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049A - Holder for portable tool - Google Patents

Holder for portable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049A
KR20180117049A KR1020180043318A KR20180043318A KR20180117049A KR 20180117049 A KR20180117049 A KR 20180117049A KR 1020180043318 A KR1020180043318 A KR 1020180043318A KR 20180043318 A KR20180043318 A KR 20180043318A KR 20180117049 A KR20180117049 A KR 20180117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ool
holder
opening
convex portion
fi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3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7420B1 (en
Inventor
아키오 고토
노부코 타야마
Original Assignee
티제이엠 디자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제이엠 디자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제이엠 디자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11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049A/en
Priority to KR102021015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4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4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2005/025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with a holder or item rotat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device, e.g. having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arment
    • A45F2005/026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with a holder or item rotat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device, e.g. having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arment with a pin having an enlarged head detachably connected to a fastening device, e.g. to a pin receiving slo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75Portable tools

Landscapes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holder for a portable tool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dropout from a strip-shaped attachment body, comprising: a holder main body (2) having a portable tool holding unit (4) for detachably holding a portable tool; and a fitting member (3) fitted in a first opening (5d) and a second opening (5e) formed in the holder main body (2) and held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main body (2), and held on an object to be mounted (A) by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object to be mounted (A) to be fitted with the holder main body (2) and the fitting member (3) held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main body (2).

Description

휴대 공구용 홀더{HOLDER FOR PORTABLE TOOL}Holder for portable tool {HOLDER FOR PORTABLE TOOL}

본 발명은, 휴대하여 이용하는 공구 등을 띠 형상의 피장착체에 유지하기 위한 휴대 공구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ool for holding a tool or the like to be carried and used on a strip-

종래, 줄자 등의 공구를 작업자의 벨트에 장착하여 휴대하기 위한 휴대 공구용 홀더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벨트에 대하여 착탈하기 위한 클립 구조를 구비한 휴대 공구용 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당해 클립 구조는, 클립 본체와, 클립 본체의 상부에 연결된 클립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클립 본체와 클립편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벨트 삽통부)에 벨트를 통과시켜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Hitherto, a holder for a portable tool for carrying a tool such as a tape measure on a belt of a worker has been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holder for a portable tool having a clip structure for attaching to and detaching from a belt. Specifically, the clip structure has a clip body and a clip piec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lip body, and is configured to pass the belt through a space (belt insertion portion) formed between the clip body and the clip piece have.

또, 이 클립편은 탄성을 갖고 있고, 클립 본체로의 연결부를 지점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클립편의 하단부에 있어서 클립 본체로부터 이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벨트를 풀지 않고, 벨트에 대하여 홀더의 착탈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lip piece has elasticity,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away from the clip body at the lower end of the clip piece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connection portion to the clip body as a fulcrum. Thus, the holder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belt without releasing the belt.

특허문헌 1: 실용신안 등록 제3163381호Patent Document 1: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63381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홀더에 있어서는, 클립편이 클립 본체로부터 이간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외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게 클립편이 개방되어, 홀더가 벨트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holder of Patent Document 1, since the clip piece is movable away from the clip body, for example, the clip piece is unintentionally opened due to contact with the outside, and the holder may fall off the belt.

그러므로 본 발명은, 띠 형상의 피장착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 가능한 구성을 갖는 휴대 공구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lder for a portable tool hav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preventing dropout from a strip-shaped attachment.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휴대 공구용 홀더는,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휴대 공구 유지부를 갖는 홀더 본체와,A holder for a portabl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der body having a portable tool holder for detachably holding a portable tool,

상기 홀더 본체에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끼워져 상기 홀더 본체에 결합 유지되는 끼움 부재를 구비하고,And a fitting member which is fitted in the first opening formed in the holder main body and the second opening and held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main body,

상기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에 결합 유지된 상기 끼움 부재로 띠 형상의 피장착체의 주위를 둘러쌈으로써 상기 피장착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older body is held by the mounting body by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strip-shaped mounting body with the fitting member held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body.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공구용 홀더에 있어서는, 상기 끼움 부재에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끼워질 때에, 상기 제1 개구부의 내면에 맞닿아,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한 상기 끼움 부재의 자세를 소정의 방향으로 규제하기 위한 유도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ortable too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tting member is fitted in the second opening portion, the fitting member abuts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and the attitude of the fit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holder main body is se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duction convex portion is provided for regulating the convex portion.

또, 본 발명의 휴대 공구용 홀더에 있어서는, 상기 끼움 부재는, 다른 두께의 상기 피장착체에 대응하기 위한 두께 조정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ortable too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him member has a thickness adjusting function for accommodating the object to be fitted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본 발명에 의하면, 띠 형상의 피장착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 가능한 구성을 갖는 휴대 공구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holder for a portable tool hav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preventing dropout from a strip-shaped attach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공구용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에 있어서의 홀더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에 있어서의 끼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를 피장착체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에 있어서, (a)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도 5(a)의 미끄럼 방지 부재를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의 홀더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에 접속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공구용 홀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에 있어서의 홀더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a)는 도 7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에 있어서의 끼움 부재의 일방 측의 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타방 측의 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for a portabl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main body in the portable tool hold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tting member in the holder for a portable tool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ounting the portable tool holder shown in Fig.
5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skid member, and FIG. 5 (b)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non-skid member of FIG. 5 (a) is mounted on the holder body of the portable tool shown in FIG. 1 .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port is attached to a portable tool holder shown in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holder for a portable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view of the portable tool holder shown i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main body in the portable tool holder shown in Fig. 7;
10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side surface of the fitting member in the portable tool holder shown in Fig. 7, and Fig. 10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rface on the other side.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예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휴대 공구용 홀더(1)를 나타내고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shows a portable tool hol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허리에 감겨진 벨트 등의, 띠 형상의 피장착체(A)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또, 휴대 공구용 홀더(1)는, 홀더 본체(2)와, 홀더 본체(2)에 대하여 끼워져 결합 유지되는 끼움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too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by being attached to a belt-like object A, for example, a belt wound around a waist of a user. The portable tool holder 1 is provided with a holder main body 2 and a fitting member 3 fitted and held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main body 2.

홀더 본체(2)는, 그 전면(前面) 측에, 예를 들면 줄자 등의 휴대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유지하는 휴대 공구 유지부(4)를 갖고 있으며, 후면 측에, 피장착체(A)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5)를 갖는다. 여기에서, 휴대 공구란 예를 들면 줄자 등의 공구류 외에, 공구를 수납하기 위한 가방 등으로 할 수 있다.The holder main body 2 has a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4 for holding a portable tool (not shown) such as a tape measure on the front surface side thereof, A) of the first embodiment. Here, the portable tool can be, for example, a tool for storing a tool in addition to a tool such as a tape measur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 공구 유지부(4)는, 휴대 공구의 일부 또는 휴대 공구에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브래킷(B) 등을 위로부터 끼움으로써,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위로부터 끼우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휴대 공구의 끼움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4 is configured to hold the portable tool detachably by fitting a part of the portable tool or a bracket B or the like fix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to the portable tool from above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tting is made from above, but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too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예의 휴대 공구 유지부(4)에는, 휴대 공구의 일부 또는 브래킷(B)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4a)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4a)은, 상방을 제외한 전후 좌우 방향 및 하방향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부(4b)에 의하여 구획 형성된다. 또, 휴대 공구 유지부(4)는, 수용 공간(4a)의 상방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 스토퍼부(4c)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부(4b)는, 수용 공간(4a)에 배치된 브래킷(B)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스토퍼부(4c)는, 수용 공간(4a)에 배치된 브래킷(B)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In the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4 of the present example, a receiving space 4a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portable tool or the bracket B is formed. The accommodation space 4a is defined by a frame portion 4b which surrounds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downward direction excluding the upper side. The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4 is provided with a stopper portion 4c disposed above the housing space 4a and configured to be slidable. The frame portion 4b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bracket B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4a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stopper portion 4c is arrang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4a Thereby restric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bracket B.

