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635A - 수세변기장치, 세정수 탱크장치 및 국부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수세변기장치, 세정수 탱크장치 및 국부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635A
KR20180115635A KR1020180042785A KR20180042785A KR20180115635A KR 20180115635 A KR20180115635 A KR 20180115635A KR 1020180042785 A KR1020180042785 A KR 1020180042785A KR 20180042785 A KR20180042785 A KR 20180042785A KR 20180115635 A KR20180115635 A KR 20180115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supply path
toilet
bubbl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334B1 (ko
Inventor
히로노리 사사키
아키히로 네기시
도모노리 우치야마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ush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8Bowls with means producing a flushing water swir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1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flushing 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수세변기장치는 변기와, 급수밸브를 개재시켜 수도의 수전에 접속되며 변기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경로와, 급수경로 상에 설치되며 급수경로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급수경로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 없이 급수경로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기포수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발생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수세변기장치, 세정수 탱크장치 및 국부세정장치{A FLUSH TOILET DEVICE, A FLUSHING WATER TANK, AND A LOCAL CLEAN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수세변기장치, 세정수 탱크장치 및 국부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세화장실 설비 등에서는 예를 들어 변기 내에 공급되는 물속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변기 내의 세정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 구성에서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이 복잡해지기 쉬웠다.
특허공개 2011-256708호 공보
그래서 간단한 구성이며 또한 세정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수세변기장치, 세정수 탱크장치, 세정변좌 및 휴대용 국부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실시형태의 수세변기장치는, 변기와 급수밸브를 개재시켜 수도의 수전에 접속되어 상기 변기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경로와, 상기 급수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경로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상기 급수경로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 없이 상기 급수경로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기포수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발생기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의 세정수 탱크장치는 변기의 세정수를 저류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도의 수전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탱크내에 공급하는 급수구부와, 상기 수전으로부터 상기 급수구부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경로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상기 급수경로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 없이 상기 급수경로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기포수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발생기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의 국부세정장치는 국부의 세정을 수행하기 위한 물을 방출하는 국부세정용 노즐과, 수원으로부터 상기 국부세정용 노즐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경로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상기 급수경로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 없이 상기 급수경로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기포수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발생기를 구비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수세변기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수세변기장치에 대하여 미세기포 발생기의 부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수세변기장치에 대하여 미세기포 발생기에서 발생한 미세기포수에 포함되는 미세기포의 입자직경마다의 개수 분포를 그래프로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미세기포 발생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류측에서 본 미세기포 발생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미세기포 발생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류측에서 본 미세기포 발생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미세기포 발생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류측에서 본 미세기포 발생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미세기포 발생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7의 X8-X8선을 따라 절단한 미세기포 발생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8에 대해 갭 영역, 슬릿 영역 및 세그먼트 영역을 구별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미세기포와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그 1).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미세기포와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그 2).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미세기포와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그 3).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미세기포와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그 4).
도 14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미세기포와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그 5).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수세변기장치에 대하여 미세기포 발생기의 부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수세변기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수세변기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제5 실시형태에 의한 수세변기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9는 제6 실시형태에 의한 수세변기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0은 제7 실시형태에 의한 세정수 탱크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제8 실시형태에 의한 국부세정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2는 제8 실시형태에 의한 국부세정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3은 제9 실시형태에 의한 국부세정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복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세변기장치(10)는 세정수를 저류하는 탱크를 구비하지 않은 소위 탱크리스 수세변기장치를 상정하고 있다. 수세변기장치(10)는 변기(11), 메인급수관(12), 변기통용 급수관(13), 림용 급수관(14), 급수밸브(15) 및 세제공급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변기(11)는 일반적인 변기와 마찬가지의 형태이며, 변기통(111)과 변기통(111)의 상단의 외주부분에 설치된 림(112)을 갖고 있다.
메인급수관(12)은 급수밸브(15)를 개재시켜 수세변기장치(10)의 외부의 수원인 수도의 수전(1)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급수관(12)의 하류측의 단부는 2개로 분기하여 변기통용 급수관(13)과 림용 급수관(14)에 접속되어 있다. 변기통용 급수관(13)은 수전(1)으로부터 급수밸브(15) 및 메인급수관(12)을 통해 공급된 수돗물을 변기(11)의 변기통(111) 내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림용 급수관(14)은 수전(1)으로부터 급수밸브(15) 및 메인급수관(12)을 통해 공급된 수돗물을 변기(11)의 림(112)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전(1)으로부터 급수밸브(15) 및 메인급수관(12)을 통과하고, 변기통용 급수관(13)을 거쳐 변기통용 급수관(13)의 토출부(131)로부터 변기통(111)에 이르는 경로를 변기통용 급수경로(A)라고 칭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전(1)으로부터 급수밸브(15) 및 메인급수관(12)을 통과하고, 림용 급수관(14)을 거쳐 림용 급수관(14)의 토출부(141)로부터 림(112)에 이르는 경로를 림용 급수경로(B)라고 칭한다. 그리고 변기통용 급수경로(A)와 림용 급수경로(B)를 총칭하여 간단히 급수경로(A, B)라고 칭한다.
급수밸브(15)는 메인급수관(12)의 도중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즉, 급수밸브(15)는 변기통용 급수경로(A) 및 림용 급수경로(B)의 도중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급수밸브(15)는 액체용 전자밸브여도 되고 액체용 수동밸브여도 된다. 이 경우, 급수밸브(15)가 전자밸브이면 사용자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리모컨을 조작함으로써 급수밸브(15)를 개폐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밸브(15)가 수동밸브이면 사용자는 급수밸브(1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급수밸브(15)를 개폐구동시킬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6)는 세제공급경로(C)를 개재시켜 변기(11)의 변기통(111) 내 또는 림(11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세제공급장치(16)는 변기(11)의 외부, 예를 들어 변기(11)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다. 세제공급장치(16)는 내부에 소정 양의 세제를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세제공급장치(16) 내에는 사용자에 의해 세제가 투입된다.
세제공급장치(16)는 급수밸브(15)가 열려 급수경로(A, B)를 통해 변기(11) 내에 급수될 때에 그 급수의 전후 또는 급수와 동시에 변기(11) 내에 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한다. 세제공급장치(16)는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세제를 변기통(111)내 또는 림(112)의 적어도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공급한다. 세제공급장치(16)는 예를 들어 모터 등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세제를 공급해도 되고, 수도의 수압을 이용하여 세제를 공급해도 된다.
