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685A -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금속 가공액 및 금속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금속 가공액 및 금속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685A
KR20180115685A KR1020187022373A KR20187022373A KR20180115685A KR 20180115685 A KR20180115685 A KR 20180115685A KR 1020187022373 A KR1020187022373 A KR 1020187022373A KR 20187022373 A KR20187022373 A KR 20187022373A KR 20180115685 A KR20180115685 A KR 20180115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xylic acid
water
oil composition
metal work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데 다니노
히데오 스기이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41/06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n organic nitrogen-containing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26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 C10M129/28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129/38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8 or more carbon atoms
    • C10M129/44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8 or more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33/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33/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133/06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133/08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3/00Lubric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more than 10%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26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 C10M129/28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129/38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8 or more carbon atoms
    • C10M129/40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8 or more carbon atoms mono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33/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33/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 C10N2240/4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기재(A)를 3.5∼20질량%, 적어도 1종의 탄소수 10∼24의 카복실산을 탈수 축합시킨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또는 해당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과 카복실산(B')의 혼합물(B2)를 34∼76질량%, 및 아민(C)를 9∼39질량% 포함하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Description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금속 가공액 및 금속 가공 방법
본 발명은 금속을 절삭 및/또는 연삭하는 금속 가공에 이용되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금속 가공액 및 금속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난가공재의 절삭 및/또는 연삭 가공에 사용되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절삭 가공이나 연삭 가공 등의 금속 가공 분야에서는, 가공 효율의 향상, 피가공재와 피가공재를 가공하는 공구의 마찰 억제, 공구의 수명 연장 효과, 절삭 부스러기의 제거 등을 목적으로 해서 금속 가공유가 사용된다. 금속 가공유에는, 광물유, 동식물유, 합성유 등의 유분을 주성분으로 한 것과, 유분에 계면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배합해서 수용성을 부여한 것이 있다. 근래에는, 안전성 등의 이유, 예를 들면 가공 시의 발열 등에 기인하는 화재의 억제를 감안하여, 수용성을 부여한 수용성 금속 가공유가 많이 이용되게 되고 있다.
수용성 금속 가공유에는, 절삭 가공이나 연삭 가공의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 황계, 인계, 염소계 및 유기 금속염 등의 극압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한편, 환경 부하, 인체에 대한 악영향의 염려로부터, 상기 극압제를 배합하지 않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도 검토되고 있고, 예를 들면, 리시놀레산 등의 카복실산의 중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및 4 참조). 이와 같은 카복실산의 중합물은, 예를 들면 염기와 아울러 이용하는 것에 의해, 물에 대한 용해성을 높이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탄소수 18∼20이고 하이드록실기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시 지방산과 탄소수 18∼20의 모노하이드록시 지방산의 중축합물 및 염기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가 개시된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하이드록시 지방산 중축합물과 함께, 식물 유지 및 함질소 환상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성 윤활유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본 특허공개 평3-17749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1-27958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0-19547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5-22017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3 및 4에 개시되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에서는, 가공 곤란성이 높은 난가공재,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을 연삭 가공하는 경우에, 충분한 가공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을 이용하면, 불수용성 금속 가공유제와 동등한 가공 성능, 예를 들면 높은 연삭량을 얻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과제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난가공재의 금속 가공으로의 사용에 적합하고, 또한 불수용성 금속 가공유와 동등한 가공 성능, 예를 들면 높은 연삭 성능을 갖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및 해당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금속 가공액, 및 이들을 이용한 금속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수용성 윤활유 조성물이, 특정한 (A)∼(C) 성분을 필수 성분으로서 특정량 포함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이하의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3]을 제공한다.
[1] 기재(A)를 3.5∼20질량%,
적어도 1종의 탄소수 10∼24의 카복실산을 탈수 축합시킨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또는 해당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과 카복실산(B')의 혼합물(B2)를 34∼76질량%, 및
아민(C)를 9∼39질량%
를 함유하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2] 상기 [1]에 기재된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금속 가공액.
