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708A -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708A
KR20180116708A KR1020170049376A KR20170049376A KR20180116708A KR 20180116708 A KR20180116708 A KR 20180116708A KR 1020170049376 A KR1020170049376 A KR 1020170049376A KR 20170049376 A KR20170049376 A KR 20170049376A KR 20180116708 A KR20180116708 A KR 20180116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function
content
user
lay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Priority to KR102017004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6708A/ko
Priority to PCT/KR2018/004426 priority patent/WO2018194340A1/ko
Publication of KR2018011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8Synthesising holograms, i.e. holograms synthesized from objects or objects from hol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따른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를 합성시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에 상응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층형 홀로그램의 콘텐츠 제작 및 편집에 있어 종래의 상용화된 툴의 단점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환경에 맞는 최적의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FOR LAYERED HOLOGRAM}
본 발명은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은 상용 툴을 이용하여 제작 작업 및 편집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용 툴은 범용적인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홀로그램과 같은 특화된 전문 작업에는 여러 상용화된 툴의 필요한 기능만을 조합하여 각 툴의 단편적 기능만을 번갈아 가며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 멀티 레이어(multi-layer)인 적층형 홀로그램의 제작에 있어서 한번 사용된 배경, CG, 조명 효과 등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용화된 툴을 통해 작업된 부분을 다시 편집하여 저장하고 필요한 부분에 맞게 재편집이 이루어져야 했다.
또한, 종래에는 적층형 홀로그램의 제작을 위해 2D 영상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정지영상에서 목적 영상과 배경영상으로 객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객체를 홀로그램용 콘텐츠로 변환함에 있어서, 2D 영상 콘텐츠 각각에 컨셉이 존재하고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홀로그램 콘텐츠와 같이 색 보정(Digital Intermediate: DI) 작업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입체 영상 제작/편집 툴은 하나의 레이어(layer)만을 작업하기 때문에 입체감 높으면서 화려하고 다이나믹한 영상을 제공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하나의 홀로그램용 컨텐츠를 제작함에 있어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적층형 홀로그램의 콘텐츠 제작 및 편집에 있어 종래의 상용화된 툴의 단점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환경에 맞는 최적의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를 합성시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기능에 상응하여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은,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 데이터 입력 기능, 색 보정 기능, 깊이 조정 기능, 상기 가상 공간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상기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상기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이 선택되면, 목적영상 레이어, 효과 영상 레이어 및 배경영상 레이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를 합성시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은 목적영상 레이어, 효과 영상 레이어 및 배경영상 레이어를 하나의 파일로 합성한 후, 레스터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레스터 파일을 동기화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기능에 상응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공간 내 관객 객체, 복수의 카메라 객체, 복수의 스피커 객체 및 스크린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를 설정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상기 데이터 입력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된 상기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 영상 레이어와 상기 배경 영상 레이어의 소실점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대한 상기 깊이 조정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한 상기 스크린 객체의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이동에 대응하는 깊이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배치되는 관객 객체의 높이와 상기 스크린 객체로부터의 상기 관객 객체의 거리를 입력받아 관객시점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관객 객체의 높이와 상기 관객 객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위치를 셋팅하는 단계; 및 셋팅된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뷰(view)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된 상기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젝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를 합성시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내에 배치된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능에 상응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된 상기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젝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은,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 데이터 입력 기능, 색 보정 기능, 깊이 조정 기능, 상기 가상 공간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상기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상기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중에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적영상 레이어, 효과 영상 레이어 및 배경영상 레이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이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은 목적영상 레이어, 효과 영상 레이어 및 배경영상 레이어를 하나의 파일로 합성한 후, 레스터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레스터 파일을 동기화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가상 공간 내 관객 객체, 복수의 카메라 객체, 복수의 스피커 객체 및 스크린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중에서 상기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를 설정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상기 데이터 입력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된 상기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 영상 레이어와 상기 배경 영상 레이어의 소실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중에서 상기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대한 상기 깊이 조정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한 상기 스크린 객체의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이동에 대응하는 깊이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중에서 상기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배치되는 관객 객체의 높이와 상기 스크린 객체로부터의 상기 관객 객체의 거리를 입력받아 관객시점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객 객체의 높이와 상기 관객 객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위치를 셋팅하고, 