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050B1 -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050B1
KR102573050B1 KR1020230010631A KR20230010631A KR102573050B1 KR 102573050 B1 KR102573050 B1 KR 102573050B1 KR 1020230010631 A KR1020230010631 A KR 1020230010631A KR 20230010631 A KR20230010631 A KR 20230010631A KR 102573050 B1 KR102573050 B1 KR 102573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content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hologram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테크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테크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테크넷
Priority to KR102023001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는, 홀로그램 콘텐츠를 구현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구매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홀로그램 콘텐츠의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이 가능하도록 웹 또는 앱 서비스를 제공하며, 홀로그램 디바이스나 홀로그램 콘텐츠의 활용에 따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근거로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제품이나 콘텐츠의 수요를 예측하여 맞춤 제품이나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Holographix Content Production Apparatus for Hologram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입체영상콘텐츠(예: 홀로그램 콘텐츠 등) 저작, 편집, 렌더링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모바일 이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홀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용자 경험 중심의 콘텐츠-플랫폼-디바이스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 비디오는 표현방식에 따라 양안식, 다안식, IP(Integral Photography), 옴니, 파노라마, 다시점, 홀로그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홀로그램 비디오는 빛의 세기뿐만 아니라 위상정보까지 포함하여 원래의 3차원 입체상을 공간상에 정확히 재현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입체 시각 시스템이다. 따라서 3차원 입체 비디오 처리 기술의 최종목표는 완전한 입체시의 홀로그램 서비스이며, 이 기술은 궁극적인 영상정보통신 서비스 결정체로 인식되어 왔다. 현재 디지털 홀로그래피 방식에 의한 3차원 방송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홀로그래피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빛을 공간에 넣어 정보 신호로 변환하는 공간 광 변조기(SpatialLight Modulator; SLM)가 수천 개 이상 필요하고, 실시간 홀로그램 영상을 만들기 위해 초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공간 광 변조기(SLM)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초고성능 프로세서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대안적인 기술로서, 플로팅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하는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플로팅 홀로그램 기술은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하프미러(half mirror)로 반사시켜, 출력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기존에는 요소별 공급처가 디바이스, 콘텐츠, 솔루션을 제각각으로, 디바이스용으로 콘텐츠를 재편집하고 새로 만들기 위해 전문 의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여 많은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더불어, 현재 플로팅 홀로그램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스크린이나 디스플레이에서의 반사, 투사를 하는 특정한 방법이 있기 때문에 이미 만들어진 디지털 입체 영상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그 실현법에 따라 콘텐츠를 재편집하고 새로 만드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9622호(2018.06.2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6708호(2018.10.2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0207호(2020.05.29)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체영상콘텐츠(예: 홀로그램 콘텐츠 등) 저작, 편집, 렌더링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모바일 이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홀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용자 경험 중심의 콘텐츠-플랫폼-디바이스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는, 홀로그램 콘텐츠를 구현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구매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의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이 가능하도록 웹 또는 앱(application)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나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의 활용에 따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제품이나 콘텐츠의 수요를 예측하여 맞춤 제품이나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제1 유형의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제2 유형의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에 의해 생성한 홀로그램 콘텐츠의 업로드나 다운로드의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하여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로 다이렉트로 제공하는 홀로그램 콘텐츠와 관련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로 수집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하는 홀로그램 콘텐츠를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로 제공할 때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가 전시되는 공간의 위치값 및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가 가진 구현 방식을 근거로 하여 