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432A - 재작업성이 용이한 전자전기 소재용 접착 테이프 조성물, 그 접착 테이프 및 재작업 방법 - Google Patents

재작업성이 용이한 전자전기 소재용 접착 테이프 조성물, 그 접착 테이프 및 재작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432A
KR20180115432A KR1020170047741A KR20170047741A KR20180115432A KR 20180115432 A KR20180115432 A KR 20180115432A KR 1020170047741 A KR1020170047741 A KR 1020170047741A KR 20170047741 A KR20170047741 A KR 20170047741A KR 20180115432 A KR20180115432 A KR 20180115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dhesive tape
parts
blend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승헌
Original Assignee
(주)켐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켐코스 filed Critical (주)켐코스
Priority to KR1020170047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432A/ko
Publication of KR2018011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전기 소재용 접착 테이프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aromatic modified terpene resin)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를 블렌딩하여(blending) 제조한 블렌딩 용액 100 중량부에 알코올 흡수제 용액 1∼10 중량부를 더 부가하여 블렌딩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재작업성이 용이한 접착 테이프의 다른 구체예는 3개의 층(11, 12, 13)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쿠션(cushion) 층(11)이 형성되고, 한쪽에는 모듈(module) 층(12)이 형성되며, 다른 한쪽에는 배터리(battery) 층(13)이 형성된다. 모듈 층(12)과 배터리 층(13)에는 실리콘 PET 라이너(20)가 각각 부착된다. 쿠션 층(11)은 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를 블렌딩한 용액 100 중량부에 발포캡슐인 마이크로 볼(Micro Ball) 10∼30 중량부와 용매 90∼70 중량부를 블렌딩한 마이크로 볼 용액 1∼10 중량부를 더 부가하여 블렌딩한 조성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재작업성이 용이한 전자전기 소재용 접착 테이프 조성물, 그 접착 테이프 및 재작업 방법{Composition for Electrical Adhesive Tape for Easy Rework of Electronic Goods, Electrical Adhesive Tape and Process for Rework}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 텔레비전 등의 전기 및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배터리(battery) 교체와 같은 재작업(rework)이 용이하도록 하고, 재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본래의 접착력을 회복할 수 있는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 텔레비전 등의 전기 및 전자제품은 제조단계에서 다양한 접착 테이프가 사용된다. 이 접착 테이프는 양쪽 면에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양면 접착 테이프로써, 본체와 부품을 접합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체에 배터리와 같은 부품을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면 테이프와 같이, 본 발명의 양면 테이프도 양쪽 면에 이형지(releasing paper)가 부착된다. 이형지는 테이프의 접착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프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형지를 제거한 후 사용한다.
양면 접착 테이프로써 전기 및 전자제품의 부품을 본체에 접합한 후에, 그 부품을 분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부품의 조립 과정에서 일단 부착된 접착 테이프를 분리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를 잘못 부착하여 접착 테이프를 떼어내야 하는 경우도 있고, 제품을 수리하거나 기타 A/S를 위하여 접합된 부품을 분리하거나 부품과 함께 접착 테이프를 본체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다. 본체로부터 부품만을 분리한 후 본체에 남아 있는 테이프 위에 새로운 부품을 부착하거나, 본체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까지 분리한 후, 새로운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고 다시 그 위에 새로운 부품을 접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을 재작업(rework)이라 한다.
