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154A -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154A
KR20100119154A KR1020090038114A KR20090038114A KR20100119154A KR 20100119154 A KR20100119154 A KR 20100119154A KR 1020090038114 A KR1020090038114 A KR 1020090038114A KR 20090038114 A KR20090038114 A KR 20090038114A KR 20100119154 A KR20100119154 A KR 20100119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witch
housing
slid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034B1 (ko
Inventor
김근희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8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03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for staircase ligh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를 포함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장치에 대한 다양한 작동 모드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방향 디렉셔널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장치는 차량, 공작 기계,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기 및 게임기 등의 장치들에 선택 및 조작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장치들의 다양한 기능적 선택을 위하여 스위치 장치도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단순한 푸시 스위치 타입의 버튼 스위치 이외에도 축방향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로터 리 스위치 들도 있고, 로터리 스위치는 촉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자기 흡입력을 이용한 구조에 대하여도 다양한 연구 및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대상 장치의 다양한 작동 모드를 선택을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는 구조의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를 포함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슬라이드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과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가 배치되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가동 블록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일면이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가 상대 운동 가능하게 접하고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관통을 허용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의 타면과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를 상대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의 일면에는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 대응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의 타면에는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의 상기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 대응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서로 직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가동 블록의 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드 스톱퍼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스톱퍼는 상기 슬라이드 가동 블록의 대응 위치로 상기 하우징부 또는 상기 슬라이드 가동 블록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는 복수 개의 방향을 감지하는 다방향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의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일면에는 가동부 요홈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 요홈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가해지는 외력 제거시 원위치 복귀를 위한 노브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틸팅부는: 기 하우징부에 상기 스위치 노브부를 향하여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틸팅 플런저와, 상기 노브 틸팅 플런저와 접하고 상기 노브 틸팅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노브 틸팅 탄성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틸팅 플런저의 단부와 접촉 가능한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는 상기 노브 바디의 회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로터리 스위치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노브 바디와 함께 회동하는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와,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의 대응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노브 바디와 함께 회동하는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와,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의 대응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자기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는 상기 노브 바디와 연결되는 햅틱 액츄에이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햅틱 액츄에이터는 전자석 타입일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햅틱 액츄에이터는: 상기 노브 바디와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가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와, 상기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주에 코일이 권취되는 햅틱 액츄에이터 보빈과,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의 단부와 접촉 가능한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바디에 배치되는 디텐트 로테이터와, 상기 디텐트 로테이터에 수용되는 디텐트 볼과, 상기 디텐트 로테이터에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디텐트 볼을 탄성 지지하는 디텐트 탄성 부재와,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볼과 접하는 디텐트 돌기를 구비하는 디텐트 바디를 포함하는 디텐트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바디가 상기 노브 하우징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가동 가능한 푸시 스위치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출력 기판 및 상기 광출력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광출력 램프를 구비하는 광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를 포함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소정의 작동 모드에 대한 사전 설정 데이터가 사전 설정되어 저장된 저장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슬라이드부를 통하여 다방향 제어가 가능하되 안정적인 디렉셔널 운동을 이루어 사용자에 의하여 보다 원활하고 정확한 조작 운동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슬라이드부의 직교 배치되는 가이드 바디 제1 및 2 가이드부/대응부 구조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드 운동, 궁극적으로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을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다방향 조작이 가능한 다방향 스위치로 디렉셔널 스위치가 구현됨으로써 조작 과정 상에서의 사용자의 방향 전환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도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로터리 스위치부, 푸시 스위치부 및/또는 버튼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여 해당 작동 장치에 대하여 보다 복합적이며 다양한 메뉴 및 작동 선택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는, 광출력부를 통한 시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출력되는 빛의 색상 및 강도에 따라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또는 이를 통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으로서의 작동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보다 신속하게 인지할 수도 있 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도 1의 선 Ⅰ-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하우징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푸시 스위치부(500)에 대한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슬라이드부(6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슬라이드부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디렉셔널 스위치부(700)의 디렉셔널 스위치(710)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 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디렉셔널 스위치부(700)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의 변형예가 도시되고, 도 13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디렉셔널 스위치부(7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1)의 제어 구성을 위한 개략적인 블록 선도가 도시되고, 도 17 및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다른 예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부(100)와, 인쇄회로기판(200)과, 스위치 노브부(300)와, 슬라이드부(600)와, 그리고 디렉셔널 스위치부(700)를 구비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의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슬라이드부(600)는 스위치 노브부(300)와 연결되어 스위치 노브부(300)가 디렉셔널 운동을 하는 경우 평면 슬라이딩 운동을 실행하고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운동에 의하여 디렉셔널 스위치부(700)가 가동되어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에 대응하는 소정의 신호를 생성 출력한다.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는 서로 체결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110)는 하우징 노브 커버(1110)와 하우징 가이드 커버(112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가이드 커버(1120)는 "ㄷ"자 형상을 구비하고 하우징 노브 커 버(1110)는 하우징 가이드 커버(1120)의 홈 부위에 배치된다. 하우징 노브 커버(1110)는 하기되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하우징부 내부로의 안정적인 장착을 안내하고 이물의 하우징부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한다. 하우징 노브 커버(1100)의 중앙에는 노브 커버 관통구(1111)가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부(300)의 단부는 노브 커버 관통구(1111)를 관통하여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진입한다.
하우징 가이드 커버(1120)의 외측에는 가이드 커버 장착부(1121)가 배치되는데, 가이드 커버 장착부(1121)는 하기되는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커버 장착부(121)와 맞물리어 체결 구조를 이룬다. 하우징 가이드 커버(120)의 중앙 영역에는 가이드 커버 노브 장착부(1123)가 형성되는데, 가이드 커버 노브 장착부(1123)는 "ㄷ"자 형상의 홈 부위를 구성한다. 가이드 커버 노브 장착부(1123)에는 상기한 하우징 노브 커버(1110)가 배치된다. 하우징 노브 커버(1110)가 배치되는 가이드 커버 노브 장착부(1123)의 외측에는 가이드 커버 버튼 장착부(1125)가 배치되는데, 가이드 커버 버튼 장착부(1125)에는 하기되는 버튼 스위치부(1000)가 배치된다.
