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997A - 단열패널 - Google Patents

단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997A
KR20180117997A KR1020170051275A KR20170051275A KR20180117997A KR 20180117997 A KR20180117997 A KR 20180117997A KR 1020170051275 A KR1020170051275 A KR 1020170051275A KR 20170051275 A KR20170051275 A KR 20170051275A KR 20180117997 A KR20180117997 A KR 20180117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eceiving
extension
accommodati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446B1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17005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44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04F13/087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the basic insulating layer comprising mutual alignment or inter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은 건축물의 단열을 구현하도록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수용공간 상에 주입되어 상기 건축물의 단열을 구현하는 단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본체부 및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과의 연결을 구현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커버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용부와 상기 커버부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패널{Insulated panel}
본 발명은 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단열을 구현하도록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는 단열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 외부의 시선에 노출되는 부위의 경우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벽 구조체의 표면에 마감 공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벽체 마감 공사에 있어서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방식의 마감이 알려져 행해지고 있었으며, 최근에는 천연석재 또는 인조석, 금속판재, 합성 수지판재, 나무판 등과 같이 일정 크기의 사각 패널형태로 이루어진 단위 마감용 패널을 건축물의 벽체에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시공 능률 향상, 간편성 등의 관점에서 건축물의 벽체 마감 방식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건축용 마감 패널의 부착 시공에 있어 콘크리트와 같은 벽체 표면에 시멘트 몰탈 등을 도포한 후 마감 패널을 압착(혹은 마감 패널 후면에 시멘트 몰탈을 도포한 후 벽체 표면에 압착)하여 부착시키는 습식시공방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벽체에 먼저 금속 각파이프 등으로 지지프레임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마감 패널들을 스크류에 의해 고정시키는 건식시공방식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마감 공사와 더불어 건축물의 단열을 구현하기 위해 단열재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마감패널과 단열재가 건축물에 설치되기 위해, 단열재 및 마감패널 각각을 건축물에 설치하거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마감패널에 접착한 후 마감패널을 건축물에 설치해야 했다.
따라서, 단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마감패널을 건축물에 설치하기 위한 공정이 늘어난다는 점에서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한 공정으로 건축물의 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건축물의 단열을 구현할 수 있는 단열패널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은 건축물의 단열을 구현하도록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수용공간 상에 주입되어 상기 건축물의 단열을 구현하는 단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본체부 및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과의 연결을 구현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커버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용부와 상기 커버부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용부는, 수용본체부 및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본체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수용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연장부는, 이웃하는 동일 형상의 단열패널이 구비하는 수용연장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용연장부는,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어 상기 커버본체부를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상기 수용본체부의 위치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용연장부는,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제1 수용연장부 및 상기 수용본체부 상에 안착되는 제2 수용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수용연장부는, 상기 연결부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용연장부 및 상기 연결부를 상기 건축물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연장부 및 상기 연결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커버본체부를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상기 수용본체부의 위치를 규정하는 커버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연장부는,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1 커버연장부, 상기 제1 커버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연장부 및 상기 제2 커버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커버연장부와 이웃하는 다른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커버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에 따르면, 단순한 공정으로 건축물의 단열을 구현할 수 있어,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이 건축물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의 개략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부가 수용공간 상에 주입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과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과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을 커버하는 부분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이 건축물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부가 수용공간 상에 주입되는 것을 도시한 가로방향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과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가로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과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가로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을 커버하는 부분을 도시한 세로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1 에서 볼 때, 상기 가로방향은 좌우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세로방향은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높이방향은 상기 가로방향 및 상기 세로방향에 각각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10)은 건축물(B)의 단열을 구현하도록 상기 건축물(B)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수용부(100) 및 상기 수용공간(S)을 커버하는 커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수용부(100)와 접촉되어 상기 수용공간(S)을 외부로부터 구획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100) 및 상기 커버부(200)는 협동하여 상기 수용공간(S)의 한게를 규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용부(100) 및 상기 커버부(200)는 나무, 섬유, 합성수지, 금속 등의 재질일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수용부(100) 및 상기 커버부(200)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가져 상기 수용공간(S)이 직육면체의 공간으로 특정되어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용공간(S)의 형상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수용공간(S)의 형상은 직육면체의 형상이며, 상기 수용부(100)는 사각의 상자형상이고, 상기 커버부(200)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임을 가정하겠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10)은 상기 수용공간(S) 상에 주입되어 상기 건축물(B)의 단열을 구현하는 단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300)는 단열을 구현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으며, 일례로, 유동 가능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유동이 가능하지 않는 상태로 변화되는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열부(300)는 상기 수용부(100)가 상기 커버부(200)에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용부(100)와 상기 커버부(200) 간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00) 및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수용부(100)와 상기 커버부(200) 간에 연결을 구현하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별개의 연결부재(K) 없이, 상기 단열부(300) 만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부(300)는 상기 건축물(B)의 단열을 구현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100) 및 상기 커버부(200) 간을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열부(300)는 우레탄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S) 상에 주입공(130)을 통해 주입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단열부(300)의 재질은 우레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건축물(B)의 단열을 구현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100)와 상기 커버부(200) 간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가능 하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수용공간(S)을 커버하는 커버본체부(210) 및 상기 커버본체부(210)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10A)과의 연결을 구현하는 