[3] 상기 [1]에 기재된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금속 가공액을 이용하여 금속을 가공하는, 금속 가공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난가공재의 금속 가공으로의 사용에 적합하고, 불수용성 금속 가공유와 동등한 가공 성능을 갖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해당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금속 가공액, 및 이들을 이용한 금속 가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연삭 시험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원액)]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이하, 「원액」이라고도 함)은 이하의 성분(A), 성분(B1) 또는 (B2), 및 성분(C)를 함유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중의 성분(A)∼(C)의 합계 함유량은 100질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기재(A)>
본 실시형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에 포함되는 기재(A)로서, 물 및 기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이용할 수 있다. 기재(A)는 물 혹은 기유만이어도 되고, 물 및 기유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기재(A)로서 사용되는 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증류수, 이온 교환수, 수돗물, 공업용수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기재(A)로서 사용되는 기유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절삭 및/또는 연삭용의 금속 가공유에 포함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유 및 합성유를 들 수 있다.
광유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핀계 원유, 혼합계 원유 혹은 나프텐계 원유를 상압 증류하거나, 혹은 상압 증류의 잔사유를 감압 증류해서 얻어지는 유출(留出)유, 또는 이것을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정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정제유, 예를 들면, 용제 정제유, 수첨 정제유, 탈납 처리유, 백토 처리유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뷰텐, 폴리프로필렌, 탄소수 8∼14의 α-올레핀 올리고머 및 이들의 수소화물, 나아가서는 폴리올 에스터(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지방산 에스터, 펜타에리트리톨의 지방산 에스터 등)나 이염기산 에스터, 방향족 폴리카복실산 에스터, 인산 에스터 등의 에스터계 화합물,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등의 알킬 방향족 화합물,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등의 폴리글라이콜유,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유는 1종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기유로서는, 일반적으로 40℃에서의 동점도가 1∼1000mm2/s, 바람직하게는, 2∼500mm2/s인 것이 이용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점도란, JIS K 2283:2000에 준거해서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은, 기재(A)를 3.5∼20질량%, 바람직하게는 4∼18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17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5∼10질량% 함유한다. 기재(A)의 함유량이 3.5질량% 미만이면, 비용면에서 불리해지고, 또한 원액 안정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또한, 기재(A)의 함유량이 20질량%를 초과하면, 원액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은, 카복실산 유래의 성분으로서, 적어도 1종의 탄소수 10∼24의 카복실산을 탈수 축합시킨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또는 해당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과 카복실산(B')의 혼합물(B2)를 포함한다. 이하, 상세히 기술한다.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본 실시형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탄소수 10∼24의 카복실산을 탈수 축합시킨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을 포함한다. 상기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의 구체적인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2∼22의 카복실산(b1)의 탈수 축합물, 및 탄소수 12∼22의 카복실산(b1)과 해당 (b1)과 상이한 카복실산(b2)의 탈수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2∼22의 카복실산(b1)로서는, 천연 유래의 카복실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천연 유래의 탄소수 12∼22의 카복실산으로서, 예를 들면, 알코올성 수산기와 카복실기와 이중 결합을 1개씩 갖는 불포화 카복실산, 구체적으로는 리시놀레산(12-하이드록시옥타데크-9-엔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천연의 피마자유에 포함될 수 있는 카복실산도 사용할 수 있다.
(b1)과 상이한 카복실산(b2)는 1가 이상의 포화 지방족 카복실산이어도 불포화 지방족 카복실산이어도 된다. 그러나, 탄소수가 작은 카복실산이 미반응물로서 잔류한 경우, 불쾌취나 금속 부식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탄소수 4 이상의 지방족 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족 카복실산의 탄소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30이다.
