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927A -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927A
KR20170097927A KR1020160019620A KR20160019620A KR20170097927A KR 20170097927 A KR20170097927 A KR 20170097927A KR 1020160019620 A KR1020160019620 A KR 1020160019620A KR 20160019620 A KR20160019620 A KR 20160019620A KR 20170097927 A KR20170097927 A KR 20170097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ouch
sensitive display
user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강원
Original Assignee
조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강원 filed Critical 조강원
Priority to KR102016001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7927A/ko
Publication of KR2017009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이나 손등에 대한 착용감이 양호하고 사용자의 필요시에는 본체부와 표시부를 분리한 상태로도 사용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로서, 본체부의 하부에 플렉시블한 착용 밴딩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목이나 손등에까지 선택적으로 착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렉시블한 터치-센서티브 표시부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양호한 사용 편이성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화면의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등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본체부를 라운딩 처리하고 그 본체부에 플렉시블하게 밀착되는 표시부를 적층 연결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wear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손목이나 손등에 대한 착용감이 양호하고 사용자의 필요시에는 본체부와 표시부를 분리한 상태로도 사용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본체부의 하부에 플렉시블한 착용 밴딩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목이나 손등에까지 선택적으로 착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렉시블한 터치-센서티브 표시부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양호한 사용 편이성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단말의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 단말과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는 신체의 특정 부위(예: 손목)에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여야 하는 구조적인 특성상 스마트 단말과 같이 대화면을 제공하는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웨어러블 기기는 일반적인 시계와 같이 손목의 한정된 신체 부위에 착용을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손목의 너비보다 더 크게 제작할 경우 착용감과 사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한계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을 하는 경우에도 양호한 착용감을 가지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부와 표시부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141775호 "착용식 전자 디바이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7017372호 "착용할 수 있는 터치 패드 디바이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018347호 "손목시계처럼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목이나 손등에 대한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 위치의 변경이 간편한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목이나 손등에 대해 양호한 착용감을 갖도록 하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화면의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용 편이성이 양호한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표시부만의 분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사용 편이성을 향상시킨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로서, 손목이나 손등에 밀착 가능하도록 몸체가 소정 곡률 반경으로 휘어진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배터리와 개별 프로세싱 동작에 대응하는 개별 부품을 실장한 본체부; 본체부의 상면 형상에 따라 플렉시블하게 휘어짐이 가능한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본체부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본체부의 개별 프로세싱 동작에 대응하는 개별 이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한 터치 이벤트를 식별함에 따라 그 식별한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본체부의 개별 프로세싱에 따라 해당 터치 이벤트의 결과를 표시하는 터치-센서티브 표시부;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 가능하도록 본체부에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착용 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체부는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된 상태에서 본체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공간이 확보된 상태로 적층 연결되는 접촉 레이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이때 착용 밴딩부가 본체부의 하면과 접촉 레이어부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접촉 레이어부는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절개되는 복수 개의 출입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부는, 상면 일측부에 터치-센서티브 표시부의 일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는 상부 그립부; 상면 타측부에 터치-센서티브 표시부의 타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는 하부 그립부; 하부 그립부에 대응하는 상면에 터치-센서티브 표시부와의 접속을 인터페이스하도록 하는 접속 단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터치-센서티브 표시부는 하부 그립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접속 단자부와 끼움 결합되어 본체부와의 접속을 인터페이스하도록 하는 접속 소켓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는, 바람직하게는 상,하부 그립부로부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가 이탈된 상태에서 접속 소켓부와의 접속을 케이블을 통해 인터페이스하도록 일측부에 형성된 케이블 단자부; 케이블 단자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케이블의 타단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케이블 수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착용 밴딩부는 사용자의 손끝으로부터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과 손등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목 또는 손등을 탄성력으로 밀착 고정시키도록 플렉시블한 링 밴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 밴딩부는 링 밴드의 하단부가 끊어짐과 이어짐이 자유로운 벨크로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의 하부에 플렉시블한 착용 밴딩부를 구비하여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착용 위치의 변경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착용 밴딩부를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로 채택하여 손목이나 손등에 대해 양호한 착용감을 갖도록 하는 갖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화면의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등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본체부를 라운딩 처리하고 그 본체부에 플렉시블하게 밀착되는 표시부를 적층 연결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화면에 대응하는 