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611A -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611A
KR20180115611A KR1020180007416A KR20180007416A KR20180115611A KR 20180115611 A KR20180115611 A KR 20180115611A KR 1020180007416 A KR1020180007416 A KR 1020180007416A KR 20180007416 A KR20180007416 A KR 20180007416A KR 20180115611 A KR20180115611 A KR 20180115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battery
power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은
Original Assignee
최기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은 filed Critical 최기은
Publication of KR2018011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611A/ko
Priority to KR102019000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1M2/1005
    • H01M2/109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전원의 크기(용량), 화면의 크기를 확대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착용하는 인체의 곡면에 맞게 화면과 디스플레이에 곡률을 부여하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빼내어 기기 밖에서 전기적으로 단위전원을 형성한 배터리 장착케이스에 삽입한 후 다수의 배터리 장착케이스를 기계적, 전기적으로 서로 병렬연결하여 디스플레이 외관에 형성한 연결링크와 연결하여 인체의 피착용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디스플레이의 기본 화면에 확장 화면을 톱니바퀴형상 연결링크와 L자형 철 클립으로 연결하여 자동으로 확장 화면을 펼 수 있으며, 내부에 형성한 디스플레이 장치 회로유닛을 횡 또는 종으로 병행 병렬방식으로 연결하여 실행속도와 처리 능력을 배가 하였으며, 메모리 용량을 크게 올려 상기 화면과 카메라를 디스플레이에서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고배율한 카메라 렌즈를 디스플레이 측면으로 전환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촬영기나 무인카메라, 블랙박스 등의 이종기기로 활용성이 있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이 병렬연결 배터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A wearable smart phone having a strap with a parallel-connected battery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110) 장치 및 전원의 크기(용량), 화면(112)의 크기를 확대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피 착용하는 인체의 곡면에 맞추어 화면(112)과 디스플레이(110)에 곡률을 주며, 단위전원인 배터리를 전원유닛이 구성된 케이스에 넣어 연결하여 디스플레이(110)에 일정한 전원을 공급하고, 다수의 배터리 장착케이스(124) 간에 상호 연결한 스트랩(130)과 스마트폰 디스플레이(110)를 연결하여 인체의 일부에 착용하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110)의 재질이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피 착용부인 인체의 곡면에 맞추어 스마트폰을 휘거나 휘어 착용할 수 있으며, 유연한 재질로 인하여 상부 화면(112.161)을 본체와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폰 내부에서 배터리가 빠져 넓어진 공간을 이용하여 화면 또는 배면과 수평으로 카메라(150)를 설치하여 조리개 후방을 늘리고 슬라이드 장치로 구성하여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용량을 확대하기 위하여 넓어진 공간에 디스플레이(11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회로유닛(116~119)을 횡 또는 종으로 늘리고, 실행과 제어를 위한 회로 칩을 병행 운용할 수 있도록 병렬연결하여 대용량의 자료를 고속으로 처리하고, 대용량과 처리 속도가 빨라진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점을 이용하여 게임기, 블랙박스, 감시카메라, 영상촬영기 등 이종 기기로 사용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최근 휴대용 전화기, PDA 등과 같은 단말기는, 손목이나 인체의 두부(head portion)에 착용할 수 있는 제품이 등장하고 있으나, 구성하는 용량과 전원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서 화면의 크기 및 사용 시간에 한정되고 불편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5-0026082호는, 다수의 단위 케이스 프레임이 서로에 대하여 연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일정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단위 기판이 휘어질 수 있는 전기적 연결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일정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단위 배터리 셀이 휘어질 수 있는 전기적 연결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팩 및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일부에 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5507호는 화면의 크기를 확대하여 세 개의 화면으로 꺾어 인체의 팔에 착용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나 화면을 펴고 꺾는 등의 구조로 인하여 사용시 어려움이 있으며 배터리도 꺾이는 화면에만 부착할 수 있어 배터리 용량에도 한계가 있으며, 사용시 인체에 걸려 화면이 파손될 위험이 크고 사용이 불편하며, 등록특허공보 제10-1470428호는 와치폰의 측면에 여러 개의 보조 배터리를 추가하여 배터리 용량을 늘리려 하였으나 착용밴드에 여러 개를 몰려 설치되므로 구성하기 어렵고, 역시 적은 용량의 소형 배터리에 한정되며, 착용밴드가 두꺼워져 사용자가 착용하기에 불편하다, 그리고 등록특허공보 제10-1480675호 역시 디스플레이를 손목에 길이 방향으로 둘러 착용하고 화면을 곧게 펴서 사용하려 하나 접거나 펴는 설비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실제 제작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소형 밴드형에 국한되므로 활용도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6082호는, 전자 장치 전체가 임의대로 휘어지며,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별도의 스트랩 없이 인체 또는 각종 구조물에 착용 가능하며, 디자인적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착용을 위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도 1의 12)가 복잡하며, 그 동작의 신뢰성이 의문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5507호는,화면이 꺾이는 부분이 각져 있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전원용량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0-1470428호는, 소형 와치폰에 적용하기 위한 개발로 사용 용량에 한계가 있다 할 것이며, 등록특허공보 제10-1480675호 역시 소형 와치폰에 국한되어 화면이 적고 사용 용량이 작아 스마트폰과 같이 디스플레이가 큰 단말기에서는 과도한 중량으로 인하여 실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할 것이다.
