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002B1 - 수전커버 - Google Patents

수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002B1
KR101636002B1 KR1020150050360A KR20150050360A KR101636002B1 KR 101636002 B1 KR101636002 B1 KR 101636002B1 KR 1020150050360 A KR1020150050360 A KR 1020150050360A KR 20150050360 A KR20150050360 A KR 20150050360A KR 101636002 B1 KR101636002 B1 KR 101636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ixing space
hole
holes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대석
Original Assignee
한국수도관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도관리(주) filed Critical 한국수도관리(주)
Priority to KR102015005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수전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1관통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전로부터 공급받는 유체의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체와 기체가 혼합되는 제1혼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기포가 형성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1혼합공간과 연통되는 제1유출공이 형성되는 제1포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포말부는, 상기 제1혼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기체가 외부에서 상기 제1혼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기체유입구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유출공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유출부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제1유출공의 직경의 단면적의 합의 값은, 상기 유체의 유량에 대응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수전으로 저유량의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유체의 내부에 기포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가 피접촉물에 접촉되는 경우, 유체와 피접촉물 사이에 발생되는 표면장력이 증대되어 피접촉물로부터 유체가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전커버{COVER FOR FAUCET}
본 발명은 수전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으로부터 공급받는 유체의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도록 유체와 기체가 혼합되는 제1혼합공간을 형성하며, 기포가 형성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제1혼합공간과 연통되는 제1유출공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포말부를 본체부에 결합함으로써, 비교적 저유량의 유체가 공급되더라도 유체 내에 기포를 효과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는 수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수전이란,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싱크대, 세면대 및 화장실 등의 수도관에 설치된다.
수전커버란, 상술한 수전에서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 유속 및 유압을 조절하는 것으로써, 수전의 단부에 설치된다.
공개특허 특1999-0069520호에서 샤워기의 분사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1999-0069520호에서 개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샤워기의 헤드, 즉, 수전커버는 복수개의 유출공에서 유체가 분사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종래의 수전커버의 분사구조에 의하면, 샤워기, 즉,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샤워기의 커버, 즉, 수전커버의 유출공에서 단순히 분사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전커버가 싱크대에 이용되는 경우, 수전커버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출공에서 분사되는 유체가 피접촉물, 즉, 컵, 식기 등에 접촉될 때, 피접촉물의 표면에서 유체가 튀거나, 피접촉물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유체가 싱크대의 저면에 충돌함으로써, 유체가 싱크대의 저면으로부터 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의해서, 설거지를 실시하는 경우, 상술한 유체가 튀는 현상에 기인하여 설거지 실시자의 옷이 젖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체 내부에 포말, 즉, 기포를 형성시킴으로써, 유체의 표면장력을 증대시켜 유체가 피접촉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4649호에서는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싱크헤드를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4649호에 의하면, 유체 내부에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4649호에 의하더라도, 수전으로 유입되는 유량 자체가 불규칙한 경우, 특히, 저유량인 경우, 유체 내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아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가 튀는 현상이 재현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수전으로부터 공급받는 유체의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도록 유체와 기체가 혼합되는 제1혼합공간을 형성하며, 기포가 형성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제1혼합공간과 연통되는 제1유출공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포말부를 본체부에 결합함으로써, 비교적 저유량의 유체가 공급되더라도 유체 내에 기포를 효과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는 수전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전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1관통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전로부터 공급받는 유체의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체와 기체가 혼합되는 제1혼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기포가 형성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1혼합공간과 연통되는 제1유출공이 형성되는 제1포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포말부는, 상기 제1혼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기체가 외부에서 상기 제1혼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기체유입구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유출공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유출부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제1유출공의 직경의 단면적의 합의 값은, 상기 유체의 유량에 대응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커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유출공의 