스토퍼부(4c)는, 브래킷(B)을 상방으로부터 수용 공간(4a)에 끼울 때에, 비스듬하게 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수용 공간(4a)으로의 입구가 개방되어, 브래킷(B)을 수용 공간(4a)에 끼울 수 있다. 스토퍼부(4c)는, 내부에 마련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부세되어 있고, 브래킷(B)이 통과한 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4a)에 수용된 브래킷(B)은, 스토퍼부(4c)에 의하여 빠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브래킷(B) 및 브래킷(B)에 고정된 휴대 공구가, 휴대 공구용 홀더(1)에 대하여 유지된다. 휴대 공구용 홀더(1)로부터 휴대 공구를 분리할 때에는, 스토퍼부(4c)를 비스듬하게 하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휴대 공구 및 브래킷(B)을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stopper portion 4c is configured to slide obliquely downward when the bracket B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4a from above. Thereby, the inlet to the accommodation space 4a is opened, and the bracket B can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4a. The stopper portion 4c is biased upward oblique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rovided therein and is configure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bracket B has passed. The bracket B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4a is prevented from escaping by the stopper portion 4c. Thereby, the portable tool fixed to the bracket (B) and the bracket (B) is held with respect to the portable tool holder (1). When the portable tool is detached from the portable tool holder 1, the stopper portion 4c is slid downwardly and the portable tool and the bracket B are pulled upward, so that the portable tool can be easily separated.

또한, 휴대 공구 유지부(4)는,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형상이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shape and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4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4 can detachably hold the portable tool.

도 2는, 홀더 본체(2)의 후면 측(장착부(5) 측)의 사시도이다. 홀더 본체(2)의 장착부(5)는, 베이스부(5a)와, 베이스부(5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5b) 및 제2 볼록부(5c)를 갖는다. 제1 볼록부(5b) 및 제2 볼록부(5c)는, 대략 평행으로 뻗어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볼록부이며 베이스부(5a)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볼록부(5b)에는, 관통 구멍인 제1 개구부(5d)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볼록부(5c)에는 관통 구멍인 제2 개구부(5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부(5d) 및 제2 개구부(5e)는, 대략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side (a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5) of the holder main body 2. Fig. The mounting portion 5 of the holder main body 2 has a base portion 5a and a first convex portion 5b and a second convex portion 5c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base portion 5a. The first convex portion 5b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c are substantially rectangular convex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extend substantially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base portion 5a. A first opening 5d as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convex portion 5b and a second opening 5e as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convex portion 5c. The first opening 5d and the second opening 5e are arranged on substantially the same straight line.

도 3은, 끼움 부재(3)의 사시도이다. 끼움 부재(3)는, 평탄한 대략 직사각형판형상의 판부(3a)와, 판부(3a)의 길이 방향(도 3의 y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3b)와, 타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클로부(3c)와, 타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클로부(3c)의 사이에 마련된 결합부(3d)를 갖는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im member 3. Fig. The fitting member 3 is composed of a plate portion 3a having a flat and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 flange portion 3b provided at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in FIG. 3) of the plate portion 3a, A pair of claw portions 3c and a coupling portion 3d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claw portions 3c at the other end.

플랜지부(3b)는, 제1 볼록부(5b)의 에지면에 맞닿음으로써, 제1 개구부(5d)에 대한 끼움 부재(3)의 끼움을 정지시킨다. 클로부(3c)는, 판부(3a)의 폭방향(도 3의 x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로부(3c)는, 그 선단부가 판부(3a)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한 쌍의 클로부(3c)의 최대폭이, 제1 개구부(5d) 및 제2 개구부(5e)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끼움 부재(3)를 제1 개구부(5d) 및 제2 개구부(5e)에 끼울 때에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클로부(3c)가 판부(3a)의 폭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또, 제2 개구부(5e)에 끼워진 후에, 제2 볼록부(5c)의 에지면에 클로부(3c)가 결합하여, 끼움 부재(3)가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한다. 결합부(3d)는, 그 선단부가 판부(3a)의 두께 방향(도 3의 z방향)의 일방 측(도 3에서는 하방향 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 개구부(5d)에 끼워진 후에, 제1 볼록부(5b)의 에지면에 결합하여, 끼움 부재(3)가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한다.The flange portion 3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b to stop the fitting of the fitting member 3 with respect to the first opening portion 5d. The claw portion 3c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in Fig. 3) of the plate portion 3a. The tip end portion of the claw portion 3c protrudes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3a and the maximum width of the pair of claw portions 3c is larg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5d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5e Width. The tapered claw portion 3c elastically deform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3a when the fitting member 3 is fitted into the first opening portion 5d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5e. The claw portion 3c is engaged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c after being fitted in the second opening portion 5e to prevent the fitting member 3 from escaping. The engaging portion 3d protrudes from one side (the downward side in Fig. 3)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z direction in Fig. 3) of the plate portion 3a and the tip portion thereof is fitted into the first opening 5d, Is engaged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b), thereby preventing the fitting member (3) from escaping.

또, 끼움 부재(3)는, 판부(3a)의 일방의 평면(도 3에 있어서 z방향의 상방을 향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유도 볼록부(3e)(유도 볼록부)와, 판부(3a)의 폭방향 양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유도 볼록부(3f)(유도 볼록부)를 갖는다. 또한, 끼움 부재(3)는, 제2 유도 볼록부(3f)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판부(3a)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조정 구멍(3g)을 갖는다. 이와 같은 조정 구멍(3g)을 마련함으로써, 판부(3a)에 있어서의 제2 유도 볼록부(3f)를 마련한 부분이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판부(3a)의 폭은, 제2 유도 볼록부(3f)를 마련한 영역에 있어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커지지만, 제2 유도 볼록부(3f)를 마련한 부분이 조정 구멍(3g)을 향하여 내측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그 폭이 탄성적으로 작아진다. 이로 인하여, 제2 유도 볼록부(3f)를 마련한 부분을 제1 개구부(5d)에 삽입할 때에, 가벼운 힘으로 압입할 수 있다.The fitting member 3 includes a first guide convex portion 3e (guide convex portion) projecting from one plane (a plane facing upward in the z direction in Fig. 3) of the plate portion 3a, A pair of second guide convex portions 3f (guide convex port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 surfac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convex portions 3a. The shim member 3 has a pair of adjustment holes 3g passing through the plate portion 3a in the thickness direction at a position close to the second guide convex portion 3f. By providing such an adjusting hole 3g, the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3a on which the second inductive convex portion 3f is provided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ward. As a result, the width of the plate portion 3a is larger than the other portions in the region provided with the second inductive convex portion 3f, but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second inductive convex portion 3f is located inside the adjustment hole 3g So that the width is elastically reduced. Therefore, when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second guide convex portion 3f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portion 5d, it can be press-fitted with a light force.

