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958A -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958A
KR20180117958A KR1020170051191A KR20170051191A KR20180117958A KR 20180117958 A KR20180117958 A KR 20180117958A KR 1020170051191 A KR1020170051191 A KR 1020170051191A KR 20170051191 A KR20170051191 A KR 20170051191A KR 20180117958 A KR20180117958 A KR 20180117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torage hopper
drying
foo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7466B1 (ko
Inventor
송인혁
손석옥
Original Assignee
(주) 에코베네
손석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코베네, 손석옥 filed Critical (주) 에코베네
Priority to KR102017005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46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02W30/521
    • Y02W30/522

Abstract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개구된 상단으로 투입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는 제1 저장호퍼; 상기 제1 저장호퍼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저장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 중 음식물쓰레기는 상단부로 이동시키고, 오수는 하단부로 배출시키는 분리이송부; 상기 분리이송부의 상단부와 연통되어 제공되는 오수분리 음식물쓰레기 또는 개구된 상단으로 투입된 오수미함유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는 제2 저장호퍼; 상기 제2 저장호퍼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제공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와 연통된 상태에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제공받아 가열 및 건조하되,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는 하단부의 수거함으로 토출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량의 음식물쓰레기를 오수 함유량에 따라 선별적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제1,2 저장호퍼와, 분리이송부, 파쇄부 및 건조부가 각각 유기적으로 순차 작동토록 연계구성됨에 따라 분리 저장에 의한 악취발생의 저감과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신속한 건조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일체화된 모듈형태로의 구현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관리운용상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SELECTIVELY PROCESS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량의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저장과 연속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오수량에 따른 구별된 탈수처리를 통해 오수가 분리된 음식물쓰레기만의 신속한 건조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화됨으로 인해 식문화가 윤택해지면서 음식물의 종류는 더욱 다양하고 풍성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음식물이 풍족해짐에 따라 식사 후에 남아서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의 양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오수(汚水))을 함유하고 있어서, 상온에서 일정한 시간 방치되면, 미생물에 의한 부패로 인해 심한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는 주변 환경을 위해 하는 요소로 취급되고 있다. 따라서 가정이나 대형 음식점 등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직접 신속하게 처리하는 방안이나 기술에 대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심에 부응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술 내지 방안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53808호(공고일자: 2007년08월31일)는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선행기술은,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찌꺼기를 분쇄, 탈수하는 분쇄탈수수단 및 이와 직결되어 분쇄된 음식물찌꺼기를 제공받는 건조박스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건조박스 내부면에는 사각형 형상의 다수 개의 스플라인이 중심축과 평행하게 이격배치되어 회전하는 제2 스크류와 상호 작용토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건조박스 내부에서 건조되는 음식물찌꺼기는 뭉치지 않고 재차 분쇄되어 음식물찌꺼기의 이송 및 배출이 원할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서 제시하고 있는 분쇄탈수수단 및 건조박스는, 분쇄탈수수단에서 분쇄된 음식물찌꺼기를 분쇄상태 그대로 건조박스로 송출시키는 직결구조로 결합되어 있어 분쇄된 음식물찌꺼기에 함유된 오수까지도 건조박스로 송출되게 된다.
이렇게 다량의 오수가 건조박스로 송출되면, 건조박스는 분쇄된 음식물찌꺼기를 완전 건조시키기 위해보다 많은 시간 동안 작동되어야 하고, 이는 건조박스의 경제적인 운용 및 효율을 크게 저해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오수는, 음식물의 종류 즉, 국이나 찌개와 같은 국물 요리나 밥이나 마른 반찬류와 같은 고형체 요리에 따라 그 함유량이 크게 차이 나게 되는데, 별다른 구별 없이 장치 내로 투입 후 혼합하여 처리하는 경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처리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구조적 개선 내지 개량이 요구되고 필요한 실정이다.