셋팅된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뷰(view)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의하면, 적층형 홀로그램의 콘텐츠 제작 및 편집에 있어 종래의 상용화된 툴의 단점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환경에 맞는 최적의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층형 홀로그램의 제작에 있어서, 이미 작업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재사용이 가능하여 누구나 손쉽게 홀로그램 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로그램 콘텐츠에 특화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홀로그램 콘텐츠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형 홀로그램의 제작에 있어서, 홀로그램 콘텐츠용으로 변환하기 위한 색 보정(DI) 작업 및 깊이 조정(Depth) 작업이 가능하여, 종래의 홀로그램 콘텐츠 제작에 비해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훨씬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레이어(layer)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레이어 (layer)를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어서 화려하고 다이나믹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상용화된 툴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적층형 홀로그램의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종래의 여러 상용화된 툴을 활용하여 작업하는 복잡한 프로세스를 거치지 않아도 한번의 한 레이어(layer) 조작으로 다른 레이어(layer)의 리사이즈(resize), 거리 값 조정, 및 깊이 조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적층형 홀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소스(source)와 효과(effect)를 이미지(image)로 설정할 필요 없이 영상을 불러와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작된 적층형 홀로그램이 적용되는 가상의 홀로그램관을 통해서 관객과 스크린 사이의 상영가능 공간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전에 가상의 홀로그램관을 이용하여 관객의 시점에 따른 관객 시점 시뮬레이션이 가능함으로써, 홀로그램의 특성인 관객시점에 따른 콘텐츠의 효과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과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기능 중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기능 중 색 보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기능 중 깊이 조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기능 중 깊이 조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기능 중 가상 공간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과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과정은 크게 3가지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과정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를 획득하는 제1 단계인 복수의 레이어 획득 단계(S10),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를 합성시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2 단계인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 단계(S20),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에 상응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제3 단계인 가상공간 출력 단계(S30)로 구성된다.
복수의 레이어 획득 단계(S10)에서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단말에 설치하고 실행함으로써 로토스코핑(Rotoscoping) 및 디지털 보정 작업된 시퀀스 이미지들을 3D 홀로그램 영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레이어 획득 단계(S10)에서 상기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작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중에서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이 선택되면,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에 필요한 복수의 레이어인 목적영상 레이어(main source layer),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 및 배경영상 레이어(back ground layer)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는 시퀀스 이미지(sequence image)가 아닌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 단계(S20)에서는, 단계 S10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은 목적영상 레이어, 효과 영상 레이어 및 배경영상 레이어를 하나의 파일로 합성한 후, 레스터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레스터 파일을 동기화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한다.
가상공간 출력 단계(S30)에서는, 단계 S20에서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내에 배치된 가상 공간에 출력한다. 이때, 가상 공간 내 관객 객체, 복수의 카메라 객체, 복수의 스피커 객체 및 스크린 객체가 배치된 가상 공간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을 출력하고, 단계 S20에서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가상공간 출력 단계(S30)에서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에 상응하여 가상 공간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에 상응하여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단계 S20에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배치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상기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 적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은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 데이터 입력 기능, 색 보정 기능, 깊이 조정 기능, 가상 공간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가상공간 출력 단계(S30) 단계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상 공간에 배치된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를 설정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상기 데이터 입력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된 상기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목적 영상 레이어와 배경 영상 레이어의 소실점을 추출하여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 예로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스크린 객체가 배치된 가상 공간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상기 데이터 입력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된 가상 공간에 대한 크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객과 스크린 사이에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의 상영 가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가상공간 출력 단계(S30) 단계에서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 획득 단계(S10)에서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대한 깊이 조정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한 스크린 객체의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이동에 대응하는 깊이 조정값에 기초하여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 단계(S20)에서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내에 배치된 가상 공간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가상공간 출력 단계(S30) 단계에서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상 공간에서의 상기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이 선택되면, 가상 공간 내에서 배치되는 관객 객체의 높이와 상기 스크린 객체로부터의 상기 관객 객체의 거리를 입력받아 관객시점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관객시점 시뮬레이션의 실행을 위해 관객 객체의 높이와 상기 관객 객체의 거리를 입력받고 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위치를 셋팅하며, 셋팅된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뷰(view)를 제공한다.
