absorbs the heat amount equivalent to the evaporation heat in the surroundings and is vaporized. The gaseous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mpressor from the evaporator is compressed to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and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ed gaseous state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and is liquefied, and the liquefied heat is discharged to the periphery. After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it becomes a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wetted vapor state, and then flows into the evaporator again to be vaporized to form a cycle.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에서는 고온ㆍ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되는데, 이렇게 냉매가 기상에서 액상으로 바뀌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응축기 내부에는 기상의 냉매와 액상의 냉매가 혼합되어 있게 된다. 그런데,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혼합되어 있게 되면 온도ㆍ압력에 있어 평형적인 조건밖에는 얻을 수가 없게 되기 때문에, 보다 응축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미 응축된 액상 냉매와 아직 응축되지 못한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리시버 드라이어가 응축기의 헤더탱크 일측에 연결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denser, the refrigerant in a gaseous state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flows into the liquid state while being discharged from the liquid state by releasing the heat of liquefaction due to heat exchange. Since the refrigerant is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a gas phase to a liquid phase, The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are mixed. However, when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phase refrigerant are mixed, only the equilibrium condition can be obtained in temperature and pressure. Therefor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condenser, it is preferable to separate the liquid refrigerant already condensed and the gaseous refrigerant that has not yet condensed Do. Therefore, a receiver dryer separating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er tank of the condenser.

도 1은 일반적인 응축기 및 리시버 드라이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응축기(10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튜브삽입홀(113')이 형성되는 헤더(111'), 상기 헤더(111')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에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112')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배플(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높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10'); 상기 튜브삽입홀(113')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120'); 상기 튜브(1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응축기(100')의 일측 헤더탱크(110')에는 리시버 드라이어(200')가 연결 구비되게 된다.Figure 1 shows a typical condenser and receiver drier. As shown in the drawings, a condenser 100 'generally includes a header 111' having a plurality of tube insertion holes 113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ank 112 'for forming a refrigerant passage in the space, and at least one baffle 114' for partitioning the refrigerant passage spac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air of baffles 114 ' A header tank 110 '; A plurality of tubes 120 'having both ends thereof inserted and fixed in the tube insertion holes 113' to form a refrigerant passage; A plurality of pins 130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120'; . At this time, a receiver dryer 200 'is connected to one side header tank 110' of the condenser 100 '.

도 2는 응축기 헤더탱크 및 리시버 드라이어와 헤더탱크 간의 연결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더탱크(110')는 헤더(111') 및 탱크(112')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탱크(112')의 모서리에는 다수 개의 탭(115')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헤더(111')의 모서리가 상기 탱크(112')에 삽입된 후, 화살표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탭(115')이 상기 헤더(111')를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헤더(11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가 벌어지는 것, 즉 도 2에서 큰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FIG. 2 shows in detail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denser header tank and the receiver dryer and the header tank. As described above, the header tank 110 'is formed by coupling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to each other.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abs 115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tank 112'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is more robust. In more detail, after the edge of the header 111 'is inserted into the tank 112', the tab 115 'is folded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header 111' By supporting the header 111 ',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are opened, that is,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 large arrow in FIG. )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헤더탱크(110') 내부에 구비되는 배플(114')은, 외주면이 상기 헤더탱크(110') 내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코킹부(114d')가 형성된다. 상기 배플(114')은, 상기 코킹부(114d')가 상기 탱크(112')에 형성된 코킹홀(112b')에 삽입된 후 코킹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헤더탱크(110') 내에 고정되게 된다.The baffle 114 'provided in the header tank 11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inner shape of the header tank 110 'and a caulking portion 114d' formed at one side thereof. The baffle 114 'is fixed in the header tank 110' by inserting the caulking portion 114d 'into the caulking hole 112b' formed in the tank 112 'and then caulking the caulking portion 114d' .

한편,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는 몸체(210')에 파이프 형의 연결부(22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헤더탱크(110')의 탱크(112') 측에 상기 연결부(220')가 결합됨으로써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meantime, the receiver dryer 200 'has a tubular connection portion 220' formed on the body 210 ', and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formed on the tank 112 'side of the header tank 110'. The connection is made.