직경은 상기 수전에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에 대응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출공의 개수는 상기 수전에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에 대응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포말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1혼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으로 분사되도록 분사공을 형성하는 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1포말부는, 상기 수전으로부터 상기 제1관통홀로 유동되는 유체가 상기 제1관통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관통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통홀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중심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에 설치되며, 상기 수전로부터 공급받는 상기 유체의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체와 상기 기체가 혼합되는 제2혼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기포가 형성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2혼합공간과 연통되는 제2유출공이 형성되는 제2포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제2유출공의 단면적의 합의 값은 제1유출공의 단면적 합의 값에 대응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유량의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유체의 내부에 기포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유체가 피접촉물에 접촉되는 경우, 유체와 피접촉물 사이에 발생되는 표면장력이 증대되어 피접촉물로부터 유체가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싱크대에 이용되는 경우, 유체가 피접촉물, 즉, 컵, 식기 등에 접촉될 때, 피접촉물의 표면에서 유체가 튀거나, 유체가 피접촉물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설거지를 실시하는 경우, 유체가 튀거나 분리되는 현상에 기인하여 사용자의 옷이 젖는 문제점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제1포말부는 소형으로 제작되므로, 수전커버의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화되어 공간활용의 측면에서도 큰 이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수도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에 대응되도록 단면적, 직경, 개수가 결정되는 제1유출공의에 의해, 유체가 유출되는 과정에서 유체 내부에서 형성된 기포가 소멸되거나 크기가 축소되지 않고 그대로 피접촉물로 유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유체와 피접촉물 사이에 발생되는 표면장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수전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제1혼합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의 내측면으로 분사되도록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노즐부에 형성되는 분사공에 의해, 제1혼합공간에서 유체와 기체가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유체 내부에 기포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제1포말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제1포말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제2포말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제1혼합공간에서 유체와 기체가 혼합되는 제1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제1혼합공간에서 유체와 기체가 혼합되는 제2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제1혼합공간에서 유체와 기체가 혼합되는 제3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에서 유출되는 유체가 피접촉물에 접촉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제1포말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제1포말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제2포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100)는 본체부(110)와 제1포말부(120)와 제2포말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복수개의 제1관통홀(v1)과 제2관통홀(v2)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수전에 설치된다. 상술한 제1관통홀(v1)에는 후술하는 제1포말부(120)가 설치되며, 제2관통홀(v2)에는 후술하는 제2포말부(1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관통홀(v1)은 본체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정한 간격으로 8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포말부(12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제1관통홀(v1)에 각각 설치되며, 수전로부터 공급받는 유체(f)의 내부에 기포(b)가 형성되도록 유체(f)와 기체(g)가 혼합되는 제1혼합공간(s1)을 형성하며, 기포(b)가 형성된 유체(f)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제1혼합공간(s1)과 연통되는 제1유출공(o1)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와 유출부(122)와 노즐부(123)와 밀봉부(124)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21)는 상술한 제1혼합공간(s1)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기체가 외부에서 제1혼합공간(s1)으로 유입되도록 기체유입구(i)를 형성하며, 단부에 후술하는 유출부(122)가 설치되고, 후술하는 노즐부(123)가 내부에 설치된다.
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f)는 후술하는 노즐부(123)에 형성된 분사공(o3)에 의해 분사되어 상술한 베이스부(121)에 형성되는 제1혼합공간(s1)으로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혼합공간(s1)으로 유체(f)가 유입되면, 제1혼합공간(s1) 내부의 압력이 감소된다. 즉, 외부와 제1혼합공간(s1)의 압력차가 발생되며, 이에 의해서, 기체유입구(i)로부터 외부에서 제1혼합공간(s1)으로 기체(g)가 유입된다. 이후, 제1혼합공간(s1)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21)의 내측 벽면에 유체(f)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유체(f)가 기체유입구(i)를 통해 유입된 기체(g)와 혼합됨으로써, 유체(f) 내에 기포(b)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기포발생기 또는 포말발생기의 내부에도 상술한 제1혼합공간(s1)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즉, 유체(f)와 기체(g)가 혼합되어 기포(b)를 생성기키는 공간이 구비되나, 이러한 공간은 수전커버 또는 수전헤드의 내부에 매우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수전에서 공급되는 유체(f)의 유량이 큰 경우에는 기포(b)가 발생 되는데 문제가 없으나, 수전에서 공급되는 유체(f)의 유량이 적은 경우, 즉, 유량이 3ℓ/min 이하인 경우, 공간에서 유체(f)와 기체(g)가 효과적으로 혼합되지 못해 유체(f) 내에 기포(b)가 발생 되지 않는다.