1. 한국공개특허 10-2015-0026082호 2. 한국공개특허 10-2015-0025507호(2015.03.10)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70428호(2014.12.08) 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80676호(2015.01.14) 3.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02766호(2015.03.17)
본 개시는, 화상통신 장비인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110) 및 단위전원(120)의 크기(용량), 화면(112)의 크기를 확대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과 원활한 소지 보관을 위하여 인체의 일부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전원 공급원인 배터리(121)의 충전 없이도 장시간 사용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착용할 경우 배면에 있는 카메라 렌즈(151)를 측면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디스플레이(110)의 용량과 화면의 크기 그리고 사용 시간의 증가로 인하여 실생활에서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추가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는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112.161))과 상기 화면의 배면으로서 피 착용부와 마주하는 후면을 가지는 비 전도체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만든 디스플레이(110); 상기 디스플레이 양측에 각각 연결링크(125)와 아이언 링크(140)로 연결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10)를 상기 피 착용부에 고정 시키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이웃하여 순차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랩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단위전원인 배터리(121)로 구성되는 전원유닛(120)으로서, 상기 스트랩은 복수의 배터리 장착케이스(124)가 서로 연결링크로 병렬연결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회로판(1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120)을 모두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또 다른 하나는, 상기 화면(112) 측면 일 측에 톱니바퀴 형상의 연결링크(163)와 L자형 철 클립(164)으로 연결하여, 상기 화면(112)과 상기 화면에 마주하도록 설치하여 화상이 표시되는 확장 화면(161)을 가지는 확장 디스플레이(160)가 제2 곡률을 가지며 포개어져 닫히고, 확장 화면 이면에 보조 표시부(162)를 더 포함하며, 미 사용시 확장 화면 상단 일 측에 구성한 폴더걸쇠(165)로 마주하는 스마트폰 본체 화면 일 측에 구성한 폴더걸쇠 걸림구(166)에 걸어 덮개로 사용하는 폴더 스크린(160)을 부착하는 것과 용량이 늘어난 상기 디스플레이(110)를 이용하여 이종기기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화면(112.161)과 카메라(150)가 디스플레이(110)와 분리되어 유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분리된 화면은 밑면에 카메라(150)와 분리화면 전원 콘센트(180) 그리고 근접통신 무선회로(190)가 상기 화면 밑면에 부착되어 별도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부와 같은 형상을 한 적치장치에 장착하여 이종기기로 사용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적치장치를 추가 구성하여 가지는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을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110)의 측면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112.161)) 하단 일 측에 슬라이드 장치로 부착되며, 전원유닛(120)인 배터리가 밖으로 나가면서 넓어진 공간으로 인하여 후방이 길어지고, 슬라이드 장치로 상기 화면 밑면에 부착되어 전후좌우로 움직이며, 상기 화면이나 배면 중 하나와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150)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112.161))을 이종기기로 사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10) 본체 상부에서 분리할 때 상기 화면(112.161) 밑면 일 측에 슬라이드 장치로 부착하여 분리되는 카메라(150); 분리되는 화면에 전원을 공급하는 분리화면 전원 콘센트(180); 스마트폰 본체 디스플레이와 상기 화면을 무선으로 이어주는 근접통신 무선회로(190)가 상기 카메라(150)와 이웃하여 부착되어 상기 화면(112.161)과 같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110)에서 동시에 분리되는 것을 제2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배터리(121)를 스마트폰 디스플레이(110) 내부에서 외부로 빼내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 전원선(114.115)은 스마트폰 양쪽 측면 끝단까지 길게 연장하여 빼내고, 디스플레이 외형은 배터리 장착케이스(124)와 연결링크(125)와 아이언 링크(140)로 연결하며, 상기 후면은 상기 피 착용부에 밀착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유연한 재질로 제작하여 제1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서 제작하고 밑면을 본체의 전체적인 면보다 약간 얇게 구성하여 착용하면서 더 휘어지거나 구부려지는 외형을 가지며,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과 연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외형 양쪽 측면에는 배터리 장착케이스(124)와 연결링크(125)로 연결하기 위한 돌출한 원형 삽입구가 있으며, 또한 다른 하나는, 상기 화면(112.161)과 카메라(150)를 분리하여 이종기기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는 화면(112.161)과 디스플레이(110)를 분리하고, 부착하기 위한, 분리막(170)과 화면 탈부착용 삽입 홈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화면(112.161)에서 오는 데이터와 상기 전원유닛(120)으로부터 공급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화면(112.161)에 표시하는 화상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110) 용량을 늘리기 위하여 회로유닛(116~119) 수를 배터리(121)가 빠져 넓어진 공간에 횡 또는 종으로 중복 추가 배치하여 늘리고, 늘린 회로유닛에 대하여 중복 실행할 수 있도록 회로유닛(116~119)을 병행 병렬연결 방식으로 연결 배치하는 것을 제3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있어, 상기 스트랩은 단위전원인 배터리(121)를 전원유닛(120)을 갖는 배터리 장착케이스(124)에 끼워 넣어 체결하고, 전원유닛(120) 전원접촉 면의 한쪽 접촉 면을 다른 한쪽의 전원유닛 접촉 면이 감싸듯 휘감아 연결하여 길이가 슬라이드 형태로 작동하는 일방 또는 양방으로 전원 연결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배터리 장착케이스(124)로 다양한 배터리의 형태와 인체의 곡면에 맞추어 체결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하여 배터리 장착케이스(124)와 덮개(126) 역시 휘어지며 피 착용부에 체결할 수 있는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하며, 체결하는 방법에는 배터리 장착케이스(124)를 연결링크(125)로 연결하고 덮개(126)는 착용밴드(130)를 만든 후 그 위에 상기 스트랩으로 구성된 다수의 배터리 장착케이스(124)의 간격으로 상호 체결이 용이한 간격을 두고 부착하며; 착용밴드(130) 끝단 둘레는 볼록한 형상의 접촉 면이 돌출 형성되고, 착용밴드 덮개(210))는 끝단 둘레가 오목한 형상의 접속 면이 있으며, 착용밴드(130)와 하나로 접속접착되어 이중방수로 피 착용부에 착용하는 방법과 배터리 장착케이스(124)에 일방 또는 양방으로 병렬연결한 전원 연결선의 표면을 강화한 피복으로 꾸며 다수의 배터리 장착케이스(124)를 병렬연결하여 체인처럼 착용하는 방법으로 착용하는 것을 제4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1 또는 제4 발명에 있어, 상기 복수의 단위전원은, 서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일 측에 상호 간에 전원연결을 위한 슬라이드 전원단자가 일방 또는 양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수의 전원유닛(120)은 상호 연결한 전원이 하나 이상의 배터리가 방전되어도 일정한 크기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배터리만으로도 스마트폰을 사용 가능한 다수의 병렬연결 방식으로 이루어진 전원으로서, 상기 배터리 장착케이스(124) 각각은 서로 아이언 링크(140) 또는 