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428B1 -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와치폰 - Google Patents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와치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428B1
KR101470428B1 KR20130110108A KR20130110108A KR101470428B1 KR 101470428 B1 KR101470428 B1 KR 101470428B1 KR 20130110108 A KR20130110108 A KR 20130110108A KR 20130110108 A KR20130110108 A KR 20130110108A KR 101470428 B1 KR101470428 B1 KR 101470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nd
auxiliary battery
watch phon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경식
Original Assignee
하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경식 filed Critical 하경식
Priority to KR2013011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하는 와치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를 별도로 추가 구비하고 충전이 용이하도록 된 와치폰에 관한 발명이다.
손목에 착용하는 본 발명의 와치폰은, 상기 와치폰의 본체는 일부분이 개방된 팔찌 형태의 밴드에 구비된 본체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밴드의 일측 내부에는 보조배터리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배터리의 단자와 연결되기 위한 전원단자가 상기 본체결합홈으로 인출 구비되며, 상기 밴드의 타측 내부에는 충전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와치폰은 보조배터리 및 충전수단이 더 구비되어 본체의 작동시간을 늘릴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간편하게 충전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와치폰{watch phone}
본 발명은 와치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목에 착용하는 와치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를 별도로 추가 구비하고 충전이 용이하도록 된 와치폰에 관한 발명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가고 있으며, 제1세대로 바 타입(Bar Type)의 휴대폰이 보편화 되었고, 제2세대로 플립 타입(Flip Type)의 휴대폰이 일반화 되었으며, 제3세대로 플립 타입과 제3세대의 폴더 타입(Folder Type)의 휴대폰이 공존하여 보편화 되었으며, 최근에는 터치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이 보편화된 추세에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목에 차용하는 시계 타입의 와치폰(Watch Phone)을 비롯하여 신체 일부나 의류에 착용하는 휴대폰(wearable phone)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폰은 정보화 및 전자 산업의 발전과, 점차 다양한 기능을 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인터넷 검색 기능은 물론, 게임, 일정 관리, 네비게이션 기능 등 지능형 단말기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손목시계 겸 휴대폰 기능을 가지는 와치폰(watch phone)은 시계처럼 손목에 차고 다니면서 휴대폰이 가지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되는데, 일반적인 스마트폰 보다 작은 크기로 되어 작은 용량의 배터리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사용자가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발명으로서, 와치폰 본체의 전원을 보조하기 위한 배터리 및 충전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와치폰을 손목에 찬 경우에는 본체의 전원을 켜고, 차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의 전원을 자동으로 끔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손목에 착용하는 와치폰에 있어서, 상기 와치폰의 본체는 일부분이 개방된 팔찌 형태의 밴드에 구비된 본체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밴드의 일측 내부에는 보조배터리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배터리의 단자와 연결되기 위한 전원단자가 상기 본체결합홈으로 인출 구비되며, 상기 밴드의 타측 내부에는 충전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의 일측 끝단에는 보조배터리와 연결되는 USB단자가 구비되어, 전후 슬라이딩 되면서 인출과 인입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의 타측 끝단에는 충전수단과 연결되는 전원콘센트가 구비되어, 전후 슬라이딩 되면서 인출과 인입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의 측면에는 본체를 제어하기 위한 키패드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여 와치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하는 맥박감지센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와치폰은 보조배터리 및 충전수단이 더 구비되어 본체의 작동시간을 늘릴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간편하게 충전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치폰은 사용자가 와치폰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체의 전원을 차단하고 착용을 하는 경우에는 본체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폰에서 본체를 분리한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폰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폰에서 본체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폰에 맥박감지센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와치폰(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밴드(110)와 본체(120) 및 보조배터리(130)와 충전수단(140)으로 구성된다.
밴드(110)는 손목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팔찌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로 탄성을 가진다. 밴드(110)의 중앙부에는 본체결합홈(112)이 형성된다. 본체결합홈(112)은 본체(120)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밴드(110)의 개방된 부분을 벌리면서 손목을 집어넣으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사용자의 손목에서 빠지지 않고 착용이 되게 된다.