또한, 가상공간 출력 단계(S30)에서는 가상 공간에 출력된 복수의 레이어 및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젝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 단계의 실행 화면은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 웹(애플리케이션) 서버(200) 및 단말(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시퀀스 이미지가 아닌 복수의 영상 레이어인 목적영상 레이어, 효과 영상 레이어 및 배경영상 레이어가 입력될 수 있다. 입력된 레이어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전달되고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르는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단말(300)에 직접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를 통해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단말(300)에 제공함으로써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 데이터 입력 기능, 색 보정 기능, 깊이 조정 기능, 가상 공간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컨대 마우스 클릭 및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그를 하는 조작에 따라 기능이 선택되면,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기능에 상응하여 단말(300)의 인터페이스 화면 내에 배치된 가상 공간에 표시되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변경하여 단말(300)에 재생 가능한 형태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 및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입력받은 복수의 레이어들을 하나의 파일로 합성한 후, 레스터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레스터 파일을 동기화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재생 가능한 형태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시퀀스를 이용한 편집(edit)툴(tool)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을 이용한 프리뷰(preview)툴을 제공한다.
또한,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가상 공간에 출력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젝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말(300)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형 PC, 노트북 컴퓨터 기타 통신 가능한 단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직접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접근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애플리케이션) 서버(200)를 통해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접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300)에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작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사용자는 단말(300)을 통해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접속하고,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을 위한 기능의 실행을 요청하는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웹 서버 대신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사용되는 경우 웹 프로토콜 대신 별도의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300)에 설치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인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에 접속하고, 이후 해당 애플리케이션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을 위한 기능의 실행을 요청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웹(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단말(300)과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 사이의 통신을 중개한다. 이를 위해, 웹(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사용자가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기능을 실행하는 인터페이스를 클릭하는 방식으로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해당 기능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 제어부(320) 및 디스플레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30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메뉴를 단말(300)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기능메뉴는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 데이터 입력 기능, 색 보정 기능, 깊이 조정 기능, 가상 공간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이 선택 및 실행되도록 단말(300)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상기 기능이 선택 및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며,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에 의해 단말(300)의 화면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33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기능에 상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배치되는 가상 공간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중에서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적영상 레이어, 효과 영상 레이어 및 배경영상 레이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이어를 입력받아 복수의 레이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는 시퀀스 이미지가 아닌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3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한 목적영상 레이어, 효과 영상 레이어 및 배경영상 레이어를 하나의 파일로 합성한 후, 레스터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레스터 파일을 동기화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제어부(320)에 의해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내에 배치된 가상 공간에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디스플레이부(330)의 동작을 제어하여 가상 공간 내 관객 객체, 복수의 카메라 객체, 복수의 스피커 객체 및 스크린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을 출력하고,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중에서 가상 공간에 배치된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를 설정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기능이 선택되면, 마우스 클릭 및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그를 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된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목적 영상 레이어와 배경 영상 레이어의 소실점을 추출하여 추출된 소실점에 근거하여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대한 깊이 조정 기능이 선택되면, 마우스 클릭 및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그를 하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스크린 객체의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이동에 대응하는 깊이 조정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대한 색 보정 기능이 선택되면, 마우스 클릭 및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그를 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상응하여 입력된 밝기, 명도, 채도 및 투명도를 포함하는 색보정 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마우스 클릭과 같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기 설정된 기능 중에서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그를 하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상 공간 내에서 배치되는 관객 객체의 높이와 스크린 객체로부터의 상기 관객 객체의 거리를 입력받아 관객시점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20)는 입력받은 관객 객체의 높이와 관객 객체의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위치를 셋팅하며, 셋팅된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뷰(view)를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가상 공간에 출력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젝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제어부(320)의 동작에 따라 수정된 데이터를 윈도우 미디어 포맷 형식(asf, wma, wmv, wm)으로 저장하고, 추후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해 제공되어 다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각 기능들에 대해서 세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이다.