강화한 병렬연결선 자체로 상호 연결되며, 전원유닛 한쪽은 전원 콘센트(128)가 있고 반대쪽 한쪽으로는 이웃하는 배터리 장착케이스와 전원 병렬연결을 위하여 케이스 밖으로 길게 연장한 전원 연결선으로 끝에는 전원 플러그(127)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제5 발명으로 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1 또는 제3 발명에 있어, 상기 아이언 파이프(141)는 원형의 외형과 속이 빈 원형 관으로써 전원 연결선이 지나거나 여분의 길이를 삽입보관 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외관 측면에 구성한 원형 연결링크와 상기 배터리 장착케이스 외관에 구성한 원형 연결링크(125)를 아이언 링크(140)가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두 개의 케이스를 상호 연결하여 주는 도구이며, 상기 아이언 링크(140)는 아이언 파이프(141)와 아이언 파이프 양쪽 끝에는 같은 재질의 덮개(143)가 있으며, 다수의 배터리 장착케이스(124)에서 병렬연결하여 늘린 전원선(122.123)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아이언 파이프와 아이언 링크 덮개(143)를 같이 측면에서 전원선이 관통하는 구멍(142)이 있는 것을 제6발명으로 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110)에서 분리되어 이종기기로 운용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112.161)과 상기 화면(112.161) 일 측에 상기 화면 또는 배면과 수평으로 부착되어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카메라(150),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분리된 화면에 전원을 공급하는 분리화면 전원 콘센트(180) 및 상기 디스플레이(110)와 화면(112)을 무선통신으로 연결하여 주는 근접통신 무선회로(190)가 이웃하여 일체로 형성한 화면(112.161)이 분리되어 이종기기로 사용시 장착하여 사용하고 보관하는 장착장치를 가지는 것을 제7 발명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구성하는 회로유닛(116~119)과 화면이 부착된 디스플레이가 일반적으로 내장된 배터리로 인하여 스마트폰(100)의 전체 몸통을 휘거나 구부릴 수 없으며, 디스플레이(110) 안에 내장된 회로유닛(116~119)이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배터리(121)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의 고속실행과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회로 칩의 추가가 힘들고, 배터리의 한계로 인하여 장기간 사용시 충전을 위한 부속장치가 필요하고 휴대하여야 하며,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휴대시 분실이나 떨어뜨려 파손되어 금전적 손해를 보는 것과 보관의 어려움에 대한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100)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를 디스플레이(110) 외부로 빼냄으로써 스마트폰의 몸체를 휘거나 구부릴 수 있으며, 밖으로 빼낸 배터리 다수를 이용하여 인체의 피 착용부에 착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121)를 빼내어 넓어진 공간에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구성하는 회로 칩(116~119)을 더 부착하여 사용 용량을 늘릴 수 있고, 상기 애로 사항을 해결하며, 늘어난 용량과 중복 병행 처리 구성한 시스템으로 인하여 자료 저장량이 늘어나고 처리 속도가 빨라지며, 복수의 단위전원이 기존에 하나로 사용하던 것과는 달리 디스플레이(110) 밖의 넓은 스트랩에 병렬연결 배치되므로 많은 수의 단위전원으로부터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위한 최소 전원을 일정하게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어 사용 시간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장한 화면이 추가로 구비되어 화면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연장된 화면을 폴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연장화면 이면에 보조 창을 구성하고 있어 간단한 메세지나 시간을 보는 시계로 활용이 가능하며, 화면(112)과 카메라(150)가 동시에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블랙박스나 촬영 카메라 등 이종기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촬영유닛이 기존에 디스플레이 두께로 배면에 있어 카메라의 줌을 키울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화면 또는 배면과 수평으로 카메라(150)를 배치하므로 카메라 렌즈(151)의 후방 영역이 늘어나 줌 기능의 고배율화가 가능하며, 슬라이드 설비를 갖추고 있어 영상촬영기나 감시카메라 블랙박스 등 이종기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도면 임.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연결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대표도 임.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배터리가 빠진 스마트폰 본체로 배터리케이스와 연결되는 연결링크가 측면에 구성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표현한 도면 임.
도 4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상부 화면이 하부 디스플레이와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한쪽 방향 전원공급 단위전원케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양쪽 방향 전원공급 단위전원케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와 단위전원케이스를 이어주는 아이언 링크와 덮개를 표현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단위전원케이스의 덮개를 착용밴드에 부착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강화한 병렬연결 전원선으로 단위전원케이스 간에 체인처럼 연결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착용밴드가 이중방수용 형태로 변경하고 덮개를 구성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본 출원에 우선권을 갖는 선출원된 도면)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를 구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의 전체적인 연결 상태와 디스플레이 장치(111)에 전원을 공급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대표도 임,
도 3은 배터리가 빠진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컨넥트 접속구(128)가 디스플레이 양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외관에는 단위전원 장착케이스(124)와 아이언 링크(141)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링크(125)가 양쪽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 디스플레이에서 화면(112)과 화면에 부착된 카메라(150), 분리되는 화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컨넥트 접속구(180) 및 근접통신 무선회로(190)가 부착되어 분리되는 것을 표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배터리가 접속되어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한쪽으로 단위전원 전원회로가 구성된 단위전원 장착케이스(124)를 보여 주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배터리가 접속되어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양쪽으로 단위전원 회로유닛이 구성된 단위전원 장착케이스(124)를 보여 주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110)와 단위전원 장착케이스(124)를 연결하여 주는 아이언 링크(141)와 덮개(143)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병렬연결된 단위전원 장착케이스의 덮개(126)를 피착용하는 인체에 착용하는 밴드 위에 부착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디스플레이(110)와 측면에 위치한 첫째 단위전원 장착케이스(124)를 아이언 링크(141)로 연결하고 단위전원 장착케이스(124) 간에는 단위전원 장착케이스(124) 양쪽 끝단에 구성한 병렬연결 전원 콘센트(128)를 강화한 병렬연결 전원선(122.123)으로 상호 연결하여 피 착용부인 인체에 체인처럼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110)가 본인이 선출원한 이중방수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와 호환 가능한 착용밴드(130)와 덮개(210)를 보여주는 도면.
