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270A - 웨어러블 단말기용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단말기용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270A
KR20170048270A KR1020170047670A KR20170047670A KR20170048270A KR 20170048270 A KR20170048270 A KR 20170048270A KR 1020170047670 A KR1020170047670 A KR 1020170047670A KR 20170047670 A KR20170047670 A KR 20170047670A KR 20170048270 A KR20170048270 A KR 20170048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nd
terminal
battery case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은
Original Assignee
최기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은 filed Critical 최기은
Publication of KR2017004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270A/ko
Priority to KR1020180007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1M2/1005
    • H01M2/109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웨어러블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고 인체의 일부인 팔, 다리에 착용과 단말기 사용 시간을 오래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말기의 전원공급원인 배터리를 외부로 빼내어 병렬연결하고, 여기서 병렬연결 방식이란? 단말기를 사용하는 주전원 공급방식으로서, 병렬연결된 단위전원 배터리케이스(121,122); 하나 이상으로부터 주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방전되거나 충전을 위하여 하나 혹은 다수의 배터리를 분리하여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부터 사용에 필요한 주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방법으로 연결된 것을 말하며. 인체의 일부인 팔이나 다리 및 기타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기 위하여, 유연한 재질의 밴드 위; 혹은 배터리케이스 자체로 단말기 양방향에 일정한 이격을 주면서 나란히 이웃하도록 병렬연결한 배터리케이스를 착용밴드에 접속부착하였을; 때, 물이나 수분으로부터 배터리를 이중으로 보호하고, 인체의 일부인 팔 혹은 다리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배터리 외부화에서 오는 물이나 수분으로 인한 방전을 착용밴드와 착용밴드 덮개로 접촉부착; 할 때, 밴드 가장자리 모서리에 볼록한 형상의 접촉 부(170)와 덮개 밴드의 오목한 접속 부(270)가 서로 접촉되어 이중으로 방수되는 웨어러블 배터리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고 인체의 일부인 팔에 착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말기와 전원 공급원인 배터리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고, 형상의 다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에 대하여 쉽게 대응하기 위한 일환에서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단말기용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PARALLEL CONNECTION FOR THE WEARABLE DEVICE BATTERY CASE}
본 고안은, 배터리가 구비된 착용 가능한 단말기용 배터리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주전원 선과 배터리를 본체내부에서 외부로 전원선을 늘리고 배터리 접속케이스를 본체 밖에 위치시켜, 외부로부터 주전원 공급을 받는 병렬연결 배터리시스템을 갖춘 웨어러블 단말기용 이중방수 배터리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 PDA, 이동전화기, 컴퓨터를 손목과 같은 인체에 착용하기 위한 웨어러블 단말기의 등장으로 인하여, 착용의 편리와 사용시간 연장을 위한 보조 배터리를 추가하고,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고자 단말기의 배터리를 외부화하여 착용할 수 있는 제품이 등장하고 있으나, 배터리 본래의 두께와 착용하기 위한 체결 방식에서 오는 경직된 접속으로 인하여 보다 진보된 방안이 필요해 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5-0116615, 10-2017-0015902, 10-2015-0079440, 10-2017-0022085, 10-2017-0022086은 다수의 단위 케이스 프레임이 서로에 연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정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단위 기판이 휘어질 수 있는 전기적 연결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일정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단위 배터리 셀이 휘어질 수 있는 전기적 연결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팩 및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일부에 