실제감을 살리기 위해 입체영상의 색 및 밝기를 포함하는 화소값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소값을 조정하여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가장자리를 블랙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홀로그램 콘텐츠를 구현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구매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의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이 가능하도록 웹 또는 앱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나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의 활용에 따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제품이나 콘텐츠의 수요를 예측하여 맞춤 제품이나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제1 유형의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제2 유형의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에 의해 생성한 홀로그램 콘텐츠의 업로드나 다운로드의 공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하여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로 다이렉트로 제공하는 홀로그램 콘텐츠와 관련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로 수집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하는 홀로그램 콘텐츠를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로 제공할 때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가 전시되는 공간의 위치값 및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가 가진 구현 방식을 근거로 하여 실제감을 살리기 위해 입체영상의 색 및 밝기를 포함하는 화소값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화소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소값을 조정하여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가장자리를 블랙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홀로그램과 같은 입체영상 콘텐츠의 저작, 편집, 렌더링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모바일 이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홀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용자 경험 중심의 콘텐츠, 플랫폼, 디바이스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서비스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서비스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 시스템(90)은 홀로그램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홀로그램 기술이 적용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하프미러 즉 반투명 미러(210)로 반사시켜, 출력된 영상이 배경 영상과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기술이 적용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반 2D 영상에서 배경으로 모사하는 부분이 제외 즉 없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 홀로그램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홀로그램 영상은 LG 올레드 투명디스플레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LED FAN 홀로그램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투명 매쉬스크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Z' 형상의 본체부(200), 본체부(200)의 상측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인 영상 패널(220), 그리고 영상 패널(220)의 하부에서 대략 45도의 각도로 구성되는 반투명 미러(부)(210)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 다시 말해 본체부(200)의 바닥 프레임을 기준으로 둔각을 갖는 부위가 도 2의 (b)에서 볼 때 정면이 될 수 있다. 가령, 반투명 미러(210)에 의해 예각을 이루는 바닥 프레임의 부위에는 도 2의 (b)에서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실물(230)이 배치될 수 있다. 해당 실물(230)은 광고를 위한 제품 모형이나 감상용 아트 토이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패널(220)을 통해 가령 홀로그램 콘텐츠(240)를 반투명 미러(210)에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들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일측 즉 정면에서 볼 때 반투명 미러(210)를 통해서는 실물(230)과 홀로그램 콘텐츠(240)가 혼합되어 보여질 수 있는 것이다. 홀로그램 콘텐츠(240)는 실물(230)상에 겹쳐서 또는 실물(230)의 앞이나 뒤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패널(220)이 홀로그램 콘텐츠(240)를 출력할 때 일반 2D 영상에서 배경으로 모사하는 부분이 제외 즉 없이 출력할 수 있으며, 더 정확하게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가 전시되는 공간의 위치값, 홀로그램 디바이스(100)가 가진 구현 방식 등을 근거로 하여 실제감을 살리기 위해 입체영상의 세부 최종 화소값(색, 밝기 등)을 조정할 수 있다. 가령 가장자리를 블랙으로 표현하는 등의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즉 해당 홀로그램이 투영되는 공간과 디바이스의 정보를 인식하여, 콘텐츠가 최종 출력되는 화소 값(색, 밝기)을 조정(렌더링)하여 맞춤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2의 (b)에서 볼 때 실물(230)과 홀로그램 콘텐츠(240)의 실물 배경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실물 배경은 홀로그램 디바이스(100)가 전시되는 공간의 배경 즉 내부의 일부 모습이 될 수 있다. 