베이스부(121)는 상술한 종래의 기포발생기 또는 포말발생기에 비해 소형 크기로 구비되는데, 따라서, 제1혼합공간(s1)도 소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비교적 저유량(1ℓ/min 내지 1.5ℓ/min)의 유체(f) 공급에도 제1혼합공간(s1)이 소형의 공간이므로, 유체(f) 내에 기포(b)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포(b), 즉, 포말(泡沫)이 형성되는 유체(f)가 피접촉물, 즉, 컵, 식기 등에 접촉되는 경우, 유체(f)와 피접촉물 사이에 발생되는 표면장력이 크게 증대된다. 이에 의해서, 유체(f)가 피접촉물의 표면에서 튀거나 피접촉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여기서 포말(泡沫)이란, 물이 다른 물이나 물체에 부딪쳐서 생기는 거품 또는 기포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유체(f)의 표면장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여기서, 표면장력이란, 유체(f)가 부피에 대한 표면적의 비율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발생시키는 힘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링 법의 경우, 표면장력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5034842618-pat00001
여기서, Fmax는 유체의 최대 힘, Fv는 유체의 부피에 대한 무게, L은 습윤(濕潤)된 길이, cosθ는 접촉각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Fv, 즉, 유체의 부피에 대한 무게가 감소되면 표면장력은 증가된다. 따라서, 유체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면, 전체 유체의 부피에 대해 무게가 감소되므로 표면장력이 증가된다.
한편, 베이스부(121)는 제1관통홀(v1)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의해서, 유출부(122) 또는 노즐부(123)에 막힘현상 등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문제가 발생된 제1포말부(120)를 사용자가 회전시킴으로써, 제1포말부(120)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유출부(122)는 상술한 베이스부(121)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제1유출공(o1)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에 따라 제1유출공(o1)의 직경의 단면적의 합의 값은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성이 있다.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에 비해 제1유출공(o1)의 직경의 단면적의 합의 값이 너무 큰 경우, 제1유출공(o1)으로 유출되는 유체(f)의 유량이 커져 상술한 제1혼합공간(s1)에서 유체(f)가 기체(g)와 혼합되는 시간이 감소되므로, 유체(f)에 적절한 개수 및 크기의 기포(b)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는 반대로,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에 비해 제1유출공(o1)의 직경의 단면적의 합의 값이 너무 작은 경우, 제1유출공(o1)으로 유출되는 유체(f)의 유량이 작아져 상술한 제1혼합공간(s1)에서 유체(f)가 기체(g)와 혼합되는 시간이 증대되므로, 유체(f) 내에 형성된 기포(b)들이 서로 합체되어 소멸됨으로써, 적절한 개수 및 크기의 기포(b)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체(f) 내에서 적절한 개수의 기포(b)와 적절한 크기의 기포(b)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상술한 복수개의 제1유출공(o1)의 단면적의 합의 값이이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에 대응되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이 7ℓ/min 인 경우, 제1유출공(o1)의 직경의 단면적의 합은 80㎟ 내지 8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에 따라 제1유출공(o1)의 직경이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성이 있다.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에 비해 제1유출공(o1)의 직경이 너무 큰 경우, 제1유출공(o1)으로 유출되는 유체(f)의 유량이 커져 상술한 제1혼합공간(s1)에서 유체(f)가 기체(g)와 혼합되는 시간이 감소되므로, 유체(f)에 적절한 개수 및 크기의 기포(b)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는 반대로,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에 비해 제1유출공(o1)의 직경이 너무 작은 경우, 제1유출공(o1)으로 유출되는 유체(f)의 유량이 작아져 상술한 제1혼합공간(s1)에서 유체(f)가 기체(g)와 혼합되는 시간이 증대되므로, 유체(f) 내에 형성된 기포(b)들이 서로 합체되어 소멸됨으로써, 적절한 개수 및 크기(b)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체(f) 내에서 적절한 개수의 기포(b)와 적절한 크기의 기포(b)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상술한 복수개의 제1유출공(o1)의 직경이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에 대응되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이 7ℓ/min 인 경우, 제1유출공(o1)의 직경은 0.9mm 내지 1.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유출공(o1)의 개수도 상술한 적절한 개수 및 크기의 기포(b)가 형성되는데 영향을 준다. 즉,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에 비해 제1유출공(o1)의 개수가 너무 많은 경우, 제1유출공(o1)으로 유출되는 유체(f)의 유량이 커져 상술한 제1혼합공간(s1)에서 유체(f)가 기체(g)와 혼합되는 시간이 감소되므로, 유체(f)에 적절한 개수 및 크기의 기포(b)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는 반대로,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에 비해 제1유출공(o1)의 개수가 너무 적은 경우, 제1유출공(o1)으로 유출되는 유체(f)의 유량이 작아져 상술한 제1혼합공간(s1)에서 유체(f)가 기체(g)와 혼합되는 시간이 증대되므로, 유체(f) 내에 형성된 기포(b)들이 서로 합체되어 소멸됨으로써, 적절한 개수 및 크기(b)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체(f) 내에서 적절한 개수의 기포(b)와 적절한 크기의 기포(b)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상술한 복수개의 제1유출공(o1)의 개수가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에 대응되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전에서 유입되는 유체(f)의 유량이 7ℓ/min 인 경우, 0.9mm 내지 1.1mm의 직경인 제1유출공(o1)의 개수는 12개 내지 1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량이 7ℓ/min 인 경우, 제1유출공(o1)은 0.9mm 내지 1.1mm의 직경으로 12개 내지 14개로 유출부(122)에 형성되되, 복수개의 전체 유출공의 직경의 단면적의 합이 80㎟ 내지 82㎟가 되도록, 본체부(110)에 8개의 유출부(1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부(123)는 수전로부터 공급되는 유체(f)가 제1혼합공간(s1)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21)의 내측면으로 분사되도록 분사공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베이스부(121)에 설치된다.