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 장치 전체가 임의대로 휘어지며,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별도의 스트랩 없이 인체 또는 각종 구조물에 착용 가능하며, 디자인적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착용을 위해 손으로 일정한 힘을 주어야 하는데 이럴 경우 체결부위가 꺾어지면서 전기적 접속부위가 떨어져 접속불량과 잦은 이용으로 인하여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배터리가 가지는 본래의 두께와 인체에 착용시 일정한 힘에 의해 체결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고, 웨어러블 단말기의 배터리가 박막 필름 혹은 카드형식으로 두께가 얇게 진보하는 것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웨어러블 단말기의 배터리가 본체 외부 체결로 인한 약점인 물이나 수분에 의한 방전을 해결하는 것을 제1의 발명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는 배터리의 전원공급 장치인 배터리케이스(121,122)를 유연한 재질의 실리콘 혹은 합성고무로 제작하여 배터리의 크기, 두께, 형태에 맞추어 금형에 의한 사출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배터리케이스(121,122)의 내부에 장치한 단위전기장치(131,132)인 전원접속 단자를 이중으로 제작하여; 길이에 여유를 주기 위하여 슬라이드로 구성하며; 배터리케이스(121,122) 내부 전원접속 단자에서 공급되는 단위전원(131,132)을 한쪽(도 5) 혹은 양쪽(도 7)으로 병렬연결하며, 이웃하는 배터리케이스 전원장치에 접속하기 위하여 전원공급 선을 일방(134)은 밖으로 늘리고, 늘린 전원공급 선(134)의 끝단(133)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웃하는 배터리케이스 전원출구 반대쪽 끝단의 전원 콘센트(135)에 접속하여 전원이 병렬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물이나 유체가 흘러들어가지 못 하도록, 이 역시 유연한 재질의 접속 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연한 실리콘 혹은 합성고무로 제작한 배터리케이스(121,122)는 단말기 본체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케이스(160)와 같이 유연한 재질의 실리콘 또는 합성고무로 만든 착용밴드(110) 위에 돌출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웃하며, 병렬연결할 수 있도록 접착부착 하였으며, 착용밴드 모서리 끝단은, 이차방수를 위하여 제작한 착용밴드 덮개(210)와 같이 물이나 수분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밴드 모서리 전체를 하단 밴드(110)와 상단 밴드(210)가 밀착하여 접촉하여 끼울 수 있도록, 하단 밴드(110) 끝단 둘레(170)와 단말기케이스(160) 둘레(150)는 볼록 튀어나오게 제작하고, 상단 밴드(210)는 하단 밴드(110)의 불룩하게 튀어나온 몸체(170,150))와 밀착하여 방수될 수 있도록 오목(270,250))하게 구성한다. 상하밴드가 접속되어 방수가 되는 덮개(210)의 단말기 본체 상단(260)은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 화상통화 단말기를 손가락이나 혹은 조작막대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별개의 방법으로, 병렬연결되는 배터리케이스 착용밴드(110,210)만 별도로 단말기 디스플레이와; 따로,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이중방수 되도록 제작하고, 병렬연결되는 배터리케이스(121,122) 중 단말기 본체와 이웃하는 첫째 배터리케이스(121,122)의 외부로 돌출한 전원공급 선(134)만 용수철 방식이나 길이를 추가하여 늘리는 방식으로 제작 구성하면, 단말기 본체만을 이격을 두고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방법은, 단말기를 배터리와 별도로 사용하므로 단말기를 사용할 때 경량으로(가볍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단말기는 어느 배터리 하나 이상으로부터 일정한 주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는, 복수의 단위 전원으로 병렬연결한 배터리로부터, 일정한 주전원을 장시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배터리의 발전으로 인하여 박막 필름 혹은 유연한 카드식 배터리의 등장으로 얇게 만들어져, 착용시, 전원을 공급받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배터리에 구애받지 않고 가벼우면서 부드럽게 착용할 수 있어, 착용이 용이하고, 착용 후 각진 부분이 없어 디자인적으로도 미려하며, 무엇보다도 이중으로 방수되는 장점이 있어, 우천이나 운동할 때 빗물이나 땀으로부터 구애를 받지 않으며, 물 속에서도 착용과 사용이 가능 하다.
도 1은, 타사의 웨어러블 병렬연결 배터리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배터리케이스 단면을 표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일차방수 배터리케이스의 조립을 표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배터리 케이스의 옆 단면을 표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일차방수 배터리케이스가 밴드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이웃하도록 병렬연결된 착용밴드에 대한 도면이면서, 도 6과 접속부착하여 인체의 일부에 착용하는 이중방수용 배터리착용 밴드로 본 고안을 대표하는 대표도임.