도 2 에서 도 10을 참조하면,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110), 스트랩, 복수의 배터리(121)로 구성하는 전원유닛(1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112)과, 화면의 배면으로서 피착용부와 마주하는 후면을 가지는 판형상으로 구비된다.
피 착용부는 인체의 손목이 일반적일 것이나 팔 또는 다리 허리 등과 같이 인체의 모든 부위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판 형상의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이 외형을 형성하며, 하부는 피 착용부에 밀착하는 배면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비전도체의 케이스로 상부는 화면(112)으로 배치 구성된다.
여기서, 화면(112)은, LCD, OLED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전원유닛(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화면(112)에 표시되는 화상을 인식, 제어, 실행, 기억하는 회로유닛(116~119)이 넓어진 공간에 폭 또는 종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11) 조립 판 또는 비 전도체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내부 바닥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병행 병렬연결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110)는, 배면이 피 착용부에 밀착하도록 설정한 제1 곡률을 가지도록 비전도체의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과 같은 유연하고 휘어지는 재질로 측면 재질보다 더 유연하게 제작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상단 화면(112)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의 상단에는 화면 분리막(170)과 화면의 접속과 분리를 위한 접속 홈이 구성되며, 화면 분리막(70)에는 화면과 같이 분리되는 카메라와 분리되는 화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전원 플러그(171) 그리고 분리된 화면과 디스플레이 간에 통신을 주고받는 근접통신 무선회로 유닛(190)이 접속되는 접속 면(173)이 구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배터리(121)를 디스플레이(110) 밖으로 빼내기 위하여 주 전원선(122.123)을 디스플레이(110) 측면 양쪽 끝단까지 연장하고 전원 콘센트(128)를 구성하며, 외관 양쪽에는 배터리 장착케이스(124)와 아이언 링크(140)로 연결하기 위하여 원형 연결링크(125)를 구성한다.
나아가, 화면(112)이 제2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2 곡률은 동일한 곡률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 디스플레이(110)의 측면 일 측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110)의 화면(112)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50)는 종래 디스플레이(110)의 두께방향이 아닌 디스플레이의 길이 또는 폭 방향과 수평으로 배치되므로, 카메라 렌즈(151)의 후방 영역이 길어져 줌 기능의 고배율화가 가능하고, 배터리가(121) 빠져 넓어진 공간을 이용하므로 카메라(150)를 슬라이드 장치로 접목하여 상기 화면(112) 밑면 일 측에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하여 부착 구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외관이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제작하므로 이종기기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화면(112)을 디스플레이(11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되는 화면은, 밑면 일 측에 슬라이드 장치로 부착되는 카메라가 있어 전후좌우로 카메라를 움직일 수 있고, 분리된 화면과 디스플레이 간에 통신을 주고 받는 근접통신 무선회로가 이웃하여 부착되며, 화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콘센트가 역시 이웃하여 부착된다.
하지만, 여기서 사용하는 근접통신 무선회로(190)와 콘센트(18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스트랩은, 디스플레이(110)를 피 착용부에 고정 시키는 기능을 한다.
스트랩은, 두 개 이상의 단위전원 장착케이스(124)가 상호 간에 외부에 구성한 날개 형상의 연결링크(125)를 아이언 링크(141)로 관통하거나 또는 강화한 병렬연결 전원선(122.123)으로 두 단위전원 장착케이스(124)를 결합 체결 혹은 병렬연결하여 구비된다.
스트랩은, 서로 체결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두 개의 단위 스트랩으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개의 단위 스트랩은 각각의 말단이 디스플레이(110)의 양측에 구성한 연결링크(125)에 각각 결합 된다. 이 결합은 연결링크(125)를 아이언 링크(141)로 관통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트랩은, 다수의 단위전원이 병렬연결한 전원유닛(120)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10)의 양측에 구성한 주 전원 콘센트(128)에 접속되어 디스플레이(110)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병렬연결한 스트랩은 하나 이상의 단위전원이 상호연결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단위전원이 방전되어도 디스플레이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유닛(120)이다.
전원유닛(120)은, 복수의 단위 전원(121)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단위 전원(121)은, 각각 스트랩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되고, 스트랩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복수의 단위전원은 일방 또는 양방향에 주 전원인 배터리의 전원 접촉 면이 있으며 전원 접촉 면의 연장선이 케이스 밖으로 나아가 이웃하는 단위전원과 병렬연결되어 디스플레이(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복수의 단위전원은 병렬연결에 의해, 어느 하나의 단위전원이 방전된 상태에서도 전원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한 개 이상의 단위전원으로도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고, 방전된 배터리를 빼내어도 일정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단위전원 중 방전된 단위 전원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병렬연결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서로 분리되어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전원은, 일 측에 일방 또는 양방으로 상호 간에 전원연결을 위한 전원유닛을 가진다.