나아가, 사용자가 채반이나 거름망을 이용하여 미리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오수를 제거한 후 본 선행기술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효율 증대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강요하는 것으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자동화를 이루기 위한 본 선행기술에 따른 장치의 취지에도 반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53808호(공고일자: 2007년08월31일)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의 음식물쓰레기를 오수 함유량에 따라 선별적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오수 함유량이 많은 음식물쓰레기의 경우에는 탈수처리 후 파쇄 및 건조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오수 함유량이 적은 음식물쓰레기의 경우에는 파쇄 후 건조처리되도록 한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개구된 상단으로 투입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는 제1 저장호퍼; 상기 제1 저장호퍼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저장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 중 음식물쓰레기는 상단부로 이동시키고, 오수는 하단부로 배출시키는 분리이송부; 상기 분리이송부의 상단부와 연통되어 제공되는 오수분리 음식물쓰레기 또는 개구된 상단으로 투입된 오수미함유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는 제2 저장호퍼; 상기 제2 저장호퍼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제공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와 연통된 상태에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제공받아 가열 및 건조하되,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는 하단부의 수거함으로 토출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저장호퍼 및 상기 제2 저장호퍼 각각은, 각뿔형태의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저장호퍼 및 상기 제2 저장호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깔때기 형상을 이루는 경사 측면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를 혼합하기 위해 회전하는 교반날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이격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리이송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저장호퍼 쪽으로 경사 설치되되, 하단부 일면은 상기 제1 저장호퍼와 연통되고, 하단부의 타면에는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단부 타면은 상기 제2 저장호퍼와 연통되는 이송파이프; 및 상기 이송파이프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음식물쓰레기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주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스크류날개와, 상기 스크류날개의 하단부에서 상기 오수배출공 쪽으로 연장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오수배출공의 주변영역을 긁어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로 구성되는 스크류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2 저장호퍼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제공받고, 내측 하부면에 탈수배출공이 구비되는 관체형상의 제1 하우징; 일단부에서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고 타단부에 구비된 파쇄배출공을 향해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관체형상의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제공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분쇄하여 상기 파쇄배출공으로 송출시키는 분쇄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부는, 내설된 히터로 제공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 및 건조하는 원통형 건조하우징;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에서 정역 회전하며 음식물쓰레기를 이동시키고 재분쇄하며 건조완료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건조하우징의 단부에 형성된 건조배출홀을 통해 토출시키는 건조스크류; 및 상기 건조하우징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배출홀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토출 후 낙하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수거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밀폐형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저장호퍼, 상기 제2 저장호퍼 및 상기 건조부와 각각 연통되는 가스관을 통해 처리 중인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산되는 악취성분을 흡인 및 제거하는 탈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는, 상기 가스관의 일측에 마련되어 발산된 악취성분을 흡인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고, 상기 송풍기로부터 제공된 악취성분에 대하여 물을 분사하여 소정의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습식세정수단; 상기 습식세정수단을 거친 악취성분에 대하여 소정의 약액을 분사하여 잔류 악취성분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약액세정수단; 및 물 및 약액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개구된 상단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고, 개구된 하단은 상기 제1 저장호퍼 및 상기 제2 저장호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부와 탈착결합하는 결합하우징; 및 상기 결합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1차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커팅부를 포함하는 탈착형 절단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하우징은, 개구된 하단이 상기 제1 저장호퍼 및 상기 제2 저장호퍼의 상단부와 각각 탈착결합하되, 상기 커팅부의 아래쪽에서 회동하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제1,2 저장호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호퍼선택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팅부는, 제1 회전축에 다수의 제1 원형커터가 이격설치된 제1 회전커터와, 제2 회전축에 다수의 제2 원형커터가 이격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형커터 사이에 상기 제2 원형커터가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회전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량의 음식물쓰레기를 오수 함유량에 따라 선별적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제1,2 저장호퍼와, 분리이송부, 파쇄부 및 건조부가 각각 유기적으로 순차 작동토록 연계구성됨에 따라 분리 저장에 의한 악취발생의 저감과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신속한 건조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일체화된 모듈형태로의 구현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이동성, 관리운용상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반대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의 제1 저장호퍼 및 분리이송부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a의 제2 저장호퍼 및 파쇄부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a의 건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a의 탈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절단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반대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c는 도 1a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a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a의 제1 저장호퍼 및 분리이송부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a의 제2 저장호퍼 및 파쇄부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a의 건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a의 탈취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절단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에 의하면, 대량의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오수함유와 미함유에 따른 선별적 저장을 통해 오수를 매개로 한 악취발생이 근본적으로 저감될 수 있고,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선별적이고 인위적인 오수 분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신속한 건조처리가 도모될 수 있으며, 상호 연계작동하는 구성들에 대한 일체화된 모듈형태로의 구현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의 이동성과, 관리운용상의 경제성 및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란 국이나 찌개 등과 같은 국물 음식에서 발생되어 액체성분이 다량 함유된 음식물쓰레기를 지칭하고, 오수미함유 음식물쓰레기란 액체성분이 전혀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액체성분이 소량 함유된 것으로, 밥이나 마른 반찬류 등과 같은 고형체 음식에서 발생된 음식물쓰레기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의 구현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호퍼(110), 분리이송부(120), 제2 저장호퍼(130), 파쇄부(140) 및 건조부(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탈취부(170) 및 탈착형 절단모듈(18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들 중 분리이송부(120), 파쇄부(140), 건조부(150), 탈취부(170) 및 탈착형 절단모듈(180)은 제어부(10)와 연결되어 각각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저장호퍼(110)는,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 즉, 국이나 찌개 등과 같은 국물 음식에서 발생되어 액체성분이 다량 함유된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저장호퍼(110)는,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에 대하여 후술할 분리이송부(120)를 통한 오수의 분리처리가 먼저 수행되도록 하여 건조부(150)의 효율증대를 꾀할 목적과, 건조부(150)의 작동에 따라 소요되는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시간 동안 임시적으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를 대량으로 저장할 목적으로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저장호퍼(110)는, 도 1a,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의 일측면이 분리이송부(120)와 연통되되, 개구된 상단으로 투입되어 저장중인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가 자연스럽게 자중에 의해 분리이송부(120)로 유동될 수 있도록 각뿔형태의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저장호퍼(110)는 대형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를 위해 대략 120Kg의 용량으로 제작할 수 있고, 악취의 확산방지를 위해 제1 저장호퍼(110)의 상단부에는 뚜껑이 밀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깔때기 형상을 이루는 제1 저장호퍼(110)의 경사 측면에는 도 1c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가 혼합되도록 회전하는 교반날개(1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이격설치될 수 있다.