그런데 접착 테이프의 재작업 시에는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우선 부착된 접착 테이프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 강한 접착력으로 인하여 부품이나 접착 테이프가 잘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부품이 접착 테이프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으면, 분리 과정 중에 접착 테이프가 부착되었던 부품이나 본체의 일부를 파손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가 글라스 부품에 부착된 경우에 글라스 부품이 파손되거나 본체의 일부가 손상되기도 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접착층이 분리되거나 이동현상(migration)이 발생하여 다시 부착하였을 때 접착력이 약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의 접착 테이프는 접착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짧은 시간 내에 재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유용할 수 있어도,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 수리 등의 A/S를 하는 경우에는 강한 접착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본 출원인은 재작업으로 인한 접착 테이프의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재작업이 용이하도록 그리고 재작업 후에는 접착력이 본래의 접착력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기재(substrate)의 한쪽 면에는 전기 전도성 접착층(20)이 형성되고, 다른 쪽 면에는 비전도성 접착층(30)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20, 30)은 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아크릴 산, 로진 에스터(rosin ester), 및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공중합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접착 테이프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15-079691호로 출원한 바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 텔레비전 등의 전기 및 전자제품들이 배터리를 내장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즉 종래에는 배터리를 외부에서 탈착시키는 제품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배터리를 내장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배터리 내장형 제품은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배터리를 교체해주어야 한다. 배터리 교체는 주로 A/S 센터에서 하게 되는데, 이때 접착 테이프에 의해 본체에 부착되어 있던 배터리를 분리해야 한다. 배터리를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보통 지그(zig)를 사용하게 되는데, 접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배터리 분리가 어렵거나 지그로 인하여 본체가 손상을 입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구리 호일(copper foil), 폴리에스테르(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알루미늄, 합성수지 필름 등의 기재(substrate)의 한쪽 면에 고정형 접착층을 형성하고, 다른 쪽 면에 열변형 접착층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형 접착층은 본체에 접착하고, 상기 열변형 접착층은 배터리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16-61319호로 출원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재작업용 접착 테이프는 모두 열을 가하여 재작업을 하여야 한다. 부품이 본체에 접착된 휴대폰을 불을 이용하여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접착력을 완화시켜 접착된 부품을 본체로부터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테이프가 사용된 전기 및 전자 제품의 재작업을 위해서는 반드시 열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열을 사용하지 않고 재작업을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새로운 접착 테이프 및 그 재작업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및 전자 제품에서 사용되는 접착 테이프의 재작업이 용이한 새로운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및 전자 제품에서 사용되는 접착 테이프의 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작업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재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전기 소재용 접착 테이프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aromatic modified terpene resin)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를 블렌딩하여(blending) 제조한 블렌딩 용액 100 중량부에 알코올 흡수제 1∼10 중량부를 더 부가하여 블렌딩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상기 알코올 흡수제로는 무기물 및 친수성을 띠는 변성 실리콘계 첨가제가 있고, 구체적으로 실리카, CaCO3, TiO2, 변성 실리콘 등이 있다. 이들을 용매에 블렌딩하여 사용한다. 한 예로, 실리카 10∼30 중량부와 용매 90∼70 중량부를 블렌딩한 실리카 용액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메틸 에틸 케톤(MEK) 또는 톨루엔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작업성이 용이한 접착 테이프의 한 구체예는 하나의 층(10)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쪽에 각각 이형지(“실리콘 PET 라이너”)(20)를 부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재작업성이 용이한 접착 테이프의 다른 구체예는 3개의 층(11, 12, 13)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쿠션(cushion) 층(11)이 형성되고, 한쪽에는 모듈(module) 층(12)이 형성되며, 다른 한쪽에는 배터리(battery) 층(13)이 형성된다. 모듈 층(12)과 배터리 층(13)에는 실리콘 PET 라이너(20)가 각각 부착된다.
쿠션 층(11)은 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를 블렌딩한 용액 100 중량부에 발포캡슐인 마이크로 볼(Micro Ball) 10∼30 중량부와 용매 90∼70 중량부를 블렌딩한 마이크로 볼 용액 1∼10 중량부를 더 부가하여 블렌딩한 조성물로 형성된다.