또한, 수세변기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재(30) 및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하고 있다. 부착부재(30)는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급수경로(A, B) 상에 설치하기 위한 부품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수전(1)으로부터 각 토출부(131, 141)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A, B) 상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밸브(15)의 하류측에 또 변기통용 급수관(13) 및 림용 급수관(14)의 상류측에, 즉 급수밸브(15)로부터 변기통용 급수관(13) 및 림용 급수관(14)에 이르기까지의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메인급수관(12)의 기단부, 즉 급수밸브(15)와 메인급수관(1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재(30)는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납부(31), 제2 수납부(32), 상류측 받이부(33) 및 하류측 받이부(34)를 갖고 있다. 상류측 받이부(33), 제1 수납부(31), 제2 수납부(32) 및 하류측 받이부(34)는 부착부재(30)를 원형 모양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받이부(33, 34), 제1 수납부(31) 및 제2 수납부(32)의 순으로 내경이 작아지고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밸브(15)의 토출부(151)는 부착부재(30)의 상류측 받이부(33)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급수밸브(15)의 토출부(151)는 시일부재(35)를 개재시켜 상류측 받이부(33)와 제1 수납부(31)의 경계 부분에서의 상류측 받이부(33)의 주위, 즉 상류측 받이부(33)의 저부에 걸린다. 시일부재(35)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구성된 O링이다. 즉, 시일부재(35)는 급수밸브(15)의 토출부(151)의 외주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급수밸브(15)의 토출부(151)와 부착부재(30)는 시일부재(35)에 의해 수밀상태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상류측 받이부(33) 내에 설치된 시일부재(35)의 외경을 상류측 받이부(33)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함으로써, 시일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상류측 받이부(33)에 급수밸브(15)의 토출부(151)가 압입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류측 받이부(33)의 내주면과 토출부(151)의 외주면에 서로 감합하는 나사를 형성하고, 토출부(151)를 상류측 받이부(33)에 끼워넣어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메인급수관(12)의 기단부 즉 상류측의 단부는 하류측 받이부(34)내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메인급수관(12)의 기단부는 시일부재(36)를 개재시켜 하류측 받이부(34)와 제2 수납부(32)의 경계 부분에서의 하류측 받이부(34)의 주위, 즉 하류측 받이부(34)의 저부에 걸린다. 시일부재(36)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된 O링이다. 즉, 시일부재(36)는 메인급수관(12)의 기단부의 외주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인급수관(12)의 기단부와 부착부재(30)는 시일부재(36)에 의해 수밀상태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하류측 받이부(34) 내에 설치된 시일부재(36)의 외경을 하류측 받이부(34)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함으로써, 시일부재(36)의 탄성력에 의해 하류측 받이부(34)에 메인급수관(12)의 기단부가 압입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하류측 받이부(34)의 내주면과 메인급수관(12)의 기단부의 외주면에 서로 감합하는 나사를 형성하고, 메인급수관(12)의 기단부를 하류측 받이부(34)에 끼워넣어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부착부재(30) 내에서의 수납부(31, 32) 내에 수납되어 있다.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물 등의 액체가 미세기포 발생기(40)의 내부를 도 2의 실선 화살표방향을 향해 통과할 때에 그 액체의 압력을 급격하게 감압함으로써, 그 액체 중에 용존하고 있는 기체 예를 들어 공기를 석출시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도 1에 도시한 급수경로(A, B)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급수경로(A, B) 상 또는 도중이란 급수경로(A, B)의 상류측 단부부터 하류 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구간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급수경로(A, B)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의 단부도 급수경로(A, B)의 도중이라는 개념에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급수경로(A, B)의 상류 측의 단부는 수전(1)이고, 급수경로(A, B)에서 공통되어 있다.
그리고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A, B)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급수경로(A, B)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 없이 급수경로(A, B)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기포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기포 발생기(40)는 통상의 수압 즉 수도의 압력 이외에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용 펌프 등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기포수란 미세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함으로써 미세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기 이전에 비하여 나노오더의 미세기포를 많이 포함한 물을 말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기포수란 통상의 수돗물에 비하여 나노오더의 미세기포를 많이 포함한 물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나노오더의 미세기포, 예를 들어 입자직경 즉 직경이 500nm 이하인 기포,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250nm 이하인 기포,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100nm 이하인 기포를 포함한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미세기포 발생기(40)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기포의 직경이 모두 100nm 이하일 필요는 없다. 즉, 미세기포 발생기(40)의 작용에 의해 발생한 미세기포 중 직경 500nm 이하에서의 미세기포의 직경마다의 개수의 분포에 대하여 본 경우에, 그 분포의 복수의 피크 중 적어도 1개가 100nm 이하에 있으면 된다. 그리고 이 경우 미세기포의 직경마다의 개수의 분포에서 최대 피크는 직경 5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nm 이하에 있으면 된다.
본원 발명자는 미세기포 발생기(40)에서 생성된 미세기포수를 샘플 채취하고, 그 샘플 채취한 미세기포수를 나노입자 해석장치(NANOSIGHT LM10, 주식회사시마즈제작소 제조)를 이용하여 나노입자 트래킹법(입자궤적 트레이스법이라고도 함)에 의해 해석하고, 이에 의해 1㎖ 당 미세기포의 수를 계측했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기포 발생기(40)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기포는 그 미세기포의 입자직경마다의 개수 분포의 피크(P1 내지 P5)가 모두 입자직경 500nm 이하, 구체적으로는 250nm 이하에 나타나고 있다. 이 경우, 최대 피크(P1)는 입자직경 100nm 이하, 구체적으로는 입자직경 80nm 부근에 나타나고 있다. 또한, 2번째 피크(P2)는 입자직경 140nm 부근에 나타나고 있고, 3번째 피크(P3)는 입자직경 110nm 부근에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4번째 피크(P4)는 입자직경 50nm 정도 부근에 나타나고 있고, 5번째 피크(P5)는 입자직경 220nm 부근에 나타나고 있다.
도 2에서 급수밸브(15)의 토출부(151)로부터 토출된 수돗물은 미세기포 발생기(40) 내를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2의 지면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흐른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미세기포 발생기(40)에 대하여 보면, 도 2의 지면 하측이 미세기포 발생기(40)의 상류 측이 되고, 도 2의 지면 상측이 미세기포 발생기(40)의 하류 측이 된다.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플랜지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직경 및 전체 길이가 수 mm 내지 수십 mm 정도, 구체적으로는 직경이 약 15mm이고 길이가 약 10mm로 소형이다.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납부(31) 및 제2 수납부(32)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예를 들어 수지제이고,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로부재(50, 60)와 충돌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유로부재(50, 60)는 도 7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액체가 통과 가능한 유로(41, 42)를 갖고 있다. 유로(41, 42)는 서로 접속되어 연속하는 1개의 유로를 구성한다.
유로(41, 42)를 연속하는 1개의 유로로 본 경우, 충돌부(70)는 연속하는 유로(41, 4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충돌부(70)는 유로(41, 42)의 단면적을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유로(41, 42)를 통과하는 액체 중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미세기포 발생기(40)는 2개로 분할되어 별체로 구성된 유로부재(50, 60)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로부재(50, 60) 중 상류 측의 유로부재(50)를 상류측 유로부재(50)라고 칭하고, 하류 측의 유로부재(60)을 하류측 유로부재(60)라고 칭한다. 그리고 2개의 유로(41, 42) 중 상류 측의 유로(41)를 상류측 유로(41)라고 칭하고, 하류측의 유로(42)를 하류측 유로(42)라고 칭한다.