제1 유도 볼록부(3e) 및 제2 유도 볼록부(3f)는, 제1 개구부(5d)에 삽입된 끼움 부재(3)를 제2 개구부(5e)에 끼울 때에, 제1 개구부(5d)의 내면에 맞닿아, 홀더 본체(2)에 대한 끼움 부재(3)의 자세(상대적인 각도)를 소정의 방향으로 규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개구부(5d)에 삽입된 끼움 부재(3)의 선단부(클로부(3c) 및 결합부(3d))가, 제2 개구부(5e)에 끼워지는 약간 앞쪽에 있어서 제1 유도 볼록부(3e) 및 제2 유도 볼록부(3f)가 제1 개구부(5d)의 내면에 맞닿기 시작한다. 또, 제1 유도 볼록부(3e)가 판부(3a)의 두께 방향의 방향을 규제하고, 제2 유도 볼록부(3f)가 판부(3a)의 폭방향의 방향을 규제한다. 또한, 소정의 방향이란, 끼움 부재(3)의 선단부가 제2 개구부(5e)의 위치에 대응하여 끼우기 쉬워지는 방향이다. 이로써, 제2 개구부(5e)에 끼움 부재(3)의 선단부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육안으로의 위치 맞춤이 불필요해지며, 시인하지 않아도 정확하고, 또한 원활하게 끼움 부재(3)를 제2 개구부(5e)에 끼울 수 있다.The first guide convex portion 3e and the second guide convex portion 3f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opening 5d and the second opening 5d are formed when the fitting member 3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5d is fitted into the second opening 5e, (Relative angle) of the fitting member 3 with respect to the holder main body 2 is regul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front end portion (the claw portion 3c and the engaging portion 3d) of the fitting member 3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portion 5d is formed slightly in front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5e The first guide convex portion 3e and the second guide convex portion 3f star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5d. The first guide convex portion 3e restrict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3a and the second guide convex portion 3f restricts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3a.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tip end portion of the fitting member 3 is easily fitted in correspondence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5e. As a resul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tting member 3 can be guided to the second opening portion 5e, so that it is unnecessary to align with the naked eye, and the fitting member 3 can be accurately and smoothly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portion 5e.

제1 유도 볼록부(3e) 및 제2 유도 볼록부(3f)는, 판부(3a)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만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제1 개구부(5d)에 끼움 부재(3)를 끼우는 과정에서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켜, 끼움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제1 유도 볼록부(3e) 및 제2 유도 볼록부(3f)는, 판부(3a)의 길이 방향의 중심보다 플랜지부(3b) 측의 일부에만 마련되어 있다.The first guide convex portion 3e and the second guide convex portion 3f are provided only in a part of the plate portion 3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the sliding resistance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fitting member 3 into the first opening portion 5d can be reduced, and the fi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In this example, the first guide convex portion 3e and the second guide convex portion 3f are provided only on a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3b side of the center of the plate portion 3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개구부(5d) 및 제2 개구부(5e)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끼움 부재(3)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제1 개구부(5d)의 내면의 베이스부(5a) 측에는, 제1 개구부(5d)의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하여 제1 개구부(5d)의 높이(판부(3a)의 두께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5f)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5f)은, 제1 개구부(5d)에 끼움 부재(3)를 끼울 때에, 끼움 부재(3)의 결합부(3d)가 슬라이딩하여 당해 결합부(3d)를 두께 방향 내측으로 원활하게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The shapes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5d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5e basically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tting member 3. A height of the first opening 5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3a)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he first opening 5d is set at the base 5a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5d And an inclined surface 5f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decrease in size. The inclined surface 5f is formed such that the engaging portion 3d of the engaging member 3 slides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3d smoothly resiliently in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n the engaging member 3 is fitted into the first opening 5d .

제2 개구부(5e)에는, 끼움 부재(3)의 결합부(3d)에 대응하는 오목부(5g)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3d)가 제2 볼록부(5c)에 대하여 결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ncave portion 5g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3d of the fitting member 3 is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5e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3d does not engage with the second convex portion 5c Consists of.

이하에, 도 1, 4 등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를 띠 형상의 피장착체(A)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ounting the portable tool hold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o the belt-like object 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4, and the like.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개구부(5d)에만 끼움 부재(3)를 끼운 상태(제2 개구부(5e)에는 끼워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피장착체(A)가 제1 볼록부(5b)와 제2 볼록부(5c)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홀더 본체(2)를 피장착체(A)의 외측으로부터 배치한다. 또한, 제1 개구부(5d)에만 끼움 부재(3)를 끼운 상태에서는, 클로부(3c) 및 결합부(3d)가 제1 볼록부(5b)의 에지면에 결합함으로써, 끼움 부재(3)가 홀더 본체(2)에 대하여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The object to be attached A is placed on the first convex portion 5b 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member 3 is sandwiched only in the first opening 5d (not in the second opening 5e) The holder body 2 is arranged from the outside of the object A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convex portion 5c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c. The claw portion 3c and the engaging portion 3d are engaged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b so that the engaging member 3 is engaged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b in the state that the engaging member 3 is sandwiched only in the first opening portion 5d. Is held so as not to come out of the holder main body (2).

이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장착체(A)의 내측(사용자 측)에 끼움 부재(3)가 통과하도록 하여, 끼움 부재(3)를 제2 개구부(5e)에 끼운다. 상술과 같이, 끼움 부재(3)를 제2 개구부(5e)에 끼울 때에는 제1 유도 볼록부(3e)와 제2 유도 볼록부(3f)의 작용에 의하여 끼움 부재(3)의 홀더 본체(2)에 대한 자세가 소정의 방향으로 규제되어, 끼움 부재(3)의 선단부가 제2 개구부(5e)의 위치에 유도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 the fitting member 3 is passed through the inside (user side) of the object A, and the fitting member 3 is fitted into the second opening 5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tting member 3 is fitted into the second opening 5e, the holder body 2 of the fitting member 3 is engaged with the first guide convex portion 3e and the second guide convex portion 3f by the action of the first guide convex portion 3e and the second guide convex portion 3f, Is restric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the tip end of the fitting member 3 is guide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opening 5e.

끼움 부재(3)가 제2 개구부(5e)에 끼워지면, 제2 볼록부(5c)의 에지면에 한 쌍의 클로부(3c)가 결합하고, 끼움 부재(3)가 빠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즉, 끼움 부재(3)가 홀더 본체(2)에 결합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피장착체(A)에 대한 휴대 공구용 홀더(1)의 장착이 종료된다. 이 상태에서는, 홀더 본체(2)와 끼움 부재(3)로 피장착체(A)의 주위를 완전하게 둘러싸게 되어, 휴대 공구용 홀더(1)가 피장착체(A)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없다.The pair of claw portions 3c are engaged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c and the splice member 3 is prevented from escaping when the splice member 3 is fitted in the second opening portion 5e . That is, the fitting member 3 is held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main body 2. Thus, the attachment of the portable tool holder 1 to the attachment body A is completed. In this state, the periphery of the object A is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holder main body 2 and the fitting member 3,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portable tool holder 1 may fall off the object A none.

휴대 공구용 홀더(1)를 피장착체(A)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한 쌍의 클로부(3c)를 손가락으로 집도록 하여 폭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제2 볼록부(5c)에 대한 클로부(3c)의 결합을 해제하면서, 끼움 부재(3)를 빼내는 방향(도 4의 상방)으로 이동시키며, 제2 개구부(5e)로부터 끼움 부재(3)를 빼낸다. 이로써, 피장착체(A)로부터 휴대 공구용 홀더(1)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끼움 부재(3)는, 제2 개구부(5e)로부터 빼낸 후에도, 클로부(3c) 및 결합부(3d)가 제1 볼록부(5b)의 에지면에 결합함으로써 홀더 본체(2)에 유지되기 때문에, 끼움 부재(3)를 분실할 우려가 없다.When separating the portable tool holder 1 from the attachment A, the pair of claw portions 3c are held by fingers and elastically deform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convex portion 5c The fitting member 3 is pulled out (upward in Fig. 4) while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claw portion 3c, and the fitting member 3 is pulled out from the second opening 5e. Thereby, the holder 1 for the portable tool can be separated from the object A to be attached. The clip member 3 and the engaging portion 3d are engaged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b so that even after the clip member 3 is pulled out from the second opening 5e, So that there is no fear of losing the shim member 3.