상기 탱크(112')는 판형의 금속 플레이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커팅한 후 절곡하여 제조된다. 그런데 상기 탱크(112')의 탭(115')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탱크(112')를 펼쳤을 때의 너비보다 상기 탭(115') 길이 두 배만큼의 너비를 더한 크기로 기본 형상을 잡고, 상기 탭(115')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잘라내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탭(115')을 형성하기 위하여 잘라내어지는 부분은 그대로 폐기될 수밖에 없다. 즉 종래의 탭(115')을 가지는 탱크(112')의 경우 탱크(112') 제조 과정에서의 재료의 낭비가 심하게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tank 112 'is manufactured by cutting a plate-shaped metal plate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n bending it. However, in order to form the tab 115 'of the tank 112', the basic shape is formed to have a width twice as long as the length of the tab 115 ' ,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tab 115 'should be cut off. In this process, the portion cut to form the tab 115 'is inevitably discarded.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tank 112 'having the conventional tab 115', waste of material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ank 112 'is severely wasted, which increases manufacturing cost.

한편, 상기 탱크(112')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몸체(210') 상에 돌출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220')에 의하여 연결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전체적인 외관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부(220')를 상기 탱크(112')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탱크(112') 상에 구멍을 형성하고 브레이징 등의 공정으로 결합을 하여야 하는 등 조립 과정 역시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the tank 112 'and the receiver dryer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pe-shaped connection part 220 'protruding on the body 210' of the receiver dryer 200 '. Since the connection part 220 'is protruded from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receiver dryer 200', it is not only troublesome to manufacture but also connects the connection part 220 'to the tank 112' A hole is formed on the tank 112 ', and the assembly is performed by a process such as brazing, thereby complicating the assembling process.

이에 따라 상기 탱크(112')의 형상 및 리시버 드라이어(200')와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고자 하는 당업자 사이의 꾸준한 요구가 있어 왔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 constant need among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rove the shape of the tank 112 'and the coupling structure with the receiver dryer 20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플과 결합되는 것만으로도 헤더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제조 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배플 구조를 가지는 응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시버 드라이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단순화 및 간략화됨으로써 제조 및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탱크 구조를 가지는 응축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ffle that can be easily coupled with a header, To provide a condenser having a baffle structu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denser having a tank structure that can be manufactured and assembled by being simplified and simplified by being formed integrally with a receiver dry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축기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튜브삽입홀(113)이 형성되는 헤더(111), 상기 헤더(111)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에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112)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배플(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높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10); 상기 튜브삽입홀(113)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120); 및 상기 튜브(1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응축기(100)에 있어서, 상기 헤더(111)에는 코킹홀(111a)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112)에는 상기 헤더(111)와 결합하는 쪽의 상기 탱크(112)의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레일(112a)이 형성되고, 상기 배플(114)은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둘레와 동일한 외주면을 가지는 본체면(114d), 상기 결합 레일(112a)과 맞물리도록 상기 본체면(114d)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 홈(114a) 및 상기 코킹홀(111a)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면(114d)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코킹부(11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탱크(112)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레일(112c)이 형성되며, 상기 배플(114)에는 상기 고정 레일(112c)과 맞물리는 고정 홈(114c)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112)에는 상기 헤더(111)와 결합하는 쪽의 상기 탱크(112)의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탱크측 레일(112b)이 더 형성되며, 상기 헤더(111)에는 상기 헤더(111)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탱크측 레일(112b)과 맞물리도록 함몰 형성되는 헤더측 레일(111b)이 더 형성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탱크(112)의 끝단부는 폭 방향 양측으로 상기 결합 레일(112a) 및 상기 탱크측 레일(112b)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 레일(112a) 및 상기 탱크측 레일(112b)이 형성되는 측벽 일부가 상기 헤더(111)의 측벽 두께만큼 얇게 형성되어,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의 외측 결합면이 편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의 결합부분의 두께가 상기 탱크(112)의 측벽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The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er 111 having a plurality of tube insertion holes 113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ank 112 for forming a refrigerant flow path in the space and at least one baffle 114 for partitioning the refrigerant flow path space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ving a pair of head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eight direction A tank 110; A plurality of tubes 120 having both ends thereof inserted and fixed in the tube insertion hole 113 to form a refrigerant passage; And a plurality of fins (130)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120); A cocking hole 111a is formed in the header 111 and an edge of the tank 112 which is coupled to the header 111 is formed in the tank 112. [ And the baffle 114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The baffle 114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An engaging groove 114a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surface 114d so as to engage with the engaging rail 112a and an engaging groove 114a formed on the body surface 114d to be inserted into the caulking hole 111a, And a caulking part 114b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aulking part 114d. At this time, a fixing rail 112c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e tank 112, a fixing groove 114c engaged with the fixing rail 112c is formed in the baffle 114, The tank 112 further includes a tank side rail 112b tha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tank 112 on the side of coupling with the header 111 and protrudes outward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header 111 is further formed with a header side rail 111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header 111 and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tank side rail 112b. In this configuration, an end portion of the tank 112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upling rail 112a and the tank-side rail 112b protrude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coupling rail 112a and the tank- A portion of the sidewall where the header 111b and the tank 112b are formed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idewall of the header 111 and the outer coupling surface of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is formed flat,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tank 112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of the tank 112.