상류측 유로부재(5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51), 중간부(52) 및 삽입부(53)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51)는 상류측 유로부재(50)에 있어서의 상류 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플랜지부(51)의 외경 치수는 제1 수납부(31)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작고, 또한 제2 수납부(32)의 내경 치수보다 크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세기포 발생기(40)가 부착부재(30)에 장착된 경우에 플랜지부(51)는 시일부재(37)를 개재시켜 제1 수납부(31)와 제2 수납부(32)의 경계부분에 있서의 제2 수납부(32)의 주위 즉 제1 수납부(31)의 저부에 걸린다. 시일부재(37)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된 O링이고, 제1 수납부(31)의 저부와 플랜지부(5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시일부재(37)는 중간부(52)의 외주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부(52)는 플랜지부(51)와 삽입부(53)의 사이를 접속하는 부분이다. 중간부(52)의 외경 치수는 플랜지부(51)의 외경 치수보다 작고, 또한 도 2에 도시한 제2 수납부(32)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작다. 삽입부(53)는 상류측 유로부재(50)에서의 하류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삽입부(53)의 외경 치수는 중간부(52)의 외경 치수보다 작다.
상류측 유로부재(5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상류측 유로(41)를 갖고 있다. 상류측 유로(41)는 수축부(411)와 스트레이트부(4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축부(411)는 상류측 유로(41)의 입구부분으로부터 하류 측 즉 충돌부(70) 측을 향해 내경이 축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수축부(411)는 상류측 유로(41)의 단면적 즉 액체가 통과 가능한 면적이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서서히 감소하는 이른바 원추형의 테이퍼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412)는 수축부(411)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412)는 내경이 변화하지 않는 즉 유로의 단면적 즉 액체가 통과 가능한 면적이 변화하지 않는 원통형, 이른바 스트레이트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충돌부(70)는 상류측 유로부재(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충돌부(70)는 상류측 유로부재(50)의 하류 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충돌부(7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71), 이 경우 4개의 돌출부(7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71)는 유로(41)의 단면의 둘레방향을 향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간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유로(41)의 단면이라고 한 경우에는 유로(41) 등의 내부를 흐르는 액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즉 도 7의 X8-X8 선을 따른 단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유로(41)의 둘레방향이라고 한 경우에는 유로(41) 등의 단면의 중심에 대한 원주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각 돌출부(71)는 상류측 유로부재(50)의 내주면으로부터 유로(41)의 직경방향의 중심을 향해 돌출한 막대모양 또는 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돌출부(71)는 유로(41)의 직경방향의 중심을 향해 선단부가 뾰족해진 뿔모양이며 밑부분이 반원 기둥형인 막대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71)는 뿔모양의 선단부를 서로 소정 간격만큼 이간한 상태로 맞대어 배치되어 있다. 충돌부(7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돌출부(71)에 의해 유로(41) 내에 세그먼트영역(413)과 갭영역(414)과 슬릿영역(415)을 형성하고 있다. 즉, 각 돌출부(71)는 상류측 유로(41)에서의 스트레이트부(412) 내를 세그먼트영역(413)과 갭영역(414)과 슬릿영역(415)으로 구분하고 있다.
세그먼트영역(413) 및 슬릿영역(415)은 상류측 유로(41)의 둘레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7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류측 유로(41) 내에는 4개의 세그먼트영역(413)이 형성되어 있다. 세그먼트영역(413)은 미세기포의 발생에도 기여하지만, 갭영역(414)이나 슬릿영역(415)의 저항에 의해 감소하는 물의 유량을 보충하는 통수로로서의 역할이 크다. 이 경우, 각 세그먼트영역(413)의 면적은 각각 동일하다.
갭영역(414)은 각 돌출부(71)에 대하여 상류측 유로(41)의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71)의 선단부를 연결한 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다. 갭영역(414)은 상류측 유로(41)의 단면의 중심을 포함하고 있다. 세그먼트영역(413) 및 슬릿영역(415)의 수는 돌출부(71)의 수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충돌부(70)는 4개의 세그먼트영역(413) 및 4개의 슬릿영역(415)을 갖고 있다.
슬릿영역(415)은 상류측 유로(41)의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71)의 사이에 형성된 직사각형모양의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슬릿영역(415)의 면적은 각각 동일하다. 각 슬릿영역(415)은 갭영역(414)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모든 세그먼트영역(413)과 갭영역(414)과 슬릿영역(415)은 서로 연통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류측 유로(41)의 하류 측의 단부는 충돌부(70)에 형성된 세그먼트영역(413)과 갭영역(414)과 슬릿영역(415)에 의해 상류측 유로(41)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충돌부(70)의 하류 측의 단면 즉 상류측 유로부재(50)의 하류 측의 단면(54)은 도 6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류측 유로부재(6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7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하류측 유로(42)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류측 유로부재(60)의 외경 치수는 중간부(52)의 외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하류측 유로부재(6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피삽입부(61) 및 변형부(62)를 갖고 있다.
피삽입부(6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류측 유로부재(60) 내에서 하류측 유로(42)의 상류 측에 형성되어 있다. 피삽입부(6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삽입부(61)의 내경 치수는 상류측 유로부재(50)의 삽입부(53)의 외경 치수보다 약간 크다. 그 때문에 상류측 유로부재(50)의 삽입부(53)는 하류측 유로부재(60)의 피삽입부(61)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변형부(62)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삽입부(61)의 내측면으로부터 하류측 유로부재(60)의 직경방향의 중심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변형부(62)는 하류측 유로(42)의 흐름 방향 즉 하류측 유로부재(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길고 가는 막대모양, 이른바 리브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하류측 유로부재(60)는 4개의 변형부(62)를 갖고 있다. 각 변형부(6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삽입부(61)의 내주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류측 유로부재(50)의 삽입부(53)가 하류측 유로부재(60)의 피삽입부(61) 내에 삽입되면, 변형부(62)는 피삽입부(61)의 외주면에 눌려 변형된다. 이 때문에 삽입부(53)의 주위는 변형부(62)에 의해 억압된다. 이에 의해 상류측 유로부재(50)와 하류측 유로부재(60)는 삽입부(53)와 피삽입부(61)가 서로 압박된 상태로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피삽입부(61)는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해 내경 치수가 연속적으로 서서히 감소하는 이른바 원추형의 테이퍼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피삽입부(61)에 있어서의 상류단부의 내경 치수는 피삽입부(61)에 있어서의 하류단부의 내경 치수보다 크고, 또한 삽입부(53)의 외경 치수보다 크다. 그리고 각 변형부(62)는 테이퍼 관 모양의 피삽입부(61)의 내측면을 따라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해 각 변형부(62)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경사시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피삽입부(61)의 입구측 즉 상류단부의 내경 치수는 삽입부(53)의 외경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삽입부(53)를 피삽입부(61) 내에 삽입하기 쉽다. 그리고 삽입부(53)를 피삽입부(61) 내에 밀어넣으면 삽입부(53)의 외측면이 경사진 변형부(62)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삽입부(53)의 중심과 피삽입부(61)의 중심이 일치하기 쉬워진다. 즉, 이 경우 상류측 유로(41)의 직경방향의 중심과 하류측 유로(42)의 직경 방향의 중심이 일치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결과, 삽입부(53)를 피삽입부(61)에 삽입할 때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변형부(62) 대신에 변형부(62)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삽입부(53)의 외주부에 설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서도 변형부(62)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류측 유로부재(50)의 삽입부(53)가 하류측 유로부재(60)의 피삽입부(61)에 삽입되어 상류측 유로부재(50)와 하류측 유로부재(60)가 서로 접속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부착부재(30)내에 장착된다. 미세기포 발생기(40) 중 하류측 유로부재(60)는 제2 수납부(32) 내에 수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밸브(15)의 토출부(151)에 의해 제1 수납부(31)의 저부측에 억압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세기포 발생기(40)와 부착부재(30)는 수밀상태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급수밸브(15)가 동작하여 미세기포 발생기(40)의 상류단부에 수도압이 인가되면, 상류측 유로(41)로부터 하류측 유로(42)에 걸쳐 수돗물이 흐른다. 수돗물은 기체로서 주로 공기가 용해된 기체 용해 액체이다.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유로(41, 42) 내를 통과하는 물속에 직경 50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 25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경 100nm 이하의 미세기포를 다량으로 발생시킨다. 미세기포 발생기(40)에 의한 미세기포의 발생원리는 다음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미세기포 발생기(40) 내를 통과하는 물은 우선 상류측 유로(41)의 수축부(411)를 통과할 때에 좁혀져서 서서히 유속이 증가해 간다. 그리고 고속류가 된 물이 충돌부(70)에 충돌하여 통과하면 그 물의 압력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그 급격한 압력저하에 의해 생기는 캐비테이션 효과에 의해 수중에 기포가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류측 유로(41)의 스트레이트부(412) 내를 흐르는 물이 충돌부(70)에 충돌하면, 그 물은 돌출부(71)의 주위를 따라 흐름으로써 세그먼트영역(413), 갭영역(414) 및 슬릿영역(415)으로 나누어져 흐른다. 갭영역(414) 및 슬릿영역(415)의 단면적은 세그먼트영역(413)에 비하여 더욱 작기 때문에 갭영역(414) 및 슬릿영역(415)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은 더욱 높아진다.