도 6은, 본 발명의 착용밴드와 접착부착하는 덮개에 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단위전원 배터리케이스의 주전원 공급 선을 양쪽으로 병렬연결 접속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용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를 구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모방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유연한 합성고무 혹은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여 만든 일차방수용 배터리케이스(121. 122)가 배터리와 병렬연결 전원선(131. 132)과의 연결 상태를 평면 절단된 형태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방수용 배터리케이스(121.122)가 일차방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형태를 옆에서 절개하여 배터리가 병렬연결 라인(131. 132)과의 접속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의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도면으로, 일차방수용 배터리케이스(121.122)가 이웃하는 단위전원 배터리케이스(121,122)와 병렬연결을 위하여 배터리케이스(121,122) 밖으로 늘린 전원선(134)이, 전원 콘센트(133)를 이용하여 접속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연질의 합성고무 혹은 유연한 실리콘 재질의 밴드(110) 위에 돌출되어 상호 이웃하도록 부착하고, 착용밴드(110)의 가장자리 주의로 이중방수용 착용밴드(110) 덮개(210)가 방수를 위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볼록한 형태(170,150)로 착용밴드 덮개(210)의 오목한 형태(270,250)가 접속되도록 구성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단위전원으로 연질의 밴드 위에 일차방수 배터리케이스(121,122)가 병렬연결된 착용밴드(110)와 접속하여 이중으로 방수하기 위하여, 연질의 밴드 가장자리에 오목(270,250)하게 구조를 만들어, 일차방수용 착용밴드(110)와 접속을 용이하게 만든,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의 또 다른 형태의 전원 접속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5의 병렬연결 배터리 케이스와 동일한 기술이다.
도 2에서 7까지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병렬연결된 배터리케이스가 박막 필름 또는 연질의 카드식 배터리가 구비되는 단위 전원유닛을 연질의 착용밴드(110) 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횡으로, 상호 이웃하도록, 다수의 케이스를 병렬부착하여, 어느 한 개의 배터리로부터 주전원을 공급받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가 방전되거나 충전을 위해 분리하여도 단말기가 작동될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한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이다.
일차방수 배터리케이스(121,122)는 방수와 착용을 위하여 연질의 합성고무 혹은 실리콘 재질로 되어있어, 배터리의 형태, 두께에 따라 형상을 사출형식으로 쉽게 제작이 가능하며, 케이스 내부에는 배터리와 접속되는 전원유닛(131. 132)이 전원선의 길이를 유연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로 접속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단위전원 배터리케이스(121,122)와 병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스 일방은 외부로 전원공급 선(134)을 돌출되게 빼내어, 나간 전선의 끝단은 전원 콘센트(133)를 부착하였으며, 반대되는 케이스 일방(135)에는 이웃하는 배터리케이스(121,122)에서 늘려 나온 전원 콘센트(133)를 접속할 수 있도록 전원 연결 구(135)를 내장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다수의 단위전원 배터리케이스(121,122)를 착용밴드(110) 위에 돌출되도록 부착하고, 상호 이웃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착용밴드(110) 위에 부착하여, 주전원 연결 콘센트(133)로 단위전원 배터리케이스(121,122) 전원 접속 구(135)에 끼워 전원을 공급하는 병렬연결 방식으로 구성한다.
병렬연결 방식이란? 단말기를 사용하는 주전원 공급방식으로서, 병렬연결된 단위전원 배터리케이스(121,122); 하나 이상으로부터 주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방전되거나 충전을 위하여 하나 혹은 다수의 배터리를 분리하여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부터 사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방법으로, 연결된 것를 말한다.
