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668B1 -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668B1
KR101484668B1 KR1020140105738A KR20140105738A KR101484668B1 KR 101484668 B1 KR101484668 B1 KR 101484668B1 KR 1020140105738 A KR1020140105738 A KR 1020140105738A KR 20140105738 A KR20140105738 A KR 20140105738A KR 101484668 B1 KR101484668 B1 KR 101484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screw
ai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668B1/ko
Priority to PCT/KR2015/00374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601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5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 B01F25/452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 B01F25/4521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the components being pressed through orifices in elements, e.g. flat plates or cylinders, which obstruct the whole diameter of the tub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본체(5); 및 본체(5)를 덮는 커버(3);를 포함하며, 커버(3)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으로서 본체(5)가 커버(3)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본체(5)의 내부 바닥부(17)에는 드레인부(15)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5)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으면, 본체(5)의 내부의 남은 물을 자동적으로 외부로 유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미세 기포를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사용 완료후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자동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APPRATUS FOR GENERATING MICRO AND/OR NANO BUBBLE WITHOUT POWER}
본 발명은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사용하는 예가 점점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등록번호 10-1088145호에는 절수형 미세기포 생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 한국특허등록번호 10-1088145호(이하, '8145')에는 절수형 미세기포 생성장치는 무동력으로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별도의 동력 없이 수압만으로 미세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기술일 수 있다.
'8145'특허는 그 상부로부터 에어를 유입받고, 하부로부터 물을 유입받아 내부에서 분사하는 구조를 가진다('8145'특허의 도1 참조). 하지만, '8145'특허는 미세기포를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간이 짧고, 그 장치의 내부에 물이 잔류하게 되므로 사용하고 난 후 사용자가 잔류한 물을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는 잔류한 물을 제거하지 않으면 기기의 특성상 다음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에 기기에서 미세기포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 기포를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사용 완료후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자동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미세 기포를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에어 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사용 완료 후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자동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드레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본체(5); 및
본체(5)를 덮는 커버(3);를 포함하며, 커버(3)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으로서 본체(5)가 커버(3)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본체(5)의 내부 바닥부(17)에는 드레인부(15)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5)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으면,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100) 내부의 남은 물을 자동적으로 외부로 유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미세 기포 발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드레인부(15)는 웰(25), 너트(31), 웰(25)의 안쪽에 위치되어 너트(31)와 결합되는 나사(33), 나사(33)의 축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되는 스프링(29)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드레인부(15)는, 에어가 이동될 수 있는 에어 유출부(27)를 더 포함하며, 에어 유출부(27)는 웰(25)에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본체(5)의 바닥부에는 나사(33)의 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너트(31)는 본체(5)의 외부 바닥부(19)의 단턱(T2)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나사(33)의 헤드 부분은 내부 바닥부(17)의 단턱(T1)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체(5)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으면, 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해 나사(33)의 헤드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로써 나사(33)의 헤드와 내부 바닥부(17)에 형성된 단턱(T1)이 이격되어 공간이 생기며, 이러한 공간을 통해서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100) 내부의 남은 물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체(5)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면 수압이 상승되기 시작하고, 그 수압에 의해서 나사(33)의 헤드가 하방으로 이동하며, 이로써 나사(33)의 헤드와 내부 바닥부(17)에 형성된 단턱(T1)이 밀착되어,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100) 내부의 남은 물은 외부로 배출될 수 없다.
커버(3)에는 에어 벤트(2)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3)와 본체(5)가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의 물에 녹지 않은 에어가 소정 범위의 량 또는 압력이 되면 에어 벤트(2)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체(5)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유입받을 수 있는 유입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부(21)에는, 또한 에어를 유입받을 수 있는 에어 출입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 출입부(23)와 유입부(21)는 벤츄리관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 기포를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사용 완료 후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자동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의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실시 예의 내부 바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과 도 7은 도 1 실시 예의 외부 바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예의 드레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9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구비된 드레인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적어도 하나 이상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본원 명세서에서 '미세 기포'라고 함은 예를 들면, 직경이 1 ~ 999 nano 사이즈의 기포 및/또는 1 ~ 999 micro 사이즈의 기포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이하,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100)는, 본체(5) 및, 이 본체(5)를 덮는 커버(3)를 포함한다.