그러면 갭영역(414) 및 슬릿영역(415)을 통과하는 물에 가해지는 환경압력은 진공에 가까운 상태가 되고, 그 결과 물에 용존하고 있는 공기가 비등상태가 되어 미세기포로서 석출된다. 이에 의해 충돌부(70)를 통과한 물속에 발생하는 기포의 대부분이 직경 50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 25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경 100nm 이하로 미세화됨과 함께 그 미세기포의 양이 증대한다. 이와 같이 미세기포 발생기(40)에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 없이 미세기포를 다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급수밸브(15)가 구동되면 급수밸브(15)가 열려 급수경로(A, B)가 개통된다. 그러면 메인급수관(12)으로부터 변기통용 급수관(13)을 통해 변기통(111) 내에 급수됨과 함께 메인급수관(12)으로부터 림용 급수관(14)을 통해 림(112)에 급수된다. 이에 의해 변기통(111) 내의 오물이 도시하지 않은 배수구를 통해 하수로 배출된다.
이때 급수밸브(15)로부터 메인급수관(12)에 유입된 수돗물은 미세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할 때에 직경 50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 25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경 100nm 이하의 미세기포를 포함한 물 즉 직경이 나노오더인 미세기포를 다량으로 포함한 미세기포수가 되어 변기통(111) 내 및 림(112)에 급수된다.
여기서 세제공급장치(16)는 급수밸브(15)가 열리기 전후 또는 급수밸브(15)가 열리는 것과 동시에 변기통(111) 내 또는 림(112)의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에 세제를 공급한다. 그 때문에 변기통(111) 내 및 림(112)에 급수된 미세기포수는 변기통(111) 내 또는 림(112)에서 세제와 서로 섞인다. 이에 의해 변기통(111) 내 또는 림(112)의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은 미세기포수와 세제가 서로 섞인 세정액에 의해 세정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미세기포는 그 기포의 입자직경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입자직경이 수 ㎛ 내지 50㎛ 정도 즉 마이크로오더인 기포는 마이크로버블 또는 파인버블이라고 불리고 있다. 이에 대하여 입자직경이 수백 nm 내지 수십 nm 이하 즉 나노오더인 기포는 나노 버블 또는 울트라파인버블이라고 불리고 있다.
기포의 입자직경이 수백 nm 내지 수십 nm 이하가 되면 빛의 파장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시인할 수 없게 되어 액체는 투명해진다. 그리고 나노오더의 미세기포는 마이크로오더 이상의 기포에 비하여 총 계면면적이 큰 것, 부상속도가 느린 것, 내부압력이 큰 것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입자직경이 마이크로오더인 기포는 그 부력에 의해 액체 중을 급속히 상승하고, 액체 표면에서 파열하여 소멸되기 때문에 액체 중의 체재시간이 비교적 짧다. 한편, 입자직경이 나노오더인 미세기포는 부력이 작기 때문에 액체 중에서의 체재시간이 길다.
입자직경이 나노오더인 미세기포를 포함한 미세기포수는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한 세제를 이용하지 않고 세정을 수행한 경우에도 수돗물에 비하여 어느 정도의 세정성능의 향상이 예상된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자직경이 나노오더인 미세기포(91)를 계면활성제(92)가 녹은 세정액 중에 혼합함으로써, 미세기포를 포함하지 않는 통상의 세정액으로 세정을 수행한 경우에 비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세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원리라고 생각된다. 즉,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계면활성제(92)는 어느 농도 이상이 되면 계면활성제(92)의 소수기끼리가 모여 미셀화되어 계면활성제(92)의 응집체(93)를 형성한다. 이 응집체(93)의 입자직경은 수십 nm로 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입자직경 500nm 이하의 미세기포(91)는 그 표면이 부의 전하로 대전하여 소수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계면활성제(92)의 소수기를 끌어당긴다.
그 때문에 미셀화된 계면활성제(92)의 응집체(93)를 포함한 세제를 입자직경 500nm 이하의 미세기포(91)를 포함한 미세기포수에 혼합하면, 미세기포(91)의 표면의 소수성 작용에 의해 응집체(93)의 에너지적 안정상태가 무너지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응집체(93)가 흐트러져서 계면활성제(92)의 각 분자가 분산된다. 그리고 분산된 계면활성제(92)의 각 분자는 계면활성제(92)의 소수기와 미세기포(91)의 소수성을 갖는 표면의 상호작용에 의해 미세기포(91)의 표면에 흡착된다. 이에 의해 세정액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92)는 미세기포(91)에 흡착되어 복합체(94)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92)와 미세기포(91)의 복합체(94)는 미세기포(91)의 부력 등에 의해 세정액 중의 광범위에 걸쳐 확산된다. 이 때문에 계면활성제(92)의 각 분자가 예를 들어 변기(11)의 표면에 부착된 기름때성분(95) 등에 접촉할 확률이 큰 폭으로 향상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92)와 미세기포(91)의 복합체(94)가 오염성분(95)에 가까워지면 오염성분(95)의 표면의 소수작용에 의해 계면활성제(92)와 미세기포(91)의 에너지적 안정성이 무너져서 미세기포(91)의 변형이나 파열이 생긴다. 그러면 계면활성제(92)의 각 분자가 분리되어 오염성분(95)에 흡착됨과 함께 미세기포(91)의 파열에 의한 충격 등에 의해 오염성분(95)이 변기(11)의 표면으로부터 떠올라 벗겨지기 쉬워진다.
이때 미세기포(91)의 파열의 충격에 의해 생긴 오염성분(95)과 변기(11)의 표면의 틈새에 계면활성제(92)가 파고 들어가 오염성분(95)의 유화를 촉진시킨다. 그리고 계면활성제(92)는 오염성분(95)을 붙잡아 유화시킴으로써 오염성분(95)을 변기(11)의 표면으로부터 떼고, 이에 의해 세정능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미세기포(91)는 계면활성제(92)의 세정능력을 끌어내게 된다.