하우징 바디(120)는 하우징 커버(11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커버(110)와는 상기한 가이드 커버 노브 장착부(1123)와 하우징 바디 커버 장착부(121) 간의 맞물림에 의하여 결합된다. 하우징 바디(120)의 중앙에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단부의 관통을 허용하는 하우징 바디 노브 관통구(123)가 배치되고 하우징 바디 노브 관통구(123)의 외측에는 버튼 스위치부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우징 바디 버튼 장착부(125)가 구비된다. 하우징 바디 버튼 장착부(125)의 내측에는 하우징 바디 버튼 가이드(126)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바디 버튼 가이드(126)에 의하여 하기되는 버튼 스위치부(1000)가 하우징 바디 버튼 장착부(125)에서 안정적으로 가동되도록 한다. 하우징 바디 버튼 장착부(125)의 하단에는 하우징 바디 버튼 관통구(124)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바디 버튼 관통구(124)를 통하여 버튼 스위치부(1000)가 가동된다.
하우징 베이스(130)는 하우징 바디(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130)에는 하우징 베이스 체결부(131)가 배치되는데, 볼트와 같은 하우징 체결부(132)를 통하여 하우징 베이스(130)는 하우징 바디(120)와 함께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부에는 베이스 리브(133)가 배치되어 하우징 베이스(130)의 강도를 유지한다. 또한, 하우징 베이스(130)에는 베이스 기판 지지부(135)가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00)에는 각종 회로배선과 전기 소자가 배치되어 하기되는 로터리 스위치부(400), 디렉셔널 스위치부(700), 푸시 스위치부(500) 및 버튼 스위치부(1000) 들과 제어부(미도시) 또는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인쇄회로기판(200)의 중앙에는 기판 관통구(201)가 배치되고 기판 관통구(201)를 통하여 스위치 노브부(300)의 단부가 하우징 베이스(130)를 향하여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00)의 단부에는 커넥터(210)가 배치되는데, 커넥터(210)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 및/또는 제어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스위치 노브부(300)는 일단이 하우징부(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하 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단은 하우징 바디(120) 및 하우징 베이스(130)에 배치되고 타단은 하우징 커버(110)의 상단에 노출되어 배치된다. 즉, 스위치 노브부(300)의 일단은 하우징 커버(110)의 하우징 노브 커버 관통구(1111),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관통구(123)를 관통하여 하우징 베이스(130)를 향하여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부(300)는 노브 커버(310)와 노브 바디(330)와 노브 하우징(340)을 구비하는데, 노브 하우징(34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기되는 슬라이드부(600)와 연결되고,노브 바디(330)는 하우징부(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노브 하우징(340)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노브 바디(330)의 일단은 개방된 구조를 취하는데, 노브 바디(330)의 개방된 단부에는 노브 커버(310)와 노브 커버 스트립(320)이 배치된다. 노브 커버 스트립(320)은 링 타입으로 구현되고 노브 커버(310)는 디스크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디스크 타입의 노브 커버(310)는 노브 커버 스트립(320)의 일단에 배치된다. 노브 커버 스트립(320)에는 스트립 장착부(321)가 형성되는데, 스트립 장착부(321)는 하기되는 노브 바디(320)의 노브 바디 스트립 장착부(3301)과 연결되어 노브 바디(330)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다.
노브 바디(330)의 외주에는 노브 바디 그립 홈(3302)가 형성되는데, 노브 바디 그립 홈(3302)을 통하여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하고, 스위치 노브부(300)의 조작시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노브 바디(330)의 중앙에는 노브 바디 관통구(3303)가 구비되는데, 노브 바디 관통구(3303)는 노브 샤프트(360)가 배치된다. 노브 샤프트(3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브 바디(330)와 노브 샤프트(360)는 상대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다. 노브 바디 관통구(3303)의 내부에는 노브 바디 관통구(33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브 바디 관통구 가이드(3304)가 배치되고 노브 샤프트(360)에는 이에 대응하는 대응부가 구비됨으로써 노브 샤프트(360)는 노브 바디 관통구 가이드(3304)에 의하여 안내되어 노브 바디 관통구(3303)를 관통하여 가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하기되는 푸시 스위치부(500)의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노브 바디(330)의 하부에는 노브 푸시 가동부(370)가 더 구비되는데, 노브 바디(330)는 노브 샤프트(360)와 함께 회동되어 하기되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에 외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취하나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에 외력을 제공하나 노브 푸시 가동부(370)는 노브 바디(330)의 하부에 배치되어 노브 샤프트(36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축방향 운동만을 허용하고 축방향 회동 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노브 하우징(340)은 노브 바디(33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노브 하우징(340)은 하기되는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연결된다. 노브 하우징(340)은 노브 하우징 탑부(4310)와 노브 하우징 바텀부(3420)를 구비하고 노브 하우징 탑부(3410)와 노브 하우징 바텀부(3420)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노브 하우징(340)은 노브 바디(33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을 슬라이드부(600) 및 디렉셔널 스위치부(700)로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 하우징(340)은 슬라이드부(600) 및 하우징부(100)에 삽입 장착되는 유니트 구조를 취함으로서 조립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로터리 스위치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노브 바디(330)와 연 결되어 노브 바디(330)의 회동에 의하여 가동된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광센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와 로터리 스위치(420)를 구비하는데,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는 노브 하우징(34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와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연결부(413)와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를 구비하는데,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를 사이에 두고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연결부(413)와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가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는 노브 하우징(340)의 내부에서 안정적인 축회동을 이루도록 지지되는데,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연결부(413)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의 상단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연결부(413)는 돌기 구조를 취하고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연결부(413)는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고, 노브 샤프트(360)의 하단에 배치되는 노브 샤프트 연결부(361)는 요홈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연결부(413)는 외주가 각형상을 구비하고 노브 샤프트 연결부(361)와 맞물리어 노브 샤프트(360)와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의 동축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의 타단에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가 배치되는데,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는 하기되는 햅틱 액츄에이터(800)의 중심 샤프트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와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는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예일뿐 서로 별개품으로 구성되고 서로 동축 회동을 이루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로터리 스위치(420)는 광센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스위치(420)는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와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423)를 구비한다.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는 노브 바디(410)와 함께 회동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와 함께 회동한다.