이 때, 상기 코킹부(114b)는 2편으로 형성되어 각 편이 각각 좌우 양쪽으로 코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aulking portion 114b is formed in two pieces, and each piece is caulk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삭제delete

또한, 상기 탱크(112)는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리시버 드라이어(200)가 상기 탱크(112)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몸체(210)와 일체형으로 압출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nk 112 is provided with a receiver dryer 200 for separating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from the tank 112. The receiver dryer 2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210 of the receiver dryer 200 by an extrusion process, Is formed.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기 탱크, 헤더 및 배플을 결합하는 것만으로, 종래의 탭과 같은 구조물이 없이도 배플의 형상에 의하여 헤더와의 충분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에 따라 종래의 탭 구조를 없앰으로써, 종래에 탱크 제조 시 탭 형상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던 재료의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의 절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sufficient coupling force with the header due to the shape of the baffle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tap-like structure merely by coupling the condenser tank, the header and the baffle. Of course, by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tap structure,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waste of material that has bee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ab shape in the conventional manufacture of the tank, an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플의 코킹부가 2편으로 이루어져 각 편이 좌우 양쪽으로 코킹됨으로써, 배플에 편향이 없는 안정적인 지지력을 부여하여 줌으로써, 헤더 및 탱크의 결합력을 보다 증대함과 동시에 배플이 보다 안정적으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탱크에 고정 레일이 형성되고 배플에 고정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레일에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배플이 결합됨으로써, 배플의 회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완전히 방지하는 효과 또한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ulking portion of the baffle is made of two pieces and each piece is caulk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 stable supporting force without deflection is given to the baffle to further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header and the tank,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rrect position.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rail is formed in th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ffle is engaged with the fixing rail by forming the fixing groove in the baffle, the movement of the baffle in the rotating direction is completely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시버 드라이어의 몸체와 탱크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리시버 드라이어 및 탱크를 압출 공정에 의해 제작됨으로써 제조 공정을 대폭 간략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 리시버 드라이어에 연결부를 형성하거나, 연결부를 탱크에 결합시키는 등의 제조 공정을 완전히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생산성이 크게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dy of the receiver dryer and the tank are integrally formed, the receiver dryer and the tank are manufactured by the extrusion process, thereby greatl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forming the connection portion to the receiver dryer or coupling the connection portion to the tank can be completely omit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verall productivity is greatly increas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를 첨부된 도 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 및 라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의 헤더탱크의 단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denser and a radi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 header tank of a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응축기(100) 역시,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튜브삽입홀(113)이 형성되는 헤더(111), 상기 헤더(111)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에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112)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배플(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높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10); 상기 튜브삽입홀(113)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120); 및 상기 튜브(1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리시버 드라이어(200)가 상기 탱크(112) 일측에 구비된다.The condens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header 111 formed with a plurality of tube insertion holes 113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header tanks 110 including at least one baffle 114 dividing the refrigerant flow path space in the width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eight direction; A plurality of tubes 120 having both ends thereof inserted and fixed in the tube insertion hole 113 to form a refrigerant passage; And a plurality of fins (130)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120); And a receiver dryer (200) for separating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ank (112).