포화 지방족 카복실산으로서는, 카프로산, 에난트산, 카프릴산, 2-에틸헥산산, 펠라르곤산, 아이소노난산, 카프르산, 네오데칸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및 리그노세르산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지방족 카복실산으로서는, 운데실렌산, 올레산, 엘라이드산, 에루크산, 너본산, 리놀레산, γ-리놀렌산, 아라키돈산, α-리놀렌산, 스테아리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카복실산(b1)과 상이한 카복실산(b2)는 카복실산(b1)로서 선택한 카복실산과 상이하면 되고, 그 탄소수는 카복실산(b1)과 중복되어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10∼24의 지방족 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2∼20의 지방족 카복실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12∼22의 카복실산(b1)의 탈수 축합물은 리시놀레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을 탈수 축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활성 분위기하 200℃ 정도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탈수 축합이 시작되어, 탈수 축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소수 12∼22의 카복실산(b1)과 해당 (b1)과 상이한 카복실산(b2)의 탈수 축합물은 상기 카복실산(b1)에 추가로 카복실산(b2)를 가하여 탈수 축합을 행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탈수 축합물의 중합도는 상기 탈수 축합의 반응 시간에 따라 조정된다. 반응 시간이 길어지면, 중합도가 높은 축합물이 얻어진다.
상기 카복실산의 탈수 축합물의 중합도는 산가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탄소수 10∼24의 카복실산을 탈수 축합시킨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2∼22의 카복실산(b1)의 탈수 축합물, 및 탄소수 12∼22의 카복실산(b1)과 해당 (b1)과 상이한 카복실산(b2)의 탈수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5∼100mgKOH/g,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mgKOH/g, 더 바람직하게는 30∼90mgKOH/g이다.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의 산가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해, 우수한 가공 성능, 예를 들면 높은 연삭량을 달성할 수 있다.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의 산가가 5mgKOH/g을 하회하면,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자체의 점도가 상승하여, 가공 불량이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얻어진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이 갖는 유리 수산기는 임의의 카복실산으로 캡핑되어 있어도 된다. 캡핑에 이용되는 카복실산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과 카복실산(B')의 혼합물(B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은, 카복실산 유래의 성분으로서, 상기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과 카복실산(B')의 혼합물(B2)를 포함하는 태양도 취할 수 있다. 카복실산(B')는 불포화 카복실산, 포화 카복실산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직쇄상 구조, 분기 구조 또는 환상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총탄소수 4∼30의 모노카복실산 및 다이카복실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톨유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혼합물(B2)에 있어서의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과 카복실산(B')의 혼합비는 본원의 효과가 얻어지도록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탄소수 10∼24의 카복실산을 탈수 축합시킨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또는 해당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과 카복실산(B')의 혼합물(B2)를 34∼76질량% 함유한다.
성분(B1) 또는 성분(B2)의 함유량이 34질량% 미만이면, 가공 성능, 예를 들면 연삭량이 뒤떨어진다. 또한 상기 함유량이 76질량%를 초과하면,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원액 안정성, 희석액 안정성 또는 그 쌍방이 유지되지 않는다. 또한, 핸들링성도 뒤떨어진다.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B1) 또는 성분(B2)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4∼7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9∼7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45∼7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0∼65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0∼55질량%이다.