본체(120)는 공지의 와치폰 본체와 마찬가지로 시간표시는 물론 다양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표시부 및 휴대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전기적인 회로구성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등이 구비된다. 본체(120)는 밴드(110)에 형성된 본체결합홈(112)에 끼움 결합되거나,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보조배터리(130)는 밴드(11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며, 보조배터리(130)의 전원단자(132)는 연장이 되어 밴드(110)의 본체결합홈(112)에 인출 구비된다. 따라서, 본체결합홈(112)에 결합되는 본체(120)는 본체(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단자(122)와 보조배터리(130)의 전원단자(132)가 접속되면서 보조배터리(130)의 전원이 본체(12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충전수단(140)은 밴드(110)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며, 충전수단(140)의 전원은 보조배터리(130)와 연결된다. 따라서, 충전수단(140)에 의해 보조배터리(13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밴드(110)의 일측 끝단에 보조배터리(130)의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USB단자(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밴드(110)의 끝단에는 USB단자홈(152)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USB단자(150)는 USB단자홈(152)의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되면서 밴드(1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숨겨지거나, 외부로 인출되어 컴퓨터 등의 단자와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밴드(110)의 타측 끝단에는 충전수단(140)과 연결되는 전원콘센트(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밴드(110)의 끝단에는 전원콘센트홈(162)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원콘센트(160)는 전원콘센트홈(162)의 ㄴ내부에서 USB단자(150)와 마찬가지로 전후 슬라이딩 되면서 밴드(1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숨겨지거나, 외부로 인출되어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치폰(100)을 사용하지 않거나 충전이 필요시에는 전원콘센트(160)를 슬라이딩 인출시켜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충전이 이루어지고, 이는 보조배터리(130)에 충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USB단자(150)를 슬라이딩 인출시켜 컴퓨터 단자 등과 연결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보조배터리(130)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밴드(110)의 본체결합홈(112)과 근접한 부위에는 본체(120)에 데이타를 입력하고 제어하기 위한 키패드부(17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키패드부(170)는 공지와 마찬가지로 숫자, 기호, 한글, 영어 등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본체(120)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통화를 시도하거나, 검색 등 다양한 데이타 출력을 위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와치폰(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10) 또는 본체(120)의 일측에 맥박감지센서(180)가 구비되어 본체(120)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와치폰(100)을 손목에 차는 경우에는 맥박감지센서(180)가 이를 감지하여 본체(120)의 전원을 켜고, 손목에서 탈리시켜 두는 경우에는 맥박이 감지되지 않으므로 본체(120)의 전원을 끄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맥박감지센서(180)는 일정시간 동안, 예를들어 30초동안 맥박이 뛰었다가 멈추었다가 하는 동작이 일정회 이상 반복하여 이루어졌을 때 이를 인지하여 본체(120)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단순한 진동을 감지하여 본체(120)에 전원을 인가할 염려를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순한 충격이나 진동에는 작동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치폰(100)은 보조배터리(130)와 충전수단(140)이 구비되어 본체(120)의 작동시간을 늘릴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간편하게 충전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와치폰(100)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본체(120)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와치폰 110 : 밴드
112 : 본체결합홈 120 : 본체
122,132 : 전원단자 130 : 보조배터리
140 : 충전수단 150 : USB단자
160 : 전원콘센트 170 : 키패드
180 : 맥박감지센서

Claims (5)

  1. 손목에 착용하는 와치폰(100)에 있어서,
    상기 와치폰(100)의 본체(120)는 일부분이 개방된 팔찌 형태의 밴드(110)에 구비된 본체결합홈(112)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밴드(110)의 일측 내부에는 보조배터리(130)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20)의 배터리의 단자와 연결되기 위한 전원단자(132)가 상기 본체결합홈(112)으로 인출 구비되며,
    상기 밴드(110)의 타측 내부에는 충전수단(140)이 구비되어 상기 보조배터리(130)와 연결되고,
    상기 밴드(110)의 일측 끝단에는 보조배터리(130)와 연결되는 USB단자(150)가 구비되고, 상기 밴드(110)의 타측 끝단에는 충전수단(140)과 연결되는 전원콘센트(160)가 구비되어 각각 전후 슬라이딩 되면서 인출과 인입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밴드(11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맥박이 감지되는 경우 본체(120)의 전원을 인가하고, 맥박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본체(120)의 전원을 끄도록 하여 와치폰 본체(120)의 전원을 제어하는 맥박감지센서부(1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와치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110)의 측면에는 본체(120)를 제어하기 위한 키패드부(170)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와치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130110108A 2013-09-13 2013-09-13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와치폰 KR101470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108A KR101470428B1 (ko) 2013-09-13 2013-09-13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와치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108A KR101470428B1 (ko) 2013-09-13 2013-09-13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와치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428B1 true KR101470428B1 (ko) 2014-12-08

