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945A -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 - Google Patents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945A
KR20180115945A KR1020170048480A KR20170048480A KR20180115945A KR 20180115945 A KR20180115945 A KR 20180115945A KR 1020170048480 A KR1020170048480 A KR 1020170048480A KR 20170048480 A KR20170048480 A KR 20170048480A KR 20180115945 A KR20180115945 A KR 20180115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
arc
terminals
oil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8519B1 (ko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8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51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이 많이 발생하는 농기계의 운전환경에서 사용되는 회전식 스위치는 두 단자 접촉 시 발생하는 아크(Arc)로 인해 단자의 열적 변형뿐만 아니라 아크에 의한 먼지의 연소로 단자의 산화가 가속됨으로 이를 방지하고, 또한 두 단자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위하여 두 단자가 아크방지윤활제에 상시 침잠되도록 한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는 상부단자를 포함하는 한편 회전 조작이 가능한 상부스위치, 및 상부스위치에 결합되어 상부스위치의 회전에 따라 상부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점되는 하부단자를 포함하는 하부스위치를 구성요소로 하는 회전식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위치(100)와 하부스위치(200) 사이에는 상기 두 단자(140, 230)가 아크 방지용 윤활제에 상시 침잠되도록 윤활제 수납수단(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Rotary switches for farm machinery, including arc protection}
본 발명은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이 많이 발생하는 농기계의 운전환경에서 사용되는 회전식 스위치는 두 단자 접촉 시 발생하는 아크(Arc)로 인해 단자의 열적 변형뿐만 아니라 아크에 의한 먼지의 연소로 단자의 산화가 가속됨으로 이를 방지하고, 또한 두 단자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위하여 두 단자가 아크방지윤활제에 상시 침잠되도록 한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동단자와 고정단가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각종 전기 및 전자제품, 기계장치, 자동차, 선박 및 농업기계 등에 사용되는 가변저항기를 사용한 회전식 스위치의 스위치부재에 산과 골로 형성된 절도산을 구비시켜 사용자에게 클릭(Click)감을 제공하는 회전식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클릭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56463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칭함)에서는 별도의 디텐트 구조체(50, 115)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디텐트 구조체(50, 115)를 통해 클릭감을 느끼며 회전노브(70, 140)를 회전시킨 후 버튼(80, 150)을 푸쉬하여 통전하는 방식의 회전식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 1은 디텐트 구조체(50, 115)를 통해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고, 버튼(80, 150)을 푸쉬하여 통전하는 구조를 통해 회전노브(70, 140)를 회전시 단자가 아크발생이 억제되는 장점은 있으나, 디텐트 구조체(50, 115), 회전노브(70, 140) 및 버튼(80, 150)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복잡한 구조체라는 문제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64017호(이하 선행문헌 2라 칭함)에는 케이스(1), 회전식 스위치손잡이(2), 회전자(3), 스프링형 접점(9)에 의해 구성된 것이며, 회전식 스위치 손잡이(2)는 E형 리테이너(5)를 이용하여 케이스(1)에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자(3)는 끼워 맞춤에 의해서 회전식 스위치 손잡이(2)에 직결되어 있는 회전식 스위치 구조가 종래기술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 2는 선행문헌 1에 비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회전식 스위치 구조이기는 하나 사용자가 클릭(Click)감을 느낄 수 없고, 또한, 회전자(3)의 회전시 회전자의 접점과 스프링형 접점(9)에서 아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 아크(Arc) 발생에 따른 문제는 각종 전기 및 전자제품, 기계장치, 자동차 및 선박 등에서 보다 농업기계에서 더욱 민감한 문제를 야기하는데, 이는 농업기계의 운전환경이 타 산업에 비하여 훨씬 가혹하게 형성됨에 따른 것으로서, 이를 테면, 농업기계는 먼지, 곡물의 껍질 등의 이물질이 많은 환경에 놓이게 되고, 이때 회전식 스위치의 두 단자 접촉 시 발생하는 아크(Arc)로 인해 먼지 및 이물질 등이 연소하여 단자의 산화를 가속시켜 스위치의 수명단축 및 농업기계의 화재를 야기시키는 문제 등일 수 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56463호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640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이 많이 발생하는 농기계의 운전환경에서 사용되는 회전식 스위치는 두 단자 접촉 시 발생하는 아크(Arc)로 인해 단자의 열적 변형뿐만 아니라 아크에 의한 먼지의 연소로 단자의 산화가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위치를 회전시킬 때, 클릭감을 갖도록 하되, 별도의 구성을 부가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는 상부단자를 포함하는 한편 회전 조작이 가능한 상부스위치, 및 상부스위치에 결합되어 상부스위치의 회전에 따라 상부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점되는 하부단자를 포함하는 하부스위치를 구성요소로 하는 회전식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위치(100)와 하부스위치(200) 사이에는 상기 두 단자(140, 230)가 아크 방지용 윤활제에 상시 침잠되도록 윤활제 수납수단(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윤활제 수납수단(A)은 상기 상부스위치(100)에 형성된 단자가이드체(150) 및 하부스위치(200)에 형성된 복수의 오일포켓(22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단자(140)는 단자가이드체(150)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있고, 상기 하부단자(230)는 오일포켓(220)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스위치(200)에는 상기 상부단자가 이동하는 이동로드(210)가 형성되되, 상기 이동로드(210)는 상기 복수의 