<성분(C)>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은 성분(C)로서 아민을 함유한다. 아민(C)는, 바람직하게는 수산기를 갖는 아민(C-1)과 수산기를 갖지 않는 아민(C-2)를 포함한다. 수산기를 갖는 아민(C-1)과 수산기를 갖지 않는 아민(C-2)를 병용하는 것에 의해,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또는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과 카복실산(B')의 혼합물(B2)를 비교적 다량으로 배합하더라도,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의 원액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산기를 갖는 아민(C-1)로서는, 모노알칸올아민, 다이알칸올아민, 트라이알칸올아민을 들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화학식(I)로 표시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1
식 중, n은 0∼2의 정수, m은 1∼3의 정수이고, 단 n+m은 3이다. R1은 탄소수 1∼18의 탄화수소기, R2는 탄소수 1∼4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이다. 1분자 중에 복수 있는 R1 또는 R2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알칸올아민의 구체예로서는, 모노아이소프로판올아민, 다이올레일에탄올아민, 다이라우릴프로판올아민, 다이옥틸에탄올아민, 다이뷰틸에탄올아민, 다이에틸에탄올아민, 다이메틸에탄올아민, 다이헥실프로판올아민, 다이뷰틸프로판올아민 등의 모노알칸올아민; 다이에탄올아민, 올레일다이에탄올아민, 사이클로헥실다이에탄올아민, 스테아릴다이프로판올아민, 라우릴다이에탄올아민, 옥틸다이프로판올아민, 뷰틸다이에탄올아민, 메틸다이에탄올아민, 벤질다이에탄올아민, 페닐다이에탄올아민, 톨릴다이프로판올아민, 자일릴다이에탄올아민 등의 다이알칸올아민; 트라이에탄올아민, 트라이프로판올아민, 트라이아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트라이알칸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산기를 갖지 않는 아민(C-2)로서는, 탄소수 1∼30의 직쇄상, 환상 또는 분기상인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알킬아민을 들 수 있다. 또한, 해당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뷰틸기, 헥실기, 사이클로헥실기, 헵틸기, 사이클로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라이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에이코실기, 펜타에이코실기, 도코실기, 트라이코실기, 테트라코실기, 펜타코실기, 헥사코실기, 헵타코실기, 옥타코실기, 노나코실기 및 트라이아콘틸기 등의 알킬기나, 헥센일기, 헵텐일기, 옥텐일기, 노넨일기, 데센일기, 운데센일기, 도데센일기, 트라이데센일기, 테트라데센일기, 펜타데센일기, 헥사데센일기, 헵타데센일기, 옥타데센일기, 노나데센일기, 에이코센일기, 헨에이코센일기, 도코센일기, 트라이코센일기, 테트라코센일기, 펜타코센일기, 헥사코센일기, 헵타코센일기, 옥타코센일기, 노나코센일기 및 트라이아콘텐일기 등의 알켄일기나, 이중 결합을 2개 이상 갖는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를 갖지 않는 아민(C-2)는 1급∼3급 아민 중 어느 것을 이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산기를 갖는 아민(C-1)과 수산기를 갖지 않는 아민(C-2)의 조합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아이소프로판올아민, 다이아이소프로판올아민, 트라이아이소프로판올아민, 및 다이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민(C-1)과, 다이사이클로헥실 아민(C-2)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은 아민(C)를 9∼39질량% 함유한다. 성분(C)의 함유량이 9질량% 미만이면, 내부패성이 저하되고, 또한 원액 안정성이 뒤떨어진다. 성분(C)의 함유량이 39질량%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을 배합상 적게 할 필요가 있어, 원액 안정성이나 금속 가공성, 예를 들면 연삭성을 양립할 수 없게 된다.
성분(C)의 함유량은, 인체에 대한 악영향을 억제하면서, 내부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10∼35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34질량%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를 갖는 아민(C-1)과 수산기를 갖지 않는 아민(C-2)의 질량비 [(C-1)/(C-2)]는, 바람직하게는 0.5∼1.4, 보다 바람직하게는 0.6∼1.3, 더 바람직하게는 0.65∼1.0이다. 질량비 [(C-1)/(C-2)]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의 원액 안정성, 및 해당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금속 가공액의 희석액 안정성이 우수하다.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에 (C) 성분이 배합됨으로써, 조성물에 포함되는 산 성분((B1)이나 (B2) 성분 등)과 염을 형성하고, 조성물에 대한 산 성분의 용해성을 높이는 것에 의해, 우수한 원액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산 성분과 염을 형성하는 염기로서,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염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알칼리 금속염을 이용하지 않는다.
<성분(A), (B1) 및 (B2)의 질량비 관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또는 해당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및 카복실산(B')의 혼합물(B2)와, 기재(A)의 질량비 [(B1)/(A)] 또는 [(B2)/(A)]가, 0.5∼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B1) 또는 (B2)와, 성분(A)의 질량비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해, 충분한 가공 성능, 예를 들면 연삭성과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의 원액 안정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상기 질량비 [(B1)/(A)] 또는 [(B2)/(A)]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16, 특히 바람직하게는 2∼13이다.
