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193B1 -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193B1
KR102649193B1 KR1020230048864A KR20230048864A KR102649193B1 KR 102649193 B1 KR102649193 B1 KR 102649193B1 KR 1020230048864 A KR1020230048864 A KR 1020230048864A KR 20230048864 A KR20230048864 A KR 20230048864A KR 102649193 B1 KR102649193 B1 KR 102649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smart
content
display devic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테크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테크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테크넷
Priority to KR102023004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10/00Object characteristics
    • G03H2210/303D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은, 홀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위한 입체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스마트기기, 및 사용자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스마트기기에서 출력하는 입체영상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하여 하프미러의 스크린상에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Stereoscopic Content Media System by Using Hologram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디스플레이는 물론 통신 제어기로 활용하여 사물인터넷(IoT) 액세서리부 즉 스마트 거치부와 결합시켜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인터랙션과 콘텐츠 솔루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시연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콘텐츠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고 실감 미디어 경험의 폭을 넓히려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 비디오는 표현방식에 따라 양안식, 다안식, IP(Integral Photography), 옴니, 파노라마, 다시점, 홀로그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홀로그램 비디오는 빛의 세기뿐만 아니라 위상정보까지 포함하여 원래의 3차원 입체상을 공간상에 정확히 재현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입체 시각 시스템이다. 따라서 3차원 입체 비디오 처리 기술의 최종목표는 완전한 입체시의 홀로그램 서비스이며, 이 기술은 궁극적인 영상정보통신 서비스 결정체로 인식되어 왔다. 현재 디지털 홀로그래피 방식에 의한 3차원 방송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홀로그래피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빛을 공간에 넣어 정보 신호로 변환하는 공간 광 변조기(SpatialLight Modulator; SLM)가 수천 개 이상 필요하고, 실시간 홀로그램 영상을 만들기 위해 초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공간 광 변조기(SLM)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초고성능 프로세서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대안적인 기술로서, 플로팅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하는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플로팅 홀로그램 기술은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하프미러(half mirror)로 반사시켜, 출력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하프미러 방식의 디바이스의 경우 본체 내부에 전자 기능을 포함한 키트 제품은 제조원가 및 공정이 까다로워 즉시 사업화하기 어렵다. 또한 현재의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활용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특별한 이벤트나 체험뿐 아니라 일상 속에서 실감 미디어를 가깝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험의 폭을 넓히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9622호(2018.06.2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6708호(2018.10.2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0207호(2020.05.29)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디스플레이는 물론 통신 제어기로 활용하여 사물인터넷(IoT) 액세서리부 즉 스마트 거치부와 결합시켜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인터랙션과 콘텐츠 솔루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시연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콘텐츠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고 실감 미디어 경험의 폭을 넓히려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은, 홀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위한 입체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사용자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하는 상기 입체영상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하여 하프미러의 스크린상에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되는 스마트기기를 상기 스크린의 상측에 거치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부, 및 상기 스크린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와 사물 인터넷(IoT)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거치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서 사용자의 음성, 모션, 안면, 텍스트 및 자연어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입체영상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스크린에 홀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거치부는, 상기 입체영상콘텐츠를 홀로그램으로 구현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하는 메타 데이터를 근거로 스피커, 조명 및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가 홀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위한 입체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홀로그램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하는 상기 입체영상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하여 하프미러의 스크린상에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영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되는 스마트기기를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거치부에 거치하여 상기 스크린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의 하측에 구비되는 스마트 거치부가, 상기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와 사물 인터넷(IoT)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거치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서 사용자의 음성, 모션, 안면, 텍스트 및 자연어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운영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입체영상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스크린에 홀로그램으로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방법은, 상기 스마트 거치부가 상기 입체영상콘텐츠를 홀로그램으로 구현시 상기 영상출력장치에서 제공하는 메타 데이터를 근거로 스피커, 조명 및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고성능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을 가지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만을 저비용으로 홀로그램 디바이스에 구성함으로써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활용을 다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통해 특별한 이벤트나 체험뿐 아니라 일상 속에서 가령 메타버스와 같은 실감 미디어를 보다 가깝게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예시도,