또한, 홀더 본체(2)와 끼움 부재(3)를 분리한 상태로부터, 피장착체(A)에 휴대 공구용 홀더(1)를 장착해도 된다. 즉, 끼움 부재(3)를 분리한 상태의 홀더 본체(2)를 피장착체(A)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나서, 홀더 본체(2)의 제1 개구부(5d) 및 제2 개구부(5e)에 끼움 부재(3)를 끼우도록 하여 장착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피장착체(A)로부터 휴대 공구용 홀더(1)를 분리할 때에도, 끼움 부재(3)를 제2 개구부(5e) 및 제1 개구부(5d)로부터 당겨 빼내, 홀더 본체(2)로부터 분리해도 된다.The portable tool holder 1 may be attached to the attachment body A from the state in which the holder body 2 and the fitting member 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holder body 2 in a state in which the shim member 3 is detache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ttachment body A, and then the first opening 5d and the second opening 5d of the holder body 2 5e so as to sandwich the fitting member 3 therebetween. Similarly, when separating the portable tool holder 1 from the mounted body A, the fitting member 3 is pulled out from the second opening 5e and the first opening 5d, It may be separa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에 있어서는, 홀더 본체(2)와 끼움 부재(3)로 피장착체(A)의 주위를 완전하게 둘러싼 상태에서, 끼움 부재(3)가 홀더 본체(2)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결합 유지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클립 구조와 같이 외부와의 접촉 등에 의하여 개방되어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에 의하면, 피장착체(A)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허리 벨트에 휴대 공구용 홀더(1)를 착탈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당해 허리 벨트를 허리에 감은 그대로의 상태에서, 용이하게 휴대 공구용 홀더(1)의 착탈을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ortable tool hold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tate in which the holder body 2 and the fitting member 3 completely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member A to be fitted, the fitting member 3 Are held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main body 2 so as not to come off.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olve such a problem that the belt is separated from the belt by being opened by contact with the outside as in a clip structure. That is, according to the portable tool hold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ttaching member A from falling off.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ool holder 1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waist belt, for example, the use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portable tool holder 1 while the waist belt is wound around the waist .

또,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에 있어서는, 끼움 부재(3)에 제1 유도 볼록부(3e)와 제2 유도 볼록부(3f)를 마련함으로써, 정확하고 또한 원활하게 끼움 부재(3)를 제2 개구부(5e)에 끼울 수 있다.In the portable too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inductive convex portion 3e and the second inductive convex portion 3f are provided in the fitting member 3, (3)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5e).

도 5(a)는, 홀더 본체(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미끄럼 방지 부재(6)의 사시도이다. 미끄럼 방지 부재(6)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부(6a)와 한 쌍의 가로 프레임부(6b)를 구비한다. 각각의 세로 프레임부(6a)에는, 복수의 돌기(6c)에 의하여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일방의 가로 프레임부(6b)에는, 제2 볼록부(5c)에 언더 컷 결합하여 미끄럼 방지 부재(6)를 홀더 본체(2)에 결합 유지하기 위한 결합 클로부(6d)가 마련되어 있다.Fig. 5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slip member 6 detachable from the holder main body 2. Fig. The non-slidable member 6 has a pair of vertical frame portions 6a and a pair of horizontal frame portions 6b. In each vertical frame portion 6a, concavities and convexities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projections 6c. The one horizontal frame portion 6b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claw portion 6d for undercut engagement with the second convex portion 5c to hold the non-slidable member 6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main body 2 .

도 5(b)는, 미끄럼 방지 부재(6)를 홀더 본체(2)에 대하여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 쌍의 가로 프레임부(6b)를, 각각 제1 볼록부(5b)와 제2 볼록부(5c)에 외측으로부터 덧씌우도록 배치하고, 결합 클로부(6d)를 제2 볼록부(5c)에 결합시킨다.Fig. 5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non-slip member 6 is mounted on the holder main body 2. Fig. A pair of horizontal frame portions 6b are arranged to overlie the first convex portion 5b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c from the outside and the engagement claw portions 6d are arranged on the second convex portion 5c .

미끄럼 방지 부재(6)를 홀더 본체(2)에 장착한 상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를 피장착체(A)에 장착한 경우에는, 끼움 부재(3) 측으로 돌출된 세로 프레임부(6a)와, 끼움 부재(3)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세로 프레임부(6a)에 압압된 피장착체(A)의 표면에 돌기(6c)가 걸려, 피장착체(A)에 대한 휴대 공구용 홀더(1)의 미끄러짐을 억제한다. 이로써, 피장착체(A)에 대한 휴대 공구용 홀더(1)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When the portable tool holder 1 with the non-skid member 6 mounted on the holder main body 2 is mounted on the mounted body A, the vertical frame portion 6a projecting toward the fitting member 3 And the protrusion 6c is caught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A to be pressed against the vertical frame portion 6a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object 3 and the fitting member 3, The slider of the holder 1 is suppressed. Thus, movement of the portable tool holder 1 relative to the mounted body A can be restricted.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뻗는, 이른바 가로형 벨트 등의 피장착체(A)에 장착하는 데에 적합하다. 즉, 수평 방향의 벨트에 휴대 공구용 홀더(1)를 장착한 상태에서, 휴대 공구 유지부(4)의 수용 공간(4a)에 브래킷(B)을 상방으로부터 착탈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ool hold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uitable for mounting to a mounted body A such as a so-called horizontal type belt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bracket B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receiving space 4a of the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4 from above,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ool holder 1 is mounted on the bel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6은, 휴대 공구용 홀더(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접속구(7)를 나타내고 있다. 접속구(7)는, 환상부(7a)를 홀더 본체(2)와 끼움 부재(3)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휴대 공구용 홀더(1)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구(7)를 이용함으로써, 띠 형상의 피장착체(A) 이외의 환상부 등에도 휴대 공구용 홀더(1)를 장착할 수 있게 되고, 휴대 공구용 홀더(1)의 장착 가능한 범위가 확대된다. 또, 휴대 공구용 홀더(1)에 마련한 링부(8)에 접속구(7)를 결합시킴으로써, 복수의 휴대 공구용 홀더(1)를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다.Fig. 6 shows a connection port 7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ortable tool holder 1. As shown in Fig. The connection port 7 can be attached to the portable tool holder 1 by arranging the annular portion 7a between the holder main body 2 and the fitting member 3. [ By using such a connection port 7, it becomes possible to mount the portable tool holder 1 to an annular portion other than the strip-shaped attachment body A, and the portable tool holder 1 can be mounted in a range in which the portable tool holder 1 can be mounted .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a plurality of portable tool holders 1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port 7 to the ring portion 8 provided in the portable tool holder 1.

예를 들면, 사용자의 허리에 감은 가로형 벨트에 휴대 공구용 홀더(1)를 장착하여, 당해 휴대 공구용 홀더(1)의 링부(8)에 다른 하나의 휴대 공구용 홀더(1)의 접속구(7)를 연결함으로써, 하방향의 휴대 공구용 홀더(1)는 허리보다 하방향에 배치된다.For example, a portable tool holder 1 is mounted on a lateral belt wound around a waist of a user, and the ring part 8 of the portable tool holder 1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 (not shown) of another portable tool holder 1 7, the portable tool holder 1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disposed in a direction lower than the waist.

이로써,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허리뼈보다 하방향에, 휴대 공구용 홀더(1)에 장착된 공구 등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허리 둘레에 장착된 다른 공구나 건축물에 접촉하여 상처 입히게 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tool or the like mounted on the portable tool holder 1 can be disposed in a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aist bone protruding outwardly,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contact with other tools or structures mounted around the waist and causing injury .

또한, 휴대 공구용 홀더(1)의 링부(8)와, 휴대 공구를 예를 들면, 끈 형상 또는 링 형상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하여, 휴대 공구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The portable tool may be connected to the ring portion 8 of the portable tool holder 1 by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string or a ring to prevent the portable tool from dropping.