<성분(A)와 성분(C)의 질량비 관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민(C)와 기재(A)의 질량비 [(C)/(A)]가 0.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C)와 성분(A)의 질량비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해,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의 원액 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비용면 및 핸들링성이 우수하다. 상기 질량비 [(C)/(A)]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3∼6.5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5∼5.9, 특히 바람직하게는 0.5∼4.5이다.
<성분(B1) 및 (B2)와, 성분(C)의 질량비 관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또는 해당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및 카복실산(B')의 혼합물(B2)와, 아민(C)의 질량비 [(B1)/(C)] 또는 [(B2)/(C)]가, 0.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B1) 또는 (B2)와, 성분(C)의 질량비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해, 충분한 가공 성능, 예를 들면 연삭성과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의 원액 안정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상기 질량비 [(B1)/(C)] 또는 [(B2)/(C)]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2∼7.5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5∼6.9, 특히 바람직하게는 1.0∼6.9이다.
<기타 성분(D)>
본 실시형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에는, 본 실시형태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로 다른 성분(D)를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면 활성제, 윤활성 향상제, 금속 불활성화제, 소포제, 살균제, 방청제 및 산화 방지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양성(兩性)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렌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터 등의 에터, 지방산 알칸올 아마이드와 같은 아마이드를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알킬벤젠 설폰산염, 알파올레핀 설폰산염 등이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알킬트라이메틸암모늄염, 다이알킬다이메틸암모늄염, 알킬다이메틸벤질암모늄염 등의 4급 암모늄염 등이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베타인계로서 알킬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윤활성 향상제)
윤활성 향상제로서는, 피마자유, 유채유 등의 식물유, 라놀린 등의 유지 및 이들의 정제물 등등을 들 수 있다.
(금속 불활성화제, 산화 방지제)
금속 불활성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트라이아졸, 이미다졸린, 피리미딘 유도체 및 싸이아다이아졸, 인산 나트륨염, 인산 에스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알킬화 다이페닐아민, 페닐-α-나프틸아민, 알킬화 페닐-α-나프틸아민 등의 아민계 산화 방지제; 2,6-다이-t-뷰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다이-t-뷰틸페놀), 아이소옥틸-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n-옥타데실-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다이라우릴-3,3'-싸이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황계 산화 방지제; 포스파이트 등의 인계 산화 방지제; 또 몰리브데넘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 소포제, 방청제)
살균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라이아진계 방부제, 알킬 벤즈이미다졸계 방부제, 아이소싸이아졸린계 방부제, 피리딘계 방부제, 페놀계 방부제, 피리싸이온계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소포제로서는, 실리콘계 화합물, 폴리에터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방청제로서는, 예를 들면, 데케인이산(세바스산) 및 네오데칸산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은 상기 성분(D)를 바람직하게는 0.1∼16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1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6질량% 함유한다. 한편, 성분(D)로서 복수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각 성분은 독립적으로 상기 범위로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성분(D)의 함유량이 0.1질량% 이상이면, 예를 들면 방청성, 살균성 및 소포성 등의 각 성분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성분(D)의 함유량을 16질량%이하로 함으로써,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의 원액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중의 성분(A)∼(D)의 합계 함유량은 100질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 성분(A), (B) 및 (C)의 합계 함유량은,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의 전체량(100질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75∼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00질량%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 성분(A), (B), (C) 및 (D)의 합계 함유량은,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의 전체량(100질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90∼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5∼100질량%이다.