도 2의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45도 각도를 이루어 구성되는 반투명 미러(210)의 본체부 배면 즉 정면에 반대되는 쪽으로 별도의 미러나 유리 등을 구성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실물(230)과 홀로그램 콘텐츠(240)의 실물 배경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영상 패널(220)을 고정한 상태로 구성할 수 있지만, 해당 영상 패널(220)이 탈거 즉 분리되고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홀로그램 영상은 LG 올레드 투명디스플레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LED FAN 홀로그램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투명 매쉬스크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체부(200)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들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본체부(200)의 상측에서 화면부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거나, 태블릿PC 등을 본체부(200)의 상측에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신형 스마트폰을 구매하여 구형 스마트폰이 남아도는 경우 이를 이용함으로써 결혼 사진이나 아이 사진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콘텐츠(240)로 제작하여 반투명 미러(2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해당 홀로그램 콘텐츠(240)는 도 2의 (b)에서 같이 마치 수직한 패널에 영상이 표시되는 것과 같이 수직한 상태로 표시되어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패널(220)과 같은 어느 하나의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이용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되는 홀로그램 콘텐츠를 저작(혹은 제작), 편집, 렌더링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제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더 정확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구매한 구매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 홀로그램 콘텐츠를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이를 위한 앱을 가령 앱스토어나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영상 패널(220)은 내부 메모리에 홀로그램 콘텐츠(240)를 기저장한 상태에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동작시 해당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해당 콘텐츠의 삭제나 변경, 또 편집에 따른 다양한 갱신이 있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홀로그램 콘텐츠(240)가 출력되어 반투명 미러(210)에 구현될 때, 또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가 동작할 때 해당 콘텐츠 구현이나 동작과 관련한 동작 상태 데이터를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활용하는 사용자 경험과 관련한 데이터를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가 접속할 때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앱을 통해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로 제공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후자의 경우라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모듈 등만 구비하면 되므로 제조비용이 상당히 절약될 수도 있을 것이다.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자신이 제공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근거로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솔루션 즉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의 요청에 따라 자신이 제공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근거로 솔루션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 사용자의 경우 B 사용자에 비하여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활용해 액티브한 즉 화면 전환이 많은 콘텐츠를 구현한다고 판단될 때 A 사용자가 소지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해당 액티브한 콘텐츠를 더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영상 패널(220)의 경우 초당 30장의 비디오 프레임을 구현하도록 초기에 설정되었다면, 초당 120장의 비디오 프레임을 구현하는 솔루션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근거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하드웨어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해당 사실을 통지해 줄 수 있다. 단순히 부품 교체가 가능하다면 부품 교체를 제안하지만, 제품 자체를 교환해야 하는 경우에는 제품을 교환하도록 권고 또는 추천하면서 특정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판매 내역을 근거로 제품(혹은 모델)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다양한 유형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웹 서비스를 통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앱 서비스를 통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관리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데스크탑 컴퓨터나 랩탑컴퓨터 등 PC 기반의 단말장치뿐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PC, 사용자들이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 등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컴퓨터를 통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관리하는 경우,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의 웹 서비스에 접속하여 홀로그램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또 홀로그램 콘텐츠를 저작, 편집, 렌더링하는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 구현되는 홀로그램 콘텐츠를 저작, 편집, 그리고 렌더링할 수 있는 앱을 탑재하는 경우 이를 통해서도 얼마든지 자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다양하게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 홀로그램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b)에서 볼 때, 홀로그램 콘텐츠(240)를 사용자가 다른 홀로그램 콘텐츠(240)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앱(또는 저작 툴)을 실행해 화면상에서 해당 홀로그램 콘텐츠(240)의 교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로 전송하여 전송 및 저장하기를 통해 향후에 해당 콘텐츠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앱 화면상에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때 변경되는 콘텐츠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10)에 전송되어 '미리보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a 콘텐츠를 미리보기해 보고, 또 b 콘텐츠를 미리보기해 보며, 나아가 다양한 형태로 편집되는 정보를 반영하여 미리보기를 해 봄으로써 최종적으로 확정되는 홀로그램 콘텐츠가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홀로그램 콘텐츠를 저작, 편집, 렌더링하지만, 일종의 리모컨과 같은 컨트롤러의 동작도 동시에 수행한다고도 볼 수 있다. 