이러한 분사공에 의해서, 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f)의 유속이 상승되며, 상승된 유속에 의해 유체(f)가 제1혼합공간(s1)의 형성하는 베이스부(121)의 내측벽에 충돌될 수 있고, 충돌에 의해 유체(f)가 부서지면서 기체유입구(i)를 통해 제1혼합공간(s1)으로 유입된 기체(g)에 혼합됨으로써, 유체(f) 내부에 기포(b)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공는 노즐부(123)의 중심부에 중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에 의해서, 분사각도가 베이스부(121)의 내측면 방향 벽측으로 형성되며, 이에 의해서, 유체(f)가 내측면 방향 벽으로 충돌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분사공을 형성하는 노즐부(123)에 의하면, 유체(f) 내부에 기포(b)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밀봉부(124)는 수전으로부터 제1관통홀(v1)로 유동되는 유체(f)가 제1관통홀(v1)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에 설치되며 제1관통홀(v1)을 형성하는 본체부(110)의 표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밀봉부(124)는 본체부(110)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나머지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제1포말부(120)가 제1관통홀(v1)에 결합되는 경우, 제1관통홀(v1)을 형성하는 본체부(110)의 표면에 밀착되며 접촉된다. 이에 의해서, 수전으로부터 제1관통홀(v1)로 유동되는 유체(f)가 제1관통홀(v1)과 제1포말부(120)의 외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제1포말부(120)의 내부로 모두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21)와 유출부(122)와 노즐부(123)와 밀봉부(124)를 포함하는 8개의 제1포말부(120)가 본체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결합된 구성에 의하면, 수전으로부터 비교적 저유량의 유체(f)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유체(f)의 내부에 기포(b)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포말부(120)는 소형으로 제작되므로, 수전커버의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화되어 공간활용의 측면에서도 큰 이점이 있다.
제2포말부(130)는 수전로부터 공급받는 유체(f)의 내부에 기포(b)가 형성되도록 유체(f)와 기체(g)가 혼합되는 제2혼합공간(s2)을 형성하며, 기포(b)가 형성된 유체(f)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제2혼합공간(s2)과 연통되는 제2유출공(o2)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술한 제2관통홀(v2)에 설치되되, 몸체부(131)와 제1커버부(132)와 제2커버부(133)와 덮개부(13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포말부(130)는 수전에 설치된 유체(f)조절버튼(미도시)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됨에 의해서 유체(f)를 공급받는다. 즉, 유체(f)조절버튼(미도시)이 활성화되면, 제1포말부(120)에 공급되는 유체(f)는 차단되며, 제2포말부(130)로 유체(f)가 공급된다.
몸체부(131)는 제2혼합공간(s2)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복수개의 제2유출공(o2)이 형성된다. 제1커버부(132)는 몸체부(131)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2커버부(133)가 설치된다. 제2커버부(133)는 상술한 제1커버부(132)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된다. 덮개부(134)는 상술한 제2커버부(133)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된다.