또한, 이차방수를 위한 착용밴드 덮개(210)도 연질의 합성고무 혹은 실리콘 재질의 밴드로 만들어지며, 하단의 착용밴드(110) 위에 병렬연결한 배터리케이스(121,122)의 이차방수를 위하여, 상단의 착용밴드 덮개(210)와 하단의 착용밴드(110)가 맞물려 접촉시, 단말기용 케이스(160)와 단위전원 배터리케이스(121.122)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상단의 착용밴드 덮개(210) 안으로 들어오도록 두께만큼 이격을 주고 제작하며, 상단의 착용밴드 덮개(210)에서 단말기 본체케이스(160)의 상단(260)은 투명한 재질의 필름으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화상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110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 밴드 121 일차방수 배터리케이스 122 일차방수 배터리케이스 덮게 131 마이너스 전원선 132 플러스 전원선 133 전원 콘센트 134 전원연결선 135 전원 연결구 150 단말기 본체 이차방수 볼록 접속 부 160 단말기 본체케이스 170 병렬연결 착용밴드 이차방수 볼록 접속 부 210 병렬연결 밴드 덮개 이차방수 밴드 250 단말기 본체 이차방수 오목 접속 부 260 단말기 본체 이차방수 덮게(투명필름) 270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 덮게 이차방수 오목 접속 부.

Claims (4)

  1. 유연한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한쪽(도 5) 또는 양쪽(도 7)으로 단위 전원을 가지며, 배터리가 접속될 수 있도록 착용밴드(110)로부터 볼록하게 위로 튀어 올라 나오도록 부착된 일차방수용 배터리케이스(121.122);
    동일한 유연한 재질의 착용밴드(110) 위에 다수의 단위전원 배터리케이스(121,122)가 착용밴드(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이웃하도록 병렬연결된 착용 가능한 배터리케이스, 상기의 착용밴드(110)의 모서리 가장자리에 볼록한 형상의 접속 부(170)가 형성되고;
    상기 일차방수 배터리케이스(121.122)가 부착된 착용밴드 모서리 가장자리에 형성한 볼록한 형상의 접촉 부(170)와 마주하여 방수가 되도록 상호 접촉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접속 부(270)가 있으며, 단말기 본체 상단 덮개는 투명한 필름으로 제작되어 단말기를 손이나 조작막대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하단의 착용밴드(110) 위의 일차방수용 배터리케이스(121,122)가 간섭되지 않고 병렬연결된 착용밴드 덮개(210) 안으로 들어올 수 있게 구성된 이차방수용 덮개로;
    하단밴드와 상단밴드가 상하로 서로 접촉 조합되어, 피 착용 부에 하나로 착용하는 특징을 갖는 웨어러블 단말기용 배터리케이스.
  2. 청구항 1에서, 착용밴드(110)에 배터리를 끼워 접속할 수 있도록 볼록하게 튀어 올라온 형상과 연질의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져 있고, 일방(도 5) 또는 양방(도 7)으로 슬라이드 단위전원 연결선(131.132)이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일방(도 5) 또는 양방(도 7)의 단위전원을 갖는 일차방수용 배터리케이스(121,122)가 착용밴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행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나란히 병렬부착되어 있으며, 연질의 착용밴드(110) 모서리 둘레로 방수를 위하여, 착용밴드 덮개(210)와 접속되어, 이중방수가 될 수 있도록 볼록한 형상의 접속 부(170)가 있는 웨어러블 배터리용 배터리케이스.
  3. 청구항 2에서, 박막 필름 배터리 또는 연질의 카드식 배터리가 배터리케이스(121,122)에 의해 일차방수가 이루어지게 접속되도록, 연질의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지며, 배터리케이스(121,122) 안쪽에는 연질의 박막 필름 배터리 또는 카드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단위전원(131,132)을 갖으며, 일방은 배터리케이스(121,122) 밖으로 나와있고, 일방은 이웃하는 단위전원 배터리케이스로부터 돌출한 전원 연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원 접속 구(135)가 있으며, 배터리케이스(121,122) 안쪽의 단위전원은 병렬연결을 위하여 케이스 밖으로 돌출한 전원선의 길이를, 한층 더 유연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슬라이드형식으로 배터리와의 접속 체를 만든 것이다.
    단위전원의 병렬연결이란? 단말기를 사용하는 주전원 공급방식으로서, 병렬연결된 단위전원 배터리케이스(121,122); 하나 이상으로부터 주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방전되거나 충전을 위하여 하나 혹은 다수의 배터리를 분리하여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부터 사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방법으로 연결된 것이다.