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는 노브 하우징(340)의 내부로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423)의 대응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 하우징(340)의 내부에는 노브 인쇄 기판(200-1)이 배치되고,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은 스위치 노브부(300)의 노브부 커넥터(301)와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200),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은 노브 하우징(340)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는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423)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와 함께 회동하도록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423)는 하기되는 햅틱 액츄에이터(800)의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의 단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가 배치되는데, 햅틱 액츄에이터(800)의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 즉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가 축회동하는 경우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도 함께 축회동을 이루고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423)는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의 일면으로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를 향한 일 면 상에 배치되어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와 함께 궁극적으로 노브 바디(330)와 함께 축 회동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노브 바디(330)의 축 회동에 의하여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423)가 회동하는 경우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421)는 광신호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 및 인쇄회로기판(200)을 거쳐 제어부(미도시) 또는 외부 전기 장치로 변화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푸시 스위치부(5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푸시 스위치부(500)는 노브 하우징(340)에 배치되고 노브 바디(330)가 노브 하우징(340)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가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푸시 스위치부(500)는 러버 돔(rubber dome) 스위치 구조를 취하는데,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부(500)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푸시 스위치부(500)는 푸시 스위치(510)와 푸시 스위치 가동부(520)를 구비하는데, 푸시 스위치(510)는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푸시 스위치 가동부(520)는 노브 푸시 가동부(370, 도 3 참조)의 단부에 배치된다. 노브 푸시 가동부(3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노브 바디(330)와 별개물로 노브 바디(3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축방향 상하 이동만이 허용된다. 노브 푸시 가동부(370)의 일단으로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을 향한 일단에 푸시 스위치 가동부(520)가 구비되는데, 푸시 스위치 가동부(520)는 푸시 스위치 가동 돌기(521)와 푸시 스위치 가동 홈(523)을 구비한다. 푸시 스위치(510)는 푸시 스위치 러버 돔부(5110)와 푸시 스위치 접점부(5120)를 포함한다. 푸시 스위치 러버 돔부(5110)는 푸시 스위치 러버 바 디(5113)와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 연결부(5115)와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 지지부(5117)를 구비하는데,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 지지부(5117)는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의 일면 상에 접촉하여 지지되고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 연결부(5115)는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5113)와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 지지부(5117)를 연결한다.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5113)의 일면 상에는 푸시 스위치 러버 돌기(5111)가 배치되어 푸시 스위치 가동 홈(523)과 맞물리어 푸시 스위치(520)의 안정적인 상하 가동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푸시 스위치 접점부(5120)는 푸시 스위치 가동 접점(5121)과 푸시 스위치 고정 접점(5123)를 구비하는데, 푸시 스위치 가동 접점(5121)은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5113)의 하단에 배치되고 푸시 스위치 고정 접점(5123)은 푸시 스위치 가동 접접(5121)의 대응되는 위치로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부(300)에 수직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노브 바디(330)는 노브 샤프트(360)와 상대 수직 운동을 이루며 하부로 이동하여 노브 푸시 가동부(370)에 외력이 전달되고 노브 푸시 가동부(370)는 수직 운동함으로써 푸시 스위치 가동부(520)는 푸시 스위치(510)의 푸시 스위치 러버 바디(5113)를 하부로 탄성 이동시킨다. 이때, 푸시 스위치 가동 접점(5121)과 푸시 스위치 고정 접점(5123)은 서로 접촉 상태를 이루어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하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노브 인쇄회로기판(200-1) 및/또는 인쇄회로기판(200)을 통하여 제어부(미도시) 및/또는 외부 전기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푸시 스위치 바디 지지부(5117) 및 푸시 스위치 바디 연결부(5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푸시 스위치 바디(5113) 는 원위치 복귀되고 푸시 스위치 가동 접점(5121)과 푸시 스위치 고정 접점(5123)은 분리되어 접속 상태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햅틱 액츄에이터(8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햅틱 액츄에이터(800)는 스위치 노브부(300)에 사용자에 의한 노브 바디(330) 조작시 소정의 반력을 생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촉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여 현재 복합 스위치 유니트(10) 내지 이를 통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작동 유니트의 현재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햅틱 액츄에이터(800)는 노브 하우징(34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은 노브 바디(33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햅틱 액츄에이터(800)는 전자석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이는 일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햅틱 액츄에이터는 전기 모터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타입의 햅틱 액츄에이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햅틱 액츄에이터(800)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와,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와, 햅틱 액츄에이터 보빈(810)과,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햅틱 액츄에이터 프릭션 링(8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510)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물로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는 일체로 형성되고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는 햅틱 액츄에이터(800)의 중심축을 이루는 샤프트로 작동한다. 햅틱 액츄에이터의 샤프트로서의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는 노브 바디(330)와 함께 축회동을 이룬다.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는 노브 하우징(340) 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는 단면이 중심축으로부터 양측으로 "U"자 형상을 구비하고 중앙에는 코어 관통구가 구비되어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의 관통을 허용한다. 햅틱 액츄에이터 보빈(810)은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햅틱 액츄에이터 보빈(81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비하여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의 "U"자형 홈 내측에 배치된다. 햅틱 액츄에이터 보빈(810)의 외주에는 코일이 권취되는데, 코일(미도시)은 노브부 커넥터(301)를 통하여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의 외주로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와 함께 축회동하고,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는 강자성체로 형성되어 전자기력에 의한 영향을 받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코일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전자기력에 의하여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는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 측으로 이동하여 양자 간의 접촉력이 강화되어 마찰력에 의하여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의 회동을 구속, 궁극적으로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햅틱 바디(415) 및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 및 노브 바디(330)의 축회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전기적 신호의 인가에 의하여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와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 간의 접촉 상태를 단속시켜 소정의 충격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발생된 충력력이 노브 바디(3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소정의 촉각적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되 는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켜 소정의 원하는 진동 패턴의 촉각적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또는 제어 대상으로서의 작동 유니트의 작동 상태에 대한 신속한 인지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 한편,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와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의 접촉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에는 햅틱 액츄에이터 프릭션 링(84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햅틱 액츄에이터 프릭션 링(840)은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의 일면 상으로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의 단부와 접촉이 가장 빈번한 곳에 배치됨으로써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820)와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830) 간의 접촉을 인한 과도한 마모를 방지할 수도 있다. 