이때, 전원유닛(120)의 연결선은 케이스 밖으로 나아가 한쪽은 이웃하는 단위전원케이스 전원유닛의 콘센트(128)에 연결하는 콘센트 플러그(127)로 삽입되고, 반대쪽 한쪽은 이웃하는 단위전원케이스 전원유닛 연결선의 콘센트 플러그가 들어와 접속되는 콘센트 접속구의 구조로 이루어졌다.
단위전원 전원유닛(120)의 배터리 전원유닛 접촉 면은 하나는 다른 하나의 전원연결선과 마주하거나 감싸고 있어 착용시 전원연결선(122.123)을 잡아당겨도 서로 맞물려 연결되어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연결방식으로 되어있다.
스트랩은, 복수의 단위전원이 각각 결합하는 복수의 배터리 장착케이스(124)가 이웃하여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단위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단자와 콘센트 플러그(127)가 인체의 피 착용부에 접착 착용하는 밴드(130)에 덮개(126)를 부착하여 복수의 단위전원을 병렬연결한 전원유닛을 부착하여 착용하는 방법과 복수의 배터리 장착케이스(124) 간 연결링크(125)를 아이언 링크(141)로 관통연결하여 착용하는 방법 외에 전원 병렬연결선을 강한 피복으로 구성하고 단위전원 장착케이스(124) 양쪽 끝단 밖에 전원 콘센트(128)를 형성하여 강화한 병렬연결선 콘센트 플러그(127)로 접속하여 체인처럼 연결하여 착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 스트랩을 부착하는 착용밴드(131)는 피 착용부에 원활히 감싸 착용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110)나 배터리 장착케이스(124)보다 더 유연한 재질로 구비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있어, 디스플레이(110)의 상기 화면(112)이 밑면에 부착한 카메라(150)와 전원 연결 콘센트(128) 그리고 근접통신 무선회로(190) 등이 동시에 본체에서 분리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각 구성과 동일하나, 확장 디스플레이(160)가 더 구비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확장 디스플레이(160)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같은 구성은 앞선 제1 실시 형태에 대한설명으로 갈음 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 확장 디스플레이(160)는, 화면(112)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 확장 면(161)을 가지며, 일 단위 디스플레이(110) 일 측에 톱니바퀴 형상의 폴더 연결 연결링크(163)와 L 자형 철 클립(164)으로 결합 된다.
한편, 확장 디스플레이(160)는, 화면 확장면(161)의 이면에 구비되며, 화상이 표시되는 보조 표시부(162)와 화면 확장 면 상단 일 측에 폴더걸쇠(16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표시부(162)는, 확장 디스플레이(16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시간, 날짜, 수신된 내용 등과 같은 간략한 정보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도와 준다.
도 4에서 160은 화면 확장면(161)과 보조 표시부(162)에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하는 회로 유닛을 의미한다.
도 5 또는 도 6에서 단위전원(120)의 형태는 배터리(121) 형상에 따라 금형 사출하여 제작하기 위하여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원료로 만들어진다.
도 5 또는 도 6에서 단위전원(120)은 스마트폰의 주 전원인 배터리가 삽입 접촉하여 전원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 공급하기 위하여 일방 또는 양방으로 전원유닛(120)을 형성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와 연결하거나 단위전원 간에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케이스 외부에는 연결링크(125)를 형성되어 아이언 링크(141)가 두 개의 연결링크를 관통하여 연결하여 피 착용부에 착용할 수 있도록 스트랩을 형성한다.
도 5 또는 도 6에서 단위전원의 전원유닛(120)은 이웃하는 디스플레이(110) 또는 단위전원과 병렬연결되기 위하여 케이스 양쪽으로 전원공급 선이 연장되며, 일방은 케이스 끝단에 콘센트 플러그(128)를 형성하고, 일방은 케이스 밖까지 늘려 콘넥트 플러그(127)를 형성하여 상대방의 콘센트(128)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원유닛(120)의 배터리(121) 전원 접촉 면은 일방의 접촉 면이 일방의 접촉 면을 감싸는 슬라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착용밴드(130)에 부착되어 착용 때 전원유닛 연장선이 더 연장될 수 있는 유격을 내포하게 된다.
도 7에서 아이언 링크(140)는 디스플레이와 배터리를 삽입한 단위전원케이스를 상호 연결링크(125)와 연결링크(125)를 관통하여 연결하여주는 부품이다.
도 7에서 아이언 링크(140)는 경량의 원형의 막대 중간에 구멍이 뚫려있는 원형 관 형상의 막대로 양쪽 끝에는 같은 재질의 일 측이 막힌 덮개(143)로 조립되며, 아이언 링크 속으로 디스플레이(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122.123)이 관통하거나 여분의 전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서 아이언 링크(140)는 한쪽 또는 양쪽으로 전원선이 측면에서 관통되는 구멍이 있으며 덮개와 같이 맞물려 전선을 접속하기 위하여 링크 끝단 끝에서 홀로 전선을 끼워 관통되도록 전선을 끼워넣는 홈이 덮개와 반대 방향 형상으로 이루어져 아이언 링크와 덮개가 조립되어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형상이다.
도 8에서 착용밴드(130)는 병렬연결된 단위전원의 덮개를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인체의 피 착용 부에 다수의 단위전원과 디스플레이가 하나로 착용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8에서 착용밴드(130)는 다수의 단위전원을 중간에 주 전원인 배터리(121)가 없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배면을 부착하거나 접촉되며 양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열한 단위전원 장착케이스 덮개(131))는 단위전원 장착케이스(124)를 접착하거나 접속하여 병렬연결한 다수의 단위전원 장착케이스를 안정적으로 인체의 일부에 착용해 준다.
도 8에서 착용밴드(130)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110)나 단위전원 장착케이스(124)보다 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된다.