본체부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표시부만의 분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편이성을 한층 더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상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하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측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에 착용 밴딩부가 연결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티브 표시부의 상면, 저면, 측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에 플렉시블한 터치-센서티브 표시부가 휘어져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로부터 플렉시블한 터치-센서티브 표시부의 상부가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로부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블에 의해 본체부와 터치-센서티브 표시부가 케이블에 의해 상호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는 대화면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도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이 양호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손목이나 손등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소정 곡률 반경으로 휘어지게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상면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하면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측면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에 착용 밴딩부가 연결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티브 표시부의 상면, 저면, 측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로서, 본체부(100),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 착용 밴딩부(300), 케이블(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0)는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와 같이 손목이나 손등에 밀착 가능하도록 몸체가 소정 곡률 반경으로 휘어진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부(100)는 개별 프로세싱 동작하는 개별 부품을 실장하고 이 개별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실장한다.
여기서, 본체부(100)에 실장되는 개별 부품에 따른 프로세싱은 일반적인 스마트 단말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렇게 본체부(100)에 실장된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체부(100)는 접촉 레이어부(110), 상부 그립부(120), 하부 그립부(130), 접속 단자부(140), 케이블 단자부(150), 케이블 수용부(160), 이어폰 단자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촉 레이어부(110)는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된 상태에서 본체부(10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공간이 확보된 상태로 적층 연결된다.
그리고, 착용 밴딩부(300)가 본체부(100)의 하면과 접촉 레이어부(110)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접촉 레이어부(110)는 바람직하게는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절개되는 복수 개의 출입부(111)를 구비한다.
여기서, 출입부(111)는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착용 밴딩부(300)가 접촉 레이어부(110)에 끼워지는 길이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출입부(111)는 도 4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병립하여 한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착용 밴딩부(300)가 도 4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에 병립하여 연결됨으로써 본체부(100)가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부 그립부(12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의 상면 일측부에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일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부 그립부(120)는 소정 곡률 반경을 갖도록 휘어진 상태에서 본체부(10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상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하부 그립부(13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의 상면 타측부에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타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하부 그립부(130)는 소정 곡률 반경을 갖도록 휘어진 상태에서 본체부(10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하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체부(100)에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가 연결되는 과정은 바람직하게는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하부가 본체부(100)의 하부 그립부(130)에 먼저 끼워져 본체부(100)의 접속 단자부(140)에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접속 소켓부(210)가 연결된 상태에서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상부가 본체부(100)의 상부 그립부(120)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부(100)로부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가 분리되는 과정은 바람직하게는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하부가 본체부(100)의 하부 그립부(130)에 끼워진 상태에서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상부가 본체부(100)의 상부 그립부(120)로부터 슬라이딩 이탈시키고, 이어서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하부도 하부 그립부(130)로부터 슬라이딩 이탈시킨다.
접속 단자부(14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하부 그립부(130)에 대응하는 본체부(100)의 상면에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와의 접속을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접속 단자부(140)는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되되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하부가 하부 그립부(130)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에서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접속 소켓부(210)가 접속 단자부(140)에 자연적으로 끼워지는 위치에 형성된다.
케이블 단자부(150)는 도 2와 도 5에서와 같이 상,하부 그립부(120,130)로부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가 이탈된 상태에서 접속 소켓부(210)와의 접속을 케이블(400)을 통해 인터페이스하도록 본체부(100)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부(100)로부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가 분리되면 본체부(100)의 접속 단자부(140)와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접속 소켓부(210)도 분리되어 본체부(100)와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 간의 신호 송수신이 단절되고 본체부(100)의 배터리로부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에는 접속 단자부(140)와 상응하는 케이블 단자부(15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부(100)와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를 분리한 경우, 케이블(400)을 통해 각각 본체부(100)의 케이블 단자부(150)와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접속 소켓부(210)를 연결함에 따라 본체부(100)와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가 기구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와 같이 본체부(100)와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를 상호 인터페이스한다.