렌더링은 다양하게 이해될 수 있지만, 간단하게는 3차원 컴퓨터그래픽에서 화면에 그려지는 물체의 각 면에 색깔이나 효과를 넣어 입체감과 사실감을 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렌더링은 컴퓨터 그래픽에서는 컴퓨터가 주어진 입력값(데이터)를 디바이스에서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시각화(이미지, 영상)하여 결과물을 출력하는 '이미지 합성 기술'을 의미한다. 때문에 디바이스가 특화되어 있는 경우라면 렌더링의 과정을 콘텐츠 저작, 편집과 따로 두고 디바이스 연계로 붙일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홀로그램 콘텐츠(240)를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하는 동작을 위한 앱(혹은 제1 유형의 앱)과 별도로 다른 앱(혹은 제2 유형의 앱)을 통해서는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제1 유형의 앱을 통해 생성된 홀로그램 콘텐츠 또는 해당 콘텐츠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 시현할 때 촬영되는 동영상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 전자는 저작 앱이라면 후자는 공유 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통신망(120)의 부하 등을 고려하여 홀로그램 콘텐츠의 제작 등을 위한 앱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통해 구현되는 기제작된 홀로그램 콘텐츠의 촬영 영상을 일반 사용자들과 공유하기 위하여 자신이 개설한 채널에 해당 영상을 공유하고, 또 일반 사용자들이 구독하는 등의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통합된 앱을 통해 2개의 서비스가 서로 일원화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홀로그램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홀로그램을 위한 통합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홀로그램과 같은 입체 콘텐츠를 홀로그램 방식으로 바로 볼 수 있도록 공급(예: 콘텐츠 공급자)과 수요(예: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구매자)를 한번에 모아 총체적 경험화에 따른 서비스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경험화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활용하는 구매자 즉 사용자들의 사용자 경험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입체 영상 콘텐츠의 저작, 편집, 렌더링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모바일 이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홀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용자 경험 중심의 콘텐츠, 플랫폼, 디바이스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 또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모듈(혹은 기능 블록) 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모듈의 목적에 따라 종류별 DB(130a)를 선택 활용하되, 전체정보는 통합 관리하여 수요에 맞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들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구매할 때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시리얼 코드를 사용자 단말장치(11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거나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떠한 사용자가 어떠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진정한) 소유자인지 확인이 가능하므로 이를 근거로 어떠한 기능이나 동작이 사용되었는지 모니터링 또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최적화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모듈(혹은 기능 블록)은 다양한 유형이 가능할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저작(혹은 제작)을 위한 저작부, 이용/관리를 위한 이용관리부, 콘트롤을 위한 콘트롤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 모듈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4에서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주변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플레이하고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클라우드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시리얼코드(회원)로 접속하고, 이용 권한을 부여하여 디바이스 맞춤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4는 이용자의 수요에 맞춰 DB 센터의 요소들을 복수 개의 기능, 서비스 소프트웨어 모듈과 매칭하는 방식으로 하여 하나의 아웃풋(예: 홀로그램 입체 투영)이 가능하도록 이용자가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콘텐츠는 홀로그램 디바이스 소형화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에게 제공되는 시리얼코드가 있어야 가입과 사용이 가능하다.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시리얼코드로 플랫폼 가입시 기본 포인트를 제공하고 추가 포인트는 다양한 활동 또는 구매가 가능하다. 홀로그램 콘텐츠는 일반 2D 영상이 아닌 차별화된 실감형 3D 입체영상만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자체 심사를 통해 엄선된 콘텐츠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듈의 목적에 따라 종류별 DB를 선택 활용하되 전체 정보는 통합 관리하여 수요에 맞춘 콘텐츠 기획으로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최종 홀로그램 투영을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기능 지원이 가능하여 효율성과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을 대상으로 하여 최근의 ICT 환경에 부합하는 홀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접근성, 편의성 증대), 통합 플랫폼 서비스 이용 자격을 부여하는 '시리얼코드'의 존재로, 멤버십 생태계를 형성하여 콘텐츠-플랫폼-디바이스를 연결해 CRM 효과를 향상시키고 계열간 크로스 마케팅이 가능할 수 있다(기존 개별 견적 방식에 비해 BM 수익성의 개선). 나아가 홀로그램용 입체 영상 콘텐츠의 제작에 있어서 일반인이 자신이 원하는 대로 제공하는 기능(모듈)을 취사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입체 영상 콘텐츠의 저작/편집/렌더링 기술 기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로 바로 플레이가 가능한 원활한 통합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 입체영상 콘텐츠의 저작/편집/렌더링 기술이 기반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출력에 특화된 소프트웨어 기술이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렌더링 기술을 의미하며, 이때 렌더링 기술은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출력에 특화된 것을 포함한다.