햅틱 액츄에이터 프릭션 링(840)은 소모성 구성요소로서 마모시 교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햅틱 액츄에이터는 전자석 타입을 취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햅틱 액츄에이터는 전기 모터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버튼 스위치부(10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버튼 스위치부(1000)는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와 버튼 스위치(1020)를 구비하는데, 버튼 스위치(102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으로 스위치 노브부(300)의 배치 위치 외곽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버튼 스위치(1020)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고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는 하우징부(10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수직 가동됨으로써 버튼 스위치(720)를 가동시킨다. 하우징부(100)에는 가이드 커버 버튼 장착부(1125)가 배치되는데, 가이드 커버 버튼 장착부(1125) 에는 하기되는 버튼 스위치부(1000)의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가 배치된다.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는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부(1011)와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1013)를 구비하는데, 양자는 서로 맞물리어 블록 구조를 형성한다.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부(1011)의 외주에는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 장착부(1012)가 배치되고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1013)의 외주에는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장착부(1014)가 배치되는데,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 장착부(1012)와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장착부(1014)는 서로 맞물린다.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1013)의 하단 외주에는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가이드(1016)가 형성되고 이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바디(120)의 내측에는 하우징 바디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121-1)가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가이드(1016)과 하우징 바디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121-1)는 서로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어 버튼 스위치 노브부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하면서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의 수직 가동을 허용한다. 또한,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장착부(1013)의 하단은 개방된 구조를 이루고 버튼 스위치 노브 베이스 장착부(1013)의 하면으로부터 버튼 스위치 가동부(1015)가 연장 형성되는데, 버튼 스위치 가동부(1015)는 버튼 스위치 노브부(1010)의 수직 가동시 버튼 스위치(1020)를 가동시킨다. 또한, 버튼 스위치부(1000)는 복수 개(1030,1040)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을 안정적으로 이루고 정확한 가동 동작을 이루기 위하여 슬라이드부와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슬라이드부(60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위 치 노브부(300)의 타단과 연결되어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디렉셔널 스위치부(700)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와 디렉셔널 스위치(710)를 포함한다.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는 슬라이드부(600)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71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배치되고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시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에 의하여 가동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은 스위치 노브부(300)의 축에 수직한 평면, 즉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00)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의 병진 운동(translational movement)을 의미한다.
슬라이드부(600)는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슬라이드 가이드(620)와,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슬라이드 하우징(610)은 스위치 노브부(300)의 일단과 연결되고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은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연결되고 단부에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가 배치되고, 슬라이드 가이드(620)는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하우징(610)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슬라이드부(6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시도가 도시된다. 슬라이드 하우징(610)은 중앙부에 슬라이드 하우징 관통구(611)가 구비되는데, 슬라이드 하우징 관통구(611)에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 노브 하우징(340)의 노브 하우징 바텀부(3420)가 삽입 관통 배치된다. 이때, 슬라이드 하우징 관통구(611)의 직경과 노브 하우징 바텀부(3420)의 외경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하우징 관통구(611)에 노브 하우징 바텀부(3420)이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노브 하우징 바텀부(3420)의 외주에 노브 하우징 바텀부 가이드(3421)가 배치되고 슬라이드 하우징(61)의 슬라이드 하우징 관통구(611)의 내측에 슬라이드 하우징 관통구 가이드(613)가 배치되는데, 노브 하우징 바텀부 가이드(3421)와 슬라이드 하우징 관통구 가이드(613)는 서로 맞물림으로써 양자의 정확한 장착 위치를 확보하고 원활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하단 측부에는 슬라이드 하우징 블록 장착부(615)가 구비되고, 이는 하기되는 슬라이딩 가동 블록(630)의 슬라이드 가동 블록 하우징 장착부(635)와 맞물림 내지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슬라이딩 가동 블록(630) 간의 정확한 위치 상태 확보 및 장착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은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맞물리어 슬라이딩 하우징(610)과 함께 가동된다.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중앙에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 관통구(631)이 형성되는데, 슬라이드 가동 블록 관통구(631)를 통하여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하면 및 하우징 베이스(130)에 형성되고 하기되는 노브 틸팅부(350)의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은 하우징 베이스(130)의 일면 상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은 슬라이드 하우징(610)에 맞물리어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함께 가동된다. 상기한 스위치 노브부(300)는 노브 틸팅부(3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노브 틸팅부(350)는 스위치 노브부(3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스위치 노브부(300) 및 슬라이드 하우징(610) 및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를 원위치 복귀시킨다. 노브 틸팅부(350)는 노브 틸팅 플런저(3510)와 노브 틸팅 탄성 부재(3520)와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3530)를 구비하는데, 노브 틸팅 플런저(3510)는 하우징부(100)에 스위치 노브부(300)를 향하여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노브 틸팅 탄성 부재(3520)는 노브 틸팅 플런저와 접하고 노브 틸팅 플런저(3510)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3530)는 슬라이드부(600),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노브 틸팅 플런저(3510)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노브 틸팅 플런저(3510)는 로드 타입으로 구성되고 하우징부(100)에 형성되는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부(3550)에 수용된다.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부(3550)는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3551)와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 관통구(3553)을 구비하는데,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3551)는 요홈 타입으로 형성되고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 관통구(3553)은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부(3550)의 스위치 노브부(300)를 향한 단부에 형성된다. 