도 3은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의 MIoT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 또는 도 2의 스마트 거치부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예시도, 도 3은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의 MIoT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90)은 홀로그램 디바이스(혹은 홀로그램 포터블 장치)(100), 디스플레이장치(105), 통신망(110) 및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장치(105)나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가령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스마트기기의 주변기기로 사용자들이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특별한 이벤트나 체험뿐 아니라 사용자들이 일상 속에서 실감 미디어를 보다 가깝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하여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가령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를 디스플레이로 활용함으로써 실감형 콘텐츠, 6G 등 빠른 ICT 신기술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반복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수요에 맞춰 가치사슬별 기술을 하나의 솔루션으로 통합하여 일반인의 접근성을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외형적(혹은 기구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 입체영상출력부(210) 및 스마트 거치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Z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200)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거치부(300), 스크린부(310) 및 하단 플레이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거치부(300)는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영상이 구현되는 화면을 아래쪽으로 하여 거치하기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5)로 사용하는 것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5)를 도 3의 디스플레이 거치부(300)에 일체화화여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크린부(310)는 바닥면에 대하여 또는 하단 플레이트(320)에 대하여 대략 45도 각도를 이루어 구성되는 반투명 즉 하프(half) 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바닥 프레임 즉 스마트 거치부(220)를 기준으로 둔각을 갖는 부위가 정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반투명 미러에 의해 예각을 이루는 정면의 반대측 즉 후면측에는 다양한 유형의 실물이 배치될 수 있다. 실물은 광고를 위한 제품 모형이나 감상용 아트 토이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200)의 상측에 구성되는 입체영상출력부(210)를 통해 가령 홀로그램 콘텐츠를 하프 미러에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들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일측 즉 정면에서 볼 때 하프 미러를 통해서는 실물과 홀로그램 콘텐츠가 혼합되어 보여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홀로그램 콘텐츠는 실물상에 겹쳐서 또는 실물의 앞이나 뒤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하단 플레이트(320)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가 도 2의 스마트 거치부(220)와 독립된 장치로 제조될 때 또는 해당 스마트 거치부(220)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 바닥면에 대하여 거치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때 하단 플레이트(320)는 스크린부(310)의 상측에 구성되는 입체영상출력부(210)의 무게가 더 무거울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거치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단 플레이트(320)는 스마트 거치부(220)와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스마트 거치부(220)는 가령 셋톱박스와 같은 형태로 별도의 장치로 제조되어 하단 플레이트(320)에 결합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의 입체영상출력부(210)는 하측의 스크린부(310)로 홀로그램 구현을 위한 입체영상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입체영상출력부(210)는 입체영상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영상출력부(210)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5)를 디스플레이 거치부(300)에 통합하여 구성하는 경우, USB 등의 저장매체를 삽입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저장매체에는 입체영상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랩탑컴퓨터 등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즉 커넥터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입체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하측의 스크린부(310)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입체영상출력부(210)는 하부의 스마트 거치부(220)와 통신을 통해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로부터 입체영상콘텐츠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체영상출력부(210)는 하부의 스마트 거치부(220)와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무선 통신이나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엇보다 입체영상출력부(210)는 입체영상을 출력할 때 스마트 거치부(220)에서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콘텐츠의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에 좀더 다루겠지만, 입체영상출력부(210)는 내부적으로 영상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CPU 등의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명령을 통해 스마트 거치부(220)와 인터랙션 동작을 수행하면 그에 따라 콘텐츠의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홀로그램 콘텐츠를 2배속으로 빠르게 재생하도록 요청한 경우 CPU는 해당 명령에 따라 콘텐츠를 2배속 빠르게 재생시키는 것이다.