이때, 교반날개(160)는 기어박스 또는 타이밍 벨트 등에 의해 일측에 장착된 모터(M)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성요소로서, 모터(M)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10)에 의해 회전작동과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날개(160)의 회전작동을 통해 제1 저장호퍼(110)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는 교반날개(160)를 기준으로 상하로 서로 균일하게 섞여 혼합됨에 따라 후술할 건조부(150)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건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서로 다른 내용물로 이루어진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고 제1 저장호퍼(110)에 투입되어 저장된 순서대로 건조부(150)로 송출되면,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건조속도 서로 달라져 건조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반날개(160)는 제1 저장호퍼(110)에 저장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균일하게 뒤섞이도록 회전하는 과정에서 퍼올려 진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악취성분이 충분히 반복적으로 발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악취성분이 충분히 발산되면, 후술할 가스관(171) 및 송풍기(172)를 통해 탈취부(170)에 다량의 악취성분이 흡인되어 처리될 수 있게 됨에 따라, 건조부(150)를 통해 건조 완료된 분쇄 형태의 음식물쓰레기 자체에는 미량의 악취성분만이 잔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반날개(160)는 제1 저장호퍼(110)에 저장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균일하게 뒤섞이도록 반복 회전하는 과정에서 교반날개(160)에 의해 퍼올려 진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오수가 자유낙하 되도록 함으로써 오수가 후술할 오수배출공(122) 쪽에 더욱 용이하게 모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교반날개(160)는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가 후술할 분리이송부(120)와 연통되는 영역에 과도하게 가압 적층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의 분리이송부(120)로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교반날개(160)를 통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의 보다 원활한 혼합을 위해, 교반날개(160)는 제1 저장호퍼(110)의 중앙부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도 1c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저장호퍼(110)의 경사 측면 사방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날개(160)의 장착으로 인해 서로 다른 내용물로 구별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균일한 건조는 물론, 탈취효율의 증대, 오수의 원활한 배출 및 적층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의 분리이송부(120)로의 원활한 이송 등이 도모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대용량의 제1 저장호퍼(110)가 마련됨에 따라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를 주변에 방치할 필요없이 용량 한도(일례로 120Kg)까지 연속적으로 투입한 후 일정시간 즉, 건조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주변환경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건조부(150)를 작동정지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건조효율이 보다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분리이송부(120)는, 제1 저장호퍼(110)에 일시적으로 대량 저장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 중 음식물쓰레기는 상단부 즉, 후술할 제2 저장호퍼(130) 쪽으로 이송시키면서, 오수는 이와 분리하여 하단부 일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제1 저장호퍼(110)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에서 오수의 분리가 자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의 구현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이송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파이프(121) 및 스크류컨베이어(1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송파이프(121)는,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 저장호퍼(130) 쪽으로 경사 설치되되, 하단부 일면은 제1 저장호퍼(110)와 연통되고, 하단부의 타면에는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배출공(122)이 형성되며, 상단부 타면은 제2 저장호퍼(130)와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오수배출공(122)은 단순히 중공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가 하수구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공형태로 형성한 후 메쉬망을 설치하거나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컨베이어(125)는, 이송파이프(1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기어박스 또는 타이밍 벨트 등에 의해 일측에 장착된 모터(M)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음식물쓰레기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모터(M)는 제어부(10)에 의해 회전작동의 시작과 종료, 회전속도 등이 작동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125)는, 이송파이프(121)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 중 음식물쓰레기만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주회전축(126)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스크류날개(127)와, 스크류날개(127)의 하단부에서 오수배출공(122) 쪽으로 연장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오수배출공(122)의 주변영역을 긁어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12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스크류컨베이어(12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저장호퍼(110) 내에서 자중에 의해 하단부에 모여진 음식물쓰레기 및 오수 중 음식물쓰레기는 스크류컨베이어(125)를 통해 상방으로 이송되고, 오수는 오수배출공(122)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어 별도로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방으로 이송중인 음식물쓰레기에는 오수가 일정부분 함유되게 되는데, 이러한 오수는 상방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자중에 의해 스크류날개(127)와 이송파이프(121)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자연스럽게 낙하되거나 스크류날개(127)를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려 결국, 오수배출공(122)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또한, 스크류컨베이어(125)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오수는 원심력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보다 원활하게 분리된 후 오수배출공(12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스크래퍼(128)는, 도 3의 확대도 상에서는 스크류날개(127)의 일단에서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주회전축(126)을 중심으로 반대측에 대칭을 이루며 또 다른 스크래퍼(128)가 판형상으로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주회전축(126)을 중심으로 4방에 스크래퍼(128)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크래퍼(128)는, 이송파이프(121)의 하단부에 음식물쓰레기가 적층되어 오수배출공(122)을 통한 오수의 배출을 차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자체탄성력에 의해 오수배출공(122) 주변을 탄성가압하면서 긁어낼 수 있도록 연질의 판재형 실리콘, 합성수지, 고무 또는 브러쉬 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분리이송부(120)를 통해 후술할 파쇄부(140) 및 건조부(150)는, 오수 함량이 저감된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전달받아 파쇄, 가열 및 건조하게 됨에 따라 보다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날개(127)에는, 상방으로 이동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오수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더욱 원활하게 낙하 또는 흘러내릴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타공(127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타공(127a)의 크기는 음식물쓰레기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하게 된다.