모듈 층(12)은 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를 블렌딩한 조성물로 형성되고, 배터리 층(13)은 상기 모듈 층(12)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알코올 흡수제 1∼10 중량부를 부가하여 블렌딩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3층 구조에서의 배터리 층(13)은 단층 구조에서의 접착층(10)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 물론 3층 구조에서의 모듈 층(12)도 단층 구조에서의 접착층(10)과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메틸 에틸 케톤(MEK) 또는 톨루엔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단층 구조 또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테이프는 그 두께가 30∼500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3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이프의 각 층의 두께는 10∼170 ㎛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형지(20)로 사용되는 실리콘 PET 라이너는 종래의 재작업용 테이프에서도 사용되어 온 것으로 본 발명에서 다른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조립된 전기 및 전자 제품을 재작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착 테이프로 접착된 본체(모듈)와 부품(배터리)의 틈 사이에 알코올을 주입시킨다. 알코올을 주입시키면, 단층 구조의 접착층(10), 또는 3층 구조의 쿠션 층(11), 모듈 층(12), 및 배터리 층(13)에서 알코올을 흡수하여 10 내지 30초가 경과하면 접착되었던 부품이 테이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때 테이프가 모듈(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부품과 테이프가 함께 분리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단층 구조의 접착층(10), 또는 3층 구조의 쿠션 층(11), 모듈 층(12), 및 배터리 층(13)을 이루는 조성물은 알코올을 흡수할 수 있는 성능을 갖도록 조성된 것이다.
상기 조성물 중에 발포 캡슐인 마이크로 볼을 첨가하는 것은 알코올을 흡수하는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쿠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테이프의 쿠션 성능을 향상시키면 제품이 낙하되는 경우에 완충 역할을 하여 파손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수 있다.
알코올을 주입하여 접착되었던 부품이 테이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면, 부품(배터리)을 교체하는 재작업을 진행한다. 알코올은 주사기와 같은 수단으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기 및 전자 제품에서 사용되는 접착 테이프의 재작업시 불을 사용하지 않고 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열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새로운 접착 테이프 및 재작업 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단층 구조의 접착층(10)이 형성되고, 양쪽 면에 이형지(20)가 각각 부착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개략적인 단면 모형도이다.
도 2는 중앙의 쿠션 층(11), 그 한쪽 면에 형성된 모듈 층(12), 및 다른 한쪽 면에 형성된 배터리 층(13)의 3층 구조의 접착층이 형성되고, 양쪽 바깥 면에 이형지(20)가 각각 부착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개략적인 단면 모형도이다.
도 3은 내부 본체(모듈)(100)에 배터리(200)가 접착 테이프(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접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내부 본체(모듈)(100)와 배터리(200) 사이의 틈(201)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분해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 텔레비전 등의 전기 및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battery) 교체와 같은 재작업(rework)이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재작업시 불을 사용하지 않고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전기 소재용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은 용매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aromatic modified terpene resin), 하이드로카본 레진,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및 항산화제를 블렌딩한(blending) 블렌딩 용액 100 중량부에 알코올 흡수제 1∼10 중량부를 더 부가하여 제조된다.
상기 알코올 흡수제로는 무기물 및 친수성을 띠는 변성 실리콘계 첨가제가 있고, 구체적으로 실리카, CaCO3, TiO2, 변성 실리콘 등이 있다. 이들을 용매에 블렌딩하여 사용한다. 한 예로, 실리카 10∼30 중량부와 용매 90∼70 중량부를 블렌딩한 실리카 용액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메틸 에틸 케톤(MEK) 또는 톨루엔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흡수제는 알코올을 흡수하여 점착성능을 일시적으로 저하시킨다. 무기물 입자들은 알코올과 반응하지 않고 흡수하여 초기 알코올 주입시 일시적으로 점착성능의 기능을 저하시킨다.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알코올이 휘발되어 본래의 점착 성능이 복귀되는 특징을 갖는다. 변성 실리콘계의 친수성 첨가제는 점착표면(점착제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물)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는 기능을 한다. 이들 알코올 흡수제의 역할은 점착 표면에 알코올이 고루 분포되게 하여 점착 성능을 일시적으로 저하시키는 기능을 한다. 다만 과량의 친수성 첨가제 투입 및 친수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첨가제 선정은 마이그레이션(migration) 발생의 원인이 된다. 또한 첨가제의 성격이 소수성에 가까울수록 접촉각이 커져(접촉면적이 작아져) 점착 성능을 일시적으로 저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과제의 핵심은 점착성능을 유지하면서 알코올 흡수정도 및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알코올이 휘발되어 점착성능이 복구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무기물 및 첨가제의 선정에 있다.
상기 조성물로부터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접착층(10)을 형성하고, 그 양쪽에 각각 이형지(“실리콘 PET 라이너”)(20)를 부착하여 본 발명의 재작업용 접착 테이프를 제조한다.