  4. 청구항 1에서, 상단의 착용밴드 덮개(210)는; 하단의 착용 가능한 단말기용 배터리케이스(121,122)가 슬라이드 연결 체로 단위전원 연결선(131,132)을 갖추고 있으며, 착용밴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행으로 병렬연결되어 있는; 착용밴드(110)의 둘레 모서리 볼록한 접속 부(170)와 접속되어 이차방수가 될 수 있도록 오목한 접속 부(270)로 되어있으며, 하단의 단말기 본체케이스(160)와 일차방수용 배터리케이스(121,122)의 간섭을 받지 않고, 이차방수가 될 수 있도록 착용밴드 덮개(210) 안쪽은, 착용밴드(110)와 이격을 주며, 단말기 본체케이스 상단(260)은 투명한 필름으로 되어있어 손이나 조작막대로 단말기를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된 웨어러블 단말기용 배터리케이스이다.
KR1020170047670A 2015-05-08 2017-04-13 웨어러블 단말기용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 KR20170048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416A KR20180115611A (ko) 2015-05-08 2018-01-19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88A KR102042871B1 (ko) 2015-05-08 2015-05-08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KRPCT/KR2016/004729 2016-05-04
PCT/KR2016/004729 WO2016182268A1 (ko) 2015-05-08 2016-05-04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270A true KR20170048270A (ko) 2017-05-08

Family

ID=5724826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88A KR102042871B1 (ko) 2015-05-08 2015-05-08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KR1020170047670A KR20170048270A (ko) 2015-05-08 2017-04-13 웨어러블 단말기용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
KR1020170055826A KR20170054349A (ko) 2015-05-08 2017-04-29 착용 스마트폰용 이중방수 배터리 케이스
KR1020180007416A KR20180115611A (ko) 2015-05-08 2018-01-19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KR1020190000348A KR102171664B1 (ko) 2015-05-08 2019-01-02 웨어러블 단말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88A KR102042871B1 (ko) 2015-05-08 2015-05-08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826A KR20170054349A (ko) 2015-05-08 2017-04-29 착용 스마트폰용 이중방수 배터리 케이스
KR1020180007416A KR20180115611A (ko) 2015-05-08 2018-01-19 병렬연결한 배터리 시스템을 구비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KR1020190000348A KR102171664B1 (ko) 2015-05-08 2019-01-02 웨어러블 단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81393A1 (ko)
EP (1) EP3296837A4 (ko)
JP (1) JP2018519689A (ko)
KR (5) KR102042871B1 (ko)
CN (1) CN107534109A (ko)
WO (2) WO201618212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7105A (zh) * 2021-12-21 2022-03-29 王思阳 一种基于双腕力球系统的能量回收利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871B1 (ko) * 2015-05-08 2019-11-08 최기은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US10224728B1 (en) * 2017-09-01 2019-03-05 M-Edge International Corp. Universal totable battery backup
CN108320669A (zh) * 2018-01-29 2018-07-2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
CN110850931A (zh) * 2019-09-25 2020-02-28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收纳功能的服务器机箱
KR20240057258A (ko) *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보조배터리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2340B2 (ja) * 2000-05-17 2008-02-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機器
KR20010035404A (ko) * 2001-02-10 2001-05-07 신용호 와치 폰
US20050164750A1 (en) * 2004-01-22 2005-07-28 Arima Communication Corp.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battery strap
WO2005083546A1 (en) * 2004-02-27 2005-09-09 Simon Richard Daniel Wearable modular interface strap
JP2007139789A (ja) * 2006-12-11 2007-06-07 Fujifilm Corp 時計型カメラ及び時計型情報機器
KR200437635Y1 (ko) * 2006-12-26 2007-12-13 (주)위지트 손목시계형 휴대폰용 밴드