<금속 가공액(희석액)>
본 실시형태의 금속 가공액은 본 발명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원액)을 물로 희석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여기에서의 물은 공업용수, 수돗물, 우물물, 이온 교환수, 증류수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을 희석 배율 2.5∼50배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석 배율이 상기 범위이면, 점도가 적절해져 취급하기 쉽고, 또한 끈적거림이 적다. 또 원액 조성물 중의 성분(B1) 또는 (B2) 등의 유효 성분이 충분히 포함되기 때문에, 가공 성능, 예를 들면 연삭성이 우수하다. 상기 희석 배율은 2.5∼20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10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원액) 또는 금속 가공액(희석액)은 금속 가공, 예를 들면 금속의 절삭 및/또는 연삭 가공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금속의 연삭 가공에 이용하는 연삭 가공유로서 사용된다. 피가공 재료가 되는 금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 합금강, 탄소강, 알루미늄 합금, 구리 합금 등을 들 수 있지만, 스테인리스강에 대하여 특히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금속 가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금속 가공 방법>
금속 가공의 종류로서는, 절삭 가공, 연삭 가공, 타발 가공, 연마 가공, 드로잉 가공, 추신(抽伸) 가공, 압연 가공 등의 각종 금속 가공 분야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연삭 가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삭 가공으로서는, 예를 들면, 연삭 벨트에 의해 금속을 연삭 가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한편, 연삭 벨트란, 천, 종이,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형성된 기체(基體) 표면에, 연마재(연마 입자)가 접착된 엔드리스상의 벨트로 이루어지는 연마 공구이고, 연삭 가공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 가능하다. 연마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방법에서 피가공 재료가 되는 금속은 상기한 바와 같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원액) 및 금속 가공액(희석액)은, 연삭성이 양호하여 연삭량을 많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른바 조(粗)연삭에 적합하게 사용 가능하다.
연삭 벨트를 이용한 연삭 가공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듯이, 반송 벨트(4) 등으로 반송되는 피삭재(5)에, 아이들 롤(1) 및 컨택트 롤(2)과 같은 2 이상의 롤러 사이에서 회전 주행하는 연삭 벨트(3) 표면을 압부(押付)하여 행한다. 이때, 벨트가 압부되는 피삭재(5)의 부분(연삭부)에, 본 실시형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원액) 또는 금속 가공액(희석액)(6)이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원액) 또는 금속 가공액(희석액)은, 예를 들면, 반송 벨트(4)의 하방에 설치된 기름 탱크(7)로부터 연삭부에 공급됨과 함께, 연삭부로부터 낙하한 것이 탱크(7)에 되돌려짐으로써 순환하면서 연삭부에 공급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전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평가 방법>
(1) 원액 안정성 평가
각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원액)을 100ml의 투명 유리병에 80ml 넣고, 0℃, 25℃ 및 50℃의 항온조에 24시간 정치해서 외관을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원액 안정성을 평가했다.
(원액 안정성의 평가 기준)
·합격: 분리, 침강·침전, 및 응고 없음
·불합격: 분리, 침강·침전, 또는 응고 있음
(2) 희석액 안정성 평가
각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원액)을, 물 및 염화 마그네슘으로 마그네슘 이온을 200ppm 함유하도록 조정한 마그네슘 조정수(Mg 조정수)로 5용량%로 희석한, 금속 가공액(희석액)의 24시간 후의 외관을 관찰했다.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금속 가공액(희석액)의 희석액 안정성을 평가했다.
(희석액 안정성의 평가 기준)
·합격: 분리, 및 불균일화 없음
·불합격: 분리, 또는 불균일화 있음
(3) 연삭 성능
각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원액)을 물로 10용량%로 희석해서 금속 가공액(희석액)으로 한 후, 이하의 금속 가공을 행했다. 도 1에 개략도로 나타내는 연삭 시험용 장치를 이용하여 연삭성 평가를 행했다. 즉, 도 1에 있어서, 아이들 롤(1)과 컨택트 롤(2) 사이에서 회전 주행하는 연삭 벨트(3)에, 반송 벨트(4) 상에 재치된 피삭재(5)를 압부하고, 한편 연삭부에 상기 금속 가공액(희석액)(6)을 기름 탱크(7)로부터 순환 공급하면서 연삭을 행한다. 1시험당 5매의 피삭재 판을 사용하여, 간격을 띄우지 않고 연속해서 통판(通板)한다. 평가 항목 및 시험 조건은 이하와 같다.