도 1은 단층 구조의 접착층(10)이 형성되고, 양쪽 면에 이형지(20)가 각각 부착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개략적인 단면 모형도이다. 이형지(20)는 제거한 후 폐기하고, 접착층(10)이 본체(모듈)와 부품(배터리)을 서로 접합한다. 이형지(20)로 사용되는 실리콘 PET 라이너는 종래의 재작업용 테이프에서도 사용되어 온 것으로 본 발명에서 다른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이 아니다.
상기 접착 테이프용 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aromatic modified terpene resin)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로 구성된 블렌딩 용액 100 중량부에 알코올 흡수제 1∼10 중량부를 더 부가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로는 메틸 에틸 케톤(MEK) 또는 톨루엔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작업성이 용이한 접착 테이프의 다른 구체예는 3개의 층(11, 12, 13)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쿠션(cushion) 층(11)이 형성되고, 한쪽에는 모듈(module) 층(12)이 형성되며, 다른 한쪽에는 배터리(battery) 층(13)이 형성된다. 모듈 층(12)과 배터리 층(13)에는 실리콘 PET 라이너(20)가 각각 부착된다.
도 2는 중앙의 쿠션 층(11), 그 한쪽 면에 형성된 모듈 층(12), 및 다른 한쪽 면에 형성된 배터리 층(13)의 3층 구조의 접착층이 형성되고, 양쪽 바깥 면에 이형지(20)가 각각 부착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개략적인 단면 모형도이다.
쿠션 층(11)은 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를 블렌딩한 용액 100 중량부에 발포캡슐인 마이크로 볼(Micro Ball) 10∼30 중량부와 용매 90∼70 중량부를 블렌딩한 마이크로 볼 용액 1∼10 중량부를 더 부가하여 블렌딩한 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조성물 중에 발포캡슐인 마이크로 볼 용액을 부가하는 것은 알코올을 흡수하는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쿠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테이프의 쿠션 성능을 향상시키면 제품이 낙하되는 경우에 완충 역할을 하여 파손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수 있다.
모듈 층(12)은 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를 블렌딩한 조성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모듈 층(12)은 단층 구조에서의 접착층(10)과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듈 층(12)도 배터리 층(10)과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도 있다.
배터리 층(13)은 단층 구조에서의 접착층(10)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 배터리 층(13)도 접착층(10)과 같이 실리카 용액이 부가되기 때문에 알코올을 흡수하는 성능을 향상시킨다.
단층 구조 또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테이프는 그 두께가 30∼500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3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이프의 각 층의 두께는 10∼170 ㎛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형지(20)로 사용되는 실리콘 PET 라이너는 종래의 재작업용 테이프에서도 사용되어 온 것으로 본 발명에서 다른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조립된 전기 및 전자 제품을 재작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착 테이프로 접착된 본체(모듈)와 부품(배터리)의 틈 사이에 알코올을 주입시킨다.
도 3은 내부 본체(모듈)(100)에 배터리(200)가 접착 테이프(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접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내부 본체(모듈)(100)와 배터리(200) 사이의 틈(201)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분해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본체(모듈)(100)에 배터리(200)가 접착 테이프(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접착된 상태라 하더라도 내부 본체(모듈)(100)와 배터리(200) 사이에 틈(201)이 형성된다. 이 틈(201) 사이에 알코올을 주입시키면, 단층 구조의 접착층(10), 또는 3층 구조의 쿠션 층(11) 및 배터리 층(13)에서 (모듈 층(12)이 실리카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모듈 층(12)에서도 알코올을 흡수하여 10 내지 30초가 경과하면 접착되었던 부품이 테이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때 테이프가 모듈(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부품과 테이프가 함께 분리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단층 구조의 접착층(10), 또는 3층 구조의 쿠션 층(11), 모듈 층(12), 및 배터리 층(13)을 이루는 조성물은 알코올을 흡수할 수 있는 성능을 갖도록 조성된 것이다.