KR101027154B1 (ko) * 2010-12-02 2011-04-05 광주광역시 남구 발열 손목시계
US8851372B2 (en) * 2011-07-18 2014-10-07 Tiger T G Zhou Wearable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changeable bendable battery and expandable display used as standalone electronic payment card
US8279716B1 (en) * 2011-10-26 2012-10-02 Google Inc. Smart-watch including flip up display
CN103546181A (zh) * 2012-07-17 2014-01-29 高寿谦 可拆卸并可自由组合功能的穿戴式无线智能电子装置
KR20150025507A (ko) * 2013-08-29 2015-03-10 이영재 스마트 워치
KR102189784B1 (ko) 2013-08-30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휘어지는 전자 장치
KR101470428B1 (ko) * 2013-09-13 2014-12-08 하경식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와치폰
US9541955B2 (en) * 2013-10-23 2017-01-10 Raphael Holtzman System for modular expansion of mobile computer systems
KR101502766B1 (ko) * 2013-11-12 2015-03-17 한솔테크닉스(주) 분리형 배터리가 적용되는 스마트워치
US9343722B2 (en) * 2013-12-27 2016-05-17 Intel Corporation Battery pack having a spring to connect at least two battery cells
KR101480675B1 (ko) * 2014-03-24 2015-01-14 김중영 손목 시계형 스마트 단말기
US9904320B2 (en) * 2014-05-30 2018-0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attery compartment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720376B2 (en) * 2014-11-18 2017-08-01 Sony Corporation Band type electronic device and substrate arrangement method
US10719053B2 (en) * 2014-11-18 2020-07-21 Sony Corporation Wearable device
KR102042871B1 (ko) * 2015-05-08 2019-11-08 최기은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7105A (zh) * 2021-12-21 2022-03-29 王思阳 一种基于双腕力球系统的能量回收利用装置
CN114247105B (zh) * 2021-12-21 2022-11-18 王思阳 一种基于双腕力球系统的能量回收利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2268A1 (ko) 2016-11-17
CN107534109A (zh) 2018-01-02
KR102171664B1 (ko) 2020-10-29
KR20190088882A (ko) 2019-07-29
KR20170054349A (ko) 2017-05-17
KR20160131767A (ko) 2016-11-16
KR102042871B1 (ko) 2019-11-08
US20180081393A1 (en) 2018-03-22
EP3296837A1 (en) 2018-03-21
EP3296837A4 (en) 2018-10-03
JP2018519689A (ja) 2018-07-19
KR20180115611A (ko) 2018-10-23
WO2016182129A2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8270A (ko) 웨어러블 단말기용 병렬연결 배터리케이스
US9083109B2 (en) Connector cap waterproof structure
KR102189784B1 (ko) 휘어지는 전자 장치
US20150333302A1 (en) Flexible band or strap with integrated battery
CN106027700A (zh) 用于移动式电子设备的保护套
US8459825B2 (en) Aesthetic device for providing of electrical power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s
KR200437635Y1 (ko) 손목시계형 휴대폰용 밴드
US20160056650A1 (en) Mobile Device Charger Bracelet
US20170013101A1 (en) Waterproof housing
CN110277261A (zh) 电子设备
KR101805257B1 (ko) 밴드에 무선 충전용 연성 배터리가 탑재되는 웨어러블 스마트 워치
KR101629280B1 (ko)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제어가능한 발열 장갑
US20160181840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harging the Same
CN204205627U (zh) 用于手腕式电子设备的可弯曲可拆卸电池手镯
CN206789459U (zh) 一种按键装配组件及电子设备
US20160302262A1 (en) Heating pad
US20200000207A1 (en) Backpack integrated with charging function
US9564625B2 (en) Flexible cascade unit for cascading electrical elements and device thereof
CN207780508U (zh) 一种防水结构及智能手表
TWI622899B (zh) 穿戴式裝置及其模組化功能組件
US20200091749A1 (en) Portable power source
US20220216889A1 (en) Power screen protector
CN210076754U (zh) 电子设备的表带以及腕带式电子设备
KR20140003508U (ko) 충전케이스 대용 무선 충전 모듈
CN206379593U (zh) 电连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