오일포켓(220)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로드(210) 외곽에는 오일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단자(140)는 제1단자(141), 제2 단자(142) 및 상기 두 단자(141, 142)를 연결하는 연결체(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143) 상부에는 상부단자(140)가 오일포켓(220)에 삽입되도록 탄성스프링(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오일포켓(220) 중 최외측에 위치한 오일포켓에는 하부단자(230)가 결선되지 않거나, 또는 하부단자(230)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스위치(100)에 형성된 단자가이드체(150) 및 하부스위치(200)에 형성된 복수의 오일포켓(220)은 그 중심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는 가동 및 고정단자가 상시 침잠되도록 단자마다 오일포켓을 형성하여 아크방지 아크방지용 윤활제가 담겨있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먼지 및 이물질 등이 많이 발생하는 농기계의 운전환경에서 사용되는 회전식 스위치는 두 단자 접촉 시 발생하는 아크(Arc)로 인해 단자의 열적 변형뿐만 아니라 아크에 의한 먼지의 연소로 단자의 산화가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일포켓에 고정단자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가동단자의 회전시 가동단자가 이동로드에서 낙하하여 오일포켓에 수용되면서 과정에서 클릭감을 느낄 수 있어 스위치의 ON/OFF 여부를 촉감적으로 느낄 수 있고, 조작감이 향상되어 제품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일포켓 및 이동로드가 아크방지 아크방지용 윤활제를 수용하고 있으므로 두 단자 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사용자는 클림감을 느끼더라도 외부적으로는 작동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를 적용한 작업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상부단자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하부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SW)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기 등의 농기계에 사용되는 스위치로써, 상부단자(140)를 포함하는 한편 회전조작이 가능한 상부스위치(100), 상기 상부스위치(100)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스위치(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단자(140)와 선택적으로 접점되는 하부단자(230)를 포함하는 하부스위치(200)와, 상기 상부스위치(100)와 상기 하부스위치(200) 사이에서 형성되는 윤활제 수납수단(A)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스위치(100)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스위치(200)의 상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을 통해 상기 상부단자(140)가 상기 하부단자(230)와 접촉함으로써 사용자의 의지를 반영한 단계별 접점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회전조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부스위치 상부에 손잡이(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스위치 일측에는 상기 윤활제 수납수단(A)의 일부 구성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수납홈(120)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스위치(200)는, 그 상면에 서로 다른 량의 전류가 통전되는 하부단자(230)를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상기 상부스위치(100)가 상기 하부스위치(200) 상에서 회전하면서 상부단자가 하부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점되어 단계별 통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부연하자면, 상기 상부스위치의 회전에 의한 선택적 접점을 통해 사용자는, 가령 공조기의 경우 공조기의 단계적 통풍량 또는 온도 등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일반적인 회전식 스위치의 경우 상부단자와 하부단자가 선택적 접점시 또는 접점에서 벗어나는 시점에 단자간 마찰로 인해 아크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아크로 인해 단자의 열적변형이 생기거나 단자의 산화가 가속되어 결국 기계적 수명 단축 및 화재의 원인이 되곤 한다.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인 상기 윤활제 수납수단(A)은, 상기와 같은 아크로 인한 단자의 열적 변형 또는 단자의 산화를 방지하고, 단자간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윤활제 수납수단(A)은, 상기 상부단자(140)와 결합되는 단자가이드체(150), 상기 단자가이드체(150)가 삽입되는 오일포켓(220) 및 상기 단자가이드체(150)가 이동하는 이동로드(210)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가이드체(150)는, 도 3을 참조하면, 통상의 플라스틱재로 형성되어 상부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부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오일포켓 및 이동로드상에서 활주하는 한쌍의 단자수용부(151, 152) 및 상기 단자수용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단자(140)는 상기 단자수용부(151, 152)에 각각 삽입되어 노출되는 제1 단자(141) 및 제2 단자(142)와 상기 단자(141, 142)가 통전되도록 서로 를 연결하는 연결체(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단자(140)가 상기 단자가이드체(150)에 수용되기 위하여, 상기 단자가이드체(150)의 단자수용부(151, 152)에는 상기 단자(141, 1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홀(151-1, 15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단자의 단자(141, 142)는 단자수용부(151, 152)에 삽입되고, 연결체(143)는 연결부(153)의 상부면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상부단자와 상기 단자가이드체는 하나의 모듈로서 간편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또한, 상기 상부단자의 연결체 상부에는 탄성스프링(13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자가이드체(150) 및 상기 상부단자가 상기 탄성부재수납홈(120)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인장 또는 압축을 통하여 승하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단자가이드체(150)의 단자수용부(151, 152)의 단부는, 노출된 상부단자의 단부인 제1 단자(141) 및 제2 단자(142)를 통하여 상기 하부단자(230)와 접점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자(141) 및 제2 단자(142)에 대응하여 접점되는 2개의 상기 하부단자(230)는 통전될 수 있다.