이 때, 본 발명의 응축기(100)에서는, 상기 헤더(111)에는 코킹홀(111a)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112)에는 상기 헤더(111)와 결합하는 쪽의 상기 탱크(112)의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레일(112a)이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플(114)은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둘레와 동일한 외주면을 가지는 본체면(114d), 상기 결합 레일(112a)과 맞물리도록 상기 본체 면(114d)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 홈(114a) 및 상기 코킹홀(111a)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면(114d)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코킹부(114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헤더(111) - 상기 탱크(112) - 상기 배플(114)이 조립됨으로써 형상적으로 견고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 배플(114) 외주면과 상기 헤더탱크(110) 내부 공간 사이에 틈새가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배플 및 다른 부품들을 구분하기 위해 과장하여 표현한 것으로, 실제로는 배플이 헤더탱크 내 일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틈새 없이 구비됨은 당연하다.In the condens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ulking hole 111a is formed in the header 111, and an edge of the tank 112, which is coupled to the header 111, 4, the baffle 114 is connected to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as shown in FIG. 4) An engaging groove 114a whic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surface 114d so as to engage with the engaging rail 112a, And a caulking portion 114b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surface 114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tank 111a. The header 111, the tank 112, and the baffle 114 are assembled, A firm bonding force can be obtained. 4, it is shown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ffle 114 and the inner space of the header tank 110, but this is exaggerated to distinguish only the baffle and other parts. Actually, It is natural that it is provided with no gap to seal some space.

도 4는 또한, 상기 배플(114) 코킹부(114b)의 코킹 과정이 간략히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코킹부(114b)가 상기 코킹홀(1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코킹부(114b)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눌려짐에 따라 형상 변형이 일어나고, 변형된 형상에 의하여 상기 코킹부(114b)가 상기 코킹홀(111a)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FIG. 4 also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caulking process of the baffle 114 caulking portion 114b. As shown in FIG. 4 (A), when the caulking portion 114b is inserted into the caulking hole 111a and a force is exerted from the outsid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 The shape is deformed as a result of depression, and the caulked portion 114b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ulking hole 111a due to the deformed shape.

이 때,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헤더(111)가 외부로부터 (상기 탱크(112)와 분리되려는 방향으로의) 분리력을 받게 될 경우, 상기 배플(114)에서, 상기 결합 홈(114a)에 맞물린 상기 탱크(112)의 결합 레일(112a) 및 상기 코킹홀(111a)에 걸쳐지도록 변형된 상기 코킹부(114b)에서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력이 발생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배플(114)은 상기 결합 레일(112a) 및 결합 홈(114a)의 맞물림에 의하여 상기 탱크(112)를 지지하며, 또한 동시에 상기 배플(114)은 상기 코킹 홀(111a)와 상기 코킹부(114b)의 걸쳐짐에 의하여 상기 헤더(111)를 지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배플(114)에 의해서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가 지지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배플(114) 구조에 의하여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가 외력을 받더라도 견고하게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header 111 receives a separating force from the outside (in a direction to separate from the tank 112) as shown in FIG. 4 (B), in the baffle 114,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ar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rail 112a of the tank 112 engaged with the groove 114a and the caulking portion 114b deformed to cover the caulking hole 111a A bearing force is generated. More specifically, the baffle 114 supports the tank 112 by engagement of the coupling rail 112a and the coupling groove 114a, and at the same time, the baffle 114 supports the cocking hole 111a, And the caulking portion 114b, so that the header 111 is supported. That is,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are supported by the baffle 114, so that even when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receive an external force by the structure of the baffle 114, .

이와 같이 단지 배플(114) 구조만으로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를 견고히 결합함으로써, 종래의 탱크(도 2의 111')에서 헤더 및 탱크 사이의 결합력 증대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로 했던 탭(도 2의 115')을 구비하지 않고도 종래와 동일하거나 또는 우수한 결합력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종래 탱크 제조 과정 시 탭을 형성하기 위해 낭비되던 재료를 완전히 절감할 수 있게 된다.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only by the structure of the baffle 114 as described above. Thus, in the conventional tank 111 'of FIG. 2, (115 'in FIG. 2),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or an excellent bonding force increasing effect as in the prior art, thereby completely reducing the waste of material for forming the tab in the conventional tank manufacturing process.