노브 틸팅 플런저(3510)는 노브 틸팅 플런저 바디(3511)와 노브 틸팅 플런저 돌기(3513)와 노브 틸팅 플런저 탄성 부재 수용구(3515)를 구비하는데, 노브 틸팅 플런저 돌기(3513)는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 관통구(3553)를 통하여 스위치 노브부(300)를 향하여 배치되고 노브 틸팅 플런저 탄성 부재 수용구(3513)은 노브 틸팅 플런저 돌기(3513)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3551)에는 노브 틸팅 플런저 탄성 부재(3520)이 배치된다.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 플레이트(3540)가 더 구비되는데,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 플레이트(3540)는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부(3550)의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3551)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한다. 노브 틸팅 플런저 탄성 부재(3520)의 일단은 노브 틸팅 플 런저 수용구(3551)의 내측 단부에 의하여 그리고 노브 틸팅 플런저 탄성 부재(3520)의 타단은 노브 틸팅 플런저 수용구 플레이트(3540)에 의하여 지지되고 노브 틸팅 플런저(3510)는 노브 틸팅 플런저 탄성 부재(352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3530)은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35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 틸팅점(3531)과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 경사부(3533)을 구비한다. 노브 틸팅 플런저(3510)의 노브 틸팅 플런저 돌기(3513)가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3530)와 접촉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3530), 궁극적으로 슬라이드 하우징(610), 보다 궁극적으로 스위치 유니트부(300)에 소정의 원위치 유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고 외력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부(300)가 디렉셔널 운동을 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스위치 노브부(30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슬라이드 하우징과 슬라이드 가동 블록은 원위치 유지 내지 디렉셔널 운동 후 원위치 복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620)는 슬라이드 하우징(610)과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슬라이드 가이드(620)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슬라이드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드 가이드(6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와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6220)을 구비하는데, 하우징 바디(120)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6220)에 의하여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 셔널 운동시 스위치 노브부(300)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의 슬라이드 운동이 허용된다.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6220)는 하우징 바디(120)의 중앙 영역으로 하우징 바디 노브 관통구(123)가 형성되는 영역의 외곽에는 인쇄회로기판(200)에 평행한 평면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를 수평 지지한다.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는 링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이는 일예로서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의 형상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의 중앙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 관통구(6211)가 형성되는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 관통구(6211)는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하단이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을 향하여 관통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에는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슬라이드 운동, 궁극적으로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의 일면, 즉 슬라이드 하우징(610)을 향한 일면에는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6213)이 배치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6210)의 타면, 즉 슬라이드 하우징(610)을 향한 타면에는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6215)가 배치된다. 또한, 슬라이드 하우징(610)의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6213)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 대응부(617)가 배치되고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6220)의 일면으로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6215)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 대응부(6221)가 배치된다.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6213)와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 대응부(617)은 서로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6215)와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 대응 부(6221)은 서로 가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바디 제 1 및 제 2 가이드(6213,6215)은 돌기 구조를 이루고 가이드 바디 제 1 및 제 2 가이드 대응부(617,6221)은 요홈 구조를 이루는데, 이는 일예로서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6213)와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6215)는 서로 직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6213)와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6215)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00)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서로 직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스위치 노브부(300)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의 어떠한 위치 확보를 이루되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운동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운동시 슬라이드부(600)와 과도한 작동을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슬라이드부(600)는 슬라이드 스톱퍼(640,65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데, 슬라이드 스톱퍼(640,650)는 슬라이드부(600),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과도한 위치 변동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드 운동을 제한한다. 도면 부호 650으로 지시되는 슬라이드 스톱퍼(650)는 하우징 베이스(130)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베이스(13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슬라이드 스톱퍼(650)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슬라이드 운동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드 스톱퍼(650)의 내측에는 슬라이드 스톱퍼 탄성부(651)가 더 구비되어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과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 부호 640으로 지시되는 다른 슬라이드 스톱퍼(640)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하단 외주면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하단 외주면에 슬라이드 스톱퍼(640)가 링 타입으로 삽입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는데,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하단부에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 스톱퍼 지지부(637)가 구비되어 슬라이드 스톱퍼(640)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렉셔널 스위치부(700)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 및 디렉셔널 스위치(710)를 구비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는 슬라이드부(600),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외주에 연장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71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시, 즉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슬라이드 운동시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도 함께 가동되어 복수 개가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710)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디렉셔널 스위치(710)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 가동시키기 이위하여 복수 개의 방향을 감지하는 다방향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로 구현되는 디렉셔널 스위치(71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 작동 상태도가 도시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710)의 단부에는 가동 가능한 디렉셔널 스위치 돌기(711)가 배치되고 이에 가해지는 외력 P에 의하여 디렉셔널 스위치 돌기(711)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압입 가동될 수도 있다. 