제2 저장호퍼(130)는,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의 별도 저장과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오수의 분리처리를 위해 마련된 제1 저장호퍼(110)와 달리, 적극적인 오수의 제거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오수미함유(액체성분이 전혀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음식물쓰레기 즉, 밥이나 마른 반찬류 등과 같은 고형체 음식에서 발생되어 액체성분이 상대적으로 소량 함유된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저장호퍼(130)는, 오수의 제거가 요구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를 분리이송부(120)를 거치지 않고 개구된 상단으로 직접 투입받아 파쇄부(140) 및 건조부(150)를 통한 처리가 순차로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본 처리장치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목적과, 분리이송부(120)의 상단부와 연통되어 제공되는 오수분리 음식물쓰레기 및 직접 투입된 오수미함유 음식물쓰레기를 파쇄 및 건조시간 동안 임시적으로 대량 저장할 목적으로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저장호퍼(130)는, 도 1a,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하단부가 후술할 파쇄부(140)와 연통되되, 개구된 상단으로 투입되어 저장중인 오수미함유 음식물쓰레기 또는 오수분리 음식물쓰레기가 자연스럽게 자중에 의해 아래쪽의 파쇄부(140)로 유동될 수 있도록 각뿔형태의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저장호퍼(130)는 대형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를 위해 대략 120Kg의 용량으로 제작할 수 있고, 악취의 확산방지를 위해 제2 저장호퍼(130)의 상단부에는 뚜껑이 밀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깔때기 형상을 이루는 제2 저장호퍼(130)의 경사 측면에는,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가 혼합되도록 회전하는 교반날개(1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이격설치될 수 있음은 제1 저장호퍼(110)와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교반날개(160)는 앞서 제1 저장호퍼(1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별개로 마련된 대용량의 제2 저장호퍼(130) 및 제1 저장호퍼(110)를 통해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와 오수미함유 음식물쓰레기가 각각 선별적인 별도의 공정으로 처리됨에 따라 본 처리장치의 경제성과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주변에 방치할 필요없이 필요에 따라 각 저장호퍼(110,130)에 투입한 후 일정시간 즉, 건조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주변환경의 깔끔한 유지가 가능해질 수 있다.
파쇄부(140)는, 제2 저장호퍼(130)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제공된 음식물쓰레기를 작은 크기의 입자로 파쇄하는 구성요소로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각종 연질 성분 및 각종 뼈와 같은 경질 성분을 강하게 압착하여 파쇄 내지 분쇄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140)는, 도 1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44), 제2 하우징(146) 및 분쇄스크류(14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연질 성분에 대한 파쇄와 경질 성분의 분쇄가 모두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1 하우징(144)은, 제2 저장호퍼(130)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제공받고, 내부에 후술할 분쇄스크류(148)의 일부가 위치하게 되는 관체형상의 구성요소로서, 내측 하부면에 탈수배출공(144a)이 구비되어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파쇄 내지 분쇄 과정에서 유출되는 오수를 외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탈수배출공(144a)을 통한 오수의 외측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하우징(144)은 제2 하우징(146)과 결합상태에서 후술할 건조부(15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조부(150)의 건조효율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44)의 내측면에는 모서리가 날카롭게 가공된 돌기커터(145)가 제1 하우징(14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어 분쇄스크류(148)의 회전에 의해 밀려 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파쇄 내지 절단하게 된다.
제2 하우징(146)은, 일단부에서 제1 하우징(144)과 결합하고 타단부에 구비된 파쇄배출공(146a)을 향해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분쇄스크류(148)의 나머지 일부가 위치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내경이 좁아지는 내측면과 파쇄배출공(146a) 주변의 내면에는 제1 하우징(144)의 돌기커터(145)와 연결되는 형태의 돌기커터(145)가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하우징(146)의 돌기커터(145)에 의해 제공된 음식물쓰레기는 분쇄스크류(148)의 회전을 통해 파쇄배출공(146a)으로 토출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파쇄되고 압착분쇄될 수 있다.