서드파티장치(140)는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로 솔루션 즉 프로그램을 공급하거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홀로그램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공급사 등이 운영하는 서버,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요자는 홀로그램 홍보, 광고, 전시자 등이 될 수 있고, 공급자는 입체영상 제작자 등이 될 수 있다.즉 서드파티장치(140)는 B2C 기반으로 콘텐츠를 공급할 수 있으며, B2B 기반으로 콘텐츠를 공급할 수 있다. 콘텐츠라 함은 지식, 정보, 오락, 광고 등 그 공급자(제작자)의 의도와 성격에 따라 만들어진 입체 영상물을 대상으로 한다. 그 예로 버츄얼 휴먼, 캐릭터영상, 애니메이션, 광고영상, 미디어아트, 교육자료 등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110, 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 및 저장부(5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5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도 5의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110, 130)가 구성되거나,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5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110, 130)는 플랫폼 서버와 같은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홀로그램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및 서드파티장치(140)와 각각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서비스 요청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홀로그램 콘텐츠를 제작 또는 저작하고, 편집하고 렌더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툴(tool) 또는 앱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가 모바일의 기반의 단말장치인 경우에는 앱을 통해 통신할 수 있지만, PC 기반의 단말장치인 경우에는 웹 서비스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통신하여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별 경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51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별 경험 데이터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서 어떠한 홀로그램 콘텐츠가 구현되는지, 또 사용자가 홀로그램 콘텐츠를 어떠한 방식으로 제작, 편집하고 렌더링하는지, 또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어떠한 방식으로 플레이하고 제어하는지 등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업데이트하거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위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사용자가 구매한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가령 소프트웨어의 경우 자동 업데이트를 수행하지만, 하드웨어의 경우에는 특정 부품을 교체하거나 제품 자체를 교체하도록 관련 내용을 통지해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경우에는 앱이나 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도 5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 및 저장부(5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5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별 경험 데이터가 제공되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저장부(5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데이터 분석을 위해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에 제공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제어부(510)는 사용자별 경험 데이터를 도 1의 DB(130a)에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누적하여 저장시킨 후 또는 빅데이터를 생성한 후 가져와 데이터 분석을 위해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콘텐츠의 수요를 맞추기 위하여 도 1의 서드파티장치(140)로 특정 형태의 홀로그램 콘텐츠의 제작을 요청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구매자들이 게임 캐릭터를 활용한 영상 콘텐츠, 가령 특정 캐릭터 콘텐츠의 구현이 증가한다고 판단될 때 해당 게임의 콘텐츠를 보강하도록 도 1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를 제어하여 서드파티장치(140)와 통신 혹은 API 연동에 의해 콘텐츠를 조달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10)는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에서 활동하는 1인 크리에이터들의 콘텐츠를 구독 채널의 형태로 서비스할 수도 있다. 물론 기업의 경우에도 홀로그램 콘텐츠가 시현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이용해 해당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서비스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크리에이터나 기업은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구매자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구매자들에게 서비스 채널을 개선해 주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홍보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서비스 요청시 홀로그램 콘텐츠의 저작, 편집, 렌더링이 가능한 앱을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편집 등의 요청에 따라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 구현하기 위한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저작이나 편집, 렌더링은 템플릿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고, 편집 도구를 통해 편집하고, 사람이 조정한 저작, 편집의 데이터 값을 컴퓨터가 최종 영상물로 변환, 저장하는 렌더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홀로그램 콘텐츠는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 제공되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서 생성하는 사용자별 경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한다.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콘텐츠의 수요를 분석하거나 예측할 수 있으며, 또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홀로그램 콘텐츠를 공급할 수 있으며, 또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맞춤'이라는 것은 홀로그램이 투영되는 공간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정보를 인식하여 콘텐츠가 최종 출력되는 화소값(예: 색, 밝기)를 조정(렌더링)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나아가,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하는 앱이나 툴의 프로그램 즉 솔루션의 성능을 개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통해 게임 캐릭터를 활용한 영상 콘텐츠를 즐겨 이용하는 경우, 해당 캐릭터 콘텐츠를 지원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업데이트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서비스 동작에 비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 하드웨어의 교체를 요청하거나, 제품 교체 등의 통지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부(510)에 요청할 수도 있다.