도 10에는 디렉셔널 스위치의 일에에 대한 부분 상세도가 도시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의 하우징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는 단부가 삼각형 돌기 형상을 구비하고 일면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회동 돌기(713)가 구비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의 하단측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부(7110)와 디렉셔널 스위치 연장부(717)가 배치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부(7110)의 일단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 요홈(7111)이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부(7110)의 대응되는 위치로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 볼(7120)이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 볼(7120)은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 탄성 부재(7130)에 의하여 지지된다. 디렉셔널 시소 탄성 부재(7130)의 일단은 디렉셔널 스위치 시소 볼(7120)을 지지하고 디렉셔널 시소 탄성 부재(7130)의 타단은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7130)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디렉셔널 스위치 연장부(717)의 일면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장착부(718)가 형성되고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장착부(718)에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부(7120)가 배치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부(7120)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7121)와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탄성부(7125)가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7121)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탄성부(7125)를 사이에 두고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장착부(718)에 가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된다.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7121)의 양단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장착부(718)의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한다.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7121)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인쇄회로기판에는 복수 개의 고정 단자(TD,TR,TL)가 배치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7121)의 일면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단자 돌기(7121)가 구비되어 고정 단자와의 접촉이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디렉셔널 스위치(710)의 디렉셔널 스위치 회동 돌기(713)는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이드(715)를 통하여 가이드된다. 즉, 디렉셔널 스위치 회동 돌기(713)는 디렉셔널 스위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회동 돌기(713)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이드(715)에서 θ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A)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다.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외주에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는 본 실시예에서 4개가 구비되고 각각은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 및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디렉셔널 스위치(710)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에 대응하여 인쇄회로기판(200)의 인쇄회로기판 관통구(201)의 주위에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시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은 슬라이드 운동을 수행하고,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슬라이드 운동에 의한 위치 변동으로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과 함께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는 각각의 디렉셔널 스위치(710)는 선택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또한,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의 단부로 디렉셔널 스위치(710)의 디렉 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와 접촉 가능한 일면에는 가동부 요홈(721)이 배치된다. 따라서,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가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와 수직방향으로 접촉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와 가동부 요홈(721)의 접촉 상태를 통하여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의 A방향(도 10 참조)으로의 압입 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따라서,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의 단부와 디렉셔널 스위치(710)의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 방향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는 가동부 요홈(721)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가동 방향이 변화하고 이로 인하여 디렉셔널 스위치의 고정 단자의 접촉 위치를 변화시켜 소정의 변화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디렉셔널 운동의 변화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의 외주에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 720R,L,F,B)가 배치되고 이의 대응되는 위치에 디렉셔널 스위치(710;710R,L,F,B)가 배치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의 일면으로 디렉셔널 스위치(710)를 향한 단부에 가동부 요홈(721)이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부(3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스위치 노브부(300) 및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은 정위치를 구비한다. 스위치 노브부(3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예를 들어 도 14에서와 같이 좌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위치 노브부(300)와 연결되는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도 좌측으로 가동된다. 이때, 슬라이드 가동 블록(630)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L)는 좌측의 디렉셔널 스위치(710L)를 압입 가동시킨다. 도면 부호 710L으로 지시되는 디렉셔널 스위치(710L)로부터의 변화된 전기적 신호는 인쇄회로기판(200)을 통하여 제어부(미도시) 및/또는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된다. 또한, 도 15에는 전후좌우 일방향이 아닌 전방 좌측 대각선 방향으로 스위치 노브부(300)가 가동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F,L)은 각각 디렉셔널 스위치(710F,L)과 접촉하여 가동된다. 이때, 접촉 초기에 각가의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F,L)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동부 요홈(721)과 디렉셔널 스위치(710F,L)의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F,L)이 맞물리어 접촉되고 대각선 방향으로 스위치 노브부(300)가 디렉셔널 운동을 이루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710F,L)의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F,L)는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의 접촉 상태 변화로 소정의 변화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가동부 요홈(721)이 복수 개(722,723)가 구비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711)와의 접촉 상태 변화를 보다 원활하게 유도할 수도 있다. 즉,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720)의 단부에 복수 개가 일렬로 형성됨으로써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 방향이 전화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와 복수 개의 가동부 요홈 간의 접촉 상태로 인하여 디렉셔널 스위치 접촉 돌기는 접촉 상태가 전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스위치 노브부의 작동 상태 변화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슬라이드부와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통하여 제어되는 제어 대상으로서의 작동 유니트의 작동 상태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광출력부(11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광출력부(1100)는 광출력 기판(200b) 및 광출력 램프(11300)을 구비한다. 광출력 기판(200b)은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커버(110)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광출력 기판(200b)의 중앙에는 광출력 기판 관통구(201b)가 형성되어 스위치 노브부(300)의 관통 배치를 형성한다. 광출력 램프(11300)는 광출력 기판(200b)의 일면으로 상부를 향하여 배치된다. 광출력 램프(11300)는 LED 램프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인쇄회로기판 등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광출력 기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광출력 램프(11300)가 가동될 수 있다. 