이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는, 가로형 벨트에 대한 장착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도 7, 8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20)는, 예를 들면 하니스형 안전띠의 세로 벨트 부분 등의, 대략 연직 방향으로 뻗는 띠 형상의 피장착체(A')에 대한 장착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대략 연직 방향으로 뻗는 세로형 벨트에 장착한 상태에서, 휴대 공구 유지부(24)의 수용 공간(24a)에 있어서의 브래킷(B)의 착탈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ortable tool holder 1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suitable for mounting on the lateral belt. However, the portable tool holder 20 of this embodiment shown in Figs. 7 and 8 may be, for example, And is adapted to be mounted on a belt-like member A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such as a vertical belt portion of a safety belt.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24 is mounted on the vertical belt extending in the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the attaching / detaching direction of the bracket B in the receiving space 24a becomes the up and down direction.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배면도이다. 도 7,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공구용 홀더(20)는, 홀더 본체(22)와, 홀더 본체(22)에 대하여 끼워져 결합 유지되는 끼움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Fig. 7 is a front view of the portable tool holder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8 is a rear view. 7 and 8, the portable tool holder 20 includes a holder body 22 and a fitting member 23 that is fitted and held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body 22. As shown in Figs.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22)는, 그 전면 측에, 예를 들면 줄자 등의 휴대 공구를 유지하는 휴대 공구 유지부(24)를 갖고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 측에, 피장착체(A')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5)를 갖는다. 여기에서, 휴대 공구란, 예를 들면 줄자 등의 공구류 외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가방 등으로 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7, the holder main body 22 has a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24 for holding a portable tool such as a tape measure on the front side thereof. As shown in Fig. 8, , And a mounting portion (25) for mounting to the mounted body (A '). Here, the portable tool can be, for example, a tool such as a tape measure or the like, or a bag for storing articles,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 공구 유지부(24)는, 휴대 공구의 일부 또는 휴대 공구에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브래킷(B) 등을 위로부터 끼움으로써,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브래킷(B) 등을 위로부터 끼우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휴대 공구의 끼움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24 is configured to hold the portable tool detachably by fitting a part of the portable tool or a bracket B or the like fix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to the portable tool from above . In this example, the bracket B or the like is fitted from above, but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too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예의 휴대 공구 유지부(24)에는, 휴대 공구의 일부 또는 브래킷(B)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24a)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24a)은, 상방을 제외한 전후 좌우 방향 및 하방향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부(24b)에 의하여 구획 형성되어 있다. 또, 휴대 공구 유지부(24)는, 수용 공간(24a)의 상방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 스토퍼부(24c)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부(24b)는, 수용 공간(24a)에 배치된 브래킷(B)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며, 스토퍼부(24c)는, 수용 공간(24a)에 배치된 브래킷(B)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In the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24 of this embodiment, a receiving space 24a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portable tool or the bracket B is formed. The accommodation space 24a is defined by a frame portion 24b of a frame shape surroundi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 except the upper side and the downward direction. The portable tool holder 24 has a stopper portion 24c which is disposed above the housing space 24a and is slidable. The frame portion 24b regulates the movement of the bracket B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4a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stopper portion 24c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4a Thereby restric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bracket B.

스토퍼부(24c)는, 브래킷(B)을 상방으로부터 수용 공간(24a)에 끼울 때에, 비스듬하게 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수용 공간(24a)으로의 입구가 개방되어, 브래킷(B)을 수용 공간(24a)에 끼울 수 있다. 스토퍼부(24c)는, 내부에 마련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브래킷(B)이 통과한 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24a)에 수용된 브래킷(B)은, 스토퍼부(24c)에 의하여 빠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브래킷(B) 및 브래킷(B)에 고정된 휴대 공구가, 휴대 공구용 홀더(20)에 대하여 유지된다. 휴대 공구용 홀더(20)로부터 휴대 공구를 분리할 때에는, 스토퍼부(24c)를 비스듬하게 하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휴대 공구 및 브래킷(B)을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stopper portion 24c is configured to slide obliquely downward when the bracket B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4a from above. Thereby, the inlet to the accommodation space 24a is opened, and the bracket B can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4a. The stopper portion 24c is biased upward oblique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rovided therein and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bracket B has passed. The bracket B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4a is prevented from escaping by the stopper portion 24c. Thereby, the portable tool fixed to the bracket (B) and the bracket (B) is held with respect to the portable tool holder (20). When the portable tool is detached from the portable tool holder 20, the stopper portion 24c is slid obliquely downward, and the portable tool and the bracket B are pulled upward to easily separate them.

또한, 휴대 공구 유지부(24)는,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형상이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24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24 can detachably hold the portable tool.

도 9는, 홀더 본체(22)의 후면 측(장착부(25) 측)의 사시도이다. 홀더 본체(22)의 장착부(25)는, 베이스부(25a)와, 베이스부(25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25b) 및 제2 볼록부(25c)를 갖는다. 제1 볼록부(25b) 및 제2 볼록부(25c)는, 대략 평행으로 뻗어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볼록부이며 베이스부(25a)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볼록부(25b)에는, 관통 구멍인 제1 개구부(25d)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볼록부(25c)에는 관통 구멍인 제2 개구부(25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는, 대략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urface side (the mounting portion 25 side) of the holder main body 22. Fig. The mounting portion 25 of the holder main body 22 has a base portion 25a and a first convex portion 25b and a second convex portion 25c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base portion 25a. The first convex portion 25b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25c are substantially rectangular convex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extend substantially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base portion 25a. A first opening 25d as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convex portion 25b and a second opening 25e as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convex portion 25c. The first opening 25d and the second opening 25e are arranged on substantially the same straight line.

또, 홀더 본체(22)의 베이스부(25a)에는, 제1 볼록부(25b)에 인접하는 제1 오목부(25h)와, 제2 볼록부(25c)에 인접하는 제2 오목부(25i)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피장착체(A')에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장착할 때에, 제1 오목부(25h) 및 제2 오목부(25i)에 피장착체(A')를 압압함으로써, 끼움 부재(23)를 제2 개구부(25e)에 끼우는 조작이 용이해진다.The first concave portion 25h adjacent to the first convex portion 25b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25i adjacent to the second convex portion 25c are formed in the base portion 25a of the holder main body 22, Is formed. Thus, when the portable tool holder 20 is mounted on the object A ', the object A'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recess 25h and the second recess 25i, It is easy to insert the member 23 into the second opening 25e.

또, 홀더 본체(22)의 베이스부(25a)에는, 베이스부(25a)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각각 선단에 요철이 형성된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와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와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는, 서로 대략 평행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 및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는 제1 볼록부(25b)와 제2 볼록부(25c)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 제1 볼록부(25b) 및 제2 볼록부(25c)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어 있다. 끼움 부재(23) 측으로 돌출된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 및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와, 끼움 부재(23)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피장착체(A')는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와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의 선단에 압압된다. 이로 인하여,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와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의 선단에 마련된 요철이 피장착체(A')의 표면에 걸려, 피장착체(A')에 대한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미끄러짐을 억제한다. 세로형 벨트 등의 피장착체(A')에 장착된 휴대 공구용 홀더(20)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미끄러짐을 억제하는 것이 특히 유효하다.The base portion 25a of the holder main body 22 is provided with a first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j and a second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k projecting vertically from the base portion 25a, ). The first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j and the second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k ar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The first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j and the second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k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 25b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25c, and the first convex portion 25b,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25c. The object to be fitted A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j and the second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k protruded toward the bottom member 23 and the fitting member 23, 1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j and the second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k. The unevenness provided on the tip ends of the first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j and the second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k is caught by the surface of the object A 'to be carried, Thereby suppressing slippage of the tool holder 20. Since the portable tool holder 20 mounted on the mounted body A 'such as the vertical type belt is likely to move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it is particularly effective to suppress slippage.