커버(3)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으로서 본체(5)가 커버(3)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5)와 커버(3)는 결합되어, 후술하는 사워기 헤드의 특수 노즐과 더불어서 수압을 상승시켜 헨리의 법칙에 따른 효과로 유입된 물에 많은 기체를 녹게 하는 압력통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3)의 상부에는 미세기포 발생장치(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에어를 배출할 수 있는 에어 벤트(2)가 장착되며, 에어 벤트가 장착됨으로써, 본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100)가 연속적으로 미세 기포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에어 벤트가 장착됨으로써, 본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100)는 연속해서 미세기포를 생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미세기포가 생성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에어 벤트(2)를 통해서, 미세기포 발생장치(100)의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방출되면, 미세기포 발생장치(100)의 내부와 외부간에 압력차가 생기며, 따라서 에어 유입부(23)를 통해서 에어가 물에 자연스럽게 유입되게 된다.
에어 벤트(2)는 미세기포 발생장치(100)의 내부에 어떤 요인으로 인하여 압력이 상승되면 장치(100)가 파손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역활도 수행할 수 있다.
본체(5)는 중심축(7), 다공성 분산판(9), 및 본체 하부(11)를 포함한다. 중심축(7)은 다공성 분산판(9)의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고, 중심축(7)의 내부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 관의 형상을 가진다. 유입부(21)를 통해서 유입되는 물은 중심축(7)의 내부를 통해서 이동되고, 개구부를 통해서 유출되게 된다.
개구부를 통해서 유출되는 물은, 다공성 분산판(9) 방향으로 낙하하며, 다공성 분산판(9)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해서 아래 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
본체 하부(11)는 내부 바닥부(17)와 외부 바닥부(19)를 포함하며, 내부 바닥부(17)에는 중심축(7)이 결합되어 있고, 중심축(7)의 내부는 유입부(21)와 연통되어 있다. 즉, 유입부(21)로 유입되는 물은 중심축(7)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중심축(7), 내부 바닥부(17), 외부 바닥부(19), 및 유입부(21)가 기능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내부 바닥부(17)에는 배출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부(13)는 외부 바닥부(19)와 내부 바닥부(17)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입부(21)를 통해서 물이 본체(5)의 내부로 들어오고, 내부로 들어온 물은 다시 배출부(1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배출부(13)의 연결부 끝단에 특수노즐이 구비된 샤워기헤드(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써 미세기포의 발생량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도 꼭지와 유입부(21)를 관(L1)을 통해서 연결한 후, 수도를 개방하면(즉, 물이 나오도록 하면), 수도를 통해서 배출되는 물은 유입부(21)를 통해서 중심축(7)의 내부로 이동하고, 이후 다공성 분산판(9)을 통해서 내부 바닥부(17) 방향으로 낙하한다. 이 과정에 미세 기포가 생성된다. 미세 기포가 함유된 물은 배출부(13)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된다. 배출부(13)는 미세 기포가 함유된 물이 필요로 하는 곳으로 방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배출부(13)는 특수노즐이 구비된 샤워기헤드(40)와 같은 장치와 관(L2)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수도 꼭지와 유입부(21)를 연결하는 관(L1)은, 유입부(21)에 예를 들면 나사 결합과 같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샤워기 헤드(40)와 배출부(13)를 연결하는 관(L2), 역시 배출부(1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내부 바닥부(17)와 외부 바닥부(1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부(21)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내부에 물이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유입부(21)에는 에어 출입부(23)(이하, '제1 에어 출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부(21)를 통해서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는, 제1 에어 출입부(23)를 통해서 에어가 유입되게 된다.