물론 입체영상출력부(210)는 도 3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거치부(300)를 구성하고 해당 거치부(300)에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거치 또는 삽입하도록 하여 위에서와 같은 동작을 구현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스마트폰상에서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앱은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에 접속하여 입체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의 앱이 될 수 있다.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앱을 실행한 후 특정 입체영상콘텐츠를 재생시킨 후 물론 그 전에도 도 3의 디스플레이 거치부(300)에 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거치부(220)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해당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콘텐츠 플레이"와 같은 명령어를 발화하는 경우, 해당 명령어의 음성 신호를 분석해 현재의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체영상출력부(210)에서 출력되는 입체영상 콘텐츠는 하측의 스크린부(310)를 통해 홀로그램 투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출력부(210)는 가령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적용하는 경우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바일 앱의 솔루션(혹은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해당 기능에는 콘텐츠, 인터랙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위한 동작, 콘텐츠 재생, 제어, 또 통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입체영상출력부(210)는 하측의 스마트 거치부(22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인터페이스 동작, 콘텐츠 재생 동작, 제어 동작, 통신 동작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해당 모바일 앱에는 스마트 거치부(220)에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분석 및 인식하기 위한 솔루션이 탑재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음성 신호의 분석 등을 위하여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를 활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입체영상의 출력을 제어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스마트 거치부(220)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PCB부(혹은 제어장치)(330), 입력장치(340), 스피커(350) 및 통신부(36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스마트 거치부(220)의 내부에 구성되는 하드웨어 자원이나 소프트웨어 자원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상측에 거치되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는 고가의 장치이므로 하드웨어 자원이나 소프트웨어 자원이 고성능이고 따라서 해당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거치부(220)에 구성되는 하드웨어 자원이나 소프트웨어 자원은 상측에 구비되는 스마트기기와 최소한 호환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B부(330)는 CPU나 MPU 등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주변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CB상에 이러한 회로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PCB부(330)의 구성은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전원공급이나 차단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입력장치(340), 스피커(350) 및 통신부(360)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장치(340)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장치(340)는 마이크로폰 등을 통해 사용자 명령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 모션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장치(340)는 이외에도 사용자 명령어를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가 대표적이다. 카메라를 모션 센서 대신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스피커(350)는 입체영상 콘텐츠가 하프 미러에 홀로그램으로 구현될 때 음성을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PCB부(330), 더 정확하게는 스마트 거치부(220)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해당 음성의 출력시 조명장치가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조명을 출력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통신부(360)는 입력장치(34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상측에 구성되는 도 2의 입체영상출력부(210), 가령 디스플레이 거치부(300)에 거치되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통신부(360)는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무선 통신이나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안정적인 통신을 위하여 도 2에서 볼 때 스크린부(310)의 가장자리 프레임(frame)을 따라 케이블을 연결하여 유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스마트 거치부(220)의 통신 동작과 관련해서는 도 4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스마트 거치부(220)는 통신을 위한 인터랙션 및 콘텐츠 API 연동을 가능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상측의 입체영상출력부(210)는 영상 송출용 내부 디스플레이(예: 개인 스마트기기)에서 사용하는 모바일 앱으로 콘텐츠 재생, 스피커, 마이크, 조명 등의 기능을 제어하고 3D 콘텐츠 이용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실행한다고 볼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스피커, 조명, 기타 모니터 등 다양한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며, 더 나아가 미디어 사물 인터넷(MIoT) 기반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도 4는 미디어 중심 사물 인터넷 표준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좀더 첨언하면, M-IoT(Media IoT)는 다양한 미디어 기술과 IoT 기술을 결합한 개념으로, 사물 인터넷과 미디어 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분야이다. 미디어 IoT는 다양한 기술과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는 스마트 스피커나 스마트 TV를 이용한 음성 인식 기술,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미디어 콘텐츠 제공,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라이브 방송 등이 있다. 또한, 미디어 IoT는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헬스케어 등에서 다양한 미디어 기술과 IoT 기술이 융합되어 새로운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미디어 중심 IoT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와 사물과의 인터페이스(혹은 인터페이스 1)를 정의(예: Entity와 MIoT Thing 1)하고, 사물 내 센서 제어기와 프로세서 간의 인터페이스(혹은 인터페이스 2)를 정의(예: MIoT Thing 1, MIoT Thing 2)하며, 마지막으로 사물 간 인터페이스(혹은 인터페이스 3)(예: MIoT Thing 1과 MIoT Thing 2)를 정의한다.