또한,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와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는, 제1 볼록부(25b)로부터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 및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와, 제1 볼록부(25b)의 상호 간에, 손가락을 넣을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개구부(25d)로부터 끼움 부재(23)를 빼낼 때에, 한 쌍의 클로부(23c)를 손가락으로 집어 내측으로 탄성 변형 시키는 조작이 용이해진다.The first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j and the second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k are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vex portion 25b. The space between the first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j and the second non-slidable convex portion 25k and the first convex portion 25b for fingers is formed, The pair of claw portions 23c can be easily picked up by the fingers and elastically deformed inward.

또, 홀더 본체(22)에는, 피장착체(A')를 내측에 통과시켜, 피장착체(A')에 대한 홀더 본체(22)의 자세를 소기의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부(25m)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25m)에는, 피장착체(A')를 출입하기 위한 절결부(25n)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5m)는, 세로형 벨트 등의 피장착체(A')에 장착했을 때에 상측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휴대 공구용 홀더(20)가 전방으로 기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자세가 안정되기 때문에, 당해 휴대 공구용 홀더(20)에 대한 휴대 공구의 착탈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 절결부(25n)의 형상은, 상방을 향하여 좁아지고 있다. 이로써, 피장착체(A')로부터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분리할 때에는, 피장착체(A')를 가이드부(25m)로부터 취출하기 쉬워짐과 함께, 사용 시에는, 가이드부(25m)로부터 피장착체(A')가 탈락하기 어려워진다.The holder body 22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25m for passing the object A 'to the inside thereof and holding the posture of the holder body 22 with respect to the object A' ). The guide portion 25m is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25n for inserting and removing the object A '. The guide portion 25m is provided at a position which is the upper side when it is attached to the object A 'such as a vertical belt. 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portable tool holder 20 from tilting forward. As a result, since the posture of the portable tool holder 20 is stabilized,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portable tool to the portable tool holder 20.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notch 25n is narrowed toward the upper side. Thus, when the portable tool holder 20 is detached from the object A ', the object A'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guide portion 25m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portion 25 ' It is difficult for the mounted body A 'to be detached from the base body 25m.

도 10(a)는, 끼움 부재(23)의 일방 측의 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b)는 끼움 부재(23)의 타방 측의 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끼움 부재(23)는, 평탄한 대략 직사각형판형상의 판부(23a)와, 판부(23a)의 길이 방향(도 10의 y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23b)와, 타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클로부(23c)와, 타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클로부(23c)의 사이에 마련된 중판부(23d)를 갖는다.10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side face of the shim member 23, and Fig. 10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rface on the other side of the shim member 23. The fitting member 23 has a plate portion 23a having a flat and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 flange portion 23b provided at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in FIG. 10) of the plate portion 23a, A pair of claw portions 23c and an intermediate plate portion 23d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claw portions 23c at the other end.

플랜지부(23b)는, 제1 볼록부(25b)의 에지면에 맞닿음으로써, 제1 개구부(25d)에 대한 끼움 부재(23)의 끼움을 정지시킨다. 클로부(23c)는, 판부(23a)의 폭방향(도 10의 x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로부(23c)는, 그 선단부가 판부(23a)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한 쌍의 클로부(23c)의 최대폭이,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끼움 부재(23)를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끼울 때에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클로부(23c)가 판부(23a)의 폭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또, 제1 개구부(25d)에 끼워졌을 때에는, 제1 볼록부(25b)의 에지면에 클로부(23c)가 결합하여, 끼움 부재(23)가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한다. 제2 개구부(25e)에 끼워졌을 때에는, 제2 볼록부(25c)의 에지면에 클로부(23c)가 결합하여, 끼움 부재(23)가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한다.The flange portion 23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5b to stop the fitting of the fitting member 23 with respect to the first opening portion 25d. The claw portion 23c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in Fig. 10) of the plate portion 23a. The tip end portion of the claw portion 23c protrud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23a and the maximum width of the pair of claw portions 23c is larg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25d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25e Width. The tapered claw portion 23c elastically deform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23a when the fitting member 23 is fitted into the first opening portion 25d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25e. In addition, when fitted into the first opening 25d, the claw portion 23c is engaged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5b, thereby preventing the fitting member 23 from escaping. The claw portion 23c is engaged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25c to prevent the fitting member 23 from escaping.

본 실시형태의 끼움 부재(23)는, 다른 두께의 피장착체(A')에 대응하기 위한 두께 조정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예에서는 끼움 부재(23)를 뒤집어 사용함으로써, 다른 두께의 피장착체(A')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andwiching member 23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thickness adjusting function for accommodating an object A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Specifically, in this example, the use of the shim member 23 is rever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ticle A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 부재(23)는, 판부(23a)의 일방 측의 면(z방향의 상방을 향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조정 볼록부(23h)와, 중판부(23d)의 일방 측의 면(z방향의 상방을 향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조정 볼록부(23i)가 마련되어 있다.10 (a), the fitting member 23 includes a first adjusting convex portion 23h protruding from a surface (a plane facing upward in the z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plate portion 23a, A second adjusting convex portion 23i protruding from one surface side (a plane facing upward in the z direction) of the second adjusting projection 23d is provided.

두께가 큰 피장착체(A')에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제1 조정 볼록부(23h) 및 제2 조정 볼록부(23i)가 베이스부(25a) 측을 향하도록, 끼움 부재(23)를 홀더 본체(22)에 장작하며, 두께가 작은 피장착체(A')에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끼움 부재(23)를 뒤집어, 제1 조정 볼록부(23h) 및 제2 조정 볼록부(23i)가 베이스부(25a)와 반대 측을 향하도록 끼움 부재(23)를 홀더 본체(22)에 장착한다.The first adjusting convex portion 23h and the second adjusting convex portion 23i are moved toward the base portion 25a side in the case where the portable tool holder 20 is mounted on the mounting object A ' When the holder 23 is mounted on the holder body 22 and the portable tool holder 20 is mounted on the body A 'having a small thickness, the holder 23 is turned upside down, The fitting member 23 is mounted on the holder main body 22 such that the first adjusting convex portion 23h and the second adjusting convex portion 23i face the opposite side to the base portion 25a.

제1 조정 볼록부(23h) 및 제2 조정 볼록부(23i)가 베이스부(25a)와 반대 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끼움 부재(23)를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끼운 경우에는, 제1 조정 볼록부(23h) 및 제2 조정 볼록부(23i)가 각각, 제1 개구부(25d)의 내면 및 제2 개구부(25e)의 내면에 맞닿아, 베이스부(25a)와, 베이스부(25a)에 대향하는 그 끼움 부재(23)의 면의 거리(판부(23a)의 두께 방향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두께가 작은 피장착체(A')에서도 베이스부(25a)와 끼움 부재(23)로 단단히 끼울 수 있다. 이로써, 세로형 벨트 등의 피장착체(A')에 장착된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미끄러짐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 first adjusting projection 23h and the second adjusting projection 23i are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base 25a so that the fitting member 23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opening 25d and the second opening 25e, The first adjusting convex portion 23h and the second adjusting convex portion 23i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25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25e to form the base portion 25a (The dista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23a) between the surface of the fitting member 23 facing the base portion 25a and th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25a 25a and the shim member 23, respectively.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suppress slippage of the portable tool holder 20 mounted on the body A 'of the vertical type belt or the like.

끼움 부재(23)의 판부(23a)의 양측의 면에는, 피장착체(A')에 장착된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23j)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철부(23j)는, 끼움 부재(23)의 끼움 방향에 평행으로 뻗는 복수의 돌기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요철부(23j)는 끼움 부재(23)를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끼운 상태(도 8 참조)에 있어서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대한 끼움 부재(23)의 장착 탈락 조작이 용이해진다.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3j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portion 23a of the bottom member 23 to prevent slipping of the portable tool holder 20 mounted on the body A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3j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fitting member 23,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3j are formed in the first opening 25d and the second opening 25e 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member 23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opening 25d and the second opening 25e As shown in Fig. 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tting and removing operation of the fitting member 23 with respect to the first opening 25d and the second opening 25e is facilitated.