분쇄스크류(148)는, 제1,2 하우징(144,146)의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제공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분쇄하여 파쇄배출공(146a)으로 송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1 하우징(144)으로부터 제2 하우징(146)을 향하며 점차 그 직경이 작아지되, 외주면에 이송날개(148a)가 형성되고, 파쇄배출공(146a)과 인접하는 단부에는 압착분쇄를 위한 분쇄커터날개(148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쇄스크류(148)는 기어박스 또는 타이밍 벨트 등에 의해 일측에 장착된 모터(M)와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받게 되며, 이러한 모터(M)는 제어부(1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건조부(150)는, 파쇄부(140)와 연통된 상태에서 오수가 충분히 제거되고 파쇄된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제공받아 가열 및 건조하고, 재분쇄하는 원통형의 구성요소로서,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는 하단부의 수거함(151)으로 토출시키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150)는 도 1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하우징(152), 건조스크류(154) 및 수거함(15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건조하우징(152)은 내설된 히터(152a)로 제공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 및 건조하는 원통형의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건조스크류(154)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건조하우징(152)의 하단부나 주변 일측에는 다수의 히터(152a)가 설치되어 건조하우징(152)을 가열시키게 된다.
이때, 다수의 히터(152a)는 상용화된 열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온도센서와 연계된 상태에서 제어부(10)와 연결되어 가열시간 및 가열온도 등이 작동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하우징(152)은 수평으로 눕혀진 형태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서 파쇄부(140)와 연통되고, 후술할 탈취부(170)와 가스관(171)을 통해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의 일측 단부는 다수의 건조배출홀(152b)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판형의 배출캡에 의해 폐쇄되며, 내부에서 건조 및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건조스크류(154)의 회전에 따라 건조배출홀(152b)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된 후 아래쪽의 수거함(151)에 수납되게 된다.
이때, 건조배출홀(152b)을 통해 외부 공기가 건조하우징(152) 내측에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후술할 탈취부(170)에 의한 악취성분의 흡인 및 공기순환이 원활해질 수 있게 된다.
건조하우징(152)의 내부면에는 모서리가 날카롭게 가공된 하나 이상의 내면돌기커터(152c)가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내면돌기커터(152c)는 건조하우징(152)의 내에서 건조하우징(152)의 길이방향과 양쪽 단부면에 걸쳐 다수 개가 길게 형성되어 건조스크류(154)의 회전에 의해 밀려 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재분쇄하게 된다.
즉, 건조스크류(154)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밀리거나 가압되면서 건조스크류(154)의 이송날개(154a) 및 단부의 분쇄커터날개(154b)가 내면돌기커터(152c)와 각각 상호 작용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재분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건조하우징(152)의 내벽에는 마블코팅(marble coating)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마블코팅이 되면, 건조하우징(152)의 내벽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 중 점성이 강한 성분 등이 가열되어 건조하우징(152)의 내벽에 눌어붙더라도 누룽지가 일어나듯이 쉽게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건조하우징(152)의 내벽으로부터 누룽지처럼 떨어지게 되면, 건조스크류(154)의 회전과 내면돌기커터(152c)에 의해 용이하게 재분쇄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스크류(154)는 기어박스 또는 타이밍 벨트 등에 의해 일측에 장착된 모터(M)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10)를 통해 회전속도, 회전방향, 회전시간 등이 작동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와 함께 재분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가 건조하우징(152)의 건조배출홀(152b)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도록, 건조스크류(154)를 일방향으로 회전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음식물쓰레기가 수거함(151)에 수용되도록 할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배출홀(152b)이 형성된 쪽으로 이동하도록, 건조스크류(154)를 타방향으로 회전제어하여 건조배출홀(152b)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토출되게 한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건조부(150)에서 건조스크류(154)는, 건조배출홀(152b) 쪽을 향하며 점차 이송날개(154a)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건조스크류(154)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배출홀(152b) 쪽으로 이송되는 경우, 좁아진 이송날개(154a)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점점 강하게 가압되게 하여 잔여 오수의 토출을 강제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토출된 오수의 빠른 증발이 유도됨에 따라 건조부(150)의 건조효율이 보다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가압된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는 단부의 분쇄커터날개(154b)와 건조배출홀(152b) 쪽 단부면의 내면돌기커터(152c) 간의 상호 작용으로 재분쇄된 후 건조배출홀(152b)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반대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배출홀(152b)의 반대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압된 상태의 뭉쳐진 음식물쓰레기는 점차 넓어지는 이송날개(154a)에 의해 가압해제되며 뭉침이 풀리게 되면, 내면돌기커터(152c)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재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수거함(151)은, 건조배출홀(152b)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건조배출홀(152b)을 통해 내부에서 외측으로 토출 후 낙하되는 건조된 파쇄 음식물쓰레기를 아래쪽에서 수거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체적으로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건조부(150)의 하단부에서 서랍과 같은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제1 저장호퍼(110), 제2 저장호퍼(130) 및 건조부(150)를 밀폐형 구조로 형성하고, 이들과 각각 연통되는 가스관(171)을 통해 처리 중인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산되는 악취성분을 흡인 및 제거하는 탈취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저장, 파쇄 및 건조과정에서 발산되는 악취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부(170)는, 도 1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송풍기(172), 습식세정수단(174), 약액세정수단(175) 및 순환펌프(17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탈취하우징(173)에 상술할 구성들이 각각 설치된다.