(평가 항목)
상기 시험을 합계 100패스 행하고, 연삭량을 평가했다. 연삭량이 500g 이상이면, 불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과 동등한 우수한 연삭 성능을 갖는다.
(시험 조건)
·연삭 벨트: 알루미나 80번
·피연삭재: SUS304, 폭 90mm×길이 1,000mm×두께 약 3mm, 1시험마다 5매 통판
·속도: 벨트 속도; 1400m/min, 판 전송 속도; 10m/min
·연마 방법: 다운 컷
·금속 가공액(희석액) 온도: 40℃
·부하: 1.5hp/inch(벨트 압부력을 일정하게 평가)
실시예 1∼8 및 비교예 1∼6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배합 재료 및 비율로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원액)을 조제하고, 전술한 대로, 각종 성능(연삭성, 원액 안정성 및 희석액 안정성)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각 조성물 배합량의 단위는 「질량%」이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1 및 2의 배합 재료는 이하대로이다.
<배합 재료>
(1) 기유
·나프텐계 광유(40℃ 동점도: 27.77mm2/s, 100℃ 동점도: 4.210mm2/s: JIS K 2283:2000에 준거해서 측정)
(2) 카복실산 화합물
(B1)
·리시놀레산 탈수 축합물 1: 리시놀레산을 질소 기류하 200℃에서 가열 탈수 축합하고, 추가로 올레산을 가하여 가열 탈수 축합한 축합물, 산가: 90mgKOH/g, 수산기가: 15mgKOH/g, 비누화가: 195mgKOH/g.
·리시놀레산 탈수 축합물 2: 리시놀레산을 질소 기류하 200℃에서 가열 탈수 축합한 축합물, 산가: 34mgKOH/g, 수산기가: 28mgKOH/g, 비누화가: 198mgKOH/g.
(B') 카복실산: 톨유 지방산
(3) 기타 성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1(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렌 에터, HLB: 13)
실시예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은 연삭 성능, 원액 안정성 및 희석액 안정성의 각 성능 모두에 있어서 양호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난가공재의 금속 가공에 사용하여, 생산성을 높일 목적으로 연삭량을 많게 한 경우여도, 불수용성 금속 가공유와 동등한 가공 성능을 갖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및 해당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금속 가공액은 절삭 또는 연삭 가공, 그 중에서도 연삭 벨트를 이용한 연삭 가공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아이들 롤 2: 컨택트 롤
3: 연삭 벨트 4: 반송 벨트
5: 피삭재
6: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원액) 또는 금속 가공액(희석액)
7: 기름 탱크

Claims (12)

  1. 기재(A)를 3.5∼20질량%,
    적어도 1종의 탄소수 10∼24의 카복실산을 탈수 축합시킨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또는 해당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과 카복실산(B')의 혼합물(B2)를 34∼76질량%, 및
    아민(C)를 9∼39질량%
    를 함유하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0∼24의 카복실산이 리시놀레산인,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의 산가가 5∼100mgKOH/g인,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민(C)로서, 수산기를 갖는 아민(C-1)과 수산기를 갖지 않는 아민(C-2)를 포함하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또는 해당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및 카복실산(B')의 혼합물(B2)와, 기재(A)의 질량비 [(B1)/(A)] 또는 [(B2)/(A)]가, 0.5∼30인,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민(C)와 기재(A)의 질량비 [(C)/(A)]가 0.1∼7.0인,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또는 해당 카복실산 탈수 축합물(B1) 및 카복실산(B')의 혼합물(B2)와, 아민(C)의 질량비 [(B1)/(C)] 또는 [(B2)/(C)]가, 0.1∼8. 0인,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의 연삭 가공에 이용하는 연삭 가공유인,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인리스강의 가공에 이용하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을 물로 희석한, 금속 가공액.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금속 가공액을 이용하여 금속을 가공하는, 금속 가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연삭 벨트에 의해 금속을 연삭 가공하는, 금속 가공 방법.