연결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커버본체부(210)의 상기 가로방향 일측으로부터 상기 높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연결부(221) 및 상기 커버본체부(210)의 상기 가로방향 타측으로부터 상기 높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연결부(221)는 상기 커버본체부(210)로부터 상기 높이방향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1 연결부(221-1), 상기 제1-1 연결부(221-1)로부터 상기 가로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2 연결부(221-2) 및 상기 제1-2 연결부(221-2)로부터 상기 높이방향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3 연결부(22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3 연결부(221-3)는 외력에 의해 위치 변화되어 이웃하는 단열부재(10A)의 제2 연결부(223A)를 구속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방향의 외측은 상기 높이방향에서 상기 건축물(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높이방향의 내측은 상기 높이방향의 외측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연결부(223)는 상기 커버본체부(210)로부터 상기 높이방향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1 연결부(223-1) 및 상기 제2-1 연결부(223-1)로부터 상기 가로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2 연결부(22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커버부(200)는 상기 커버본체부(210)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커버연장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연장부(230)는 상기 커버본체부(210)의 상기 세로방향 하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수용부(100)는 수용본체부(110) 및 상기 수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본체부(110)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수용연장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본체부(110)는 상기 수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커버본체부(2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연장부(120)는 상기 수용본체부(110)로부터 상기 높이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용연장부(120)는 상기 수용본체부(110)로부터 연장되는 제1 수용연장부(121), 제2 수용연장부(124), 제3 수용연장부(123) 및 제4 수용연장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연장부(120)는 상기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동일 형상의 단열패널(10A)이 구비하는 수용연장부(120A)와 접촉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열패널(10)이 상기 건축물(B)에 설치된 후 상기 가로방향으로 상기 단열패널(10)과 동일 형상의 단열패널(10A)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연장부(120)와 이웃하는 단열패널(10A)의 수용연장부(120A) 간은 서로 접촉되어 상기 건축물(B)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수용연장부(124)는 이웃하는 단열패널(10)의 제4 수용연장부(122A)와 상호 접촉되어 상기 건축물(B)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단열패널(10, 10A) 사이에 갭이 최소화될 수 있어, 단열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연장부(120)는 상기 연결부(220)와 접촉되어 상기 커버본체부(210)를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용연장부(124)는 상기 제1 수용연장부(121), 상기 제3 수용연장부(123) 및 상기 제4 수용연장부(122)보다 더 길게 상기 수용본체부(110)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용연장부(121), 상기 제3 수용연장부(123) 및 상기 제4 수용연장부(122)는 상기 커버본체부(210) 상에 안착되는 반면, 상기 제2 수용연장부(124)는 상기 커버본체부(210)를 지나쳐 상기 연결부(220)의 상기 제1-1 연결부(221-1)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수용연장부(124)는 상기 연결부(22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로방향으로 상기 수용본체부(110)를 상기 커버본체부(210)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제2 수용연장부(124)를 상기 제1-1 연결부(221-1)에 접촉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수용공간(S)에 상기 단열부(300)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부(100)와 상기 커버부(200)간을 위치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열부(300)가 상기 수용공간(S)에 주입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연장부(124)와 상기 연결부(220) 사이의 미세한 갭으로 주입되어 상기 수용부(100)와 상기 커버부(200) 간의 위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용연장부(124)는 상기 연결부(2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용연장부(121), 상기 제3 수용연장부(123) 및 상기 제4 수용연장부(122)는 상기 커버본체부(210) 상에 안착되는 반면, 상기 제2 수용연장부(124)는 상기 연결부(2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수용연장부(124)는 상기 제1-2 연결부(221-2)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상기 수용본체부(110)는 상기 커버본체부(2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커버연장부(230)는 상기 커버본체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세로방향으로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연장부(230)는 상기 커버본체부(210)로부터 상기 높이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는 상기 제3 수용연장부(123)가 상기 커버연장부(230) 상에 안착되지 않고 상기 커버본체부(210) 상에 안착되도록 상기 커버부(200)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자가 상기 단열부(300)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100)를 상기 커버부(200) 상에 안착하는 작업을 할 때, 상기 커버부(200)를 기준으로 상기 수용부(100)가 상기 가로방향으로 위치해야 하는 위치 설정은 상기 제2 수용연장부(124)가 상기 연결부(220)에 접촉되는 위치이며, 상기 커버부(200)를 기준으로 상기 수용부(100)가 상기 세로방향으로 위치해야 하는 위치 설정은 상기 제3 수용연장부(123)가 상기 커버연장부(230) 상에 안착되지 않고 상기 커버본체부(210) 상에 안착되는 위치라는 점에서, 상기 작업자는 상기 제2 수용연장부(124)와 상기 연결부(220) 간의 위치적 관계 및 상기 제3 수용연장부(123)와 상기 커버연장부(230) 간의 위치적 관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상기 수용부(100)를 상기 커버부(200) 상에 안착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커버연장부(230)는 상기 커버본체부(210)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1 커버연장부(231), 상기 제1 커버연장부(231)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10B)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연장부(232) 및 상기 제2 커버연장부(232)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커버연장부(232)와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10B)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커버연장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열패널(10)의 상기 세로방향 하측으로 이웃하는 단열패널(10B)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커버연장부(230)는 상기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10B)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 결과,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10B)은 상기 커버연장부(230)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높이방향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연장부(230)는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10B)의 모서리 부분을 커버함에 따라 작업자가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10B)의 모서리에 긁히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10)은 상기 수용부(100)를 상기 건축물(B)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건축물(B)에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빔(P)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부(300)재는 상기 연결빔(P)에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단열부(300)재는 상기 건축물(B)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연결빔(P)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1 고정부(410) 및 상기 제1 고정부(410)로부터 상기 높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연장부(120)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2 고정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고정부(410)는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연결부재(K)에 의해 상기 연결빔(P)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부(420)는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연결부재(K)에 의해 상기 수용연장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상기 수용연장부(120)는 상기 고정부(400)에 의해 상기 건축물(B)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고정부(420)는 상기 연결부재(K)에 의해 상기 제4 수용연장부(124) 및 상기 단열부(300)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수용연장부(122A) 및 상기 단열부(3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제2 고정부(420)로부터 상기 가로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고정부(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고정부(430)는 상기 제1-3 연결부(221-3)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커버부(2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부(420)가 상기 제2 수용부(100) 및 상기 단열부(300)에 접촉되어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400)에 의해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커버부(200)에 더욱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수용연장부(120) 및 상기 연결부(220)를 상호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빔(P)에 연결되어 상기 단열패널(10)을 더욱 견고히 상기 건축물(B)에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수용부
200: 커버부
300: 단열부
B: 건축물
S: 수용공간