송풍기(172)는 제1 저장호퍼(110), 제2 저장호퍼(130) 및 건조부(150)과 각각 연결된 가스관(171)의 일측에 마련되어 발산된 악취성분을 흡인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체적으로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진 탈취하우징(173)의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습식세정수단(174)은 송풍기(172)로부터 흡인되어 제공되는 악취성분에 대하여 물을 분사하여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구성요소로서, 탈취하우징(173)의 내측에 마련되어 송풍기(172)와 연결되고, 탈취하우징(173)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물분사노즐(174a)을 통해 물을 분사 또는 분무하게 된다.
이러한 습식세정수단(174)을 통해 제거되는 악취성분은 수용성 기체인 썩은 달걀냄새의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등으로 이를 통해 1차적이고 기본적인 악취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습식세정수단(174)만이 구비된 탈취부(170)를 통해 기본적인 악취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보다 완벽한 악취제거를 위해 약액세정수단(175)이 습식세정수단(174)과 연계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약액세정수단(175)은, 습식세정수단(174)을 통해 1차적으로 제거된 악취성분에 대하여 소정의 약액을 분사하여 잔류 악취성분을 연속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탈취하우징(173)의 내부 중앙공간 전체를 세로방향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기준으로 습식세정수단(174)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습식세정수단(174)을 위에서 아래로 통과한 악취성분은, 약액세정수단(175)과 습식세정수단(174)을 구획하도록 탈취하우징(173) 내측에 설치된 격벽에 관통형성된 악취흐름공(173a)을 통해 약액세정수단(175)으로 유입되며, 이후 악취성분은 탈취하우징(173)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약액분사노즐(175a)에 의해 분사 내지 분무되는 약액을 통과한 다음 상단부에 구비된 배기관(17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약액세정수단(175)에서 사용되는 약액은 음식물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냄새 원인에 맞춰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곰팡이나 바이러스 등의 증식을 막고 살균력이 있으며, 생선조리시 발생되는 냄새 등의 제거에 탁월한 차아염소산을 약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펌프(176)는 습식세정수단(174) 및 약액세정수단(175) 주변에 각각 설치되어 분사된 물 및 약액을 순환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 탈취하우징(173)의 외측에 설치되되, 일단은 분무된 물 및 약액이 낙하하여 저장된 탈취하우징(173)의 하단부와 배관을 통해 연통되고, 타단은 물분사노즐(174a) 및 약액분사노즐(175a)과 배관을 통해 다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배관으로 연통된 순환펌프(176)는 흡인된 악취성분에 대하여 물 및 약액이 계속적으로 분무되도록 물을 순환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음식물쓰레기에 파쇄부(140)를 통한 압착 분쇄가 어려운 가늘고 부드러운 성분(일례로 해조류 등)이나 각종 뼈와 같은 경질 성분이 대량 포함되어 있는 경우, 파쇄 및 건조처리에 앞서 이를 적절하게 절단하여 효율적인 파쇄 및 건조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탈착형 절단모듈(1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절단모듈(1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결합하우징(182) 및 한 쌍의 커팅부(184a,184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하우징(182)은, 개구된 상단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고, 개구된 하단은 제1 저장호퍼(110) 및 제2 저장호퍼(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부와 탈착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관체형상의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하우징(18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호퍼(110) 및 제2 저장호퍼(130) 모두의 상단부와 탈착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커팅부(184a,184b)의 아래쪽에서 회동하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를 제1,2 저장호퍼(110,130)로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호퍼선택부(18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호퍼선택부(183)는, 뼈와 같은 경질 성분이 대량 포함된 음식물쓰레기가 오수의 함량이 많은 경우 제1 저장호퍼(110)로, 오수의 함량이 적은 경우 제2 저장호퍼(130)로 각각 유도될 수 있도록 결합하우징(182)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판(183a)과, 가이드판(183a)의 위치를 외측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판(183a)과 연결된 레버(183b)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결합하우징(182)은,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저장호퍼(110)나 제2 저장호퍼(130)에 선택적으로 탈착결합되는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 쌍의 커팅부(184a,184b)는, 결합하우징(182)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1차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회전커터(184a) 및 제2 회전커터(184b)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커터(184a)는 제1 회전축(184a1)에 다수의 제1 원형커터(184a2)가 이격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여기서 제1 원형커터(184a2)는 대략 1mm 내지 5mm의 두께와 10인치 이상의 외경을 갖는 원판에 대하여 외주연을 날카롭게 칼날가공하거나 톱니가공하거나 또는 이러한 가공이 하나의 원판에 동시에 혼합 적용된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칼날가공, 톱니가공 또는 혼합가공 등이 각각 개별적으로 된 원형커터들을 적절히 배치하여 제1 회전축(184a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칼날가공된 원형커터는 파쇄부(140)를 통한 압착 분쇄가 어려운 가늘고 부드러운 성분으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톱니가공된 원형커터는 각종 뼈와 같은 경질 성분을 작은 크기로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혼합가공된 원형커터는 가늘고 부드러운 성분과 경질 성분 모두에 대한 절단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상술한 성분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위해 얇은 원판형태의 커터를 다수 개로 적용한 이유는, 스크류에 의한 압착분쇄 방식을 적용한 파쇄부(140)만으로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가늘고 부드러운 성분 및 경질 성분에 대한 충분한 절단 내지 파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1 회전축(184a1)에 설치되는 제1 원형커터(184a2) 간 이격거리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절단되는 크기와 비례관계를 이루는 인자로, 대략 두께가 1mm 내지 5mm인 제1 원형커터(184a2)와 후술할 제2 원형커터(184b2)가 이격된 공간 사이로 상호 끼워질 수 있는 대략 3mm 내지 10mm이면 충분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원형커터(184a2)의 개수는 결합하우징(182)의 내부 공간 크기나 원형커터의 두께나 크기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나 대략 수십 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커터(184b)는, 제1 회전커터(184a)와 마찬가지로 제2 회전축(184b1)에 다수의 제2 원형커터(184b2)가 이격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제1 원형커터(184a2) 사이에 제2 원형커터(184b2)가 위치하도록 결합하우징(182)의 내측에 설치되게 된다.