또, 본 예에 있어서, 끼움 부재(23)를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끼운 상태(도 8 참조)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의 내면 형상과, 끼움 부재(23)의 외면 형상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끼워진 끼움 부재(23)가, 두께 방향의 상한까지 이동 가능해지므로, 피장착체(A')의 두께의 허용 범위가 커진다.8) in which the fitting member 23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opening portion 25d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25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portion 25d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25e and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fitting member 23 coincide with each other. Thus, the fitting member 23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opening 25d and the second opening 25e can be moved to the upper limit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allowable range of the thickness of the object A 'is increased.

이하에,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띠 형상의 피장착체(A')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ounting the portable tool holder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to a strip-shaped attachment body A 'will be described.

제1 개구부(25d)에만 끼움 부재(23)를 끼운 상태(제2 개구부(25e)에는 끼우지 않은 상태)에서, 피장착체(A')가 제1 볼록부(25b)와 제2 볼록부(25c)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홀더 본체(22)를 피장착체(A')의 외측으로부터 배치한다. 또한, 제1 개구부(25d)에만 끼움 부재(23)를 끼운 상태에서는, 클로부(23c)가 제1 볼록부(25b)의 에지면에 결합함으로써, 끼움 부재(23)가 홀더 본체(22)에 대하여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The object to be attached A 'is held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 25b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25b in the state in which the fitting member 23 is sandwiched only in the first opening 25d (not inserted in the second opening 25e) The holder body 22 is arranged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A 'to be attach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itting member 23 is sandwiched only in the first opening 25d, the claw portion 23c is engaged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5b so that the fitting member 23 is fitted into the holder body 22, As shown in Fig.

이어서, 피장착체(A')의 내측(사용자 측)에 끼움 부재(23)가 통과하도록 하여, 끼움 부재(23)를 제2 개구부(25e)에 끼운다.Subsequently, the fitting member 23 is passed through the inside (user side) of the object A ', and the fitting member 2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25e.

끼움 부재(23)가 제2 개구부(25e)에 끼워지면, 제2 볼록부(25c)의 에지면에 한 쌍의 클로부(23c)가 결합하여, 끼움 부재(23)가 빠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즉, 끼움 부재(23)가 홀더 본체(22)에 결합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피장착체(A')에 대한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장착이 종료된다. 이 상태에서는, 홀더 본체(22)와 끼움 부재(23)로 피장착체(A')의 주위를 완전하게 둘러싸게 되어, 휴대 공구용 홀더(20)가 피장착체(A')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없다.The pair of claw portions 23c are engaged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25c to prevent the fitting member 23 from escaping when the shim member 23 is fitted in the second opening 25e . That is, the fitting member 23 is held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main body 22. In this way, the attachment of the portable tool holder 20 to the mounted body A 'is completed. In this state, the periphery of the object A 'is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holder main body 22 and the fitting member 23 so that the portable tool holder 20 is removed from the object A' There is no concern.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피장착체(A')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한 쌍의 클로부(23c)를 손가락으로 집도록 하여 폭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제2 볼록부(25c)에 대한 클로부(23c)의 결합을 해제하면서, 끼움 부재(23)를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개구부(25e)로부터 끼움 부재(23)를 빼낸다. 이로써, 피장착체(A')로부터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끼움 부재(23)는, 제2 개구부(25e)로부터 빼낸 후에도, 클로부(23c)가 제1 볼록부(25b)의 에지면에 결합함으로써 홀더 본체(22)에 유지되기 때문에, 끼움 부재(23)를 분실할 우려가 없다.When separating the portable tool holder 20 from the object A ', the pair of claw portions 23c are held by fingers and elastically deform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25c The engaging member 23 is pulled out while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second claw portion 23c and the engaging member 23 is pulled out from the second opening 25e. Thereby, the portable tool holder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ed body A '. Since the clip member 23 is held by the holder main body 22 by engaging the claw portion 23c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5b even after the clip member 23 is pulled out from the second opening 25e, There is no possibility of losing the terminal 23.

또한, 홀더 본체(22)와 끼움 부재(23)를 분리한 상태로부터, 피장착체(A')에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장착해도 된다. 즉, 끼움 부재(23)를 분리한 상태의 홀더 본체(22)를 피장착체(A')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나서, 홀더 본체(22)의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끼움 부재(23)를 끼우도록 하여 장착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피장착체(A')로부터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분리할 때에도, 끼움 부재(23)를 제2 개구부(25e) 및 제1 개구부(25d)로부터 빼내어, 홀더 본체(22)로부터 분리해도 된다.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portable tool holder 20 on the mounted body A 'from the state in which the holder body 22 and the fitting member 2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holder main body 22 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member 23 is separate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bject A ', and then the first opening 25d and the second opening 25b of the holder main body 22, The fitting member 23 may be fitted in the fitting hole 25e. Similarly, when separating the portable tool holder 20 from the mounted body A ', the fitting member 23 is pulled out from the second opening 25e and the first opening 25d, It may be separa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20)에 있어서는, 홀더 본체(22)와 끼움 부재(23)로 피장착체(A')의 주위를 완전하게 둘러싼 상태에서, 끼움 부재(23)가 홀더 본체(22)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결합 유지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클립 구조와 같이 외부와의 접촉 등에 의하여 개방되어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20)에 의하면, 피장착체(A')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세로형 벨트에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착탈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당해 세로형 벨트를 신체에 장착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용이하게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착탈을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ortable tool holder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er body 22 and the fitting member 23 completely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mounted body A ' 23 are held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body 22 so as not to come off.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olve such a problem that the belt is separated from the belt by being opened by contact with the outside as in a clip structure. That is, according to the portable tool holder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ttaching member A 'from falling off. In addition, when attaching / detaching the portable tool holder 20 to the vertical type belt, for example, the use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portable tool holder 20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type belt is attached to the body .

또,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20)에 있어서는, 끼움 부재(23)의 일방의 면에만 제1 조정 볼록부(23h)와 제2 조정 볼록부(23i)를 마련함으로써, 다른 두께의 복수의 피장착체(A')에 대하여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장착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tool holder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djusting convex portion 23h and the second adjusting convex portion 23i are provided only on one surface of the fitting member 23, It is possible to mount the portable tool holder 20 on a plurality of attached bodies A '.

또한,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링부(28)와 휴대 공구를, 예를 들면 끈 형상 또는 링 형상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하여, 휴대 공구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The portable tool may be connected to the ring portion 28 of the portable tool holder 20 by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string or a ring to prevent the portable tool from dropping.

1: 휴대 공구용 홀더
2: 홀더 본체
3: 끼움 부재
3a: 판부
3b: 플랜지부
3c: 클로부
3d: 결합부
3e: 제1 유도 볼록부(유도 볼록부)
3f: 제2 유도 볼록부(유도 볼록부)
3g: 조정 구멍
4: 휴대 공구 유지부
4a: 수용 공간
4b: 프레임부
4c: 스토퍼부
5: 장착부
5a: 베이스부
5b: 제1 볼록부
5c: 제2 볼록부
5d: 제1 개구부
5e: 제2 개구부
5f: 경사면
5g: 오목부
6: 미끄럼 방지 부재
6a: 세로 프레임부
6b: 가로 프레임부
6c: 돌기
6d: 결합 클로부
7: 접속구
7a: 환상부
8: 링부
20: 휴대 공구용 홀더
22: 홀더 본체
23: 끼움 부재
23a: 판부
23b: 플랜지부
23c: 클로부
23d: 중판부
23h: 제1 조정 볼록부
23i: 제2 조정 볼록부
23j: 요철부
24: 휴대 공구 유지부
24a: 수용 공간
24b: 프레임부
24c: 스토퍼부
25: 장착부
25a: 베이스부
25b: 제1 볼록부
25c: 제2 볼록부
25d: 제1 개구부
25e: 제2 개구부
25h: 제1 오목부
25i: 제2 오목부
25j: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
25k: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
25m: 가이드부
25n: 절결부
28: 링부
A: 피장착체
B: 브래킷
1: holder for portable tool
2: holder body
3:
3a: Plate
3b: flange portion
3c: Clove
3d:
3e: first induction convex portion (induction convex portion)
3f: second induction convex portion (induction convex portion)
3g: Adjusting hole
4: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4a: accommodation space
4b:
4c: stopper portion
5:
5a:
5b: the first convex portion
5c: second convex portion
5d: first opening
5e: a second opening
5f: inclined surface
5g: concave portion
6: Non-slip member
6a: vertical frame part
6b:
6c:
6d: bonded claw portion
7: Connection port
7a:
8: Rings
20: Holder for portable tool
22: holder body
23:
23a: Plate
23b: flange portion
23c: Clove
23d: middle plate portion
23h: the first adjusting convex portion
23i: second adjusting convex portion
23j: concave and convex portion
24: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24a: accommodation space
24b:
24c: stopper portion
25:
25a:
25b: the first convex portion
25c: second convex portion
25d: a first opening
25e: second opening
25h: first concave portion
25i: second concave portion
25j: first non-slip convex portion
25k: second non-slip convex portion
25m: guide portion
25n:
28: Rings
A:
B: Bracket