이로서, 단자가이드체(150)는, 연성의 전도체로 이루어진 상기 상부단자(140)를 수용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단자(140)가 상기 오일포켓을 벗어나 오일포켓 상부에 위치한 이동로드에 안착될 때, 오일포켓과의 마찰력 등의 외적요인으로 인하여 상부단자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부스위치가 회전하여 상부단자가 오일포켓을 벗어나 이동로드에 안착되기 위해서는 상부스위치의 회전반경 상에 위치한 오일포켓의 곡면부를 타고 넘어가야 하고, 이때 각 단자(141, 142)들은 연결체(143)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단자는 플라스틱재인 단자가이드체에 수용시킨다.
아울러, 상기 단자가이드체(150)는, 상기 오일포켓의 곡면부를 타고 넘어가야 하므로, 단부가 반원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상부단자가 연성의 전도체이므로 오일포켓에 윤활제가 충분히 채워져 있다하더라도 반복적 사용에 따른 변형은 불가피함을 감안하면 그 구성의 필요성이 충분히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가이드체는 상부단자가 연성의 전도체, 구리 등일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며, 상부단자가 상기 변형을 극복할 만한 물성을 가진 경우에는 단자가이드체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오일포켓(220)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가이드체(150)의 하측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스위치의 상면에 반원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되, 홈 내부에 상기 하부단자를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단자가이드체(150)가 삽입될 때, 상기 제1 단자(141) 및/또는 제2 단자(142)와 상기 하부단자(230)가 접점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오일포켓(220)은, 상기 상부스위치(100)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단자가이드체(150)와 상기 오일포켓(220)이 통전되는 구성을 달리하여야 하므로,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개의 오일포켓은 상기 상부스위치(100)의 회전반경상에 호 현상으로 나열된다.
이때, 상기 오일포켓(220)과 상기 오일포켓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가이드체의 가이드부(153)는 정확히 접점될 수 있도록, 그 중심이 일치되게 형성한다.
한편, 상기 오일포켓(220) 중 최외측의 형성된 오일포켓(220)은 상기 하부단자(230)를 형성시키지 않거나, 또는 상기 하부단자(230)를 형성하더라도 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단자가이드체(150)가 상기 최외측의 오일포켓(220)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단자(141) 또는 제2 단자(142)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게 되어 스위치가 off 상태에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오일포켓(220) 내부에는 아크방지윤활제를 충진하여 상기 하부단자(230)가 상시 침잠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1 단자(141) 또는 제2 단자(142)와 상기 하부단자(230)가 접점 및 접점에서 벗어날 경우 생기는 아크(Arc)로 인한 단자의 열적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농기계 운전환경에 특성상 아크로 인한 먼지의 연소로 단자의 산화가 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아크방지윤활제로 인하여 두 단자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스위치(100)의 회전조작으로 인한 상기 제1 단자(141) 및 제2 단자(142)의 상기 오일포켓(220) 삽탈시에도 작동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오일포켓(220)에 노출된 상기 하부단자(230)는 연결 틈새로 아크방지윤활제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부단자 테두리에 아크방지윤활제의 유출을 방지하는 오일링(도면 미도시)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오일포켓(220)과 상기 하부단자(230)의 결합을 스크류 결합으로 하여 아크방지윤활제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로드(21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오일포켓(220)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스위치(200)의 표면(B)보다는 낮게 형성되고, 상기 오일포켓(220)의 최하단부(C)보다는 높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스위치(100)의 회전조작을 통하여 상기 단자가이드체(150)를 조작할 때, 상기 단자가이드체(150)가 상기 이동로드(210)에서 상기 오일포켓(220)으로 낙하하여 수용되는 과정에서 클릭감을 느낄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로드(210)는, 상기 오일포켓(220)과 연결되는 연결부(210-1)를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오일포켓(220)으로 삽입된 상기 단자가이드체(150)가 상기 상부스위치(100)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상기 오일포켓(220)에서 탈출할 때, 상기 연결부(210-1)와 상기 단자가이드체(150)의 단부가 곡면 대 곡면으로 접하여 서로 곡면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이동로드(210)는, 아크방지윤활제가 이동하는 오일로드(212) 및 상기 단자가이드체(150)가 이동하는 단자가이드체로드(2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오일로드(212)를 통해, 상기 오일포켓(220)끼리 아크방지윤활제를 공유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오일포켓(220) 내부에 아크방지윤활제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자가이드체로드(211)는, 상기 오일로드 양측면 상측으로 형성되되 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단자가이드체(150)가 이동시 단자수용부(151)와 단자가이드체로드(211)가 접촉면적이 최소화된 선접촉을 통해 마찰력이 최소화된다.