특히 상기 배플(114)의 구조는, 상기 결합 레일(112a) 및 상기 결합 홈(114a)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배플(114) 및 상기 탱크(112)가 좌우 어느 쪽으로도 편향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해 줌으로써,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를 정위치에 배치하고 브레이징하기 전에 상기 탱크(112)의 무게 등에 의해서 위치가 비뚤어지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게 해 준다.Particularly, the structure of the baffle 114 is designed such that the baffle 114 and the tank 112 are stably engaged without biasing the baffle 114 and the tank 112 to the left or right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rail 112a and the coupling groove 114a.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from being bent in posi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tank 112 and the like prior to brazing.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플(114)의 상세 구조에 대해 좀더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배플(114)은 상기 본체면(114d), 상기 결합 홈(114a) 및 상기 코킹부(114b)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코킹부(114b)는 2편으로 형성되어 있어, 프레싱 공정을 거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편이 각각 좌우 양쪽으로 코킹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플(114)에 형성된 코킹부(114b)가 좌우 양쪽으로 코킹이 이루어짐으로써, 코킹 공정 후 코킹된 부분이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되는 것을 막아, 상기 배플(114)이 보다 안정적으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즉 상기 코킹부(114b)는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줄 뿐만 아니라, 2편으로 이루어진 상기 코킹부(114b)의 각 편이 양쪽으로 벌어져 코킹됨으로써 상기 배플(114)에 편향 없는 지지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배플(114)의 회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affle 114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ffle 114 includes the body surface 114d, the coupling groove 114a, and the caulking portion 114b. At this time, the caulking portion 114b is formed in two pieces, and when the pressing process is performed, each piece is caulk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FIG. 4 (B).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ulking portion 114b formed on the baffle 11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ulk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ulked portion from being deflected to one side after the caulking process, Allows you to maintain position. That is, the caulking portion 114b not only enhance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but also causes the two sides of the caulking portion 114b to be wedged and caulk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ffle 114 from moving in the rotating direction.

여기에 더불어, 상기 탱크(112)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레일(112c)이 형성되고, 상기 배플(114)에는 상기 고정 레일(112c)과 맞물리는 고정 홈(114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결합 시 상기 배플(114)의 고정 홈(114c)이 상기 고정 레일(112c)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배플(114)의 회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 fixed rail 112c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e tank 112, and a fixing groove 114c engaged with the fixed rail 112c is formed in the baffle 114 desirable. In this case, when the fixing groove 114c of the baffle 114 is engaged with the fixing rail 112c, additional supporting force for preventing the baffle 114 from moving in the rotating direction can be obtain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플(114)의 구조만으로도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나, 여기에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 간의 결합력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구조를 더 채용할 수 있다.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can be firmly coupled with each other only by the structure of the baffle 114.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following additional structure may be employed.

상기 탱크(112)에는 상기 헤더(111)와 결합하는 측의 상기 탱크(112)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는 탱크측 레일(112b)이 형성되며, 상기 헤더(111)에는 상기 헤더(111)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탱크측 레일(112b)과 맞물리는 헤더측 레일(111b)이 형성되 어 결합된다. 상기 헤더측 레일(111b) 및 상기 탱크측 레일(112b)은,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가 분리되는 방향(도 3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 사이의 결합력을 효과적으로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The tank 112 is formed with a tank side rail 112b tha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tank 112 on the side of coupling with the header 111 and protrudes or sinks in the width direction, Side rail 111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header 111 and engaged with the tank side rail 112b. The header side rail 111b and the tank side rail 112b ar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ince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are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can be further effectively increased.