광출력부(1100)는 광출력 램프(11300)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보다 적절하게 출사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광출력 광전달부(11100,11200)를 구비할 수 있는데, 광출력 광전달부(11100,11200)는 광출력 광전달 바디(11100)와 광출력 광전달 링(11200)를 구비하고 경우에 따라 광출력 광전달 바디와 광출력 광전달 링은 서로 상이한 자체적 색상을 갖는 투명 내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들은 광출력 램프(11300)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보다 적절하게 분산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빛의 직사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하고 사용자에 의한 신속한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광출력 램프(1130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 수 개의 색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출력되는 빛의 색상 내지 강도를 통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게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또는 이를 통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으로서의 작동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보다 신속하게 인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사용자로 하여금 스위치 노브부의 로터리 동작시 촉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능동적 소자로서의 햅틱 액츄에이터를 구비할 수도 있고, 수동적 소자로서 디텐트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광센서 타입 이외에 자기 센서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예에 따른 스위치 노브부(300-1)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18에는 도 17의 스위치 노브부(300-1)에 대한 선 Ⅱ-Ⅱ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노브 커버(310-1)는 노브 바디(330-1)와 체결되어 노브 바디(330-1)의 상단을 폐쇄한다. 노브 바디(330-1)의 외주에는 노브 바디 그립부(333-1)가 배치된다. 노브 바디(330-1)의 중앙에는 노브 바디 관통구(3303-1)가 형성되는데, 노브 바디 관통구(3303-1)를 통하여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1)가 관통 배치되고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1)의 일단은 노브 하우징(340-1;3410-1,3420-1)의 내부로 배치된다. 푸시 스위치 가동부(520-1)가 스위치 노브부(30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수직 가도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푸시 가동부(520-1)의 일단은 노브 바디(330-1)와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노브 바디(330-1)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수직력은 푸시 가동부(520-1)로 전달된다. 푸시 가동부(520-1)의 외주에는 반 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푸시 가동부 연장부(521-1)가 배치되고 푸시 가동부 연장부(521-1)의 수직 방향 가동에 의하여 푸시 스위치(510-1)가 가동된다. 푸시 가동부(520-1)의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1)는 이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1)의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1)의 외주에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 돌기(412-1)가 배치되어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1)의 편심으로 인하여 푸시 가동부의 관통구와의 접촉으로 인한 회동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1)의 하단에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 스톱퍼(416-1)가 배치되고 푸시 가동부 관통구의 하단에 단턱이 형성되는데, 이에 의하여 로터리 스위치의 상방향으로의 과도한 인출이 방지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1)의 상단에도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 상단 스톱퍼(413-1)가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브 바디의 단턱으로 인하여 양자는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1)의 상단에는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 장착부(414-1)가 배치되고 노브 샤프트(360-1)를 통하여 노브 바디(330-1)와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410-1)는 서로 맞물리어 축방향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로터리 스위치 샤프트 바디(411-1)의 하단에는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 장착부(415-1)가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420-1)는 로터리 스위치 자기 센서(421-1)와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423-1)를 구비하는데,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423-1)는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 장착부(415-1)에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노브 인쇄회로기판(200a-1)에는 로터리 스위치 자기 센서(421-1)가 배치된다. 즉, 노브 바디(330-1)의 회동에 의하여 로터리 스위 치 샤프트(410-1)도 함께 회동하고 이에 배치된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423-1)의 회동에 한 자기장의 변화로 로터리 스위치 자기 센서(421-1)의 전기적 신호가 변화되고 이는 인쇄회로기판 등을 통하여 제어부 및/또는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노브 바디(330-1) 측에는 디텐트부(900)가 배치되는데, 디텐트부(900)는 디텐트 로테이터(940)와 디텐트 볼(920)과 디텐트 탄성 부재(930)와 디텐트 바디(910)를 구비하는데, 디텐트 로테이터(940)는 노브 바디(330-1)와 일체로 형성된다. 디텐트 로테이터(940)는 요홈 타입으로 구성되고 이에 코일 스프링 타입의 디텐트 탄성 부재(930)가 배치된다. 디텐트 탄성 부재(930)의 일단은 디텐트 로테이터(940)의 내측 단부로 지지되고 타단은 디텐트 볼(920)과 접하여 디텐트 볼(920)을 탄성 지지한다. 디텐트 바디(910)는 푸시 가동부(520-1)와 함께 축방향 회동이 제한되도록 배치되는데, 디텐트 바디(910)는 푸시 가동부(520-1)와 연결되는 디텐트 바디 샤프트(911)와, 디텐트 바디 샤프트(91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디텐트 바디 연장부(913)를 구비한다. 디텐트 바디 연장부(913)의 일면에는 디텐트 돌기(915)가 형성되는데, 디텐트 돌기(915)는 디텐트 볼(920)과 접한다. 따라서, 스위치 노브부(300-1)의 노브 바디(330-1)가 회동하는 경우 디텐트 로테이터(940)에 수용되는 디텐트 탄성 부재(93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디텐트 볼(920)은 회동 운동을 이루며 축방향 회동이 제한되는 디텐트 바디(910)의 디텐트 돌기(915)와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디텐트 돌기(915)는 소정의 설계 각도의 산을 이루는 구조를 취하여 사용자가 노브 바디(330-1)를 회동하는 경우 소정의 디텐트 감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회동량을 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통합적 구현 상태로서의 복합 스위치 장치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스위치 장치(1)는 로터리 스위치부(400), 푸시 스위치부(500), 디렉셔널 스위치부(700) 및 버튼 스위치부(1000)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와, 제어부(20)와, 저장부(30)를 구비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연산부(40)를 더 포함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의 스위치부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은 제어부(20)로 전달되고 제어부(20)는 이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저장부(30)에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통하여 선택하고 조작하여 작동시키고자 하는 작동 유니트에 대한 소정의 작동 모드 구현, 예를 들어 공조 장치의 작동 온도 조절 모드, 시트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시트 위치 조절 모드 등과 같은 작동 모드에 대한 사전 설정된 사전 설정 데이터와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부(40)에서의 소정의 연산 과정을 거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산출하고 이를 출력부로 전달한다. 출력부로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구비되는 햅틱 액츄에이터(800)를 포함할 수도 있고, 별도의 화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50) 및/또는 음향 출력을 위한 음향 출력부(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직접 제어 대상으로서의 대상 작동 유니트(70), 예를 들어 자동차의 공조 장치, 네비게이션, 자동차 시트 액츄에이터 등과 같은 작동 유니트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 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구비되는 햅틱 액츄에이터는 전기 모터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디렉셔널 스위치부 및 슬라이드 유니트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에 대한 도 1의 선 Ⅰ-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하우징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푸시 스위치부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슬라이드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슬라이드부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디렉셔널 스위치부의 디렉셔널 스위치(710)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 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디렉셔널 스위치부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의 변형예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의 디렉셔널 스위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트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의 제어 구성을 위한 개략적인 블록 선도이다.