알코올을 주입하여 접착되었던 부품이 테이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면, 부품(배터리)을 교체하는 재작업을 진행한다. 알코올은 주사기와 같은 수단으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알코올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의 단층 구조 접착 테이프 제조
SBS 블록 공중합체 25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 20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3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4 중량%, 항산화제 0.5 중량%, 및 나머지 MEK 용매 37.5 중량%로 구성된 블렌딩 용액 100 중량부에 실리카 20 중량%와 MEK 용매 80 중량%를 블렌딩한 실리카 용액 5 중량부를 더 부가하여 접착 테이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로부터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접착층(10)을 100 ㎛ 두께로 형성하고, 그 양쪽에 각각 실리콘 PET 라이너(20)를 부착하여 본 발명의 재작업용 단층 구조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도 2의 3층 구조 접착 테이프 제조
SBS 블록 공중합체 25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 20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3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4 중량%, 항산화제 0.5 중량%, 및 나머지 MEK 용매 37.5 중량%로 구성된 블렌딩 용액 100 중량부에 발포캡슐인 마이크로 볼(Micro Ball) 20 중량%와 용매 80 중량%를 블렌딩한 마이크로 볼 용액 5 중량부를 더 부가하여 블렌딩한 조성물로 쿠션 층(11)을 형성하였다. 모듈 층(12)은 SBS 블록 공중합체 25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 20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3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4 중량%, 항산화제 0.5 중량%, 및 나머지 MEK 용매 37.5 중량%로 구성된 블렌딩 용액으로 형성하고, 배터리 층(13)은 실시예 1의 단층 구조에서의 접착층(10)과 동일한 조성을 갖도록 형성하여 본 발명의 재작업용 3층 구조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휴대폰에서의 배터리 재작업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조립된 내부 본체(모듈)와 배터리 사이에 틈 사이에 에탄올을 주입시키고 20초 경과 후에 배터리를 본체로부터 제거하였다. 테이프 조성물 중에 함유된 무기물 및 첨가제로 인해 알코올을 빠르게 흡수하여 배터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aromatic modified terpene resin)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를 블렌딩하여(blending) 제조한 블렌딩 용액 100 중량부; 및
    알코올 흡수제 용액 1∼10 중량부;
    를 부가하여 블렌딩한 전자전기 소재의 재작업을 위한 접착 테이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흡수제는 실리카, CaCO3, TiO2, 및 변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기물 10∼30 중량부와 용매 90∼70 중량부를 블렌딩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소재의 재작업을 위한 접착 테이프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메틸 에틸 케톤(MEK) 또는 톨루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소재의 재작업을 위한 접착 테이프용 조성물.
  4.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aromatic modified terpene resin)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를 블렌딩하여(blending) 제조한 블렌딩 용액 100 중량부; 및 알코올 흡수제 용액 1∼10 중량부를 부가하여 블렌딩한 조성물로 접착층(10)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 양쪽에 각각 이형지(20)를 부착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소재의 재작업을 위한 접착 테이프.
  5. 중앙에 형성된 쿠션(cushion) 층(11), 상기 쿠션 층의 한쪽에 형성된 모듈(module) 층(12), 다른 한쪽에 형성된 배터리(battery) 층(13), 및 상기 모듈 층과 배터리 층에는 이형지(20)가 각각 부착된 전자전기 소재의 재작업을 위한 접착 테이프로서,
    상기 쿠션 층(11)은 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를 블렌딩한 용액 100 중량부에 발포캡슐인 마이크로 볼(Micro Ball) 10∼30 중량부와 용매 90∼70 중량부를 블렌딩한 마이크로 볼 용액 1∼10 중량부를 더 부가하여 블렌딩한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모듈 층(12)은 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를 블렌딩한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층(13)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20∼30 중량%, 방향족 변형 테르펜 레진(aromatic modified terpene resin) 15∼25 중량%, 하이드로카본 레진 10∼15 중량%, 하이드로카본 중합체 3∼5 중량%, 항산화제 0.1∼1 중량%, 및 나머지 함량의 용매를 블렌딩하여(blending) 제조한 블렌딩 용액 100 중량부; 및 알코올 흡수제 용액 1∼10 중량부를 부가하여 블렌딩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소재의 재작업을 위한 접착 테이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흡수제는 실리카, CaCO3, TiO2, 및 변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기물 10∼30 중량부와 용매 90∼70 중량부를 블렌딩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소재의 재작업을 위한 접착 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메틸 에틸 케톤(MEK) 또는 톨루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소재의 재작업을 위한 접착 테이프.