또한, 세제공급장치(16)에 이용하는 세제는 계면활성제 외에 중조(重曹)나 구연산 등을 포함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세제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는 천연 유래의 것 또는 인공적으로 생성된 합성 계면활성제의 것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세제는 고형이나 액체, 분체의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세변기장치(10)는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하고 있다.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수도의 수전(1)으로부터 변기(11)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경로(A, B)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A, B)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급수경로(A, B)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 없이 급수경로(A, B)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기포수를 생성한다.
이에 따르면,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급수경로(A, B) 상에 설치함으로써 미세기포를 다량으로 포함한 미세기포수를 변기(11)에 급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세변기장치(10)는 미세기포수와 세제를 혼합시켜 생성된 세정액을 이용하여 변기(11)내를 세정함으로써 통상의 수돗물이나 통상의 수돗물과 세제를 혼합시켜 생성된 세정액에 비하여 세정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A, B)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을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수세변기장치(10)는 외부의 기체를 얻기 위한 흡입밸브나 구동기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미세기포수를 생성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소형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수세변기장치(10)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소형 공간 절약을 도모하면서 세정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미세기포의 발생에 수돗물의 압력 이외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가 절약된다.
또한, 수세변기장치(10)는 외부의 기체를 얻기 위한 흡입밸브나 구동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 흡입밸브나 구동기구 등의 조정이 불필요하고, 나아가 미세기포 발생기(40)의 조정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수세변기장치(10)에 따르면 조립작업이 용이해짐과 함께 조립 후의 조정이나 유지보수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기포 발생기(40)에서 발생된 미세기포수는 림용 급수경로(B)를 통해 림(112)에 급수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이 닿기 어려워 청소하기 어려운 림(112)을 미세기포수를 이용하여 세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청소가 어려운 림(112) 부분을 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지 않으면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기포 발생기(40) 중 상류측 유로부재(50)에 설치된 충돌부(70)에는 높은 수압이 가해진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녹 등을 많이 포함한 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충돌부(70)에 마모나 변형 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미세기포 발생기(40) 중 적어도 충돌부(70)를 갖는 상류측 유로부재(50)는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교환의 가능성이 있는 부품이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미세기포 발생기(40)와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된 부착부재(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부재(30)는 급수경로(A, B)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부착부재(30)를 개재시켜 급수경로(A, B)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착부재(30)를 분해하여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교환할 수 있고, 그 결과 미세기포 발생기(40)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급수경로(A, B)는 급수밸브(15)의 하류 측에 있어서 변기(11)의 변기통(111) 내에 급수하는 변기통용 급수경로(A)와 변기(11)의 림(112)에 급수하는 림용 급수경로(B)의 2개로 분기되어 있다. 그리고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변기통용 급수경로(A)와 림용 급수경로(B)의 분기점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1개의 미세기포 발생기(40)에 의해 변기통용 급수경로(A) 및 림용 급수경로(B)의 양쪽에 미세기포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기통용 급수경로(A) 및 림용 급수경로(B)의 양쪽에 미세기포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2개의 미세기포 발생기(40)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점수의 증대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 수세변기장치(10)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세변기장치(10)는 변기(11) 내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변기(11) 내에 공급된 세제는 변기(11) 내에 있어서 미세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여 미세기포를 다량으로 포함한 미세기포수와 서로 섞인다. 이에 의해 수세변기장치(10)는 미세기포수와 세제가 서로 섞인 세정액에 의해 변기(11) 내를 세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세기포수와 세제의 상승작용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변기(11) 내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세제공급장치(16)는 변기(1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세제공급장치(16)에 세제를 투입할 때에 투입하기 쉬워 취급하기 쉽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예를 들어 메인급수관(12)의 도중부분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메인급수관(12)을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2개로 분할하고, 상류측의 메인급수관(12)과 하류측의 메인급수관(12)의 사이에 미세기포 발생기(40)를 설치하면 된다.
이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미세기포 발생기(40)의 구체적 구성 등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의 하류측 유로부재(60)를 갖고 있지 않다. 이 경우, 하류측 유로부재(60)는 부착부재(30)에 일체적으로 내장된 형태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기포 발생기(40)의 일부는 부착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부착부재(30)는 스트레이트부(38) 및 확대부(39)를 갖고 있다. 스트레이트부(38) 및 확대부(39)는 부착부재(30)를 제1 수납부(31) 및 제2 수납부(32) 측으로부터 메인급수관(12) 측을 향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메인급수관(12)내에 연통하고 있다. 이 스트레이트부(38) 및 확대부(39)에 의해 하류측 유로(42)가 구성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38)는 제2 수납부(32)의 하류측에 형성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38)는 내경이 변화하지 않는, 즉 유로의 단면적 즉 액체가 통과 가능한 면적이 변화하지 않는 원통형, 이른바 스트레이트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확대부(39)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즉 충돌부(7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확대부(39)는 하류측 유로(42)의 단면적 즉 액체가 통과 가능한 면적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서서히 확대되는 이른바 원추형의 테이퍼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충돌부(70)를 통과한 수돗물은 확대부(39)를 통해 확산된다. 이때 하류측 유로(42)의 단면적이 확대됨으로써 제1 실시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더욱 급격하게 압력이 저하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미세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기 전후의 압력차가 더욱 커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미세기포가 더 미세화됨과 함께 미세기포의 발생량도 증대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세기포 발생기(40)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의 하류측 유로부재(60)가 부착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비하여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조립의 수고가 삭감됨과 함께 전체적으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세제공급장치(16)는 미세기포 발생기(40)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경로(A, B)이며 미세기포 발생기(40)의 하류측에 세제를 공급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세제공급경로(C)는 미세기포 발생기(40)의 하류측에 있어서 변기통용 급수경로(A) 또는 림용 급수경로(B)의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예에서는 세제공급경로(C)는 림용 급수경로(B)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변기통용 급수경로(A) 또는 림용 급수경로(B)의 한쪽 또는 양쪽을 통과하는 미세기포수에 세제를 혼합할 수 있다. 즉, 미세기포수에 세제를 혼합하여 생성된 세정액을 변기통(111) 또는 림(112)의 한쪽 또는 양쪽에 급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기통(111) 또는 림(112)내에서 미세기포수와 세제를 혼합하는 구성에 비하여 미세기포수와 세제가 더 충분히 섞인 상태에서 변기통(111) 또는 림(112)의 한쪽 또는 양쪽에 급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미세기포수와 세제의 효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끌어낼 수 있고, 그 결과 수세변기장치(10)의 세정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변기통용 급수경로(A)와 림용 급수경로(B)의 분기점보다 하류측에 있으며, 변기통용 급수경로(A)상 또는 림용 급수경로(B)상의 적어도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수세변기장치(10)는 2개의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 각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 경우, 각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변기통용 급수관(13)의 단부 또는 도중부분과 림용 급수관(14)의 단부 또는 도중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각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메인급수관(12)의 하류측 단부와 변기통용 급수관(13)의 상류측 단부의 사이 및 메인급수관(12)의 하류측 단부와 림용 급수관(14)의 상류측 단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수세변기장치(10)는 변기통용 급수경로(A) 및 림용 급수경로(B)의 각각에 전용의 미세기포 발생기(4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변기통(111) 및 림(112)의 각각에 대하여 더 농도가 높은 미세기포수 즉 미세기포의 수가 많은 미세기포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미세기포수와 세제의 효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끌어낼 수 있고, 그 결과 수세변기장치(10)의 세정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다음에 제5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세변기장치(10)도 2개의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각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변기통용 급수관(13)의 하류측 단부와 림용 급수관(14)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2개의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변기통용 급수관(13)의 토출부(131)와 림용 급수관(14)의 토출부(141)에 설치되어 있다. 즉, 2개의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각각 변기통용 급수경로(A)의 출구부인 토출부(131)와 림용 급수경로(B)의 출구부인 토출부(141)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변기(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경우 변기통용 급수관(13)의 토출부(131) 및 림용 급수관(14)의 토출부(141)는 미세기포 발생기(40)에 의해 좁혀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변기통용 급수관(13)의 토출부(131) 및 림용 급수관(14)의 토출부(141)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유속을 상기 각 실시형태의 것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더 빠른 유속의 물로 변기통(111) 및 림(112)을 세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다음에 제6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수전(1)과 급수밸브(15)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제7 실시형태)
다음에 제7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한 세정수 탱크장치(20)는 도시하지 않은 변기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를 저류하고, 그 세정수를 변기에 급수하기 위한 것이다. 세정수 탱크장치(20)는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하고 있는 점 이외에는 일반적인 구성이다. 즉, 세정수 탱크장치(20)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21), 급수관(22), 급수구부(23), 볼탭(24), 부자(25), 세정관(26), 고무 플로트(27), 레버(28) 및 오버플로우 관(29)을 구비하고 있다.