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 또는 그에 연결된 웹 서버/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단말(300)을 통해 도 4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어부(320)에 의해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가상 공간 화면(410), 상기 가상 공간 화면(410)에 배치되는 스크린 객체(420) 및 사용자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메뉴(430, 440, 450, 460, 470)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화면에 도시된 다수의 기능메뉴(430, 440, 450, 460, 47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및 드래그 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 데이터 입력 기능, 색 보정 기능, 깊이 조정 기능, 가상 공간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이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단말의 입력 인터페이스인 마우스를 클릭 또는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그 하는 조작을 통해 상기 기능메뉴(430, 440, 450, 460, 470)들에 상응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기능 선택 사항이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상 공간에 배치된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를 설정을 위한 기능메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상기 기능 선택 사항에 상응하여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 및 편집하고, 생성 및 편집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상기 가상 공간 화면(410) 및 스크린 객체(420)에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기능 중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컨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단말(300)에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각종 기능이 실행되도록 각종 기능메뉴(430, 440, 450, 460, 470) 및 상기 기능메뉴에 포함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메뉴(460)를 선택하면,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에 필요한 복수의 레이어인 목적영상 레이어(main source layer),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 및 배경영상 레이어(back ground layer)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의 저장부에 기저장된 윈도우 미디어 포맷 형식(asf, wma, wmv, wm)의 영상을 복수의 레이어로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레이어를 선택하면 복수의 레이어가 적용되어 제어부(320)에 의해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가 가상 공간 화면(410) 및 스크린 객체(420)에 재생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기능 중 색 보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에 필요한 복수의 레이어인 목적영상 레이어(main source layer),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 및 배경영상 레이어(back ground layer) 중에서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에 대한 색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메뉴(450)를 선택하면, 예컨대, 마우스 클릭 및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그를 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가상 공간 화면(410)에 표현되는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에 대한 밝기, 명도, 채도 및 투명도가 조절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기능 중 깊이 조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에 필요한 복수의 레이어인 목적영상 레이어(main source layer),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 및 배경영상 레이어(back ground layer) 중에서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에 대한 깊이 조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메뉴(430)를 선택하면, 예컨대, 마우스 클릭 및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그를 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에 대한 고정점(Fix Point)이 조절됨으로써 가상 공간 화면(410)에 재생되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의 깊이감이 조절된다.
또한, 도 7(c) 및 도 7(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레이어인 목적영상 레이어(main source layer),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 및 배경영상 레이어(back ground layer) 중에서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에 대한 깊이 조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메뉴(430)를 선택하면, 예컨대, 마우스 클릭 및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그를 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에 대한 변위(Disparty)가 조절됨으로써 가상 공간 화면(410)에 재생되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의 깊이감이 조절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기능 중 깊이 조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레이어인 목적영상 레이어(main source layer),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 및 배경영상 레이어(back ground layer) 중에서 효과 영상 레이어(effect layer)에 대한 깊이 조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메뉴(440)를 선택하면, 예컨대, 마우스 클릭 및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그를 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스크린 객체의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이동에 대응하는 깊이 조정(Transform)값이 조절됨으로써 조절된 깊이 조정(Transform)값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 화면(410)에 재생되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의 깊이감이 조절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공간에 배치된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메뉴(462)를 선택하면, 예컨대, 마우스 클릭 및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그를 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가상 공간에 배치된 스크린 객체의 크기가 조절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기능 중 가상 공간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공간 화면(410)을 터치 앤 드래그 방식으로 조작하여 가상 공간 화면(410)을 줌인아웃(Zoom in-out)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이 선택되면,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가상 공간 내에서 배치되는 관객 객체의 높이와 스크린 객체로부터의 상기 관객 객체의 거리를 입력받아 관객시점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입력받은 관객 객체의 높이와 관객 객체의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위치를 셋팅하고, 셋팅된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뷰(view)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공간 화면(410)에 표시된 버튼(480)을 터치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재생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버튼(480)을 통해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느리게 또는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의 상용화된 툴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적층형 홀로그램의 콘텐츠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종래의 여러 상용화된 툴을 활용하여 작업하는 복잡한 프로세스를 거치지 않고 하나의 툴을 통해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환경에 맞는 최적의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각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으로 해석되면 아니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에 의해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조합될 경우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생략될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
200 : 웹(애플리케이션) 서버
300 : 단말
3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20 : 제어부
33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9)

  1.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를 합성시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에 상응하여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 데이터 입력 기능, 색 보정 기능, 깊이 조정 기능, 상기 가상 공간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상기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상기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이 선택되면, 목적영상 레이어, 효과 영상 레이어 및 배경영상 레이어를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를 합성시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은 목적영상 레이어, 효과 영상 레이어 및 배경영상 레이어를 하나의 파일로 합성한 후, 레스터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레스터 파일을 동기화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에 상응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공간 내 관객 객체, 복수의 카메라 객체, 복수의 스피커 객체 및 스크린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를 설정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상기 데이터 입력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된 상기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 영상 레이어와 상기 배경 영상 레이어의 소실점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대한 상기 깊이 조정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한 상기 스크린 객체의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이동에 대응하는 깊이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배치되는 관객 객체의 높이와 상기 스크린 객체로부터의 상기 관객 객체의 거리를 입력받아 관객시점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관객 객체의 높이와 상기 관객 객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위치를 셋팅하는 단계; 및
    셋팅된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뷰(view)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된 상기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젝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의 콘텐츠 제공방법.