제1 에어 출입부(23)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부(21)와 제1 에어 출입부(23)는 벤츄리관(Venturi tube)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베르누이 정리에 따라서 에어가 제1 에어 출입부(23)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에어 출입부(23)를 통해서 유입되는 에어의 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제1 에어 출입부(23)에 에어 조절기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입부(21) 및 제1 에어 출입부(23) 구조를 가짐으로써, 미세 기포의 농도를 높게(즉, 미세 기포의 갯수가 많아지게) 하고, 미세 기포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내부 바닥부(17)에는 드레인부(15)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원 발명에서 드레인부(15)가 형성되는 것은 중요한 특징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레인부(15)는, 유입부(21)를 통해서 더 이상 물이 들어오지 않게 되면,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100) 내부의 남은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이 없다면, 사용자는 사용이 완료될 때 마다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100) 내부의 남은 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별도로 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부(15)는, 유입부(21)를 통해서 물이 더 이상 유입되지 않으면,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100) 내부의 남은 물을 자동적으로 유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9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구비된 드레인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부(15)는, 웰(25), 제2 에어 출입부(27), 스프링(29), 너트(31),나사(33)를 포함할 수 있다.
웰(25)은 내부 바닥부(17)에 형성되어 있고, 웰(25)의 안쪽에 나사(33)가 위치된다. 나사(33)는 너트(31)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너트(31)는 단턱(T2)에 걸리도록 결합되고, 나사(33)의 헤드 부분은 단턱(T1)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나사(33)의 축에는 스프링(29)이 결합되며, 이 스프링(29)은 팽창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나사(33)의 헤드 부분이 내부 바닥부(17)에 노출된 상태로 있으므로, 유입부(21)를 통해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의 압력에 의해서, 나사(33)의 헤드 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도면 9에서는, 스프링(29)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나사(33)의 헤드 부분이 이동된다. 이렇게 되면, 유입된 물은 드레인부(15)를 통해서 배출되지 않는다. 즉, 유입부(21)를 통해서 물이 내부로 유입되면, 그 물의 압력에 의해서 헤드와 단턱(T1)이 밀접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유입부(21)을 통해서 유입된물은 드레인부(15)를 통해서는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후, 유입부(21)를 통해서 물의 유입이 중단되면, 유출부를 통해서 소정의 량이 외부로 유출되고,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100) 내부의 남은 물은 드레인부(15)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유입부(21)를 통해서 유입되는 물이 없고, 유출부를 통해서 소정의 량이 유출되고 나서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100) 내부의 남은 물은, 많지 않으므로 나사(33)의 헤드 부분에 가압할 수 없다. 따라서, 스프링(29)의 힘에 의해서 나사(33)의 헤드 부분이, 도면에서 스프링(29)이 팽창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의해 웰(25)과 나사(33) 사이의 틈 사이로,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100) 내부의 남은 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나사(33)의 헤드 부분은 무한정 상부로 이동될 수는 없고, 너트(31)가 단턱(T2)에 걸릴 때 까지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기기 내부에 남은 물이 드레인부(15)를 통해서 외부로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부(15)는 에어 유출부들(27, 32)을 더 포함한다. 에어 유출부들(27, 32)은 드레인부(15)를 통해서 물이 외부로 유출될 때, 그와 동시에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서로 연통되어 있다. 즉, 에어 유출부(27)는 스프링(29)이 위치된 공간과 서로 연통되도록 되어 있고, 에어 유출부(32)는 스프링(29)이 있는 공간과 너트(31)가 위치한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드레인부(15)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는 이와 다른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
2; 에어벤트
3: 커버
5: 본체
7: 중심축
9: 다공성 분산판
11: 본체 하부
13: 배출부
15: 드레인부
17: 내부 바닥부
19: 외부 바닥부
21: 유입부
23: 제1 에어 출입부
25; 웰
27: 제2 에어 출입부
29: 스프링
31: 너트
33: 나사
T1, T2, T3: 단턱
40: 노즐이 구비된 샤워기헤드

Claims (8)

  1.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있어서,
    본체(5); 및
    본체(5)를 덮는 커버(3);를 포함하며,
    커버(3)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으로서 본체(5)가 커버(3)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본체(5)의 내부 바닥부(17)에는 드레인부(15)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5)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으면, 본체(5)의 내부에 남은 물을 자동적으로 외부로 유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드레인부(15)는 웰(25), 너트(31), 웰(25)의 안쪽에 위치되어 너트(31)와 결합되는 나사(33), 나사(33)의 축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되는 스프링(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미세 기포 발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드레인부(15)는, 에어가 이동될 수 있는 에어 유출부(27)를 더 포함하며, 에어 유출부(27)는 웰(25)에 형성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미세 기포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본체(5)의 바닥부에는 나사(33)의 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너트(31)는 본체(5)의 외부 바닥부(19)의 단턱(T2)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나사(33)의 헤드 부분은 내부 바닥부(17)의 단턱(T1)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미세 기포 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본체(5)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으면,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나사(33)의 헤드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로써 나사(33)의 헤드와 내부 바닥부(17)에 형성된 단턱(T1)이 이격되어 공간이 생기며, 이러한 공간을 통해서 본체(5)의 내부의 남은 물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미세 기포 발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본체(5)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면, 나사(33)의 헤드가 하방으로 이동하며, 이로써 나사(33)의 헤드와 내부 바닥부(17)에 형성된 단턱(T1)이 밀착되어, 본체(5)의 내부의 물이 외부에 배출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미세 기포 발생장치.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커버(3)에는 에어 벤트(2)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3)와 본체(5)가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에 존재하는 에어가 소정 범위의 량 또는 압력이 되면 에어 벤트(2)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미세 기포 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본체(5)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유입받을 수 있는 유입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부(21)에는, 또한 에어를 유입받을 수 있는 에어 출입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 출입부(23)와 유입부(21)는 벤츄리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미세 기포 발생장치.