탱크(21)는 도시하지 않은 변기에 공급하기 위한 세정수를 저류한다. 급수관(22)은 외부의 수원인 수도의 수전(1)에 접속되어 있고, 수도의 수전(1)으로부터 수돗물을 탱크(21) 내로 끌어들이기 위한 것이다. 급수구부(23)는 탱크(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급수관(22)을 통해 수도의 수전(1)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탱크(21)내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볼탭(24)은 급수관(22)과 급수구부(2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부자(25)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급수관(22)과 급수구부(23)의 사이의 경로를 개폐한다. 이 경우, 볼탭(24)은 부자(25)가 아래쪽으로 이동한 경우에 급수관(22)과 급수구부(23)의 사이의 경로를 개통하고, 부자(25)가 위쪽으로 이동한 경우에 급수관(22)과 급수구부(23)의 사이의 경로를 폐쇄한다.
세정관(26)은 도시하지 않은 변기에 접속되어 있고, 탱크(21) 내의 세정수를 변기에 급수한다. 고무 플로트(27)는 세정관(26)의 탱크(21)측의 유출부(261)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고무 플로트(27)는 쇠사슬(271)에 의해 레버(28)에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가 레버(28)를 조작하면 쇠사슬(271)을 개재시켜 고무 플로트(27)가 끌어 당겨져서 고무 플로트(27)가 유출부(261)로부터 벗겨진다. 이에 의해 세정관(26)의 유출부(261)가 열리고, 탱크(21) 내의 세정수가 변기에 공급된다.
그리고 세정수 탱크장치(20)는 부착부재(30) 및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하고 있다. 부착부재(30) 및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수전(1)으로부터 급수구부(23)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D)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D)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급수경로(D)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없이 급수경로(D)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기포수를 생성한다.
이 경우, 부착부재(30) 및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볼탭(24)과 급수구부(2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볼탭(24)이 열려 수전(1)으로부터 수돗물이 공급되면, 그 수돗물은 미세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여 미세기포를 포함한 미세기포수가 되어 급수구부(23)로부터 탱크(21) 내에 공급된다. 이 경우, 나노오더의 미세기포는 비교적 장기간 소멸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레버(28)를 조작함으로써 탱크(21) 내에 저류되어 있는 미세기포수가 변기에 급수되고, 이에 의해 변기가 세정된다.
이에 따르면, 세정수 탱크장치(20)는 세정수로서 미세기포수를 도시하지 않은 변기에 공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나노오더의 미세기포를 다량으로 포함한 미세기포수에 의해 변기를 세정할 수 있으므로 통상의 수돗물로 변기를 세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세기포수가 탱크(21) 내에 저류되기 때문에 탱크(21)내도 미세기포수에 의해 세정된다. 이에 의해 탱크(21) 내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탱크(21) 내에 미리 세제 등을 투입해 둠으로써 탱크(21) 내에 공급된 미세기포수에 세제를 녹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미세기포수와 세제의 상승효과에 의해 세제의 효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끌어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세기포 발생기(40)를 부착부재(30)를 이용하지 않고 볼탭(24)이나 급수구부(23)에 내장시킨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8 실시형태)
다음에 제8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한 세정변좌장치(17)는 변기(11)에 부착되어 있고, 변좌(18)와 국부세정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변좌(18)는 변기(11)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국부세정장치(80)는 세정변좌장치(17)에 장착되어 있고, 변좌(18)에 착석한 상태의 사용자의 국부에 대하여 세정수를 방수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의 국부를 세정한다.
국부세정장치(80)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재(30) 및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하고 있는 점 이외에는 일반적인 구성이다. 즉, 국부세정장치(80)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국부세정용 노즐(81), 노즐세정부(82), 급수관(83), 급수밸브(84), 온수탱크(85), 펌프(86) 및 전환밸브(8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국부세정장치(80)는 부착부재(30) 및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국부세정용 노즐(81)은 각각 사용자의 국부의 세정을 수행하기 위한 물을 방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2개의 국부세정용 노즐(81) 중 엉덩이 세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을 엉덩이 세정용 노즐(811)이라고 칭한다. 또한, 2개의 국부세정용 노즐(81) 중 비데 세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을 비데 세정용 노즐(812)이라고 칭한다. 노즐세정부(82)는 엉덩이 세정용 노즐(811) 및 비데 세정용 노즐(812)에 방수하고, 이에 의해 엉덩이 세정용 노즐(811) 및 비데 세정용 노즐(812)을 세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국부세정장치(80)는 복수 이 경우 3개의 급수경로(E, F, G)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급수경로(E, F, G) 중 수전(1)으로부터 엉덩이세정용 노즐(811)에 이르는 경로를 엉덩이 세정용 급수경로(E)라고 칭한다. 또한, 3개의 급수경로(E, F, G) 중 수전(1)으로부터 비데 세정용 노즐(812)에 이르는 경로를 비데 세정용 급수경로(F)라고 칭한다. 그리고 3개의 급수경로(E, F, G) 중 수전(1)으로부터 노즐 세정부(82)에 이르는 경로를 노즐 세정용 급수경로(G)라고 칭한다.
급수관(83)은 외부의 수원인 수도의 수전(1)에 접속되어 있고, 수도의 수전(1)으로부터 수돗물을 국부세정장치(80)로 끌어들이기 위한 것이다. 급수밸브(84)는 액체용 전자밸브이고, 급수관(83)을 개폐 즉, 각 급수경로(E, F, G)를 개폐한다. 온수탱크(85)는 내부에 소정 양의 수돗물을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히터를 갖고 있다. 그리고 온수탱크(85)는 급수밸브(84)로부터 공급된 수돗물을 일단 저류하고, 도시하지 않은 히터에 의해 그 수돗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한다.