또한, 본체부(100)의 접속 단자부(140)에 전용의 충전 케이블(미도시)을 끼워 본체부(100)에 내장된 배터리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충전할 수도 있다.
한편, 케이블 수용부(160)는 도 2와 도 5에서와 같이 케이블 단자부(150)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케이블(400)의 타단부가 수용되도록 본체부(100)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케이블(400)을 별도로 휴대함 없이 디바이스에 거치할 수 있도록 케이블 단자부(150)에 케이블(40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케이블(400)의 타단부는 케이블 수용부(160)에 끼워 휴대할 수 있다.
이어폰 단자부(17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별도의 이어폰 잭(미도시)을 끼울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일측부에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어폰 단자부(170)는 케이블 단자부(150)와 케이블 수용부(160)에 나란히 병립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이어폰 단자부는 본체부(100)가 아닌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본체부(100)의 하부 그립부(130)에도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이어폰 단자부와 연통하도록 별도의 연통부(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는 도 7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의 상면 형상에 따라 플렉시블하게 휘어짐이 가능한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본체부(100)의 상면에 안착 고정된다.
그리고,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는 본체부(100)의 개별 프로세싱 동작에 대응하는 개별 이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한 터치 이벤트를 식별함에 따라 그 식별한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본체부(100)의 개별 프로세싱에 따라 해당 터치 이벤트의 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는 본체부(100)의 개별 프로세싱 동작에 대응하는 개별 이벤트를 표시하도록 개별 부품을 실장할 수 있고, 이 개별 부품에 연동하여 사용자 조작을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 터치 조작부(예: 홈버튼, 메뉴버튼)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는 바람직하게는 도 7에서와 같이 접속 소켓부(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접속 소켓부(210)는 하부 그립부(1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접속 단자부(140)와 끼움 결합되어 본체부(100)와의 접속을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다.
착용 밴딩부(300)는 도 4와 도 6에서와 같이 하나이상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 가능하도록 본체부(1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착용 밴딩부(300)는 사용자의 손끝으로부터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과 손등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목 또는 손등을 탄성력으로 밀착 고정시키도록 플렉시블한 링 밴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착용 밴딩부(300)는 링 밴드의 하단부가 끊어짐과 이어짐이 자유로운 벨크로(소위 '찍찍이')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에 플렉시블한 터치-센서티브 표시부가 휘어져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로부터 플렉시블한 터치-센서티브 표시부의 상부가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로부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블에 의해 본체부와 터치-센서티브 표시부가 케이블에 의해 상호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본체부(100)의 휘어진 형상에 대응하여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를 구부려 순차적으로 하부 그립부(130)와 상부 그립부(120)에 연결한 후 착용 밴딩부(300)를 손목이나 손등에 끼워 착용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와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전용의 케이블(400)을 본체부(100)의 케이블 단자부(150)와 케이블 수용부(160)에 각각 끼워 함께 휴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본체부(100)로부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를 분리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9에서와 같이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하부가 하부 그립부(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먼저 상부 그립부(120)로부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상부를 슬라이딩 이탈시킨다.