인터페이스 1은 사용자와 사물 사이의 인터페이스로 사물을 제어하는 셋업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일반 사용자가 아닌 주로 사물인터넷 서비스나 제품의 콘텐츠 디자이너를 의미하며, 셋업 정보는 사물의 특성 파라미터 셋업이나, 사물이 일정한 조건을 만났을 때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2는 인터페이스 1에서 정해진 사용자 셋업 정보를 사물 MThing 사이에 전송하여 주고받을 때 이를 '인터페이스 1'이라 정의하며 이는 실제 도 4의 인터페이스 즉 통신에 속한다. 인터페이스 2는 사물 MThing 내 센서나 액추에이터로부터 생성되는 센서 데이터나 액추에이션 데이터를 처리하며, 센서 데이터는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예: 비디오를 처리하여 얻는 고수준의 센서데이터, 얼굴 서술자, 지문 서술자, 의료진단명 등)를 포함한다. 액추에이션 데이터는 하나의 사물에서 감지된 대상개체를 다른 사물(예: 디스플레이 모니터)에서 콘텐츠로 활용할 때 쓰는 대상개체 정보(예: BIFS)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2는 인터페이스 2의 데이터가 사물 MThing 사이의 전송을 위한 포맷으로 변환된 경우 Interface 2로 표현되며, 이는 실제 도 4의 인터페이스 3 즉 통신에 속한다. 인터페이스 3은 MThing 의 검색과 성능, 특성 등을 정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더불어 인터페이스 1과 2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자신이 제공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근거로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솔루션 즉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의 요청에 따라 자신이 제공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근거로 솔루션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 사용자의 경우 B 사용자에 비하여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활용해 액티브한 즉 화면 전환이 많은 콘텐츠를 구현한다고 판단될 때 A 사용자가 소지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해당 액티브한 콘텐츠를 더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5)의 경우 초당 30장의 비디오 프레임을 구현하도록 초기에 설정되었다면, 초당 120장의 비디오 프레임을 구현하는 솔루션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근거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하드웨어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5)로 해당 사실을 통지해 줄 수 있다. 단순히 부품 교체가 가능하다면 부품 교체를 제안하지만, 제품 자체를 교환해야 하는 경우에는 제품을 교환하도록 권고 또는 추천하면서 특정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판매 내역을 근거로 제품(혹은 모델)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5)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상측에 도 3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거치부(300)를 구성하고 해당 디스플레이 거치부(300)에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을 거치 또는 삽입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5)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 일체화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은 해당 디스플레이장치(10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로 활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경우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별도의 도 2에서와 같은 스마트 거치부(220)를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의 경우에는 제어장치로서 동작하는 스마트폰이 스마트폰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 명령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와 통신하여 입체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상측의 디스플레이장치(105)와 통신하여 전송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5)가 스마트폰 등의 제어에 의해 단순히 입체영상을 출력하는 동작만 수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장치(105)는 스마트폰을 통해 제어하지 않고, 앞서와 같이 스마트 거치부(220)를 통해 제어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5)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다양한 유형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5)는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에 접속하여 웹 서비스를 통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앱 서비스를 통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관리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5)는 데스크탑 컴퓨터나 랩탑컴퓨터 등 PC 기반의 단말장치뿐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PC, 사용자들이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 등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5)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며, 특히 출력되는 입체영상 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5)는 양면 패널이 사용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일면에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일면 패널의 경우 해당 일면에서 출력되는 입체 영상을 제어하기 위하여 하측에 스마트 거치부(220)를 구성하거나, 자신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을 리모트 컨트롤러로 사용하는 것이지만, 양면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제1 패널은 입체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하고, 또 제2 패널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하여 제1 패널에서 출력되는 입체 영상 콘텐츠의 출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제2 패널은 제1 패널보다 화면의 크기가 작을 수도 있으며, 해당 제2 패널은 앞서 설명한 바 있는 하측의 스마트 거치부(220)에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 즉 대체함으로써 스마트 거치부(220)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면, 스마트 거치부(220) 대신 제2 패널을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심미적인 면 등을 고려할 때 양면 패널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패널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5)가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홀로그램 디바이스(100), 디스플레이장치(105)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 디스플레이장치(105)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는 서버 및 DB(12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B(120a)에는 다양한 유형의 입체영상콘텐츠가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는 홀로그램을 위한 통합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체영상콘텐츠제공(120)는 홀로그램 구현을 위한 입체 콘텐츠를 홀로그램 방식으로 바로 볼 수 