나아가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는 사용자들이 홀로그램 콘텐츠를 편집하거나 할 때 기본적으로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 제공되는 모든 홀로그램 콘텐츠는 배경을 블랙 상태로 처리한다. 물론 이는 배경을 블랙 상태로 처리한 상태에서 편집 등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지만, 최종 편집된 홀로그램 콘텐츠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때, 블록 상태의 배경 영상을 삽입해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 실물 오브젝트와, 해당 실물 오브젝트나 주변에 홀로그램 콘텐츠를 구현할 때 뒤쪽으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전시 공간의 일부인 실물 배경이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반투명 미러를 사용하므로, 블랙 영상에 의해 실물 배경이 보여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실물 배경의 자연스러운 구현을 위하여 블랙 상태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물 배경을 어둡게 함으로써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실물과 홀로그램 콘텐츠가 부각되도록 하려는 것이지만, 예를 들어 실내 분위기 가령 조명(예: 조도 등) 등에 따라 블랙의 정도는 조절될 수도 있을 것이다. 블랙 화소의 화소값을 변경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통상 모든 컬러의 화소값은 256 계조(gray)를 가지므로, 블랙 컬러의 경우에도 적당한 계조의 화소값이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도 센서를 통해 자동 조정이 가능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홀로그램 콘텐츠를 편집할 때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하여 이를 근거로 해당 블랙 영상의 블랙 정도를 조절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가령,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전시 공간이 어두운 경우에는 블랙 농도가 흐릴 수 있지만, 전시 공간이 밝은 경우에는 블랙 농도가 진해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홀로그램 콘텐츠의 유형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해당 콘텐츠를 부각시키기 위해 블랙 상태가 조절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콘텐츠가 전반적으로 밝은 이미지의 콘텐츠인 경우에는 블랙 영상의 농도를 진하게 하는 것이 홀로그램 콘텐츠를 부각시키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 홀로그램 콘텐츠가 어두운 이미지의 콘텐츠인 경우에는 블랙 농도를 흐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물 배경의 실물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정도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가 블랙 상태의 배경 영상을 삽입해 주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는 홀로그램 다바이스(100)에 적용 가능한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블랙 상태의 배경 이미지를 합성하는 형태로 홀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 이외에도 이미 배경을 포함하여 생성된 콘텐츠 가령 홀로그램 콘텐츠의 배경을 제거하거나 또는 배경에 해당하는 화소값들을 동일 색과 동일 밝기 즉 계조로 조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기기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의 경우 배경 이미지를 별도로 생성해 합성하지 않고, 단순히 오브젝트를 인식하여 오브젝트 이외의 배경 부분의 화소값 상태를 변경해 주되, 일치시킴으로써 데이터 처리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배경은 단일색이 될 수 있으며, 화소값의 계조값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의 단일색을 생성하였다면 화소값은 256 계조 중 255 값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단일색은 블랙 이외에도 다양한 색으로 통일시킬 수 있으며, 계조값의 경우에도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유형이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로그램 콘텐츠에서 배경 부분은 동일색과 동일 계조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저장부(530)는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530)는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으며, 또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홀로그램 콘텐츠의 편집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편집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5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 및 저장부(5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 및 저장부(5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5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5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의 동작 초기에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딥러닝 모델 같은 경우 램(RAM)이 아닌 GPU 메모리에 올라가 GPU를 이용하여 수행 속도를 가속화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요소 사업자나 3D 크리에이터 등의 공급자, 가령 도 1의 서드파티장치(140)는 콘텐츠, 디바이스, 서비스 등 수익 창출 활동에 따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구매하는 수요자, 가령 전시, 홍보, 광고 시장 수요자와 크리에이터, 제휴 계약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600, S601).
또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구매하는 수요자의 경우 홀로그램 활용 방안을 탐색하여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구매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리얼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S602 ~ S604).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구매하는 수요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홀로그램콘텐츠 공유플랫폼인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에 회원 가입을 통해 개인 모바일 접속이나 사용할 웹, 앱을 선택할 수 있다(S605, S606). 가령 PC 기반의 단말장치의 경우 웹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의 경우 앱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구매자가 소지하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경우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3D 콘텐츠 게시, 구매(예: 업로드, 다운로드), 3D 콘텐츠 저작, 3D 콘텐츠 이용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607 ~ S609).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는 3D 콘텐츠를 저작하기 위한 앱을 실행하여 3D 콘텐츠를 저작, 편집 또 렌더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 저작된 3D 콘텐츠를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에 공유하기 위한 앱을 실행하여 저작된 3D 콘텐츠를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에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는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에 자신의 서비스 공간인 채널을 생성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사용(예: 크리에이터 콘텐츠, 기업 홍보 등)과 관련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해당 콘텐츠(홀로그램이 포함된 동영상 등)를 일반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의 요청에 따라 홀로그램 콘텐츠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 제공하여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플레이 상태를 컨트롤하고, 이에 따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홀로그램을 활용하여 시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610, S611).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수요자 즉 사용자들마다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활용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해당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사용례를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S612).