도 9에서 디스플레이(110)의 주 전원인 단위전원을 양방향으로 배터리 장착케이스(124) 간에 강화한 병렬연결선(122.123)으로 연결하는 연결 방법이다
도 9에서 강화한 병렬연결선(122.123)으로 케이스 측면에 구성한 전원연결 콘센트(128)가 이웃하여 있으며, 강화한 병렬연결 전원선 콘센트 플러그(127)로 콘센트(28)에 접속하여 케이스 간에 체인처럼 계속하여 연결되며, 마지막 배터리 케이스의 콘센트 삽입구는 강화한 병렬연결 전원선으로 반대쪽 스트랩 마지막 단위전원 콘넥트케이스 콘넥트 삽입구에 접속되어 인체의 피 착용부에 착용된다.
도 9에서 강화한 병렬연결 전원선으로 구성한 스트랩 마지막 배터리 장착케이스(124)의 콘센트(128)는 연질의 덮개로 막아 단위전원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는다.
도 10은 본 개시의 우선권을 갖는 웨어러블 단말기용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의 이중방수용 착용밴드와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가 호환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도 10에서 이중방수용 착용밴드(210)는 전원유닛(120)을 갖는 배터리 삽입 구가 유연한 재질의 착용밴드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한 구조로 단위전원과 단위전원 간 병렬연결 전원유닛이 착용밴드 표면 혹은 착용밴드 내부로 이어져 있으며, 착용밴드 끝단 둘레에 이중방수를 위한 돌출 접촉 면이 있고 덮개는 오목한 형상의 접속 면이 형성되어 두 개가 하나로 접속되어 이중방수가 이루어지며, 피 착용하는 인체에 하나에 착용하는 병렬연결된 배터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착용밴드이다.
100 스마트폰 110 디스플레이 111 디스플레이 회로판 112 화상 화면 113 파워 스위치 114 본체 -전원선 115 본체 +전원선 116 ~ 119 디스플레이 회로유닛
120 전원유닛 121 배터리 122 단위전원 -전원선 123 단위전원 +전원선 124 배터리 장착케이스 125 연결 링크 126 배터리 장착케이스 덮개 127 전원 플러그 128 전원 콘센트
130 스트랩 131 착용밴드 132 밴드 착용클립
140 아이언 링크 141 아이언 파이프 142 전원선 관통로 143 아이언 파이프 덮게
150 카메라 151 촬영 렌즈 152 촬영유닛
160 폴더 디스플레이 161 화면 확장면 162 폴더 디스플레이 보조창 163 톱니바퀴형상 링크 164 L형 철 클립 165 폴더 디스플레이 걸쇠 166 폴더 디스플레이 걸쇠 걸이
170 화면 분리막 171 분리화면 전원 플러그 172 분리 카메라 삽입 홈 173 근접통신 무선회로 삽입 홈
180 분리화면 전원 콘센트
190 근접통신 무선회로

Claims (6)

  1. 내부에 배터리가 없는 디스플레이 상부는 곡률을 부여한 평판형 또는 폴더형 화면이 있으며, 상기 화면이 탈부착하는 구조로 되어있고, 상기 폴더형 화면은 톱니바퀴 형상 연결링크와 L자형 철 클립으로 상기 평판형 화면에 확장 화면을 일체로 연결한 것이며, 미사용시는 확장화면 이면의 보조 창으로 시간과 간단한 정보를 볼 수 있는 형상과 덮개로 사용되는 구조이며, 하부 배면은 피 착용부에 착용하기 위한 곡면을 가지는 후면이 있으며, 착용시 더 휘어질 수 있는 평판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는 비 전도체의 몸체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로써 외관 일 측에는 상기 화면 또는 상기 배면과 수평을 이루는 카메라의 렌즈가 일부 돌출되어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 외관 양측에는 디스플레이 외부에서 다수의 단위전원을 병렬연결한 방법으로 별도로 이루어진 스트랩으로부터, 기기 사용에 필요한 전원을 전기 플러그와 전기 콘센트가 서로 체결하는 방법으로 이어져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 외관 양쪽 측면에는 연결링크가 있어 아이언 링크로 상기에서 병렬연결한 단위전원 다수의 배터리장착케이스와 덮개가 하나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링크와 아이언 링크 또는 강화한 전원공급 선으로 이어져서 이루어진 스트랩과 하나로 이루어져 인체의 피 착용부에 착용하는 구조로 된 스마트폰이며, 다른 하나는 상기 화면과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스트랩으로 이루어진 스마트폰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구성한 적치장치에 조립되어 이종기기로 사용하는 적치장치를 별도로 가지는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이다.
  2. 청구항 1에서, 곡률을 부여한 디스플레이 상부에는 곡률을 부여한 일반형 또는 폴더형 화면이 있고, 전체적인 외형이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몸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부는 곡률을 가지는 상기 화면이 밑면 일 측에는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고, 이웃하여 분리화면 전원 콘센트와 근접통신 무선회로가 부착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상부에는 곡률을 부여한 상기 화면이 탈부착하도록 형성된 홈과 분리막 그리고 분리되는 화면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가 있으며, 하부 배면은 피 착용부에 착용하기 위한 곡면을 가지면서 전체적인 외형보다 두께를 얇게 제작하여 착용시 더 휘어질 수 있는 평판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는 비전도체의 몸체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가 내부에는 디스플레이를 이루는 회로유닛이 종 또는 횡으로 회로판이나 디스플레이 바닥면에 전기적으로 이어져서 일반적인 스마트폰보다 회로유닛을 더 추가 증대하여 병행 병렬연결로 상호 연결배치하여 이루어져 있고,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는 전원을 외부에서 공급받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회로판에서 디스플레이 몸체 외관 양쪽 측면까지 전원 공급 전선을 연장하여 외관 측면을 관통한 전원 콘센트와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전기적으로 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외관 양쪽 측면에 있는 전기 콘센트와 이웃하여 구성된 연결링크는 디스플레이케이스 외부에서 다수의 배터리 장착케이스가 병렬연결로 이루어진 스트랩 끝단 외관에 형성한 연결링크와 아이언 링크로 관통되어 연결되는 연결링크가 외부에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일 측에는 상기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 배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한 카메라가 화면 밑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몸체 측면 외관을 관통하는 촬영 렌즈 일부가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화면이 디스플레이와 분리될 때는 화면과 동시에 같이 분리되는 카메라를 내부에 보유하지만 디스플레이케이스 내부에는 배터리가 없는 스마트폰.