  10.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를 합성시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내에 배치된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능에 상응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된 상기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젝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 데이터 입력 기능, 색 보정 기능, 깊이 조정 기능, 상기 가상 공간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상기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줌인/줌아웃 기능, 상기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중에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 열기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적영상 레이어, 효과 영상 레이어 및 배경영상 레이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이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은 목적영상 레이어, 효과 영상 레이어 및 배경영상 레이어를 하나의 파일로 합성한 후, 레스터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레스터 파일을 동기화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제공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가상 공간 내 관객 객체, 복수의 카메라 객체, 복수의 스피커 객체 및 스크린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제공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중에서 상기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를 설정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상기 데이터 입력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된 상기 스크린 객체에 대한 크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 영상 레이어와 상기 배경 영상 레이어의 소실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제공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중에서 상기 획득된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대한 상기 깊이 조정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한 상기 스크린 객체의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 이동에 대응하는 깊이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제공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중에서 상기 가상 공간에서의 관객시점 시뮬레이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배치되는 관객 객체의 높이와 상기 스크린 객체로부터의 상기 관객 객체의 거리를 입력받아 관객시점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제공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객 객체의 높이와 상기 관객 객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위치를 셋팅하고, 셋팅된 복수의 카메라 객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뷰(view)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홀로그램 콘텐츠 제공장치.
KR1020170049376A 2017-04-17 2017-04-17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80116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376A KR20180116708A (ko) 2017-04-17 2017-04-17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PCT/KR2018/004426 WO2018194340A1 (ko) 2017-04-17 2018-04-17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376A KR20180116708A (ko) 2017-04-17 2017-04-17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708A true KR20180116708A (ko) 2018-10-25

Family

ID=6385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376A KR20180116708A (ko) 2017-04-17 2017-04-17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16708A (ko)
WO (1) WO20181943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050B1 (ko) 2023-01-27 2023-08-31 주식회사 아테크넷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49193B1 (ko) 2023-04-13 2024-03-20 주식회사 아테크넷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0941B2 (en) * 2004-08-30 2009-02-1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system
KR100947366B1 (ko) * 2007-05-23 2010-04-0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RU2470368C2 (ru) * 2008-07-17 2012-12-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й
KR20130085553A (ko) * 2011-12-20 2013-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로젝션 기반의 디지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4976B1 (ko) * 2015-06-01 2017-07-06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변환방법 및 변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050B1 (ko) 2023-01-27 2023-08-31 주식회사 아테크넷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49193B1 (ko) 2023-04-13 2024-03-20 주식회사 아테크넷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4340A1 (ko)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34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uitive manipulation of the layering order of graphics objects
KR101860313B1 (ko) 3차원 공간에서의 장면 편집 방법 및 시스템
EP3183730B1 (en) Unscripted digital media message generation
JP2008117019A (ja) 会議情報管理装置、会議再生装置、設備管理装置、会議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0100129A (ja) 編集システム及び編集方法
AU2873392A (en) A compositer interface for arranging the components of special effects for a motion picture production
JP2005209196A (ja) メディアプレゼンテーションを制作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統合システム
JP2005209196A5 (ko)
US7596764B2 (en) Multidimensional image data processing
KR20170002831A (ko)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 및 구동방법
KR20180116708A (ko)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US8028232B2 (en) Image processing using a hierarchy of data processing nodes
US20050034076A1 (en) Combining clips of image data
US11003467B2 (en) Visual history for content state changes
WO2013147925A1 (en) Color grading preview method and apparatus
US2012025694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999227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70561B1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11603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276221A1 (en) Geostory method and apparatus
KR101980414B1 (ko)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방법 및 시스템
JP5664731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831948B2 (en) Model based spatial integration (MBSI) for 3D production illustration (PI)
JP6646200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939121A (zh) 多资源编辑系统以及多资源编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