Family

ID=5267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108A KR101470428B1 (ko) 2013-09-13 2013-09-13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와치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42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026A (ko)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웨어러블 전자기기용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160129437A (ko)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웨어러블 전자기기용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160131767A (ko) * 2015-05-08 2016-11-16 최기은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20160149114A (ko) 2015-06-17 2016-12-27 (주)일렉콤 웨어러블 단말기 보조 배터리 밴드
CN109240430A (zh) * 2018-11-21 2019-01-1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腕戴设备
CN109259391A (zh) * 2018-11-21 2019-01-2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腕戴设备
KR20190060201A (ko) * 2017-11-24 2019-06-03 남형진 보조 배터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636A (ko) * 1995-07-05 1999-04-15 모토로라, 인크 컨포멀 전원 장치
KR20010035404A (ko) * 2001-02-10 2001-05-07 신용호 와치 폰
KR20010093747A (ko) * 2000-03-28 2001-10-29 핫토리 쥰이치 손목 시계형 무선전화기
KR20090037887A (ko) * 2006-07-10 2009-04-16 아리아 엔터프라이시스, 인크. 휴대용 모듈형 다-기능 통신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636A (ko) * 1995-07-05 1999-04-15 모토로라, 인크 컨포멀 전원 장치
KR20010093747A (ko) * 2000-03-28 2001-10-29 핫토리 쥰이치 손목 시계형 무선전화기
KR20010035404A (ko) * 2001-02-10 2001-05-07 신용호 와치 폰
KR20090037887A (ko) * 2006-07-10 2009-04-16 아리아 엔터프라이시스, 인크. 휴대용 모듈형 다-기능 통신 디바이스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026A (ko)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웨어러블 전자기기용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160129437A (ko)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웨어러블 전자기기용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160131767A (ko) * 2015-05-08 2016-11-16 최기은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WO2016182268A1 (ko) * 2015-05-08 2016-11-17 최기은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CN107534109A (zh) * 2015-05-08 2018-01-02 崔基殷 具备电池打包带的可穿戴的便携式终端
KR102042871B1 (ko) * 2015-05-08 2019-11-08 최기은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KR20160149114A (ko) 2015-06-17 2016-12-27 (주)일렉콤 웨어러블 단말기 보조 배터리 밴드
KR20190060201A (ko) * 2017-11-24 2019-06-03 남형진 보조 배터리
KR102028256B1 (ko) * 2017-11-24 2019-10-02 남형진 보조 배터리
CN109240430A (zh) * 2018-11-21 2019-01-1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腕戴设备
CN109259391A (zh) * 2018-11-21 2019-01-2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腕戴设备
CN109259391B (zh) * 2018-11-21 2024-05-2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腕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428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와치폰
JP3189193U (ja) 電子腕時計
KR102627231B1 (ko) 보조 배터리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모바일 장치
US20150109723A1 (en) System for Modular Expansion of Mobile Computer Systems
US20150076201A1 (en) Wristband container for an earpiece
CN103281418A (zh) 一种手表手机
CN104738917A (zh) 一种带有安卓系统手机数据线的手表
TW201741806A (zh) 配戴式電源及具備此種電源的手戴式行動裝置
CN106468878B (zh) 表具
CN104701957A (zh) 用于智能手表的无线充电手环
CN104035318A (zh) 手表及其表带
CN203813159U (zh) 手环式数据线
CN104824927B (zh) 一种双电源防丢型感应充电的表带
CN104570713A (zh) 手表
WO2007020558A3 (en)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circuit
CN111512245B (zh) 包括接触构件的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CN204376965U (zh) 一种手表手机的结构
CN105048549A (zh) 带小容量移动电源的数据线手表
CN106339035B (zh) 一种支撑移动智能终端的智能扣和智能终端系统
CN204631775U (zh) 智能穿戴设备
CN204617257U (zh) 一种无线充电手环
CN205390666U (zh) 一种触控式保护套
CN210094860U (zh) 一种柔性触摸大屏智能手环
KR20180137161A (ko) 무선이어폰 부착 및 충전기능을 가진 시계
CN203606631U (zh) 手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