본 발명의 탱크(112)는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몸체(2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종래에는 탱크에 탭을 구비하여야만 했기 때문에 탱크를 형성할 때 금속 판재에 탭을 형성한 후 절곡하는 공정을 거쳐야만 했으며, 따라서 종래의 탱크는 압출 공정으로 제조하기 매우 난해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탱크(112)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탭을 제거한 형태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탱크측 레일(112b)을 포함하여 탱크(112) 전체 외관 형상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탱크(112)를 압출 공정으로 매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몸체(210) 역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외관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탱크(112)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몸체(210)를 압출 공정에 의해 용이하게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The tank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210 of the receiver dryer 200 as shown. Conventionally, since the tanks have to be provided with taps, it has been necessary to form tabs on the metal sheet when forming the tanks, and then to bend the tanks. Therefore, conventional tanks are very difficult to manufacture by the extrusion process. However, in the case of the tank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tab 112 is removed as described above, but also the entire outer shape of the tank 112 including the tank side rail 112b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tank 112 can be formed very easily by an extrusion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body 210 of the receiver dryer 200 also has an external shape tha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ody 112 of the tank 112 and the body of the receiver dryer 200 are processed by an extrusion process So that it can be easily fabricated as an integral body.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탱크(112) 및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몸체(210)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 드라이어에 연결부를 형성하고, 연결부를 탱크 에 브레이징 등의 공정을 통해 결합시키는 과정을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탱크(112) 및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몸체(210)가 압출 공정에 의해 단번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연결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지 적절한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여 주기만 하면 된다. 즉, 종래에 연결부가 형성된 리시버 드라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및 연결부를 탱크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완전히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12 of the tank 112 and the body of the receiver dryer 200 are integrally formed, thereby achieving the following effects.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2, a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a receiver dryer, and a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a tank through a process such as brazing.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dy 210 of the tank 112 and the receiver dryer 200 are integrally formed at one time by the extrusion process, there is no need for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connection portion, . That is,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receiver dryer in which a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past and a process for coupling the connection portion to the tank can be completely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탭 형성을 위한 부가 공정 및 여분의 재료, 리시버 드라이어 몸체에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연결부를 탱크에 결합시키는 공정 등을 모두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공정 수를 대폭 줄이고 재료의 낭비 역시 절감함으로써, 제조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얻을 수 있게 해 준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dditional process for forming the tab and the extra material, the process for forming the connection portion to the receiver dryer body, and the process for bonding the connection portion to the tank can all be omitted, And also reduces the waste of materials,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improving productivity.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일반적인 응축기 및 리시버 드라이어.1 shows a typical condenser and receiver dryer.

도 2는 종래의 응축기 헤더탱크 및 리시버 드라이어와 헤더탱크 간의 연결부의 상세 분해 사시도.2 is a detail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ndenser header tank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receiver dryer and a header tank;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 및 라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denser and a radi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의 헤더탱크의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of a header tank of a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응축기 200: 리시버 드라이어100: condenser 200: receiver dryer

111: 헤더111: Header

111a: 코킹홀 111b: 헤더측 레일111a: caulking hole 111b: header side rail

112: 탱크 112a: 결합 레일112: tank 112a: coupling rail

112b: 탱크측 레일 112c: 고정 레일112b: tank side rail 112c: fixed rail

113: 튜브삽입홀113: tube insertion hole

114: 배플114: Baffle

114a: 결합 홈 114b: 코킹부114a: coupling groove 114b:

114c: 고정 홈 114d: 본체면114c: fixing groove 114d: body surface

120: 튜브 130: 핀120: tube 130: pin

Claims (5)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튜브삽입홀(113)이 형성되는 헤더(111), 상기 헤더(111)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에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112)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배플(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높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10); 상기 튜브삽입홀(113)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120); 및 상기 튜브(1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응축기(100)에 있어서,A header 111 formed with a plurality of tube insertion holes 113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ank 112 coupled with the header 111 to form a refrigerant passage in the internal space, A pair of header tanks (110) including at least one baffle (114) dividing the space in the width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eight direction; A plurality of tubes 120 having both ends thereof inserted and fixed in the tube insertion hole 113 to form a refrigerant passage; And a plurality of fins (130)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120); And a condenser (100) 상기 헤더(111)에는 코킹홀(111a)이 형성되고,A cocking hole 111a is formed in the header 111, 상기 탱크(112)에는 상기 헤더(111)와 결합하는 쪽의 상기 탱크(112)의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레일(112a)이 형성되고,The tank 112 is formed with a coupling rail 112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tank 112 on the side of coupling with the header 111 and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상기 배플(114)은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둘레와 동일한 외주면을 가지는 본체면(114d), 상기 결합 레일(112a)과 맞물리도록 상기 본체면(114d)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 홈(114a) 및 상기 코킹홀(111a)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면(114d)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코킹부(11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The baffle 114 includes a body surface 114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the same as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And a caulking part 114b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surface 114d to be inserted into the caulking hole 111a, 상기 탱크(112)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레일(112c)이 형성되며, 상기 배플(114)에는 상기 고정 레일(112c)과 맞물리는 고정 홈(114c)이 형성되고,A fixing rail 112c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e tank 112. A fixing groove 114c for engaging with the fixing rail 112c is formed in the baffle 114, 상기 탱크(112)에는 상기 헤더(111)와 결합하는 쪽의 상기 탱크(112)의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탱크측 레일(112b)이 더 형성되며, 상기 헤더(111)에는 상기 헤더(111)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탱크측 레일(112b)과 맞물리도록 함몰 형성되는 헤더측 레일(111b)이 더 형성되어 결합되어,The tank 112 further includes a tank side rail 112b tha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tank 112 on the side of coupling with the header 111 and protrudes outward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header 111 is further formed with a header-side rail 111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header 111 and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tank-side rail 112b, 상기 탱크(112)의 끝단부는 폭 방향 양측으로 상기 결합 레일(112a) 및 상기 탱크측 레일(112b)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 레일(112a) 및 상기 탱크측 레일(112b)이 형성되는 측벽 일부가 상기 헤더(111)의 측벽 두께만큼 얇게 형성되어,The end of the tank 112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rail 112a and the tank side rail 112b so that the coupling rail 112a and the tank side rail 112b are formed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header 111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side wall of the header 111,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의 외측 결합면이 편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헤더(111) 및 상기 탱크(112)의 결합부분의 두께가 상기 탱크(112)의 측벽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The outer surface of the header 1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ank 112 are formed flat and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header 111 and the tank 112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of the tank 112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114b)는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aulking portion (114b) 2편으로 형성되어 각 편이 각각 좌우 양쪽으로 코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And the two sides are respectively caulk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dens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112)는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tank (112)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리시버 드라이어(200)가 상기 탱크(112)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몸체(210)와 일체형으로 압출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Wherein a receiver dryer (200) for separating the gaseous refrigerant from the liquid phase refrigeran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ank (112), and is formed by an extrusion process integrally with the body (210) of the receiver dryer (200). 삭제delete
KR1020080078550A 2008-08-11 2008-08-11 A Condenser KR1014628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550A KR101462887B1 (en) 2008-08-11 2008-08-11 A Cond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550A KR101462887B1 (en) 2008-08-11 2008-08-11 A Cond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820A KR20100019820A (en) 2010-02-19
KR101462887B1 true KR101462887B1 (en) 2014-11-19