Claims (9)

  1. 건축물의 단열을 구현하도록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는 단열패널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수용공간 상에 주입되어 상기 건축물의 단열을 구현하는 단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본체부 및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과의 연결을 구현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커버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용부와 상기 커버부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수용본체부 및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본체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수용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연장부는,
    이웃하는 동일 형상의 단열패널이 구비하는 수용연장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연장부는,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어 상기 커버본체부를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상기 수용본체부의 위치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연장부는,
    수용본체부 상에 안착되는 제1 수용연장부 및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제2 수용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연장부는,
    상기 연결부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수용본체부 및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본체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수용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연장부 및 상기 연결부를 상기 건축물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단열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연장부 및 상기 연결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수용본체부 및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본체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수용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커버본체부를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상기 수용본체부의 위치를 규정하는 커버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연장부는,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1 커버연장부, 상기 제1 커버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연장부 및 상기 제2 커버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커버연장부와 이웃하는 다른 단열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커버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KR1020170051275A 2017-04-20 2017-04-20 단열패널 KR101925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275A KR101925446B1 (ko) 2017-04-20 2017-04-20 단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275A KR101925446B1 (ko) 2017-04-20 2017-04-20 단열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997A true KR20180117997A (ko) 2018-10-30
KR101925446B1 KR101925446B1 (ko) 2018-12-06

Family

ID=6410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275A KR101925446B1 (ko) 2017-04-20 2017-04-20 단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4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558B1 (ko) * 2008-12-12 2009-10-27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조립식 경량패널 및 조립식 경량패널의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446B1 (ko)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795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EP048831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ystem floor and floor base for system floor
KR100953210B1 (ko) 건축용 판넬과 이의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090852B1 (ko) 내/외장 패널 고정장치
KR101925446B1 (ko) 단열패널
KR102204594B1 (ko) 진동흡수용 천정석고보드 프레임 구조체
KR101045941B1 (ko) 건축물의 천장패널 고정 구조
KR101932453B1 (ko) 조립 치밀성이 향상된 조립식 패널 및 그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20130087668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및 마감재 시공방법 및 시공구조
KR101068472B1 (ko) 벽체용 패널 이음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377647B1 (ko) 건축물 외장재 결합장치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KR20180028596A (ko) 패널 받침용 프레임, 프레임 받침대 및 이들을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와 이의 시공 방법
KR20210050792A (ko) 천장패널
KR200203658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KR20140127580A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GB2405880A (en) Adjustable frame structure
JP2009068307A (ja) 基礎石に立設した柱の補強装置
KR102257324B1 (ko) 외벽 치장재 고정용 클립의 고정구조
JP6963997B2 (ja) 仮設建物の壁構造
CN109138260B (zh) 胶砖模块
CN202969633U (zh) 一种组合式隔间组件
KR102179400B1 (ko)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코너연결구
JP3100169U (ja) 多機能ネット架空フリーアクセス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