있도록 공급(예: 콘텐츠 공급자)과 수요(예: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구매자)를 한번에 모아 총체적 경험화에 따른 서비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경험화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활용하는 구매자 즉 사용자들의 사용자 경험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는 입체 영상 콘텐츠의 저작, 편집, 렌더링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모바일 이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홀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용자 경험 중심의 콘텐츠, 플랫폼, 디바이스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는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통합 관리하여 수요에 맞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들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구매할 때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는 시리얼 코드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나 디스플레이장치(105)로 제공받아 저장하거나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떠한 사용자가 어떠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진정한) 소유자인지 확인이 가능하므로 이를 근거로 어떠한 기능이나 동작이 사용되었는지 모니터링 또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최적화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모듈(혹은 기능 블록)은 다양한 유형이 가능할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저작(혹은 제작)을 위한 저작부, 이용/관리를 위한 이용관리부, 콘트롤을 위한 콘트롤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 모듈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콘텐츠는 홀로그램 디바이스 소형화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에게 제공되는 시리얼코드가 있어야 가입과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는 시리얼코드로 플랫폼 가입시 기본 포인트를 제공하고 추가 포인트는 다양한 활동 또는 구매가 가능할 수 있다. 홀로그램 콘텐츠는 일반 2D 영상이 아닌 차별화된 실감형 3D 입체영상만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자체 심사를 통해 엄선된 콘텐츠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 디스플레이장치(105) 및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도 좀더 설명되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5는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 또는 도 2의 스마트 거치부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100) 또는 스마트 거치부(혹은 스마트 거치장치, 사물인터넷 셋톱장치)(220)는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사물인터넷 셋톱부(520) 및 저장부(5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5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나 스마트 거치부(220)가 구성되거나, 사물인터넷 셋톱부(5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5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인터페이스부(5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이나 모션(혹은 제스처) 등의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이나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해 인터페이스부(500)는 사용자 명령으로서 음성, 모션, 안면, 텍스트, 자연어 처리 등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자체 기기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등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인식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음성인식모듈에서 처리 불가능한 사용자 명령어의 경우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켜"나 "기기 꺼" 등의 단순한 처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음성인식모듈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마이크로폰으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인식모듈은 텍스트 기반으로 분석하여 기설정된 조건 만족할 때 가령 데이터 용량이 기준을 넘어설 때 스마트기기로 분석을 요청할 수도 있는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측의 스마트기기와 사물 인터넷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특히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 인터랙션 UI, 콘텐츠 재생, 제어 및 통신과 관련한 명령어는 스마트기기로 전송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유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상측의 스마트기기 즉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5)와 유선 통신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인터페이스부(500)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나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장치 가령 램프 등 다양한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이나 조명은 상측의 스마트기기 등에서 출력되는 입체 영상 콘텐츠에 포함되는 (메타 데이터 내)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물론 이의 과정에서 음의 크기에 따라 조명을 함께 작동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조명과 관련해서는 음성 데이터를 스마트기기로부터 제공받을 때 조명의 세부 조정과 관련한 메타 데이터 내 조명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해당 조명 데이터를 통해 조명을 세밀하게 제어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510)는 도 5의 인터페이스부(500), 사물인터넷 셋톱부(520) 및 저장부(5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제어부(510)는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이를 사물인터넷 셋톱부(520)에 제공하여 자체적으로 처리할지 또는 상측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할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 조건 내에 있는 사용자 명령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음성인식모듈 등을 통해 음성을 인식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음성이나 모션의 인식 결과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전원 켜, 또는 전원 꺼 등과 같은 자연어 처리가 아닌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처리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때 홀로그램 다바이스(100)의 동작에 관련되는지, 또는 스마트기기의 입체 영상 콘텐츠와 관련되는지에 따라 적절하게 음성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510)는 가령 스마트기기와 사물 인터넷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므로 스마트기기로부터 현재 출력되는 입체 영상 콘텐츠의 음성 데이터나 