  3. 청구항 2에서, 곡률을 부여한 디스플레이 상기 화면 일 측 밑면에 화면 또는 배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슬라이드 장치로 디스플레이 폭 또는 길이 방향의 측면을 향하여 촬영 렌즈가 구성되어 조리개 후방이 길어지는 카메라이며, 또한, 슬라이드장치로 부착되어 있어 전후좌우로 움직이며, 배터리가 없는 디스플레이케이스에서 상기 화면이 분리될 때 분리되는 화면에 전원을 공급하는 분리화면 전원 콘센트와 상기 화면과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본체를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근접통신 무선회로가 이웃하여 화면 일 측 밑면에 부착되어 동시에 분리되는 카메라.
  4. 청구항 1과 청구항 2에서, 배터리 장착케이스는 배터리 외관형상에 따라 변형제작이 쉬우며 착용시 휘어질 수 있는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방 또는 양방으로 전원유닛이 슬라이드 접촉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터리 장착케이스 폭 또는 길이 방향 외부 양측에는 이웃하는 디스플레이나 배터리 장착케이스와 무한대로 연결 가능한 연결링크가 구성되어 있으며, 본 개시에 따른 아이언 링크로 상호 관통하여 연결되며, 배터리 장착케이스 전원유닛은 이웃하는 배터리 장착케이스와 전기적으로 병렬연결하기 위하여 일 측은 배터리 장착케이스 폭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일 측 끝단에 형성한 전기 콘센트와 전원선이 연결되어 있고, 반대쪽 일 측으로는 배터리 접촉 면에서 연장한 전선이 배터리 장착케이스 밖으로 나아가 이웃하는 배터리 장착케이스 콘센트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만큼 선을 늘리고 끝에는 전기 플러그가 있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강화한 병렬연결 선만으로 체인처럼 상호체결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배터리 장착케이스 폭 또는 길이 방향 외부 측면에 내부에서 외부로 전원선을 병렬연결한 콘센트 2개가 서로 이웃하여 있으며, 배터리 장착케이스 반대편 외관에도 똑같은 콘센트가 구성되어 있고, 휘어지는 재질의 덮개가 맞물려 이웃하는 같은 형상 다수의 단위전원 장착케이스와 강화한 병렬연결 전원선으로 서로 체인처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스트랩의 기본 구성단위가 되는 단위전원 장착케이스이다.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서, 아이언 링크는 경량의 원형막대의 길이 방향으로 중간에 공간이 있는 관통한 파이프 라인으로 전원선이 관통하거나 여유분을 보관하는 구멍을 형성한 아이언 파이프이며, 양쪽 끝에는 일 측이 막힌 같은 재질의 덮개가 있고, 아이언 파이프와 덮개의 일 측 또는 양측에는 전원 공급 전선이 측면에서 관통하여 지나는 구멍이 있으며, 아이언 파이프와 덮개의 측면 관통 구멍은 전원선이 끝단에서 아이언 파이프에 구성한 측면 관통 구멍으로 전선 상태로 삽입할 수 있는 틈(GAP)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틈(GAP)은 아이언 파이프와 덮개의 구멍 틈(GAP)이 어긋난 형태로 전원선을 끼워서 구멍이 하나로 구성되어 전선이 삽입관통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아이언 링크이다.
  6. 청구항 1과 청구항 4에서, 다수의 단위전원 장착케이스가 일방 또는 양방으로 전원유닛을 가지며, 두 개 이상의 배터리 장착케이스 외부에 구성한 연결링크가 서로 본 개시에 따른 아이언 링크로 상호 관통연결하여 무한대로 연결 가능한 스트랩과 휘어지는 단위전원 장착케이스 덮개를 연질의 착용밴드 위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부착하여 상기 병렬연결한 배터리 장착케이스와 상하로 접촉접속 부착하여 하나로 피 착용부에 착용하는 것과 그리고 달리 착용밴드 끝단 주위에 볼록한 접촉면을 갖으며, 오목한 접속면을 가지는 별도로 구성한 덮개가 상하로 접촉접속 부착하여 세 개를 하나로 인체의 피 착용부에 착용하는 이중방수 병렬연결 배터리 장착케이스로 구성한 스트랩이 일 단위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외관 반대편에 일 단위로 구성한 스트랩과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체의 피 착용부에 착용하는 이중방수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로 이루어진 스트랩과 호환되는 것이며. 또 다른 방법은, 병렬연결하는 전원선의 외부 피복을 강화하여 배터리 장착케이스 양쪽 측면에 구성한 두 개의 전원 콘센트를 강화한 병렬연결하는 전원 플러그로 이웃하는 단위전원 장착케이스와 지속적으로 연결하여 스트랩을 형성하여 체인처럼 인체의 피 착용부에 착용하는 구조로 연결하여 인체의 피 착용부에 착용하는 스트랩이다.