KR1020187022373A 2016-02-16 2017-02-15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금속 가공액 및 금속 가공 방법 KR201801156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27229 2016-02-16
JP2016027229 2016-02-16
PCT/JP2017/005590 WO2017141989A1 (ja) 2016-02-16 2017-02-15 水溶性金属加工油組成物、金属加工液及び金属加工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685A true KR20180115685A (ko) 2018-10-23

Family

ID=5962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373A KR20180115685A (ko) 2016-02-16 2017-02-15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금속 가공액 및 금속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79009B2 (ko)
KR (1) KR20180115685A (ko)
CN (1) CN108603135A (ko)
TW (1) TW201736587A (ko)
WO (1) WO2017141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0492B2 (ja) * 2019-03-26 2024-02-13 出光興産株式会社 水溶性金属加工油組成物、水溶性金属加工油組成物の製造方法、金属加工液及び金属加工方法
WO2020196585A1 (ja) * 2019-03-26 2020-10-01 出光興産株式会社 水溶性金属加工油組成物
CN113122358A (zh) * 2020-01-16 2021-07-16 出光兴产株式会社 水溶性金属加工液组合物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9891A (en) * 1981-03-27 1982-10-02 Yushiro Do Brazil Ind Chem Ltd Water-soluble cutting/grinding oil
JPH02113082A (ja) * 1988-10-20 1990-04-25 Daido Kagaku Kogyo Kk 水溶性切削、研削用組成物
JP5487516B2 (ja) * 2009-10-07 2014-05-07 協同油脂株式会社 水溶性金属加工油剤
JP5654229B2 (ja) * 2009-11-30 2015-01-14 出光興産株式会社 水溶性金属加工油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5965134B2 (ja) * 2011-11-17 2016-08-03 出光興産株式会社 水溶性金属加工油剤、金属加工液、及び金属加工方法
JP5890152B2 (ja) * 2011-11-17 2016-03-22 出光興産株式会社 水溶性金属加工油剤、金属加工液、及び金属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79009B2 (ja) 2021-12-08
JPWO2017141989A1 (ja) 2018-12-06
CN108603135A (zh) 2018-09-28
TW201736587A (zh) 2017-10-16
WO2017141989A1 (ja)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8428B2 (ja) アミンを含まずvocを含まない金属加工液
WO2014080884A1 (ja) 水溶性金属加工油剤、金属加工液、及び金属加工方法
JP5487516B2 (ja) 水溶性金属加工油剤
CZ209694A3 (en) Lubricants for chain conveyor belts and their use
KR20180115685A (ko) 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금속 가공액 및 금속 가공 방법
JP6827422B2 (ja) 水溶性金属加工油組成物
WO2009122875A1 (ja) 水溶性金属加工用潤滑剤
JP6009378B2 (ja) 水溶性金属加工油剤および金属加工用クーラント
JP4531882B2 (ja) 水溶性金属加工油剤
WO2016125761A1 (ja) 水溶性金属加工油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10382673B (zh) 脆性材料加工液
WO2015146909A1 (ja) 水溶性金属加工油および金属加工用クーラント
CN113574152B (zh) 水溶性金属加工油组合物
WO2020196545A1 (ja) 水溶性金属加工油組成物、水溶性金属加工油組成物の製造方法、金属加工液及び金属加工方法
KR20180127988A (ko) 불수용성 금속 가공유 조성물
TW202146635A (zh) 水溶性金屬加工油組成物、水溶性金屬加工油組成物之製造方法、金屬加工液及金屬加工方法
TW201441362A (zh) 水性金屬加工油劑
EP0148274B1 (en) Composition for use in metal working
JP5571971B2 (ja) 金属加工油組成物
JP2020186358A (ja) 水溶性金属加工液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141499A (ja) 金属加工油剤組成物
WO2023106341A1 (ja) 水溶性金属加工油剤
CN115210347A (zh) 水溶性金属加工液组合物及其使用方法
CN111868219A (zh) 脆性材料加工液组合物
JPH0222397A (ja) 水溶性潤滑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