이어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제품이나 서비스(예: 홀로그램 콘텐츠 서비스 등)의 UX/UI 개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613). 가령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분석 결과를 근거로 홀로그램 콘텐츠의 공급을 늘리거나 개인이 선호하는 맞춤화된 홀로그램 콘텐츠(예: 유명 캐릭터 콘텐츠 등)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수요자들이 어떠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구매하여 소유하고 있는지에 따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공급을 늘리거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자원의 성능을 개선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의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110, 130), 가령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홀로그램 콘텐츠를 구현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구매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통신한다(S700). 물론,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웹 서비스에 의해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되는 홀로그램 콘텐츠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기 위해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홀로그램 콘텐츠의 저작, 편집 또는 렌더링이 가능하도록 웹 또는 앱 서비스를 제공하며,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나 홀로그램 콘텐츠의 활용에 따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근거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제품이나 콘텐츠의 수요를 예측하여 맞춤 제품이나 맞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710).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홀로그램 콘텐츠가 구현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활용에 따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서 사용하는 홀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편집, 저작 및 렌더링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구매 내용(예: 제품명, 모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수집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근거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성능 또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성능(예: 앱 등)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홀로그램 콘텐츠의 저작, 편집, 렌더링을 수행한 후 사용자 즉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구매한 크리에이터나 기업 등 자신이 개설한 채널에 해당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콘텐츠를 게시하는 경우, 일반 사용자와 같은 채널 구독자 등에게 해당 게시한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다.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130)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서 홀로그램 콘텐츠가 시현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일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110, 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단면형 홀로그램 외에도 3면형, 4면형 홀로그램 기기에도 적용가능하며, 기타 타사의 홀로그램기기 또는 투명올레드 TV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110, 130)는 맞춤형 콘텐츠 제작 서비스(제작자 매칭, 경매, 구독 등의 방식), 제품구매시 제공되는 시리얼 코드의 별도 구매 후 동일한 서비스 이용, NFT형 콘텐츠 거래 및 입체형 콘텐츠 템플릿 제공, QR코드 생성 및 촬영 후 자동 재생방식, NFC 카드인식(모바일용) 자동 재생방식, 음성인식 컨트롤 기능, 실시간 생활정보(시간, 날씨, 알림) 등의 서비스 제공, 엔터테인먼트 기능(게임, 캐릭터, IP 연동형) 등의 추가 서비스가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홀로그램 디바이스 110: 사용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입체영상콘텐츠 서비스장치
140: 서드파티장치 500: 통신 인터페이스부
510: 제어부 520: 입체영상콘텐츠 생성부
530: 저장부

Claims (10)

  1. 홀로그램 콘텐츠를 구현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구매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에 구현되는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를 다른 홀로그램 콘텐츠로 변경하고자 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앱(application )이나 저작 툴(tool)을 실행해 화면상에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의 저작, 편집, 렌더링을 포함하는 교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나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의 사용례에 관련되는 사용자 경험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수집 및 사용자별로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지정 제품명 또는 모델정보의 제품이나 콘텐츠의 수요를 예측하여 맞춤 제품이나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교체 기능을 갖는 제1 유형의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서 사용자와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의 교체 동작을 수행하고, 공유 기능을 갖는 제2 유형의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교체 동작에 의해 생성한 홀로그램 콘텐츠의 업로드나 다운로드의 공유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교체하여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로 다이렉트로 제공하는 홀로그램 콘텐츠와 관련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로 수집하여 이용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교체하는 홀로그램 콘텐츠를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로 제공할 때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가 전시되는 공간의 위치값 및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영상 패널에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를 표현하는 구현 방식을 근거로 하여 입체영상의 색 및 밝기를 포함하는 화소값을 조정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소값을 조정하여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상기 영상 패널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블랙으로 표현하는, 홀로그램장치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6.