Family

ID=4209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550A KR101462887B1 (en) 2008-08-11 2008-08-11 A Cond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88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301B1 (en) * 2012-04-25 2012-10-17 쓰리에이 클라이젠(주) Condenser integrated with receiver dry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873A (en) * 1998-07-01 2000-01-18 Zexel Corp Header pipe for heat exchanger
JP2001059692A (en) * 1999-06-17 2001-03-06 Marunaka:Kk Pipe for heat exchanger and coupling structure of pipe for heat exchanger to tube
JP2005077003A (en) * 2003-09-01 2005-03-24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Heat exchanger
JP2005083647A (en) * 2003-09-08 2005-03-31 Calsonic Kansei Corp Core structure of heat exchang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873A (en) * 1998-07-01 2000-01-18 Zexel Corp Header pipe for heat exchanger
JP2001059692A (en) * 1999-06-17 2001-03-06 Marunaka:Kk Pipe for heat exchanger and coupling structure of pipe for heat exchanger to tube
JP2005077003A (en) * 2003-09-01 2005-03-24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Heat exchanger
JP2005083647A (en) * 2003-09-08 2005-03-31 Calsonic Kansei Corp Core structure of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820A (en) 201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5681B2 (en) Evaporator unit
US20070169512A1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nt cycle device using the same
US8839847B2 (en) Condenser
JP5445576B2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equipment
CN113227703B (en) Heat exchanger
JP2004353936A (en) Heat exchanger and liquid receiver-integrated condenser
KR101462887B1 (en) A Condenser
RU2329439C2 (en) Heat exchanger with receiver tank (versions), connecting element of receiver tank (versions), receiver tank construction design (versions), and refrigerating system (versions)
CN113227702B (en) Heat Exchanger
KR101280622B1 (en) Condenser
KR101518781B1 (en) A Heat Exchanger
KR20170047050A (en) A condenser
KR101210570B1 (en) Heat exchanger
KR101870776B1 (en) Condenser
KR101771152B1 (en) Condenser
KR101461077B1 (en) Heat exchanger
KR101353513B1 (en) An Evaporator
KR101773014B1 (en) Condenser
US20080230214A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387000B2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KR20100096350A (en) A heat exchanger
KR102200300B1 (en) A condenser
KR100936368B1 (en) Receiver drier of one unit with condenser
KR102228023B1 (en) Condenser for vehicle
KR100622446B1 (en) Condenser integrated with receiver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