조명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저장부(5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해당 음성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500)를 구성하는 스피커로 출력하고, 또 조명의 경우에는 조명 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램프, 가령 LED 발광소자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디밍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사물인터넷 셋톱부(520)는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에 따라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나 디스플레이장치(10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셋톱부(520)는 사용자 명령어와 관련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의 분석 및 인식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품사인지 문장의 자연어 처리인지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음성 신호가 지정된 데이터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문장 등의 자연어 처리로 판단하여 제어부(510)로 스마트기기에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자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일 경우에는 제어부(510)를 통해 전원을 켜거나 끄는 등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저장부(530)는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530)는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스피커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해당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5의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사물인터넷 셋톱부(520) 및 저장부(5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사물인터넷 셋톱부(520) 및 저장부(5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5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5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사물인터넷 셋톱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딥러닝 모델 같은 경우 램(RAM)이 아닌 GPU 메모리에 올라가 GPU를 이용하여 수행 속도를 가속화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감상 또는 마케팅 등 입체콘텐츠의 니즈(needs)에 상응하는 사용자 요청을 수신한다(S600 ~ S620). 사용자 요청은 음성이나 터치, 또는 모션 인식 등 다양한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디바이스(100)는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5)와 사물인터넷 기반의 무선 통신과 같은 로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630).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스마트 거치부(220)와 상측에 구비되는 입체영상출력부(210)가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5)는 홀로그램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와 통신하여 홀로그램 뷰, 스피커음향 등과 관련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640, S650). 디스플레이장치(105)는 가령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 거치부(220)에 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자원이 고성능에 해당하므로, 해당 스마트기기를 통해 도 1의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와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어 디스플레이장치(105)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하측의 하프미러의 스크린으로 영상을 출력하며,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능 제어, 영상 전환, 음량 조절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660). 물론 이러한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장치(105)가 하측의 스마트 거치부(220)와의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홀로그램 디바이스(100), 디스플레이장치(105) 및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홀로그램 디바이스 105: 디스플레이장치
110: 통신망 120: 입체영상콘텐츠제공장치
200: 본체부 210: 입체영상출력부
220: 스마트 거치부 300: 디스플레이 거치부
310: 스크린부(혹은 하프미러부) 320: 하단 플레이트
330: PCB부 340: 입력장치
350: 스피커 360: 통신부

Claims (10)

  1. 홀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위한 입체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사용자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하는 상기 입체영상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하여 하프미러의 스크린상에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되는 스마트기기를 상기 스크린의 상측에 거치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부; 및
    상기 스크린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와 사물 인터넷(IoT)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입체영상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스크린에 홀로그램으로 구현하며,
    상기 스마트 거치부는, 상기 입체영상콘텐츠를 홀로그램으로 구현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하는 메타 데이터를 근거로 스피커, 조명 및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메타 데이터 내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 내 조명 데이터를 통해 상기 조명을 제어하며,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외부장치와 콘텐츠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연동하여 상기 스마트 거치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콘텐츠 재생 동작을 수행하되, 홀로그램 영상을 2배속으로 재생하도록 요청한 경우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영상을 2배속으로 재생시키며,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거치부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 바닥면에 대하여 거치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 거치부와 결합되는 하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거치부는,
    CPU나 MPU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부; 및