펌프(86)는 온수탱크(85)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을 압송한다. 전환밸브(87)는 전자적으로 동작 가능한 전환밸브로서, 3개의 급수경로(E, F, G)를 택일적으로 전환한다. 즉, 펌프(86)로부터 토출된 물은 전환밸브(87)의 전환상태에 따라 엉덩이 세정용 노즐(811), 비데 세정용 노즐(812) 및 노즐 세정부(82)의 어느 하나에 공급된다. 이 경우, 각 급수경로(E, F, G)는 전환밸브(87)보다 상류측은 공통된 경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E, F, G)상 구체적으로는 급수경로(E, F, G)의 분기점 즉 전환밸브(87)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E, F, G)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급수경로(E, F, G)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 없이 급수경로(E, F, G)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기포수를 생성한다.
이에 따르면, 전환밸브(87)가 국부세정용 급수경로(D) 또는 비데 세정용 급수경로(F)를 개통시킨 상태에서 펌프(86)가 구동되면, 미세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여 생성된 미세기포수는 엉덩이 세정용 노즐(811) 또는 비데 세정용 노즐(812)로부터 사용자의 국부에 대하여 방수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국부는 나노오더의 미세기포를 다량으로 포함한 미세기포수에 의해 세정된다.
여기서 나노오더의 미세기포를 다량으로 포함한 미세기포수는 피부에 침투하기 쉽고, 높은 보습효과를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국부세정장치(80)에 따르면 보습효과가 높은 미세기포수에 의해 사용자의 국부를 세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에 순하다.
또한, 국부세정장치(80)는 노즐 세정부(82)를 더 구비하고 있다. 노즐 세정부(82)는 노즐세정용 급수경로(G)에 접속되어 있고, 미세기포 발생기(40)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노즐 세정부(82)는 엉덩이 세정용 노즐(811) 및 비데 세정용 노즐(812)을 세정하기 위한 물로서 미세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여 생성된 미세기포수를 방출 가능하다.
즉, 전환밸브(87)가 노즐세정용 급수경로(G)를 개통시킨 상태에서 펌프(86)가 구동되면, 미세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여 생성된 미세기포수는 노즐 세정부(82)로부터 엉덩이 세정용 노즐(811) 및 비데 세정용 노즐(812)에 대하여 방수된다. 이에 의해 엉덩이 세정용 노즐(811) 및 비데 세정용 노즐(812)은 나노오더의 미세기포를 다량으로 포함한 미세기포수에 의해 세정된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미세기포를 포함하지 않는 통상의 수돗물에 의해 엉덩이 세정용 노즐(811) 및 비데 세정용 노즐(812)을 세정한 경우에 비하여 높은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엉덩이 세정용 노즐(811) 및 비데 세정용 노즐(812)을 더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E, F, G)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을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국부세정장치(80)는 외부의 기체를 얻기 위한 흡입밸브나 구동기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미세기포수를 생성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소형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국부세정장치(80)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소형 공간 절약을 도모하면서 세정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미세기포의 발생에 수돗물의 압력 이외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가 절약된다.
또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수전(1)으로부터 국부세정용 노즐(811, 812) 및 노즐세정부(82)에 이르는 급수경로(E, F, G) 중 각 급수경로(E, F, G)로 분기하기 이전 즉 전환밸브(87)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각 급수경로(E, F, G) 각각에 미세기포 발생기(40)를 설치하지 않고, 1개의 미세기포 발생기(40)에 의해 각 급수경로(E, F, G) 각각에 미세기포수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점수의 증대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 국부세정장치(80)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세정변좌장치(17)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온수탱크(85)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미세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여 생성된 미세기포수는 국부세정용 노즐(811, 812) 또는 노즐세정부(82)로부터 방수되기 전에 일단 온수탱크(85) 내에 저류된다. 이 때문에 온수탱크(85)도 미세기포수의 세정효과에 의해 세정된다. 따라서, 온수탱크(85) 내도 최대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E, F, G)상이면 어느 개소에 설치해도 된다. 즉,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예를 들어 수전(1)과 급수밸브(8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펌프(86)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미세기포 발생기(40)를 부착부재(30)를 이용하지 않고 급수밸브(84)나 온수탱크(85) 또는 펌프(86) 등에 내장시킨 구성으로 해도 된다.
나아가 예를 들어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국부세정용 노즐(81) 및 노즐 세정부(82)에 내장시킨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9 실시형태)
다음에 제9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국부세정장치(801)는 수전(1)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휴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국부세정장치(801)는 국부세정용 노즐(81), 펌프(86), 저수용기(88), 부착부재(30) 및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국부세정용 노즐(81)은 엉덩이 세정용 노즐과 비데 세정용 노즐을 겸용하고 있다.
저수용기(88)는 국부세정용 노즐(81)에 급수하기 위한 물을 저수하기 위한 탱크이고, 내부의 수원으로서 기능한다. 저수용기(88)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돗물 등이 주입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국부세정장치(80)는 수원으로서 저수용기(88)를 내장하고 있다.
이 경우, 저수용기(88)로부터 국부세정용 노즐(81)에 이르기까지의 경로를 급수경로(H)라고 칭한다. 펌프(86)는 저수용기(88)의 하류측에 있으며, 급수경로(H)상에 설치되어 있다. 펌프(86)는 수동이어도 전동이어도 된다. 또한, 펌프(86)는 저수용기(88)에 내장되어 있어도 된다.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H)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미세기포 발생기(40)는 펌프(86)와 국부세정용 노즐(8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급수경로(H)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급수경로(H)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 없이 급수경로(H)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기포수를 생성한다.
이에 따르면, 휴대 가능한 국부세정장치(801)여도 미세기포수에 의해 국부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H)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을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국부세정장치(801)는 외부의 기체를 얻기 위한 흡입밸브나 구동기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미세기포의 발생에 수돗물의 압력 이외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미세기포 발생기(40)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국부세정장치(801)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소형 공간 절약을 도모하면서 세정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세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H) 상이면 어느 개소에 설치해도 된다. 즉,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예를 들어 저수용기(88)와 펌프(86)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미세기포 발생기(40)를 부착부재(30)를 이용하지 않고 저수용기(88)나 펌프(86) 또는 국부세정용 노즐(81)에 내장시킨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미세기포 발생기(40)는 미세기포수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로서, 그 구체적 구성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형태를 제외한 각 실시형태에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2개로 분할된 상류측 유로부재(50)와 하류측 유로부재(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미세기포 발생기(40)는 상류측 유로부재(50)와 하류측 유로부재(60)가 일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충돌부(70)는 상류측 유로부재(50) 또는 하류측 유로부재(60)와 일체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류측 유로부재(50) 또는 하류측 유로부재(6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복수의 나사 등을 끼워넣고, 그 나사의 선단을 유로(41, 42) 내에 돌출시킴으로써 충돌부(70)의 돌출부(71)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제1」, 「제2」라는 어구는 마찬가지의 기능 작용을 갖는 구성을 구별하여 표현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붙인 것이며, 어떤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표현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러한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한 실시형태는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수전 10: 수세변기장치
11: 변기 12: 메인 급수관
13: 변기통용 급수관 14: 림용 급수관
15: 급수밸브 16: 세제공급장치
30: 부착부재 40: 미세기포 발생기
111: 변기통 112: 림
131, 141: 토출부

Claims (12)

  1. 변기와,
    급수밸브를 개재시켜 수도의 수전에 접속되며 상기 변기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경로와,
    상기 급수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경로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상기 급수경로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 없이 상기 급수경로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기포수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발생기를 구비하는, 수세변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경로는 상기 급수밸브의 하류측에서 상기 변기의 변기통 내에 급수하는 변기통 급수경로와 상기 변기의 림에 급수하는 림 급수경로로 분기하고,
    상기 미세기포 발생기는 상기 변기통 급수경로와 상기 림 급수경로의 분기점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세변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경로는 상기 급수밸브의 하류측에서 상기 변기의 변기통 내에 급수하는 변기통 급수경로와 상기 변기의 림에 급수하는 림 급수경로로 분기하고,
    상기 미세기포 발생기는 상기 변기통 급수경로와 상기 림 급수경로의 분기점보다 하류측에 있으며, 상기 변기통 급수경로 상 또는 상기 림 급수경로 상의 적어도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수세변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내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더 구비하는, 수세변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미세기포 발생기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경로이며 상기 미세기포 발생기의 하류측에 세제를 공급하는, 수세변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변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세변기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 발생기는 상기 급수경로의 출구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세변기장치.