KR1020180007416A 2015-05-08 2018-01-19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KR20180115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48A KR102171664B1 (ko) 2015-05-08 2019-01-02 웨어러블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88A KR102042871B1 (ko) 2015-05-08 2015-05-08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KR1020170047670 2017-04-13
KR1020170047670A KR20170048270A (ko) 2015-05-08 2017-04-13 웨어러블 단말기용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611A true KR20180115611A (ko) 2018-10-23

Family

ID=5724826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88A KR102042871B1 (ko) 2015-05-08 2015-05-08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KR1020170047670A KR20170048270A (ko) 2015-05-08 2017-04-13 웨어러블 단말기용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
KR1020170055826A KR20170054349A (ko) 2015-05-08 2017-04-29 착용 스마트폰용 이중방수 배터리 케이스
KR1020180007416A KR20180115611A (ko) 2015-05-08 2018-01-19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KR1020190000348A KR102171664B1 (ko) 2015-05-08 2019-01-02 웨어러블 단말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88A KR102042871B1 (ko) 2015-05-08 2015-05-08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KR1020170047670A KR20170048270A (ko) 2015-05-08 2017-04-13 웨어러블 단말기용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
KR1020170055826A KR20170054349A (ko) 2015-05-08 2017-04-29 착용 스마트폰용 이중방수 배터리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348A KR102171664B1 (ko) 2015-05-08 2019-01-02 웨어러블 단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81393A1 (ko)
EP (1) EP3296837A4 (ko)
JP (1) JP2018519689A (ko)
KR (5) KR102042871B1 (ko)
CN (1) CN107534109A (ko)
WO (2) WO20161821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871B1 (ko) * 2015-05-08 2019-11-08 최기은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US10224728B1 (en) * 2017-09-01 2019-03-05 M-Edge International Corp. Universal totable battery backup
CN108320669A (zh) * 2018-01-29 2018-07-2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
CN110850931A (zh) * 2019-09-25 2020-02-28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收纳功能的服务器机箱
CN114247105B (zh) * 2021-12-21 2022-11-18 王思阳 一种基于双腕力球系统的能量回收利用装置
KR20240057258A (ko) *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보조배터리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2340B2 (ja) * 2000-05-17 2008-02-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機器
KR20010035404A (ko) * 2001-02-10 2001-05-07 신용호 와치 폰
US20050164750A1 (en) * 2004-01-22 2005-07-28 Arima Communication Corp.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battery strap
US7618260B2 (en) * 2004-02-27 2009-11-17 Daniel Simon R Wearable modular interface strap
JP2007139789A (ja) * 2006-12-11 2007-06-07 Fujifilm Corp 時計型カメラ及び時計型情報機器
KR200437635Y1 (ko) * 2006-12-26 2007-12-13 (주)위지트 손목시계형 휴대폰용 밴드
KR101027154B1 (ko) * 2010-12-02 2011-04-05 광주광역시 남구 발열 손목시계
US8851372B2 (en) * 2011-07-18 2014-10-07 Tiger T G Zhou Wearable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changeable bendable battery and expandable display used as standalone electronic payment card
US8279716B1 (en) * 2011-10-26 2012-10-02 Google Inc. Smart-watch including flip up display
CN103546181A (zh) * 2012-07-17 2014-01-29 高寿谦 可拆卸并可自由组合功能的穿戴式无线智能电子装置
KR20150025507A (ko) * 2013-08-29 2015-03-10 이영재 스마트 워치
KR102189784B1 (ko) 2013-08-30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휘어지는 전자 장치
KR101470428B1 (ko) * 2013-09-13 2014-12-08 하경식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와치폰
US9541955B2 (en) * 2013-10-23 2017-01-10 Raphael Holtzman System for modular expansion of mobile computer systems
KR101502766B1 (ko) * 2013-11-12 2015-03-17 한솔테크닉스(주) 분리형 배터리가 적용되는 스마트워치
US9343722B2 (en) * 2013-12-27 2016-05-17 Intel Corporation Battery pack having a spring to connect at least two battery cells
KR101480675B1 (ko) * 2014-03-24 2015-01-14 김중영 손목 시계형 스마트 단말기
US9904320B2 (en) * 2014-05-30 2018-0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attery compartment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JP6669078B2 (ja) * 2014-11-18 2020-03-18 ソニー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装置
US9720376B2 (en) * 2014-11-18 2017-08-01 Sony Corporation Band type electronic device and substrate arrangement method
KR102042871B1 (ko) * 2015-05-08 2019-11-08 최기은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270A (ko) 2017-05-08
WO2016182268A1 (ko) 2016-11-17
WO2016182129A2 (ko) 2016-11-17
KR20170054349A (ko) 2017-05-17
JP2018519689A (ja) 2018-07-19
US20180081393A1 (en) 2018-03-22
EP3296837A4 (en) 2018-10-03
EP3296837A1 (en) 2018-03-21
CN107534109A (zh) 2018-01-02
KR102042871B1 (ko) 2019-11-08
KR102171664B1 (ko) 2020-10-29
KR20160131767A (ko) 2016-11-16
KR20190088882A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5611A (ko)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JP6391248B2 (ja) フレキシブル携帯端末装置
KR102189784B1 (ko) 휘어지는 전자 장치
US20180337542A1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US9366882B2 (en) Eyeglasses comprising electrical and/or electronic elements
CN105492976A (zh) 可穿戴电子设备
US10069317B2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0437635Y1 (ko) 손목시계형 휴대폰용 밴드
KR20130054309A (ko)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KR102237776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CN208597071U (zh) 一种穿戴式电子装置
CN106798377A (zh) 智能手表
CN112701521B (zh) 电子设备
KR20160032563A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US11290580B2 (en) Attachment module for detachably coupling with a mobile device
KR102067377B1 (ko)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CN109728834A (zh) 一种固定牢靠的掌上动漫互动终端
KR102316485B1 (ko)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웨어러블 타입 설비
KR102159430B1 (ko)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20170097927A (ko)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KR200472989Y1 (ko) 띠 타입 케이블을 갖는 이어폰 유닛
CN108599797A (zh) 一种穿戴式电子装置
CN218887637U (zh) 一种拆卸式的数据线保护套
KR200212929Y1 (ko) 벨트형 배터리
KR20150124291A (ko) 넥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