    음성의 출력시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거치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서 사용자의 음성, 모션, 안면, 텍스트 및 자연어 처리 중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디스플레이장치가, 홀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위한 입체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홀로그램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하는 상기 입체영상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하여 하프미러의 스크린상에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되는 스마트기기를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거치부에 거치하여 상기 스크린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스크린의 하측에 구비되는 스마트 거치부가, 상기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와 사물 인터넷(IoT)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입체영상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스크린에 홀로그램으로 구현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거치부가, 상기 입체영상콘텐츠를 홀로그램으로 구현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하는 메타 데이터를 근거로 스피커, 조명 및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메타 데이터 내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 내 조명 데이터를 통해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외부장치와 콘텐츠 API 연동하여 상기 스마트 거치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콘텐츠 재생 동작을 수행하되, 홀로그램 영상을 2배속으로 재생하도록 요청한 경우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영상을 2배속으로 재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거치부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 바닥면에 대하여 거치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 거치부와 결합되는 하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거치부는,
    CPU나 MPU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PCB부; 및
    음성의 출력시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의 운영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거치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서 사용자의 음성, 모션, 안면, 텍스트 및 자연어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의 운영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48864A 2023-04-13 2023-04-13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649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864A KR102649193B1 (ko) 2023-04-13 2023-04-13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864A KR102649193B1 (ko) 2023-04-13 2023-04-13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193B1 true KR102649193B1 (ko) 2024-03-20

Family

ID=9048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864A KR102649193B1 (ko) 2023-04-13 2023-04-13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1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622A (ko) 2016-12-15 2018-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램 실감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180116708A (ko) 2017-04-17 2018-10-25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90105403A (ko) * 2018-03-05 2019-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60207A (ko) 2018-11-22 2020-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콘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622A (ko) 2016-12-15 2018-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램 실감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180116708A (ko) 2017-04-17 2018-10-25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90105403A (ko) * 2018-03-05 2019-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60207A (ko) 2018-11-22 2020-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램 콘텐츠 생성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콘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urchet et al. Internet of musical things: Vision and challenges
CN100433828C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
US8825468B2 (en) Mobile wireless display providing speech to speech translation and avatar simulating human attributes
EP3435373B1 (en) Mobile wireless display providing speech to speech translation and avatar simulating human attributes
US20180184152A1 (en) Distributed wireless audio and/or video transmission
Neugebauer Digital transformation
US20190139312A1 (e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CN111031386B (zh) 基于语音合成的视频配音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KR20080008341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복수의 장치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방법, 그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통신네트워크
WO2022135527A1 (zh) 一种视频录制方法及电子设备
US20170070835A1 (en) System for generating immersive audio utilizing visual cues
WO2021143574A1 (zh) 增强现实眼镜、基于增强现实眼镜的ktv实现方法与介质
US20180275861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TW201351174A (zh) 用於跨多種裝置之智慧型媒體展示技術
CN104320735A (zh) 内置投影模块及投影幕布的音箱
CN101809651A (zh) 提供语音到语音翻译和模拟人类属性的化身的移动无线显示器
US202202461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230042061A (ko) 인공 현실 환경에서의 3d 대화
CN105721904B (zh) 显示装置和控制显示装置的内容输出的方法
KR102649193B1 (ko)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한 입체 콘텐츠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US10140083B1 (en) Platform for tailoring media to environment factors and user preferences
KR101223673B1 (ko) 다방향 프로젝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광고 시스템
KR20140139671A (ko)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개인화된 디지털 사이니지 운영시스템
CN110868471A (zh) 新型设备构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934690B1 (ko)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재현 방법 및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