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홀로그램 콘텐츠를 구현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구매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에 구현되는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를 다른 홀로그램 콘텐츠로 변경하고자 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앱이나 저작 툴을 실행해 화면상에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의 저작, 편집, 렌더링을 포함하는 교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나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의 사용례에 관련되는 사용자 경험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수집 및 사용자별로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지정 제품명 또는 모델정보의 제품이나 콘텐츠의 수요를 예측하여 맞춤 제품이나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교체 기능을 갖는 제1 유형의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서 사용자와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의 교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공유 기능을 갖는 제2 유형의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교체 동작에 의해 생성한 홀로그램 콘텐츠의 업로드나 다운로드의 공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교체하여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로 다이렉트로 제공하는 홀로그램 콘텐츠와 관련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로 수집하여 이용하고,
    상기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교체하는 홀로그램 콘텐츠를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로 제공할 때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가 전시되는 공간의 위치값 및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영상 패널에 상기 홀로그램 콘텐츠를 표현하는 구현 방식을 근거로 하여 입체영상의 색 및 밝기를 포함하는 화소값을 조정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의 구동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소값을 조정하여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상기 영상 패널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블랙으로 표현하는, 홀로그램장치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30010631A 2023-01-27 2023-01-27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73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631A KR102573050B1 (ko) 2023-01-27 2023-01-27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631A KR102573050B1 (ko) 2023-01-27 2023-01-27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050B1 true KR102573050B1 (ko) 2023-08-31

Family

ID=8784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631A KR102573050B1 (ko) 2023-01-27 2023-01-27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0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622A (ko) 2016-12-15 2018-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램 실감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180116708A (ko) 2017-04-17 2018-10-25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200060207A (ko) 2018-11-22 2020-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콘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00080737A (ko) * 2018-12-27 2020-07-07 (주)다크호스게임즈 다중 접속 통합 콘텐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622A (ko) 2016-12-15 2018-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램 실감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180116708A (ko) 2017-04-17 2018-10-25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200060207A (ko) 2018-11-22 2020-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콘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00080737A (ko) * 2018-12-27 2020-07-07 (주)다크호스게임즈 다중 접속 통합 콘텐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오승환, "플로팅 홀로그램을 통한 융복합 영상시스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10호, p. 397, (2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46500B (zh) 实时视频包含系统
KR102388442B1 (ko)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19036980A (ja) 共有アセット及び個別化アセットからのストーリーボード指示ビデオ制作
CN104769538B (zh) 在移动装置上显示模拟媒体内容项增强
KR102616013B1 (ko) 맞춤형 텍스트 메시지를 갖는 개인화 비디오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N113012280B (zh) 一种vr虚拟展厅构建方法和装置
Rich Ultimate Guide to YouTube for Business
CN114997105A (zh) 设计模板以及素材的生成方法、计算设备及存储介质
US11928319B1 (en) Interactive canvas tool for multimodal personalized content generation
KR102573050B1 (ko)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603247B1 (ko) 블라인드 제품의 저작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vr 블라인드 카타로그 시스템 및 vr 블라인드 카타로그 제공방법
US20230351711A1 (en) Augmented Reality Platform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KR102192851B1 (ko)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Bluff et al. Devising interactive Theatre: Trajectories of production with complex bespoke technologies
US201602028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imating digital pictures
Walczak et al.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for configuring, promoting and servicing household appliances
Powell Introduction: Promotion in an era of convergence
KR102649193B1 (ko)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170061836A (ko) 인터넷상에서의 사용자 맞춤형 동영상 제작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4816B1 (ko) 인공지능과 디지털 휴먼을 적용한 무인 카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80012034A (ko) 이미지프레임의 제작 방법 및 이미지프레임이 적용된이미지를 구매하는 방법
KR102443515B1 (ko)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Liu Vū: Integrating AR Technology and Interaction into an Event Planning App
US2023038614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 virtual environment reality mapper
Ronchi Reversing Cyber Loneli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