유체(f)조절버튼(미도시)이 활성화된 이후, 수전에서 유체(f)가 덮개부(134)로 유입된다. 이때, 덮개부(134)에 형성된 미세홀에 의해, 유체(f)에 포함된 미세홀의 직경 보다 큰 이물질이 걸러진다. 이후, 미세홀을 통과한 유체(f)는 제2커버부(133)의 분사홀을 통해 제1커버부(132)를 거처 제2혼합공간(s2)으로 유입되며, 이때, 제2혼합공간(s2)에서 기체(g)와 유체(f)가 혼합됨으로써, 유체(f) 내에 기포(b)가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2유출공(o2)의 단면적의 합의 값은 상술한 제1유출공(o1)의 단면적 합의 값에 대응되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유출공(o2)의 단면적의 합의 값은 80㎟ 내지 8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와 제1포말부(120)와 제2포말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100)에 의하면, 저유량의 유체(f)가 수전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도, 유체(f)의 내부에 기포(b)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포(b)가 형성된 유체(f)가 피접촉물에 접촉되는 경우, 유체(f)와 피접촉물 사이에 발생되는 표면장력이 증대되어 피접촉물로부터 유체(f)가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100)가 싱크대에 이용되는 경우, 유체(f)가 피접촉물, 즉, 컵, 식기 등에 접촉될 때, 피접촉물의 표면에서 유체(f)가 튀거나, 유체(f)가 피접촉물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설거지를 실시하는 경우, 유체(f)가 튀거나 분리되는 현상으로 기인하여 사용자의 옷이 젖는 문제점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에서 유체가 유동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제1혼합공간에서 유체와 기체가 혼합되는 제1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제1혼합공간에서 유체와 기체가 혼합되는 제2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의 제1혼합공간에서 유체와 기체가 혼합되는 제3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에서 유출되는 유체가 피접촉물에 접촉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으로부터 유체(f)와 기체(g)가 노즐부(123)로 유입된다. 이때, 노즐부(123)에 형성된 분사공(o3)에 의해, 유체(f)의 유속이 상승 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유체(f)는 제1혼합공간(s1)으로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혼합공간(s1)으로 유체(f)가 유입되면, 제1혼합공간(s1) 내부의 압력이 감소된다. 즉, 외부와 제1혼합공간(s1)의 압력차가 발생 되며, 이에 의해서, 기체유입구(i)를 통해 외부에서 제1혼합공간(s1)으로 기체(g)가 유입된다, 한편, 유체(f)는 분사공(o3)을 통과하면서 가속되었는 바, 제1혼합공간(s1)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21)의 내측 벽면으로 강하게 충돌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에 의해, 유체(f)가 제1혼합공간(s1) 내에서 부서지게 되며, 따라서, 유체(f)는 기체유입구(i)를 통해 제1혼합공간(s1)으로 유입된 기체(g)와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서, 유체(f) 내에 복수개의 기포(b)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기포(b)가 형성된 유체(f)는 제1유출공(o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과정에 의해 기포(b)가 형성된 유체(f)가 피접촉물, 즉, 컵, 식기 등에 접촉되면, 유체(f)에 형성된 기포(b)에 의해, 유체(f)와 피접촉물 사이에 발생되는 표면장력이 크게 증대된다. 이에 의해서, 유체(f)가 피접촉물의 표면에서 튀거나 피접촉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따라서, 피접촉물에서 유체(f)가 분리됨으로써, 싱크대의 저면에 유체(f)가 튀는 현상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100)에서 유체(f)가 유동되는 과정에 의하면, 수전으로 비교적 저유량의 유체(f)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유체(f) 내부에 기포(b)가 용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따라서, 본 발명이 싱크대에 이용되는 경우, 유체(f)가 피접촉물, 즉, 컵, 식기 등에 접촉될 때, 피접촉물의 표면에서 유체(f)가 튀거나, 유체(f)가 피접촉물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설거지를 실시하는 경우, 유체(f)가 튀거나 분리되는 현상으로 기인하여 사용자의 옷이 젖는 문제점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전커버
110 : 본체부 120 : 제1포말부
121 : 베이스부 122 : 유출부
123 : 노즐부 124 : 밀봉부
130 : 제2포말부 131 : 몸체부
132 : 제1커버부 133 : 제2커버부
134 : 덮개부
v1 : 제1관통홀 v2 : 제2관통홀
s1 : 제1혼합공간 s2 : 제2혼합공간
o1 : 제1유출공 o2 : 제2유출공
o3: 분사공 i : 기체유입구
f : 유체 g : 기체
b : 기포

Claims (12)

  1. 수전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1관통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전로부터 공급받는 유체의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체와 기체가 혼합되는 제1혼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기포가 형성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1혼합공간과 연통되는 제1유출공이 형성되는 제1포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포말부는,
    상기 제1혼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기체가 외부에서 상기 제1혼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기체유입구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유출공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유출부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제1유출공의 직경의 단면적의 합의 값은,
    상기 유체의 유량에 대응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출공의 직경은 상기 수전에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에 대응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커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유출공의 개수는 상기 수전에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에 대응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커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말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1혼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으로 분사되도록 분사공을 형성하는 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커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포말부는,
    상기 수전으로부터 상기 제1관통홀로 유동되는 유체가 상기 제1관통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커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관통홀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커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커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중심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에 설치되며, 상기 수전로부터 공급받는 상기 유체의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체와 상기 기체가 혼합되는 제2혼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기포가 형성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2혼합공간과 연통되는 제2유출공이 형성되는 제2포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커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제2유출공의 단면적의 합의 값은 제1유출공의 단면적 합의 값에 대응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커버.