  8. 제7항의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조립한 전기 및 전자 제품을 재작업함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로 접착된 본체(모듈)와 부품(배터리)의 틈 사이에 알코올을 주입시키고; 그리고
    10 내지 30초 경과후에 접착되었던 부품(배터리)을 본체(모듈)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전기 소재의 재작업 방법.
KR1020170047741A 2017-04-13 2017-04-13 재작업성이 용이한 전자전기 소재용 접착 테이프 조성물, 그 접착 테이프 및 재작업 방법 KR20180115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41A KR20180115432A (ko) 2017-04-13 2017-04-13 재작업성이 용이한 전자전기 소재용 접착 테이프 조성물, 그 접착 테이프 및 재작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41A KR20180115432A (ko) 2017-04-13 2017-04-13 재작업성이 용이한 전자전기 소재용 접착 테이프 조성물, 그 접착 테이프 및 재작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432A true KR20180115432A (ko) 2018-10-23

Family

ID=6410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741A KR20180115432A (ko) 2017-04-13 2017-04-13 재작업성이 용이한 전자전기 소재용 접착 테이프 조성물, 그 접착 테이프 및 재작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54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234B1 (ko) * 2019-12-19 2021-05-26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발포된 psa 층을 가지고 표면이 구조화된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57230B1 (ko) * 2019-12-19 2021-05-26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발포된 psa 층을 가지고 표면이 구조화된 접착 테이프
WO2023040386A1 (zh) * 2021-09-15 2023-03-23 苏州德佑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重工胶带及其剥离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234B1 (ko) * 2019-12-19 2021-05-26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발포된 psa 층을 가지고 표면이 구조화된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57230B1 (ko) * 2019-12-19 2021-05-26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발포된 psa 층을 가지고 표면이 구조화된 접착 테이프
CN113004827A (zh) * 2019-12-19 2021-06-22 德莎欧洲股份公司 用于制造具有发泡的压敏胶粘剂层和在表面上结构化的胶带的方法
CN113004827B (zh) * 2019-12-19 2023-04-07 德莎欧洲股份公司 用于制造具有发泡的压敏胶粘剂层和在表面上结构化的胶带的方法
WO2023040386A1 (zh) * 2021-09-15 2023-03-23 苏州德佑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重工胶带及其剥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361B1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5952013B2 (ja)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80115432A (ko) 재작업성이 용이한 전자전기 소재용 접착 테이프 조성물, 그 접착 테이프 및 재작업 방법
KR102046779B1 (ko) 개선된 재작업 능력을 나타내는 양면 코팅 테이프
WO2009072469A1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201725111A (zh) 圖像顯示裝置
KR101269392B1 (ko)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JP2013180792A (ja) チップ型電子部品包装用カバーテープ
JP2004059776A (ja) 異方導電材テープ
KR20180063959A (ko) 열박리형 접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E102014208264A1 (de) Hilfsklebeband für eine wiederablösbare Klebefolie
KR101550095B1 (ko) 점착 테이프
KR101753718B1 (ko) 도전성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5041663A (ja) 封止用シート、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2222170B1 (ko)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점착 테이프
KR101914376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KR20160113865A (ko) 양면 코팅 테이프,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양면 코팅 테이프의 제조 방법
CN112708365A (zh) 一种显示模组用可移除低掉屑双面泡棉胶带
KR101869928B1 (ko) 충격 분산성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54650B1 (ko) 충격흡수용 복합시트
KR101765464B1 (ko) 재작업성이 용이한 전자전기 소재용 접착 테이프 및 그 재작업 방법
CN202965379U (zh) 一种pe静电吸附膜
KR101727474B1 (ko) 재작업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열 박리 테이프
US9537122B2 (en) Fixing sheet and electronic apparatus
CN206157087U (zh) 一种多层双面胶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