  8. 변기의 세정수를 저류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도의 수전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탱크 내에 공급하는 급수구부와,
    상기 수전으로부터 상기 급수구부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경로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상기 급수경로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 없이 상기 급수경로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기포수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발생기를 구비하는, 세정수 탱크장치.
  9. 국부의 세정을 수행하기 위한 물을 방출하는 국부세정용 노즐과,
    수원으로부터 상기 국부세정용 노즐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경로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상기 급수경로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는 일 없이 상기 급수경로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기포수를 생성하는 미세기포 발생기를 구비하는, 국부세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원으로서 수도의 수전에 접속되어 세정변좌장치에 장착되는, 국부세정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경로에 접속되어 상기 미세기포 발생기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상기 국부세정용 노즐을 세정하기 위한 물로서 상기 미세기포수를 방출 가능한 노즐 세정부를 더 구비하는, 국부세정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원으로서 상기 국부세정용 노즐에 급수하기 위한 물을 저수 가능한 저수용기를 더 구비하여 휴대 가능하게 구성되는, 국부세정장치.
KR1020180042785A 2017-04-13 2018-04-12 수세변기장치, 세정수 탱크장치 및 국부세정장치 KR102060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9901 2017-04-13
JP2017079901A JP6948144B2 (ja) 2017-04-13 2017-04-13 水洗便器装置、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局部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635A true KR20180115635A (ko) 2018-10-23
KR102060334B1 KR102060334B1 (ko) 2019-12-30

Family

ID=6393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785A KR102060334B1 (ko) 2017-04-13 2018-04-12 수세변기장치, 세정수 탱크장치 및 국부세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48144B2 (ko)
KR (1) KR102060334B1 (ko)
CN (2) CN1087295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2477A (zh) * 2021-09-27 2022-01-04 厦门英仕卫浴有限公司 一种便捷漱口出水装置
JP7371288B1 (ja) 2023-03-13 2023-10-30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便座装置および便座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585A (ja) * 1993-04-16 1994-10-25 Inax Corp 気泡サイホン便器
JPH10211115A (ja) * 1997-01-30 1998-08-11 Sankyo Co Ltd 携帯用局部洗浄器の加温方法及び携帯用局部洗浄器セッ ト
AU8649398A (en) * 1997-08-15 1999-03-08 Toto Ltd. Cleaning water discharge apparatus
JP4848679B2 (ja) * 2005-06-15 2011-12-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局部洗浄ノズル
CN101228325B (zh) * 2005-07-26 2012-08-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冲水马桶设备
JP2009082903A (ja) * 2007-09-16 2009-04-23 Sgk Kk マイクロバブル生成装置。
JP5120770B2 (ja) * 2007-09-26 2013-01-16 Toto株式会社 衛生設備器具
JP2009136864A (ja) * 2007-11-16 2009-06-25 Nippon Sozai Kk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JP5302849B2 (ja) * 2009-10-27 2013-10-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便器装置
KR101234341B1 (ko) * 2011-04-25 2013-02-15 김창호 절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CN203049756U (zh) * 2013-01-11 2013-07-10 钟章水 一种无水箱马桶的冲洗通道
JP2014147901A (ja) * 2013-02-01 2014-08-21 Micro-Bub Kk マイクロバブル生成器及びマイクロバブル生成管路構造
CN203924284U (zh) * 2013-10-25 2014-11-05 浙江怡和卫浴有限公司 无水箱马桶的控制系统
WO2016195116A2 (ja) * 2015-06-02 2016-12-08 株式会社ウォーターデザイン 液体処理ノズル、それを用いた液体処理方法、ガス溶解方法及びガス溶解装置
JP6670564B2 (ja) * 2015-07-29 2020-03-2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液体用電磁弁、液体用電磁弁の製造方法、及び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334B1 (ko) 2019-12-30
JP2018178538A (ja) 2018-11-15
CN108729513A (zh) 2018-11-02
JP6948144B2 (ja) 2021-10-13
CN117449412A (zh) 2024-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4677B2 (en) Microbubble generator, washing machine, and home appliance
US8099802B2 (en) Flush toilet equipment
KR20180115635A (ko) 수세변기장치, 세정수 탱크장치 및 국부세정장치
TWI705851B (zh) 清洗裝置包含一緻密氣泡產生器系統、淋浴頭以及在一流體中產生緻密氣泡用以清潔半導體之方法、一種在一流體中產生緻密氣泡用以將一緻密氣泡在一液體容積內導引至一目標目的地之方法、一種將緻密氣泡產生器系統用於在一液體容積內導引一緻密氣泡之標定裝置、藥物輸送裝置包含一緻密氣泡產生器系統、一種利用在一流體中產生緻密氣泡並用於改良一船舶的效率之方法、一種包含一緻密氣泡產生器系統之船舶
JP2008086868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CN110344212B (zh) 洗衣机
KR20110118305A (ko) 나노버블 발생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구강 세정기
KR102102194B1 (ko) 식기 세정기
CN110013696B (zh) 一种采用微气泡反冲洗的净水器
CN109386026B (zh) 供水装置
CN110891674A (zh) 微气泡产生设备和微气泡产生方法,以及具有该微气泡产生设备的淋浴装置和油水分离装置
JP2014208963A (ja) 水洗大便器装置
CN211395014U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KR100593789B1 (ko) 혼탁물 분리장치
JP2006002485A (ja) 腰掛式便器
CN211395015U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CN212141636U (zh) 一种采用微气泡反冲洗的净水器
CN112746453A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CN112647245A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KR101484668B1 (ko)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
CN114602670A (zh) 一种微气泡花洒
CN113797781A (zh) 一种气泡发生装置、流道组件及洗涤装置
KR101958285B1 (ko) 유체여과장치
JP5395554B2 (ja) 水栓装置
JP2013103197A (ja) 洗浄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