즉, 제1 원형커터(184a2)와 제2 원형커터(184b2)가 각각의 이격공간 사이로 상호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술한 성분의 음식물쓰레기는 더욱 작은 크기로 절단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원형커터 간 이격거리와 제1 원형커터(184a2)와 제2 원형커터(184b2) 간의 겹침거리의 다양한 조절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절단크기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제2 원형커터(184b2)의 크기나 외주연 가공형태, 이격거리 및 개수 등에 설명은 제1 원형커터(184a2)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렇게 한 쌍의 커팅부(184a,184b)를 이루는 제1 회전커터(184a) 및 제2 회전커터(184b)는, 기어박스 또는 타이밍 벨트 등에 의해 일측에 장착된 모터(M)와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모터(M)는 제어부(10)에 의해 작동제어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M: 모터 10: 제어부
100: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10: 제1 저장호퍼 120: 분리이송부
121: 이송파이프 122: 오수배출공
125: 스크류컨베이어 126: 주회전축
127: 스크류날개 127a: 타공
128: 스크래퍼 130: 제2 저장호퍼
140: 파쇄부 144: 제1 하우징
144a: 탈수배출공 145: 돌기커터
146: 제2 하우징 146a: 파쇄배출공
148: 분쇄스크류 148a,154a: 이송날개
148b,154b: 분쇄커터날개 150: 건조부
151: 수거함 152: 건조하우징
152a: 히터 152b: 건조배출홀
152c: 내면돌기커터 154: 건조스크류
160: 교반날개 170: 탈취부
171: 가스관 172: 송풍기
173: 탈취하우징 173a: 악취흐름공
174: 습식세정수단 174a: 물분사노즐
175: 약액세정수단 175a: 약액분사노즐
176: 순환펌프 177: 배기관
180: 탈착형 절단모듈 182: 결합하우징
183: 호퍼선택부 183a: 가이드판
183b: 레버 184a: 커팅부(제1 회전커터)
184a1: 제1 회전축 184a2: 제1 원형커터
184b: 커팅부(제2 회전커터) 184b1: 제2 회전축
184b2: 제2 원형커터

Claims (9)

  1. 개구된 상단으로 투입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는 제1 저장호퍼;
    상기 제1 저장호퍼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저장된 오수함유 음식물쓰레기 중 음식물쓰레기는 상단부로 이동시키고, 오수는 하단부로 배출시키는 분리이송부;
    상기 분리이송부의 상단부와 연통되어 제공되는 오수분리 음식물쓰레기 또는 개구된 상단으로 투입된 오수미함유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는 제2 저장호퍼;
    상기 제2 저장호퍼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제공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와 연통된 상태에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제공받아 가열 및 건조하되,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는 하단부의 수거함으로 토출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호퍼 및 상기 제2 저장호퍼 각각은,
    각뿔형태의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저장호퍼 및 상기 제2 저장호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깔때기 형상을 이루는 경사 측면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를 혼합하기 위해 회전하는 교반날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이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이송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저장호퍼 쪽으로 경사 설치되되, 하단부 일면은 상기 제1 저장호퍼와 연통되고, 하단부의 타면에는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단부 타면은 상기 제2 저장호퍼와 연통되는 이송파이프; 및
    상기 이송파이프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음식물쓰레기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주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스크류날개와, 상기 스크류날개의 하단부에서 상기 오수배출공 쪽으로 연장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오수배출공의 주변영역을 긁어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로 구성되는 스크류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2 저장호퍼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제공받고, 내측 하부면에 탈수배출공이 구비되는 관체형상의 제1 하우징;
    일단부에서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고 타단부에 구비된 파쇄배출공을 향해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관체형상의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제공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분쇄하여 상기 파쇄배출공으로 송출시키는 분쇄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내설된 히터로 제공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 및 건조하는 원통형 건조하우징;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에서 정역 회전하며 음식물쓰레기를 이동시키고 재분쇄하며 건조완료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건조하우징의 단부에 형성된 건조배출홀을 통해 토출시키는 건조스크류; 및
    상기 건조하우징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배출홀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토출 후 낙하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수거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밀폐형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저장호퍼, 상기 제2 저장호퍼 및 상기 건조부와 각각 연통되는 가스관을 통해 처리 중인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산되는 악취성분을 흡인 및 제거하는 탈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는,
    상기 가스관의 일측에 마련되어 발산된 악취성분을 흡인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고, 상기 송풍기로부터 제공된 악취성분에 대하여 물을 분사하여 소정의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습식세정수단;
    상기 습식세정수단을 거친 악취성분에 대하여 소정의 약액을 분사하여 잔류 악취성분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약액세정수단; 및
    물 및 약액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개구된 상단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고, 개구된 하단은 상기 제1 저장호퍼 및 상기 제2 저장호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부와 탈착결합하는 결합하우징; 및