도 17 및 도 1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다른 예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복합 스위치 장치 10...복합 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부 200...인쇄회로기판
300...스위치 노브부 400...로터리 스위치부
500...푸시 스위치부 600...슬라이드부
700...디렉셔널 스위치부 800...햅틱 액츄에이터
900...디텐트부 1000...버튼 스위치부
1100...광출력부

Claims (20)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를 포함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슬라이드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과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가 배치되는 슬라이드 가동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가동 블록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일면이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가 상대 운동 가능하게 접하고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관통을 허용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의 타면과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를 상대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의 일면에는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 대응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바디의 타면에는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부의 상기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 대응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 제 1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바디 제 2 가이드는, 상기 스 위치 노브부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서로 직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가동 블록의 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드 스톱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스톱퍼는 상기 슬라이드 가동 블록의 대응 위치로 상기 하우징부 또는 상기 슬라이드 가동 블록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는 복수 개의 방향을 감지하는 다방향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의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일면에는 가동부 요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 요홈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가해지는 외력 제거시 원위치 복귀를 위한 노브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틸팅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스위치 노브부를 향하여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틸팅 플런저와,
    상기 노브 틸팅 플런저와 접하고 상기 노브 틸팅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노브 틸팅 탄성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틸팅 플런저의 단부와 접촉 가능한 노브 틸팅 플런저 대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 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는 상기 노브 바디의 회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로터리 스위치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노브 바디와 함께 회동하는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와,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의 대응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광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노브 바디와 함께 회동하는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와 ,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의 대응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자기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 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는 상기 노브 바디와 연결되는 햅틱 액츄에이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액츄에이터는 전자석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액츄에이터는:
    상기 노브 바디와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가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와,
    상기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주에 코일이 권취되는 햅틱 액츄에이터 보빈과,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햅틱 액츄에이터 코어의 단부와 접촉 가능한 햅틱 액츄에이터 디스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바디에 배치되는 디텐트 로테이터와,
    상기 디텐트 로테이터에 수용되는 디텐트 볼과,
    상기 디텐트 로테이터에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디텐트 볼을 탄성 지지하는 디텐트 탄성 부재와,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볼과 접하는 디텐트 돌기를 구비하는 디텐트 바디를 포함하는 디텐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바디가 상기 노브 하우징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가동 가능한 푸시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출력 기판 및 상기 광출력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광출력 램프를 구비하는 광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20.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의 디렉셔널 운동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를 포함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소정의 작동 모드에 대한 사전 설정 데이터가 사전 설정되어 저장된 저장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1020090038114A 2009-04-30 2009-04-30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101094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114A KR101094034B1 (ko) 2009-04-30 2009-04-30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114A KR101094034B1 (ko) 2009-04-30 2009-04-30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154A true KR20100119154A (ko) 2010-11-09
KR101094034B1 KR101094034B1 (ko) 2011-12-19

Family

ID=4340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114A KR101094034B1 (ko) 2009-04-30 2009-04-30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0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306B1 (ko) * 2010-11-22 2012-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로터리 스위치의 선택 메뉴별 햅틱 필링 차별화 방법
KR20170003006A (ko) * 2015-06-30 2017-01-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EP2518591B1 (en) * 2011-04-25 2018-05-30 LS Automotive Technologies Co., Ltd. Haptic steering wheel switch apparatus and haptic steering wheel switch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8447717A (zh) * 2018-05-18 2018-08-24 广东森下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座椅腰部支撑开关
CN110459426A (zh) * 2019-08-09 2019-11-15 山西中航锦恒科技有限公司 一种平移式开关组件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306B1 (ko) * 2010-11-22 2012-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로터리 스위치의 선택 메뉴별 햅틱 필링 차별화 방법
US8782520B2 (en) 2010-11-22 2014-07-1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differentiating haptic feelings by a select menu of a rotary switch
EP2518591B1 (en) * 2011-04-25 2018-05-30 LS Automotive Technologies Co., Ltd. Haptic steering wheel switch apparatus and haptic steering wheel switch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70003006A (ko) * 2015-06-30 2017-01-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CN108447717A (zh) * 2018-05-18 2018-08-24 广东森下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座椅腰部支撑开关
CN108447717B (zh) * 2018-05-18 2023-12-29 广东森下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座椅腰部支撑开关
CN110459426A (zh) * 2019-08-09 2019-11-15 山西中航锦恒科技有限公司 一种平移式开关组件
CN110459426B (zh) * 2019-08-09 2024-03-29 山西中航锦恒科技有限公司 一种平移式开关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034B1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925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US8035043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KR101151161B1 (ko) 스위치 유니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장치
KR101093943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모듈
KR101094034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101698647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EP2590196A1 (en)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4359478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スイッチ装置
KR101171454B1 (ko) 복합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차량 엔진 시동 제어 방법
KR101097020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102161486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100083984A (ko) 차량용 변속 레인지 스위치 장치
KR20160052897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190381B1 (ko) 햅틱 스위치 장치
JP2006012695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KR20120075003A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464058Y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KR101083139B1 (ko) 스위치 유니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장치
JP2005122290A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JP6231424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157769B1 (ko) 마우스 햅틱 장치
JP2015076290A (ja) 力覚付与型多方向入力装置
JPH11162299A (ja) 多機能型操作要素
JP2005122294A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