이어서, 도 10에서와 같이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를 본체부(100)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후, 케이블(400)의 일단부가 케이블 단자부(150)에 끼워진 상태에서 케이블(400)의 타단부를 케이블 수용부(160)로부터 뽑아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의 접속 소켓부(210)에 끼움으로써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를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된 본체부(10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도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와 본체부(100) 간의 상호 연동으로 본래 디바이스의 동작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100 : 본체부
110 : 접촉 레이어부
111 : 출입부
120 : 상부 그립부
130 : 하부 그립부
140 : 접속 단자부
150 : 케이블 단자부
160 : 케이블 수용부
170 : 이어폰 단자부
200 : 터치-센서티브 표시부
210 : 접속 소켓부
300 : 착용 밴딩부
400 : 케이블

Claims (7)

  1.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로서,
    손목이나 손등에 밀착 가능하도록 몸체가 소정 곡률 반경으로 휘어진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배터리와 개별 프로세싱 동작에 대응하는 개별 부품을 실장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의 상면 형상에 따라 플렉시블하게 휘어짐이 가능한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본체부의 개별 프로세싱 동작에 대응하는 개별 이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한 터치 이벤트를 식별함에 따라 그 식별한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개별 프로세싱에 따라 해당 터치 이벤트의 결과를 표시하는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착용 밴딩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등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공간이 확보된 상태로 적층 연결되는 접촉 레이어부(11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용 밴딩부가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상기 접촉 레이어부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접촉 레이어부(110)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절개되는 복수 개의 출입부(1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면 일측부에 상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의 일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는 상부 그립부(120);
    상면 타측부에 상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의 타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는 하부 그립부(130);
    상기 하부 그립부에 대응하는 상면에 상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와의 접속을 인터페이스하도록 하는 접속 단자부(14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200)는,
    상기 하부 그립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접속 단자부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의 접속을 인터페이스하도록 하는 접속 소켓부(2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상,하부 그립부로부터 상기 터치-센서티브 표시부가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 소켓부와의 접속을 케이블을 통해 인터페이스하도록 일측부에 형성된 케이블 단자부(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케이블 단자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케이블의 타단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케이블 수용부(1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착용 밴딩부(300)는 사용자의 손끝으로부터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과 손등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목 또는 손등을 탄성력으로 밀착 고정시키도록 플렉시블한 링 밴드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착용 밴딩부(300)는 상기 링 밴드의 하단부가 끊어짐과 이어짐이 자유로운 벨크로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KR1020160019620A 2016-02-19 2016-02-19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KR20170097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620A KR20170097927A (ko) 2016-02-19 2016-02-19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620A KR20170097927A (ko) 2016-02-19 2016-02-19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927A true KR20170097927A (ko) 2017-08-29

Family

ID=5976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620A KR20170097927A (ko) 2016-02-19 2016-02-19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79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1888A (zh) * 2018-08-09 2018-11-0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智能操控手柄的可穿戴装置
CN108897374A (zh) * 2018-06-11 2018-11-27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7374A (zh) * 2018-06-11 2018-11-27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8721888A (zh) * 2018-08-09 2018-11-0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智能操控手柄的可穿戴装置
CN108721888B (zh) * 2018-08-09 2024-02-0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智能操控手柄的可穿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979B1 (ko) 곡형 본체 및 이를 구비한 웨어러블 장치
CN104951065B (zh) 移动终端
EP3149808B1 (en) Data and power connector
KR101662617B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102218913B1 (ko) 스마트 팔찌
US10069317B2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US9579022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904254B1 (en) Customizable smart watch and housing
EP3776144A1 (en) Electronic finger devices with charging and storage systems
KR20170037050A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및 무선충전장치
US20150215440A1 (en) Bluetooth headset
CN205547676U (zh) 可穿戴设备及智能手环
CN104503584A (zh) 一种触控式头戴显示器
WO2015077418A1 (en) Battery pack for use with wearable computing device
KR101015711B1 (ko) 터치스크린용 버튼 어답터 키트
KR20140035742A (ko) 블루투스 헤드셋
KR20170097927A (ko)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CN104503585A (zh) 触控式头戴显示器
CN204046666U (zh) 手机保护套
CN207460255U (zh) 移动终端用保护壳
CN205247081U (zh) 一种设有触摸板和太阳能板的智能手表
KR101659030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60109190A (ko) 단말기 충전 거치대
US9468268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996170B2 (en) Finger computer display and controll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