    상기 결합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1차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커팅부를 포함하는 탈착형 절단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우징은,
    개구된 하단이 상기 제1 저장호퍼 및 상기 제2 저장호퍼의 상단부와 각각 탈착결합하되, 상기 커팅부의 아래쪽에서 회동하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제1,2 저장호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호퍼선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제1 회전축에 다수의 제1 원형커터가 이격설치된 제1 회전커터와, 제2 회전축에 다수의 제2 원형커터가 이격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형커터 사이에 상기 제2 원형커터가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회전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70051191A 2017-04-20 2017-04-20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927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191A KR101927466B1 (ko) 2017-04-20 2017-04-20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191A KR101927466B1 (ko) 2017-04-20 2017-04-20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958A true KR20180117958A (ko) 2018-10-30
KR101927466B1 KR101927466B1 (ko) 2019-03-12

Family

ID=6410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191A KR101927466B1 (ko) 2017-04-20 2017-04-20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4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6117A (zh) * 2020-07-16 2020-11-10 刘成秀 一种厨房食物垃圾处理器
KR102205909B1 (ko) * 2019-10-11 2021-01-20 박만선 해조 찌꺼기 처리장치
KR20210024907A (ko) * 2019-08-26 2021-03-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매몰지 가축 사체 처리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084A (ko) * 2005-06-01 2006-12-06 오인숙 음식물쓰레기처리설비용 호퍼와 이를 이용한음식물쓰레기처리방법
KR100753808B1 (ko) 2006-07-31 2007-08-31 (주)엔포스트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20080076219A (ko) * 2007-02-15 2008-08-2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풍향조절댐퍼.
KR20100077377A (ko) * 2008-12-29 2010-07-08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폐사 가축 멸균용 고속 파쇄장치
KR101471168B1 (ko) * 2014-04-29 2014-12-11 (주)엔포스트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KR20150142239A (ko) * 2014-06-11 2015-12-22 (주)엔포스트 악취제거설비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및 분뇨 처리 시스템
KR20160036938A (ko) * 2014-09-26 2016-04-05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084A (ko) * 2005-06-01 2006-12-06 오인숙 음식물쓰레기처리설비용 호퍼와 이를 이용한음식물쓰레기처리방법
KR100753808B1 (ko) 2006-07-31 2007-08-31 (주)엔포스트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20080076219A (ko) * 2007-02-15 2008-08-2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풍향조절댐퍼.
KR20100077377A (ko) * 2008-12-29 2010-07-08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폐사 가축 멸균용 고속 파쇄장치
KR101471168B1 (ko) * 2014-04-29 2014-12-11 (주)엔포스트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KR20150142239A (ko) * 2014-06-11 2015-12-22 (주)엔포스트 악취제거설비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및 분뇨 처리 시스템
KR20160036938A (ko) * 2014-09-26 2016-04-05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907A (ko) * 2019-08-26 2021-03-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매몰지 가축 사체 처리 시스템
KR102205909B1 (ko) * 2019-10-11 2021-01-20 박만선 해조 찌꺼기 처리장치
CN111906117A (zh) * 2020-07-16 2020-11-10 刘成秀 一种厨房食物垃圾处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466B1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0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98152B1 (ko) 폐가축 처리장치
US20050274035A1 (en) Waste handling system
KR10183891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927466B1 (ko)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66309B1 (ko) 분뇨 처리 시스템을 갖춘 이동식 간이 화장실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JP2007516077A (ja) 台所用食べ物残り生屑処理装置
KR100792851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2006003118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564211B1 (ko)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722714B1 (ko)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를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무기화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5052693A (zh) 粉碎装置和污物处理装置
KR101746184B1 (ko)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487860B1 (ko) 간이화장실용 대변처리조
KR1006340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KR200427847Y1 (ko) 음식물처리기
KR101771118B1 (ko) 슬러지 분리기가 내장된 음식쓰레기 분해 처리장치
KR101484686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JP2004181325A (ja) 生ゴミ処理機
KR20070011938A (ko) 유해가스 소멸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7426229B2 (ja) 汚物処理装置
KR200397933Y1 (ko) 유해가스 소멸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3182728B2 (ja) 飲食ごみ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