더불어, 단자가이드체(150)가 이동시 상기 오일로드(212)는 상부단자(141, 142)와 접촉되지 않도록 그 폭(t1)을 상기 단자(141, 142)의 폭(t2)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단자가이드체(150)의 폭(t3)보다는 작게 형성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단자(141) 또는 제2 단자(142)의 이동시 생기는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스위치(200)에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스위치(100)와 결합할 때, 상기 오일포켓(220) 내부의 아크방지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스위치(100)와 접하는 면에 오일씰(24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오일씰(240)은 상기 오일포켓(220) 및 상기 이동로드(21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스위치(100)와 상기 하부스위치(200)에 결합시 생기는 틈보다, 상기 하부스위치(200) 표면(B)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더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스위치(100)와 상기 하부스위치(200)가 결합하면 상기 상부스위치에 의해 압축되어서, 상기 상부스위치(100)와 상기 하부스위치(200)에 밀착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상부스위치(100)를 회전조작하여도 상기 오일씰(240)에 막혀서 아크방지윤활제가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먼지도 침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상부스위치(100)를 회전조작하면, 상기 상부스위치(100)를 따라 상기 탄성부재수납홈(120)에 수납된 상기 단자가이드체(150)가 현재 삽입된 오일포켓(220)에서 탈출한다.
이때, 상기 단자가이드체(150)가 상기 연결부(210-1)의 곡면을 따라 오일포켓보다 상부에 위치한 상기 이동로드(210)상 안착되도록 탄성부재수납홈(120)에 수납된 탄성스프링(130)은 압축된다.
이어서, 단자가이드체(150)는 이동로드(210) 상에서 계속 이동하여 다음 오일포켓에 탄성스프링(130)이 인장되면서 삽입되고 안착되면, 상하부단자가 서로 접점되면서 통전되어 그 위치에 해당하는 명령 실행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킨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의지가 반영된 명령이 실행될 때까지 상부스위치의 회전을 계속하면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면서 그 위치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한 상부스위치 회전시 상부단자는 오일포켓에 윤활제에 의해 침잠된 하부단자와 아크 발생이 억제되어 아크로 인한 단자의 열적변형 및 단자의 산화를 방지하여 기계적 수명 연장 및 화재발생 등을 억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상부스위치 120 : 탄성부재수납홈
130 : 탄성스프링 140 : 상부단자
141 : 제1 단자 142 : 제2 단자
143 : 연결체 150 : 단자가이드체
200 : 하부스위치 210 : 이동로드
220 : 오일포켓 230 : 하부단자
240 : 오일씰 A : 윤활제 수납수단

Claims (8)

  1. 상부단자를 포함하는 한편 회전 조작이 가능한 상부스위치, 및 상부스위치에 결합되어 상부스위치의 회전에 따라 상부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점되는 하부단자를 포함하는 하부스위치를 구성요소로 하는 회전식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위치(100)와 하부스위치(200) 사이에는 상기 두 단자(140, 230)가 아크 방지용 윤활제에 상시 침잠되도록 윤활제 수납수단(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회전식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수납수단(A)은 상기 상부스위치(100)에 형성된 단자가이드체(150) 및 하부스위치(200)에 형성된 복수의 오일포켓(22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단자(140)는 단자가이드체(150)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있고,
    상기 하부단자(230)는 오일포켓(220)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회전식 스위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위치(200)에는 상기 상부단자가 이동하는 이동로드(210)가 형성되되,
    상기 이동로드(210)는 상기 복수의 오일포켓(220)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회전식 스위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210) 외곽에는 오일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회전식 스위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단자(140)는 제1단자(141), 제2 단자(142) 및 상기 두 단자(141, 142)를 연결하는 연결체(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회전식 스위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143) 상부에는 상부단자(140)가 오일포켓(220)에 삽입되도록 탄성스프링(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회전식 스위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일포켓(220) 중 최외측에 위치한 오일포켓에는 하부단자(230)가 결선되지 않거나, 또는 하부단자(230)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회전식 스위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위치(100)에 형성된 단자가이드체(150) 및 하부스위치(200)에 형성된 복수의 오일포켓(220)은 그 중심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회전식 스위치 제작방법.