Claims (3)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휴대 공구 유지부를 갖는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에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끼워져 상기 홀더 본체에 결합 유지되는 끼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에 결합 유지된 상기 끼움 부재로 띠 형상의 피장착체의 주위를 둘러쌈으로써 상기 피장착체에 유지되는 휴대 공구용 홀더.
A holder main body having a portable tool holding portion for detachably holding the portable tool,
And a fitting member which is fitted in the first opening formed in the holder main body and the second opening and held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main body,
Wherein the holder body is held by the attachment body by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strip-shaped attachment body with the fitting member held in engagement with the holde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 부재에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끼워질 때에, 상기 제1 개구부의 내면에 맞닿아,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한 상기 끼움 부재의 자세를 소정의 방향으로 규제하기 위한 유도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는, 휴대 공구용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t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induction convex portion for abutting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when the concave portion is fitted into the second opening portion to regulate the attitude of the fit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holder bod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Holder f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 부재는, 다른 두께의 상기 피장착체에 대응하기 위한 두께 조정 기능을 갖고 있는, 휴대 공구용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him member has a thickness adjusting function for coping with the mounted body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KR1020180043318A 2017-04-18 2018-04-13 Holder for portable tool KR1024174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63A KR102417421B1 (en) 2017-04-18 2021-11-16 Holder for portable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82174A JP7279914B2 (en) 2017-04-18 2017-04-18 portable tool holder
JPJP-P-2017-082174 2017-04-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263A Division KR102417421B1 (en) 2017-04-18 2021-11-16 Holder for portable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049A true KR20180117049A (en) 2018-10-26
KR102417420B1 KR102417420B1 (en) 2022-07-05

Family

ID=639388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318A KR102417420B1 (en) 2017-04-18 2018-04-13 Holder for portable tool
KR1020210157263A KR102417421B1 (en) 2017-04-18 2021-11-16 Holder for portable tool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263A KR102417421B1 (en) 2017-04-18 2021-11-16 Holder for portable too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279914B2 (en)
KR (2) KR102417420B1 (en)
CN (2) CN108720250B (en)
TW (2) TWI766006B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72C (en) * 1997-03-12 2004-07-07 赫彻斯特股份公司 In vitro transcription processes for screening natural products and other chemical substances
JP3163381U (en) 2010-07-30 2010-10-14 原度器株式会社 Belt clip for tape measure
US20150197023A1 (en) * 2014-01-10 2015-07-16 Fiskars Brands, Inc. Variable mounting system for a knife sheath
CN104814597A (en) * 2015-05-08 2015-08-05 深圳市中孚能电气设备有限公司 Knapsack clamp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4990B1 (en) * 1996-02-08 2000-10-02 타지마 요우스케 Safety holder
DE19649040C1 (en) 1996-11-27 1997-10-02 Schlipkoeter Michael Dr Releasable holder for carpet knife on clothing of person
JP2002262921A (en) 2001-03-09 2002-09-17 Nifco Inc Fitting device for fitting portable article
JP4331446B2 (en) 2002-08-05 2009-09-16 株式会社Tjmデザイン Holder for portable tools
DE10306191B3 (en) 2003-02-13 2004-05-19 Martor Kg Holder for hand tools, e.g. knives, comprises a holder body with a leaf spring tensioned with its upper spring end in an upper end region of the holder body and with its lower spring end
KR20050107921A (en) * 2004-05-10 2005-11-16 주식회사 만도 Bolt type mounting member of a shock absorber
KR20090005360U (en) * 2007-11-29 2009-06-03 정회상 A key ring
JP5364882B2 (en) * 2008-05-28 2013-12-11 株式会社ニックス Retainer
CN101889764A (en) * 2009-05-22 2010-11-24 白智淑 Device for connecting straps and accessories thereof
JP5849813B2 (en) * 2012-03-27 2016-02-0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Holder holding structur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033653B2 (en) * 2012-11-26 2016-11-30 ムラテックKds株式会社 Tool holder
US9750331B2 (en) * 2015-06-22 2017-09-05 5 Seas Engineering & Trading Llc Integrated modular attachmen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72C (en) * 1997-03-12 2004-07-07 赫彻斯特股份公司 In vitro transcription processes for screening natural products and other chemical substances
JP3163381U (en) 2010-07-30 2010-10-14 原度器株式会社 Belt clip for tape measure
US20150197023A1 (en) * 2014-01-10 2015-07-16 Fiskars Brands, Inc. Variable mounting system for a knife sheath
CN104814597A (en) * 2015-05-08 2015-08-05 深圳市中孚能电气设备有限公司 Knapsack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420B1 (en) 2022-07-05
TWI766006B (en) 2022-06-01
JP2018176378A (en) 2018-11-15
CN108720250A (en) 2018-11-02
CN113598515A (en) 2021-11-05
JP7279914B2 (en) 2023-05-23
KR20210145086A (en) 2021-12-01
CN108720250B (en) 2021-11-23
JP7272685B2 (en) 2023-05-12
KR102417421B1 (en) 2022-07-05
JP2021121465A (en) 2021-08-26
CN113598515B (en) 2023-03-14
TW202210003A (en) 2022-03-16
TW201838544A (en) 2018-11-01
TWI774607B (en)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086B1 (en) Holder assembly for hand-held device
JP3384269B2 (en) Belt end locking device
JP5821048B2 (en) Clamping tool
JP6210675B2 (en) Tape measure holder
JP2019091985A (en) Portable terminal holder
US4273276A (en) Holster with adjustable safety strap
US10023130B2 (en) Fuse-puller holding structure
KR20180117049A (en) Holder for portable tool
US5583587A (en) Glasses with easily attachable nose pad device
US11641120B2 (en) Battery mount device
JP4331446B2 (en) Holder for portable tools
US9019051B2 (en) Attachment/detachment structure for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accessory unit and assembly method for movable hook portion provided in accessory unit
TW202021748A (en) Socket holder and socket rack including the same
KR20130131575A (en) Buckle
JP2019181593A (en) Bracket for tool
EP3324233A1 (en) Mounting fixture for wearable device
JP7153300B2 (en) tool holder
KR20160013018A (e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KR20090023193A (en) Front release buckle
JP3103541U (en) Saw sheath
JP2022061255A (en) Child seat mounting device
KR20140053897A (en) Assembly made of a flat writing instrument and of an element that holds the writing instrument inside an exercise book or notebook
JP2018176413A (en) Bracket for tool
JP2012170464A (en) Locking structure of cutter and sheath
TWM497283U (en) Eyeglasses frame with easily replaceable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