KR1020150050360A 2015-04-09 2015-04-09 수전커버 KR101636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360A KR101636002B1 (ko) 2015-04-09 2015-04-09 수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360A KR101636002B1 (ko) 2015-04-09 2015-04-09 수전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002B1 true KR101636002B1 (ko) 2016-07-05

Family

ID=5650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360A KR101636002B1 (ko) 2015-04-09 2015-04-09 수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495B1 (ko) 2019-12-10 2021-06-14 주식회사 케이엔텍 미스트 분사를 위한 수전 부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990A (ja) * 1996-03-05 1997-09-16 Toto Ltd 気泡発生浴槽
JP2001314784A (ja) * 2000-05-12 2001-11-13 Daihatsu Motor Co Ltd 塗装装置
JP2008231477A (ja) * 2007-03-19 2008-10-02 Jfe Steel Kk 溶銑の脱燐処理方法
JP2008297862A (ja) * 2007-06-04 2008-12-11 Yoshiki Tatemori 節水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節水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990A (ja) * 1996-03-05 1997-09-16 Toto Ltd 気泡発生浴槽
JP2001314784A (ja) * 2000-05-12 2001-11-13 Daihatsu Motor Co Ltd 塗装装置
JP2008231477A (ja) * 2007-03-19 2008-10-02 Jfe Steel Kk 溶銑の脱燐処理方法
JP2008297862A (ja) * 2007-06-04 2008-12-11 Yoshiki Tatemori 節水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節水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495B1 (ko) 2019-12-10 2021-06-14 주식회사 케이엔텍 미스트 분사를 위한 수전 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6170B2 (ja) 液流減速バリアを用いた、微細な気泡の泡層を有するコーヒー抽出液を製造する装置
JP2008138420A (ja) 微小気泡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水洗便器装置
CN108166588B (zh) 冲水大便器
KR101088145B1 (ko) 절수형 미세기포 생성장치
KR101636002B1 (ko) 수전커버
CN108166595B (zh) 冲水大便器
JP2010007315A (ja) マイクロバブル洗浄ノズル
KR20150118215A (ko)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비데
CN216631244U (zh) 一种微纳米气泡出水设备
KR102232104B1 (ko) 독립형 기능수 유로를 갖는 절수 샤워헤드
KR101739408B1 (ko) 위생 세정 장치
JP4360430B2 (ja) ノズル容器
JP2004175413A (ja) 泡注出コック
KR200415716Y1 (ko) 측면 노즐이 구비된 샤워 헤드
JP2017148772A (ja) 気液混合体噴射装置
KR101490817B1 (ko) 버블 샤워기
JP6394314B2 (ja) 吐水装置
JP6315247B2 (ja) 吐水装置
JP2016104950A (ja) 吐水装置
JP4674056B2 (ja) 泡噴出ポンプ容器装着用ノズルヘッド
JP4016978B2 (ja) ノズル装置
JP4196006B2 (ja) ノズル容器
JP5762422B2 (ja) 節水コマ
JP2001198037A (ja) 吐水具
JPS6287158A (ja) 気泡振動浴槽の発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