KR1020140105738A 2014-04-15 2014-08-14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1484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3747 WO2015160177A1 (ko) 2014-04-15 2015-04-15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867 2014-04-15
KR20140044867 2014-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668B1 true KR101484668B1 (ko) 2015-01-20

Family

ID=525910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738A KR101484668B1 (ko) 2014-04-15 2014-08-14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20140190891A KR20150118890A (ko) 2014-04-15 2014-12-26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891A KR20150118890A (ko) 2014-04-15 2014-12-26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484668B1 (ko)
WO (1) WO20151601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361A (ko) * 2017-06-21 2018-12-31 황재구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구비한 수경 재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071A (ja) * 2005-09-05 2007-03-22 Sharp Corp 微細気泡発生装置およびそれが組み込まれた微細気泡循環システム
JP2009082903A (ja) * 2007-09-16 2009-04-23 Sgk Kk マイクロバブル生成装置。
KR101165818B1 (ko) * 2012-06-18 2012-07-16 (주) 동양이엔지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1282388B1 (ko) * 2011-11-15 2013-07-17 주식회사 성윈 상수압을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586B1 (ko) * 2011-06-22 2013-01-29 김숙구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071A (ja) * 2005-09-05 2007-03-22 Sharp Corp 微細気泡発生装置およびそれが組み込まれた微細気泡循環システム
JP2009082903A (ja) * 2007-09-16 2009-04-23 Sgk Kk マイクロバブル生成装置。
KR101282388B1 (ko) * 2011-11-15 2013-07-17 주식회사 성윈 상수압을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101165818B1 (ko) * 2012-06-18 2012-07-16 (주) 동양이엔지 미세기포 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361A (ko) * 2017-06-21 2018-12-31 황재구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구비한 수경 재배 시스템
KR101985779B1 (ko) * 2017-06-21 2019-06-04 황재구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구비한 수경 재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0177A1 (ko) 2015-10-22
KR20150118890A (ko) 2015-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4363B2 (en) Shower head capable of providing shower feeling without water spray plate
JP2013535298A (ja) 微細気泡発生シャワーヘッド
CN211395014U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KR101484668B1 (ko)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
JP3208970U (ja) シャワーヘッド用アスピレータ装置
KR20090076893A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JP3213014U (ja) 洗濯機用微細気泡水生成器
KR101091295B1 (ko)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WO2021098833A1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JP2009274026A (ja) 水栓用マイクロバブルユニット
KR102059039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101781727B1 (ko)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KR102046893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CN210115170U (zh) 一种纳米气泡莲蓬头
KR20150118818A (ko) 무동력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CN211395015U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KR101526560B1 (ko) 수압을 이용한 공기 공급장치
KR101636002B1 (ko) 수전커버
KR102059038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20160118714A (ko) 두피 관리용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CN206082883U (zh) 一种新型花洒喷头
KR200475366Y1 (ko) 다기능 미세기포 절수 샤워헤드
CN112647245A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KR20150028505A (ko) 초미세 기포 함유 유체 생성 장치 및 이를 장착한 배관
KR102376856B1 (ko)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