KR1020170048480A 2017-04-14 2017-04-14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 KR102038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80A KR102038519B1 (ko) 2017-04-14 2017-04-14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80A KR102038519B1 (ko) 2017-04-14 2017-04-14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45A true KR20180115945A (ko) 2018-10-24
KR102038519B1 KR102038519B1 (ko) 2019-11-26

Family

ID=6413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480A KR102038519B1 (ko) 2017-04-14 2017-04-14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9647A1 (en) 2022-01-11 2023-07-12 Yesung Global Co., Ltd. Panic device with door clos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676165U (zh) * 2020-09-01 2021-03-09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档位旋钮装置及其所属的风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017B1 (ko) 1991-06-21 2000-08-16 야스카와 히데아키 회전식 스위치 구조와 이를 구비한 멀티미터
JP2004303570A (ja) * 2003-03-31 2004-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バースイッチ
KR20040101188A (ko) * 2003-02-27 2004-12-02 맥그로우-에디슨 컴파니 아크 억제가 강화된 고전압 부하차단 스위치
JP2006210286A (ja) * 2005-01-31 2006-08-10 Honda Lock Mfg Co Ltd ロータリースイッチ装置
JP2006260949A (ja) * 2005-03-17 2006-09-28 Denso Corp 回転式スイッチ
KR20090056463A (ko)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회전식 스위치
KR101410031B1 (ko) * 2014-01-28 2014-06-20 주식회사 엔토피아 절연유를 이용한 아크 소호수단을 갖는 전자접촉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017B1 (ko) 1991-06-21 2000-08-16 야스카와 히데아키 회전식 스위치 구조와 이를 구비한 멀티미터
KR20040101188A (ko) * 2003-02-27 2004-12-02 맥그로우-에디슨 컴파니 아크 억제가 강화된 고전압 부하차단 스위치
JP2004303570A (ja) * 2003-03-31 2004-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バースイッチ
JP2006210286A (ja) * 2005-01-31 2006-08-10 Honda Lock Mfg Co Ltd ロータリースイッチ装置
JP2006260949A (ja) * 2005-03-17 2006-09-28 Denso Corp 回転式スイッチ
KR20090056463A (ko)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회전식 스위치
KR101410031B1 (ko) * 2014-01-28 2014-06-20 주식회사 엔토피아 절연유를 이용한 아크 소호수단을 갖는 전자접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9647A1 (en) 2022-01-11 2023-07-12 Yesung Global Co., Ltd. Panic device with door clo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519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5890B2 (ja) トリガースイッチ
KR890017744A (ko) 인덱스 로타리 스위치
KR20180115945A (ko) 아크 방지 기능이 있는 농기계용 회전식 스위치
JP6228954B2 (ja) レバー装置
JP4190459B2 (ja) 多方向入力装置
US7492353B2 (en) Joystick switching device
JP2004119376A (ja) 切換スイッチ
JP2009218100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1096925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US6849818B2 (en) One-way rotary switch
KR20100119154A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JP4620636B2 (ja) 回転操作式出力装置
EP2755218B1 (en) Combined operation type switch device
JP2006527471A (ja) 複数のスイッチング方法を有するドラム型制御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装置に備えられる電子器具
US10679804B2 (en) Sealing structure for a rotary electronic component
JP4617218B2 (ja) 多方向入力装置
US3646298A (en) Switch operating trigger with integral biasing means and excessive force protection means
JP4617217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1759320B1 (ko)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EP3493232B1 (en) Drip-proof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JP2016207634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14103073A (ja) 節度機構
JP7187066B2 (ja) 回転式電子部品用摺動子
JP4579857B2 (ja) 回転操作式出力装置
KR101097020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